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1422Y1 - 스타일러스펜 - Google Patents

스타일러스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1422Y1
KR200451422Y1 KR2020090011152U KR20090011152U KR200451422Y1 KR 200451422 Y1 KR200451422 Y1 KR 200451422Y1 KR 2020090011152 U KR2020090011152 U KR 2020090011152U KR 20090011152 U KR20090011152 U KR 20090011152U KR 200451422 Y1 KR200451422 Y1 KR 2004514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n
holder
rear end
rod
t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11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민우
Original Assignee
(주)트라이위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트라이위쉬 filed Critical (주)트라이위쉬
Priority to KR20200900111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142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14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142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15/00Assembling, finishing, or repairing p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8/00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 B43K8/22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with electrically or magnetically activated writing-p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스타일러스펜은 제1 펜대부, 제2 펜대부, 부싱캡 및 뚜껑으로 구성되며, 제1 펜대부는 후단이 막혀있는 실린더형을 가지며 실린더형의 후단 내부에 제1 홀더를 구비하고 제1 홀더는 제1 돌출단이 형성된 다수의 탄성편들을 가지며, 제2 펜대부는 제1 펜대부에 인출입되는 로드와, 로드의 선단에 결합되고 로드 외부로 노출되는 외주면에 제1 요입단이 형성된 터치용 팁부와 로드의 후단에 결합되고 제1 펜대부에 수용되어 왕복 운동하는 피스톤으로 구성되며, 부싱캡은 제1 펜대부의 선단 개방부에 결합되고 중앙에 로드가 관통되는 통공을 구비하고 통공의 후단부는 단차 형성되고 통공의 후단부 내주면에 걸림테를 구비하며, 뚜껑은 팁부에 착탈되어 제1 펜대부의 선단에 체결되고 팁부를 수용하여 보호한다. 여기서, 피스톤은 단일체로 형성된 몸체, 홀딩부, 결합봉 및 2개의 걸림편으로 구성되며, 몸체는 외주면에 고무링이 끼워지는 하나 이상의 실링홈을 구비하여 제1 펜대부에 내접하며, 홀딩부는 몸체의 후단에 단차 형성되고 외주면에 제1 돌출단에 대응하는 제2 요입단을 구비하여 제1 홀더에 착탈되며, 결합봉은 상기 몸체의 중앙 선단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선단 일부가 로드의 후단에 삽입 결합되며, 2개의 걸림편은 상기 결합봉 양측에 간격을 두면서 몸체의 선단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외측면에 부싱캡의 걸림테에 대응하는 걸림홈을 구비하여 통공의 후단에 탄력적으로 파지 된다. 따라서, 부싱캡 및 뚜껑의 구조를 단순화하여 제조 공정을 간소화하고 제조 원가를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스타일러스펜{Stylus pen}
본 고안은 스타일러스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를 단순화하여 제조가 용이하고 제조 원가를 줄일 수 있으며 사용이 편리한 스타일러스펜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전자통신기술의 발달로 휴대폰과 DMB 방송 수신기가 융합되고 이러한 영상 및 음성을 융합한 멀티미디어 기술을 소비자들이 요구함에 따라 영상을 보여주기 위한 액정 디스플레이의 사이즈 증가가 요구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휴대장치는 디스플레이와 사용자 입력장치 즉 키패드가 필수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바 휴대하기 편리한 사이즈를 유지하면서도 디스플레이 화면은 더욱 큰 사이즈를 요구하게 되었다. 그러므로 결국 키패드가 차지하는 면적을 줄이기 위하여 키패드를 최소화시키고 화면상에서 키입력이 가능한 터치패널기술이 화면기술과 더불어 휴대용 전자기기에서는 크게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도 불구하고 그동안에 터치패널의 입력오류 때문에 상품화가 더디게 진행되어 왔으나 최근에 관련 재료기술의 발달로 터치패널의 입력신뢰도가 향상되면서 특히 휴대폰을 중심으로 터치패널방식의 입력장치가 급속히 증가되고 있다.
