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0779U - 인조잔디 그레이팅 - Google Patents

인조잔디 그레이팅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0779U
KR20100010779U KR2020090004936U KR20090004936U KR20100010779U KR 20100010779 U KR20100010779 U KR 20100010779U KR 2020090004936 U KR2020090004936 U KR 2020090004936U KR 20090004936 U KR20090004936 U KR 20090004936U KR 20100010779 U KR20100010779 U KR 2010001077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ting
artificial turf
clip
fixed
artific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49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해
Original Assignee
신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해 filed Critical 신해
Priority to KR20200900049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10779U/ko
Publication of KR2010001077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077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01C13/08Surfaces simulating grass ; Grass-grown sports ground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E01C9/004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allowing veget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20Drainage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인조잔디 그레이팅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그레이팅에 인조잔디를 낱개로 결합시켜 줌으로써, 환기구 또는 우수 관로용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아름다운 미관을 제공함과 아울러 협잡물을 걸러주는 필터기능을 하게 되어 주변환경을 깨끗이 함과 아울러 도로 미관을 아름답게 만들어 주며, 도로녹지용 또는 수목보호대용, 법면 조성용으로 사용될 경우에는 그레이팅의 인조잔디 간의 간극을 통해 땅이 호흡을 할 수 있게 함으로써, 흙의 부패를 막아 식물이 죽는 것을 방지하여 친환경적으로 쓰이게 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그레이팅, 환기구,인조잔디, 수목보호대, 녹지조성, 법면

