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3331B1 -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3331B1
KR102273331B1 KR1020157019961A KR20157019961A KR102273331B1 KR 102273331 B1 KR102273331 B1 KR 102273331B1 KR 1020157019961 A KR1020157019961 A KR 1020157019961A KR 20157019961 A KR20157019961 A KR 20157019961A KR 102273331 B1 KR102273331 B1 KR 1022733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information
physical property
unit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9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6826A (ko
Inventor
테츠지로 콘도
Original Assignee
아이큐브드 연구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큐브드 연구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이큐브드 연구소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501168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68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33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33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46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display composed of modules, e.g. video wal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60Editing figures and text; Combining figures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40Scaling of whole images or parts thereof, e.g. expanding or contracting
    • G06T3/4038Image mosaicing, e.g. composing plane images from plane sub-imag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1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 G09G3/00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to project the image of a two-dimensional display, such as an array of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or a C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20Special algorithmic details
    • G06T2207/20212Image combination
    • G06T2207/20221Image fusion; Image merg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Composi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6Video wall, i.e. juxtaposition of a plurality of screens to create a display screen of bigger dimens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33Improving the luminance or brightness uniformity across the scre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61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in the context of movement of objects on the screen or movement of the observer relative to the scre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66Reduction of sub-frame artefac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71Adjustment of the gradation levels within the range of the gradation scale, e.g. by redistribution or clipping
    • G09G2320/0276Adjustment of the gradation levels within the range of the gradation scale, e.g. by redistribution or clipping for the purpose of adaptation to the characteristics of a display device, i.e. gamma correc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07Resolution change, inclusive of the use of different resolutions for different screen are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Television System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Abstract

(과제) 종래에는 물리적 대상을 촬영하여 화상으로 변환하거나 디지털 처리할 경우에 오브젝트의 크기나 웅장함 등의 물리적 특성이 손실되는 문제가 있었다.
(해결수단) 수신한 1 또는 2 이상의 화상에 디지털 처리를 실시하여, 1 또는 2 이상의 처리 화상을 획득하는 디지털 처리부, 1 또는 2 이상의 처리 화상에서 화상 내에 포함되는 대상이 갖는 1 이상의 물리적 특성과 비교하여 소실된 물리적 특성에 관한 정보인 물리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물리 특성 정보 획득부, 1 또는 2 이상의 처리 화상을 이용하여 물리 특성 정보에 대응하는 물리적 특성을 부가하기 위한 처리인 물리적 특성 처리를 실시하는 물리적 특성 처리부, 및 물리적 특성 처리가 실시된 처리 화상을 출력하는 출력부를 구비하는 화상 처리 장치에 의해, 화상 내에 나타나는 대상의 소실된 물리적 특성을 최대한 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기록 매체{IMAGE PROCESSING DEVICE, IMAGE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수신한 화상에 대해 처리를 실시하고 적절한 출력 화상을 얻는 화상 처리 장치 등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화상을 구성하는 화소의 화소 데이터를 보간하는 디지털 화상 신호의 보간 장치가 있었다(특허 문헌 1 참조).
또한, 제1의 디지털 비디오 신호에서 상기 제1의 디지털 비디오 신호보다 화소 수가 많은 제2의 디지털 비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디지털 비디오 신호 변환 장치가 있었다(특허 문헌 2 참조).
일본 특허 제2825482호 공보 (제1 항, 제1 도 등) 일본 특허 제3072306호 공보 (제1 항, 제1 도 등)
그러나 종래 기술에서는 물리적 대상을 촬영하는 등을 통해 화상으로 변환하거나, 해당 화상을 디지털 처리한 경우, 오브젝트의 크기나 웅대함 등의 물리적 특성이 손실되고, 화상을 보는 사용자에게 화상 속 대상의 물리적 특성이 전해지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제1 발명의 화상 처리 장치는 1 또는 2 이상의 화상을 수신하는 화상 수신부, 화상 수신부가 수신한 1 또는 2 이상의 화상에 디지털 처리를 실시하여, 1 또는 2 이상의 처리 화상을 얻는 디지털 처리부, 화상 수신부가 수신한 1 또는 2 이상의 화상에서 화상 내에 포함되는 대상이 갖는 1 이상의 물리적 특성과 비교하여 소실된 물리적 특성에 관한 정보인 물리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물리 특성 정보 획득부, 1 또는 2 이상의 처리 화상을 이용하여 물리 특성 정보에 대응하는 물리적 특성을 부가하기 위한 처리인 물리적 특성 처리를 실시하는 물리적 특성 처리부, 및 상기 물리적 특성 처리를 실시한 처리 화상을 출력하는 출력부를 구비하는 화상 처리 장치이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화상 내에 포함되어 있는 대상의 소실된 물리적 특성을 최대한 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제2 발명의 화상 처리 장치는 제1 발명에 대하여, 디지털 처리부는 물리적 특성 처리부가 물리적 특성 처리를 한 후에 얻어지는 정보인 처리 후 정보를 이용하여, 화상 수신부가 수신한 1 또는 2 이상의 화상에 디지털 처리를 실시하고, 1 또는 2 이상의 처리 화상을 획득하는 화상 처리 장치이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물리적 특성 처리를 반영한 디지털 처리를 할 수 있으며, 화상 내에 포함되어 있는 대상의 소실된 물리적 특성을 보다 높은 정밀도로 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제3 발명의 화상 처리 장치는 제1 발명에 대하여, 디지털 처리부는 물리 특성 정보를 이용하여 화상 수신부가 수신한 1 또는 2 이상의 화상에 대해 디지털 처리를 실시하고, 1 또는 2 이상의 처리 화상을 획득하는 화상 처리 장치이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물리 특성 정보를 반영한 디지털 처리를 할 수 있으며 화상 내에 포함되어 있는 대상의 소실된 물리적 특성을 보다 높은 정밀도로 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제4 발명의 화상 처리 장치는 제1 내지 제3의 어느 하나의 발명에 대하여, 물리 특성 정보 획득부는 화상 수신부가 수신한 1 또는 2 이상의 화상 또는 1 또는 2 이상의 처리 화상을 이용하여 물리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화상 처리 장치이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화상 내에 포함되어 있는 대상의 소실된 물리적 특성을 최대한 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제5 발명의 화상 처리 장치는 제1 내지 제4의 어느 하나의 발명에 대하여, 1 또는 2 이상의 화상의 전부 또는 일부분과, 화상과 동일한 대상에 대한 화상인 처리 화상의 전부 또는 일부분과의 대응을 위한 정보이며, 물리 특성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인 1 또는 2 이상의 대응 정보를 갖는 룩업 테이블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부를 더 구비하고, 디지털 처리부는 1 또는 2 이상의 대응 정보 중 어느 하나의 대응 정보를 이용하여 화상 수신부가 수신한 1 이상의 화상의 전부 또는 일부분에 대응하는 1 또는 2 이상의 처리 화상의 전부 또는 일부분을 획득하고, 물리 특성 정보 획득부는 1 또는 2 이상의 대응 정보 중 어느 하나의 대응 정보를 이용하여 물리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화상 처리 장치이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화상 내에 포함되어 있는 대상의 소실된 물리적 특성을 최대한 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제6 발명의 화상 처리 장치는 제1 또는 제4의 발명에 대하여, 1 또는 2 이상의 화상의 전부 또는 일부분과, 화상과 동일한 대상에 대한 화상인 처리 화상의 전부 또는 일부분과 대응시키기 위한 정보이며, 물리 특성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인 1 또는 2 이상의 대응 정보를 갖는 2 이상의 룩업 테이블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부를 더 구비하고, 디지털 처리부는 2 이상의 룩업 테이블 중 어느 하나의 룩업 테이블의 대응 정보 중 어느 하나의 대응 정보를 이용하여 화상 수신부가 수신한 1 이상의 화상의 전부 또는 일부분에 대응하는 1 또는 2 이상의 처리 화상의 전부 또는 일부분을 획득 물리 특성 정보 획득부는 2 이상의 룩업 테이블 중 어느 하나의 룩업 테이블의 대응 정보 중 중 하나 지원 정보를 이용하여 물리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화상 처리 장치이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화상 내에 포함되어 있는 대상의 소실된 물리적 특성을 최대한 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제7 발명의 화상 처리 장치는 제5 또는 제6 발명에 대하여, 화상 수신부가 수신한 1 이상의 화상의 전부 또는 일부분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검색하며, 분석 결과에 대응하는 대응 정보를 선택하는 화상 분석부를 더 구비하고, 디지털 처리부는 화상 분석부가 선택한 대응 정보를 이용하여 화상 수신부가 수신한 1 이상의 화상의 전부 또는 일부분에 대응하는 1 또는 2 이상의 처리 화상의 전부 또는 일부분을 획득하고, 물리 특성 정보 획득부는 화상 분석부가 선택한 대응 정보를 이용하여 물리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화상 처리 장치이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화상 내에 포함되어 있는 대상의 소실된 물리적 특성을 최대한 재현할 수 있다.
또한, 제8 발명의 화상 처리 장치는 제1 내지 제3의 어느 하나의 발명에 대하여, 화상 수신부는 1 또는 2 이상의 화상에 대응되는 물리 특성 정보도 수신하고, 물리 특성 정보 획득부는 1 또는 2 이상의 화상에 대응되는 물리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화상 처리 장치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촬영 현장 등에서 획득할 수 있는 대상의 물리적 특성이며, 화상 내에 포함되어 있는 대상의 소실된 물리적 특성을 최대한 재현할 수 있다.
또한, 제9 발명의 화상 처리 장치는 제1부터 제3의 어느 하나의 발명에 대하여, 물리 특성 정보를 수신하는 물리 특성 정보 수신부를 더 구비하고, 물리 특성 정보 획득부는 물리 특성 정보 수신부가 수신한 물리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화상 처리 장치이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물리적 특성이며 화상 내에 포함되어 있는 대상의 소실된 물리적 특성을 최대한 재현할 수 있다.
또한, 제10 발명의 화상 처리 장치는 제1 내지 제9의 어느 하나의 발명에 대하여, 물리적 특성 처리부는 1 또는 2 이상의 처리 화상을 광 출력하는 경우, 물리 특성 정보에 따라 광 출력을 위한 제어를 수행하고, 출력부는 물리적 특성 처리부가 수행한 광 출력을 위한 제어에 따라 1 또는 2 이상의 처리 화상에 대하여 광 출력을 위한 제어가 실시된 1 또는 2 이상의 처리 화상을 출력하는 화상 처리 장치이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화상 내에 포함되어 있는 대상의 소실된 물리적 특성을 최대한 재현하기 위해 광 출력 제어가 있다.
또한, 제11 발명의 화상 처리 장치는 제10 발명에 대하여, 물리 특성 정보는 광량에 관한 정보이며, 물리적 특성 처리부는 물리 특성 정보에 따라 광 출력하는 경우의 광량을 설정하고, 출력부는 설정된 광량에 따라 1 또는 2 이상의 처리 화상을 출력하는 화상 처리 장치이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화상 내에 포함되어 있는 대상의 소실된 물리적 특성을 최대한 재현하기 위해 광량 제어가 있다.
또한, 제12 발명의 화상 처리 장치는 제11 발명에 대하여, 물리 특성 정보는 시야각에 관한 정보이며, 물리적 특성 처리부는 물리 특성 정보에 따라 시야각을 설정하고, 출력부는 설정된 시야각에 따라 1 또는 2 이상의 처리 화상을 출력하는 화상 처리 장치이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화상 내에 포함되어 있는 대상의 소실된 물리적 특성을 최대한 재현하기 위해 광 출력시의 시야각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13 발명의 화상 처리 장치는 제9 내지 제12의 어느 하나의 발명에 대하여, 화상 처리 장치는 복수의 출력부를 구비하고, 물리 특성 정보 획득부는 복수의 출력부의 광 출력을 제어하는 정보인 물리 특성 정보를 획득하고, 물리적 특성 처리부는 물리 특성 정보에 따라 복수의 출력부의 광 출력을 위한 제어를 수행하는 화상 처리 장치이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화상 내에 포함되어 있는 대상의 소실된 물리적 특성을 최대한 재현하기 위해 복수의 출력부를 광 출력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14 발명의 화상 처리 장치는 제2 내지 제13의 어느 하나의 발명에 대하여, 출력부가 출력한 1 또는 2 이상의 처리 화상 정보인 출력 화상 정보를 획득하는 출력 화상 정보 획득부를 더 구비하고, 처리 후 정보는 출력 화상 정보인 화상 처리 장치이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출력된 화상에서 얻어지는 정보를 이용한 피드백 제어에 의해 화상 내에 포함되어 있는 대상의 소실된 물리적 특성을 보다 높은 정밀도로 재현할 수 있다.
또한, 제15 발명의 화상 처리 장치는 제2, 제4 내지 제13의 어느 하나의 발명에 대하여, 처리 화상을 보는 사용자의 반응에 관한 정보인 사용자 반응 정보를 획득하는 사용자 정보 획득부를 더 구비하고, 처리 후 정보는 사용자 반응 정보인 화상 처리 장치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출력된 화상을 보고 있는 사용자의 반응을 이용한 피드백 제어에 의해 화상 내에 나타나는 대상의 소실된 물리적 특성을 보다 높은 정밀도로 재현할 수 있다.
또한, 제16 발명의 화상 처리 장치는 제2, 제4 내지 제15의 어느 하나의 발명에 대하여, 처리 후 정보는 표시 화면 면적에 관한 정보이며, 디지털 처리부는 표시 화면 면적에 따라 시공간 휘도 액티비티를 조정하는 처리를 화상 수신부가 수신한 1 또는 2 이상의 화상에 대해 실시하는 화상 처리 장치이다.
또한, 제17 발명의 화상 처리 장치는 제1 내지 제16의 어느 하나의 발명에 대하여, 디지털 처리부는 화상이 갖는 화소 및 영역에 대한 1 이상의 구속 조건을 저장할 수 있는 구속 조건 저장 수단, 및 화상 수신부가 수신한 1 또는 2 이상의 화상이 1 이상의 구속 조건을 충족하기 위해 1 또는 2 이상의 화상을 갖는 화소 및 영역을 변경하고 1 또는 2 이상의 처리 화상을 획득하는 디지털 처리 수단을 구비하는 화상 처리 장치이다.
또한, 제18 발명의 화상 처리 장치는 제1 내지 제17의 어느 하나의 발명에 대하여, 물리적 특성 처리부는 물리 특성 정보에 관한 1 이상의 구속 조건을 저장할 수 있는 물리적 특성 구속 조건 저장 수단, 및 출력부가 출력하는 1 또는 2 이상의 화상이 1 이상의 구속 조건을 충족하도록 물리 특성 정보를 변경하고 1 또는 2 이상의 처리 화상을 획득하는 물리적 특성 처리 수단을 구비하는 화상 처리 장치이다.
또한, 제19 발명의 화상 처리 장치는 제17 또는 제18의 발명에 대하여, 구속 조건은 화상이 갖는 화소 및 영역의 휘도값에 대한 조건이며, 디지털 처리 수단은 1 이상의 구속 조건을 충족하도록 화상 수신부가 수신한 1 또는 2 이상의 화상이 갖는 화소 및 영역의 휘도값을 변경하고 1 또는 2 이상의 처리 화상을 획득하는 화상 처리 장치이다.
