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0917U - 터치 패널을 사용하는 전자기기의 터치펜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터치 패널을 사용하는 전자기기의 터치펜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0917U
KR20100010917U KR2020090005144U KR20090005144U KR20100010917U KR 20100010917 U KR20100010917 U KR 20100010917U KR 2020090005144 U KR2020090005144 U KR 2020090005144U KR 20090005144 U KR20090005144 U KR 20090005144U KR 20100010917 U KR20100010917 U KR 2010001091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fixing groove
lid
touch
receiv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51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은성인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은성인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은성인벤텍
Priority to KR20200900051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10917U/ko
Publication of KR2010001091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091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ens And Brushes (AREA)

Abstract

터치 패널을 사용하는 전자기기용 터치펜 어셈블리는 후단이 막힌 중공의 실린더형 제1 몸체와, 제1 몸체에 인출입 가능하게 설치되는 샤프트와 샤프트의 후단에 구비되는 피스톤부 및 샤프트의 선단에 구비되는 펜촉부로 구성되고 펜촉부는 외주면에 제1 고정홈이 형성된 제2 몸체와, 제1 몸체의 선단 개방부에 결합되어 샤프트의 인출입 동작을 가이드하며 선단 노출부의 외주면에 제2 고정홈을 갖는 부싱캡, 그리고 펜촉부 보호하기 위한 뚜껑을 포함한다. 여기서, 뚜껑은 선단이 막힌 실린더 형상으로 펜촉부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수용부와, 수용부의 하단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다수의 호형 탄성편으로 구성되며 탄성편의 내측 종단부에는 제1 고정홈에 대응하는 제1 고정돌기가 형성된 제1 파지부, 그리고 제1 파지부와 이중관 구조로 상기 수용부의 하단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실린더 형상을 가지며, 내측 종단부에는 제2 고정홈에 대응하는 제2 고정돌기가 하나 이상 형성된 제2 파지부를 포함하며, 수용부와 제1 및 제2 파지부는 단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뚜껑의 구조를 간략화 하여 부품수 및 조립 요소를 감소시킨다.

Description

터치 패널을 사용하는 전자기기의 터치펜 어셈블리{Touch Pen Assembly in electronic apparatus using touch panel}
본 고안은 터치펜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터치 패널 또는 터치 스크린 등을 사용하는 전자기기에서 정보 입력을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신축형 구조의 터치펜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전자통신기술의 발달로 휴대폰과 DMB 방송 수신기가 융합되고 이러한 영상 및 음성을 융합한 멀티미디어 기술을 소비자들이 요구함에 따라 영상을 보여주기 위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이즈 증가가 요구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휴대장치는 디스플레이와 사용자 입력장치, 예컨대 키패드가 필수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바, 휴대하기 편리한 사이즈를 유지하면서도 디스플레이 화면은 더욱 큰 사이즈를 요구하게 되었다. 결국 키패드가 차지하는 면적을 줄이기 위하여 화면상에서 정보 입력이 가능한 터치패널 기술이 화면기술과 더불어 휴대용 전자기기에서 크게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도 불구하고 그 동안에 터치패널의 입력오류 때문에 상품화가 더디게 진행되어 왔으나 최근에 관련 재료기술의 발달로 터치패널의 입력신뢰도가 향상되면서 특히 휴대폰을 중심으로 터치패널 방식의 입력장치가 급속히 증가되고 있다.
터치패널은 패널 상의 특정 부위를 눌러서 정보를 입력하는 방식으로 일반적으로 선단에 터치용 팁이 구비된 터치펜이 사용되고 있다. 터치펜은 소정 길이로 형성되는데, 휴대 및 보관의 용이성과 사용상의 편의성 등을 위하여 다단 신축 구조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터치펜은 터치용 펜촉부를 포함하는 샤프트 형상의 제1 몸체와, 상기 제1 몸체가 인출입되는 제2 몸체와, 상기 제2 몸체의 선단에 결합되어 제1 몸체의 인출입 동작을 가이드하는 부싱캡 및 상기 부싱캡에 착탈되어 펜촉부를 보호하는 뚜껑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뚜껑의 내부에는 부싱캡 및 펜촉부를 파지하기 위한 파지관이 각각 구비된다. 또한, 파지관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관이 함께 구비될 수 있다.
