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0464A - 디스플레이 장치의 픽쳐 디스플레이 파라미터 설정을 조정하기 위한 픽쳐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의 픽쳐 디스플레이 파라미터 설정을 조정하기 위한 픽쳐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0464A
KR20100010464A KR1020090011225A KR20090011225A KR20100010464A KR 20100010464 A KR20100010464 A KR 20100010464A KR 1020090011225 A KR1020090011225 A KR 1020090011225A KR 20090011225 A KR20090011225 A KR 20090011225A KR 20100010464 A KR20100010464 A KR 201000104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ctures
picture
display
setting
quality par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1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66194B1 (ko
Inventor
김선태
안선홍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000104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04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61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61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8Window management, e.g. event handling following interaction with the use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04N21/4854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for modifying image parameters, e.g. image brightness, contr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20Circuitry for controlling amplitude response
    • H04N5/205Circuitry for controlling amplitude response for correcting amplitude versus frequency characteristic
    • H04N5/208Circuitry for controlling amplitude response for correcting amplitude versus frequency characteristic for compensating for attenuation of high frequency components, e.g. crispening, aperture distortion corr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7Control of contrast or brightn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elevision Receiver Circuit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의 픽쳐 디스플레이 설정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이 개시된다. 일 실시예는 동일한 시각적 컨텐트의 복수 개의 픽쳐들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동시에 디스플레이 하고, 복수 개의 픽쳐들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선택을 수신하며, 현재 픽쳐 설정을 선택된 픽쳐의 설정으로 조정하고, 복수 개의 픽쳐들은, 현재 픽쳐 설정에 따른 기준 픽쳐 및 기준 픽쳐를 기준으로 한 상이한 설정에 따른 하나 이상의 샘플 픽쳐를 포함한다. 과정은 반복될 수 있다.
TV, 설정, 조정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의 픽쳐 디스플레이 파라미터 설정을 조정하기 위한 픽쳐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Method and system for picture-based user interface for adjusting picture display parameter settings of a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텔레비전 픽쳐 설정을 조정하는 것에 관한 것이며, 특히 텔레비전 픽쳐 세팅을 조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관한 것이다.
많은 소비자들이 고화질의 픽쳐에 노출됨에 따라 디지털 텔레비전(Digital televisions, DTV)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소비자들은 픽쳐 특성에 대한 선호도가 상이하지만, 픽쳐의 화질에는 민감하다. 종래의 텔레비전 셋트는 대비(contrast), 휘도(brightness), 선명도(sharpness), 색상(color), 농담(tint)등과 같은 픽쳐 디스플레이 파라미터 설정들의 조정을 위하여 소비자가 이용할 수 있는 조정가능한 픽쳐 설정을 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픽쳐 설정들(특히 조합에 의한)을 변화함으로써 발생하는 시각적인 효과는 보통의 사용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없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하나의 설정을 변경하는 것이 관련된 설정들에 부수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설정들을 재조정하여야 한다.
따라서, 소비자들이 개인적인 취향에 부합하도록 픽쳐 설정을 적적하게 조절하는 것은 때때로 힘들고 시간이 많이 소비된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픽쳐 디스플레이 파라미터 설정들을 조정하기 위한 픽쳐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는 동일한 시각적 컨텐트의 복수 개의 픽쳐들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동시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상기 복수 개의 픽쳐들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 및 현재 픽쳐 설정을 상기 선택된 픽쳐의 설정으로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픽쳐들은, 현재 픽쳐 설정에 따른 기준 픽쳐 및 상기 기준 픽쳐를 기준으로 한 상이한 설정에 따른 하나 이상의 샘플 픽쳐를 포함하는 것과 관련된다. 과정은 반복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 및 다른 특징들, 관점 및 이점은 첨부된 상세한 설명, 청구항 및 도면을 참고하여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전자 디스플레이 장치의 픽쳐 디스플레이 파라미터 설정(픽쳐 설정 또는 파라미터 설정)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는 디스플레이 장치 설정을 조정하기 위한 픽쳐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관련되며, 이 경우 조정 시스템은 동일한 컨텐트(예를 들면 동일한 장면)내의 설정이 상이한 복수개의 픽쳐들(예를 들면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에 동시에 디스플레이 한다. 이 후, 시스템은 디스플레이 된 픽쳐들 중 선호하는 픽쳐 를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요구한다. 사용자가 선택한 픽쳐의 파라미터 설정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현재 선호되는 파라미터 설정임을 의미한다. 시스템은 사용자의 요청에 의하여, 현재 선택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시각적 컨텐트를 디스플레이 하는데 사용될 최종 디스플레이 설정 선택을 사용자가 만족할 때까지 상기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텔레비전(TV) 픽쳐 설정을 조절하는 픽쳐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시스템의 기능적 블록도를 나타낸다. 시스템(10)은 초기 설정에서 시작된 현재 픽쳐 설정(11)들의 집합을 보유한다. 이 후, 선호되는 픽쳐 설정을 나타내는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기 위하여, 비율 선택 모듈(12)은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될 상이한 픽쳐 설정을 갖는 복수 개의 픽쳐들에 대한 설정들의 집합을 선정한다.
