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2055A - 한지를 이용한 화상치료제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한지를 이용한 화상치료제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2055A
KR20100012055A KR1020100006062A KR20100006062A KR20100012055A KR 20100012055 A KR20100012055 A KR 20100012055A KR 1020100006062 A KR1020100006062 A KR 1020100006062A KR 20100006062 A KR20100006062 A KR 20100006062A KR 20100012055 A KR20100012055 A KR 201000120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same oil
burn
beeswax
burn treatment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6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영우
Original Assignee
안영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영우 filed Critical 안영우
Priority to KR10201000060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12055A/ko
Publication of KR201000120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205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3Arthropods
    • A61K35/64Insects, e.g. bees, wasps or fleas
    • A61K35/644Beeswax; Propolis; Royal jelly; Hone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61K36/535Perilla (beefsteak pla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07Drug-containing films, membranes or sheets

Abstract

본 발명은 밀납(蜜臘), 참기름 및 한지를 포함하는 화상치료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상치료제는 천연 재료, 특히 한지를 이용하고 별도로 항생제를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피부에 알레르기 반응이나 가려움, 염증 및 통증을 일으키지 않고 화상으로 손상된 피부를 아무런 흉터없이 깨끗이 치유할 수 있다.

Description

한지를 이용한 화상치료제 및 이의 제조방법 {BURN TREATMENT USING KOREAN PAP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한지를 이용한 화상치료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밀납, 참기름 및 한지를 포함하는 화상치료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상생활에서 흔히 경험할 수 있는 화상은 뜨거운 물이나 수증기, 화염, 전기, 뜨거운 난로, 화학물질, 방사선, 태양광선 등 매우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화상은 손상된 깊이와 범위를 기준으로 1도 화상, 2도 화상 및 3도 화상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1도 화상은 피부의 표피층과 진피 유두부에만 화상이 국한된 것으로 피부가 벌겋게 발적(發赤)하고, 부종이 있거나 따끔거리는 통증이 수반되고, 물집(수포)이 없으며 여름철에 해수욕장에서 피부가 타서 껍질이 벗겨지는 정도로서 대체로 흉터없이 치료될 수 있다.
2도 화상은 피부의 진피층까지 화상이 있는 것을 말하며 피부에 발적 현상 및 부종이 나타나며 물집이 생기고 동통이 발생하며, 완치후 색소침착이나 색소탈락이 나타날 수도 있으나 일반적으로 2도 화상까지는 심한 반흔(瘢痕)은 남기지 않는다.
3도 화상은 표피, 진피 뿐만 아니라 피하조직층까지 피부 전층에 화상을 입은 것을 말하며 신경이 손상되어 통증을 제대로 느끼지 못하는 부분적인 신경마비 증상이 오고, 그 정도가 심할 경우 생명을 잃을 위험도 있다. 3도 화상은 반흔이 남고 반흔 표면이 불규칙해져 켈로이드(Keloid) 흉터가 생기므로 피부이식이 필요하게 된다.