또한, 제20 발명의 화상 처리 장치는 제17 또는 제18의 발명에 대하여, 구속 조건은 화상이 갖는 2 이상의 화소 간 및 지역 간의 관계에 관한 조건이며, 디지털 처리부는 시야의 범위에 관한 정보인 시야 범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시야 범위 정보 저장 수단을 더 구비하고, 디지털 처리 수단은 화상 내의 범위이며, 시야 범위 정보가 나타내는 시야 범위에서 1 이상의 구속 조건을 충족하도록 화상 수신부가 수신한 1 또는 2 이상의 화상을 갖는 화소 및 영역의 휘도값을 변경하고 1 또는 2 이상의 처리 화상을 획득하는 화상 처리 장치이다.
또한, 제21 발명의 화상 처리 장치는 제1 내지 제12의 어느 하나의 발명에 대하여, 출력부는 출력에 관한 1 이상의 구속 조건을 저장할 수 있는 출력 구속 조건 저장 수단, 및 출력하는 1 또는 2 이상의 화상이 상기 1 이상의 구속 조건을 충족하도록 처리 화상을 변경하고 해당 변경한 1 또는 2 이상의 처리 화상을 출력하는 출력 수단을 구비하는 화상 처리 장치이다.
또한, 제22 발명의 화상 처리 장치는 제1 내지 제21의 어느 하나의 발명에 대하여, 물리 특성 정보 획득부는 화상 수신부가 수신한 1 또는 2 이상의 화상이 포함되는 대상의 크기에 대응하는 표시 화면 면적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고, 물리적 특성 처리부는 표시 화면 면적에 관한 정보를 설정하고, 출력부는 표시 화면 면적에 관한 정보에 따라 1 또는 2 이상의 처리 화상을 출력하는 화상 처리 장치이다.
또한, 제23 발명의 화상 처리 장치는 제1 내지 제21의 어느 하나의 발명에 대하여, 화상 처리 장치는 해상도가 서로 다른 복수의 출력부를 구비하고, 물리 특성 정보 획득부는 처리 화상을 구성하는 부분의 화상이며, 복수의 각 출력부에 의해 출력되는 화상인 부분 화상을 특정하는 부분 특정 정보를 복수의 출력부마다 획득하고, 복수의 각 출력부는 자신의 부분 특정 정보로 특정되는 부분 화상을 출력하는 화상 처리 장치이다.
또한, 제24 발명의 화상 처리 장치는 제1 내지 제21의 어느 하나의 발명에 대하여, 화상 처리 장치는 복수의 출력부를 구비하고, 화상 수신부는 하나의 대상을 서로 다른 환경에서 촬영한 2 종류 이상의 화상을 수신하고, 디지털 처리부는 2 종류 이상의 화상에 대하여 디지털 처리를 실시하여, 2 종류 이상의 처리 화상을 획득하고, 물리 특성 정보 획득부는 2 종류 이상의 각 처리 화상의 전부 또는 일부를 특정하는 정보인 물리 특성 정보를 획득하고, 물리적 특성 처리부는 복수의 각 출력부에 대하여 물리 특성 정보에 따라 2 이상의 처리 화상의 전부 또는 일부를 중첩하여 출력하도록 지시하는 화상 처리 장치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에 의하면, 화상 내에 포함되어 있는 대상의 소실된 물리적 특성을 최대한 재현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의 화상 처리 장치(1)의 블록도이다.
도 2는 실시예 1의 화상 처리 장치(1)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은 실시예 1의 화상 분석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실시예 1의 디지털 처리에 대해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실시예 1의 종류 식별자 획득 처리의 예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은 실시예 1의  화상 처리 장치(1)의 개념도이다.
도 7은 실시예 1의 화상 처리 장치(1)의 구체적인 처리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실시예 1의 화상 처리 장치(1)의 구체적인 처리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실시예 1의 화상 처리 장치(1)의 구체적인 처리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실시예 1의 화상 처리 장치(1)의 구체적인 처리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실시예 1의 화상 처리 장치(1)의 구체적인 처리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실시예 1의 화상 처리 장치(1)의 구체적인 처리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실시예 2의 화상 처리 장치(2)의 블록도이다.
도 14는 실시예 2의 화상 처리 장치(2)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5는 실시예 3의 화상 처리 장치(3)의 블록도이다.
도 16은 실시예 3의 화상 처리 장치(3)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7은 상기 실시예의 컴퓨터 시스템의 개관도이다.
도 18은 상기 실시예의 컴퓨터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이하, 화상 처리 장치 등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실시예에서 동일한 부호를 붙인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동작을 수행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실시예 1)
본 실시예에서 수신한 화상에 디지털 처리를 한 후, 화상 내의 대상의 소실된 물리적 성질에 관한 정보인 물리 특성 정보를 획득하고, 해당 물리적 특성 정보에 대응하는 물리적 특성을 재현하기 위한 물리적 특성 처리를 실시하고, 출력 화상을 획득하는 화상 처리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물리적 성질이란 물리적 특성이라고도 하며, 화상 내의 대상(전체 화상일 수도 있다)이 본래 가지고 있는 물리적인 성질이며, 예를 들어 화상 내의 대상 등의 크기, 움직임, 휘도, 색 등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물리적 특성 처리 후 얻어지는 정보를 이용하여 디지털 처리를 실시하는 화상 처리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입력 화상, 처리 도중의 화상, 또는 출력 화상을 이용하여 물리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화상 처리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룩업 테이블(이하, 적절히 'LUT'라고 함)을 이용하여 디지털 처리 및 물리적 특성 처리를 실시하는 화상 처리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복수의 LUT에서 적절한 LUT를 선택하고, 해당 선택한 LUT를 사용하여 디지털 처리 및 물리적 특성 처리를 실시하는 화상 처리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디지털 처리의 구체예로서 시공간 휘도 액티비티의 변경, 구속 조건을 이용한 시공간 휘도 보정, 구속 조건을 이용한 화소 간 및 지역 간의 관계를 유지하는 처리 등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물리적 특성 처리의 예로서 광 출력 제어를 수행하는 화상 처리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물리적 특성 처리의 구체예로서 화상의 크기를 시야각의 크기에 가깝게 하는 처리, 공간 해상도를 적절히 불균일하게 하는 처리, 동일한 대상에 대한 2 이상의 촬영 화상을 중첩하여 출력하는 처리 등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화상은 동영상일 수도 있고, 정지 화면일 수도 있다. 화상이 동영상인 경우, 화상은 2 이상의 필드를 가진다. 또한, 1 필드는 1 화면이고, 1 프레임이라 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의 화상 처리 장치(1)의 블록도이다. 화상 처리 장치(1)는 저장부(10), 화상 수신부(11), 화상 분석부(12), 디지털 처리부(13), 물리 특성 정보 획득부(14), 물리적 특성 처리부(15), 1 또는 2 이상의 출력부(16), 출력 화상 정보 획득부(17), 출력 파라미터 획득부(18), 사용자 정보 획득부(19)를 구비한다.
디지털 처리부(13)는 예를 들어, 구속 조건 저장 수단(131), 시야 범위 정보 저장 수단(132), 디지털 처리 수단(133)을 구비한다.
물리적 특성 처리부(15)는 예를 들어, 물리적 특성 구속 조건 저장 수단(151), 물리적 특성 처리 수단(152)을 구비한다.
출력부(16)는 예를 들어, 출력 구속 조건 저장 수단(161), 출력 수단(162)을 구비한다.
여기서, 화상 처리 장치(1)가 갖는 출력부(16)는 예를 들어, 프로젝터, 유기 EL 등의 광 출력을 수행하는 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단, 출력부(16)는 액정, 브라운관 등의 출력 장치일 수도 있다. 즉, 화상 처리 장치(1)가 갖는 디스플레이의 종류는 불문한다.
저장부(10)는 1 또는 2 이상의 룩업 테이블(이하, 적절히 'LUT'라고 함)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0)는 LUT의 종류를 식별하는 종류 식별자와 종류 식별자에 대응하는 LUT의 쌍을 2 세트 이상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LUT의 데이터 구조가 테이블 구조라고는 할 수 없다. 즉, LUT의 데이터 구조는 불문한다. 또한, LUT의 종류는 LUT 그 자체일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여기서 LUT는 1 또는 2 이상의 대응 정보를 가진다. 대응 정보는 1 또는 2 이상의 화상(화상 수신부(11)가 수신한 화상)의 전부 또는 일부분과 해당 화상과 동일한 대상에 대한 화상인 처리 화상(디지털 처리부(13)가 출력한 화상)의 전체 또는 일부분을 대응시키기 위한 정보이다. 또한, 대응 정보는 물리 특성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대상이란 화상 내의 일부 오브젝트일 수도 있고, 화상 전체가 나타내는 경치, 정경 등일 수도 있다. 또한, 오브젝트는 사람, 산, 강, 바람에 흔들리는 나무, 자동차 등의 유체물이다. 또한, 물리 특성 정보는 물리적 특성을 나타내는 정보일 수도 있지만, 소실된 물리적 특성을 재현하기 위한 정보일 수도 있다. 물리 특성 정보는 예를 들어, 광량, 시야각, 줌의 배율,  2 이상의 출력부(16)의 광 출력 제어 정보, 사용자 반응 정보이다. 광 출력 제어 정보란 광 출력 시의 광량, 시야각, 출력하는 화상의 범위 등의 정보이다. 사용자 반응 정보는 예를 들어 대상을 볼 때의 사람 눈의 움직임, 동공 상태, 얼굴의 움직임 등이다. 또한, 여기서 물리적 특성이란 대상의 크기, 휘도, 움직임, 색 등 대상의 물리적 특성이라면 어느 것이든 가능하다. 또한, 물리 특성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정보는 물리 특성 정보 자체일 수도 있고, 예를 들어, 화상 출력 시의 광량, 화상 출력 시의 시야각을 나타내는 정보, 광량을 산출하기 위한 연산식, 시야각을 산출하기 위한 연산식 등이다. 여기서 물리 특성 정보는 예를 들어, 화상 출력 시의 광량에 관한 정보이다. 또한, 물리 특성 정보는 예를 들어, 화상 출력 시의 시야각에 관한 정보이다.
여기서 대응 정보 또는 LUT는 출력 장치의 종류에 따라 변화하는 것은 당연하다. 예를 들어, 프로젝터와 유기 EL은 발광 원리, 화소 형상이 다르기 때문에 물리적 특성을 재현하기 위한 화상의 출력 내용은 달라질 수 있다.
또한, LUT가 갖는 대응 정보가 하나인 경우, 이러한 대응 정보는 예를 들어, 화상을 변환하는 연산식이나 화상을 변환하는 연산식에 주어지는 1 이상의 파라미터군이다. 대응 정보는 예를 들어, 시공간 블록의 화소 값의 중간 값을 산출하는 연산식일 수도 있다.
또한, 대응 정보는 예를 들어, 제1 화상 관련 정보와 제2 화상 관련 정보와 물리 특성 정보를 갖는 정보이다. 제1 화상 관련 정보는 1 또는 2 이상의 화상의 전부 또는 일부분에 관한 정보이다. 제2 화상 관련 정보는 1 또는 2 이상의 처리 화상의 전부 또는 일부분에 관한 정보이다. 제1 화상 관련 정보는 예를 들어, 1 이상의 화상의 전부 또는 일부분에서 추출되는 1 이상의 특징량이다. 또한, 제2 화상 관련 정보는 예를 들어, 1 이상의 처리 화상의 전부 또는 일부분이다. 또한, 제2 화상 관련 정보는 예를 들어, 1 이상의 처리 화상의 전부 또는 일부분을 생성하는 연산식이다. 또한, 제2 화상 관련 정보는 예를 들어, 1 이상의 처리 화상의 전부 또는 일부분을 생성하는 연산식에 주어지는 파라미터군의 쌍이다. 이러한 경우, 연산식은 예를 들어, 디지털 처리부(13)가 보유하고 있다. 또한, 화상에서 추출되는 1 이상의 특징량에는 예를 들어, 1 이상의 화상의 일부의 특징량인 근방 특징량과 1 이상의 화상 전체의 특징량인 전체 특징량이 있다. 근방 특징량에는 예를 들면, 화소 값, 액티비티, 시공간 상관, 움직임 벡터, 주파수 분포 등이 있다. 또한, 액티비티란 예를 들어, 복수 화소의 최대 값 및 최소값, 다이나믹 레인지(DR), 복수의 화소 간의 차분값 등이다. 복수의 화소 간의 차분값은 공간 내의 복수의 화소 간의 차분값일 수도 있고, 시간 방향의 복수 화소 간의 차분값일 수도 있고, 공간 내 및 시간 방향의 복수 화소 간의 차분값일 수도 있다. 또한, 전체 특징량에는 예를 들어, 화상 전체의 화소 값 분포, 화상 전체의 움직임 벡터 분포, 1 또는 2 이상의 화상 전체의 시공간 상관, 화상 전체의 노이즈량, 화상 포맷, 화상 전체의 편집에 관한 정보(PinP인지 여부, PoutP인지 여부, 텔롭 유무 등), 1 이상의 화상인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 정보, 패턴 검출 결과(얼굴 등) 등이다. 여기서, 콘텐츠 정보는 예를 들면,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EPG)가 갖는 프로그램의 장르, 제목, 출연자 명부 등이다. 또한, 1 이상의 특징량을 적절히 특징량 벡터라고도 한다.
또한, 상술한 1 이상의 화상의 전부 또는 일부분 및 1 이상의 처리 화상의 전부 또는 일부분은 출력되는 한 화면의 화상일 수도 있고, 한 화면의 일부 블록 화상일 수도 있고, 한 화소일 수도 있고, 시간적으로 연속하는 복수 화면일 수도 있고, 시간적으로 연속하는 복수 화면 공간상의 부분(후술하는 시공간 블록)일 수도 있고, 시간적으로 연속하는 복수 화면의 연속하는 하나의 화소의 집합 등일 수도 있다. 즉, 화상 및 처리 화상의 정보량의 단위는 불문한다. 또한, 시공간 블록이란 일반적으로 영상을 공간적 또는 시간적 또는 공간 및 시간적으로 분할한 부분을 말한다. 단, 시공간 블록은 화소의 집합이면 된다. 즉, 시공간 블록은 구형의 연속 영역이라고는 할 수 없다. 시공간 블록은 비구형이고 불연속적인 화상의 영역일 수도 있다. 또한, 화상을 분할하여 획득된 복수의 시공간 블록은 일부에 중복된 화소를 가지는 것일 수도 있다.
