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0544U - 간이 펜스 - Google Patents

간이 펜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0544U
KR20100010544U KR2020090004628U KR20090004628U KR20100010544U KR 20100010544 U KR20100010544 U KR 20100010544U KR 2020090004628 U KR2020090004628 U KR 2020090004628U KR 20090004628 U KR20090004628 U KR 20090004628U KR 20100010544 U KR20100010544 U KR 2010001054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nce
support
support member
pair
supp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46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우
Original Assignee
(주)런기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런기획 filed Critical (주)런기획
Priority to KR20200900046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10544U/ko
Publication of KR2010001054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054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2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free-standing; portable, e.g. for guarding open manholes ; Portable signs or signa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 portable barrie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0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cluding pedestrian guidance indicat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02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using readily-detachable elements bearing or forming symbols
    • G09F7/08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using readily-detachable elements bearing or forming symbols the elements being secured or adapted to be secured by means of grooves, rails, or sl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G09F2019/223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in pavement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람 또는 차량의 출입을 임시로 차단하거나 통제하기 위해 사용되고, 가볍고 단순한 구조로 용이하게 설치 및 철거할 수 있는 간이 펜스에 관한 것이다. 이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평면구조의 펜스와 상기 펜스를 지지하는 지지대로 구성되고, 사람 또는 차량의 출입을 차단하기 위한 간이 펜스에 있어서, 펜스는 하단부에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 복수의 연결봉을 갖고, 그리고 지지대는 막대형상의 지지부재; 및 지지부재와 예각을 이루어 지지부재의 일단부에 고정되고, 연결봉이 삽입되어 펜스를 지지하는 연결부재;로 구성되어 상기 연결봉의 개수만큼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평면구조의 펜스를 지지대로부터 분리시켜 적재함으로써 적재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간이 펜스의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안전거리가 충분히 확보되어 펜스 너머에 위치하는 관중 또는 행인으로부터 방해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펜스, 휀스, 바리케이트, 간이, 광고판, 마라톤

Description

간이 펜스{Portable fence}
본 고안은 펜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람 또는 차량의 출입을 임시로 차단하거나 통제하기 위해 사용되고, 가볍고 단순한 구조로 용이하게 설치 및 철거할 수 있는 간이 펜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간이 펜스는 도로, 경기장, 건설 현장 또는 각종 행사장 등에서 사람 또는 차량 등의 출입을 차단하거나 통제하기 위해 일렬로 배열하여 임시로 설치되는 가설물이다. 이러한 간이 펜스는 수직으로 세워져 차단역할을 하게 되는 펜스와 이를 지지하는 지지대로 이루어지는 단순한 구조를 갖고, 철제 파이프, 금속판 등을 이용하여 용접하는 방식으로 제작된다.
한편, 간이 펜스와 유사한 것으로 도로에서 차량의 출입을 통제하는데 사용되는 바리케이트가 있다. 일반적인 바리케이트는 철제 구조물로서 무게가 크기 때문에 설치하거나 철거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그리고, 건설 현장에서 주로 사용되는 노란색의 플라스틱제 안전 펜스가 있다. 안전펜스는 건설현장 이외의 곳에서 간이 펜스의 대용으로 사용되기도 하는데 이는 미관상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무게가 너무 작아서 사람 또는 차량을 차단하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종래의 간이 펜스는 일반적으로 펜스와 지지대가 용접되어 일체형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간이 펜스를 적재하여 보관할 때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고, 차량에 적재하여 운반할 경우 많은 양을 실을 수 없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종래의 간이 펜스는 안전거리가 충분히 확보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마라톤 대회에서 선수들의 코스를 구분하고, 사람 및 차량을 통제하기 위해 경기장 또는 도로주변에 간이 펜스를 일렬로 배열하여 설치한다. 