이처럼, 부싱캡 및 펜촉부를 파지하기 위하여 파지관이 개별적으로 구성됨으로써, 뚜껑의 부품 수가 증가되고 조립 요소가 증가된다. 이로 인해서 제조 원가가 상승되고 제조 수율이 저하되는 요인이 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일 과제는 종래와 동일하게 부싱캡 및 펜촉부의 파지가 가능하면서 구조를 간략화 할 수 있는 터치 패널을 사용하는 전자기기의 터치펜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터치 패널을 사용하는 전자기기의 터치펜 어셈블리는 제1 몸체, 제2 몸체, 부싱캡 및 뚜껑을 포함한다. 제1 몸체는 후단이 막힌 중공의 실린더형 구조를 갖는다. 제2 몸체는 상기 제1 몸체에 인출입 가능하게 설치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후단에 구비되는 피스톤부 및 상기 샤프트의 선단에 구비되는 펜촉부로 구성되고, 상기 펜촉부는 외주면에 제1 고정홈이 형성된다. 부싱캡은 상기 제1 몸체의 선단 개방부에 결합되어 상기 샤프트의 인출입 동작을 가이드하며, 선단 노출부의 외주면에 제2 고정홈을 갖는다. 뚜껑은 펜촉부 보호한다. 여기서, 뚜껑은 수용부, 제1 파지부 및 제2 파지부로 구성된다. 수용부는 선단이 막힌 실린더 형상으로 상기 펜촉부의 수용공간을 형성한다. 제1 파지부는 상기 수용부와 단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의 하단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다수의 호형 탄성편으로 구성되며, 상기 탄성편의 내측 종단부에는 상기 제1 고정홈에 대응하는 제1 고정돌기가 형성된다. 제2 파지부는 상기 수용부와 단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1 파지부와 이중관 구조로 상기 수용부의 하단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실린더 형상을 가지며, 내측 종단부에는 상기 제2 고 정홈에 대응하는 제2 고정돌기가 하나 이상 형성된다.
이 때,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펜 어셈블리에서 상기 제1 걸리돌기는 반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펜 어셈블리에서 상기 부싱캡은 상기 제1 몸체에 억지끼움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펜 어셈블리에서 상기 제1 몸체는 내벽에 길이 방향을 따라서 공기 통로용 요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본 고안에 따른 터치펜 어셈블리에서 뚜껑은 펜촉부를 파지하기 위한 제1 파지부와, 부싱캡을 파지하기 위한 제2 파지부가 단일체로 구성됨으로써, 부품수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조립 요소를 감소시켜 제조 수율을 개선하고, 부품수 절감에 따라서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길이의 조절이 가능하므로 그 길이를 줄여 보관 및 휴대시에 편리성을 확보하고, 그 길이를 늘려 터치펜 사용시의 편리성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제2 몸체가 제1 몸체 내부로 인입 및 인출될 때 제1 몸체 내부의 공기 순환이 가능하므로 제2 몸체의 인입 및 인출이 원활해져 제품의 신뢰성 및 사용 편리성 향상을 확보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을 사용하는 전자기기의 터치펜 어셈블리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고안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 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실시예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펜 어셈블리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터치펜 어셈블리의 개략적인 조립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Ⅰ-Ⅰ′선을 따라서 자른 제1 몸체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하단으로부터 바라본 뚜껑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펜 어셈블리(100)는 제1 몸체(110), 제2 몸체(120), 부싱캡(130) 및 뚜껑(140)을 포함한다. 터치펜 어셈블리(100)는 사용자가 화면을 터치하는 방식으로 원하는 정보를 입력하는 터치 패널 또는 터치 스크린 등을 사용하는 각종 전자기기 등에서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터치펜 어셈블리(100)는 제2 몸체(120)가 제1 몸체(110)의 내부로 인입 및 인출됨으로써 길이가 조절되는 2단 신축 구조를 갖는다.
