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1985U - 입력장치를 갖는 아이폰 케이스 - Google Patents

입력장치를 갖는 아이폰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1985U
KR20100011985U KR2020090006697U KR20090006697U KR20100011985U KR 20100011985 U KR20100011985 U KR 20100011985U KR 2020090006697 U KR2020090006697 U KR 2020090006697U KR 20090006697 U KR20090006697 U KR 20090006697U KR 20100011985 U KR20100011985 U KR 2010001198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phone
input
case
unit
inpu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66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56228Y1 (ko
Inventor
김영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노디자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노디자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노디자인
Priority to KR20200900066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6228Y1/ko
Publication of KR2010001198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198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62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622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2Protective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3Arrangements for mounting batteries or battery charg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아이폰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각종 텍스트 입력이 가능할 수 있고 아이폰의 안전한 보관이 가능할 수 있는 입력장치를 갖는 아이폰 케이스에 대하여 개시한다. 본 입력장치를 갖는 아이폰 케이스는 입력부가 일체로 구비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입력부를 개폐시키고 아이폰을 장착하기 위한 수용부가 형성되는 덮개부, 및 상기 덮개부의 일측에 구비되고 입력부와 수용부에 장착되는 아이폰이 접속되도록 아이폰과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기 위한 접속단자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입력장치를 갖는 아이폰 케이스에 의하면, 아이폰을 탈착 가능하게 장착하여 아이폰에 키보드 방식에 의한 각종 문자, 숫자, 기호 등을 보다 용이하게 입력함으로써 입력 오류를 방지할 수 있고 신속한 입력이 가능하여 사용의 편리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아이폰이 내장된 상태로 휴대 가능하여 외부의 충격이나 부주의에 의한 낙하시 터치 스크린의 손상 및 기기의 파손이 방지되도록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다.
입력장치, 아이폰, 케이스

Description

입력장치를 갖는 아이폰 케이스{CASE FOR IPHONE HAVING AN INPUT UNIT}
본 고안은 입력장치를 갖는 아이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아이폰의 장착을 통해 각종 문자, 숫자, 기호 등의 입력이 용이할 수 있고, 아이폰의 휴대 및 사용시 우수한 보관성과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는 입력장치를 갖는 아이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이폰(iPhone)은 미국 애플사가 개발한 터치 스크린 기반의 아이팟, 휴대폰(카메라 기능), 모바일 인터넷의 세 가지 주요 기능을 겸비한 모바일 전자 기기로서, 현재 전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아이폰은 보통 휴대폰에서 쓰이는 전화를 걸기 위한 다이얼패드가 없이 손가락을 이용한 터치 스크린(멀티 터치)으로 작동하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며, 맥 오에스 텐 기반으로, 기본적인 음성 통화에 2세대 무선통신 기술인 GSM 방식, 무선 데이터 통신에 2.5세대 무선통신 방식인 GPRS/EDGE와 Wi-Fi를 사용하여 통신한다.
