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1451U - 핀 체결 불량에 대응한 정지구조를 갖는 전기 컨넥터 - Google Patents

핀 체결 불량에 대응한 정지구조를 갖는 전기 컨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1451U
KR20100011451U KR2020090005903U KR20090005903U KR20100011451U KR 20100011451 U KR20100011451 U KR 20100011451U KR 2020090005903 U KR2020090005903 U KR 2020090005903U KR 20090005903 U KR20090005903 U KR 20090005903U KR 20100011451 U KR20100011451 U KR 2010001145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housing
fastening
connector
stop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59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진열
Original Assignee
금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금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900059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11451U/ko
Publication of KR2010001145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145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0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computer peripher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3Coupling part wherein contact is comprised of a wire or brush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착돌기방식의 제1 정지구조와, 장격판돌기방식의 제2 정지구조와, 텔레스코픽방식의 제3 정지구조와, 슬라이딩판방식의 제4 정지구조 중 어느 하나가 핀웨이퍼 또는 컨넥터터미널하우징에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서, 핀 체결 불량이 발생되기 전에 상기 정지구조에 의해서 컨넥터터미널하우징이 핀웨이퍼에 진입되는 것을 정지시켜 외형적으로 확인케 함에 따라 접촉 불량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본 고안을 탑재한 전자 제품의 품질에 신뢰성을 제공할 수 있는 핀 체결 불량에 대응한 정지구조를 갖는 전기 컨넥터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핀 체결 불량에 대응한 정지구조를 갖는 전기 컨넥터는 하우징후방부, 분리탭, 하우징전방부를 갖는 컨넥터터미널하우징과, 전방부체결구멍, 접촉핀을 갖는 핀웨이퍼를 포함하되, 전방부체결구멍의 내측면에는 외팔보 형식으로서 접촉핀에 대해 이격되어 평행을 이루면서 컨넥터터미널하우징의 래치사출구멍에 삽입 가능한 직경의 고착돌기가 형성되어 있어서, 접촉핀이 휘어지는 경우가 발생될 때 상기 고착돌기에 의해서 컨넥터터미널하우징과 핀웨이퍼간에 불완전 결합이 유도되도록 함에 따라 사전에 컨넥터 불량품을 색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컨넥터터미널하우징, 핀웨이퍼, 고착돌기, 지지코어, 슬라이딩튜브

Description

핀 체결 불량에 대응한 정지구조를 갖는 전기 컨넥터{ELECTRONIC CONNECTOR HAVING STOPPER STRUCTURE PREPARING AGAINST POOR ELECTRICAL CONTACT}
본 고안은 핀 체결 불량에 대응한 정지구조를 갖는 전기 컨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냉장고, 에어컨, 김치저장고, 세탁기 등에 설치된 전기 모터를 포함한 전기 제품에게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호 형합적 체결에 의해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는 핀 체결 불량에 대응한 정지구조를 갖는 전기 컨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컨넥터 세트는 한 쌍 또는 한 조의 컨넥터를 의미한다.
컨넥터는 전기 회로에서 두 전도체를 이어주는 전기, 전자 부품으로서, 커넥터, 콘넥터 등으로 호칭되며, 소켓, 플러그, 리셉터클, 콘센트, 터미널, 핀웨이퍼 등의 형식으로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핀웨이퍼는 BLDC모터에 합체되어 사용되는 부품으로서, 모터하우징의 성형시 합체되는 컨넥터 소자이다.
컨넥터는 휴대폰, 디지털카메라, 캠코터, 컴퓨터 등의 정보 통신 기기부터, 세탁기, 냉장고 등의 가전제품을 비롯하여, 자동차, 항공기에 이르기 까지 전원을 이용하는 거의 대부분의 전기, 전자제품에 사용되고 있다.
컨넥터는 통상적으로 물리적으로 취부 가능하게 형합될 수 있는 수 컨넥터와 암 컨넥터를 살펴본다.
수 컨넥터는 튜브 형상 또는 리셉터클 형상의 터미널 콘택트와, 이런 터미널 콘택트를 안착시킨 플러그형 컨넥터하우징을 구비하고 있다.
암 컨넥터는 수 컨넥터와 체결시 상기 플러그형 컨넥터하우징이 삽착될 수 있는 체결구멍을 형성한 캡형 컨넥터하우징과, 이런 캡형 컨넥터하우징에서 상대측 터미널 콘택트의 안착 위치를 기준으로 설치되어 터미널 콘택트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핀 형상의 접촉단자(이하, '접촉핀'이라 칭함)를 구비하고 있다.
암 컨넥터의 캡형 컨넥터하우징과 수 컨넥터의 플러그형 컨넥터하우징은 체결시 상호 가이드하면서 형합을 유도할 수 있는 암, 수 단면 형상과, 하우징간 취부를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체결 유격을 갖는다.
이런 컨넥터는 형합에 따른 물리적인 체결을 바탕으로 신뢰성있는 전기적 접속을 제공해야 하며, 이를 통해 해당 컨넥터가 사용된 전자 제품의 품질을 신뢰성 있게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일반적인 컨넥터에서는 경우에 따라 종종 핀 체결 불량이 발생되고 있다.
핀 체결 불량이란, 컨넥터의 물리적 또는 외형적 체결에서 이상이 없으나, 통상 육안으로 식별 불가능한 컨넥터 내부에서 접촉핀이 휘어진 상태로 터미널 콘택트 외부에 일부분 접촉된 상태로 체결됨에 따라, 컨넥터 자체 통전 시험에서도 정상 판정을 받았지만, 세탁기의 모터와 같이 진동, 충격이 많은 곳에 사용될 때 컨넥터에서 비정상적으로 단전과 통전이 이루어짐에 따라 해당 컨넥터를 사용한 세탁기와 같은 해당 제품에서 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의미한다.
핀 체결 불량은 외형적으로 정상 체결된 것처럼 보이는 컨넥터에서 발견되고 있다. 불량 사례를 살펴보면, 핀 체결 불량을 갖는 컨넥터가 자체 검사를 통과하여 세탁기 조립장으로 납품되고, 이후 조립 라인에서 완제품의 세탁기의 부품으로 사용되고, 이후 품질 검사를 받은 완제품의 세탁기가 소비자에게 전달되어 장시간 사용하는 도중에 오작동을 일으켜, 면밀히 전선 계통을 검사한 결과, 해당 컨넥터 내부에서 접촉핀이 휘어진 상태의 핀 체결 불량이 발견되었다.