그러나 종래의 간이 펜스는 펜스가 수직으로 세워지기 때문에 일부 몰지각한 관중들이 손을 뻗어 마라톤 선수와의 신체접촉을 시도하거나 마라톤 선수의 발을 거는 등 악의적인 행동으로 마라톤 선수가 방해받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은 마라톤 대회뿐만 아니라 인라인 스케이트, 경보, 싸이클 등과 같은 다른 스포츠 경기에서도 발생한다. 또한 연예인, 스포츠 스타 또는 정치인사 등이 참여하는 각종 행사에서 일부 극성 팬들이 유명인사와의 신체접촉을 무분별하게 시도하여 혼란이 발생되기도 한다. 또한, 건설현장에서 작업을 하다 안전 펜스 너머의 행인에게 피해를 입힐 수 있으며, 행인에 의해 작업이 방해받는 경우도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가볍고 단순한 구조로 설치 및 철거가 용이하고, 펜스의 안전거리를 충분히 확보하여 펜스 너머에 위치하는 관중 또는 행인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간이 펜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는 평면구조의 펜스와 펜스를 지지하는 지지대로 구성되고, 사람 또는 차량의 출입을 차단하기 위한 간이 펜스에 있어서, 펜스는 하단부에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 복수의 연결봉을 갖고, 지지대는 막대형상의 지지부재; 및 지지부재와 예각을 이루어 상기 지지부재의 일단부에 고정되고, 연결봉이 삽입되어 펜스를 지지하는 연결부재;로 구성되어 연결봉의 개수만큼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간이 펜스의 측단면에서 펜스와 지지부재가 각각 직각 삼각형의 빗변과 밑변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또한, 지지부재는 0.5m ~ 1m의 길이를 갖고, 지지부재와 연결부재가 이루는 각이 45°~ 70°이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는 평면구조의 펜스와 펜스를 지지하는 지지대로 구성되고, 사람 및 차량의 출입을 차단하기 위한 간이 펜스에 있어서, 하단부에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 복수의 연결봉을 갖는 펜스가 한 쌍 구비되고, 지지대는 막대형상의 지지부재; 및 지지부재와 예각을 이루어 지지부재의 양단부에 동일평면상 으로 각각 고정되고, 펜스의 연결봉이 삽입되는 한 쌍의 연결부재;로 구성되어 연결봉의 개수만큼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한 쌍의 펜스는 연결부재에 삽입시 각각의 상단부가 서로 접한다. 그리고, 간이 펜스의 측단면에서 한 쌍의 펜스가 이등변 삼각형의 빗변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또한, 지지부재는 0.5m ~ 1m의 길이를 갖고, 펜스와 지지부재가 이루는 각이 60°~ 80°이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간이 펜스는 펜스의 연결봉과 지지대의 연결부재를 체결하는 조임나사가 더 구비된다. 또한, 연결부재의 외측면에 지지대의 외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광고판 걸림돌기; 및 일측이 광고판 걸림돌기에 걸린채로 펜스상에 기대어지는 광고판을 더 구비한다.
이상과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간이 펜스는 평면구조의 펜스를 지지대로부터 분리시켜 적재함으로써 적재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간이 펜스의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안전거리가 충분히 확보되어 펜스 너머에 위치하는 관중 또는 행인으로부터 방해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광고판의 설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광고판이 경사지게 설치되어 광고효과가 증대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 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제1실시예]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간이 펜스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간이 펜스의 측면도이다. 간이 펜스(100)는 사람 또는 차량 등의 출입을 차단하거나 통제하기 위해 임시로 설치되는 가설물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펜스(110)와, 펜스(110)를 지지하는 지지대(120)로 구성된다.
펜스(110)는 가벼우면서도 튼튼할 것이 요구되고, 이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직사각 형태의 평면구조를 갖도록 금속제 원형 파이프를 절곡 또는 용접하는 방식으로 제작된다. 이때, 펜스(110)는 금속제 원형 파이프뿐만 아니라 철근 등으로 제작될 수 있고, 플라스틱 또는 목재를 재료로 할 수 있다. 또한 금속, 플라스틱 또는 목재 등으로 이루어진 사각 판재일 수 있다.
펜스(110)는 동일한 길이를 갖는 복수의 연결봉(112)이 펜스(110)의 하단부에 연장 형성된다. 제1실시예에 의하면 연결봉(112)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펜스(110)의 양측 하단에 한 쌍이 구비된다. 즉, 연결봉(112)은 펜스(110)의 외곽에 위치하는 금속제 원형 파이프가 연장된 부분이다. 이때, 연결봉(112)은 제1실시예와 달리 별개의 부재로 따로 구비되고, 용접, 볼트체결 등의 방법으로 펜스(110)에 접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제1실시예에 의하면 펜스(110)는 1인이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1m 내외의 길이를 갖는다. 그리고, 펜스(110) 자체의 높이는 1m ~ 1.5m이다.