여기서 터치 패널 방식의 입력장치에서 정보를 입력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이 스타일러스펜(stylus pen)이다. 스타일러스펜은 통상 필기구 형상으로 형성되며, 선단 끝에 터치 패널에 터치하기 위한 팁이 형성된다. 최근에는 휴대성과 사용상 용이성을 함께 확보하기 위하여 길이가 신축되는 다단 구조의 스타일러스펜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스타일러스펜은 실린더 형상의 제1 팬대부와, 상기 제1 팬대부에 인출입되면서 선단에 터치용 팁부가 형성된 제2 펜대부와, 상기 제1 펜대부 선단에 결합되는 부싱캡 및 상기 부싱캡의 선단에 착탈되어 팁부를 보호하는 뚜껑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스타일러스펜에 관한 선행기술로 한국공개특허 2009-0003799호에서는 공기가 흐르기 위한 공기 통로를 지시막대의 중앙에 형성하고 하캡 없이 몸체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제조 및 조립 공정을 단순화시키고 이를 통해 제조 원가와 공정수를 줄일 수 있는 스타일러스펜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등록실용 408053호에는 뚜껑의 착탈이 원터치로 간편하게 이루어지며 잠금 고정이 2단계로 되어 스타일러스펜의 분실을 방지하는 안전성이 확보되고, 뚜껑을 분리하는 동시에 피스톤의 로드가 사용상태로 인출되어 사용이 편리하며 사용자가 뚜껑만 잡고 터치하여도 본체가 실린더 내로 밀려들어가는 것이 방지되어 사용감이 향상되도록 하는 원터치 개폐 스타일러스펜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스타일러스펜은 부싱캡은 뚜껑과 착탈하기 위하여 요입단을 필요로 하게 되므로 부싱캡의 형상에 제한이 따르게 되어 제조 공정이 용이하 지 못한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뚜껑에서 부싱캡 및 팁부의 착탈이 이루어짐으로써, 뚜껑 내부를 이를 위한 2개의 홀더를 구비하여야 하므로 구조가 복잡하고 부품 수 및 조립 공정수가 증가하게 되며, 이로 인해 제조가 용이하지 못하여 제조 원가를 증가시키는 문제점을 갖는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일 과제는 부싱캡 및 뚜껑을 구성을 단순화시켜 제조 공정을 간소화하고 제조 원가를 줄일 수 있으면서 종래와 같이 2단계 잠금 고정이 가능한 스타일러스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스타일러스펜은 제1 펜대부, 제2 펜대부, 부싱캡 및 뚜껑을 포함한다. 상기 제1 펜대부는 후단이 막혀있는 실린더형을 가지며, 상기 실린더형의 후단 내부에 제1 홀더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홀더는 제1 돌출단이 형성된 다수의 탄성편들을 갖는다. 상기 제2 펜대부는 상기 제1 펜대부에 인출입되는 로드와, 상기 로드의 선단에 결합되고 상기 로드 외부로 노출되는 외주면에 제1 요입단이 형성된 터치용 팁부와, 상기 로드의 후단에 결합되고 상기 제1 펜대부에 수용되어 왕복 운동하는 피스톤으로 구성된다. 상기 부싱캡은 상기 제1 펜대부의 선단 개방부에 결합되고 중앙에 상기 로드가 관통되는 통공을 구비하며, 상기 통공의 후단부는 단차 형성되고 상기 통공의 후단부 내주면에 걸림테가 형성된다. 상기 뚜껑은 상기 팁부에 착탈되어 상기 제1 펜대부의 선단에 체결되고, 상기 팁부를 수용하여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피스톤은 단일체로 형성된 몸체, 홀딩부, 결합봉 및 2개의 걸림편으로 구성되며, 상기 몸체는 외주면에 고무링이 끼워지는 하나 이상의 실링홈을 구비하여 상기 제1 펜대부에 내접하며, 상기 홀딩부는 상기 몸체의 후단에 단차 형성되고 외주면에 상기 제1 돌출단에 대응하는 제2 요입단을 구비하여 상기 제1 홀더에 착탈되며, 상기 결합봉은 상기 몸체의 중앙 선단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선단 일부가 상기 로드의 후단에 삽입 결합되며, 상기 2개의 걸림편은 상기 결합봉 양측에 간격을 두면서 상기 몸체의 선단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외측면에 상기 부싱캡의 걸림테에 대응하는 걸림홈을 구비하여 상기 통공의 후단에 탄력적으로 파지 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 때,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펜에서 상기 제1 홀더는 2개의 판형 탄성편을 갖고 상기 2개의 판형 탄성편 후단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U’자형 단일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펜에서 상기 제1 펜대부는 후단 밀폐부의 내벽에 상기 제1 홀더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홀더는 상기 고정돌기에 대응하는 관통홀을 구비하고, 상기 관통홀을 이용 상기 고정돌기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고정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펜에서 상기 제1 펜대부는 후단 밀폐부의 내벽에 상기 제1 홀더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홀더는 상기 고정돌기에 대응하는 관통홀을 구비하며, 상기 제1 홀더는 상기 관통홀을 이용 상기 고정돌기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고정돌기의 종단부를 열 변형시켜 고정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펜에서 상기 제1 펜대부는 후단 밀폐부의 내벽에 상기 제1 홀더를 고정하기 위하여 암나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홀더는 상기 암나사부에 대응하여 관통홀을 구비하며, 상기 제1 홀더는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암나사부에 체결되는 고정나사에 의해 고정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펜에서 상기 제1 펜대부는 후단부 내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홀더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제1 홀더가 선단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테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펜대부는 길이 방향으로 2분리되는 조립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펜에서 상기 제1 펜대부 및 상기 뚜껑은 각각 외측을 감싸는 고무 재질의 커버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펜에서 상기 피스톤은 상기 몸체의 선단부로부터 홀딩부의 후단부까지 형성된 하나 이상의 공기통로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통로는 상기 결합봉과 상기 2개의 걸림편 사이의 영역에 형성된 개구를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펜에서 상기 뚜껑은 선단이 막혀있는 실린더형을 가지며, 상기 실린더형의 내부에 상기 팁부를 착탈하기 위한 제2 홀더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홀더는 상기 팁부의 제1 요입단에 대응하는 제2 돌출단이 형성된 다수의 호형 탄성편들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뚜껑은 실린더형의 내부에 상기 제1 홀더의 이탈 방지를 위한 고정관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처럼 본 고안에 따른 스타일러스펜은 피스톤의 후단부가 제1 펜대부의 내부에 구비된 제1 홀더에 착탈되고 뚜껑은 팁부에 착탈되도록 구성되어 뚜껑이 제1 펜대부의 선단에 체결되는 구성으로써, 뚜껑의 분리와 동시에 제2 펜대부가 신축되는 구조를 가지면서 부싱캡 및 뚜껑의 구조를 단순화하여 제조 공정이 용이해진다.
또한, 부싱캡과 뚜껑 사이의 착탈 기능이 생략되어 부싱캡에 뚜껑과의 체결을 위한 요입단을 형성하지 않아도 되므로 부싱캡의 제조가 용이해진다.