이와 같이 화상을 입은 경우, 종래에는 화상 부위에 합성 의약품 및 식물에서 추출된 천연 성분 등을 함유한 피부질환 치료용 연고를 사용하여 왔으며, 2도 및 3도의 심한 화상의 경우에는 무균 바세린 거즈로 상처 부위를 감싸야 하며, 더욱이 2차 감염을 막기 위해서 페니실린, 설파민제 등의 항생제를 적용하여 치료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화상을 동반한 통증이 있는 경우에는 별도로 진통제를 투여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치료제는 장기간의 치료기간과 상당한 비용이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완치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그 적용면에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첫째, 거즈 타입의 화상치료제의 경우 환부를 외부 공기와 차단함으로써 오히려 피부 스스로의 회복을 더디게 할 수 있고, 또한 바세린 거즈는 쉽게 건조되기 때문에 피부 삼출물과 거즈가 붙어서 거즈를 제거할 때 통증이 발생하거나 피부를 손상시킬 우려가 있다. 둘째, 크림 타입의 연고제의 경우 환부에 연고를 바를 때 통증 및 자극이 수반될 수 있고, 화상부위의 열기가 식기 전에 연고를 바르게 되면 이로 인해 열기가 미처 빠지지 못하여 화상이 더욱 심해질 수 있다. 셋째, 항생제의 사용은 예민한 피부에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키거나 발적, 소양감 등의 부작용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면서도 우수한 치료 효능을 나타내는 화상치료제가 여전히 요구되어 왔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항생제를 함유하지 않으면서 화상으로 손상된 피부의 감염을 막아주고 알레르기나 부작용, 가려움 및 통증 없이 화상을 치유할 수 있는 화상치료제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는 상기 목적에 따라 예의 연구한 결과, 놀랍게도 한지를 이용하는 경우 별도로 항생제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화상 부위의 2차 감염을 예방하면서 어떤 알레르기나 부작용, 가려움 및 통증없이 화상이 깨끗이 치유됨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밀납, 참기름 및 한지를 포함하는 화상치료제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화상치료제는 밀납 100 중량부에 대하여 참기름을 80 내지 1000 중량부로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화상치료제는 한지로서 소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한지의 두께는 0.005 내지 0.01 mm인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은 (a) 밀납 100 중량부에 대하여 참기름 80 내지 1000 중량부를 혼합하여 가열함으로써 밀납을 참기름에 완전히 융해시키는 단계, 및 (b) 밀납과 참기름의 융해물에 한지를 첨가하여 융해물을 흡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치료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상치료제는 한지를 사용함으로써 그에 침착된 밀납과 참기름의 융해물이 습윤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별도로 항생제를 포함하지 않더라도 환부의 2차 감염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상치료제는 천연 재료를 이용하고 별도로 항생제를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비용이 저렴하여 경제적이고, 예민한 피부 등에 알레르기 반응이나 소양감, 발적 등의 부작용 및 통증을 일으키지 않으면서도 손상된 피부의 화상을 아무런 흉터없이 깨끗이 치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밀납(蜜臘)은 황납(yellow beeswax)을 말하며, 동양꿀벌 (Apis. indica Radoszkowski) 또는 서양꿀벌(Apis mellifera Linne)의 벌집에서 얻은 납을 정제한 것으로, 벌집에서 꿀을 채취한 뒤 벌집을 열탕에 넣고 끓여서 원납을 융해시키고 윗쪽에 분리된 납을 뜨거울 때 여과하거나 또는 뜨거운 물로 반복 세척하여 불순물을 제거하고 냉각 고화하여 제조한다.
본 발명에 사용된 참기름(sesame oil)은 참깨를 압착하여 얻은 기름이다. 본 발명의 화상치료제를 제조함에 있어 밀납에 비해 참기름의 양이 너무 적으면 밀납이 제대로 융해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밀납 100 중량부에 대하여, 참기름은 80 내지 100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500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200 중량부를 혼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상치료제에는 한지로서 현재 시판되고 있는 것들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한지는 두께가 가능한 얇은 것이 좋으며, 바람직하게는 0.005 내지 0.01mm의 두께를 갖는 한지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한지로서는 특히 소지(燒紙)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고 있는 한지는 유연성이 있고 통기성이 우수하여 화상치료제를 만드는데 사용하면 피부에 부착하여도 이물감이 거의 느껴지지 않을 뿐 아니라, 화상 부위에 달라붙지 않고 쉽게 건조되지 않으므로 환부에서 떼어낼 때 부드럽게 제거되어 화상 부위를 잘 