핀 체결 불량은 컨넥터의 하우징간 취부용 체결 유격 또는 대량으로 컨넥터 체결 작업을 수행하는 컨넥터 조립 작업자(이하, 작업자라 칭함)의 무리한 체결 작업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작업자의 무리한 체결 작업이란 체결 유격이 존재하기 때문에 암 컨넥터와 수 컨넥터의 체결 방향을 정확하게 일치시키지 않거나 비틀린 방향으로 체결하면서 작업자가 과도한 힘을 가하여 체결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런 핀 체결 불량은 해당 컨넥터를 사용한 전기 제품의 신뢰성에 막대한 피해를 가져오고 있는 실정이므로, 컨넥터의 제조 단계에서 이를 방지할 수 있는 방안이 시급이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예컨대, 종래 기술에 따른 컨넥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컨넥 터 또는 수 컨넥터 등에 해당하는 일측 컨넥터(10)와, 캡 컨넥터 또는 암 컨넥터 등에 해당하는 타측 컨넥터(20)로서 한 세트를 이룬다.
일측 컨넥터(10)는 플러그형 컨넥터하우징(11)의 내부에 복수개의 터미널 콘택트(12)를 안착시키고 있다. 터미널 콘택트(12)는 상단과 하단에서 복수 열로 배열 설치되어 있다. 터미널 콘택트(12)는 판금 제작에 의해 제작된 것으로서 플러그형 컨넥터하우징(11)에 조립되며, 플러그형 컨넥터하우징(11)의 내부에서 일체형으로 형성된 탄성 록크부재(13)에 의해 임시 고정되어 있다.
플러그형 컨넥터하우징(11)은 통상적으로 사출 방식으로 대량 생산되며, 특히, 탄성 록크부재(13)의 사출 설계상 필연적으로 플러그형 컨넥터하우징(11)의 핀구멍(15) 위쪽 위치에서 탄성 록크부재(13)에 대해 대향적으로 록크부재사출구멍(14)을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록크부재사출구멍(14)은 플러그형 컨넥터하우징(11)의 측면에 개구된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핀구멍(15)과 록크부재사출구멍(14)은 터미널 콘택트(12)의 위치 및 개수에 비례하게 형성된다.
타측 컨넥터(20)는 일측 컨넥터(10)를 물리적 및 전기적으로 취부 가능하게 체결 및 접속시키도록 되어 있다. 정상적인 체결시, 일측 컨넥터(10)는 정상 삽착 위치(R)까지 타측 컨넥터(20)의 체결구멍(23) 내부로 삽입(i) 된다.
이런 타측 컨넥터(20)는 캡형 컨넥터하우징(21)과 복수개의 접촉핀(22)을 갖는다.
각 접촉핀(22)의 끝단부는 플러그형 컨넥터하우징(11)의 삽입단부가 삽입되는 캡형 컨넥터하우징(21)의 체결구멍(23)의 내측면에서 외팔보와 같은 형태로 캡형 컨넥터하우징(21)에 안치되어 있다. 이런 연유로 접촉핀(22)의 끝단부는 터미널 콘택트(12)에 정확하게 일치되어 체결되지 못할 경우, 어떤 방향으로든 휘어지거나 구부러질 수 있다.
심지어 앞서 언급한 핀 체결 불량의 발생시에는, 도 1의 하부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촉핀(22)의 끝단부가 핀구멍(15)을 지나 터미널 콘택트(12)의 구멍에 삽입되지 못하는 대신, 핀구멍(15) 테두리 쪽에 부딪쳐 휘어진 상태로 일측 컨넥터(10)의 록크부재사출구멍(14)에 삽입되기 때문에 앞서 언급한 문제를 발생시키게 된다.
접촉핀(22)은 대부분 얇은 구리선으로 만들어지거나, 구리를 코팅한 얇은 알루미늄 소재로 만들어져 있다. 이런 연유로 컨넥터 체결 작업 도중 핀 체결 불량이 발생되더라도 작업자는 컨넥터 체결 도중에 접촉핀(22)이 구부러지는 정도를 거의 느끼지 못하거나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다.
즉, 일측 컨넥터(10)와 타측 컨넥터(20)는 정상 삽착 위치(R)까지 삽입(i) 된 상태로서, 작업자의 입장에서 볼 때 외형적으로 정상 체결된 것처럼 보이게 된다.
특히 종래의 컨넥터는, 구부러진 접촉핀(22)이 일부 위치(C)에서 비 정상적이지만 부분적으로 터미널 콘택트(12)에 접촉되어 있기 때문에, 컨넥터 자체의 통전 검사에서도 아무 이상이 없는 것으로 오판될 수 있고, 심지어 세탁기 등의 모터에 탑재되어 통전이 가능한 상태이기 때문에 세탁기 완제품 검사를 통과하여 소비 자에게 전달되기도 하는 등, 해당 컨넥터의 핀 체결 불량을 컨넥터 납품 단계에서 발견하기 매우 힘든 단점을 갖는다.