상기 제1 몸체(110)는 중공의 실린더형으로 후단이 막힌 구조를 갖는다. 제1 몸체(110)는 일체형 구조를 가질 수 있고, 또는 중공의 실린더 형상과 후단 개방부를 막기 위한 캡으로 구성되는 분리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특히, 제1 몸체(110)는 실린더형 구조의 중공 내벽에 공기 통로용 요홈(112)을 갖는다. 요홈(112)은 길이 방향을 따라서 길게 형성된다. 요홈(112)은 제2 몸체(120)의 인입 및 인출 동작 즉, 제2 몸체(120)가 제1 몸체(110)의 내부에서 길이 방향으로 이동될 때 제1 몸체(110) 내부의 공기가 순환되도록 함으로써, 제2 몸체(120)의 자연스러운 슬라이딩을 확보한다. 요홈(112)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개수로 구비할 수 있다. 요홈(112)은 제2 몸체(120)의 슬라이딩 영역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2 몸체(120)가 최대로 인입 됐을 때 제2 몸체(120)의 피스톤부(124) 위치와 같거나 조금 더 깊숙한 위치까지 요홈(112)이 형성되고, 제2 몸체(120)가 최대로 인출됐을 때 제2 몸체(120)의 피스톤부(124) 위치와 같거나 조금 더 바깥쪽까지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제2 몸체(120)의 인입 및 인출 동작하는 전 영역에 대하여 공기의 순환이 일어날 수 있게 됨으로써 자연스러운 슬라이딩을 확보하게 된다.
제1 몸체(110)는 선단으로부터 일정 깊이의 내측면에 끼움홈이 형성된다. 끼움홈은 부싱캡(130)과 체결을 위한 구성이다. 끼움홈은 제1 몸체(110)의 내벽의 둘레를 따라서 하나 이상 형성되고, 안쪽으로 경사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몸체(110)는 외주면에 평면부(112)를 구비할 수 있다. 평면부(112)는 제1 몸체(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형성되고, 두 개의 평면부(112)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제1 몸체(110)는 항시 노출되므로 외주면에는 다양한 문양이나 색깔 등으로 디자인되어 시각적 심미감을 줄 수 있다.
상기 제2 몸체(120)는 제1 몸체(110)의 내부로 인입 및 인출 가능하도록 제1 몸체(110)에 끼워지는 형태로 설치되고, 제1 몸체(110)의 내부에서 길이 방향으로 이동된다. 제2 몸체(120)는 샤프트(122)와, 샤프트(122)의 후단에 구비되는 피스톤부(124) 및 샤프트(122)의 선단에 구비되는 터치용 펜촉부(126)로 구성된다.