이밖에도 아이폰은 PUSH 방식의 IMAP 이메일, 인스턴트 메신저 형식의 SMS, 사파리, 향상된 음성메시지, Wi-Fi(IEEE802.11b/g), 블루투스 등의 다양한 기능을 탑재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아이폰은 전면 터치 스크린상에 나타나는 가상 키보드로 텍스트를 입력하는 구조를 채택하고 있기 때문에 초보자나 데이터 입력이 많은 사용자가 소형의 터치 스크린에서 각종 문자, 숫자, 기호 등을 입력하기에는 많은 불편함이 따랐고, 입력시 오류 발생이 많고 신속한 입력을 도모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아이폰의 전면 터치 스크린은 외부에 그대로 노출되어 있어 휴대시 외부의 충격에 의해 쉽게 손상되었고,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한 낙하시 기기의 파손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아이폰을 장착하여 각종 문자, 숫자, 기호 등의 입력이 용이할 수 있고, 아이폰을 휴대시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음은 물론 사용시 아이폰의 탈착 구조에 의해 편리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 입력장치를 갖는 아이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아이폰에 전원공급 및 충전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한 입력장치를 갖는 아이폰 케이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아이폰의 음향을 출력할 수 있도록 한 입력장치를 갖는 아이폰용 케이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입력부가 일체로 구비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입력부를 개폐시키고 아이폰을 장착하기 위한 수용부가 형성되는 덮개부, 및
상기 덮개부의 일측에 구비되고 입력부와 수용부에 장착되는 아이폰이 접속되도록 아이폰과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기 위한 접속단자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덮개부의 타측에는 아이폰의 접속단자가 연결되는 일측과 대응되 는 타측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탄성밴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에는 아이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부는 아이폰의 배터리 잔량을 감지하기 위한 배터리 감지센서와,
상기 배터리 감지센서의 감지신호를 기저장된 정보와 비교하여 아이폰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아이폰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한 건전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에는 아이폰의 음향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음향출력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음향출력부는 외장형 스피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입력장치를 갖는 아이폰 케이스는 아이폰을 탈착 가능하게 장착하여 아이폰에 키보드 방식에 의한 각종 문자, 숫자, 기호 등을 보다 용이하게 입력함으로써 입력 오류를 방지할 수 있고 신속한 입력이 가능하여 사용의 편리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아이폰이 내장된 상태로 휴대 가능하여 외부의 충격이나 부주의에 의한 낙하시 터치 스크린의 손상 및 기기의 파손이 방지되도록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체부에 전원공급부를 구비함으로써 아이폰의 방전시 전원 공급을 통해 아이폰을 작동시킬 수 있고, 아이폰의 미사용시에는 방전된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체부에 음향출력부를 구비함으로써 별도의 이어폰, 헤드폰 등의 사용 없이도 아이폰으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을 용이하게 청취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각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를 갖는 아이폰 케이스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장치를 갖는 아이폰 케이스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도시된 입력장치를 갖는 아이폰 케이스의 내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장치를 갖는 아이폰 케이스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입력장치를 갖는 아이폰 케이스를 나타낸 구성도, 그리고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입력장치를 갖는 아이폰 케이스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장치를 갖는 아이폰 케이스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12)가 일체로 구비된 본체부(10)와, 본체부(10)에 결합되어 입력부(12)를 개폐시키고 아이폰(60)을 장착하기 위한 수용부(22)가 형성되는 덮개부(20) 및 덮개부(20)에 구비되어 입력부(12)와 수용부(22)에 장착되는 아이폰(60)을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기 위한 접속단자(24)로 구성된다.
이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체부(10)는 아이폰(60)의 터치 스크린에 각 종 문자, 숫자, 기호 등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12)를 일체로 구비한다. 입력부(12)의 표면에는 각종 문자, 숫자, 기호 등이 인쇄된 다수의 입력버튼(14)이 구비되어 있다.
즉, 본체부(10)에 구비된 입력부(12)는 아이폰(60)의 터치 스크린상에 나타나는 가상 키보드와는 별개로, 사용자가 입력버튼(14)을 사용하여 한글이나 알파벳, 숫자 혹은 각종 기호 등을 보다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보조적인 입력수단이다.
덮개부(20)는 본체부(10)에 구비된 입력부(12)를 개폐하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해서 본체부(10)의 일측에 힌지를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덮개부(20)에는 아이폰(60)을 수용되게 장착하기 위한 수용부(22)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덮개부(20)는 아이폰(60)의 사용 유무에 따라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본체부(10)의 입력부(12)를 개폐하는 구조로 된 것이다.
접속단자(24) 입력부(12)와 덮개부(20)에 장착된 아이폰(60)을 접속시키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해서 아이폰(60)에 구비된 연결포트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수용부(22)의 일측에 구비되어 있다. 이때, 접속단자(24)는 입력부(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접속단자(24)는 일반적인 USB커넥터로 구성되고, 접속단자(24)와 대응되는 아이폰(60)의 연결포트는 USB포트로 구성된다.
이에, 접속단자(24)는 아이폰(60)을 덮개부(20)의 수용부(22)에 장착시, 입력부(12)의 입력신호가 아이폰(60)으로 전달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접속단 자(24)는 아이폰(60)의 통화시 연결포트와 분리될 수 있다.