픽쳐 디스플레이 모듈(13)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14)(예를 들면, TV 스크린에 디스플레이 되며, 리모컨(17)을 통하여 사용자 선택을 수신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을 통하여 복수 개의 픽쳐들을 생성하고 디스플레이 한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 개의 픽쳐들은 비율 선택 모듈(12)에 의하여 제공된 설정들에 따라 상이한 설정을 갖는 기준 픽쳐 및 샘플 픽쳐들을 포함한다. 모듈(12)에 의해서, 기준 픽쳐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픽쳐 설정들(파라미터 값들)이 자동적으로 결정(예를 들면 증가하거나 감소)된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중앙에 위치하는 기준 픽처는 현재 픽쳐 설정(예를 들면, 대비(contrast), 휘도(brightness), 선명도(sharpness), 색 상(color), 농담(tint))에 기초하여 생성된다. 기준 픽쳐의 주위에 위치하는 샘플 픽쳐들은 기준 픽쳐 및 다른 샘플 픽쳐들을 기준으로 한 상이한 설정을 갖는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4)를 사용하여 디스플레이 된 픽쳐들 중 선호하는 픽쳐(픽쳐 설정에 기초한)를 선택한다. 설정 조정부(15)는 현재 픽쳐 설정들(11)을 갱신하기 위하여 선택된 픽쳐의 픽쳐 설정을 사용하며, 선택된 픽쳐가 새로운 기준 픽쳐가 된다.
사용자가 원한다면, 다음번 반복에서 새로운 기준 픽쳐를 기준으로 하여 설정 값을 변경함으로써 스크린상의 샘플 픽쳐들이 갱신되고,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된 픽쳐들 중에서 다시 선택할 수 있다. 이 과정은 풀 스크린 모드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통상의 시각적 컨텐트에서 사용될 설정 및 최종 기준 픽쳐에 대하여 사용자가 만족할 때까지 계속된다.
픽쳐 설정 과정은 반복적인 선택 과정에 기초하여 넓은 범위의 가능한 설정으로부터 시작하여 좁은 범위의 사용자가 원하는 설정으로 진행된다. 처음에는, 픽쳐들간의 설정 차이가 상대적으로 크다. (예를 들면, 설정의 그레뉼러리티(granularity)가 대략적(coarse)이다.) 사용자가 선택을 하면, 갱신되는 픽쳐들의 설정 차이는 상대적으로 작아진다. (예를 들면, 그레뉼러리티가 정교하게 된다.) 이 과정은 픽쳐 들간의 설정 차이가 더 작아질 수 없는 단계까지 계속된다. (예를 들면, 그레뉼러리티가 TV의 하드웨어 성능이 지원하는 가장 정교한 수준이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는 기준 픽쳐 및 복수개의 샘플 픽쳐들이 보여지는 픽쳐 기반의 메뉴를 통하여 원하는 픽쳐를 선택할 수 있다. 도 2는 사용자가 TV의 선명도 파라미터를 변경할 수 있는 픽쳐 기반의 메뉴(100)의 일 예를 나타낸다. 기준 픽쳐(111)은 두 개의 샘플 픽쳐들(114A,114B)에 의하여 둘러싸여진다.