이런 종래의 컨넥터는 앞서 언급한 체결 유격(m1, m2) 또는 작업자의 무리한 체결 작업에 의한 핀 체결 불량의 요인을 갖고 있기 때문에, 해당 컨넥터를 사용한 전기 제품의 품질 신뢰성에도 막대한 영향과 피해를 가져올 수 있고, 제조물 책임에서 자유롭지 못하는 단점을 갖고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고착돌기방식의 제1 정지구조와, 장격판돌기방식의 제2 정지구조와, 텔레스코픽방식의 제3 정지구조와, 슬라이딩판방식의 제4 정지구조 중 어느 하나가 핀웨이퍼 또는 컨넥터터미널하우징에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서, 핀 체결 불량이 발생되기 전에 상기 정지구조에 의해서 컨넥터터미널하우징이 핀웨이퍼에 진입되는 것을 정지시켜 외형적으로 확인케 함에 따라 접촉 불량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본 고안을 탑재한 전자 제품의 품질에 신뢰성을 제공할 수 있는 핀 체결 불량에 대응한 정지구조를 갖는 전기 컨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삼는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터미널 콘택트를 각각 삽입시켜 안착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터미널안착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후방부, 상기 하우징후방부의 상부에 형성된 분리탭, 상기 하우징후방부의 전방 위치에서 일체형으로 각각 돌출 형성된 복수개의 하우징전방부를 갖는 컨넥터터미널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전방부를 각각 체결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전방부체결구멍, 상기 전방부체결구멍 내에 배치된 접촉핀을 갖는 핀웨이퍼를; 포함하는 핀 체결 불량에 대응한 정지구조를 갖는 전기 컨넥터에 있어서, 상기 전방부체결구멍의 내측면에는 외팔보 형식으로서 상기 접촉핀에 대해 이격되어 평행을 이루면서 상기 컨넥터터미널하우징의 래치사출구멍에 삽입 가능한 직경의 고착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 체결 불량에 대응한 정지구조를 갖는 전기 컨넥터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 달성을 위해서, 컨넥터터미널하우징과 핀웨이퍼로 이루어진 것 중에서, 전방부체결구멍의 내측면에서 외팔보 형식으로 상기 접촉핀에 대해 이격되어 평행을 이루도록 형성된 지지코어와, 지지코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튜브 형상으로서 컨넥터터미널하우징의 래치사출구멍에 삽입 가능한 외경을 갖는 슬라이딩튜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 체결 불량에 대응한 정지구조를 갖는 전기 컨넥터가 제공된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 달성을 위해서, 컨넥터터미널하우징과 핀웨이퍼로 이루어진 것 중에서, 전방부체결구멍의 내부에 삽입되고 접촉핀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슬라이딩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 체결 불량에 대응한 정지구조를 갖는 전기 컨넥터가 제공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핀 체결 불량에 대응한 정지구조를 갖는 전기 컨넥터는 접촉핀이 휘어지는 경우가 발생될 때 고착돌기 등에 의해서 컨넥터터미널하우징과 핀웨이퍼간에 불완전 결합이 유도되도록 함에 따라 사전에 컨넥터 불량품을 색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예컨대, 본 고안에 따른 핀 체결 불량에 대응한 정지구조를 갖는 전기 컨넥 터는 컨넥터 사출 성형이 용이한 고착돌기방식의 제1 정지구조에 해당하는 고착돌기에 의해, 핀 체결 불량 발생할 경우, 핀웨이퍼와 컨넥터터미널하우징의 불완전 결합을 유도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육안으로 핀 체결 불량이 되었음을 용이하게 발견할 수 있고, 컨넥터를 탑재한 완제품의 제품 품질을 신뢰성 있게 확보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핀 체결 불량에 대응한 정지구조를 갖는 전기 컨넥터는 돌기의 길이 방향으로 신장 또는 축소되는 텔레스코픽방식의 제2 정지구조에 해당하는 지지코어와 슬라이딩튜브에 의해, 접촉핀이 휘어지면서 래치(latch)사출구멍에 삽입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함에 따라, 핀 체결 불량이 발생되기 전에 핀웨이퍼와 컨넥터터미널하우징의 불완전 결합을 유도하여 컨넥터 체결 불량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을 발휘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핀 체결 불량에 대응한 정지구조를 갖는 전기 컨넥터는 슬라이딩판방식의 제3 정지구조 또는 장격판돌기방식의 제4 정지구조를 통해, 육안 식별 가능한 불완전 결합을 이용하여 컨넥터 체결 불량을 판별함에 따라, 전기적 불량 상태로 발전 가능한 컨넥터가 사용처에 납품되지 않도록 미연에 방지하여, 결과적으로 완제품의 제품에서 컨넥터 품질 문제가 발생되지 않게 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명칭과 상세한 설명 및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언급된 정지구 조란, 핀 체결 불량과 같이 접촉핀과 터미널 콘택트 사이에서 오결합이 발생될 때, 상기 접촉핀을 구비한 핀웨이퍼와 상기 터미널 콘택트를 구비한 컨넥터터미널하우징이 불완전 결합되도록 컨넥터의 결합 또는 체결을 정지시키는 구조를 의미한다.
즉, 본 고안에서 언급된 정지구조는 컨넥터 결합 정지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제1 실시예에 따른 고착돌기방식의 제1 정지구조와, 제2 실시예에 따른 장격판돌기방식의 제2 정지구조와, 제3 실시예에 따른 텔레스코픽방식의 제3 정지구조와, 제4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판방식의 제4 정지구조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양호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제1 실시예
도면에서,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착돌기방식으로서 핀 체결 불량에 대응한 정지구조를 갖는 전기 컨넥터의 사시도이고, 도 3a 내지 도 3c는 도 2에 도시된 전기 컨넥터의 결합관계를 보인 단면도이다.
먼저, 도 2와,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 전기 컨넥터는 한 쌍 또는 한 조로서 세트화 될 수 있는 것으로서, 플러그형 일측 컨넥터에 해당하는 컨넥터터미널하우징(100)과, 소켓형 타측 컨넥터에 해당하는 핀웨이퍼(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단면은 도 2의 선 A-A를 기준으로 절단한 것이다.
컨넥터터미널하우징(100)은 외형적으로 살펴볼 때 하우징후방부(110)와 복수개(예 : 4개)의 하우징전방부(140) 및 분리탭(190)으로 구성된다.
복수개의 하우징전방부(140)는 하우징후방부(110)의 전방 위치에서 일체형으로 각각 돌출 형성되어 있다. 즉, 컨넥터터미널하우징(100)의 폭방향을 따라서 각각의 하우징전방부(140)가 이격 간격을 유지하면서 개별적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전방부(140)간 이격 간격은 핀웨이퍼(200)의 구멍격벽(241) 두께 및 미리 정한 공차를 합한 값에 해당한다. 이러한 각각의 하우징전방부(140)는 핀웨이퍼(200)의 전방부체결구멍(240)에 각각 삽입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특히, 각각의 하우징전방부(140)는 하우징후방부(110)에서 연결된 것으로서 횡 단면을 기준으로 볼 때 사각 튜브 형상을 갖는 확장부(147)와, 이런 확장부(147)보다 상대적으로 좁은 사각 튜브 형상을 갖는 끝단부(148)로 이루어져 있다.
컨넥터터미널하우징(100)의 저면에는 가이드단부(149)가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단부(149)는 첫 번째와 네 번째 하우징전방부(140)의 저면 일부분으로부터 하우징후방부(110)의 저면까지 연장된 것으로서, 핀웨이퍼(200)의 전방부체결구멍(240) 각각의 저면에 형성된 가이드홈(245)에 삽입 및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컨넥터터미널하우징(100)과 핀웨이퍼(200)의 체결시, 컨넥터터미널하우징(100)의 하우징전방부(140)를 핀웨이퍼(200)의 전방부체결구멍(240)에 원활하게 체결시키기 위한 체결 유격(m3, m4)이 존재한다.