한편, 덮개부(20)의 타측에는 덮개부(20)의 개폐시 아이폰(60)의 접속단자(24)가 연결되는 일측과 대응되는 타측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탄성밴드(26)가 구비되어 있다. 탄성밴드(26)는 일정한 길이를 갖는 탄성띠로 형성되어 그 양단이 덮개부(20)의 긴 양측면 길이방향과 교차되도록 짧은 양측면에 고정된다. 이때, 탄성밴드(26)는 탄성에 의해 일정한 장력을 형성한다.
이러한 탄성밴드(26)는 아이폰(60)이 덮개부(20)의 수용부(22)에 장착되는 경우에 아이폰(60)의 접속단자(24)가 연결되는 일측과 대응되는 타측을 잡아줌으로써 덮개부(20)의 개폐시 발생하는 아이폰(60)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접속단자(24)는 도 1을 기준으로 덮개부(20)의 우측에 구비되고, 탄성밴드(26)는 덮개부(20)의 좌측에 구비된다.
한편, 미설명부호 “30”는 아이폰(60)의 미사용시 본체부(10)와 덮개부(20)의 닫힘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록킹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록킹장치(30)의 구성으로 본체부(10)에 형성되는 걸림홈(32)과 이 걸림홈(32)과 대응되도록 덮개부(20)에 형성되는 걸림돌기(34)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록킹장치(30)는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장치를 갖는 아이폰 케이스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이폰(60)을 사용시 탈착 가능하게 장착하여 각종 문자, 숫자, 기호 등을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고, 휴대시 아이폰(60)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 호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먼저, 아이폰(60)을 장착하여 각종 문자, 숫자, 기호 등을 입력하려는 경우, 본체부(10)에 구비된 입력부(12)가 열리도록 덮개부(20)를 회전시킨다. 이후 입력부(12)가 열린 상태에서 접속단자(24)와 아이폰(60)의 연결포트가 서로 연결되도록 아이폰(60)을 수용부(22)에 장착하게 된다. 그러면, 접속단자(24)가 연결포트에 삽입되어 연결됨에 따라 입력부(12)와 아이폰(60)의 접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렇게 아이폰(60)의 장착 및 접속이 완료된 상태에서, 입력부(12)의 입력버튼(14)을 사용하여 아이폰(60)의 터치 스크린에 각종 문자, 숫자, 기호 등을 입력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입력부(12)를 통한 키보드 방식으로 아이폰(60)에 각종 문자, 숫자, 기호 등을 보다 용이하게 입력함으로써 종래의 터치 스크린 방식의 입력시 발생하는 오류를 방지할 수 있고 신속한 입력이 가능하여 사용상의 편리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아울러, 덮개부(20)에 구비된 탄성밴드(26)로 아이폰(60)의 접속단자(24)가 연결되는 일측과 대응되는 타측을 견고하게 잡아줌으로써 덮개부(20)의 개폐시 발생하는 아이폰(60)의 유동을 방지하여 접속단자(24)와 아이폰(60)의 접속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아이폰(60)을 덮개부(20)에 장착시 접속단자(24)의 연결되는 일측과 대응되는 타측은 별도의 고정수단이 없으므로 유동에 취약한 구조를 갖는다. 이에 아이폰(60)은 덮개부(20)의 개폐시 타측의 유동으로 접속단자(24)와 아이폰(60)의 접 속불량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아이폰(60)을 덮개부(20)에 장착시 별도의 고정수단이 없는 타측을 탄성밴드(26)로 견고하게 잡아줌으로써 덮개부(20)의 개폐시 아이폰(60)의 유동으로 인한 접속단자(24)와 아이폰(60)의 접속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한편, 아이폰(60)의 미사용시에는 덮개부(20)를 회전시켜 아이폰(60)이 내장된 상태로 휴대 가능함으로써, 외부의 충격이나 부주의에 의한 낙하시 터치 스크린의 손상 및 기기의 파손이 방지되도록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입력장치를 갖는 아이폰 케이스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에는 아이폰(6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40)가 구비된 것을 제외하고는 본 고안의 선행된 실시 예와 동일하다.