처음에는, 기준 픽처에 비하여 샘플 픽처가 많은 차이점을 갖는다. 일반적으로 TV는 전형적인 픽쳐 화질 파라미터 값의 허용 범위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선명도 파라미터의 허용 범위는 -50에서 50 사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기준 영상은 값의 상대적인 범위내에서 중간 위치의 파라미터 값을 가질 수 있다.(예를 들면, 선명도) 다른 실시예에서는, 원하는 설정이 현재 기준 픽쳐 설정과 유사하다는 가정에 의하여, 샘플 픽쳐가 기준 픽쳐에서 가까운 1/4 지점 또는 3/4 지점일 수 있다.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
도 3에서의 메뉴(120)의 일 예를 참고하면, 기준 픽쳐(111)의 좌측에 위치한 샘플 픽쳐(114A)는 -50에서 -1까지의 범위내에서의 선명도의 값을 나타내며, 이 때 샘플 픽쳐(114)의 값은 3/4 지점으로 (-50에서부터 -1의 3/4) -12일 수 있다. 유사하게, 기준 픽쳐(111)의 오른쪽에 위치한 샘플 픽쳐(114B)는 +1부터 +50가지의 범위 내에서의 선명도 값을 나타내며, 1/4 지점일 수 있다. (+1에서부터 +50까지의 1/4)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된 픽쳐들 중 최고의 픽쳐로써 샘플 픽쳐(114B)를 선택하였다면, 선택된 픽쳐는 사용자가 현재 기준 픽쳐(111)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더 큰 선명도 값을 선호함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선호된) 선명도 는 1과 50사이의 값이므로, -50에서부터 0까지 범위는 제외된다. 도 4의 메뉴(130)의 일 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에는 선택된 픽쳐(즉, 도 3의 픽쳐(114B))가 새로운 기준 픽쳐(111)로써 메뉴(130)의 중앙으로 이동된다.
또한, 선명도 값이 '8'인 새로운 픽쳐(1에서부터 11까지 중 3/4 지점)가 샘플 픽쳐(114A)로써 생성되며, 선명도 값이 '22'인 새로운 픽쳐(13에서부터 50까지 중 1/4지점)가 샘플 픽쳐(114B)로써 생성된다.
도 3의 메뉴(120)에서 사용자가 현재 기준 픽쳐(111)를 선택하였다면, 이는 선명도의 범위가 샘플 픽쳐(114A)에서부터 샘플 픽쳐(114B)의 범위인 경우가 선호되는 설정임을 의미한다. (샘플 픽쳐(114A,114B)의 선명도의 값은 제외) 이와 같이 메뉴(120)에서 사용자가 현재 기준 픽쳐(111)를 선택하면, 선호되는 선명도의 범위는 9에서부터 21까지가 될 것이다. 도 5의 메뉴(140)의 일 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이는 유효 범위를 1에서 50까지에서 9에서 21까지로 좁히게 된다.
도 3의 메뉴(120)에서 현재 기준 픽쳐(111)를 선택하면 기준 픽쳐에는 변화가 없으나 값의 범위가 좁아지게 되며, 갱신된 값의 범위에 기초하여 새로운 샘플 픽쳐들(도 5의 114A, 114B)이 생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새로운 픽쳐(도 5의 114A)는 선명도 값이 '10'이며(9에서 11가지의 3/4 지점) 새로운 샘플 픽쳐(114B)는 선명도 값이 '15'(13에서 20까지의 1/4)이다. 중간 값 대신에 1/4 또는 3/4 지점의 값을 사용하는 것은, 선호되는 값이 기준 픽쳐에 가깝게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 선호를 위한 선택 범위를 빠르게 좁힐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기준 및 샘플 픽쳐들의 디스플레이 과정과 사용자 선택의 유도 는 값의 범위가 더 이상 좁혀질 수 없을 때까지 계속되며, 최종 사용자 선택이 원하는 설정 값으로 사용된다. 상기 과정은 어떤 설정(예를 들면, 대비(contrast), 휘도(brightness), 선명도(sharpness), 색상(color), 농담(tint))에도 적용될 수 있다.
사용자 관점에서, 상기 과정은 디스플레이 된 픽쳐들 중 최적의 픽쳐를 선택하는 것과 관련된다. 사용자가 선택할 때마다, 선호되는 값의 범위가 빠르게 좁혀지게 되고 전체 선택의 횟수도 줄어들게 된다.