또한, 피스톤에 공기통로가 형성됨으로써 제2 펜대부가 인입 및 인출 동작할 때 제1 펜대부 내부의 공기가 피스톤의 전후로 원활하게 소통하게 되므로 원활한 신축동작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1 펜대부 및 제2 펜대부의 외측에는 고무 재질의 커버부재를 구비하여 스타일러스펜을 전자기기에 매달아 휴대할 때, 예를 들어 휴대폰에 연결하여 휴대하는 경우 스타일러스펜에 의해 휴대폰에 스크래치 등의 손상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스타일러스펜의 사용시에 사용자는 향상된 촉감을 가질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 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고안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 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펜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타일러스펜의 개략적인 조립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피스톤의 개략적인 수직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뚜껑에 포함된 고정관의 개략적인 수직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펜(100)은 제1 펜대부(110), 제2 펜대부(120), 부싱캡(130) 및 뚜껑(140)을 포함한다. 상기 스타일러스펜(100)은 화면을 직접 눌러 화면상에서 원하는 정보를 입력하는 터치 패널 또는 터치 스크린 등을 사용하는 각종 전자기기 등에서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스타일러스펜(100)은 제1 펜대부(110) 내부로 제2 펜대부(120)가 인입 및 인출됨으로써 전체 길이가 조절되는 신축 구조를 갖는다.
상기 제1 펜대부(110)는 중공의 실린더형으로 후단은 막혀있고 선단은 개방된 구조를 갖는다. 제1 펜대부(110)는 단일몸체로 형성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또는 제1 펜대부(110)는 양단이 개방된 중공의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후단 개방부를 밀폐하기 위한 캡 부재로 구성되는 조립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 펜대부(110)는 선단으로부터 일정 깊이의 내측면에 요홈(111)을 구비한다. 요홈(111)은 제1 펜대부(110)에 상기 부싱캡(130)을 결합하기 위하여 구비된다. 요홈(111)은 제1 팬대부(110)의 내주면을 따라서 링 형태로 형성되고, 하나 이상 형성된다.
상기 제1 펜대부(110)의 외형은 곡선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펜대부(110)는 중간을 기점으로 후방으로 갈수록 외경이 점차 감소하고 후단은 반구 형상을 가지며, 중간을 기점으로 전방으로 갈수록 외경이 점차 감소하다 다시 증가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중간 기점에는 외경이 동일한 구간을 가질 수 있다. 제1 펜대부(110)의 외형은 언급한 구조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외형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펜대부(110)는 외측을 감싸는 커버부재(110a)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110a)는 스타일러스펜(100)을 휴대할 때 스타일러스펜(100)에 의해 전자기기(예컨대 휴대폰, 모바일 기기)에 스크래치 등의 손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커버부재(110a)는 미끌림 방지 및 촉감을 향상시키는 역할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커버부재(110a)는 부드러운 재질을 갖고 탄성을 갖는 예를 들어 고무 재질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고무 재질의 예로는 우레탄을 들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110a)는 다양한 재질을 가질 수 있으며, 소정의 완충 및 촉감 향상의 효과를 가질 수 있으면 충분하다. 한편, 제1 펜대부(110)는 항시 외부로 노출되므로 그 외주면 혹은 커버부재(110a)의 외주면에 다양한 문양이나 색깔 등으로 디자인되어 시각적 심미감을 줄 수 있다.
상기 제1 펜대부(110)의 후단 내부에는 제1 홀더(112)가 구비된다. 상기 제1 홀더(112)는 제2 펜대부(120)가 제1 펜대부(110)에 최대로 인입 됐을 때 제2 펜대부(120)를 파지 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제1 홀더(112)는 이하에서 설명하게 될 제2 펜대부(120)의 피스톤(123)을 착탈한다. 제1 홀더(112)는 상기 피스톤(123)을 착탈하기 위하여 다수의 탄성편(112a)을 가지며, 상기 탄성편(112a)은 내측면에 제1 돌출단(112b)을 구비한다. 예를 들어, 제1 홀더(112)는 2개의 판형 탄성편(112a)을 갖고, 2개의 판형 탄성편(112a)은 후단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 ‘U’자형의 단일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와 달리, 제1 홀더(112)는 다수의 탄성편(112a)들을 갖는 링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 제1 홀더(112)는 제1 펜대부(110)의 내부에 고정하기 위하여 제1 펜대부(110)의 내부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홀더(112)를 제1 펜대부(110) 내부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설치할 경우 제1 홀더(112)가 이탈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제1 홀더(112)를 보다 견고히 고정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하,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제1 홀더(112)의 고정 구조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제1 홀더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방식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1 펜대부(110)는 제1 홀더(112)를 고정하기 위하여, 후단을 밀폐하고 있는 내벽에 고정돌기(114)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고정돌기(114)는 내벽으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한다. 예를 들어, 고정돌기(114)는 걸림턱 기능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고정돌기(114)는 선단부가 상대적으로 볼록한 구조(예컨대, 후단부보다 선단부의 외경이 상대적으로 큰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홀더(112)는 고정을 위해 제1 펜대부(110)의 고정돌기(114)에 대응하는 관통홀(112c)을 구비한다. 이때, 관통홀(112c)의 내경은 고정돌기(114)의 선 단부 외경보다는 작은 직경을 가지며, 고정돌기(114)의 후단부 외경에 대응하는 직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홀더(112)는 관통홀(112c)을 이용하여 상기 제1 홀더(112)를 고정돌기(114)에 억지끼움 하여 고정한다. 관통홀(112c)은 고정돌기(114)의 선단부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므로, 억지끼움 이후에는 이탈되는 것을 예방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고정돌기(114)는 선단부가 후단부보다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구조를 가짐으로써, 제1 홀더(112)를 억지끼움 방식으로 고정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이와 달리, 제1 펜대부(110)의 후단 밀폐부 내벽에 직경이 균일한 고정돌기(114)를 구비하고, 제1 홀더(112)에 고정돌기(114)에 대응하는 관통홀(112c)을 구비하여 제1 홀더(112)를 고정돌기(114)에 설치한다. 이처럼, 관통홀(112c)을 통해 제1 홀더(112)가 고정돌기(114)에 끼워진 상태에서 고정돌기(114)의 종단부(선단부)를 열 변형시켜 고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직경이 균일하던 고정돌기(114)는 열 변형으로 종단부의 직경이 증가된 효과를 갖게 되므로, 앞서 설명한 억지끼움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1 홀더(112)가 이탈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제1 홀더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방식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1 펜대부(110)는 제1 홀더(112)를 고정하기 위하 여, 후단을 밀폐하고 있는 내벽에 암나사부(115)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암나사부(115)는 내벽으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돌기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암나사부(115)는 내부에 나사결합을 위한 나사산을 갖는다.