또한, 하우징후방부(110)에는 터미널 콘택트(120)를 각각 삽입시켜 안착시키 기 위한 복수개(예 : 4개)의 터미널안착구멍(111)이 형성되어 있다. 터미널안착구멍(111)은 하우징전방부(140)의 내부 공간과 관통하게 형성되어 있다.
도 3a를 참조하면 터미널안착구멍(111)의 상부 안쪽 위치에 해당하는 하우징전방부(140)의 내부에는 탄성래치(130)가 형성되어 있다.
탄성래치(130)는 터미널안착구멍(111)에 삽입된 터미널 콘택트(120)를 임시적으로 고정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탄성래치(130)를 하우징후방부(110)의 내부에 형성하기 위해서는 사출성형을 위한 한 쌍의 몰드가 컨넥터터미널하우징(100)의 전방과 후방쪽으로 삽입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컨넥터터미널하우징(100)의 후방쪽에 해당하는 하우징후방부(110)에는 터미널안착구멍(111)이 형성되고, 컨넥터터미널하우징(100)의 전방쪽에 해당하는 각각의 하우징전방부(140)에는 래치사출구멍(144)이 형성된다.
래치사출구멍(144)은 터미널안착구멍(111)과 관통하되 하우징전방부(140)의 내부 상단측에 형성된다.
하우징전방부(140)의 내부 하단측에는 핀구멍(145)이 형성된다.
래치사출구멍(144)과 핀구멍(145)의 사이에는 단(short)격판(142)이 형성되어 있다.
단(short)격판(142) 또는 하기의 제2 실시예에서 설명할 장(long)격판은 래치사출구멍(144)과 핀구멍(145)을 구획하는 것으로서 하우징전방부(140)의 양측면에 연결되어 있다.
단격판(142)은 핀구멍(145)의 입구를 지난 곳을 시작 위치로 하여 핀구멍(145) 안쪽 끝까지 수평하고 짧게 연장 및 형성되어 있다.
이런 단격판(142)의 형상 및 배치 위치에 따라서, 핀구멍(145)의 입구 상부와 래치사출구멍(144)의 입구 하부가 합체된 공간을 이루게 되어 있다.
래치사출구멍(144)은 탄성래치(130)용 몰드가 들어가는 용도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몰드의 크기가 접촉핀(220)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접촉핀(220)이 들어간 상기 핀구멍(145)보다 상대적으로 큰 구멍 크기를 갖는다.
접촉핀(220)은 핀구멍(145)으로만 들어갈 것으로 예상되었지만, 상대적으로 큰 체결 유격(m3, m4)과, 핀구멍(145)보다 상대적으로 큰 래치사출구멍(144)과, 단격판(142)의 형상 및 배치 위치, 작업자의 무리한 체결 작업 등등의 이유로 인해, 접촉핀(220)이 래치사출구멍(144)쪽으로 들어가 핀 체결 불량을 일으킬 수 있는 것이다.
컨넥터터미널하우징(100)의 분리탭(190)은 하우징후방부(110)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핀웨이퍼(200)의 걸림턱(290)과 체결되는 탄성 록크 기구로서의 역할을 담당한다.
한편, 핀웨이퍼(200)는 외형적으로 살펴볼 때 웨이퍼전방부(214)와 웨이퍼후방부(210) 및 걸림턱(290)으로 구성된다.
먼저, 걸림턱(290)은 웨이퍼전방부(214) 상부에서 컨넥터터미널하우징(100)의 분리탭(190)을 삽입시킬 수 있게 형성된 구멍 구조물의 상부 저면에 형성된 것으로서, 웨지(wedge) 단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웨이퍼전방부(214)는 컨넥터터미널하우징(100)의 하우징전방부(140)를 삽입 방식으로 안착시키기 위한 복수개(예 : 4개)의 전방부체결구멍(240)을 형성하고 있다.
각각의 전방부체결구멍(240)은 구멍격벽(241)에 의해 구획된다.
접촉핀(220)의 전방 부위는 각각의 전방부체결구멍(240) 안쪽에서 핀웨이퍼(200)의 길이 방향(예 : 전후 방향)을 따라 외팔보 형상과 같이 배치되어 있다.
이후 접촉핀(220)의 중간 부위는 웨이퍼전방부(214) 뒤쪽에서 일체형 블록 몸체 형상의 웨이퍼후방부(210)에 의해 고정된다.
이런 접촉핀(220)의 끝단 부위는 웨이퍼후방부(210)의 뒤쪽에서 직각으로 꺾여 표출된다.
한편, 각각의 전방부체결구멍(240) 내에서 접촉핀(220)의 위쪽 공간에는 고착돌기(201)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이때, 각각의 고착돌기(201)는 전방부체결구멍(240) 내에서 웨이퍼후방부(210)쪽 전방부체결구멍(240)의 내측면에 외팔보 형식으로 형성된다.
이런 고착돌기(201)는 접촉핀(220)에 대해 이격되어 평행을 이루게 된다.
고착돌기(201)는 컨넥터터미널하우징(100)의 래치사출구멍(144)에 삽입 가능한 직경을 갖는다.
고착돌기(201)는 래치사출구멍(144)으로의 원활한 삽입을 위해 고착돌기(201)의 끝단 헤드부를 모따기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고착돌기(201)의 돌출길이는 컨넥터터미널하우징(100)과 핀웨이퍼(200)간 정 상 체결시를 기준으로 정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런 기준 하에서, 고착돌기(201)의 돌출길이는 전방부체결구멍(240)의 내측면으로부터 컨넥터터미널하우징(100)의 단격판(142)의 후방쪽 끝단 위치까지의 직선거리와, 상기 끝단 헤드부의 길이를 합한 값으로 정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실시예에서 핀 체결 불량에 대응하기 위한 정지구조란 고착돌기방식의 제1 정지구조를 의미한다.
고착돌기방식의 제1 정지구조는 핀웨이퍼(200)에 형성된 고착돌기(201)의 형성위치, 돌출길이 또는 직경 등과 같은 위치 및 형상적 특징과, 고착돌기(201) 및 단격판(142)간 협업 작용에 의해 실현된다.
고착돌기방식의 제1 정지구조는 핀 체결 불량이 발생되기 전, 즉 접촉핀(220)의 휘어져서 래치사출구멍(144)에 삽입되려고 할 때, 단격판(142)과 고착돌기(201)로 접촉핀(220)을 고착시켜 결과적으로 핀웨이퍼(200)와 컨넥터터미널하우징(100)의 불완전 결합을 유도한다.