보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치료제는 밀납과 참기름의 융해물을 한지에 침착시킴으로써 습윤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기 때문에 화상치료제를 화상 부위에 부착하고 그 위에 거즈를 감으면 화상 부위와 거즈 사이에서 화상치료제가 유막(油膜)을 형성하여 화상 부위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상치료제는 (a) 밀납 100 중량부에 대하여 참기름 80 내지 1000 중량부를 혼합하여 가열함으로써 밀납을 참기름에 완전히 융해시킨 다음, (b) 적당한 크기로 잘라 놓은 한지를 밀납과 참기름의 융해물에 한지를 첨가하여 융해물을 충분히 흡수되게 적심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상기 (a)단계에서 밀납과 참기름의 혼합물은 120℃ 내지 150℃의 온도로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b) 단계는 120℃ 내지 150℃의 온도에서 2 내지 5분간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한지로서는 소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b)단계에 사용된 한지의 두께는 얇을수록 좋으며, 바람직하게는 0.005 내지 0.01mm의 두께를 갖는 한지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필요에 따라, 상기 (b) 단계의 밀납과 참기름의 융해물이 흡수된 한지는 상온에서 건조할 수 있다. 이렇게 제조된 화상치료제는 융해물이 잘 흐르지 않을 정도로 털어서 밀폐용기에 보관한다.
본 발명의 화상치료제는 화상을 입은 환부에 부착하는 것에 의해 화상을 치료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제조예 1>
삼각 플라스크에 밀납 50g과 참기름 50g을 혼합하여 120℃의 온도에서 가열하였다. 밀납이 참기름에 완전히 융해된 다음 7cm× 8cm의 크기로 잘라 놓은 소지를 넣어 융해물이 충분히 흡수되도록 120℃의 온도에서 2분간 침적시켜 본 발명의 화상치료제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화상치료제를 육안으로 관찰한 결과, 소지에 밀납과 참기름의 융해물이 균등하게 흡수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조된 화상치료제는 융해물이 잘 흐르지 않을 정도로 털어서 밀폐 용기에 보관하였다.
< 제조예 2>
밀납과 참기름의 양을 각각 50g 및 100g으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화상치료제를 제조하였다. 육안 관찰 결과, 소지에 밀납과 참기름의 융해물이 균등하게 흡수된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 제조예 3>
비교예로서 한지 대신에 백상지(모조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화상치료제를 제조하였다. 백상지를 사용한 경우 밀납과 참기름의 융해물이 백상지에 잘 흡수되지 않았고 균등하게 분포되지 않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 실시예 1 >
끓는 물에 데어 발등에 10cm 크기의 2도 화상을 입은 33세의 성인 남성에 대해 상기 제조예 1에 따른 본 발명의 화상치료제를 부착하고 1일 2회씩 새 것으로 교환 부착하여 7일간 치료하였다. 화상치료제를 발등에 부착시 촉촉한 상태가 계속 지속되었고, 화상치료제의 교체시 별다른 통증이 관찰되지 않았으며, 피부 가려움이나 염증이 발생하지 않았고, 치료 결과 피부에 아무런 외상 흔적(흉터)없이 깨끗이 완치되었다.
< 실시예 2 >
팔에 20cm 크기의 2도 화상을 입은 15세의 남성에 대해 상기 제조예 2의 화상치료제를 1일 2회씩 부착하여 21일간 치료하였다. 치료 결과, 피부가 완전히 재생이 되고 흉터 없이 완치되었다. 또한, 치료 과정 중 염증이나 통증, 가려움도 전혀 관찰되지 않았다.
< 실시예 3 >
발에 12cm 크기의 2도 화상을 입어 심한 통증과 소양증을 호소하는 27세의 성인 여성에게 상기 제조예 1의 화상치료제를 1일 2회씩 부착하여 10일간 치료하였다. 본 발명의 화상치료제를 적용한 결과, 통증 및 소양증이 없어지고 피부 변형없이 화상으로 인한 상처가 깨끗이 완치되었다.
< 실시예 4>
등과 다리에 30cm 크기의 2도 화상을 입은 2세의 유아에 대해 손상된 피부조직을 걷어낸 다음, 상기 제조예 1의 화상치료제를 1일 2회씩 부착하여 23일간 치료하였다. 본 발명의 화상치료제를 적용한 결과, 통증이나 소양증 및 염증없이 외상이 깨끗이 완치되었다.
< 비교예 1>
발등에 5cm 크기의 2도 화상을 입은 58세의 성인 남성에게 제조예 3의 화상치료제를 부착한 결과, 화상치료제가 유연성이 없어서 피부에 제대로 밀착되지 않아 들뜨고 화상치료제의 이물감에 의해 자극이 생겨 환자가 통증 및 소양증을 호소함에 따라 치료를 중단하였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치료제는 항생제 없이도 2차 감염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알레르기 반응이나 소양감, 발적 등의 부작용 및 통증을 일으키지 않으면서도 손상된 피부의 화상을 아무런 흉터없이 깨끗이 치유할 수 있으므로, 화상을 치료하는데 매우 유용하다.