또한, 기준 픽쳐 뿐만 아니라 둘 이상의 샘플 픽쳐가 사용자 선택을 위하여 동시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일 예로, 두 개의 샘플 픽쳐들을 기준 픽쳐의 왼쪽에 디스플레이 하고, 두 개의 샘플 픽쳐들을 기준 픽쳐의 오른쪽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 후,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된 다섯 개의 픽쳐들 중 최적의 픽쳐를 선택할 수 있다.
둘 이상의, 특히 상호간에 영향을 미치는 픽쳐 설정 파라미터들을 동시에 조작하기 위하여, 시스템(10)은 도 6의 메뉴(150)의 일 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2차원적인 픽쳐들의 배열을 디스플레이 한다. (예를 들면, 중앙 기준 픽쳐(151)와 8개의 샘플 픽쳐들(152)) 이는, 기준 픽쳐(151) 및 샘플 픽쳐들(152)에 의하여 설정 선택 항목들에 관한 시각적 표현을 제공하며, 사용자의 선택에 기초하여 실시간으로 갱신될 수 있다. (대비(contrast), 휘도(brightness)), (컬러(color), 휴(hue)), (컬러(color), 농담(tint))등과 같은 관련된 설정들은 동시에 조정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된 복수개의 픽쳐들 중 최적의 픽쳐를 선택하는 것은 상술한 바 와 같이 사용자의 선택에 기초한다.
2차원적인 예는 하나의 파라미트의 값을 변화하는 것이 다른 파라미터의 설정을 최적화하게 되는 경우에 특히 유용하다. 예를 들면, 시청자는 일반적으로 대비(contrast) 파라미터가 증가하거나 감소하게 될 때 상이한 휘도(brightness)값을 선호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유사한 관계가 컬러(color)와 농담(tint)간에도 존재한다. 따라서, 종래에는 사용자가 먼저 휘도(brightness) 설정을 자신이 가장 선호하는 값으로 조정한 후, 대비(contrast)를 조정하면, 대비(contrast)의 조정에 따른 효과를 제거하기 위하여 휘도(brightness)를 다시 새롭게 선호되는 값으로 재조정하는 것이 필요하였다. 이로 인하여 상기 파라미터들에 대한 픽쳐 설정에 여러 번의 수동적인 동작이 필요하게 되며, 이것은 불편하고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파라미터 설정을 조정하는 것이 종종 쓸모없는 일이 된다.
종래 방법과는 달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차원적 배열 메뉴(150)는 관련된 파라미터 쌍들에 대하여 다양한 파라미터 설정들의 조합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대비(contrast), 휘도(brightness)), (컬러(color), 휴(hue)), (컬러(color), 농담(tint) 등등)
메뉴(150)에서 기준 픽쳐(151)(즉, 픽쳐 (e)는, 비율 선택 모듈(도 1의 12)에 따라 기준 픽쳐를 기준으로 한 상이한 대비(contrast) 및 휘도(brightness)를 갖는 여덟 개의 샘플 픽쳐들(152)(즉, 픽쳐 (a)(b)(c)(d)(f)(g)(h)(i))에 의하여 둘러 쌓여진다. 예를 들면, 샘플 픽쳐 (a)는 픽쳐 (e)에 비하여 더 큰 대비(contrast) 값을 가지지만, 더 작은 휘도(brightness)값을 갖는다. 또한, 픽쳐 (b)는 픽쳐 (e)에 비하여 더 큰 대비(contrast) 값을 가지며 휘도(brightness)값은 픽쳐 (e)와 동일하다. 디스플레이 모듈(13)은 비율 선택 모듈(12)로부터의 설정에 기초하여 9개의 픽쳐들을 생성하고, 9개의 픽쳐를 사용자 인터페이스(14)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한다.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입력 장치(예를 들면, 전형적인 리모컨에서의 숫자 버튼이나 8방향의 화살표 버튼 또는 조이스틱 등등을 사용하여)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된 9개의 픽쳐들 중 최적의 픽쳐를 선택한다.