상기 샤프트(122)는 실린더형으로 제1 몸체(110)에 인입 및 인출 가능하게 설치된다. 샤프트(122)는 제1 몸체(110)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며, 샤프트(122)와 제1 몸체(110)의 내벽 사이에 간격을 형성하여 샤프트(122)가 제1 몸체(110) 내에서 길이 방향으로 이동(예컨대 인입 또는 인출)될 때 공기가 흐를 수 있는 유로를 형성한다. 상기 피스톤부(124)는 실린더형으로 선단 일부가 샤프트(122)의 후단에 결합된다. 특히 피스톤부(124)는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선단부와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후단부로 구성되어 걸림턱을 갖는 단차진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피스톤부(124)는 억지끼움식, 나사결합식, 본딩 등 다양한 방식으로 샤프트(122)에 체결될 수 있다. 피스톤부(124)는 외주면이 제1 몸체(110)에 내접하게 설치되고, 내접 상태에서 샤프트(122)의 인입 및 인출에 따라 길이 방향으로 이동된다. 피스톤부(124)는 후단부 외주면에 하나 이상의 실링홈(124a)을 갖는다. 이 실링홈(124a)에는 고무링(124b)이 장착되어 피스톤부(124)와 제1 몸체(110)가 서로 마찰되는 것을 막고 피스톤부(124)가 제1 몸체(110) 내부에서 유격 없이 긴밀하게 접촉한 상태로 이동될 수 있게 한다. 또한, 피스톤부(124)의 선단부 외주면에는 걸림환테(124c)를 구비한다. 걸림환테(124c)는 제2 몸체(120)가 최대로 인출됐을 때, 인출 상태를 고정하기 위하여 구성된다. 상기 펜촉부(126)는 원추형으로 후단 일부가 샤프트(122)의 선단에 결합된다. 펜촉부(126)는 억지끼움식, 나사결합식, 본딩 등 다양한 방식으로 샤프트(122)에 체결될 수 있다. 펜촉부(126)는 선단에 그 끝부분이 반구 형태로 돌출된 터치용 팁(126a)을 구비한다. 팁(126a)은 터치 패널 또는 터치 스크린 등의 화면에 직접 접촉하게 된다. 펜촉부(126)는 원추형의 외주면에 제1 고정홈(126b)을 구비한다. 상기에서 샤프트(122)에 피스톤부(124) 및 펜촉부(136)가 결합되는 구조로 설명하였으나, 샤프트(122), 피스톤부(124) 및 펜촉부(126)는 일체형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상기 부싱캡(130)은 실린더형으로, 후단 일부가 제1 몸체(110)의 선단 개방부에 억지끼움식으로 고정 결합된다. 따라서 부싱캡(130)은 후단부의 외주면에 제1 몸체(110)의 끼움홈에 대응하는 끼움돌기(131)를 갖는다. 부싱캡(130)은 중공형으로 중심에 관통공이 형성되며, 제2 몸체(120)는 부싱캡(120)의 관통공을 통해 제1 몸체(110)에 인입 및 인출된다. 즉, 부싱캡(130)은 제2 몸체(120)의 인입 및 인출 동작을 가이드 하게 된다. 도시하진 않았지만 부싱캡(130)의 관통공 내주면에는 제2 몸체(120)의 슬라이딩이 원활하도록 부싱용 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부싱캡(130)의 관통공의 내주면과 샤프트(122)의 외주면은 소정의 간격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부싱캡(130)의 내주면과 샤프트(122)의 외주면은 약 0.1㎜의 간격을 가질 수 있는데, 이는 제2 몸체(120)가 인입 및 인출될 때 제1 몸체(110)의 내부의 공기를 외부와 다소 유통시켜 제2 몸체(120)의 원활한 슬라이딩을 도모하기 위함이다.
부싱캡(130)은 후단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다수개의 호형 탄성편(132)을 구비한다. 각 탄성편(132)은 피스톤부(124)의 파지를 위해 내측 종단부에 걸림환 테(124c)에 대응하는 걸림홈(133)이 구비되고, 각 탄성편(132) 사이에는 슬릿이 형성되어 외력이 가해지면 탄성편(132)은 방사상으로 즉, 길이 방향에 대해서 수직인 방향으로 휘어지고 외력이 제거되면 원래 위치로 복원된다. 탄성편(132)과 제1 몸체(110)의 내벽 사이에는 탄성편(132)이 밀려서 휘어지는 공간이 확보된다. 따라서, 제2 몸체(120)가 제1 몸체(110)로부터 최대로 인출됐을 때, 걸림환테(124c)가 탄성편(132)에 외력을 가해 탄성편(132)이 방사상으로 휘어지고 걸림환테(124c)가 걸림홈(133)에 삽입되면서 탄성편(132)이 원래 위치로 복원되어 피스톤부(124)를 파지 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걸림환테(124c)와 걸림홈(133)의 체결됨으로써, 제2 몸체(120)를 최대로 인출한 상태에서 제1 몸체(110)만 파지하여 사용하여도 제2 몸체(120)가 제1 몸체(110)로 인입되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부싱캡(130)은 제1 몸체(110)에 고정 결합되므로 제2 몸체(120)가 제1 몸체(110)로부터 인출될 때 피스톤부(124)가 걸리면서 완전이탈하지 않도록 스토퍼 역할을 한다.