Claims (9)

  1. 밀납(蜜臘), 참기름 및 한지를 포함하는 화상치료제.
  2. 제1항에 있어서,
    밀납 100 중량부에 대해 참기름을 80 내지 1000 중량부로 포함하는 화상치료제.
  3. 제2항에 있어서,
    밀납 100 중량부에 대해 참기름을 100 내지 500 중량부로 포함하는 화상치료제.
  4. 제3항에 있어서,
    밀납 100 중량부에 대해 참기름을 100 내지 200 중량부로 포함하는 화상치료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지가 소지(燒紙)인 화상치료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한지의 두께가 0.005 내지 0.01mm인 화상치료제.
  7. (a) 밀납 100 중량부에 대하여 참기름 80 내지 1000 중량부를 혼합하여 가열함으로써 밀납을 참기름에 완전히 융해시키는 단계, 및
    (b) 밀납과 참기름의 융해물에 한지를 첨가하여 융해물을 흡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치료제의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 사용된 한지가 소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치료제의 제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 사용된 한지의 두께가 0.005 내지 0.01mm인 화상치료제의 제조방법.
KR1020100006062A 2010-01-22 2010-01-22 한지를 이용한 화상치료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000120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6062A KR20100012055A (ko) 2010-01-22 2010-01-22 한지를 이용한 화상치료제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6062A KR20100012055A (ko) 2010-01-22 2010-01-22 한지를 이용한 화상치료제 및 이의 제조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1959A Division KR20090036745A (ko) 2007-10-10 2007-10-10 한지를 이용한 화상치료제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2055A true KR20100012055A (ko) 2010-02-04

Family

ID=42086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6062A KR20100012055A (ko) 2010-01-22 2010-01-22 한지를 이용한 화상치료제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1205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5775B1 (ko) 2023-06-12 2023-10-27 박준성 생산성을 개선한 토너 파우더의 소분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5775B1 (ko) 2023-06-12 2023-10-27 박준성 생산성을 개선한 토너 파우더의 소분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198159B (zh) 一种治疗烧伤疮疡的药物及采用该药物制成的创面贴
CN108186711A (zh) 促进伤口愈合的药物组合物
US6391323B1 (en)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f burns, sunburns, abrasions, ulcers and cutaneous irritation
CN102266406B (zh) 一种治疗烧烫伤的中药膏及制备方法
PT87128B (pt) Processo para a preparacao duma pomada curativa compreendendo pelo menos uma cera, um oleo e uma substancia eterea e eventualmente um antisseptico
US7141252B2 (en)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f burns, sunburns, abrasions, ulcers and cutaneous irritation
CN101455748B (zh) 一种消炎生肌药及其制备方法
KR102313197B1 (ko) 고체상염의 삼투작용으로 수포형성을 억제하는 화상 응급처치용 치료 제제 및 이를 포함하는 패치
CN108451978A (zh) 一种烫伤药膏
CN103040916B (zh) 一种治疗多种烧烫伤的肌肤再生中药外用油剂
KR20100012055A (ko) 한지를 이용한 화상치료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74537B1 (ko) 곰보배추를 이용한 화상치료용 약학 조성물
CN104857555A (zh) 复方大蓟外用止血海绵
KR20090036745A (ko) 한지를 이용한 화상치료제 및 이의 제조방법
CN109954083A (zh) 一种治疗烧烫伤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1028365B (zh) 一种治疗烧、烫伤的药物及其制备方法
CN113546158A (zh) 一种伤口护理软膏及其制备工艺
CN104435566A (zh) 一种治疗动物创伤外用药物及制备方法
RU2337702C2 (ru) Бальзам &#34;гайсановой&#34;, обладающий ранозаживляющим, противовоспалительным и противоожоговым действием
Tognetti et al. Clinical applications of skin Bank bioproducts
CN102178795B (zh) 一种治疗烧、烫伤的外用药物及其制备方法
RU2355411C1 (ru) Ранозаживляющая мазь
KR100592429B1 (ko) 대나무 표피 분말을 포함하는 화상치료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00111061A (ko) 상처 치료용 조성물
CN116370516A (zh) 一种治疗黑红伤及感染类疾病的膏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