상기 제1 홀더(112)는 고정을 위해 제1 펜대부(110)의 암나사부(115)에 대응하는 관통홀부(112d)를 구비한다. 일 예로, 상기 관통홀부(112d)는 돌기 형태의 암나사부(115)의 외주면을 따라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관통홀부(112d)는 암나사부(115)의 연장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갖거나, 암나사부(115)보다 약간 긴 연장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통홀부(112d)의 연장 길이가 암나사부(115)보다 짧은 경우 제1 홀더(112)가 유동하여 바람직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제1 펜대부(110)는 제1 홀더(112)를 고정하기 위하여 암나사부(115)에 나사 결합되는 고정나사(116)를 구비한다. 고정나사(116)는 암나사부(115)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나사 머리가 제1 홀더(112)의 관통홀부(112d)를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구조를 갖는다.
도 7a는 도 1에 도시된 제1 홀더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방식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7b는 도 7a에 도시된 제1 펜대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상기 제1 펜대부(110)는 제1 홀더(112)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테(118)를 구비할 수 있다. 고정테(118)는 제1 펜대부(110)의 후단부 내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테(118)는 제1 펜대부(110)의 후단으 로부터 제1 홀더(112)의 설치 공간에 대응하는 간격만큼 떨어진 위치에 형성되며, 제1 펜대부(110)의 내주면을 따라서 형성된다. 고정테(118)는 스토퍼로써 제1 홀더(112)가 선단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에 의해 제1 홀더(112)를 고정하게 된다.
또한, 고정테(118)를 갖는 제1 펜대부(110)는 조립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 펜대부(110)는 길이 방향으로 2분리되는 구조로, 2개의 부분품이 서로 대칭 결합되어 실린더형이 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2개의 부분품 내부에 형성된 부분 고정테(118)는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구비된다.
이처럼, 제1 펜대부(110)를 조립체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제1 펜대부(110)의 제조상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제1 펜대부(110)의 조립과정에서 제1 홀더(112)를 함께 조립할 수도 있게 되므로, 공정 수가 감소되는 효과를 함께 얻을 수 있다.
다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2 펜대부(120)는 제1 펜대부(110)의 선단 개방부를 통해서 제1 팬대부(110) 내부로 인입 및 인출되도록 설치된다. 제2 펜대부(120)는 로드(121), 로드(121)의 선단에 결합되는 팁부(122) 및 로드(121)의 후단에 결합되는 피스톤(123)으로 구성된다.
상기 로드(121)는 양단이 개방된 중공의 실린더형으로, 제1 펜대부(110)의 선단으로 인입 및 인출된다. 일반적으로 로드(121)는 제1 펜대부(110)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다. 따라서 로드(121)의 외측면과 제1 펜대부(110)의 내벽은 간격을 갖고 이격되며, 이러한 이격공간은 로드(121)가 제1 펜대부(110)의 내부에서 길이 방향으로 이동(예컨대 인입 및 인출)될 때 내부의 공기가 흐를 수 있는 통로 역할을 한다. 로드(121)의 선단에는 팁부(122)를 결합하기 위한 제1 체결단(121a)이 구비되고, 로드(121)의 후단에는 피스톤(123)을 결합하기 위한 제2 체결단(121b)이 구비된다. 제1 및 제2 체결단(121a, 121b)은 로드(121)의 외주면을 따라서 링 형태로 요입 형성된다. 즉, 제1 및 제2 체결단(121a, 121b)은 내외측에서 직경이 감소된 요철 형태로 형성된다. 이와 달리, 제1 및 제2 체결단(121a, 121b)은 로드(121)의 내측면에 환테(돌기)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팁부(122)는 선단에 팁(122a)을 구비하며, 팁(121a)은 터치 패널 또는 터치 스크린 등의 화면에 직접 접촉하는 부위가 된다. 따라서, 팁(122a)은 그 끝부분이 터치 패널 또는 터치 스크린 등에 손상을 가하지 않도록 반구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팁부(122)는 후단부 일부가 로드(121)의 선단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이를 위해 팁부(122)는 후단부 외주면에 로드(121)의 제1 체결단(121a)에 대응하는 제1 체결홈(122c)을 구비한다. 또한, 팁부(122)는 선단부가 로드(121)로부터 노출되도록 단차 형성되며, 로드(121)로부터 노출되는 선단부는 원추형상을 가질 수 있고, 팁(122a)은 원추형상의 선단에 형성된다. 팁부(122)는 로드(121)로부터 노출되는 원추형상의 선단부에 외주면을 따라서 형성된 제1 요입단(122b)을 구비하며, 상기 제1 요입단(122b)은 뚜껑(140)에 착탈되기 위하여 구비된다. 이러한 팁부(122)는 단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팁(122a)과 팁(122a)을 수용하면서 로드(121)에 결합되는 프레임(미도시)으로 이루어진 조립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상기 피스톤(123)은 로드(121)의 후단에 결합되고, 제1 펜대부(110) 내부에 수용되어 로드(121)의 인입 및 인출 동작에 따라서 제1 펜대부(110) 내부에서 왕복 운동한다. 피스톤(123)은 몸체(124), 홀딩부(125), 결합봉(126) 및 2개의 걸림편(127)으로 구성된다. 특히, 피스톤(123)은 몸체(124), 홀딩부(125), 결합봉(126) 및 2개의 걸림편(127)이 단일체로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몸체(124)는 제1 펜대부(110)의 내부 형상에 대응하는 외관을 갖는다. 예를 들어 제1 펜대부(110)가 원통형의 중공을 가짐에 따라 몸체(124)는 원통형 외관을 갖는다. 몸체(124)는 제1 펜대부(110)에 내접한다. 몸체(124)는 외주면에 하나 이상의 실링홈(124a)을 구비하며, 이 실링홈(124a)에는 고무링(124b)이 끼워져 몸체(124)와 제1 펜대부(110)의 내벽이 서로 마찰되는 것을 막고 몸체(124)가 제1 펜대부(110) 내부에서 유격 없이 긴밀하게 접촉한 상태로 왕복 이동될 수 있게 한다.