또한, 고착돌기방식의 제1 정지구조는 핀 체결 정상시 고착돌기(201)가 핀웨이퍼(200)와 컨넥터터미널하우징(100)의 완전 결합에 영향을 끼치지 않게 한다.
핀 체결 불량이란 본 고안의 고착돌기(201)가 없는 상황 하에서 비정상적인 컨넥터 체결이 발생될 때 접촉핀(220)이 휘어진 상태에서 터미널 콘택트(120)에 접촉될 정도로 래치사출구멍(144)으로 들어가는 것으로 이해된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 체결 정상이란 접촉핀(220)이 휘어지지 않고 원래 예상한 대로 핀구멍(145)을 통해 터미널 콘택트(120)의 안쪽으로 삽입되어 정 상적으로 전기적 접촉이 이루어지며, 이때 고착돌기(201)는 래치사출구멍(144) 안쪽으로 정상 수납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컨넥터터미널하우징(100)의 분리탭(190)은 핀웨이퍼(200)의 걸림턱(290)에 결착되어 정상 결합임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불완전 결합이란 접촉핀(220)이 휘어져서 핀구멍(145)이 아닌 래치사출구멍(144)에 일부분 들어간 이후, 계속되는 작업자의 체결력 제공에 따라 고착돌기(201)가 접촉핀(220)의 표면과 래치사출구멍(144)의 표면 사이로 끼움쇠와 같이 억지로 비집고 들어가게 되고, 결국 작업자의 체결력에 대항하는 반발력이 작업자에게 전달되어 느껴짐으로써, 결국 작업자가 컨넥터터미널하우징(100) 또는 핀웨이퍼(200)에게 체결력을 인가하던 것을 중지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고착돌기(201)와 단격판(142)으로 접촉핀(220)을 잡거나 또는 접촉핀(220)을 정지상태로 지지시키는 바와 같은 고착 상황이 발생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런 경우, 컨넥터터미널하우징(100)과 핀웨이퍼(200)간 삽입 체결이 도중에 정지되어 결합적으로 불완전 상태가 되고, 이때 컨넥터터미널하우징(100)의 분리탭(190)이 핀웨이퍼(200)의 걸림턱(290)에 결착되지 않는 것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즉, 만일 본 고안과 다르게 고착돌기(201)가 없는 경우, 휘어진 접촉핀(220)은 계속해서 더 휘어지면서 완전히 래치사출구멍(144)으로 들어가서, 컨넥터터미널하우징(100)의 분리탭(190)이 핀웨이퍼(200)의 걸림턱(290)에 결착되기 때문에, 앞서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핀 체결 불량이 되어 컨넥터 불량품으로서의 판단이 매우 어렵게 된다.
반면, 고착돌기(201)에 의해 핀 체결 불량이 되지 않고 불완전 결합이 되도록 하여, 이를 컨넥터 불량품으로 용이하게 분류 및 발견할 수 있음에 따라, 컨넥터 불량품 납품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제2 실시예
제2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핀 체결 불량에 대응한 정지구조를 갖는 전기 컨넥터는, 장격판돌기방식의 제2 정지구조를 실현하기 위한 장격판과 고착돌기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제외하고,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기술적 사상을 갖는다.
그럼으로, 도 2 내지 도 4c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도면부호가 부여되거나, 또는 해당 도면부호 옆에 영문을 병기하여 유사한 도면부호가 부여될 것이며, 이것들에 대한 설명은 여기에서 생략될 것이다.
도면에서, 도 4a 내지 도 4c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장격판돌기방식으로서 핀 체결 불량에 대응한 정지구조를 갖는 전기 컨넥터의 결합관계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4a에 보이듯이, 제2 실시예에서는 장(long)격판(101)을 구비한 컨넥터터미널하우징(100a)과, 고착돌기(201)를 갖는 핀웨이퍼(200a)가 제공된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장격판돌기방식의 제2 정지구조란 장격판(101)과 고착돌기(201)를 컨넥터터미널하우징(100a)과 핀웨이퍼(200a)간 불완전 결합에 이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장격판(101)은 컨넥터터미널하우징(100a)의 래치사출구멍(144)과 핀구멍(145)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장격판(101)은 제1 실시예의 단격판과 달리, 핀구멍(145)의 입구와 일치되는 곳을 시작 위치로 하여 핀구멍(145) 안쪽 끝까지 수평하게 연장 및 형성되어서, 상기 단격판에 비해 상대적으로 긴 길이를 갖는다.
이렇게 상대적으로 긴 길이를 갖는 장격판(101)은 핀웨이퍼(200a)의 접촉핀(220)이 휘어져서 래치사출구멍(144)에 경사지게 삽입되더라도, 장격판(101)이 핀구멍(145)의 입구에서부터 접촉핀(220)의 휘어진 하부를 지지함에 따라, 컨넥터터미널하우징(100a)의 진입을 선(先) 지지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후, 장격판(101)과 고착돌기(201)는 제1 실시예보다 빠른 고착 위치에서 접촉핀(220)을 고착시킬 수 있어 결과적으로 컨넥터터미널하우징(100a)과 핀웨이퍼(200a)간 불완전 결합을 더욱 원활하게 유도할 수 있다.
예컨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넥터터미널하우징(100a)과 핀웨이퍼(200a)간 핀 체결 정상인 경우에는, 접촉핀(220)이 터미널 콘택트(120)에 접촉되고, 고착돌기(201)는 래치사출구멍(144) 안쪽으로 정상 수납되어, 결국 컨넥터터미널하우징(100a)의 분리탭(190)이 핀웨이퍼(200a)의 걸림턱(290)에 결착되어 정상 결합임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반면,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넥터터미널하우징(100a)과 핀웨이퍼(200a)간 불완전 결합인 경우에는, 접촉핀(220)이 휘어진 상태로 래치사출구멍(144)에 일부 삽입되었지만 고착돌기(201)와 장격판(101)에 의해 선 지지 및 고 착되기 때문에, 결합적으로 불완전 상태가 제1 실시예에 비해 상대적으로 먼저 이루어지게 되고, 제1 실시예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근접되지 않게 컨넥터터미널하우징(100a)의 분리탭(190)이 핀웨이퍼(200a)의 걸림턱(290)에 결착되지 않는 것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대적으로 긴 장격판(101)의 연장 길이를 고려하면, 제1 실시예의 단격판에 비해 고착 상황이 먼저 일어날 수 있고, 상대적으로 더 크고 빠르게 지지력 또는 고착력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제3 실시예
제3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핀 체결 불량에 대응한 정지구조를 갖는 전기 컨넥터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대등한 기술적 사상의 구현을 위해서, 텔레스코픽방식의 제3 정지구조용 지지코어와 슬라이딩튜브를 구비하고 있다.