도 2-5의 단일 파라미터 설정에 관한 설명의 일 예와 유사하게,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픽쳐는 새로운 기준 픽쳐로써 스크린의 중앙으로 이동된다. 샘플 픽쳐들은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갱신된다. 사용자 선택 및 샘플 픽쳐들의 갱신은 단일 파라미터 설정에서와 유사한 방법으로 계속된다. 텔레비전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가 복수개의 비디오 재생을 제어할 수 있다면, 샘플 픽쳐들은 사용자가 시청하고 있는 다양한 설정의 실시간 비디오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 및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픽쳐 디스플레이 파라미터 설정을 조정하는 시스템에 관한 블록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이한 픽쳐 화질 단일-파라미터 설정에 따라 디스플레이 된 복수 개의 픽쳐들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픽쳐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메뉴에 관한 일 예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이한 픽쳐 화질 복수-파라미터 설정에 따라 디스플레이 된 복수 개의 픽쳐들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픽쳐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메뉴에 관한 일 예이다.

Claims (21)

  1. 디스플레이 장치의 픽쳐 디스플레이 설정을 조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동일한 시각적 컨텐트의 복수 개의 픽쳐들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동시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상기 복수 개의 픽쳐들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 및
    현재 픽쳐 설정을 상기 선택된 픽쳐의 설정으로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픽쳐들은, 현재 픽쳐 설정에 따른 기준 픽쳐 및 상기 기준 픽쳐를 기준으로 한 상이한 설정에 따른 하나 이상의 샘플 픽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설정 조정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픽쳐들을 동시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 픽쳐 설정을 조정하는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설정 조정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각각의 픽쳐 설정이 다른 픽쳐들을 기준으로 한 픽쳐 화질 파라미터 범위내에서 상이한 비율이 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이한 픽쳐 화질 파라미터 설정들에 따 른 복수 개의 픽쳐들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픽쳐들을 동시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는, 상이한 픽쳐 화질 파라미터 설정들에 따라 생성된 복수 개의 픽쳐들을 동시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설정 조정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상이한 픽쳐 화질 파라미터 설정들에 따른 복수 개의 픽쳐들을 생성하는 단계, 복수 개의 픽쳐들을 동시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사용자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 픽쳐 설정을 조정하는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설정 조정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각각의 반복에서 상기 픽쳐 화질 파라미터 범위를 좁히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설정 조정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픽쳐 설정이 다른 픽쳐들을 기준으로 한 픽쳐 화질 파라미터 쌍의 범위내에서 상이한 비율이 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이한 픽쳐 화질 파라미터 설정들에 따른 복수 개의 픽쳐들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픽쳐들을 동시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 개의 픽 쳐들을 동시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설정 조정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픽쳐들은, 2차원 배열로써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상에 디스플레이 되며,
    상기 차원은, 상기 화질 파라미터 범위들 중 하나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설정 조정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픽쳐들을 동시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는,
    상기 동일한 시각적 컨텐트의 복수 개의 동영상들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동시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정 조정 방법.
  9. 디스플레이 장치의 픽쳐 디스플레이 설정을 조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동일한 시각적 컨텐트의 복수 개의 픽쳐들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동시에 디스플레이 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복수 개의 픽쳐들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선택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 및
    현재 픽쳐 설정을 상기 선택된 픽쳐의 설정으로 조정하도록 구성된 조정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픽쳐들은, 현재 픽쳐 설정에 따른 기준 픽쳐 및 상기 기준 픽쳐를 기준으로 한 상이한 설정에 따른 하나 이상의 샘플 픽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설정 조정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각각의 픽쳐 설정이 다른 픽쳐들을 기준으로 한 픽쳐 화질 파라미터 범위내에서 상이한 비율이 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이한 화질 파라미터 설정들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비율 선택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상이한 픽쳐 화질 파라미터 설정들에 따른 복수 개의 픽쳐들을 생성하고 상기 복수 개의 픽쳐들을 동시에 디스플레이 하도록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설정 조정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비율 선택 모듈은,
    복수의 픽쳐들의 디스플레이 및 사용자 선택의 반복에 대하여, 상기 픽쳐 화질 파라미터 범위를 좁히도록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설정 조정 장치.
  12. 제 9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픽쳐 설정이 다른 픽쳐들을 기준으로 한 픽쳐 화질 파라미터 쌍의 범위내에서 상이한 비율이 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이한 픽쳐 화질 파라미터 설정들에 따른 복수 개의 픽쳐들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비율 선택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상이한 픽쳐 파라미터 설정들에 따른 복수 개의 픽쳐들을 생성하고, 상기 복수 개의 픽쳐들을 동시에 디스플레이 하도록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설정 조정 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픽쳐들은,
    상기 복수 개의 픽쳐들은, 2차원 배열로써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상에 디스플레이 되며,
    각각의 차원은, 상기 화질 파라미터 범위들 중 하나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설정 조정 장치.