상기 홀딩부(125)는 몸체(124)의 후단에 단차 형성된다. 홀딩부(125)는 제2 펜대부(120)가 제1 펜대부(110)에 최대로 인입될 때, 즉 피스톤(123)이 후방으로 최대로 이동했을 때 제1 홀더(112)와 착탈한다. 이를 위해, 홀딩부(125)는 그 외주면에 제1 홀더(112)의 제1 돌출단(112b)에 대응하는 제2 요입단(125a)을 구비한다.
상기 결합봉(126)은 몸체(124)의 선단 중앙으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결합봉(126)은 선단 일부가 로드(121)의 후단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즉, 피스톤(123)은 결합봉(126)을 통해 로드(121)와 결합된다. 따라서 결합봉(126)은 로드(121)에 삽입되는 선단부 외주면에 로드(121)와 결합을 위한 수단으로써 로드(121)의 제2 체결단(121b)에 대응하는 제2 체결홈(126a)이 구비한다. 또한, 결합봉(126)의 후단부에는 걸림턱(126b)이 구비된다. 걸림턱(126b)은 결합봉(126)의 외주면 양측에 서로 마주하여 한 쌍이 돌출 형성된다. 즉, 걸림턱(126b)은 결합봉(126)의 외주면에 180°간격으로 한 쌍이 구비된다. 걸림턱(126b)은 결합봉(126)이 로드(121)에 삽입될 때 일정 깊이 이상 삽입되지 않도록 하는 스토퍼 역할을 한다.
상기 2개의 걸림편(127)은 상기 몸체(124)의 선단으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결합봉(126)의 양측에 간격을 두면서 위치한다. 즉, 2개의 걸림편(127)은 결합봉(126)으로부터 이격되며, 결합봉(126)의 양방향에 가각 위치한다. 2개의 걸림편(127)은 제2 펜대부(120)가 최대로 신장되었을 때 이하에서 설명할 상기 부싱캡(130)의 통공 하단부에 탄력적으로 삽입되어 착탈되기 위한 구성이다. 2개의 걸림편(127)은 제2 펜대부(120)가 최대로 신장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구비된다. 따라서 2개의 걸림편(127)은 외력이 가해지면 내측 방향(예컨대 결합봉(126)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신축되며, 외력이 제거되면 원래 상태로 복귀한다. 2개의 걸림편(127)은 외주면에 상기 부싱캡(130)의 통공 내주면에 형성된 걸림테(132)에 대응하는 걸림홈(126a)을 구비한다.
이처럼 2개의 걸림편(127)과 결합봉(126) 사이의 간격은 2개의 걸림편(127)이 휘어질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2개의 걸림편(127)은 몸체(124)의 선단부에 절개홈 구조를 통해 형성된다. 따라서, 각 걸림편(127)은 그 단면 형상이 반원 형상을 갖는다. 이와 달리, 2개의 걸림편(127)은 호형 탄성편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즉, 2개의 걸림편(127)은 내측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신축되어 부싱캡(130)의 통공 하단에 삽입됨으로써, 부싱캡(130)에 착탈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면 충분하다.
