KR20100012380U - 보석 장식구 - Google Patents

보석 장식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2380U
KR20100012380U KR2020090007204U KR20090007204U KR20100012380U KR 20100012380 U KR20100012380 U KR 20100012380U KR 2020090007204 U KR2020090007204 U KR 2020090007204U KR 20090007204 U KR20090007204 U KR 20090007204U KR 20100012380 U KR20100012380 U KR 2010001238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ewelry
cage
main body
ornaments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72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현
Original Assignee
김기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현 filed Critical 김기현
Priority to KR20200900072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12380U/ko
Publication of KR2010001238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238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7/00Gems or the like
    • A44C17/02Settings for holding gems or the like, e.g. for ornaments or decorations
    • A44C17/0283Settings for holding gems or the like, e.g. for ornaments or decorations moving freely inside a setting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7/00Gems or the like
    • A44C17/04Setting gems in jewellery; Setting-tool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9/00Finger-ring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보석 장신구에 관한 것으로, 반지나 목걸이, 브로치 등의 장신구에 설치되는 보석이 움직일 수 있어, 종래의 고정된 형태에 비하여 움직임에 의한 동적 미감과 이에 따른 반사광의 찬란함 등으로 인하여 장식미가 향상된 보석 장신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 상기 본체에 고정되고, 세사의 성긴 구조에 의해 특정 문양을 형성하는 보석 케이지; 크기가 상기 보석 케이지보다 작고 세사에 의해 형성된 구멍보다 커서, 보석 케이지의 내부에서 흔들릴 수 있게 수납된 보석;을 포함하여 구성된 보석 장신구가 제공된다.
장신구, 보석, 케이지

Description

보석 장식구{Accessory}
본 고안은 보석 장신구에 관한 것으로, 반지나 목걸이, 브로치 등의 장신구에 설치되는 보석이 움직일 수 있어, 종래의 고정된 형태에 비하여 움직임에 의한 동적 미감과 이에 따른 반사광의 찬란함 등으로 인하여 장식미가 향상된 보석 장신구에 관한 것이다.
[문헌 1] 한국 실용신안공개 제20-1994-0018827호, 1994.08.16
[문헌 2]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20-0329767-0000호, 2003.10.01
장신구 중 인체에 부착되거나 핸드백 등의 소지품에 부착되는 반지, 목걸이, 귀걸이, 브로치 등은 다른 장신구에 비하여 보석의 사용이 많고 보석에 의해 반사되는 빛이 아름답다.
종래의 경우 보석을 고정하기 위하여 고정구를 사용하되, 많은 면이 노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가느다란 막대형으로 장신구의 본체에 고정하였다.
따라서 가느다란 고정구의 내구성이 약하여 보석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고, 보석이 본체에 고정되어 있어 흔들리는 경우보다 반사되는 빛이 적어 보석으로서의 효과를 창출하기가 적었다.
본 발명은 보석을 고정하기 위한 수단의 개념을 뛰어넘어 보석을 본체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하여 흔들림에 의한 빛의 반사가 찬란하도록 하여 장신구의 효과 창출을 극대화시키고, 보석을 압지하여 고정하는 것에 비하여 보석의 보호가 뛰어난 장신구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보석을 장신구의 본체에 설치할 수 있고, 설치된 보석이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구조의 보석 케이지(cage)가 본체에 고정되게 설치된 구조를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은 보석 케이지가 본체에 고정되고, 상기 보석 케이지의 내부에 보석이 들어가 있는 구조로서, 보석은 종래와 같이 고정구에 직접 접촉되어 압지된 고정구조가 아니므로 흔들릴 수 있고, 고정구에 의해 가압되는 압력이 없다. 따라서 직접 가압되지 않아 보석이 상하는 것이 방지되고, 고정구의 변형이나 휘어짐 등으 로 느슨해져 보석이 분실되는 위험이 없으며, 흔들림에 의해 보석 자체의 빛 반사와 함께 흔들림에 의한 찬란한 빛의 반사가 아름답게 된다.
본 발명은 장신구를 구성하는 본체(1)에 보석(2)이 흔들리게 설치됨에 특징이 있다. 따라서 보석(2)은 본체(1)에 고정설치된 보석 케이지(3)에 수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체(1); 상기 본체(1)에 고정되고, 세사(4)의 성긴 구조에 의해 특정 문양을 형성하는 보석 케이지(3); 크기가 상기 보석 케이지(3)보다 작고 세사(4)에 의해 형성된 구멍보다 커서, 보석 케이지(3)의 내부에서 흔들릴 수 있게 수납된 보석(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장신구는 사람이나 물건 등에 부착되어 사람이나 물건의 기능이나 효과를 증대시키거나 변화를 주는 것으로, 특히 사람의 반지, 목걸이, 귀걸이, 브로치 등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장신구는 본체(1)와 본체(1)에 설치된 보석(2)으로 크게 구성되는데, 보석(2)이 본체(1)에 고정되도록 종래에는 고정구가 이용되었다. 즉, 종래의 고정구는 본체(1)에 설치되고, 보석(2)은 고정구에 압지되어 고정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보석(2)이 고정되지 않고, 자유롭게 움직이는 구조로서, 이를 위해 보석 케이지(3)가 본체(1)에 고정설치된다.
도 1 내지 도 3은 보석 케이지(3)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방향에서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보석 케이지(3)의 다른 형태의 실시예이다.
보석 케이지(3)는 보석(2)의 크기보다 크고, 세사(4)에 의해 성기게 연결된 구조로서, 세사(4)에 의해 구멍이 형성된다. 세사(4)에 의한 구멍은 보석(2)보다 작아 보석이 통과하지 못하는 크기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보석(2)의 보석 케이지(3) 내부에 수납되고, 그 내부에서 움직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세사(4)에 의한 구멍으로 보석(2)이 그대로 보여진다.
보석(2)과 세사(4)는 빛을 받아 아름답게 반사되고, 흔들리는 보석(2)은 빛의 반사를 더욱 아름답게 한다. 즉, 보석(2)의 세공면에 의해 빛이 반사되면서 움직임에 의한 세공면의 각도 변화에 의해 더욱더 빛의 반사가 동적이고 찬란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사시도
도 2와 도 3은 도 1의 보석 케이지에 대한 다양한 각도의 상태도
도 4는 보석 케이지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2 : 보석
3 : 보석 케이지 4 : 세사