상기 뚜껑(140)은 제1 몸체(110)의 선단에 체결됨으로써, 펜촉부(126)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뚜껑(140)은 수용부(142)와, 제1 및 제2 파지부(143, 145)로 구성되는데, 상기 수용부(142), 제1 및 제2 파지부(143, 145)는 단일체 구조로 형성된다. 예컨대, 뚜껑(140)은 사출성형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142)는 선단이 막힌 실린더 형상을 가지며, 펜촉부(124)의 수용을 위한 수용공간을 형성한다. 수용부(142)의 선단 밀폐부에는 걸이끈(148)의 체결을 위한 통공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파지부(143, 145)는 수용부(142)의 하단에 일체형 구조로 형성되며, 특히 이중관 구조를 갖는다. 즉, 제1 파지부(143)가 제2 파지부(145)의 내측에 동축을 갖도록 배치된 구조를 갖는다. 또한, 뚜껑(140)의 외부 형태를 고르게 하기 위하여 수용부(142)의 외경 형상은 제2 파지부(145)의 외경 형상은 동일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파지부(143)는 펜촉부(126)를 파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제1 파지부(143)는 수용부(142)의 하단에 구비되며, 수용부(142)의 하단으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다수의 호형 탄성편으로 구성된다. 다수의 호형 탄성편은 원형 형태로 배치되며, 탄성편들 사이에는 슬릿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1 파지부(143)는 방사상으로 신축 가능한 구조를 가지며, 호형 탄성편의 내측 종단부에는 펜촉부(126)의 제1 고정홈(126b)에 대응하는 제1 걸림돌기(144)를 구비한다. 따라서, 펜촉부(126)가 삽입됨에 따라 제1 파지부(143)의 호형 탄성편에는 외력이 가해져 방사상으로 휘어지고, 제1 고정홈(126b)과 제1 걸림돌기(144)가 대응하는 위치가 되면 외력이 사라져 원래 상태로 복귀되면서, 펜촉부(126)를 파지하게 된다. 이를 위해, 호형 탄성편의 외주면과 제2 파지부(145)의 내벽 사이에는 탄성편이 휘어지기 위한 공간이 확보된다.