화상 수신부(11)는 1 또는 2 이상의 화상을 수신한다. 또한, 화상 수신부(11)는 하나의 대상을 서로 다른 2 이상의 환경에서 촬영한 2 종류 이상의 화상을 수신할 수도 있다. 여기서 화상은 일반적으로 카메라로 촬영된 촬영 화상이지만, 반드시 촬영 화상인 것은 아니다. 화상은 예를 들어, CG 화상 등일 수도 있다. 또한, 여기서 서로 다른 환경이란 시간, 날씨, 기온, 카메라, 카메라 파라미터 등이 다른 것이다. 또한, 2 종류 이상의 화상이란 예를 들어 어두운 화상과 밝은 화상, 해상도가 다른 화상, 색 수가 다른 화상, 시야각이 다른 화상 등이다. 또한, 여기서 수신은 일반적으로 통신 수단이나 방송 수신 수단을 이용한 수신이지만, 광디스크나 자기 디스크, 반도체 메모리 등의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낸 정보의 수신, 스캐너나 카메라 등의 입력 장치로부터 입력된 화상의 수신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화상 수신부(11)는 예를 들어, 방송 수신 수단 또는 통신 수단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화상 분석부(12)는 화상 수신부(11)가 수신한 1 이상의 화상의 전부 또는 일부분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획득하며, 해당 분석 결과에 대응하는 대응 정보를 선택한다. 화상 분석부(12)는 화상 수신부(11)가 수신한 1 이상의 화상의 전부 또는 일부분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획득하여, 해당 분석 결과에 대응하는 LUT를 선택하고, 해당 LUT 내에서 대응 정보를 선택할 수도 있다. 여기서 대응 정보의 선택이란 대응 정보를 획득하는 것일 수도 있고, 대응 정보에 포함되는 일부 정보(예를 들어, 제2 화상 관련 정보 또는 물리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것일 수도 있고, 대응 정보를 식별하는 정보를 획득하는 것 등일 수도 있다.
또한, 화상 분석부(12)는 예를 들어, 화상 수신부(11)가 수신한 1 이상의 화상의 전부 또는 일부분을 분석하고, 제1 화상 관련 정보를 획득하고, 해당 제1 화상 관련 정보에 대응하는 대응 정보를 획득한다. 또한, 제1 화상 관련 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화상 근방 특징량 또는 전체 특징량 등이다.
또한, 화상 분석부(12)가 화상 수신부(11)가 수신한 1 이상의 화상의 일부분을 분석하는 경우, 화상 분석부(12)는 일반적으로 화상 수신부(11)가 수신한 1 이상의 화상을 분할하여 2 이상의 시공간 블록을 획득한다. 여기서 시공간 블록은 하나의 화상을 공간적으로 분할한 블록도 포함하고, 복수 화상을 시간적으로 분할한 시간 블록도 포함하는 것으로 생각한다.
디지털 처리부(13)는 화상 수신부(11)가 수신한 1 또는 2 이상의 화상에 디지털 처리를 실시하고, 1 또는 2 이상의 처리 화상을 획득한다. 여기서 디지털 처리는 예를 들어, 해상도를 높이는 처리, 화소 값을 변경하는 처리, 휘도를 변경하는 처리, 명도를 변경하는 처리 등이다. 여기서 디지털 처리는 화상에 대한 디지털 처리이면 어느 것이든 가능하다.
또한, 디지털 처리부(13)는 후술하는 물리 특성 정보 획득부(14)가 획득하는 물리 특성 정보를 이용하여 화상 수신부(11)가 수신한 1 또는 2 이상의 화상에 디지털 처리를 실시하여 1 또는 2 이상의 처리 화상을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물리 특성 정보란 예를 들어, 표시 화면 면적 정보, 시공간 해상도 정보, 광량 정보, 표시 위치 정보, 광축 방향 정보 등이다.
또한, 디지털 처리부(13)는 후술하는 물리적 특성 처리부(15)가 물리적 특성 처리를 한 후에 얻어지는 정보인 처리 후 정보를 이용하여 화상 수신부(11)가 수신한 1 또는 2 이상의 화상에 디지털 처리를 실시하여, 1 또는 2 이상의 처리 화상을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처리 후 정보란 예를 들어, 출력 화상 정보, 사용자 반응 정보 등이다. 출력 화상 정보는 출력부(16)가 출력한 1 또는 2 이상의 처리 화상 정보이며, 예를 들면, 처리 화상 또는 처리 화상을 촬영한 화상의 근방 특징량이나 전체 특징량, 화면의 밝은 영역 또는 어두운 영역을 나타내는 정보, 휘도 불균일의 유무, 휘도 불균일이 존재하는 영역을 나타내는 정보, 초점의 맞는 정도, 시간 응답(플리커, 반응 속도), 스크린 면에 관한 정보(스크린과의 거리, 스크린 방향) 등이다. 또한, 사용자 반응 정보는 처리 화상을 보는 사용자에 관한 정보이며, 예를 들어, 사용자의 눈의 움직임(안구 운동)에 관한 정보, 동공 반응 정보, 자세 변화에 관한 정보, 사용자의 뇌파 정보, 사용자 성별이나 연령 등의 사용자 특성 등이다. 사용자의 눈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란 예를 들어, 사용자의 눈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정보 자체 또는 사용자의 눈의 움직임이 학습되는 눈의 움직임과 균등 범위에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 등이다. 또한, 학습된 눈의 움직임은 예를 들어, 디지털 처리부(13)가 보유하고 있다. 또한, 학습된 눈의 움직임은 예를 들어, 화상 수신부(11)가 화상과 함께 수신한 정보이다.
또한,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디지털 처리부(13)는 1 또는 2 이상의 대응 정보 중 어느 하나의 대응 정보를 이용하여 화상 수신부(11)가 수신한 1 이상의 화상의 전부 또는 일부분에 대응하는 1 또는 2 이상의 처리 화상의 전부 또는 일부분을 획득한다.
또한, 디지털 처리부(13)는 화상 분석부(12)가 선택한 대응 정보를 이용하여 화상 수신부(11)가 수신한 1 이상의 화상의 전부 또는 일부분에 대응하는 1 또는 2 이상의 처리 화상의 전부 또는 일부분을 획득할 수도 있다.
또한, 디지털 처리부(13)는 표시 화면 면적에 따라 시공간 휘도 액티비티를 조정하는 처리를 화상 수신부(11)가 수신한 1 또는 2 이상의 화상에 실시할 수도 있다. 또한, 여기서 표시 화면 면적이 큰 경우 만큼 시공간 휘도 액티비티를 증가시키는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디지털 처리부(13)는 예를 들어, 표시 화면 면적과 시공간 휘도 액티비티와의 대응을 나타내는 2 이상의 레코드를 갖는 대응표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러한 대응표를 이용하여 획득한 표시 화면 면적에서 시공간 휘도 액티비티를 결정하고, 해당 시공간 휘도 액티비티가 되도록 처리 대상의 화상에 대해서 처리를 실시한다. 또한, 디지털 처리부(13)는 예를 들어, 표시 화면 면적을 파라미터로하는 연산식이고, 시공간 휘도 액티비티를 결정하는 연산식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러한 연산식에 획득한 표시 화면 면적을 대입하고, 시공간 휘도 액티비티를 결정하고, 해당 시공간 휘도 액티비티가 되도록 처리 대상의 화상에 대해서 처리를 실시할 수도 있다.
또한, 디지털 처리부(13)는 2 종류 이상의 화상에 디지털 처리를 실시하여, 2 종류 이상의 처리 화상을 획득할 수도 있다. 2 종류 이상의 화상이란 하나의 대상을 서로 다른 환경에서 촬영한 2 이상의 화상이다.
디지털 처리부(13)를 구성하는 구속 조건 저장 수단(131)은 화상이 갖는 화소 및 영역에 관한 1 이상의 구속 조건을 저장할 수 있다. 구속 조건은 예를 들어, 출력되는 화상에 적용되는 조건이며, 피사체로부터 획득되는 조건이다. 또한, 구속 조건은 일반적으로 화상을 자연 법칙에 합치시키기 위한 조건이다. 또한, 구속 조건은 일반적으로 디지털 처리 및 물리적 특성 처리(아날로그 보상 처리라고 할 수도 있다)에 의해 변화한 정보를 복구하는 처리이다. 또한, 구속 조건은 예를 들어, 화상이 갖는 화소의 휘도값에 관한 조건이다. 또한, 구속 조건은 예를 들어, 화상이 갖는 2 이상의 화소 간의 관계에 관한 조건이다. 여기서 자연 법칙에 합치시키기 위한 조건이란 예를 들어 대상에 포함되는 복수의 오브젝트간의 관계를 무너뜨리지 않는 것이다. 오브젝트간의 관계는 예를 들어 오브젝트의 깊이의 차이, 휘도의 차이 등이다.
여기서 화소 간의 관계란 예를 들면, 화소 간의 휘도 차이, 화소 간의 화소 값의 차이 등이다. 또한, 구속 조건이란 예를 들면, 휘도의 시공간 액티비티의 최대 범위, 화소 값의 시공간 액티비티의 최대 범위, 명도의 시공간 액티비티의 최대 범위 등이다. 또한, 구속 조건은 예를 들어, 화상이 갖는 영역의 휘도값에 대한 조건이다. 여기서 영역의 휘도값은 화상이 있는 시공간 블록의 평균 휘도, 최대 휘도, 최소 휘도 등이다. 또한, 구속 조건은 예를 들어, 화상이 갖는 영역의 액티비티에 대한 조건이다. 여기서 영역의 액티비티란 화상이 있는 시공간 블록의 주파수 분포, 다이나믹 레인지 등이다. 또한, 구속 조건은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시청자가 봤을 때, 앞쪽의 화면 영역의 휘도가 크고, 안쪽의 화면 영역의 휘도가 작은 것을 보장하는 조건이다. 또한, 구속 조건은 예를 들면, 시청자가 봤을 때, 앞쪽의 오브젝트의 해상도 감이 높고, 안쪽의 오브젝트의 해상도 감이 낮은 것을 보장하는 조건이다. 또한, 해상도 감이란 섬세한 화상의 느낌, 아름다운 화상의 느낌, 고품질 화상의 느낌, 노이즈가 적은 화상의 느낌, 또는 자연에 가까운 화상의 느낌 등이다.
또한, 해상도 감은 예를 들어, 주파수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판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화상 또는 화상의 일부분(예를 들어, 시공간 블록 등)에 대한 주파수 분석을 실시하고, 고주파 성분이 많을수록 해상도 감이 높고, 저주파 성분의 비율이 많을수록 해상도 감이 낮다고 판정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제1 임계치 이상의 고주파 성분의 비율에 따라 해상도 감을 정량적(예를 들어, 1에서 5까지의 5 단계)로 결정할 수 있다. 즉, 임계치 이상의 고주파 성분의 비율이 클수록, 높은 해상도 감이라고 한다. 또한, 주파수 분석을 실시하고, 주파수 분포를 획득하여, 주파수 분포에 따라 해상도 감을 정량적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경우에도 일반적으로 고주파 성분이 많을수록 해상도 감이 높고, 저주파 성분의 비율이 많을수록 해상도 감이 낮다고 판정된다.
또한, 해상도 감은 예를 들어, 공간의 화소 값의 액티비티(공간적 액티비티라고 함)를 이용하여 판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공간적 액티비티가 제1 임계치 이상의 화소의 비율이 많을수록 해상도 감이 높다고 판정될 수 있다. 또한, 공간 액티비티가 제1 임계치 이상의 화소의 비율에 따라 해상도 감을 정량적으로(예를 들어, 1에서 5까지의 5 단계) 결정할 수 있다. 그 외, 해상도 감의 판정 또는 해상도 감의 획득 방법은 불문한다.
또한, 구속 조건은 예를 들어 필드가 가지는 화소의 화소 값을 파라미터로 하는 조건이다. 또한, 구속 조건은 예를 들어, 시간적으로 연속하는 2 이상의 필드가 갖는 화소의 화소 값의 변화량인 화소 값의 시간적 액티비티를 파라미터로 하는 조건이다. 또한, 구속 조건은 예를 들어, 하나의 필드가 가지는 2 이상의 화소의 화소 값의 차이인 화소 값의 공간적 액티비티를 파라미터로 하는 조건이다. 더 구체적으로 구속 조건은 예를 들면, 화소 값의 시간적 액티비티가 일정한 미리 정해진 범위(시간(t)에 따른 함수로 규정할 수 있는 범위일 수도 있다)에 있는 것을 보장하는 조건이다. 또한, 구체적으로 구속 조건은 예를 들면, 화소 값의 공간적 액티비티가 일정한 미리 정해진 범위(기준점으로부터의 거리(x)에 따른 함수로 규정할 수 있는 범위일 수도 있다)에 있는 것을 보장하는 조건이다.
시야 범위 정보 저장 수단(132)은 시야의 범위에 관한 정보인 시야 범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시야 범위 정보는 예를 들어 시야각(화각이라고 할 수도 있다), 줌 배율, 시야 범위의 영역이나 크기를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세로 : 9m, 가로 : 16m') 등이다.
디지털 처리 수단(133)은 화상 수신부(11)가 수신한 1 또는 2 이상의 화상에 디지털 처리를 실시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디지털 처리의 내용은 불문한다. 또한, 디지털 처리 수단(133)은 화상 수신부(11)가 수신한 1 또는 2 이상의 화상이 1 이상의 구속 조건을 충족하기 위해 1 또는 2 이상의 화상을 갖는 화소를 변경하고, 1 또는 2 이상 처리 화상을 획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화소의 변경이란 화소 값 등의 변경이다. 또한, 디지털 처리 수단(133)은 화상 수신부(11)가 수신한 1 또는 2 이상의 화상이 1 이상의 구속 조건을 충족하기 위해 1 또는 2 이상의 화상을 갖는 영역을 변경하고, 1 또는 2 이상의 처리 화상을 획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영역의 변경이란 시공간 블록의 화소 값 등의 변경이다. 또한, 이 때 시공간 블록의 시공간 해상도, 계조를 변경하는 것은 바람직하다.
또한, 디지털 처리 수단(133)은 구속 조건 저장 수단(131)에 저장되어 있는 1 이상의 구속 조건을 충족하도록 화상 수신부(11)가 수신한 1 또는 2 이상의 화상이 갖는 화소의 휘도값을 변경하고, 1 또는 2 이상의 처리 화상을 획득할 수도 있다.
또한, 디지털 처리 수단(133)은 화상의 범위이며, 시야 범위 정보 저장 수단(132)에 저장되어 있는 시야 범위 정보가 나타내는 시야 범위 내에서 1 이상의 구속 조건을 충족하도록 화상 수신부(11)가 수신한 1 또는 2 이상의 화상이 갖는 화소 및 영역을 변경하고, 1 또는 2 이상의 처리 화상을 획득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디지털 처리 수단(133)은 시야 범위 정보가 나타내는 시야 범위를 변화시키면서 화상의 각 시야 범위 정보가 나타내는 시야 범위의 화상이 1 이상의 구속 조건을 충족하도록 화소를 변경하고, 1 또는 2 이상의 처리 화상을 획득한다.