본 실시예에서 피스톤(123)은 제1 펜대부(110) 내부에서 왕복 동작할 때 공기가 흐를 수 있도록 공기통로(128)를 구비한다. 따라서 피스톤(123)이 원활하게 왕복 동작함으로써 제2 펜대부(120)가 원활하게 인입 및 인출될 수 있도록 한다. 공기통로(128)는 몸체(124)선단으로부터 홀딩부(125)의 후단부까지 연장 형성된다. 상기 피스톤(123)은 예를 들어 2개의 공기통로(128)가 구비될 수 있으며, 2개의 공기통로(128)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적인 위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2개의 공기통로(128)는 몸체(124) 선단면에 개구를 가지며, 상기 개구는 결합봉(126)과 2개의 걸림편(127) 사이의 영역에 형성된다. 따라서, 공기는 결합봉(126)과 2개의 걸림편(127) 사이의 영역을 통해 몸체(124) 선단까지 흐르고, 몸체(124) 선단에 형성된 개구들을 이용 공기통로(128)를 통해 홀딩부(125)의 후방으로 흐르게 된다. 설명과 달리 공기통로(128)의 개구는 몸체(124)의 선단 평면 이외에 몸체(124)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부싱캡(130)은 중앙에 통공을 갖는 실린더형으로 제1 펜대부(110)의 선단 개방부에 결합된다. 예를 들어 부싱캡(130)은 억지끼움 식으로 제1 펜대부(11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부싱캡(130)은 후단부 외주면에 형성되고 제1 펜대부(110)의 요홈(111)에 대응하는 결합테(131)를 구비한다. 이와 달리, 상기 스타일러스펜(100)에서 상기 제1 펜대부(110)와 부싱캡(130)의 결합 구조는 억지끼움식 이외에 본딩, 나사결합 등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부싱캡(130)은 통공을 가지며, 이 통공으로 제2 펜대부(120)의 로드(121)가 삽입 관통되어 제1 펜대부(110)로 인입 및 인출된다. 부싱캡(130)의 통공은 후단부의 내경이 선단부의 내경보다 크게 단차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통공을 단차 형성함은 부싱캡(130)의 후단에 피스톤(123)이 삽입되어 착탈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부싱캡(130)은 피스톤(123)을 착탈하기 위하여 통공의 후단부 내주면에 형성된 걸림테(132)를 구비한다. 걸림테(132)는 피스톤(123)의 2개의 걸림편(127)에 형성된 걸림홈(127a)에 대응하도록 구성된다. 결과적으로, 2개의 걸림편(127)이 탄력적으로 신축하여 부싱캡(130)의 후단에 삽입됨으로써, 각 걸림편(127)의 걸림홈(127a)에 부싱캡(130)의 걸림테(132)가 체결되어 제2 펜대부(120)가 최대로 신장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결과적으로, 제2 펜대부(120)를 최대로 신장한 상태에서 제1 펜대부(110)만 파지 하여 사용하여도 제2 펜대부(120)가 제1 펜대부(110)로 인입되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부싱캡(130)은 제1 펜대부(110)에 고정 결합되므로 제2 펜대부(120)가 제1 펜대부(110)로부터 인출될 때 피스톤(123)이 걸리면서 완전이탈하지 않도록 스토퍼 역할을 한다.
상기 부싱캡(130)은 내부에 로드(121)와 직접 접촉하여 로드(121)의 인입 및 인출 동작을 가이드하기 위한 부싱(136)을 포함할 수 있다. 부싱(136)은 양단이 개방된 실린더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부싱캡(130) 내부에서 고정되도록 외주면에 돌기 또는 환테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부싱(136)과 로드(121)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을 둘 수 있다. 예를 들어, 부싱(136)의 내주면과 로드(121)의 외주면 사이에 약 0.1㎜의 간격을 둘 수 있으며, 이는 제2 펜대부(120)가 인입 및 인출 동작할 때 제1 펜대부(11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흘려보내 제2 펜대부(120)의 원활한 동작을 도모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부싱캡(130)은 선단부가 제1 펜대부(110) 외부로 노출되도록 스토퍼 역할을 하는 걸림띠(133)를 구비한다. 걸림띠(133)는 제1 펜대부(110)의 외관과 동일한 외관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걸림띠(133)는 제1 펜대부(110)와 마찬가지로 외주면에 패턴 또는 문양이 새겨져 심미감을 줄 수 있다. 부싱캡(130)의 선단부는 팁부(122)와 함께 뚜껑(140)의 내부에 삽입되어 수용된다. 따라서, 부싱캡(130)의 선단부는 뚜껑(140)에 용이하게 삽입되로록 선단으로 진행할수록 점차 외경이 감소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뚜껑(140)은 제1 펜대부(110)의 선단에 체결되고, 제2 펜대부(120)의 팁부(122)를 수용하여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뚜껑(140)은 중공의 실린더형으로 선단은 막혀있고 후단은 개방된 구조를 갖는다. 뚜껑(140)은 팁부(122)를 착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뚜껑(140)의 실린더형 내부에 제2 홀더(141)를 구비한다, 제2 홀더(141)는 링 형상을 갖고, 후단부에 팁부(122)를 탄력적으로 파지하기 위한 다수의 호형 탄성편(142)들을 구비한다. 탄성편(142)들은 링 형상의 후단으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방사상으로 신축 가능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탄성편(142)들은 외력이 가해지면 방사상으로 신축되어 간격이 벌어지고, 외력이 제거되면 원상태로 복귀한다. 탄성편(142)들은 내측면에 팁부(122)의 제1 요입단(122b)에 대응하는 제2 돌출단(142a)을 구비한다. 다수의 호형 탄성편(142)들은 팁부(122)에 대응하는 직경으로 형성되며, 탄성편(142)들과 뚜껑(140)의 내벽 사이에는 탄성편(142)들이 휘어질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된다.
상기 뚜껑(140)은 내부에 제2 홀더(141)가 뚜껑(14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관(144)을 구비할 수 있다. 고정관(144)은 제2 홀더(141)보다 뚜껑(140)의 후단 개방부에 구비된다. 예를 들어, 고정관(144)의 내경은 단차 형성될 수 있다. 고정관(144)의 상단부는 제2 홀더(141)의 링 형상에 대응하는 직경으로 구성되어 링 형상이 걸려 지지되고, 고정관(144)의 상단부 내부에는 탄성편(142)들이 수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때, 탄성편(142)들이 휘어질 수 있도록 공간이 확보된다. 고정관(144)의 하단부 내부는 부싱캡(130)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고정관(144)의 하단부 내경은 부싱캡(130)의 선단부와 유격 없이 살짝 밀착될 정도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뚜껑(140)의 선단에는 걸이끈(145)이 구비된다. 걸이끈(145)은 휴대성을 위해 전자기기에 걸기 위하여 구비된다. 또한, 뚜껑(140)은 외측을 감싸는 커버부재(140a)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140a)는 앞서 기 설명한 바 있는 제1 펜대부(110)의 외측을 감싸는 커버부재(110a)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추가적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스타일러스펜의 신축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8을 추가적으로 참조하면, 상기 스타일러스펜(100)은 보관이나 휴대시에 뚜껑(140)으로 팁부(122)를 커버한 상태로 이용한다. 예컨대, 제2 펜대부(120)는 제1 펜대부(110)에 최대로 인입되어 피스톤(123)의 홀딩부(125)가 제1 홀더(112)에 파지 되고, 이 상태에서 뚜껑(140)이 제2 홀더(141)를 통해 팁부(122)를 파지 한 상태로 체결된다. 따라서, 뚜껑(140)은 제1 펜대부(110)의 선단 개방부에 체결된 상태가 되고, 뚜껑(140) 내부에 팁부(122)가 수용되어 보호된다.