상기 제2 파지부(145)는 제1 파지부(143)를 수용하는 구조를 갖는다. 즉, 제2 파지부(145)는 제1 파지부(143)와 동축을 갖도록 구성되며, 제1 파지부(143)의 탄성편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제2 파지부(145)는 수용부(142)의 하단으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데, 중공의 실린더 형상을 갖는다. 제2 파지부(145)는 제1 파지부(143)보다 상대적으로 매우 긴 길이로 형성된다. 제2 파지부(145)가 제1 파지부(143)보다 긴 길이로 형성되는 것은, 부싱캡(130)과 펜촉부(126)의 위치 차이 때문이다. 제2 파지부(145)의 내측 종단부에는 부싱캡(130)을 파지하기 위하여, 제2 고정홈(134)에 대응하는 제2 걸림돌기(146)를 구비된다. 여기서, 제2 걸림돌기(146)는 실린더 형상의 내주면을 따라서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걸림돌기(146)는 반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달리, 제2 걸림돌기(146)는 호형 돌기로 형성될 수 있고, 환형 돌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터치펜 어셈블리(100)에서 뚜껑(140)은 펜촉부(126) 및 부싱캡(130)의 파지를 위한 제1 및 제2 파지부(143, 145)를 포함하는 일체형 구조를 가짐으로써, 파지에 필요한 별도의 파지관을 생략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뚜껑(140)의 구조를 간략화 하면서도, 펜촉부(126) 및 부싱캡(130)의 파지가 가능하므로, 부품수 감소 및 조립 요소를 감소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원가 절감 및 제조 수율 향상이 가능하게 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터치펜 어셈블리의 신축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터치펜 어셈블리(100)는 보관이나 휴대시에 뚜껑(140)으로 펜촉부(126)를 커버하여 보호된 상태로 이용된다. 예컨대, 제2 몸체(120)는 제1 몸체(110)에 최대로 인입된 상태에서 뚜껑(140)의 제1 및 제2 파지부(143, 145)가 각각 펜촉부(126) 및 부싱캡(130)에 파지한 상태에서 휴대 및 보관한다.
이 상태에서 뚜껑(140)을 잡아 빼게 되면, 고정되어 있는 부싱캡(130)은 제2 파지부(145)로부터 분리되지만, 고정되지 않은 제2 몸체(120)는 펜촉부(126)가 제1 파지부(143)에 파지된 상태로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제2 몸체(120)는 뚜껑(140)을 따라서 제1 몸체(110)로부터 인출된다. 이처럼, 제2 몸체(120)는 뚜껑(140)을 따라 인출되다가 피스톤부(124)가 부싱캡(130)에 의해 저지되면서 펜촉부(126)가 뚜껑(140)으로부터 분리된다. 이 순간에 피스톤부(124)의 걸림환테(124c)는 부싱캡(130)의 탄성편(130a)에 외력을 가해 탄성편(130a)을 방사상으로 밀어올리고 탄성편(130a)의 걸림홈(130b)에 수용되면서 외력이 사라져 탄성편(130a)은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이를 통해서 제2 몸체(120)는 최대로 인출된 상태에서 소정의 힘으로 고정된다. 결과적으로, 뚜껑(140)을 분리하는 한 동작에 의해 제2 몸체(120)는 최대로 인출된 상태에서 소정의 힘으로 고정되게 되므로 사용자가 바로 사용할 수 있는 편리성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신축 동작에서 제1 몸체(110)의 후단부 내측 공간은 제2 몸체(120)의 인입 또는 인출에 따라서 압축 반발력 또는 진공 흡입력이 형성되어 제2 몸체(120)의 인입 및 인출동작을 방해하는 요인이 된다. 하지만 본 고안에 따르면 제1 몸체(110)의 내벽에 형성된 공기 통로용 요홈(12)을 통해 공기가 유통됨으로써 제2 몸체(120)의 원활한 인출입 동작이 확보된다.