물리 특성 정보 획득부(14)는 화상 수신부(11)가 수신한 1 또는 2 이상의 화상에서 소실된 물리적 특성에 관한 정보인 물리 특성 정보를 획득한다. 소실된 물리적 특성과 화상 내에 포함되는 대상이 갖는 1 이상의 물리적 특성과 비교하여 소실된 물리적 특성이다. 또한, 물리 특성 정보 획득부(14)는 1 또는 2 이상의 화상 또는 1 또는 2 이상의 처리 화상을 이용하여 물리 특성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물리 특성 정보 획득부(14)는 1 또는 2 이상의 대응 정보 중 어느 하나의 대응 정보를 이용하여 물리 특성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또한, 더욱 구체적으로는 물리 특성 정보 획득부(14)는 1 또는 2 이상의 대응 정보 중 어느 하나의 대응 정보가 갖는 물리 특성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정보를 이용하여 물리 특성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또한, 이 대응 정보는 일반적으로 화상 분석부(12)가 선택한 대응 정보이다.
또한, 물리 특성 정보 획득부(14)는 2 이상의 룩업 테이블 중 어느 하나의 룩업 테이블의 대응 정보 중 어느 하나의 대응 정보를 이용하여 물리 특성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또한, 이 룩업 테이블과 대응 정보는 일반적으로 화상 분석부(12)가 선택한 룩업 테이블과 대응 정보이다.
또한, 물리 특성 정보 획득부(14)는 복수의 출력부(16)의 광 출력을 제어하는 정보인 물리 특성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또한, 물리 특성 정보 획득부(14)는 화상 수신부(11)가 수신한 1 또는 2 이상의 화상 내에 포함되는 대상의 크기에 대응하는 표시 화면 면적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여기서, 표시 화면 면적에 관한 정보는 시야각일 수도 있고, 줌 레벨 등일 수도 있다.
또한, 물리 특성 정보 획득부(14)는 처리 화상을 구성하는 부분의 화상이며, 복수의 각 출력부(16)에 의해 출력되는 화상인 부분 화상을 특정하는 부분 특정 정보를 복수의 출력부(16) 마다 획득할 수도 있다. 해상도가 필요한 부분에 대해 해상도가 높은 부분 화상이 출력되도록 부분 특정 정보가 결정되는 것은 바람직하다. 또한, 여기서 복수의 각 출력부(16)는 자신의 부분 특정 정보로 특정되는 부분 화상을 출력한다. 또한, 여기서 해상도가 필요한 부분이란 예를 들어, 화상 중에서 액티비티가 높은 부분이나 시청자에게 중요 부분이다.
또한, 물리 특성 정보 획득부(14)는 2 종류 이상의 각 처리 화상의 전부 또는 일부분을 특정하는 정보인 물리 특성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물리적 특성 처리부(15)는 1 또는 2 이상의 처리 화상을 이용하여 물리 특성 정보로 나타나는 물리적 특성 처리를 실시한다. 물리적 특성 처리는 물리적 특성을 부가하기 위한 처리이다. 또한, 물리적 특성 처리는 소실된 물리적 특성을 재현하는 처리라고 할 수도 있다. 물리적 특성 처리란 예를 들어, 출력 화상인 처리 화상의 크기 설정, 시야각의 설정 등이다.
또한, 물리적 특성 처리부(15)는 1 또는 2 이상의 처리 화상을 광 출력하는 경우에 물리 특성 정보에 따라 광 출력을 위한 제어를 수행하는 것은 바람직하다. 여기서, 광 출력을 위한 제어란 예를 들면, 광량 제어, 출력 시 시야각 제어 등이다.
또한, 물리적 특성 처리부(15)는 물리 특성 정보에 따라 광 출력하는 경우의 광량을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물리적 특성 처리부(15)는 물리 특성 정보에 따라 시야각을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물리적 특성 처리부(15)는 물리 특성 정보에 따라 복수의 출력부(16)의 광 출력을 위한 제어를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물리적 특성 처리부(15)는 표시 화면 면적에 관한 정보를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물리적 특성 처리부(15)는 복수의 각 출력부(16)에 대해 물리 특성 정보에 따라 2 이상의 처리 화상의 전부 또는 일부분을 중첩하여 출력하도록 지시할 수도 있다.
물리적 특성 처리부(15)를 구성하는 물리적 특성 구속 조건 저장 수단(151)은 물리 특성 정보에 관한 1 이상의 구속 조건을 저장할 수 있다. 이 구속 조건은 물리적 특성 구속 조건이며, 예를 들어, 휘도를 구속하기 위한 램프 광량의 최대 값, 램프의 광량 변화의 최대치(광량의 시공간 액티비티의 최대 값), 복수의 출력부 사이의 램프의 광량의 관계 등이다.
또한, 물리적 특성 처리 수단(152)은 출력부(16)가 출력하는 1 또는 2 이상의 화상이 1 이상의 물리적 특성 구속 조건을 충족하도록 물리 특성 정보를 변경하고, 1 또는 2 이상의 처리 화상을 획득한다.
출력부(16)는 물리적 특성 처리가 실시된 처리 화상을 출력한다. 물리적 특성 처리가 실시된 처리 화상을 출력 화상이라고 할 수도 있다. 물리적 특성 처리가 실시된 처리 화상의 출력이란 물리적 특성 처리에 의해 설정된 파라미터(예를 들면, 광량, 시야각 등)에 따라 처리 화상을 출력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출력부(16)는 물리적 특성 처리부(15)가 수행한 광 출력을 위한 제어를 기준으로, 광 출력을 위한 제어가 수행된 1 또는 2 이상의 처리 화상을 출력할 수도 있다.
또한, 출력부(16)는 설정된 광량에 따라 1 또는 2 이상의 처리 화상을 출력할 수도 있다.
또한, 출력부(16)는 설정된 시야각에 따라 1 또는 2 이상의 처리 화상을 출력할 수도 있다.
또한, 출력부(16)는 표시 화면 면적에 관한 정보에 따라 1 또는 2 이상의 처리 화상을 출력할 수도 있다.
또한, 복수의 각 출력부(16)는 자신의 부분 특정 정보로 특정되는 부분 화상을 출력할 수도 있다.
또한, 복수의 각 출력부(16)는 물리적 특성 처리부(15)의 지시에 따라 상기 2 이상의 처리 화상의 전부 또는 일부분을 중첩하여 출력할 수도 있다. 물리적 특성 처리부(15)의 지시란 물리 특성 정보에 따라 2 이상의 처리 화상의 전부 또는 일부분을 중첩하여 출력하기 위한 지시이다.
여기서, 출력이란 프로젝터를 이용한 투영, 디스플레이 표시 등이다. 또한, 출력부(16)는 프로젝터, 유기 EL 등의 디스플레이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출력부(16)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드라이버 소프트웨어와 디스플레이 장치 등으로 구현된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
또한, 출력 구속 조건 저장 수단(161)은 출력에 관한 1 이상의 구속 조건을 저장할 수 있다. 이 구속 조건은 출력에 대한 구속 조건이며, 출력 구속 조건이라고 할 수도 있다.
출력 수단(162)은 출력하는 1 또는 2 이상의 화상이 출력 구속 조건 저장 수단(161)에 저장되어 있는 1 이상의 구속 조건을 충족하도록 처리 화상을 변경하고, 해당 변경한 1 또는 2 이상의 처리 화상을 출력한다. 여기서 출력이란 상술한 바와 같은 의미이다.
출력 화상 정보 획득부(17)는 출력부(16)가 출력한 1 또는 2 이상의 처리 화상에 관한 정보인 출력 화상 정보를 획득한다. 출력 화상 정보는 예를 들어, 출력된 화상을 촬영하여 얻어지는 정보이다. 출력 화상 정보는, 예를 들어, 상술한 바와 같이, 출력된 화상을 촬영하여 얻어지는 화상의 근방 특징량, 전체 특징량 등이다. 출력 화상 정보 획득부(17)는, 예를 들어 카메라와 소프트웨어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출력 파라미터 획득부(18)는 출력부(16)가 처리 화상을 출력할 때의 1 이상의 파라미터를 획득한다. 여기서 파라미터란 상술한 바와 같이, 출력부(16)가 보유하고 있는 광량, 시야각 등이다.
사용자 정보 획득부(19)는 처리 화상을 보는 사용자의 반응에 관한 정보인 사용자 반응 정보를 획득한다. 여기서 사용자 반응 정보란 상술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눈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정보, 눈의 움직임의 특징량, 눈의 동공의 상태 정보, 얼굴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정보 등이다. 눈의 움직임은 예를 들어, 안구 추적(eye tracking)을 사용하여 획득된 정보이다. 눈의 동공의 상태 정보는 예를 들어 눈의 동공의 지름 등이다.
사용자 정보 획득부(19)는 카메라, 안구 추적을 실시하기 위한 장치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저장부(10), 구속 조건 저장 수단(131), 시야 범위 정보 저장 수단(132), 물리적 특성 구속 조건 저장 수단(151), 및 출력 구속 조건 저장 수단(161)은 비휘발성 기록 매체가 바람직하지만, 휘발성 기록 매체로도 구현 가능하다. 저장부(10) 등에 정보가 저장되는 과정은 불문한다. 예를 들면, 기록 매체를 통해 정보가 저장되게 할 수도 있고, 통신 회선 등을 통해 전송된 정보가 저장되도록 할 수도 있고, 또는 입력 장치를 통해 입력된 정보가 저장되도록 할 수도 있다.
화상 분석부(12), 디지털 처리부(13), 물리 특성 정보 획득부(14), 물리적 특성 처리부(15), 출력 파라미터 획득부(18), 디지털 처리 수단(133), 및 물리적 특성 처리 수단(152)은 일반적으로 MPU나 메모리 등에서 구현될 수 있다. 화상 분석부(12) 등의 처리 순서는 일반적으로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고, 해당 소프트웨어는 ROM 등의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다. 단, 하드웨어(전용 회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화상 처리 장치(1)의 동작을 도 2의 흐름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단계 S201) 화상 수신부(11)는 1 이상의 화상을 수신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1 이상의 화상을 수신하면 단계 S202로 이행하고, 1 이상의 화상을 수신하지 않으면 단계 S201로 돌아온다. 또한, 여기서의 화상은 일반적으로 2 이상의 정지 화상으로 구성된 영상이다.
(단계 S202) 화상 분석부(12)는 단계 S201에서 수신된 화상을 공간적 또는 시간적 또는 공간 및 시간적으로 2 이상으로 분할하여 2 이상의 시공간 블록을 획득한다.
(단계 S203) 화상 분석부(12)는 카운터 i에 1을 대입한다.
(단계 S204) 화상 분석부(12)는 단계 S202에서 획득된 시공간 블록 중 i 번째 블록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i 번째 블록이 존재하면 단계 S205로 이행하고, i 번째 블록이 존재하지 않으면 단계 S208로 이행한다.
(단계 S205) 화상 분석부(12)는 i 번째 시공간 블록에 대해 화상 분석 처리한다. 이러한 화상 분석 처리에 대하여 도 3의 흐름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화상 분석 처리에서 단계 S211에서 획득된 처리 후 정보를 이용할 수도 있다.
(단계 S206) 디지털 처리부(13)는 i 번째 시공간 블록에 대해 디지털 처리를 실시하고, i 번째 시공간 블록에 대응하는 처리 화상의 일부분 또는 전부를 획득한다. 이러한 디지털 처리에 대하여 도 4의 흐름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디지털 처리에서 단계 S211에서 획득된 처리 후 정보를 이용할 수도 있다.
(단계 S207) 화상 분석부(12)는 카운터 i를 1 증가시키고 단계 S204로 돌아온다.
(단계 S208) 물리 특성 정보 획득부(14)는 화상 수신부(11)가 수신한 화상에서 소실된 물리적 특성에 관한 물리 특성 정보를 획득한다. 물리 특성 정보를 얻는 방법의 예는 상술한 바와 같다.
(단계 S209) 물리적 특성 처리부(15)는 처리 화상을 이용하여 단계 S208에서 획득된 물리 특성 정보에 따라 물리적 특성 처리를 실시한다.
(단계 S210) 출력부(16)는 물리적 특성 처리가 실시된 처리 화상을 출력한다.
(단계 S211) 출력 화상 정보 획득부(17), 출력 파라미터 획득부(18), 사용자 정보 획득부(19) 중 1 이상의 수단이 처리 후 정보를 획득한다. 처리 후 정보란 예를 들어, 출력 화상 정보 출력부(16)가 처리 화상을 출력할 때의 1 이상의 파라미터, 사용자 정보 등이다. 단계 S201로 돌아온다.
또한, 도 2의 흐름도에 있어서, 단계 S202에서 화상을 분할하는 처리를 실시했지만, 화상을 분할하는 처리는 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블록은 하나가 된다.
또한, 도 2의 흐름도에 있어서, 단계 S208, S209의 물리 특성 정보의 획득 처리 및 물리적 특성 처리는 화상 수신부(11)가 수신한 화상의 단위로 실시했지만, 분할된 시공간 블록 단위로 할 수도 있다.
또한, 도 2의 흐름도에서 디지털 처리 후 물리적 특성 처리가 실시되었다. 그러나 물리적 특성 처리 후에 디지털 처리가 실시될 수도 있고, 동시에 디지털 처리와 물리적 특성 처리가 실시될 수도 있다.
또한, 도 2의 흐름도에 있어서, 단계 S211의 처리 후 정보의 획득 처리는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도 2의 흐름도에서 전원 종료 및 처리 완료의 인터럽트에 의해 처리는 종료된다.
다음으로 단계 S205의 화상 분석 처리에 대하여 도 3의 흐름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단계 S301) 화상 분석부(12)는 상기 i 번째 시공간 블록에 대해 화상 분석하고, 1 이상의 특징량인 특징량 벡터(제1 특징량 벡터라 함)를 획득한다. 여기서 화상 분석부(12)는 처리 후 정보를 획득하고, 특징량 벡터에 포함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1 이상의 특징량은 예를 들어, 상술한 근방 특징량 또는/및 전체 특징량 중 1 이상의 특징량이다. 또한, 예를 들어, 1 이상의 특징량은 예를 들어, 복수 화소의 최대 값(MAX) 및 최소값(MIN), 다이내믹 레인지(DR = MAX-MIN), 휘도 도수 분포, 시간 방향 차분값 등이다. 또한, 화상에서 이러한 1 이상의 특징량을 획득하는 기술은 공지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특징량은 상술한 특징량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단계 S302) 화상 분석부(12)는 카운터 i에 1을 대입한다.
(단계 S303) 화상 분석부(12)는 저장부(10)의 LUT 중에 i 번째 대응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i 번째 대응 정보가 존재하면 단계 S304로 이행하고, i 번째 대응 정보가 존재하지 않으면 단계 S307로 이행한다. 또한, 저장부(10)에 2 이상의 LUT가 존재하는 경우, 이 단계에서는 어느 하나의 LUT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후술하는 종류 식별자 획득 처리를 한 후에 해당 종류 식별자 획득 처리에서 획득된 종류 식별자에 대응하는 LUT를 사용할 수도 있다.
(단계 S304) 화상 분석부(12)는 i 번째 대응 정보가 갖는 특징량 벡터(제2 특징량 벡터라 함)를 획득한다.