지지대(120)는 펜스(110)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122)와 연결부재(124)로 구성된다. 제1실시예에 의하면 지지부재(122)와 연결부재(124)는 펜스(110)와 마찬가지로 가벼우면서도 강성이 좋은 금속제 파이프를 사용한다. 이때 목재 또는 플라스틱 등을 재료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지지부재(122)는 간이 펜스(100)에 있어서 지면과 접하는 부분이다. 따라서, 지지부재(122)는 지면과 닿는 밑면이 평평할 것이 요구된다. 그리고, 지지부재(112)는 간이 펜스(100)의 단순화를 위해 전체적으로 막대형상을 갖는다. 제1실시예에 의하면 지지부재(12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길이를 갖는 금속제 사각 파이프를 사용한다. 이때, 지지부재(112)의 길이는 0.5m ~ 1m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연결부재(124)는 제1실시예에 의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펜스(110)의 연결봉(112)보다 큰 직경을 갖는 금속제 원형 파이프로서, 펜스(110)의 연결봉(112)이 연결부재(124)의 내측면에 삽입된다. 이와 다르게 펜스(110)의 연결봉(112)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금속제 원형 파이프로서 펜스(110)의 연결봉(112)이 연결부재(124)의 외측면에 삽입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연결부재(124)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122)와 예각을 이루어 지지부재(210)의 일단부 상면에 용접되어 고정된다. 이때, 지지부재(112)와 연결부재(124) 사이의 각(α)은 45°~ 70°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상술한 지지부재(122)와 연결부재(124)로 구성된 지지대(120)는 펜스(110)의 연결봉(112)의 개수만큼 간이 펜스(100)에 구비된다. 따라서, 제1실시예에 따른 간이 펜스(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가 구비된다. 그리고, 펜스(110)의 각 연결봉(112)이 한 쌍의 지지대(120)의 각 연결부재(124)에 삽입됨으로써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펜스(110)가 α각만큼 경사진 상태에서 지지대(120)에 의해 지지되는 것이다.
한편, 간이 펜스(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이 펜스(100)를 측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펜스(110)와 지지대(120)의 지지부재(122)가 각각 직각 삼각형의 빗변과 밑변을 이루도록 제작된다. 이와 같이 제작하는 이유는 지지대(120)의 지지부재(122)가 지나치게 짧아서 간이 펜스(100)의 안정감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지지대(120)의 지지부재(122)가 불필요하게 길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간이 펜스(100)는 구체적으로 지지부재(122)의 길이가 0.5 ~ 1m 이고, 지지부재(122)와 연결부재(124)가 이루는 각(α)이 45°~ 7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간이 펜스(100)의 높이(H)는 0.8m ~ 1.4m를 갖게 되고, 펜스(110)의 자체의 높이는 1m ~ 1.5m를 갖게 된다. 그리고, 제1실시예에 따른 간이 펜스(100)는 펜스(110)가 경사지게 설치되어 지지부재(122)의 길이만큼 안전거리(S)가 확보되는 것이다. 즉 일반적인 성인의 팔길이를 고려하여 안전거리(S)를 0.5 ~ 1m를 두는 것이다. 따라서, 펜스(110) 너머의 관중 또는 행인에 의해 방해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간이 펜스(100)의 높이(H)는 일반적인 성인의 복부 또는 가슴 정도의 높이에 해당하여 펜스(110) 너머의 시 야가 충분히 확보된다.
한편, 지지대(120)의 연결부재(124)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일측면을 관통하는 나사구멍(미도시)이 형성되고, 나사구멍(미도시)에 끼워지는 조임나사(300)를 더 구비한다. 즉, 조임나사(130)를 조여서 지지대(120)의 연결부재(124)와 펜스(110)의 연결봉(112)를 체결하고, 조임나사(130)를 풀어서 지지대(120)로부터 펜스(110)를 탈거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간이 펜스(100)는 펜스(110)와 지지대(120)로 분리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종래의 간이 펜스는 펜스와 지지대가 일체로 형성되어 간이 펜스들을 적재하기가 용이하지 않았던 점에 비해 본 고안의 간이 펜스(100)는 평면구조의 펜스(110)를 따로 분리하여 적재함으로써 적재공간이 줄어들게 되고, 이로 인해 간이 펜스(100)를 운반하거나 보관하기가 용이하다.