  14.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픽쳐들은,
    상기 동일한 시각적 컨텐트의 동영상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설정 조정 장치.
  15.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텔레비전 셋(set)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설정 조정 장치.
  16. 전자(electronic)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비디오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며, 조정 가능한 픽쳐 화질 설정들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기 픽쳐 디스플레이 설정을 조정하도록 구성된 조정 제어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조정 제어 모듈은, 동일한 시각적 컨텐트의 복수 개의 픽쳐들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동시에 디스플레이 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복수 개의 픽쳐들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선택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 및
    현재 픽쳐 설정을 상기 선택된 픽쳐의 설정으로 조정하는 조정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픽쳐들은, 현재 픽쳐 설정에 따른 기준 픽쳐 및 상기 기준 픽쳐를 기준으로 한 상이한 설정에 따른 하나 이상의 샘플 픽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각각의 픽쳐 설정이 다른 픽쳐들을 기준으로 한 픽쳐 화질 파라미터 범위내에서 상이한 비율이 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이한 화질 파라미터 설정들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비율 선택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상이한 픽쳐 화질 파라미터 설정들에 따른 복 수 개의 픽쳐들을 생성하고 상기 복수 개의 픽쳐들을 동시에 디스플레이 하도록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비율 선택 모듈은,
    복수의 픽쳐들의 디스플레이 및 사용자 선택의 반복에 대하여, 상기 픽쳐 화질 파라미터 범위를 좁히도록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스플레이 장치.
  19. 제 16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픽쳐 설정이 다른 픽쳐들을 기준으로 한 픽쳐 화질 파라미터 쌍의 범위내에서 상이한 비율이 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이한 픽쳐 화질 파라미터 설정들에 따른 복수 개의 픽쳐들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비율 선택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상이한 픽쳐 파라미터 설정들에 따른 복수 개의 픽쳐들을 생성하고, 상기 복수 개의 픽쳐들을 동시에 디스플레이 하도록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스플레이 장치.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픽쳐들은,
    상기 복수 개의 픽쳐들은, 2차원 배열로써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상에 디스플레이 되며,
    각각의 차원은, 상기 화질 파라미터 범위들 중 하나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스플레이 장치.
  21.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픽쳐들은,
    상기 동일한 시각적 컨텐트의 동영상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스플레이 설정 장치.
KR1020090011225A 2008-07-22 2009-02-11 디스플레이 장치의 픽쳐 디스플레이 파라미터 설정을 조정하기 위한 픽쳐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 KR1015661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177,776 2008-07-22
US12/177,776 US8310594B2 (en) 2008-07-22 2008-07-22 Method and system for picture-based user interface for adjusting picture display parameter settings of a display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0464A true KR20100010464A (ko) 2010-02-01
KR101566194B1 KR101566194B1 (ko) 2015-11-06

Family

ID=41568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1225A KR101566194B1 (ko) 2008-07-22 2009-02-11 디스플레이 장치의 픽쳐 디스플레이 파라미터 설정을 조정하기 위한 픽쳐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310594B2 (ko)
KR (1) KR10156619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29078B2 (en) 2018-01-04 2021-02-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for generating screen image to be displayed by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24101490A1 (ko) * 2022-11-11 2024-05-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화질 설정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28181A1 (en) * 2008-11-25 2010-05-27 Advanced Micro Devices, Inc. Seam Based Scaling of Video Content
US20110113361A1 (en) * 2009-11-06 2011-05-12 Apple Inc. Adjustment presets for digital images
JP5441672B2 (ja) * 2009-12-25 2014-03-12 キヤノン株式会社 投射型表示装置
JP5833822B2 (ja) * 2010-11-25 2015-12-1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子機器
US9064448B1 (en) 2011-08-31 2015-06-23 Google Inc. Digital image comparison
KR20130074299A (ko) * 2011-12-26 2013-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질 조절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 촬영 장치
KR20140085052A (ko) * 2012-12-27 2014-07-0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EP2753069A1 (en) * 2013-01-08 2014-07-09 PIXarithmic GmbH Method of dynamic real-time video processing and apparatus to execute the method
KR102063915B1 (ko) 2013-03-14 2020-01-08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기기 및 그 동작 방법
CN103631577A (zh) * 2013-09-04 2014-03-12 华为技术有限公司 图像显示调节方法和装置
CN106610821B (zh) * 2015-10-22 2020-05-12 海信视像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在终端上显示图片的方法和终端