Claims (1)

  1. 본체(1); 상기 본체(1)에 고정되고, 세사(4)의 성긴 구조에 의해 특정 문양을 형성하는 보석 케이지(3); 크기가 상기 보석 케이지(3)보다 작고 세사(4)에 의해 형성된 구멍보다 커서, 보석 케이지(3)의 내부에서 흔들릴 수 있게 수납된 보석(2);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보석 장신구.
KR2020090007204U 2009-06-04 2009-06-04 보석 장식구 KR2010001238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7204U KR20100012380U (ko) 2009-06-04 2009-06-04 보석 장식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7204U KR20100012380U (ko) 2009-06-04 2009-06-04 보석 장식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2380U true KR20100012380U (ko) 2010-12-14

Family

ID=44205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7204U KR20100012380U (ko) 2009-06-04 2009-06-04 보석 장식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12380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010Y1 (ko) * 2014-11-11 2015-01-21 이병구 보석의 보호 및 외관이 개선된 장신구용 난집
KR20190106350A (ko) * 2018-03-08 2019-09-18 나인숙 장잔광성 장신구용 발광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010Y1 (ko) * 2014-11-11 2015-01-21 이병구 보석의 보호 및 외관이 개선된 장신구용 난집
KR20190106350A (ko) * 2018-03-08 2019-09-18 나인숙 장잔광성 장신구용 발광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A007216B1 (ru) Индивидуальное украшение
KR101971171B1 (ko) 장식보석의 심미감이 개선된 난집
JP5183129B2 (ja) カット宝石又は宝石と装身具及びその取り付け方法
US20160143404A1 (en) Simulated Cross Pendant and Jewelry
KR20100012380U (ko) 보석 장식구
JP2007268242A (ja) 装飾石の固着方法および宝飾品
US20150308489A1 (en) Turning mechanism for a piece of jewelry
KR200474073Y1 (ko) 장식체의 교체 및 위치 조절이 용이한 장신구.
KR200488439Y1 (ko) 액세서리용 펜던트
US20140345323A1 (en) Item of jewellery or clothing accessory having a mechanism for moving the stone
KR200468937Y1 (ko) 보석체의 움직임이 가능한 장신구용 보석난집
KR20120035660A (ko) 장신구의 보석류 고정 구조체
CN101248918A (zh) 发光宝石戒指
JP3211270U (ja) 装飾物及び装飾具
US20160324279A1 (en) Customizable jewelry system
KR101905545B1 (ko) 복층 난집 구조를 가지는 장신구 및 그 제조 방법
KR200425708Y1 (ko) 장신구용 보석 고정부재
KR200458360Y1 (ko) 장신구용 유동형 보석난집
KR102307660B1 (ko) 단일품 다 디자인 구조의 착시형 장식구
KR20090011868U (ko) 장신구
KR101446593B1 (ko) 내장된 장식용 보석이 유동되는 목걸이용 메달
JP2005528153A (ja) 外観を変形させ得る設計の宝飾品
KR200420656Y1 (ko) 장신구부재
KR200476010Y1 (ko) 보석의 보호 및 외관이 개선된 장신구용 난집
KR20090089565A (ko) 장식용 보석이 내재된 액세서리 메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