(단계 S305) 화상 분석부(12)는 단계 S301에서 획득한 제1 특징량 벡터와 단계 S304에서 획득한 제2 특징량 벡터의 거리를 산출하고, 그 거리를 i(i 번째 대응 정보)에 매핑시키고 버퍼에 임시 저장한다.
(단계 S306) 화상 분석부(12)는 카운터 i를 1 증가시키고 단계 S303로 돌아온다.
(단계 S307) 화상 분석부(12)는 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거리가 가장 작은 대응 정보를 선택한다. 상위 처리로 복귀한다. 또한, 대응 정보를 선택하는 처리는 처리 화상의 전부 또는 일부분을 결정하는 처리이다.
또한, 도 3의 흐름도에서 대응 정보는 ID(어드레스일 수도 있다)를 가지고 있으며, 예를 들어, 1 이상의 특징량을 미리 저장하고 있는 연산식에 대입하여 ID(어드레스일 수도 있다)를 획득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화상 분석 처리의 방법은 불문한다.
다음으로 단계 S206의 디지털 처리의 예를 도 4의 흐름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단계 S401) 디지털 처리부(13)를 구성하는 디지털 처리 수단(133)은 이용하는 룩업 테이블의 종류를 식별하는 종류 식별자를 획득한다. 이러한 종류 식별자 획득 처리의 예를 도 5의 흐름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단계 S402) 디지털 처리 수단(133)은 단계 S401에서 획득된 종류 식별자에 대응하는 룩업 테이블 중의 대응 정보이며, 화상 분석부(12)가 결정한 제1 화상의 전부 또는 일부분에 대응하는 대응 정보 중 파라미터군을 획득한다.
(단계 S403) 디지털 처리 수단(133)은 단계 S402에서 획득한 파라미터군을 이용하여 화상 분석부(12)가 결정한 화상의 전부 또는 일부분에 대응하는 처리 화상의 전부 또는 일부분을 생성한다. 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디지털 처리 수단(133)은 미리 저장되어 있는 연산식에 단계 S402에서 획득한 파라미터군을 대입하여 연산식을 실행한다. 그리고 디지털 처리 수단(133)은 처리 화상의 전부 또는 일부분을 획득한다.
(단계 S404) 디지털 처리 수단(133)은 구속 조건 저장 수단(131)에서 구속 조건을 읽어낸다.
(단계 S405) 디지털 처리 수단(133)은 단계 S402에서 획득된 처리 화상의 전부 또는 일부분이 단계 S403에서 읽어낸 구속 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버퍼에 대입한다.
(단계 S406) 단계 S404의 판단 결과가 '구속 조건을 충족(일치)'인 경우에는 단계 S407로 이행하고, '구속 조건을 충족하지 않음(불일치)'인 경우에는 단계 S408로 이행한다.
(단계 S407) 디지털 처리 수단(133)은 최종 처리 화상의 전부 또는 일부분으로서 단계 S403에서 획득된 처리 화상의 전부 또는 일부분을 얻는다. 상위 처리로 복귀한다.
(단계 S408) 디지털 처리 수단(133)은 단계 S403에서 획득된 제2 화상의 전부 또는 일부분을 구속 조건을 충족하도록 변경하여 새로운 처리 화상을 획득한다.
(단계 S409) 디지털 처리 수단(133)은 최종 처리 화상의 전부 또는 일부분으로서 단계 S408에서 획득된 처리 화상을 얻는다. 상위 처리로 복귀한다.
또한, 도 4의 흐름도에 있어서, 처리 화상의 전부 또는 일부분을 생성하는 방법이나 처리 화상의 전부 또는 일부분을 획득하는 방법은 다른 방법일 수도 있다.
또한, 도 4의 흐름도에서 저장부(10)의 룩업 테이블이 하나인 경우, 단계 S401의 처리는 불필요한 것은 당연하다.
다음으로 단계 S401의 종류 식별자 획득 처리의 예를 도 5의 흐름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단계 S501) 디지털 처리 수단(133)은 상기 i 번째 블록(제1 화상)의 특징량 벡터를 획득한다.
(단계 S502) 디지털 처리 수단(133)은 카운터 i에 1을 대입한다.
(단계 S503) 디지털 처리 수단(133)은 저장부(10)에 i 번째 종류 식별자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i 번째 종류 식별자가 존재하면 단계 S504로 이행하고, i 번째 종류 식별자가 존재하지 않으면 단계 S507로 이행한다.
(단계 S504) 디지털 처리 수단(133)은 i 번째 종류 식별자에 대응하는 특징량 벡터를 획득한다.
(단계 S505) 디지털 처리 수단(133)은 단계 S501에서 획득한 특징량 벡터와 단계 S504에서 획득한 특징량 벡터와의 거리를 산출하고, i 번째 종류 식별자에 대응시키고, 버퍼에 임시 저장한다.
(단계 S506) 디지털 처리 수단(133)은 카운터 i를 1 증가시키고, 단계 S503로 돌아온다.
(단계 S507) 디지털 처리 수단(133)은 단계 S505에서 산출한 가장 작은 거리에 대응하는 종류 식별자를 획득한다. 상위 처리로 복귀한다.
또한, 도 5의 흐름도에서 종류 식별자 획득 처리는 상술한 것과는 다른 방법일 수도 있다. 즉, 도 5의 흐름도에 있어서, 블록의 특징량 벡터(1 이상의 근방 특징량)을 이용하여 종류 식별자를 결정했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전체 특징량과 근방 특징량을 이용하여 종류 식별자를 결정할 수도 있고,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의 정보 등을 이용하여 종류 식별자를 결정할 수도 있고,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종류 식별자를 결정할 수도 있다.
이하, 본 실시예의 화상 처리 장치(1)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화상 처리 장치(1)의 개념도는 도 6이다. 도 6에서 화상 처리 장치(1)는 촬영된 화상을 수신하고, 디지털 처리 및 아날로그 처리(상기 물리적 특성 처리와 동일)를 실시하고, 촬영이나 디지털 처리로 소실된 촬영 대상의 물리적 특성을 재현하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도 6의 디지털 처리에서 아날로그 처리 결과를 이용한 피드백, 출력 장치(스크린면)의 정보를 이용한 피드백, 또는 시청자 반응의 피드백이 수행될 수 있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도 6에서 아날로그 처리란 프로젝터 등의 출력부(16)의 광 출력 제어 처리이다. 또한, 화상 처리 장치(1)는 수신된 화상을 디지털 처리한 후, 디지털 처리에 의해 소실된 물리적 특성을 재현하기 위한 아날로그 처리를 실시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하, 5 개의 구체예에 대해 설명한다.
(구체예 1)
구체예 1에서, 화상 처리 장치(1)는 아날로그 처리(아날로그 보상 처리라고도 함)에 의해 화상 내의 대상(예를 들어, 산)이 사용자의 인식에 있어서 실제 크기에 가까워지도록, 화상이 크게 투영되도록 광 제어를 실시한다. 또한, 구체예 1에서, 화상 처리 장치(1)는 물리적 특성 처리에 의해 부가되는 물리적 특성에 따라 시공간 휘도 액티비티를 조정하는 디지털 처리(디지털 보상 처리라고도 함)를 실시한다. 또한, 구체예 1에서 화상 처리 장치(1)는 디지털 보상 처리에서 LUT를 이용하여 시공간 휘도 액티비티를 조정한다. 또한, 여기서 LUT는 저장부(10)에 저장되어 있으며, LUT가 갖는 대응 정보는 여기서는 제2 특징량 벡터, 화상 처리를 위한 파라미터군, 및 물리 특성 정보를 갖는 것으로 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우선 화상 수신부(11)는 1 이상의 화상(영상이라고도 함)을 수신한다. 다음으로 화상 분석부(12)는 수신된 영상을 공간적 또는 시간적 또는 공간 및 시간적으로 1 또는 2 이상으로 분할하여 1 또는 2 이상의 시공간 블록을 획득한다. 또한, 시공간 블록이 하나인 경우에는 분할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화상 분석부(12)는 2 이상의 각 시공간 블록의 휘도 정보를 갖는 특징량 벡터인 제1 특징량 벡터를 각 시공간 블록마다 획득한다.
다음으로 화상 분석부(12)는 저장부(10)의 LUT 중에서 대응 정보가 갖는 제2 특징량 벡터와 제1 특징량 벡터와의 거리가 가장 작은 제2 특징량 벡터에 대응하는 대응 정보를 각 시공간 블록마다 획득한다.
다음으로 디지털 처리부(13)는 획득된 대응 정보가 갖는 파라미터군을 각 시공간 블록마다 획득한다.
다음으로 디지털 처리부(13)는 각 시공간 블록마다 획득한 파라미터군을 이용하여 시공간 블록을 화상 처리하고, 처리 화상의 부분 또는 전체를 획득한다.
다음으로 물리 특성 정보 획득부(14)는 물리 특성 정보(예를 들어, 표시 화면 면적)를 획득한다. 여기서 물리 특성 정보 획득부(14)는 1 또는 2 이상의 각 시공간 블록에 대응하는 1 또는 2 이상의 대응 정보가 갖는 1 또는 2 이상의 물리 특성 정보를 획득한다. 그리고 물리 특성 정보 획득부(14)는 예를 들어, 1 또는 2 이상의 물리 특성 정보의 평균치(예를 들어, 표시 화면 면적)를 획득한다. 또한, 여기서 물리 특성 정보 획득부(14)가 획득하는 정보는 물리 특성 정보의 평균치가 아닌 예를 들어, 물리 특성 정보의 중간값 등일 수도 있다.
다음으로 물리적 특성 처리부(15)는 물리 특성 정보로 나타나는 물리적 특성 처리를 실시한다. 여기서 예를 들어, 물리적 특성 처리부(15)는 물리 특성 정보의 평균치(예를 들어, 표시 화면 면적)을 출력부(16)의 파라미터로 설정한다.
다음으로 출력부(16)는 설정된 파라미터(예를 들어, 표시 화면 면적)을 이용하여 처리 화상을 출력한다.
다음으로 화상 수신부(11)는 새로운 영상을 수신한다. 다음으로 화상 분석부(12)는 수신된 영상을 분할하고, 1 또는 2 이상의 시공간 블록을 획득한다.
다음으로 화상 분석부(12)는 2 이상의 각 시공간 블록의 휘도 정보를 갖는 특징량 벡터인 제1 특징량 벡터를 각 시공간 블록마다 획득한다.
다음으로 화상 분석부(12)는 저장부(10)의 LUT의 대응 정보 중에서 대응 정보에 대응하는 제2 특징량 벡터와 제1 특징량 벡터와의 거리가 가장 작은 제2 특징량 벡터에 대응하는 대응 정보를 각 시공간 블록마다 획득한다.
다음으로 디지털 처리부(13)는 획득된 대응 정보가 갖는 파라미터군을 각 시공간 블록마다 획득한다. 또한, 이 파라미터군은 도 7과 같이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수신된 영상)에 대해 표시 화면 면적에 따라 시공간 휘도 액티비티를 조정하는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디지털 처리부(13)는 각 시공간 블록마다 획득한 파라미터군을 이용하여 시공간 블록을 화상 처리하고, 처리 화상의 부분 또는 전체를 획득한다. 여기서, 화상 처리 전과 비교하여 처리 화상의 부분 또는 전체의 시공간 휘도 액티비티는 표시 화면 면적으로 출력했을 때에 적절하도록 조정되어 있다.
다음으로 예를 들어, 물리적 특성 처리부(15)는 물리 특성 정보의 평균치(예를 들어, 표시 화면 면적)를 출력부(16)의 파라미터로 설정한다.
다음으로 출력부(16)는 설정된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처리 화상을 출력한다. 그리고 이상의 처리를 영상이 수신되는 동안 반복한다.
이상, 구체예 1에 따르면, 아날로그 보상 처리에 의해 표시 화면 면적을 설정하여 화상 출력을 할 때, 표시 화면 면적에 따른 시공간 휘도 액티비티를 복구하는 디지털 보상 처리를 실시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했다.
또한, 이러한 디지털 보상 처리는 예를 들어,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LUT 대응 정보를 이용하여 시공간 블록의 화상 패턴을 대체하는 처리에 의해 구현된다. 도 8에서 좌측의 91이 화상 수신부(11)에서 수신된 화상(입력 화상이라고도 함)을 시공간으로 분할한 시공간 블록의 집합이다. 이 시공간 블록의 정보와 물리 특성 정보를 이용하여 저장부(10)에 저장된 LUT에서 시공간 블록에 대응하는 처리 화상의 일부분을 구한다. 여기서 LUT에서 구하는 정보란 예를 들어, 화상 자체일 수도 있고, 화상을 처리하는 파라미터 예를 들어 필터 계수와 같은 것일 수도 있다. 필터 계수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이를 입력된 화상의 일부분인 시공간 블록에 실시함으로써 처리 화상의 일부분을 구한다.
예를 들어, LUT에는 물리 특성 정보인 표시 화면 면적에 따라 화상의 시공간 액티비티를 증가시키는 것과 같은 필터 계수가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한, 입력 화상과 처리 화상에 있어서 시공간 해상도 및 계조는 서로 다를 수 있다. 도 8의 사례에서는 입력 화상에서 공간 방향으로 3 × 3, 시간 방향으로 3 프레임의 시공간 블록(91)을, 처리 화상 92에서는 공간 방향으로 4 × 4 분할, 시간 방향으로 4 프레임으로 대체하고 있다. 이를 통해 구해진 처리 화상에 대해, 화상 출력 장치에서 표시 화면 면적이라는 물리 특성 정보를 반영한 광 출력을 수행함으로써 물리적 특성을 재현한 화상을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를 사용자가 봄으로써 실제로 대상을 직접 본 경우와 동일한 사용자 반응이 나타나고, 사용자는 예를 들면 산의 웅장함, 웅대함 등을 느낄 수 있다.
(구체예 2)
구체예 2에서는 복수의 출력부(16)를 구비하는 화상 처리 장치(1)이며, 아날로그 보상 처리에 의해 영상 속 해상도가 필요한 부분이 다른 부분과 비교하여 높은 해상도가 되도록 복수의 출력부(16)의 출력을 제어하는 화상 처리 장치(1)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여기서의 출력부(16)는 예를 들어, 프로젝터이다. 여기서 화상 속의 해상도가 필요한 곳이란 예를 들어, 화상 속에서 액티비티가 높은 부분이나 시청자들에게 중요 부분이다.
또한, 구체예 2에서는 공간 해상도가 불균일한 화상의 폐해를 줄이거나 없애기 위해 시공간 블록의 휘도 변화가 매끄러운 변화가 되도록 디지털 보상 처리를 실시하는 화상 처리 장치(1)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이러한 디지털 보상 처리는 일반적으로 휘도 액티비티 범위의 정보를 갖는 구속 조건을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속 조건은 구속 조건 저장 수단(131)에 저장되어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먼저 화상 수신부(11)는 영상을 수신한다. 다음으로 화상 분석부(12)는 수신된 영상을 분할하고 1 또는 2 이상의 시공간 블록을 획득한다.