그럼으로, 도 2 내지 도 5c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도면부호가 부여되거나, 또는 해당 도면부호 옆에 영문을 병기하여 유사한 도면부호가 부여될 것이며, 이것들에 대한 설명은 여기에서 생략될 것이다.
도면에서, 도 5a 내지 도 5c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텔레스코픽방식으로서 핀 체결 불량에 대응한 정지구조를 갖는 전기 컨넥터의 결합관계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5a에 보이듯이, 제3 실시예에서는 단격판(142) 또는 도 4a의 장격판(101)을 구비한 컨넥터터미널하우징(100b)과, 텔레스코픽방식의 지지코어(202) 및 슬라 이딩튜브(203)를 갖는 핀웨이퍼(200b)가 제공된다.
지지코어(202) 및 슬라이딩튜브(203)는 제1 또는 제2 실시예에서의 고착돌기에 비하여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더 진보된 효과를 갖는다.
제3 실시예에 따른 텔레스코픽방식의 제3 정지구조란 지지코어(202) 및 슬라이딩튜브(203)를 컨넥터터미널하우징(100b)과 핀웨이퍼(200b)간 불완전 결합에 이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제3 실시예에서는 래치사출구멍(144)과 핀구멍(145) 사이에 단격판(142) 또는 장격판이 배치될 수 있고, 이하의 설명의 용이성을 위해서, 단격판(142)을 기준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지지코어(202)는 외팔보 형식을 취하면서, 각각의 전방부체결구멍(240) 내에서 웨이퍼후방부(210)쪽 내측면에 각각 형성된다.
슬라이딩튜브(203)는 지지코어(202)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튜브 형상을 갖는다.
지지코어(202)와 슬라이딩튜브(203)는 안테나, 망원경통 등에서 찾아 볼 수 있는 신장 또는 신축 가능한 샤프트에 해당한다.
지지코어(202)의 끝단부 외주면에는 링형 체결턱(230)이 형성된다.
슬라이딩튜브(203)는 전방부체결구멍(240) 바깥쪽을 향하는 끝단 헤드부와, 중간 몸체부와, 전방부체결구멍(240) 안쪽을 향하는 기저부로 이루어져 있다.
슬라이딩튜브(203)의 기저부 내주면에는 상기 지지코어(202)의 링형 체결턱(230)에 대응하여 임시 고정되거나 슬라이딩에 따라 빠져나올 수 있는 링형 체결 홈(232)이 형성된다.
이런 링형 체결턱(230)과 링형 체결홈(232)의 결합 상태를 통해서 슬라이딩튜브(203)는 지지코어(202)에서 일시적으로 고정의 상태 또는 슬라이딩 상태가 가능하다.
만일 일정 크기의 외력이 슬라이딩튜브(203)의 길이 방향으로 가해질 때, 링형 체결턱(230)이 링형 체결홈(232)에서 빠져나와 슬라이딩 할 수 있수 있을 만큼, 지지코어(202) 및 링형 체결턱(230)의 외표면과 슬라이딩튜브(203) 및 링형 체결홈(232)의 내표면 사이에는 슬라이딩 공차가 존재한다.
지지코어(202)로부터 슬라이딩튜브(203)가 최대 스트로크 위치에 위치할 때, 링형 체결턱(230)과 링형 체결홈(232)이 결합되고, 이때 슬라이딩튜브(203)의 끝단 헤드부가 접촉핀(220)의 끝단보다 앞쪽에 위치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런 이유는, 컨넥터터미널하우징(100b)과 핀웨이퍼(200b)간 체결시, 지지코어(202)에 연결된 슬라이딩튜브(203)가 먼저 핀웨이퍼(200b)의 래치사출구멍(144)에 선(先)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접촉핀(220)은 만일 휘어지더라도 적어도 래치사출구멍(144)에 삽입될 수 없고, 오히려 슬라이딩튜브(203) 또는 단격판(142)에 부딪혀 핀 체결 불량이 아닌 육안 식별 가능한 불완전 결합을 유도할 수 있게 된다(도 5c 참조).
이를 위해서, 슬라이딩튜브(203)의 외경은 컨넥터터미널하우징(100b)의 래치사출구멍(144)에 원활하게 삽입 가능한 직경을 갖는다.
지지코어(202)와 슬라이딩튜브(203)는 접촉핀(220)에 대해 이격되어 평행을 이루게 된다.
슬라이딩튜브(203)는 래치사출구멍(144)으로의 원활한 삽입을 위해 슬라이딩튜브(203)의 끝단 헤드부를 모따기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넥터터미널하우징(100b)과 핀웨이퍼(200b) 체결 전에는 슬라이딩튜브(203)가 최대 스트로크 지점을 기준으로 지지코어(202)에 위치하게 된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넥터터미널하우징(100b)과 핀웨이퍼(200b)가 정상적인 체결을 시작될 때에는 앞쪽으로 더 나와 있던 슬라이딩튜브(203)가 먼저 래치사출구멍(144)으로 삽입된 다음, 접촉핀(220)이 핀구멍(145)으로 삽입된다.
이후, 컨넥터터미널하우징(100b)과 핀웨이퍼(200b)의 정상적인 체결이 진행될 때에는 슬라이딩튜브(203)가 래치사출구멍(144)의 바깥쪽의 탄성래치(130)에 도달하여 정지하는 대신, 지지코어(202)가 핀웨이퍼(200b)와 함께 컨넥터터미널하우징(100b) 쪽으로 이동하여 상기 정지된 슬라이딩튜브(203)의 내경을 따라 미끄러지듯이 삽입됨으로써, 슬라이딩튜브(203)와 지지코어(202)의 전체 길이가 축소된다.
결국, 컨넥터터미널하우징(100b)과 핀웨이퍼(200b)의 정상적인 체결이 완료되었을 때, 접촉핀(220)은 핀구멍(145)을 지나 터미널 콘택트(120)에 전기적으로 접촉되고, 슬라이딩튜브(203)가 지지코어(202)를 감싼 상태로 래치사출구멍(144)에 안치 및 정상 수납된다.