Description

인조잔디 그레이팅{ARTIFICIAL TURF GRATING}
본 고안은 인조잔디 그레이팅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환기구, 우수 관로, 도로녹지 또는 수목보호대, 법면 조성 등에 시공되는 그레이팅에 인조잔디를 결합하여 도시 또는 도로 미관을 녹색 경관으로 아름답게 조성하는 인조잔디 그레이팅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그레이팅은 지하철이나 고층빌딩의 지하층 공기를 지상의 공기와 환기하는 환기구 또는 도로변의 우수관로, 녹지조성, 법면조성, 수목보호대 등에 시공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환기구 또는 우수관로에 시공되는 경우에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낙엽이나 담배꽁초 등의 협잡물을 걸러주는 역할을 하게 되고, 상기 녹지조성, 법면조성, 수목보호대로 시공되는 경우, 토양 보호 및 녹지,수목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기 위해서이다.
하지만 상기 그레이팅은 격자형의 개방구이 단순히 개방된 상태로 시공되게 되므로, 상기 격자형의 개방구을 통해 낙엽이나 보행자들로부터 담배꽁초나 협잡물(쓰레기) 등 각종 오물이 투입되게 되어 상기 그레이팅의 내측 또는 주변에는 낙엽 또는 담배꽁초나 협잡물 등이 쌓여 주변환경을 오히려 오염 내지 더럽히게 되어 도시 또는 도로의 미관을 해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래서 종래에는 그레이팅에 인조잔디를 깔아 녹지조성 및 도로 환경을 푸르게 하도록 한 것이 있으나, 상기 인조잔디는 잔디가 서로 촘촘히 짜여진 원단형태로 제작된 것을 깔게 되므로, 인조잔디 자체가 외부와의 공기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환기를 요하는 곳에는 시공할 수 없고, 오수관로, 녹지조성, 법면조성, 수목보호대 등에 사용하고 있으나, 상기 인조잔디가 깔린 하부는 외부와의 통기가 이루어지지 않아, 오수관로의 경우 부패로 인해 악취 발생, 흙의 경우 호흡을 할 수 없어 부패하게 되므로, 오히려 식물의 생장에 악영향을 입히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그레이팅에 인조잔디를 결합하여 그레이팅의 미관을 아름답게 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그레이팅에 낙엽 또는 담배꽁초나 협잡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그레이팅의 주변환경을 깨끗하게 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그레이팅의 하부와의 통기를 원활하여 식물 생장에 지장을 주지 않고 주변환경을 아름답게 가꾸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격자형의 개방구을 구비하는 그레이팅; 상기 그레이팅에 낱개로 시공되는 인조잔디; 및 상기 그레이팅에 시공된 인 조잔디를 고정하는 클립을 포함한다.
상기 인조잔디는 소정의 넓이를 갖는 평면으로, 상기 평면의 일측과 타측에 일부만을 절결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클립은 내측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상기 그레이팅에 시공된 인조잔디를 감싸아 고정한다.
상기 클립은 외주면에 인조잔디를 결합하여 그레이팅에 고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클립은 외주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인조잔디를 접착하여 그레이팅에 고정한다.
상기 클립은 상부에 삽입구를 구비하고 중간부의 내측으로 그레이팅에 체결 고정되는 체결부, 상기 체결부의 외주면으로 결합되는 인조잔디의 흐트러짐을 막고 잡아주는 홀드편을 구비한다.
상기 클립은 하단부에 일측과 타측으로 관통 삽입되어 삽입되는 인조잔디가 하부로 이탈을 방지하는 삽입공을 더 구비한다.
상기 클립은 삽입구의 상단부를 일측과 타측으로 길게 연장 형성하여 상기 그레이팅의 길고 또는 짧은 봉에 고정되는 고정단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단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천공되는 다수의 절결홈을 더 포함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그레이팅에 인조잔디를 낱개로 결합시켜 줌으로써, 환기구 또는 우수 관로용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아름다운 미관을 제공함과 아울 러 협잡물을 걸러주는 필터기능을 하게 되어 주변환경을 깨끗이 함과 아울러 도로 미관을 아름답게 만들어 주며, 도로녹지용 또는 수목보호대용, 법면 조성용으로 사용될 경우에는 그레이팅의 인조잔디 간의 간극을 통해 땅이 호흡을 할 수 있게 함으로써, 흙의 부패를 막아 식물이 죽는 것을 방지하여 친환경적으로 쓰이게 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에 의거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 인조잔디 그레이팅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 인조잔디 그레이팅의 결합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 인조잔디 그레이팅의 인조잔디에 대한 제 2 실시예도이고, 도 4는 본 고안 인조잔디 그레이팅의 클립에 대한 제 2 실시예도이며, 도 5는 본 고안 인조잔디 그레이팅의 클립에 대한 제 3 실시예도이고, 도 6은 본 고안 인조잔디 그레이팅의 클립에 대한 제 4 실시예도이다.
본 고안은 그레이팅(10), 인조잔디(20) 및 클립(30)을 포함한다.
상기 그레이팅(10)은 환기구, 우수 관로, 도로녹지 또는 수목보호대, 법면 조성 등에 시공되며, 상기 그레이팅(10)은 금속(주물강) 및 합성수지(FRP)재질로 형성하게 되고, 상기 금속 그레이팅은 주로 환기구 또는 우수관로, 맨홀 등에 사용되며, 상기 합성수지 그레이팅은 녹지, 법면, 수목보호대 등에 사용된다.
상기 금속 또는 합성수지 그레이팅(10)은 프레임의 내측으로 길고 짧은 바를 결합하여 격자형의 개방구(11)을 구비하게 된다.
상기 인조잔디(20)는 나이론 또는 폴리프로필렌(PP)을 1 ~ 3mm 폭으로 성형 하게 되며, 상기 인조잔디(20)는 그레이팅(10)의 개방구(11)과 개방구(11)간에 다수를 묶어 상기 그레이팅(10)의 상부로부터 3cm ~ 6cm 높이로 시공하게 된다.