본 실시 예에서, 본체부(10)의 내부에는 아이폰(60)에 내장된 배터리의 방전시 실시간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40)가 구비되어 있다. 전원공급부(40)는 아이폰(60)의 배터리 잔량을 감지하기 위한 배터리 감지센서(42)와, 배터리 감지센서(42)의 감지신호를 기저장된 정보와 분석하여 아이폰(60)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44) 및 제어부(44)의 제어에 따라 아이폰으로 전기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한 건전지(46)로 구성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40)는 배터리 감지센서(42)로 덮개부(20)에 장착된 아이폰(60)의 배터리 잔량을 감지하여 제어부(44)로 전송하게 되고, 제어부(44)는 배터리 감지센서(42)로부터 전송된 감지신호를 기저장된 정보와 비교하여 건전지(46)의 전기에너지가 아이폰(60)의 배터리에 공급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즉, 전원공급부(40)는 아이폰(60)의 배터리가 방전된 상태에서 사용시 제어부(44)의 제어에 따라 건전지(46)의 전기에너지를 공급하여 아이폰(60)을 작동시키고 아이폰(60) 미사용시에는 방전된 배터리를 충전한다.
또한, 건전지(46)는 본체부(10)의 저면에 교체 가능한 구조로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입력장치를 갖는 아이폰 케이스는, 본체부(10)에 전원공급부(40)를 구비하여 아이폰(60)의 방전에 따른 사용시 전원 공급을 통해 아이폰(60)을 작동시킬 수 있고, 아이폰(60)의 미사용시에는 방전된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입력장치를 갖는 아이폰 케이스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에는 아이폰(60)의 음향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음향출력부(50)가 구비된 것을 제외하고는 본 고안의 선행된 실시 예와 동일하다.
본 실시 예에서, 음향출력부(50)는 본체부(10)에 구비된 입력부(12)의 표면에 하나 이상 구비되는 외장형 스피커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음향출력부(50)는 아이폰(60)이 접속단자(24)와 연결되도록 덮개부(20)에 장착되는 경우, 아이폰(60)에 내장된 음향장치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송되는 음향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아이폰용 입력장치는, 본체부(10)에 음향출력부(50)를 구비함으로써 덮개부(20)에 아이폰(60)을 장착하여 사용시 별도의 이어폰, 헤드폰 등의 사용 없이도 아이폰(60)으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을 용이하게 청취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각 실시 예로써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각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장치를 갖는 아이폰 케이스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도시된 입력장치를 갖는 아이폰 케이스의 내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장치를 갖는 아이폰 케이스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입력장치를 갖는 아이폰 케이스를 나타낸 구성도, 그리고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입력장치를 갖는 아이폰 케이스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본체부 12: 입력부
20: 덮개부 22: 수용부
24: 접속단자 26: 탄성밴드
30: 록킹장치 40: 전원공급부
50: 음향출력부

Claims (6)

  1. 입력부(12)가 일체로 구비된 본체부(10)와,
    상기 본체부(1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입력부(12)를 개폐시키고 아이폰(60)을 장착하기 위한 수용부(22)가 형성되는 덮개부(20), 및
    상기 덮개부(20)의 일측에 구비되고 입력부(12)와 수용부(22)에 장착되는 아이폰(60)이 접속되도록 아이폰(60)과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기 위한 접속단자(2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를 갖는 아이폰 케이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20)의 타측에는 아이폰(60)의 접속단자(24)가 연결되는 일측과 대응되는 타측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탄성밴드(26)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를 갖는 아이폰 케이스.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에는 아이폰(6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4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를 갖는 아이폰 케이스.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40)는 아이폰(60)의 배터리 잔량을 감지하기 위한 배터리 감지센서(42)와,
    상기 배터리 감지센서(42)의 감지신호를 기저장된 정보와 비교하여 아이폰(60)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44), 및
    상기 제어부(44)의 제어에 따라 아이폰(60)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한 건전지(4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를 갖는 아이폰 케이스.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에는 아이폰(60)의 음향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음향출력부(5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를 갖는 아이폰 케이스.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음향출력부(50)는 외장형 스피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를 갖는 아이폰 케이스.