반면,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넥터터미널하우징(100b)과 핀웨이퍼(200b)간 불완전 결합인 경우를 살펴보면, 접촉핀(220)이 휘어진 상태로 래치사 출구멍(144)을 향하더라도, 미리 래치사출구멍(144)에 들어가 있고 지지코어(202)에 연결된 슬라이딩튜브(203)에 부딪히거나 또는 단격판(142)에 지지된다.
이런 경우, 작업자의 체결력에 대항하는 반발력이 컨넥터터미널하우징(100b)과 핀웨이퍼(200b) 내부에서 발생되어 작업자에게 전달됨에 따라, 결국 작업자가 컨넥터터미널하우징(100b) 또는 핀웨이퍼(200b)에게 체결력을 인가하던 것을 중지하게 되어 물리적 결합상 불완전 상태가 되며, 이로서 컨넥터터미널하우징(100b)의 분리탭(190)이 핀웨이퍼(200b)의 걸림턱(290)에 결착되지 않는 것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오히려, 접촉핀(220)은 휘어진 상태더라도 래치사출구멍(144)을 막고 있는 슬라이딩튜브(203)에 의해 핀구멍(145) 쪽으로 삽입되어 정상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 있다.
제4 실시예
제4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핀 체결 불량에 대응한 정지구조를 갖는 전기 컨넥터는, 제1 실시예에서 언급된 기술적 사상과 대등한 수단으로 실현하기 위해서, 슬라이딩판방식의 제4 정지구조용 슬라이딩판을 구비하고 있다.
그럼으로, 도 2 내지 도 6c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도면부호가 부여되거나, 또는 해당 도면부호 옆에 영문을 병기하여 유사한 도면부호가 부여될 것이며, 이것들에 대한 설명은 여기에서 생략될 것이다.
도면에서, 도 6a 내지 도 6c는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판방식 으로서 핀 체결 불량에 대응한 정지구조를 갖는 전기 컨넥터의 결합관계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6a에 보이듯이, 제4 실시예에서는 하우징후방부(110) 상부의 분리탭(190)과 하우징후방부(110) 전방으로 복수개의 하우징전방부(140)를 갖는 컨넥터터미널하우징(100c)과, 컨넥터터미널하우징(100c)에 체결되는 핀웨이퍼(200c)가 각각 제공된다.
각각의 전방부체결구멍(240)의 내부에는 슬라이딩판(204)이 전방부체결구멍(240)의 내표면에 대해 공차를 갖도록 각각 삽입되어 있고, 전방부체결구멍(240) 내에 배치된 각각의 접촉핀(220)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슬라이딩판(204)은 전방부체결구멍(240)에서의 공차와 가이드홈(245)의 형상에 대응하게 형성되어 있되, 가이드홈(245) 내에 삽입 가능한 원형 또는 다각형 판부재인 것이 바람직하며, 접촉핀(220)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체결되는 슬롯(205)을 통해 접촉핀(220)과 체결된다.
특히, 습동시 마찰력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슬라이딩판(204)의 외부 테두리 또는 슬라이딩판(204)의 슬롯(205)의 내경 부위에는 모따기 및 표면 연마가 되어 있거나, 또는 도전성 윤활제(206)가 도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넥터터미널하우징(100c)과 핀웨이퍼(200c) 체결 전에는 슬라이딩판(204)이 접촉핀(220)의 전방 부위에서 배치되어 있어서, 접촉핀(220)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넥터터미널하우징(100c)과 핀웨이퍼(200c)가 정상적인 체결을 할 경우, 슬라이딩판(204)이 하우징전방부(140)에 의해 전방부체결구멍(240)의 내측면 쪽으로 밀리면서 전촉핀(220)이 과도하게 휘거나 핀 중심선(CL)으로부터 과도하게 상 또는 하 방향으로 치우치지 않도록 가이드한다.
컨넥터터미널하우징(100c)과 핀웨이퍼(200c)의 체결시를 기준으로 핀 중심선(CL)은 터미널 콘택트(120)의 중심에 일치되어 있다.
따라서, 접촉핀(220)은 안전하게 핀구멍(145)을 통해 터미널 콘택트(120)에 전기적으로 접촉하게 된다.
반면,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넥터터미널하우징(100c)과 핀웨이퍼(200c)간 불완전 결합인 경우를 살펴보면, 슬라이딩판(204)이 접촉핀(220)의 전방 부위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접촉핀(220)이 휘어질 경우 적어도 접촉핀(220)을 상하 방향으로 구속 및 지지하고, 이로서 접촉핀(220)의 휨 변형량을 억제하면서 접촉핀(220)이 래치사출구멍(144)쪽에 삽입되지 않도록 슬라이딩판(204)이 방해물로서 작용하고, 또한 접촉핀(220)이 과도하게 휘어질 경우에도 슬라이딩판(204)의 배치 각도가 뒤틀어지면서 컨넥터터미널하우징(100c)의 하우징전방부(140)가 핀웨이퍼(200c)의 전방부체결구멍(240)의 안쪽으로 더 진입하지 못하도록 반발력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결국 컨넥터터미널하우징(100c)의 분리탭(190)이 핀웨이퍼(200c)의 걸림턱(290)에 결착되지 않는 결합적으로 불완전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런 확인을 통해서 사전에 컨넥터 불량품을 색출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컨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착돌기방식으로서 핀 체결 불량에 대응한 정지구조를 갖는 전기 컨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도 2에 도시된 전기 컨넥터의 결합관계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장격판돌기방식으로서 핀 체결 불량에 대응한 정지구조를 갖는 전기 컨넥터의 결합관계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텔레스코픽방식으로서 핀 체결 불량에 대응한 정지구조를 갖는 전기 컨넥터의 결합관계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판방식으로서 핀 체결 불량에 대응한 정지구조를 갖는 전기 컨넥터의 결합관계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00, 100a, 100b, 100c : 컨넥터터미널하우징
101 : 장격판 110 : 하우징후방부
111 : 터미널안착구멍 120 : 터미널 콘택트
130 : 탄성래치 140 : 하우징전방부
142 : 단격판 144 : 래치사출구멍
145 : 핀구멍 190 : 분리탭
200, 200a, 200b, 200c : 핀웨이퍼
201 : 고착돌기 202 : 지지코어
203 : 슬라이딩튜브 204 : 슬라이딩판
205 : 슬롯 206 : 도전성 윤활제
210 : 웨이퍼후방부 214 : 웨이퍼전방부
220 : 접촉핀 290 : 걸림턱
240 : 전방부체결구멍 241 : 구멍격벽

Claims (6)

  1. 터미널 콘택트를 각각 삽입시켜 안착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터미널안착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후방부, 상기 하우징후방부의 상부에 형성된 분리탭, 상기 하우징후방부의 전방 위치에서 일체형으로 각각 돌출 형성된 복수개의 하우징전방부를 갖는 컨넥터터미널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전방부를 각각 체결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전방부체결구멍, 상기 전방부체결구멍 내에 배치된 접촉핀을 갖는 핀웨이퍼를; 포함하는 핀 체결 불량에 대응한 정지구조를 갖는 전기 컨넥터에 있어서,
    상기 전방부체결구멍의 내측면에는 외팔보 형식으로서 상기 접촉핀에 대해 이격되어 평행을 이루면서 상기 컨넥터터미널하우징의 래치사출구멍에 삽입 가능한 직경의 고착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 체결 불량에 대응한 정지구조를 갖는 전기 컨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넥터터미널하우징에는,
    상기 하우징전방부 내부에 형성된 래치사출구멍과 핀구멍 사이에 단격판 또는 장격판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 체결 불량에 대응한 정지구조를 갖는 전기 컨넥터.