이 상태에서 뚜껑(140)을 잡아 빼게 되면, 먼저 피스톤(123)과 제1 홀더(112)가 분리되고, 아직 분리되지 않은 팁부(122)는 제2 홀더(141)에 파지된 상태로 뚜껑(140)을 따라 후방(예컨대 신장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제2 펜대부(120)는 팁부(122)가 파지 된 상태에서 뚜껑(140)을 따라 인출되다가 피스톤(123)이 부싱캡(130)에 의해 저지되면서 팁부(122)가 뚜껑(140)으로부터 분리된다. 이 순간에 피스톤(123)의 2개의 걸림편(127)은 부싱캡(130)의 하단부로 삽입되는 중에 부싱캡(130) 내벽에 형성된 걸림테(132)로부터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내측 방향으로 신축되면서 계속 삽입되며, 2개의 걸림편(127)의 걸림홈(127a)이 걸림테(132)에 도달하면 외력이 사라져 복귀되면서 걸림테(132)가 걸림홈(127a)에 삽입된다. 이로써, 제2 펜대부(120)는 최대로 신장된 상태에서 소정의 힘으로 고정된다. 결과적으로, 뚜껑(140)을 분리하는 한 동작에 의해 제2 펜대부(120)는 인출 및 고정되므로 사용자가 바로 사용할 수 있는 편리성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제2 펜대부(120)를 신장할 때 제1 홀더(112)와 피스톤(123)의 분리가 먼저 일어나도록, 제1 홀더(112)가 피스톤(123)을 파지 하는 힘보다 제2 홀더(141)가 팁부(122)를 파지 하는 힘이 강하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은 신축 동작시 제1 펜대부(110) 내부에서는 피스톤(123)의 전후에 압축공기가 형성되어 제2 펜대부(120)의 인입 및 인출을 방해하게 된다. 하지만, 본 고안에서는 피스톤(123)에 형성된 공기통로(128)를 통해서 제1 펜대부(110) 내부의 공기가 피스톤(123) 전후로 흐름으로써 제2 펜대부(120)가 원활히 동작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스타일러스펜(100)을 구성하는 제1 펜대부(110), 제2 펜대부(120), 부싱캡(130) 및 뚜껑(140)을 비롯하여 그에 포함된 부품 요소들은 기본적으로 사출성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부의 구성 요소들은 제조상의 편의를 위해 사출성형 이외의 방식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고안에 따른 스타일러스펜은 터치 패널 또는 터치 스크린을 채용하는 전자기기에서 화면에 직접 접촉하여 정보 또는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 수단으로 널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종래에 부싱캡과 뚜껑 사이의 착탈 구성을 생략하고 피스톤이 제1 펜대부 내부에서 착탈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부싱캡 및 뚜껑의 구조 단순화를 통해서 부품 수를 줄여 조립 공정수 및 제조 원가를 줄일 수 있다. 또한, 펜대부의 신축 상태를 지지하기 위한 구성이 피스톤에 형성됨으로써 부싱캡의 구조를 단순화시켜 제조 공정을 간소화하고 이를 통해서 제조 원가를 줄일 수 있다. 또한, 피스톤에 공기 통로를 구비함으로써 공기의 흐름을 통해 펜대부의 원활한 신축 동작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터치폰, 스마트폰, DMB 수신기, 네비게이션, PMP, 노트북 등과 같은 터치 패널 또는 터치 스크린을 채용하고, 휴대성 및 사용상의 편리성이 요구되는 휴대형 전자기기의 터치펜으로 널리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펜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타일러스펜의 개략적인 조립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피스톤의 개략적인 수직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뚜껑에 포함된 고정관의 개략적인 수직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제1 홀더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방식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제1 홀더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방식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7a는 도 1에 도시된 제1 홀더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방식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7b는 도 7a에 도시된 제1 펜대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스타일러스펜의 신축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Claims (12)

  1. 후단이 막혀있는 실린더형을 가지며, 상기 실린더형의 후단 내부에 제1 홀더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홀더는 제1 돌출단이 형성된 다수의 탄성편들을 갖는 제1 펜대부;
    상기 제1 펜대부에 인출입되는 로드와, 상기 로드의 선단에 결합되고 상기 로드 외부로 노출되는 외주면에 제1 요입단이 형성된 터치용 팁부와, 상기 로드의 후단에 결합되고 상기 제1 펜대부에 수용되어 왕복 운동하는 피스톤으로 구성되는 제2 펜대부;
    상기 제1 펜대부의 선단 개방부에 결합되고 중앙에 상기 로드가 관통되는 통공을 구비하며, 상기 통공의 후단부는 단차 형성되고 상기 통공의 후단부 내주면에 걸림테가 형성된 부싱캡; 및
    상기 팁부에 착탈되어 상기 제1 펜대부의 선단에 체결되고, 상기 팁부를 수용하여 보호하기 뚜껑을 포함하며,
    상기 피스톤은 단일체로 형성된 몸체, 홀딩부, 결합봉 및 2개의 걸림편으로 구성되며, 상기 몸체는 외주면에 고무링이 끼워지는 하나 이상의 실링홈을 구비하여 상기 제1 펜대부에 내접하며, 상기 홀딩부는 상기 몸체의 후단에 단차 형성되고 외주면에 상기 제1 돌출단에 대응하는 제2 요입단을 구비하여 상기 제1 홀더에 착탈되며, 상기 결합봉은 상기 몸체의 중앙 선단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선단 일부가 상기 로드의 후단에 삽입 결합되며, 상기 2개의 걸림편은 상기 결합봉 양측에 간격을 두면서 상기 몸체의 선단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외측면에 상기 부싱캡의 걸림테에 대응하는 걸림홈을 구비하여 상기 통공의 후단에 탄력적으로 파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홀더는 2개의 판형 탄성편을 갖고 상기 2개의 판형 탄성편 후단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U’자형 단일체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펜대부는 후단 밀폐부의 내벽에 상기 제1 홀더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홀더는 상기 고정돌기에 대응하는 관통홀을 구비하고, 상기 관통홀을 이용 상기 고정돌기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펜대부는 후단 밀폐부의 내벽에 상기 제1 홀더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홀더는 상기 고정돌기에 대응하는 관통홀을 구비하며,