KR2020090006697U 2009-06-01 2009-06-01 입력장치를 갖는 아이폰 케이스 KR2004562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6697U KR200456228Y1 (ko) 2009-06-01 2009-06-01 입력장치를 갖는 아이폰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6697U KR200456228Y1 (ko) 2009-06-01 2009-06-01 입력장치를 갖는 아이폰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1985U true KR20100011985U (ko) 2010-12-09
KR200456228Y1 KR200456228Y1 (ko) 2011-10-20

Family

ID=44204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6697U KR200456228Y1 (ko) 2009-06-01 2009-06-01 입력장치를 갖는 아이폰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622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7801B1 (ko) * 2014-01-08 2015-05-06 주식회사 이엠텍 스피커 기능을 가지는 플립 케이스 및 이를 구비하는 스마트 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2470B1 (ko) 2012-01-04 2013-09-02 김은희 블루투스용 키보드를 구비한 케이스
US20140049476A1 (en) * 2012-08-14 2014-02-20 Oleksiy Bragin Electronic device case with touch sensitive input
KR200463713Y1 (ko) 2012-09-14 2012-11-20 유윤재 휴대폰의 기본동작 제어기능을 구비한 휴대폰 보호 케이스
KR101564498B1 (ko) 2013-03-14 2015-10-29 올렉시 브라긴 모바일 디바이스용 외부 지원 시스템
KR101495774B1 (ko) * 2013-12-12 2015-02-25 주식회사 뉴빛 마우스패드가 구비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KR20150039605A (ko) 2015-03-23 2015-04-10 김정훈 실시간 진동 피드백을 제공하는 휴대단말용 보호케이스
KR102112429B1 (ko) * 2015-09-21 2020-05-18 애플 인크. 전자 액세서리 디바이스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95380A1 (en) * 2001-11-16 2003-05-22 Compal Electronics, Inc. Expansion station for personal digital assistant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7801B1 (ko) * 2014-01-08 2015-05-06 주식회사 이엠텍 스피커 기능을 가지는 플립 케이스 및 이를 구비하는 스마트 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6228Y1 (ko) 2011-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6228Y1 (ko) 입력장치를 갖는 아이폰 케이스
KR200460949Y1 (ko) 스피커를 갖는 아이폰 케이스
US8441227B2 (en) Portable terminal
KR200463713Y1 (ko) 휴대폰의 기본동작 제어기능을 구비한 휴대폰 보호 케이스
KR20110136327A (ko) 보호케이스와 착탈이 가능한 휴대용단말기 보조 전원공급 장치
KR100641204B1 (ko) 무선 헤드셋 및 이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200458699Y1 (ko) 휴대 단말기용 게임 컨트롤러
CN207410402U (zh) 具有音箱功能的手机保护套
JP2013153244A (ja) 端末装置、充電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7329789A (ja) 電子機器
US20110069858A1 (en) Electronic device
CN102905033A (zh) 一种通话中自动开启与关闭免提模式的方法及手机
KR20110096514A (ko) 휴대단말기용 태양전지 충전 타입의 배터리 팩 장치
KR20100011666U (ko) 아이폰용 입력장치
CN202353645U (zh) 一种可预防供电异常以提高其系统稳定性的手机
CN209170604U (zh) 一种新型便携式蓝牙耳机对讲机
KR20110109668A (ko) 커넥터 커버가 부착된 핸드폰 케이스
CN104468975A (zh) 一种新型的手机皮套的检测方法
CN216805126U (zh) 潜水推进器
CN221010168U (zh) 一种带扫描的手机保护套
CN216961692U (zh) 蓝牙戒指套件
JP5700720B2 (ja) 携帯端末、ロック状態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ロック状態制御方法
CN207304672U (zh) 背夹电池
JP2011250129A (ja) 携帯電子機器
CN209231728U (zh) 一种便携式户外通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4

Year of fee payment: 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