또한 인조잔디(2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넓이를 갖는 평면으로 형성하고, 상기 평면의 일측과 타측에 일부만을 절결하여 형성한 후, 절결되지 않은 부분에 접착제(21)를 도포하여 상기 접착제(21)로 상기 그레이팅(10)에 접착 고정할 수 있다.
상기 클립(30)은 그레이팅(10)의 개방구(11)과 개방구(11)간에 시공되는 인조잔디(20)를 내측으로 하여 감싸아 고정하되 상기 클립(30)의 내측면에 접착제(21)를 도포하여 고정하게 된다.
또한 상기 클립(30)은 외주면에 인조잔디(20)를 결합하여 그레이팅(10)에 고정하게 되며, 상기 클립(30)의 외주면에 접착제(21)를 도포하여 인조잔디(20)를 접착한 후, 그레이팅(10)에 고정하게 된다.
상기 클립(30)은 상부에 삽입구(31)가 구비되고, 중간부의 내측에는 그레이팅(10)에 체결 고정되는 체결부(32), 상기 체결부(32)의 외주면에는 일측과 타측에 클립(30)의 외주면을 따라 감겨 삽입되는 인조잔디(20)를 고정하는 홀드편(33)을 구비하게 된다.
상기 클립(30)은 하단부에 일측과 타측으로 인조잔디(20)가 하부로 빠지지 않도록 고정되는 삽입공(34)을 구비하게 된다.
또한 상기 클립(30)은 삽입구(31)의 상단부를 일측과 타측으로 길게 연장 형성하여 상기 그레이팅(10)의 길고 또는 짧은 봉에 고정되는 고정단(311)을 구비하 고, 상기 고정단(311)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천공되는 다수의 절결홈(312)을 더 구비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환기구, 우수 관로, 도로녹지 또는 수목보호대, 법면 조성 등에 시공되는 격자형의 개방구(11)의 구비된 그레이팅(10)에는 개방구(11)과 개방구(11)간에 낱개로 형성된 다수의 인조잔디(20) 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면상으로 형성된 인조잔디(20)에 접착제(21)를 도포한 후 삽입하여 고정시공하게 되며, 이어서 클립(30)의 내측 저면과 상단부위에 접착제(21)를 도포하여 상기 인조잔디(20)를 내측으로 감싸 준 상태로 클립(30)을 고정한 것으로인조잔디 그레이팅을 형성한다.
또한 그레이팅(10)에 시공되는 인조잔디(20)는 상기 클립(30)의 외주면에 결합한 상태에서 클립(30)을 그레이팅(10)에 고정하는 것으로 인조잔디 그레이팅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때에는 클립(30)의 외주면에 접착제(21)를 도포한 상태에서 상기 낱개의 인조잔디(20) 또는 평면상으로 형성된 인조잔디(20)를 접착 고정한 후, 상기 클립(30)을 그레이팅(10)에 고정하는 것으로 인조잔디 그레이팅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인조잔디(2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클립(30)의 외주면 일측에 구비된 홀딩편(33)을 통해서 하부를 감아 준 상태에서 타측 홀딩편(33)으로 여러 가닥 삽입한 후, 상기 일측과 타측의 홀딩편(33)을 압입하여 상기 클립(30)에 여러 가닥의 인조잔디(20)가 이탈 또는 하방으로 빠지지 않도록 잡아 고정한다.
또한 상기 인조잔디(2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클립(30)의 외주 면 일측에 구비된 홀딩편(33) 및 하부에 구비된 삽입공(34)을 통해서 타측 홀딩편(33)으로 여러 가닥 삽입한 후, 상기 일측과 타측의 홀딩편(33)을 압입하여 상기 인조잔디(20)가 이탈되지 않게 고정한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조잔디(20)는 클립(30)의 삽입구(31)의 일측에 구비된 고정단(311)의 절결홈(312)으로 삽입하여 일측의 홀딩편(33) 및 하부를 감아준 상태에서 타측 홀딩편(33) 및 타측에 구비된 고정단(311)의 절결홈(312)으로 여러 가닥 삽입한 후, 상기 일측과 타측의 홀딩편(33)을 압입하여 이탈되지 않게 고정한다.
또는 도 5에 도시한 상기 클립(30)의 하부에 삽입공(34)을 구비하여 상기 삽입공(34)을 통해서 인조잔디(20)를 삽입구(31)의 일측 고정단(311)의 절결홈(312), 홀딩편(33), 하부에 삽입공(34) 및 타측 홀딩편(33), 타측에 구비된 고정단(311)의 절결홈(312)으로 여러 가닥 삽입한 후, 상기 일측과 타측의 홀딩편(33)을 압입하여 상기 클립(30)에 여러 가닥의 인조잔디(20)가 하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클립(30)에 고정된 인조잔디(20)는 상기 클립(30)의 상부에 구비된 삽입구(31)를 통해 중간부에 구비된 체결부(32)의 개구를 통해서 상기 그레이팅(10)의 개방구(11)을 형성하는 길고, 짧은바 중 어느 한쪽 바에 하부에서 상부로 삽입하여 고정하거나, 또는 길고, 짧은바 중 어느 양쪽 바에 상부에서 하부로 삽입구(31)의 양쪽에 구비된 고정단(311)을 걸쳐서 고정하여 인조잔디 그레이팅을 제작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작된 인조잔디 그레이팅은 지하철 또는 고층빌딩의 지하층을 위한 환기구에 시공하는 경우, 환기구에 녹지조성으로 외관을 미려하게 하여 도로 및 도시 미관을 아름답게 해주게 된다.
또한 우수관로등에 시공되는 경우에는 낙엽이나 담배꽁초 또는 협잡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필터 역할을 하게 되어 환기구 또는 우수관로의 오염이나 주변이 더러워지는 것을 방지해 주게 된다.
또한 녹지조성, 수목보호대, 법면 조성에 시공되는 경우, 낱개로 고정되는 인조잔디 사이로 흙이 호흡을 하게 되어, 식물 생장에 지장을 주게 않는 친환경적인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 인조잔디 그레이팅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인조잔디 그레이팅의 결합단면도
도 3은 본 고안 인조잔디 그레이팅의 인조잔디에 대한 제 2 실시예도
도 4는 본 고안 인조잔디 그레이팅의 클립에 대한 제 2 실시예도
도 5는 본 고안 인조잔디 그레이팅의 클립에 대한 제 3 실시예도
도 6은 본 고안 인조잔디 그레이팅의 클립에 대한 제 4 실시예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그레이팅 11; 개방구
20; 인조잔디 21; 접착제
30; 클립 31; 삽입구
32; 체결부 33; 홀드편
34; 삽입공 311; 고정단
312; 절결홈