  3. 터미널 콘택트를 각각 삽입시켜 안착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터미널안착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후방부, 상기 하우징후방부의 상부에 형성된 분리탭, 상기 하우징후방부의 전방 위치에서 일체형으로 각각 돌출 형성된 복수개의 하우징전방부를 갖는 컨넥터터미널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전방부를 각각 체결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전방부체결구멍, 상기 전방부체결구멍 내에 배치된 접촉핀을 갖는 핀웨이퍼를; 포함하는 핀 체결 불량에 대응한 정지구조를 갖는 전기 컨넥터에 있어서,
    상기 전방부체결구멍의 내측면에서 외팔보 형식으로 상기 접촉핀에 대해 이격되어 평행을 이루도록 형성된 지지코어와,
    상기 지지코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튜브 형상으로서 상기 컨넥터터미널하우징의 래치사출구멍에 삽입 가능한 외경을 갖는 슬라이딩튜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 체결 불량에 대응한 정지구조를 갖는 전기 컨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코어의 끝단부 외주면에 링형 체결턱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튜브의 기저부 내주면에는 상기 링형 체결턱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체결되는 링형 체결홈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 체결 불량에 대응한 정지구조를 갖는 전기 컨넥터.
  5. 터미널 콘택트를 각각 삽입시켜 안착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터미널안착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후방부, 상기 하우징후방부의 상부에 형성된 분리탭, 상기 하우징후방부의 전방 위치에서 일체형으로 각각 돌출 형성된 복수개의 하우징전방부를 갖는 컨넥터터미널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전방부를 각각 체결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전방부체결구멍, 상기 전방부체결구멍 내에 배치된 접촉핀을 갖는 핀웨이퍼를; 포함하는 핀 체결 불량에 대응한 정지구조를 갖는 전기 컨넥터에 있어서,
    상기 전방부체결구멍의 내부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상기 접촉핀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슬라이딩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 체결 불량에 대응한 정지구조를 갖는 전기 컨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판의 외부 테두리 또는 슬라이딩판의 슬롯의 내경 부위에는 도전성 윤활제가 더 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 체결 불량에 대응한 정지구조를 갖는 전기 컨넥터.
KR2020090005903U 2009-05-15 2009-05-15 핀 체결 불량에 대응한 정지구조를 갖는 전기 컨넥터 KR2010001145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5903U KR20100011451U (ko) 2009-05-15 2009-05-15 핀 체결 불량에 대응한 정지구조를 갖는 전기 컨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5903U KR20100011451U (ko) 2009-05-15 2009-05-15 핀 체결 불량에 대응한 정지구조를 갖는 전기 컨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1451U true KR20100011451U (ko) 2010-11-24

Family

ID=44204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5903U KR20100011451U (ko) 2009-05-15 2009-05-15 핀 체결 불량에 대응한 정지구조를 갖는 전기 컨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11451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2626B1 (ko) * 2013-04-02 2014-10-22 어광선 회로기판 수직 접속용 커넥터 조립체
KR20190055767A (ko) 2017-11-15 2019-05-23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테이너 적용공간이 확보된 격벽 구조 커넥터, 리테이너 적용공간이 확보된 격벽 구조 커넥터가 적용되는 배터리 팩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2626B1 (ko) * 2013-04-02 2014-10-22 어광선 회로기판 수직 접속용 커넥터 조립체
KR20190055767A (ko) 2017-11-15 2019-05-23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테이너 적용공간이 확보된 격벽 구조 커넥터, 리테이너 적용공간이 확보된 격벽 구조 커넥터가 적용되는 배터리 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94013B2 (en) Connector
JP6882941B2 (ja) 同軸コネクタ組立体
US5458426A (en) Double locking connector with fallout preventing protrusion
JP4876985B2 (ja) コネクタ
TWI435500B (zh) Joint connector and terminal half insert inspection method
KR101916327B1 (ko) 일체형 접지단자를 구비한 매입형 콘센트
EP3326245A1 (en) Terminal fitting
JP4046033B2 (ja) 自動車用電気接続箱におけるバスバーの半嵌合検知構造
US7731519B1 (en) Adaptable universal electrical connector system particularly adapted for use in repair or replace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such as relays, solenoids and the like
US6129574A (en) Connector having a construction for preventing an erroneous assembling of a connector housing and a cover
KR102454220B1 (ko) 커넥터 어셈블리
US20040115996A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terminal position assurance system
US10910752B2 (en) Large current terminal and connector
JP2500721Y2 (ja) 半嵌合防止コネクタ
KR101562810B1 (ko) 평판 케이블 커넥터
KR20100011451U (ko) 핀 체결 불량에 대응한 정지구조를 갖는 전기 컨넥터
JP5312175B2 (ja) コネクタ
EP0657968A1 (en) Lock detection connector
CN108352656B (zh) 连接器装置
JP3043568B2 (ja) コネクタ
JP7009976B2 (ja) 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装置
KR200461550Y1 (ko) 안정적인 핀결합을 위한 와이어 하네스의 컨넥터 하우징
CN106058577B (zh) 连接器组件
US20200321724A1 (en) Connector Device
US10790605B2 (en) Female terminal, and continuity tes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