상술한 본 고안에 따른 터치펜 어셈블리는 터치 패널 또는 터치 스크린을 채용하는 전자기기에서 화면에 직접 접촉하여 정보 또는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 수단으로 널리 사용될 수 있다. 특히, 길이 조절이 가능한 신축 구조를 가지면서 신축 동작시에 내부의 공기 순환을 통해 원활한 신축 동작 기능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터치폰, 스마트폰, DMB 수신기, 네비게이션, PMP, 노트북 등과 같은 터치 패널 또는 터치 스크린을 채용하고, 휴대성 및 사용상의 편리성이 요구되는 휴대형 전자기기의 터치펜으로 널리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펜 어셈블리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터치펜 어셈블리의 개략적인 조립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Ⅰ-Ⅰ′선을 따라서 자른 제1 몸체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하단으로부터 바라본 뚜껑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터치펜 어셈블리의 신축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Claims (4)

  1. 후단이 막힌 중공의 실린더형 제1 몸체;
    상기 제1 몸체에 인출입 가능하게 설치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후단에 구비되는 피스톤부 및 상기 샤프트의 선단에 구비되는 펜촉부로 구성되고, 상기 펜촉부는 외주면에 제1 고정홈이 형성된 제2 몸체;
    상기 제1 몸체의 선단 개방부에 결합되어 상기 샤프트의 인출입 동작을 가이드하며, 선단 노출부의 외주면에 제2 고정홈을 갖는 부싱캡; 및
    상기 펜촉부 보호하기 위한 뚜껑을 포함하며,
    상기 뚜껑은
    선단이 막힌 실린더 형상으로 상기 펜촉부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와 단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의 하단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다수의 호형 탄성편으로 구성되며, 상기 탄성편의 내측 종단부에는 상기 제1 고정홈에 대응하는 제1 고정돌기가 형성된 제1 파지부; 및
    상기 수용부와 단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1 파지부와 이중관 구조로 상기 수용부의 하단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실린더 형상을 가지며, 내측 종단부에는 상기 제2 고정홈에 대응하는 제2 고정돌기가 하나 이상 형성된 제2 파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을 사용하는 전자기기의 터치펜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걸리돌기는 반구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을 사용하는 전자기기의 터치펜 어셈블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싱캡은 상기 제1 몸체에 억지끼움식으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을 사용하는 전자기기의 터치펜 어셈블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는 내벽에 길이 방향을 따라서 공기 통로용 요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을 사용하는 전자기기의 터치펜 어셈블리.
KR2020090005144U 2009-04-28 2009-04-28 터치 패널을 사용하는 전자기기의 터치펜 어셈블리 KR2010001091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5144U KR20100010917U (ko) 2009-04-28 2009-04-28 터치 패널을 사용하는 전자기기의 터치펜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5144U KR20100010917U (ko) 2009-04-28 2009-04-28 터치 패널을 사용하는 전자기기의 터치펜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0917U true KR20100010917U (ko) 2010-11-05

Family

ID=44203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5144U KR20100010917U (ko) 2009-04-28 2009-04-28 터치 패널을 사용하는 전자기기의 터치펜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10917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0983B1 (ko) * 2012-02-22 2013-02-07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샤프펜형 터치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0983B1 (ko) * 2012-02-22 2013-02-07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샤프펜형 터치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4488B1 (ko) 케이블 수납이 가능한 휴대폰 케이스
EP2693308B1 (en) Stylus pen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US8493368B2 (en) Stylus fixing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8358291B2 (en) Stylus
US20190379153A1 (en) Waterproof mechanism, card connector, and metal housing
CN107919070A (zh) 显示设备
KR200446570Y1 (ko) 스타일러스펜
US20110096039A1 (en) Touch stylus for electronic device
JP2011108217A (ja) 入力ペン
JP2011192258A (ja) 多段式入力ペン
KR102272337B1 (ko) 전자 장치 및 커버가 결합된 전자 장치
JP2011165168A (ja) 入力ペン
KR20100010855U (ko) 터치 패널을 사용하는 전자기기의 터치펜 어셈블리
JP2013093002A (ja) カバーケースおよびカバーケースセット
JP2011127755A (ja) 入力ペン
KR20100010917U (ko) 터치 패널을 사용하는 전자기기의 터치펜 어셈블리
US8445794B2 (en) Stylus
JP2011204215A (ja) 入力ペン
JP2011204222A (ja) タッチペン
JP5357104B2 (ja) 電子ペン
JP2011204221A (ja) タッチペン
JP5577265B2 (ja) タッチペン
KR20100013070U (ko) 터치 패널을 사용하는 전자기기의 터치펜 어셈블리
KR200451422Y1 (ko) 스타일러스펜
WO2011021817A2 (ko) 휴대, 보관 및 사용이 편리한 휴대폰 일체형의 화면 확대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