Claims (5)

  1. 금속제 또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며, 격자형의 개방구가 구비되는 그레이팅;
    소정의 넓이를 갖는 평면으로, 상기 평면의 일측과 타측에 일부만을 절결하여 형성되는 인조잔디; 및
    상부에 삽입구가 구비되고, 중간부의 내측으로 상기 그레이팅에 체결 고정되는 체결부가 형성되며, 이 체결부의 외주면으로 상기 인조잔디의 흐트러짐을 막고 잡아주는 홀드편이 형성되어 상기 인조잔디를 상기 그레이팅에 고정 결합하는 클립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잔디가 구비된 그레이팅.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은 내측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상기 그레이팅에 시공된 상기 인조잔디를 감싸도록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잔디가 구비된 그레이팅.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조잔디는 상기 클립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그레이팅에 고정되거나, 상기 클립의 외주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상기 인조잔디를 접착하여 상기 그레이팅에 고정되는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상기 그레이팅에 고정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인조잔디가 구비된 그레이팅.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은 하단부에는 일측과 타측으로 관통 삽입되는 상기 인조잔디가 하부로 이탈을 방지하는 삽입공이 추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잔디가 구비된 그레이팅.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에는 상기 삽입구의 상단부를 일측과 타측으로 길게 연장 형성하여 그레이팅의 길고 또는 짧은 봉에 고정되는 고정단; 및 상기 고정단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천공되는 다수의 절결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잔디가 구비된 그레이팅.
KR2020090004936U 2009-04-24 2009-04-24 인조잔디 그레이팅 KR2010001077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4936U KR20100010779U (ko) 2009-04-24 2009-04-24 인조잔디 그레이팅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4936U KR20100010779U (ko) 2009-04-24 2009-04-24 인조잔디 그레이팅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0779U true KR20100010779U (ko) 2010-11-03

Family

ID=44203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4936U KR20100010779U (ko) 2009-04-24 2009-04-24 인조잔디 그레이팅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10779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7994A (ko) * 2015-02-10 2016-08-1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측구의 이물질 유입 방지 수단을 구비한 구조체
KR20190036163A (ko) 2017-09-27 2019-04-04 한덕환 배수로 복개를 위한 덮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7994A (ko) * 2015-02-10 2016-08-1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측구의 이물질 유입 방지 수단을 구비한 구조체
KR20190036163A (ko) 2017-09-27 2019-04-04 한덕환 배수로 복개를 위한 덮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6262712A (ja) 緑化構造および緑化方法
JP2009017888A (ja) 防草キャップ及びこれを使用した緑化工法
JP7075031B2 (ja) 法面の施工方法とそれに用いるシート体
KR20100010779U (ko) 인조잔디 그레이팅
KR101182722B1 (ko) 가로수 물공급장치
KR200401368Y1 (ko) 가로수 보호판
KR100805780B1 (ko) 조경 식물용 등반안내 구조
KR100859852B1 (ko) 조경용 구조물
KR20130131053A (ko) 수목 보호용 덮개
KR101013165B1 (ko) 시공이 용이한 블럭형 잔디 및 이를 이용한 잔디밭조성방법
KR100903307B1 (ko) 가로수 보호덮개판
KR200459245Y1 (ko) 가로수보호판
KR101309133B1 (ko) 매설 저수조 및 그 시공방법
KR200404519Y1 (ko) 가로수 토사유실 및 잡초발생 방지장치
KR200142764Y1 (ko) 법면보호를 위한 블록
JP2014198015A (ja) 雑草防止可能な給水用の施工構造
KR101989951B1 (ko) 방근, 방초 기능을 갖는 수목보호판
KR102323550B1 (ko) 물 공급기능을 갖는 수목보호 조립체
JP3178600U (ja) 防塵用緑化フェンス
KR100827361B1 (ko) 집수부 구비 식재를 이용한 방풍림도로 구조
KR200360403Y1 (ko) 비닐하우스 간격의 잡초제거 및 빗물유입방지용 비닐지
KR20100026070A (ko) 가로수 보호덮개
KR20130007318U (ko) 가로수의 보호덮개
JP2003088237A (ja) 植栽屋根構造
KR200348695Y1 (ko) 자연석 수목보호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