다음으로 화상 분석부(12)는 2 이상의 각 시공간 블록의 휘도 정보를 갖는 특징량 벡터인 제1 특징량 벡터를 각 시공간 블록마다 획득한다. 또한, 여기서는 제1 특징량 벡터는 화소 값의 공간 액티비티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화소 값의 공간 액티비티가 큰 공간 블록일수록 블록 내 화상 변화가 크고 중요 부분이라고 판단 가능한 것으로 한다.
다음으로 화상 분석부(12)는 저장부(10)의 LUT의 대응 정보 중에서 대응 정보에 대응하는 제2 특징량 벡터와 제1 특징량 벡터와의 거리가 가장 작은 제2 특징량 벡터에 대응하는 대응 정보를 각 시공간 블록마다 획득한다.
다음으로 물리 특성 정보 획득부(14)는 각 시공간 블록마다 대응하는 대응 정보에 포함되는 물리 특성 정보(여기서는 해상도)를 획득한다.
다음으로 물리적 특성 처리부(15)는 물리 특성 정보로 나타나는 물리적 특성 처리를 실시한다. 여기서 예를 들어, 물리적 특성 처리부(15)는 2 이상의 출력부(16)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출력부(16)이며, 각 시공간 블록에 대응하는 출력부(16)의 해상도를 물리 특성 정보 획득부(14)가 획득한 해상도로 설정한다. 또는 예를 들어, 물리적 특성 처리부(15)는 각 시공간 블록에 대응하는 해상도와 동일한 해상도의 화상을 출력할 수 있는 출력부(16)에 각 시공간 블록의 처리 화상 및 그 영역을 나타내는 정보(화면 내에 공간 영역을 나타내는 정보)를 전달하고, 해당 처리 화상의 출력을 지시한다.
다음으로 디지털 처리부(13)는 획득된 대응 정보가 갖는 파라미터군을 각 시공간 블록마다 획득한다.
다음으로 디지털 처리부(13)는 각 시공간 블록마다 획득한 파라미터군을 이용하여 시공간 블록을 화상 처리하고, 화상의 부분 또는 전체를 획득한다.
다음으로 디지털 처리부(13)의 디지털 처리 수단(133)은 구속 조건 저장 수단(131)에서 구속 조건을 읽어낸다.
다음으로 디지털 처리 수단(133)은 획득된 처리 화상의 전부 또는 일부분이 읽어낸 구속 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구속 조건을 충족하지 않는 경우, 디지털 처리 수단(133)은 획득된 처리 화상의 전부 또는 일부분을 구속 조건을 충족하도록 변경하여 새로운 처리 화상을 획득한다. 또한, 여기서 구속 조건을 충족하지 않는 경우란 예를 들어, 화상 전체의 명도가 일정하지 않은 경우, 인접한 화소 간의 해상도의 변화가 연속적인 변화가 아닌 경우(인접한 화소 간의 해상도 차이가 임계치 이상인 경우) 등이다.
다음으로 2 이상의 각 출력부(16)는 물리적 특성 처리 및 디지털 처리가 이루어진 처리 화상을 출력한다.
구체예 2에 대해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복수의 프로젝터를 사용하여 영상을 출력하는 경우, 도 9와 같이 일반적으로 복수의 프로젝터는 같은 해상도로 같은 면적의 화상을 출력하고, 공간 해상도가 균일한 화상 출력을 획득하는 수 있다. 그러나 균일한 공간 해상도의 화상은 중요 부분이든 중요하지 않은 부분이든 동일한 해상도이며, 시청자(사용자와 같은 의미)에게 바람직하지 않다. 구체예 2의 화상 처리 장치(1)에서 중요 부분의 해상도가 커지도록 도 10과 같이 불균일한 해상도의 영상을 만들어 낸다. 또한, 불균일한 해상도의 영상을 만들어 낸 경우에 일반적으로 도 11과 같이 전체 화면의 명도가 불균일해지거나(도 11 (a)의 121 참조) 해상도의 연속성이 무너지면(도 11 (a)의 123 참조) 보기 힘든 화상이 되어 버린다. 그러나 구체예 2의 화상 처리 장치(1)에서는 구속 조건이나 LUT를 이용한 디지털 처리에 의해 화면의 명도를 균일하며 또한 해상도의 연속성을 유지할 수가 있다. 또한, 해상도의 연속성에 대해 디지털 처리 수단(133)은 시야의 범위에서 유지하는 처리를 실시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경우에 시야 범위 정보 저장 수단(132)은 시야 범위 정보를 보유하고 있다. 그리고 디지털 처리 수단(133)은 시야 범위 정보가 나타내는 시야 범위에서 구속 조건을 적용하고 구속 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예 3)
구체예 3에서는 예를 들어, 넓은 범위를 촬영한 영상에 대해 시야 범위에서는 계조가 부족하게 되고, 물리적 특성이 손실되는 경우에 해당 물리적 특성을 최대한 재현할 수 있는 화상 처리 장치(1)에 대해 설명한다.
구체예 3에서는 예를 들면, 화상 처리 장치(1)는 2 개의 프로젝터를 구비한다. 또한, 화상 수신부(11)는 상기 넓은 범위의 전체를 적정 노출로 촬영한 영상(이하, 영상A라 함)과 어두운 영역에서 적정 노출로 촬영한 영상(이하, 영상 B라 함)을 수신하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어, 영상 A를 촬영한 셔터 스피드가 1 / 200s, 영상 B를 촬영한 셔터 스피드는 그보다 4배 느린 1 / 50s이라 한다. 여기서 영상 A 전체의 계조는 8bit이며, 화소 값은 0에서 255까지의 거의 모든 범위에 존재한다. 단, 영상 A 중 어두운 부분을 볼 때, 시야에 들어오는 범위(도 12의 131)에서는, 예를 들면 화소 값은 0에서 63의 범위 밖에 존재하지 않는다고 한다. 이 경우, 영상 A에서 영상 전체의 계조는 8bit(256 단계)이지만, 이 시야 범위에서의 계조는 6bit(64 단계) 밖에 없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영상 B에서는 셔터 스피드가 4배 느리기 때문에 이 시야 범위에 대응하는 영역의 화소 값 분포는 0에서 255가 되어 8bit의 계조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단, 영상 B에서는 다른 영역에서 노출 오버가 되어, 화소 값이 255가 될 것 같은 곳도 많이 발생한다.
그리고 물리 특성 정보 획득부(14)는 하나의 프로젝터(이하, 프로젝터 A)와 영상 A를 대응시키고, 다른 프로젝터와 영상 B를 대응시킨다. 여기서 물리 특성 정보는 영상 A와 영상 B의 명도의 관계가 된다. 즉, 여기서 영상 B는 영상 A에 비해 4 배 느린 셔터 스피드로 촬영되어 있기 때문에 같은 명도의 대상이 영상 A의 4 배의 화소 값으로 관측된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영상 B는 영상 A에 대해 1/4의 휘도로 재현해야 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물리적 특성 처리부(15)는 물리 특성 정보 획득부(14)가 실시한 매핑에 따라 하나의 프로젝터에 영상 A의 출력을 지시하고, 다른 프로젝터에 영상 B의 출력을 지시한다. 여기서 물리적 특성 처리부(15)는 물리 특성 정보 획득부(14)에서 구한 물리 특성 정보에 따라 프로젝터 A에 대해서는 광량 4의 출력을, 프로젝터 B에 대해서는 광량 1의 출력을 지시한다.
다음으로 디지털 처리 수단(133)은 예를 들면, 영상 A 및 영상 B에 구속 조건 저장 수단(131)에 저장되어 있는 구속 조건을 적용하여 구속 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구속 조건을 충족하지 못할 경우, 디지털 처리 수단(133)은 구속 조건을 충족하도록 영상 A 및 영상 B를 변경한다. 또한, 여기서의 구속 조건은 예를 들어, 시야 범위에서 화소 간의 관계를 유지하는 것, 넓은 범위의 전체 화상에서 균형을 유지하는 것 등이다.
여기서 화소 간의 관계란 예를 들어, 인접한 화소의 명도의 차이가 최종 출력 결과(광을 중첩한 결과)로서 휘도의 차이로 표현되는 것이다. 또한, 화상 전체의 균형이란 예를 들어, 최종 출력 결과(화상을 중첩한 결과)로서 화상 전체의 명도 분포가 적정 노출로 촬영한 영상 A와 크게 다르지 않는 것이다.
다음으로 하나의 프로젝터는 구속 조건을 충족한 영상 A를 출력하고, 다른 프로젝터는 구속 조건을 충족한 영상 B를 영상 A에 중첩하여 출력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시야 범위에서 항상 충분한 계조 정보를 획득하는 수 있고, 실제로 대상을 직접 본 경우와 동일한 감각을 획득하는 수 있다. 또한, 그 결과로서 눈의 움직임·얼굴의 움직임 등의 반응이 실제로 대상을 직접 볼 때와 동일한 반응이 된다. 또한, 여기에서는 카메라 및 프로젝터의 화소 값과 출력하는 명도의 관계는 선형이라고 가정하고 설명했지만, 실제로는 이 관계는 감마 특성 등에 의해 비선형이 된다. 이 경우에도 화소 값 - 광 출력 특성을 연산식이나 LUT로 보정함으로써 상기와 동등한 처리가 가능해진다.
(구체예 4)
구체예 4에서 프로젝터 등의 투영 화상을 다른 센서 등으로 감지하고, 그 결과에서 디지털 처리 및 아날로그 처리를 조정하는 기능을 갖는 화상 처리 장치(1)에 대해 설명한다. 구체예 4의 주된 처리는 디지털 처리 및 아날로그 처리가 실시된 후의 처리이며, 상술한 구체예 1 ~ 3의 처리에 수반하여 실시될 수도 있다.
출력 화상 정보 획득부(17)는 프로젝터의 투영 결과의 측정 결과를 획득한다. 측정 결과는 처리 후 정보의 일례이다. 측정 결과는 예를 들어, 휘도 정보(밝은 영역을 특정하는 정보, 어두운 영역을 특정하는 정보), 휘도 불균일의 존재의 유무, 휘도 불균일이 존재하는 곳의 정보, 초점의 맞는 정도, 시간 응답(플리커, 반응 속도) 등이다.
다음으로 화상 분석부(12)는 각 시공간 블록에 대해 처리 후 정보를 포함하는 제1 특징량 벡터를 획득한다. 그리고 화상 분석부(12)는 LUT를 참조하여, 제1 특징량 벡터에 가장 가까운 제2 특징량 벡터를 갖는 대응 정보를 선택한다.
다음으로 디지털 처리부(13)는 선택된 대응 정보를 이용하여 각 시공간 블록을 화상 처리하고, 시공간 블록마다 처리 화상을 획득한다.
다음으로 물리 특성 정보 획득부(14)는 디지털 처리된 처리 화상에서 소실된 물리적 특성에 관한 물리 특성 정보를 획득한다.
다음으로 물리적 특성 처리부(15)는 처리 화상을 이용하여 물리 특성 정보에 따른 물리적 특성 처리를 실시한다. 그리고 출력부(16)는 물리적 특성 처리가 된 처리 화상을 출력한다.
이상의 처리에 의해 현실 세계의 물리적 특성을 재현할 수 있는 화상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4에서 현실 세계의 물리적 특성을 재현할 수 있도록 디지털 처리 파라미터를 LUT를 이용하여 조정했다.
또한, 아날로그 처리에 최적화된 화상을 출력해도 외란(예를 들면, 외광, 기온 습도) 등의 영향을 받아 실제로 투영되는 광이 예상대로 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다. 그래서 구체적 예 4에서 실제로 투영된 광의 상태를 감지하여 원래 상정된 화상이 출력되도록 디지털 처리, 아날로그 처리를 변경한다. 투영 화상의 감지는 화상 출력 중에 수시로 행할 수도 있고, 화상 출력 전에 감지해 놓은 환경 정보를 계속 사용할 수도 있다.
(구체예 5)
구체예 5에서 시청자의 반응을 감지하고, 그 결과로부터 디지털 처리 및 아날로그 처리를 조정하는 기능을 갖는 화상 처리 장치(1)에 대해 설명한다.
사용자 정보 획득부(19)는 시청자의 반응을 나타내는 사용자 정보를 획득한다. 여기서 사용자 정보는 예를 들어, 안구 운동을 나타내는 정보, 동공 반응을 나타내는 정보, 자세 변화를 나타내는 정보, 뇌파 정보 등이다.
다음으로 화상 분석부(12)는 각 시공간 블록에 대하여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제1 특징량 벡터를 획득한다. 그리고 화상 분석부(12)는 LUT를 참조하여, 제1 특징량 벡터에 가장 가까운 제2 특징량 벡터를 갖는 대응 정보를 선택한다.
다음으로 디지털 처리부(13)는 선택된 대응 정보를 이용하여 각 시공간 블록을 화상 처리하고 시공간 블록마다 처리 화상을 획득한다.
다음으로 물리 특성 정보 획득부(14)는 화상 수신부(11)가 수신한 화상에서 소실된 물리적 특성에 관한 물리 특성 정보를 획득한다.
다음으로 물리적 특성 처리부(15)는 처리 화상을 이용하여 물리 특성 정보로 나타나는 물리적 특성 처리를 실시한다. 그리고 출력부(16)는 물리적 특성 처리가 실시되어 처리 화상을 출력한다.
이상의 처리에 의해 현실 세계의 물리적 특성을 재현할 수 있는 화상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5에서 현실 세계의 물리적 특성을 재현할 수 있도록 디지털 처리 및 아날로그 처리 파라미터를 LUT를 이용하여 획득했다.
구체예 5에서 영상 투영시의 시청자 반응의 차이를 감지하여, 타깃이 되는 시청자의 반응에 접근할 수 있도록 디지털 처리와 아날로그 처리를 변경한다. 여기서 타깃이 되는 시청자 반응이란 영상 획득 시에 영상 획득의 현장에 있는 인간의 반응에서 획득하는 수도 있고, 과거에 축적된 인간의 반응 데이터베이스(LUT)을 이용하여 영상 정보 등에서 추정할 수도 있다. 과거에 축적된 인간의 반응 데이터베이스란 예를 들어, 화상의 내용, 종류, 크기, 명도 등에 의해 일어나는 인간의 반응이다. 구체적으로는 명도에 따른 동공의 확장축소, 화상에 포함되는 물체의 거리나 개수에 따른 시선 이동, 화상에 포함되는 움직임에 의해 생기는 인간의 반응이다.