또한, 지지대(120)의 연결부재(124)에는 지지대(120)의 외측방향으로 광고판 걸림돌기(140)가 돌출형성된다. 즉,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ㄴ"자 형상의 광고판 걸림돌기(140)가 연결부재(124)에 용접되어 접합된다.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간이 펜스(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펜스(110)가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광고판(200)의 일측이 광고판 걸림돌기(140)에 걸린채로 펜스(110)상에 기대어지도록 하여 쉽게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에 광고판(200)을 설치한 간이 펜스(100)의 사용상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의하면 일렬로 배열된 간이 펜스(100)에 광고판(200)이 경사지게 설치된다. 따라서, 광고판(200)은 펜스(110)에 형성되는 빈 공간을 통하여 사람들의 손 또는 발이 넘어오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펜스를 보완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경사지게 설치된 광고판(200)은 사람의 눈에 잘 띄게 되어서 광고효과가 증대되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간이 펜스(100)가 도로의 양측에 설치되는 경우 종래의 간이 펜스가 수직으로 세워져 답답한 느낌을 주었던 것에 비해 본 고안의 간이 펜스(100)는 도로 안쪽에 위치하는 사람이 편안한 느낌을 갖게 하는 부수적인 이점이 있다.
[제2실시예]
도 4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간이 펜스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제2실시예에 의하면 펜스(110')의 폭이 제1실시예의 펜스(110)에 비해 2배 길기 때문에 1개의 펜스에 의한 차단거리가 증대된다. 이때, 펜스(110')의 폭이 길어지게 되어 지지대(120)의 연결부재(124)에 작용하는 하중이 증가된다. 따라서, 펜스(100')에 연결봉(112')이 3개 구비되고, 제1실시예의 지지대(120)와 동일한 지지대(120)가 3개가 구비되는 것이다. 또한, 펜스(110')의 폭을 더 길게 제작하고 지지대(120)의 개수를 늘릴 수 있다. 제2실시예에 따른 간이 펜스(100')는 지지대(120)가 3개 필요한데 비해, 제1실시예의 간이 펜스(100)는 동일한 거리를 차단시키기 위해 총 4개의 지지대(120)가 필요하므로 보다 효율적이라 할 수 있다.
[제3실시예]
도 5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간이 펜스의 측면도이다. 제3실시예에 따른 간이 펜스(100")는 지지대(120")의 구성이 다르고, 한 쌍의 펜스(110)가 구비 된다는 점에서 제1 및 제2실시예와 다르다.
지지대(1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막대형상의 지지부재(122")와 한 쌍의 연결부재(124a",124b")로 구성된다. 이때, 지지부재(122")의 길이는 제1실시예와 같이 0.5m ~ 1m이다.
한 쌍의 연결부재(124a",124b")는 지지부재(122")와 예각을 이루어 지지부재(122")의 양단부에 각각 고정된다. 이때, 연결부재들(124a",124b")과 지지부재(122")는 동일평면상으로 배열되고, 지지부재(112)와 연결부재(124a",124b") 사이의 각(β)은 제1 및 제2실시예보다 크고, 구체적 60°~ 80°를 이루게 된다.
펜스(110)는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의 펜스와 동일한 것으로 한 쌍이 구비된다. 이때, 한 쌍의 펜스(110)는 2개 이상의 연결봉(미도시)을 구비하게 되고, 연결봉(미도시)의 개수만큼 지지대(120")가 구비된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펜스(110) 각각은 한 쌍의 연결부재(124a",124b") 각각에 삽입된다. 이때, 한 쌍의 펜스(1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가 서로 접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한 쌍의 펜스(110) 각각은 β각만큼 경사진 상태로 서로 마주보게 되어 이등변 삼각형의 빗변을 이루게 된다. 이에 따라 한 쌍의 펜스(100)는 서로 지지되는 구조를 갖게 되어 간이 펜스(100")의 안정감이 증대된다.
한편, 제3실시예에 따른 간이 펜스(100")는 제1 및 제2실시예와 같이 지지부재(122")의 길이만큼 안전거리(S)가 확보되고, 간이 펜스(100)의 높이(H)는 0.8m ~ 1.4m이다. 또한, 지지대(120")의 연결부재(124a",124b") 각각에는 펜스(110)를 체결하기 위한 조임나사(130)가 구비된다. 그리고, 광고판 걸림돌기(140)가 형성되 어 간이 펜스(100")의 양쪽에 광고판(200)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제3실시예에 따른 간이 펜스(100")는 도로 중앙 또는 각종 행사장에 설치하여 분리대로 활용이 가능하다.