CN106851434A (zh) * 2015-12-07 2017-06-13 天津三星电子有限公司 显示终端画质调整方法、装置及显示终端
KR102438199B1 (ko) * 2015-12-24 2022-08-3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설정 값을 변경하는 방법
CN108965901B (zh) * 2018-07-06 2021-02-02 武汉斗鱼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直播平台的显示方法及电子设备
US11375283B2 (en) * 2018-10-30 2022-06-28 Sony Group Corporation Configuring settings of a television
KR102613328B1 (ko) * 2019-01-17 2023-12-1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15552917A (zh) 2019-12-18 2022-12-30 海信视像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设备
WO2023249136A1 (ko) * 2022-06-22 2023-1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화질 설정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27228A (en) * 1992-07-30 1994-07-05 North American Philips Corporation System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television pictures using rule based dynamic control
KR0176825B1 (ko) * 1995-08-16 1999-05-01 구자홍 티브이의 영상 모드 선택 방법 및 그 장치
JP4564613B2 (ja) * 1999-10-19 2010-10-2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テレビジョン受像機、及び、画像処理方法
JP3701204B2 (ja) * 2001-01-18 2005-09-2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質調整機能を有する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方法、並びに記録媒体
KR100512716B1 (ko) * 2001-05-04 2005-09-0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의 색상조정방법
US7071969B1 (en) * 2001-09-27 2006-07-04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Parameterized preview array for iterative image optimization in remote applications
WO2003036949A1 (en) * 2001-10-23 2003-05-0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isplay system and method of adjusting display settings of a display device
KR100595442B1 (ko) * 2003-07-31 2006-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JP4670494B2 (ja) * 2005-06-13 2011-04-1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表示装置及び表示画質設定方法
JP2007235506A (ja) * 2006-03-01 2007-09-13 Pioneer Electronic Corp 画像調整装置および画像調整方法
US20080043031A1 (en) * 2006-08-15 2008-02-21 Ati Technologies, Inc. Picture adjustment methods and apparatus for image display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29078B2 (en) 2018-01-04 2021-02-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for generating screen image to be displayed by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24101490A1 (ko) * 2022-11-11 2024-05-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화질 설정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020238A1 (en) 2010-01-28
US8310594B2 (en) 2012-11-13
KR101566194B1 (ko) 2015-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10464A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픽쳐 디스플레이 파라미터 설정을 조정하기 위한 픽쳐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
JP3957730B2 (ja) 画像表示装置
KR100878767B1 (ko) 사용자 색선호성 데이터 생성 방법
JP5774817B2 (ja) ディスプレイのカラー・グレーディングを提供する方法、装置及びシステム
US8373700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CN111149346B (zh) 用于编码和解码高动态范围视频的方法、装置和介质
EP2312431B1 (en) Method of adjusting image-quality
US20210272238A1 (en) Method to generate additional level of detail when zooming in on an image
EP1848209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ing image
JP2007235506A (ja) 画像調整装置および画像調整方法
US20070104384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Enhancing Digital Images
JP2007065680A (ja) 画像表示装置
US20080256579A1 (en) Assisted User Control in Recommenders
KR102273331B1 (ko)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기록 매체
JP6190482B1 (ja) 表示制御装置、表示装置、テレビジョン受像機、表示制御装置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11062642B2 (en) Display apparatus for comparing and displaying image signals in a plurality of image qualities and control method thereof
TWI557718B (zh) 用於視覺障礙之改良的視覺可傳達性
US8272006B2 (en) Information signal processing apparatus, method of creating database, method of processing information signal, and program for implementing method of processing information signal
JP2008225372A (ja) 画像表示装置、画質調整情報提供装置、画像表示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JP2008147889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その方法
US20020080278A1 (en) Display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16014269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presenting color gamut
JP2006033212A (ja) 映像信号処理装置及びテレビジョン装置
JP2004240606A (ja) カラーマネジメントシステム及びカラーマネジメント方法並びにカラーマネジメントプログラム
US2009007318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ing color of images reproduced by image reproduc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