    상기 제1 홀더는 상기 관통홀을 이용 상기 고정돌기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고정돌기의 종단부를 열 변형시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펜대부는 후단 밀폐부의 내벽에 상기 제1 홀더를 고정하기 위하여 암나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홀더는 상기 암나사부에 대응하여 관통홀을 구비하며,
    상기 제1 홀더는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암나사부에 체결되는 고정나사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펜대부는 후단부 내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홀더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제1 홀더가 선단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테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펜대부는 길이 방향으로 분리되는 조립체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펜대부 및 상기 뚜겅은 각각 외측을 감싸는 고무 재질의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은 상기 몸체의 선단부로부터 홀딩부의 후단부까지 형성된 하나 이상의 공기통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통로는 상기 결합봉과 상기 2개의 걸림편 사이의 영역에 형성된 개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선단이 막혀있는 실린더형을 가지며, 상기 실린더형의 내부에 상기 팁부를 착탈하기 위한 제2 홀더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홀더는 상기 팁부의 제1 요입단에 대응하는 제2 돌출단이 형성된 다수의 호형 탄성편들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실린더형의 내부에 상기 제1 홀더의 이탈 방지를 위한 고정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펜.
KR2020090011152U 2009-08-26 2009-08-26 스타일러스펜 KR2004514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1152U KR200451422Y1 (ko) 2009-08-26 2009-08-26 스타일러스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1152U KR200451422Y1 (ko) 2009-08-26 2009-08-26 스타일러스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1422Y1 true KR200451422Y1 (ko) 2010-12-14

Family

ID=44478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1152U KR200451422Y1 (ko) 2009-08-26 2009-08-26 스타일러스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142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60027A (zh) * 2021-10-21 2022-01-21 杭州创新生物检控技术有限公司 一种即时检测的笔状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18598B2 (en) 2005-09-20 2009-04-14 Hwa Ying Industrial Co., Ltd. Retraction mechanism of light pe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18598B2 (en) 2005-09-20 2009-04-14 Hwa Ying Industrial Co., Ltd. Retraction mechanism of light p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60027A (zh) * 2021-10-21 2022-01-21 杭州创新生物检控技术有限公司 一种即时检测的笔状装置
CN113960027B (zh) * 2021-10-21 2024-03-19 杭州创新生物检控技术有限公司 一种即时检测的笔状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6570Y1 (ko) 스타일러스펜
JP2011198351A (ja) キャップ及びこれを利用した入力ペン
JP2009542531A (ja) 1つの単位としてまとめて扱える内キャップと外キャップとを含む容器閉鎖アセンブリ
KR200451422Y1 (ko) 스타일러스펜
US20220227615A1 (en) Vertical bottle opener apparatus having opener formed on lower portion of handle
JP2013093002A (ja) カバーケースおよびカバーケースセット
US20140360082A1 (en) Sight and dust cap thereof
US20110227880A1 (en) Telescoping stylus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1071935B1 (ko) 터치펜
KR20100010855U (ko) 터치 패널을 사용하는 전자기기의 터치펜 어셈블리
JP2014159173A (ja) 筆記具用キャップ及び筆記具
JP4889098B2 (ja) 液体収納容器
KR20100013070U (ko) 터치 패널을 사용하는 전자기기의 터치펜 어셈블리
KR101793374B1 (ko) 카메라 여닫이창이 구비된 스마트폰용 크래들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폰용 케이스
KR200448016Y1 (ko) 스타일러스 펜
KR200465479Y1 (ko) 스타일러스 펜
KR20100010917U (ko) 터치 패널을 사용하는 전자기기의 터치펜 어셈블리
CN211243491U (zh) 一种工作头组件、手具和美容装置
KR100780253B1 (ko) 스타일러스 펜
WO2011021817A2 (ko) 휴대, 보관 및 사용이 편리한 휴대폰 일체형의 화면 확대경
KR101357323B1 (ko) 권선부를 구비하는 휴대폰 케이스
JP2012022678A (ja) 入力ペン及び装飾用ペンダントを備える携帯式電子装置
KR100912434B1 (ko) 스타일러스펜
KR100959263B1 (ko) 스타일러스펜
JP2001022509A (ja) 入力ペン保持構造及び情報端末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