비록 본 고안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실용신안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간이 펜스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간이 펜스의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간이 펜스의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간이 펜스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간이 펜스의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간이 펜스 110 : 펜스
112 : 연결봉 120 : 지지대
122 : 지지부재 124 : 연결부재
130 : 조임나사 140 : 광고판 걸림돌기
200 : 광고판

Claims (10)

  1. 평면구조의 펜스와 상기 펜스를 지지하는 지지대로 구성되고, 사람 또는 차량의 출입을 차단하기 위한 간이 펜스에 있어서,
    상기 펜스는 하단부에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 복수의 연결봉을 갖고, 그리고
    상기 지지대는 막대형상의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와 예각을 이루어 상기 지지부재의 일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연결봉이 삽입되어 상기 펜스를 지지하는 연결부재;로 구성되어 상기 연결봉의 개수만큼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펜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이 펜스의 측단면에서 상기 펜스와 상기 지지부재가 각각 직각 삼각형의 빗변과 밑변을 이루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펜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0.5m ~ 1m의 길이를 갖고,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연결부재가 이루는 각이 45°~ 7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펜스.
  4. 평면구조의 펜스와 상기 펜스를 지지하는 지지대로 구성되고, 사람 및 차량의 출입을 차단하기 위한 간이 펜스에 있어서,
    하단부에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 복수의 연결봉을 갖는 상기 펜스가 한 쌍 구비되고,
    상기 지지대는 막대형상의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와 예각을 이루어 상기 지지부재의 양단부에 동일평면상으로 각각 고정되고, 상기 펜스의 연결봉이 삽입되는 한 쌍의 연결부재;로 구성되어 상기 연결봉의 개수만큼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펜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펜스는 상기 연결부재에 삽입시 각각의 상단부가 서로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펜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간이 펜스의 측단면에서 상기 한 쌍의 펜스가 이등변 삼각형의 빗변을 이루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펜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0.5m ~ 1m의 길이를 갖고, 상기 펜스와 상기 지지부재가 이루는 각이 60°~ 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펜스.
  8. 제1항 또는 4항에 있어서,
    상기 펜스는 금속제 원형 파이프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펜스.
  9.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펜스의 연결봉과 상기 지지대의 연결부재를 체결하는 조임나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펜스.
  10.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의 외측면에 상기 지지대의 외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광고판 걸림돌기; 및 일측이 상기 광고판 걸림돌기에 걸린채로 상기 펜스상에 기대어지는 광고판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펜스.
KR2020090004628U 2009-04-17 2009-04-17 간이 펜스 KR2010001054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4628U KR20100010544U (ko) 2009-04-17 2009-04-17 간이 펜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4628U KR20100010544U (ko) 2009-04-17 2009-04-17 간이 펜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0544U true KR20100010544U (ko) 2010-10-27

Family

ID=44200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4628U KR20100010544U (ko) 2009-04-17 2009-04-17 간이 펜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10544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27857A (en) * 2014-07-05 2016-01-06 Znd Uk Ltd Barrier apparatus
US11572666B2 (en) * 2016-11-17 2023-02-07 Amos Klein Easily transported and assembled modular barrie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27857A (en) * 2014-07-05 2016-01-06 Znd Uk Ltd Barrier apparatus
GB2527857B (en) * 2014-07-05 2016-11-09 Znd (Uk) Ltd Barrier support apparatus
US11572666B2 (en) * 2016-11-17 2023-02-07 Amos Klein Easily transported and assembled modular barri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30408B2 (en) Fence brace system
JP2010029182A (ja) 芝保護マット
US20060169965A1 (en) Pre-fabricated fencing panels
US5025748A (en) Portable scoring device
GB2466876A (en) Fencing with upper and lower plastics panels
US9208706B1 (en) Modular lawn sign and its associated method of assembly
KR20100010544U (ko) 간이 펜스
US6416431B1 (en) Basketball safety return II
US20140026454A1 (en) Frames and frame systems for portably supporting indicia-bearing media
KR101003478B1 (ko) 철망 울타리 설치용 지지대
US20070113449A1 (en) Transportable outdoor sign support structure
KR101256777B1 (ko) 입상 구조물의 오뚝이 타입 지지구조 장치
CN205558468U (zh) 一种底座定位型布艺安全防护围栏
KR200459182Y1 (ko) 안전지주 설치대
AU2003236434A1 (en) Modular fencing system
AU726455B3 (en) A padded barrier
CN208363464U (zh) 一种便于连接的建筑护栏
CN220643991U (zh) 一种公路施工用隔离带
KR102417040B1 (ko) 데크로드 시스템
CZ34127U1 (cs) Zábradlí
JP2001132281A (ja) プラスチック製フェンス連結用脚部
KR101213656B1 (ko) 도로 표지판
CN210395069U (zh) 一种新型公园通行桥
CN210217347U (zh) 一种公路施工用防倒型防护栏
KR100740316B1 (ko) 공동주택용 난간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