이상, 본 실시예에 의하면, 화상 내에 나타나는 대상의 소실된 물리적 특성을 최대한 재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처리는 소프트웨어로 구현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 소프트웨어를 소프트웨어 다운로드 등에 의해 배포할 수도 있다. 또한, 이 소프트웨어를 CD-ROM 등의 기록 매체에 기록하고 유포할 수도 있다. 또한, 이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도 해당한다. 본 실시예의 화상 처리 장치를 구현하는 소프트웨어는 다음과 같은 프로그램이다. 즉, 이 프로그램은 컴퓨터를 1 또는 2 이상의 화상을 수신하는 화상 수신부, 상기 화상 수신부가 수신한 1 또는 2 이상의 화상에 디지털 처리를 실시하고, 1 또는 2 이상의 처리 화상을 획득하는 디지털 처리부, 상기 화상 수신부가 수신한 1 또는 2 이상의 화상에서, 상기 화상 내에 포함되어 있는 대상이 갖는 1 이상의 물리적 특성과 비교하여 소실된 물리적 특성에 관한 정보인 물리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물리 특성 정보 획득부, 상기 1 또는 2 이상의 처리 화상을 이용하여 상기 물리 특성 정보에 대응하는 물리적 특성을 부가하기 위한 처리인 물리적 특성 처리를 실시하는 물리적 특성 처리부, 및 상기 물리적 특성 처리를 한 처리 화상을 출력하는 출력부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에서 상기 디지털 처리부는 상기 물리적 특성 처리부가 상기 물리적 특성 처리를 실시한 후에 얻어지는 정보인 처리 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화상 수신부가 수신한 1 또는 2 이상의 화상에 디지털 처리를 실시하고, 1 또는 2 이상의 처리 화상을 획득하는 것으로서 컴퓨터를 작동시키는 것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에서 상기 디지털 처리부는 상기 물리 특성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화상 수신부가 수신한 1 또는 2 이상의 화상에 디지털 처리를 실시하고, 1 또는 2 이상의 처리 화상을 획득하는 것으로서 컴퓨터를 작동시키는 것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에서 상기 물리 특성 정보 획득부는 상기 화상 수신부가 수신한 1 또는 2 이상의 화상 또는 상기 1 또는 2 이상의 처리 화상을 이용하여 물리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것으로서 컴퓨터를 작동시키는 것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에서 1 또는 2 이상의 화상의 전부 또는 일부분과 상기 화상과 동일한 대상에 대한 화상인 처리 화상의 전부 또는 일부분을 대응시키기 위한 정보이며, 물리 특성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인 1 또는 2 이상의 대응 정보를 갖는 룩업 테이블을 저장하고, 상기 디지털 처리부는 상기 1 또는 2 이상의 대응 정보 중 어느 하나의 대응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화상 수신부가 수신한 1 이상의 화상의 전부 또는 일부분에 대응하는 1 또는 2 이상의 처리 화상의 전부 또는 일부분을 획득하고, 상기 물리 특성 정보 획득부는 상기 1 또는 2 이상의 대응 정보 중 어느 하나의 대응 정보를 이용하여 물리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것으로서 컴퓨터를 작동시키는 것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에서 1 또는 2 이상의 화상의 전부 또는 일부분과 상기 화상과 동일한 대상에 대한 화상인 처리 화상의 전부 또는 일부분과 대응시키기 위한 정보이며, 물리 특성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인 1 또는 2 이상의 대응 정보를 갖는 2 이상의 룩업 테이블을 저장하고, 상기 디지털 처리부는 상기 2 이상의 룩업 테이블 중 하나의 룩업 테이블의 대응 정보 중 중 어느 하나의 대응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화상 수신부가 수신한 1 이상의 화상의 전부 또는 일부분에 대응하는 1 또는 2 이상의 처리 화상의 전부 또는 일부분을 획득하고, 상기 물리 특성 정보 획득부는 상기 2 이상의 룩업 테이블 중 어느 하나의 룩업 테이블의 대응 정보 중 어느 하나의 대응 정보를 이용하여 물리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것으로서 컴퓨터를 작동시키는 것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에서 상기 화상 수신부가 수신한 1 이상의 화상의 전부 또는 일부분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획득하며, 해당 분석 결과에 대응하는 대응 정보를 선택하는 화상 분석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디지털 처리부는 상기 화상 분석부가 선택한 대응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화상 수신부가 수신한 1 이상의 화상의 전부 또는 일부분에 대응하는 1 또는 2 이상의 처리 화상의 전부 또는 일부분을 획득하고, 상기 물리 특성 정보 획득부는 상기 화상 분석부가 선택한 대응 정보를 이용하여 물리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것으로서 컴퓨터를 작동시키는 것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에서 상기 물리적 특성 처리부는 상기 1 또는 2 이상의 처리 화상을 광 출력하는 경우, 상기 물리 특성 정보에 따라 광 출력을 위한 제어를 수행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물리적 특성 처리부가 수행한 광 출력을 위한 제어를 기준으로 광 출력을 위한 제어가 실시된 1 또는 2 이상의 처리 화상을 출력하는 것으로서 컴퓨터를 작동시키는 것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에서 상기 물리 특성 정보는 광량에 관한 정보이고, 상기 물리적 특성 처리부는 상기 물리 특성 정보에 따라 광 출력하는 경우의 광량을 설정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설정된 광량에 따라 상기 1 또는 2 이상의 처리 화상을 출력하는 것으로서 컴퓨터를 작동시키는 것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에서 상기 물리 특성 정보는 시야각에 관한 정보이고, 상기 물리적 특성 처리부는 상기 물리 특성 정보에 따라 시야각을 설정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설정된 시야각에 따라 상기 1 또는 2 이상의 처리 화상을 출력하는 것으로서 컴퓨터를 작동시키는 것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에서 복수의 출력부를 구비하고, 상기 물리 특성 정보 획득부는 상기 복수의 출력부의 광 출력을 제어하는 정보인 물리 특성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물리적 특성 처리부는 상기 물리 특성 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의 출력부의 광 출력을 위한 제어를 수행하는 것으로서 컴퓨터를 작동시키는 것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에서 상기 출력부가 출력한 상기 1 또는 2 이상의 처리 화상 정보에 관한 정보인 출력 화상 정보를 획득하는 출력 화상 정보 획득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처리 후 정보는 상기 출력 화상 정보인 것으로서 컴퓨터를 작동시키는 것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에서 상기 처리 화상을 보는 사용자에 관한 정보인 사용자 정보를 획득하는 사용자 정보 획득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처리 후 정보는 상기 사용자 정보인 것으로서 컴퓨터를 작동시키는 것은 바람직하다.
(실시예 1)
본 실시예에서 화상을 수신하는 경우에 해당 화상과 대응되는 물리 특성 정보를 수신하는 화상 처리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즉, 본 실시예의 화상 처리 장치의 처리는 실시예 1의 화상 처리 장치(1)와 비교하여 물리 특성 정보를 얻는 방법이 다를 뿐이다.
도 13은 본 실시예의 화상 처리 장치(2)의 블록도이다. 화상 처리 장치(2)는 화상 수신부(21), 화상 분석부(12), 디지털 처리부(13), 물리 특성 정보 획득부(24), 물리적 특성 처리부(15), 출력부(16), 출력 화상 정보 획득부(17), 출력 파라미터 획득부(18), 및 사용자 정보 획득부(19)를 구비한다.
화상 수신부(21)는 1 또는 2 이상의 화상을 수신한다. 또한, 화상 수신부(21)는 1 또는 2 이상의 화상과 대응되는 물리 특성 정보도 수신한다. 또한, 화상 수신부(21)는 하나의 대상을 서로 다른 환경에서 촬영한 2 종류 이상의 화상을 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화상 수신부(21)가 수신하는 물리 특성 정보는 예를 들어, 화상이 촬영된 현장에서 입력된 정보이다. 또한, 화상 수신부(21)가 수신하는 물리 특성 정보는 예를 들어, 화상이 촬영된 현장에서 자동적으로 획득된 정보이다. 또한, 여기서 수신이란 일반적으로 통신 수단이나 방송 수신 수단을 이용한 수신이지만, 광디스크나 자기 디스크, 반도체 메모리 등의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낸 정보의 수신, 스캐너나 카메라 등의 입력 장치로부터 입력된 화상의 수신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화상 수신부(21)는 예를 들어, 방송 수신 수단 또는 통신 수단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물리 특성 정보 획득부(24)는 화상 수신부(21)가 수신한 물리 특성 정보를 획득한다. 물리 특성 정보 획득부(24)가 획득하는 물리 특성 정보는 물리 특성 정보 획득부(14)가 획득하는 물리 특성 정보와 동일하다. 물리 특성 정보 획득부(24)는 일반적으로 MPU나 메모리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물리 특성 정보 획득부(24)의 처리 순서는 일반적으로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고, 해당 소프트웨어는 ROM 등의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있다. 단, 하드웨어(전용 회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화상 처리 장치(2)의 동작 예에 대하여 도 14의 흐름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4의 흐름도에서 도 2의 흐름도와 동일한 단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단계 S1501) 화상 수신부(11)는 1 이상의 화상 및 물리 특성 정보를 수신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1 이상의 화상 등을 수신하면 단계 S202로 이행하고, 1 이상의 화상 등을 수신하지 않으면 단계 S201로 돌아온다.
(단계 S1502) 물리 특성 정보 획득부(14)는 단계 S1501에서 수신된 정보에서 물리 특성 정보를 획득한다.
또한, 도 14의 흐름도의 단계 S202에서 화상을 분할하는 처리를 실시했지만, 화상 분할 처리는 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블록은 하나가 된다.
또한, 도 14의 흐름도에서 단계 S1502, S209의 물리 특성 정보의 획득 처리 및 물리적 특성 처리는 화상 수신부(21)가 수신한 화상 등의 단위로 실시했지만, 분할된 시공간 블록 단위로 실시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4의 흐름도에서 디지털 처리 후 물리적 특성 처리가 실시되었다. 그러나 물리적 특성 처리 후에 디지털 처리를 실시할 수도 있고, 동시에 디지털 처리와 물리적 특성 처리를 실시할 수도 있다.
또한, 도 3의 흐름도에서 전원 종료 및 처리 완료의 인터럽트에 의해 처리는 종료한다.
이상, 본 실시예에 의하면, 화상 내에 나타나는 대상의 소실된 물리적 특성을 최대한 재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화상 처리 장치를 구현하는 소프트웨어는 다음과 같은 프로그램이다. 즉,이 프로그램은 컴퓨터를 1 또는 2 이상의 화상을 수신하는 화상 수신부, 상기 화상 수신부가 수신한 1 또는 2 이상의 화상에 디지털 처리를 실시하여 1 또는 2 이상의 처리 화상을 획득하는 디지털 처리부, 상기 화상 수신부가 수신한 1 또는 2 이상의 화상에서 상기 화상 내에 포함되어 있는 대상이 갖는 1 이상의 물리적 특성과 비교하여 소실된 물리적 특성에 관한 정보인 물리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물리 특성 정보 획득부, 상기 1 또는 2 이상의 처리 화상을 이용하여 상기 물리 특성 정보에 대응하는 물리적 특성을 부가하기 위한 처리인 물리적 특성 처리를 실시하는 물리적 특성 처리부, 및 상기 물리적 특성 처리를 실시한 처리 화상을 출력하는 출력부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에서 상기 화상 수신부는 상기 1 또는 2 이상의 화상과 대응되는 물리 특성 정보도 수신하고, 상기 물리 특성 정보 획득부는 상기 1 또는 2 이상의 화상에 대응되는 물리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것으로서 컴퓨터를 작동시키는 것은 바람직하다.
(실시예 3)
본 실시예에서 시청자로부터 입력된 물리 특성 정보를 획득하고, 해당 물리적 특성 정보를 이용하여 화상 처리를 하는 화상 처리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즉, 본 실시예의 화상 처리 장치의 처리는 실시예 1의 화상 처리 장치(1) 및 실시예 2의 화상 처리 장치(2)와 비교하여 물리 특성 정보를 얻는 방법이 다를 뿐이다.
도 15는 본 실시예의 화상 처리 장치(3)의 블록도이다. 화상 처리 장치(3)는 화상 수신부(11), 물리 특성 정보 수신부(31), 화상 분석부(12), 디지털 처리부(13), 물리 특성 정보 획득부(34), 물리적 특성 처리부(15), 출력부(16), 출력 화상 정보 획득부(17), 출력 파라미터 획득부(18), 및 사용자 정보 획득부(19)를 구비한다.
물리 특성 정보 수신부(31)는 화상의 시청자가 입력한 물리 특성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물리 특성 정보는 예를 들어, 화상 내의 피사체의 크기(예를 들어, '1m' 등), 화상 내의 피사체의 명도(예를 들어, '1000lx' 등) 등이다. 물리 특성 정보의 입력 수단은 키보드나 마우스 또는 메뉴 화면에 의한 것 등 무엇이든 가능하다. 물리 특성 정보 수신부(31)는 키보드 등의 입력 수단의 장치 드라이버나 메뉴 화면의 제어 소프트웨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물리 특성 정보 획득부(34)는 물리 특성 정보 수신부(31)가 수신한 물리 특성 정보를 획득한다. 물리 특성 정보 획득부(34)가 획득하는 물리 특성 정보는 물리 특성 정보 획득부(14)와 물리 특성 정보 획득부(24)가 획득하는 물리 특성 정보와 동일하다. 물리 특성 정보 획득부(34)는 일반적으로 MPU나 메모리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물리 특성 정보 획득부(34)의 처리 순서는 일반적으로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고, 해당 소프트웨어는 ROM 등의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다. 단, 하드웨어(전용 회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화상 처리 장치(3)의 동작에 대하여 도 16의 흐름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6의 흐름도에서 도 2의 흐름도와 동일한 단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단계 S1701) 물리 특성 정보 수신부(31)는 물리 특성 정보를 수신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물리 특성 정보를 수신하면 단계 S208로 이행하고, 물리 특성 정보를 수신하지 않으면 단계 S210로 이행한다. 또한, 도 16의 단계 S210에서 물리 특성 정보를 수신하지 않는 경우, 출력부(16)가 출력하는 처리 화상은 디지털 처리만이 실시된 처리 화상이다.
또한, 도 16의 흐름도에서 단계 S202에서 화상을 분할하는 처리를 실시했지만, 화상 분할 처리는 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블록은 하나가 된다.
또한, 도 16의 흐름도에서 디지털 처리 후 물리적 특성 처리가 실시되었다. 그러나 물리적 특성 처리 후 디지털 처리를 실시할 수도 있고, 동시에 디지털 처리와 물리적 특성 처리를 실시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6의 흐름도에서 전원 종료 및 처리 완료의 인터럽트에 의해 처리는 종료한다.
이하, 본 실시예의 화상 처리 장치(3)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본 구체예에서, 시청자가 화상을 보고 현실 세계의 물리적 특성을 추정하여, 물리 특성 정보를 화상 처리 장치(3)에 입력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 물리 특성 정보는 예를 들어, 화상의 피사체의 크기(예를 들어, '1m' 등) 등의 지시 등이다.
물리 특성 정보 수신부(31)는 화상 시청자가 입력한 물리 특성 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물리 특성 정보 획득부(34)는 물리 특성 정보 수신부(31)가 수신한 물리 특성 정보를 획득한다. 그리고 물리 특성 정보 획득부(34)가 획득한 물리 특성 정보에 따라 물리적 특성 처리부(15)는 아날로그 처리를 실시한다. 또한, 여기서 아날로그 처리는 예를 들어, 프로젝터의 광량을 증가시키는 지시를 프로젝터에 실시하는 처리, 프로젝터의 투영 크기를 확대(줌)하는 지시를 프로젝터에 실시하는 처리 등이다.
또한, 디지털 처리부(13)는 아날로그 처리에 따라 구속 조건을 충족하지 않게 된 화상을 변환하고, 구속 조건을 충족하는 처리 화상을 획득한다.
다음으로 출력부(16)(프로젝터)는 물리적 특성 처리부(15)에 의한 지시에 따르고 또한 구속 조건을 충족하도록 디지털 처리된 처리 화상을 출력한다.
이상, 본 실시예에 의하면, 화상 내에 나타나는 대상의 소실된 물리적 특성을 최대한 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시청자가 생각하는 물리적 특성에 따라 화상을 획득하는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화상 처리 장치를 구현하는 소프트웨어는 다음과 같은 프로그램이다. 즉, 이 프로그램은 컴퓨터를 1 또는 2 이상의 화상을 수신하는 화상 수신부, 상기 화상 수신부가 수신한 1 또는 2 이상의 화상에 디지털 처리를 실시하여, 1 또는 2 이상의 처리 화상을 획득하는 디지털 처리부, 상기 화상 수신부가 수신한 1 또는 2 이상의 화상에서, 상기 화상 내에 포함되는 대상이 갖는 1 이상의 물리적 특성과 비교하여 소실된 물리적 특성에 관한 정보인 물리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물리 특성 정보 획득부, 상기 1 또는 2 이상의 처리 화상을 이용하여 상기 물리 특성 정보에 대응하는 물리적 특성을 부가하기 위한 처리인 물리적 특성 처리를 실시하는 물리적 특성 처리부, 상기 물리적 특성 처리된 처리 화상을 출력하는 출력부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에서 컴퓨터를 물리 특성 정보를 수신하는 물리 특성 정보 수신부로서 더 기능시키고, 상기 물리 특성 정보 획득부는 상기 물리 특성 정보 수신부가 수신한 물리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것으로서 컴퓨터를 작동시키는 것은 바람직하다.
또한, 도 17은 본 명세서에서 언급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술한 다양한 실시예의 화상 처리 장치를 구현하는 컴퓨터의 외관을 나타낸다. 상술한 실시예는 컴퓨터 하드웨어 및 거기서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7은 이 컴퓨터 시스템(300)의 개관도이고, 도 18은 시스템(300)의 블록도이다.
도 17에서 컴퓨터 시스템(300)은 CD-ROM 드라이브를 포함하는 컴퓨터(301), 키보드(302), 마우스(303), 및 모니터(304)를 포함한다.
도 18에서 컴퓨터(301)는 CD-ROM 드라이브(3012) 이외에 MPU(3013), 버스(3014), ROM(3015), RAM(3016), 및 하드 디스크(3017)를 포함한다. 또한, 버스(3014)는 MPU(3013)나 CD-ROM 드라이브(3012)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ROM(3015)에는 부팅 프로그램 등의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다. 또한, RAM(3016)은 MPU(3013)에 연결되어, 응용 프로그램의 명령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동시에 임시 저장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하드 디스크(3017)는 응용 프로그램, 시스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는 도시하지 않지만, 컴퓨터(301)는 또한, LAN 접속을 제공하는 네트워크 카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컴퓨터 시스템(300)에 상술한 실시예의 화상 처리 장치의 기능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은 CD-ROM(3101)에 저장되어 CD-ROM 드라이브(3012)에 삽입되고, 또한 하드 디스크(3017)로 전송될 수도 있다. 이를 대신하여, 프로그램은 미도시의 네트워크를 통해 컴퓨터(301)에 송신되고, 하드 디스크(3017)에 저장될 수도 있다. 프로그램은 실행 시에 RAM(3016)에 로드된다. 프로그램은 CD-ROM(3101) 또는 네트워크에서 직접 로드될 수도 있다.
프로그램은 컴퓨터(301)에 상술한 실시예의 화상 처리 장치의 기능을 실행시키는 운영 체제 또는 타사 프로그램 등은 반드시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프로그램은 제어된 형태로 적절한 기능(모듈)을 호출하고, 원하는 결과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명령 부분만을 포함하면 된다. 컴퓨터 시스템(300)이 어떻게 작동하는지는 주지이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에서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 단계나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단계 등에서는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 처리, 예를 들어 송신 단계의 모뎀이나 인터페이스 카드 등으로 수행되는 처리(하드웨어로만 수행되는 처리)는 포함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컴퓨터는 단수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 즉, 집중 처리를 실시할 수도 있고, 또는 분산 처리를 실시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예에서, 하나의 장치에 존재하는 2 이상의 통신 수단은 물리적으로 하나의 매체로 구현될 수 있는 건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각 실시예에서 각 처리(각 기능)은 단일 장치(시스템)에 의해 집중 처리됨으로써 구현될 수도 있고, 또는 복수의 장치에 의해 분산 처리됨으로써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이상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며, 그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당연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는 화상 내에 나타나는 대상의 소실된 물리적 특성을 최대한 재현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고, 텔레비전 장치 등으로서 유용하다.
1, 2, 3 : 화상 처리 장치
10 : 저장부
11, 21 : 화상 수신부
12 : 화상 분석부
13 : 디지털 처리부
14, 24, 34 : 물리 특성 정보 획득부
15 : 물리적 특성 처리부
16 : 출력부
17 : 출력 화상 정보 획득부
18 : 출력 파라미터 획득부
19 : 사용자 정보 획득부
31 : 물리 특성 정보 수신부
131 : 구속 조건 저장 수단
132 : 시야 범위 정보 저장 수단
133 : 디지털 처리 수단
151 : 물리 특성 구속 조건 저장 수단
152 : 물리적 특성 처리 수단

Claims (24)

1 또는 2 이상의 화상을 수신하는 화상 수신부;
상기 화상 수신부가 수신한 1 또는 2 이상의 화상에 디지털 처리를 실시하여, 1 또는 2 이상의 처리 화상을 획득하는 디지털 처리부;
상기 화상 수신부가 수신한 1 또는 2 이상의 화상 내에 포함되는 대상의 크기, 대상의 크기에 대응하는 표시 화면 면적에 관한 정보, 광량, 시야각, 광 출력 제어의 정보 중 1 이상의 정보인 물리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물리 특성 정보 획득부;
상기 1 또는 2 이상의 처리 화상을 이용하여 상기 물리 특성 정보에 대응하는 물리적 특성을 부가하기 위한 처리인 물리적 특성 처리를 실시하는 물리적 특성 처리부; 및
상기 물리적 특성 처리가 실시된 처리 화상을 출력하는 출력부를 구비하고,
상기 물리적 특성 처리부는,
상기 물리 특성 정보 획득부가 획득한 대상의 크기에 기초하여 처리 화상의 크기를 설정하는, 상기 표시 화면 면적에 관한 정보를 설정하는, 상기 물리 특성 정보 획득부가 획득한 광량에 기초하여 광 출력하는 경우의 광량을 설정하는 처리, 상기 물리 특성 정보 획득부가 획득한 시야각에 기초하여 시야각을 설정하는 처리, 상기 물리 특성 정보 획득부가 획득한 광 출력 제어의 정보에 기초하여 광 출력을 위한 제어를 수행하는 처리 중 1이상의 처리를 실시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물리적 특성 처리부가 설정한 처리 화상의 크기, 광량, 시야각 중 1 이상의 파라미터에 따라 처리 화상을 출력하거나, 또는 상기 물리적 특성 처리부가 수행한 광 출력을 위한 제어에 따라 처리 화상을 출력하는 화상 처리 장치.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처리부는 상기 물리적 특성 처리부가 상기 물리적 특성 처리를 실시한 후에 얻어지는 정보인 처리 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화상 수신부가 수신한 1 또는 2 이상의 화상에 디지털 처리를 실시하고, 1 또는 2 이상의 처리 화상을 획득하는 화상 처리 장치.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처리부는 상기 물리 특성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화상 수신부가 수신한 1 또는 2 이상의 화상에 디지털 처리를 실시하여, 1 또는 2 이상의 처리 화상을 획득하는 화상 처리 장치.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물리 특성 정보 획득부는 상기 화상 수신부가 수신한 1 또는 2 이상의 화상 또는 상기 1 또는 2 이상의 처리 화상을 이용하여 물리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화상 처리 장치.
제1항에 있어서,
1 또는 2 이상의 화상의 전부 또는 일부분과 상기 화상과 동일한 대상에 대한 화상인 처리 화상의 전부 또는 일부분과 대응시키기 위한 정보이며, 물리 특성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인 1 또는 2 이상의 대응 정보를 갖는 룩업 테이블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디지털 처리부는 상기 1 또는 2 이상의 대응 정보 중 어느 하나의 대응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화상 수신부가 수신한 1 이상의 화상의 전부 또는 일부분에 대응하는 1 또는 2 이상의 처리 화상의 전부 또는 일부분을 획득하고,
상기 물리 특성 정보 획득부는 상기 1 또는 2 이상의 대응 정보 중 어느 하나의 대응 정보를 이용하여 물리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화상 처리 장치.
제1항에 있어서,
1 또는 2 이상의 화상의 전부 또는 일부분과 상기 화상과 동일한 대상에 대한 화상인 처리 화상의 전부 또는 일부분과 대응시키기 위한 정보이며, 물리 특성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인 1 또는 2 이상의 대응 정보를 갖는 2 이상의 룩업 테이블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디지털 처리부는 상기 2 이상의 룩업 테이블 중 어느 하나의 룩업 테이블의 대응 정보 중 어느 하나의 대응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화상 수신부가 수신한 1 이상의 화상의 전부 또는 일부분에 대응하는 1 또는 2 이상의 처리 화상의 전부 또는 일부분을 획득하고,
상기 물리 특성 정보 획득부는 상기 2 이상의 룩업 테이블 중 하나의 룩업 테이블의 대응 정보 중 어느 하나의 대응 정보를 이용하여 물리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화상 처리 장치.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수신부가 수신한 1 이상의 화상의 전부 또는 일부분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획득하여, 해당 분석 결과에 대응하는 대응 정보를 선택하는 화상 분석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디지털 처리부는 상기 화상 분석부가 선택한 대응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화상 수신부가 수신한 1 이상의 화상의 전부 또는 일부분에 대응하는 1 또는 2 이상의 처리 화상의 전부 또는 일부분을 획득하고,
상기 물리 특성 정보 획득부는 상기 화상 분석부가 선택한 대응 정보를 이용하여 물리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화상 처리 장치.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수신부는 상기 1 또는 2 이상의 화상과 대응되는 물리 특성 정보도 수신하고,
상기 물리 특성 정보 획득부는 상기 1 또는 2 이상의 화상과 대응되는 물리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화상 처리 장치.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물리 특성 정보를 수신하는 물리 특성 정보 수신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물리 특성 정보 획득부는 상기 물리 특성 정보 수신부가 수신한 물리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화상 처리 장치.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처리 장치는 복수의 출력부를 구비하고
상기 물리 특성 정보 획득부는 상기 복수의 출력부의 광 출력을 제어하는 정보인 물리 특성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물리적 특성 처리부는 상기 물리 특성 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의 출력부의 광 출력을 위한 제어를 수행하는 화상 처리 장치.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가 출력한 상기 1 또는 2 이상의 처리 화상에 관한 정보인 출력 화상 정보를 획득하는 출력 화상 정보 획득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처리 후 정보는 상기 출력 화상 정보인 화상 처리 장치.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화상을 보는 사용자에 관한 정보인 사용자 정보를 획득하는 사용자 정보 획득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처리 후 정보는 상기 사용자 정보인 화상 처리 장치.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후 정보는 표시 화면 면적에 관한 정보이며,
상기 디지털 처리부는 상기 표시 화면 면적에 따라 시공간 휘도 액티비티를 조정하는 처리를 상기 화상 수신부가 수신한 1 또는 2 이상의 화상에 대해 실시하는 화상 처리 장치.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처리부는 화상이 갖는 화소에 대한 1 이상의 구속 조건을 저장할 수 있는 구속 조건 저장 수단; 및
상기 화상 수신부가 수신한 1 또는 2 이상의 화상이 상기 1 이상의 구속 조건을 충족하도록 상기 1 또는 2 이상의 화상을 갖는 화소를 변경하고, 1 또는 2 이상의 처리 화상을 획득하는 디지털 처리 수단을 구비하는 화상 처리 장치.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리적 특성 처리부는 물리 특성 정보에 관한 1 이상의 구속 조건을 저장할 수 있는 물리적 특성 구속 조건 저장 수단; 및
상기 출력부가 출력하는 1 또는 2 이상의 화상이 상기 1 이상의 구속 조건을 충족하도록 상기 물리 특성 정보를 변경하고, 1 또는 2 이상의 처리 화상을 획득하는 물리적 특성 처리 수단을 구비하는 화상 처리 장치.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 조건은,
화상이 갖는 화소의 휘도값에 대한 조건이며,
상기 디지털 처리 수단은,
상기 1 이상의 구속 조건을 충족하도록 상기 화상 수신부가 수신한 1 또는 2 이상의 화상을 갖는 화소의 휘도값을 변경하고 1 또는 2 이상의 처리 화상을 획득하는 화상 처리 장치.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 조건은,
화상이 갖는 2 이상의 화소 간의 관계에 관한 조건이며,
상기 디지털 처리부 또는 상기 물리적 특성 처리부는,
시야의 범위에 관한 정보인 시야 범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시야 범위 정보 저장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디지털 처리 수단은,
화상 내의 범위이고, 상기 시야 범위 정보가 나타내는 시야 범위에서, 상기 1 이상의 구속 조건을 충족하도록 상기 화상 수신부가 수신한 1 또는 2 이상의 화상을 갖는 화소의 휘도값을 변경하고 1 또는 2 이상의 처리 화상을 획득하는 화상 처리 장치.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 조건은,
화상이 갖는 화소의 휘도값에 대한 조건이며,
상기 물리적 특성 처리 수단은,
상기 1 이상의 구속 조건을 충족하도록 상기 화상 수신부가 수신한 1 또는 2 이상의 화상을 갖는 화소의 휘도값을 변경하고 1 또는 2 이상의 처리 화상을 획득하는 화상 처리 장치.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 조건은,
화상이 갖는 2 이상의 화소 간의 관계에 관한 조건이며,
상기 디지털 처리부 또는 상기 물리적 특성 처리부는,
시야의 범위에 관한 정보인 시야 범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시야 범위 정보 저장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물리적 특성 처리 수단은,
화상 내의 범위이고, 상기 시야 범위 정보가 나타내는 시야 범위에서, 상기 1 이상의 구속 조건을 충족하도록 상기 화상 수신부가 수신한 1 또는 2 이상의 화상을 갖는 화소의 휘도값을 변경하고 1 또는 2 이상의 처리 화상을 획득하는 화상 처리 장치.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출력에 대한 1 이상의 구속 조건을 저장할 수 있는 출력 구속 조건 저장 수단; 및
출력하는 1 또는 2 이상의 화상이 상기 1 이상의 구속 조건을 충족하도록 상기 처리 화상을 변경하고, 해당 변경된 1 또는 2 이상의 처리 화상을 출력하는 출력 수단을 구비하는 화상 처리 장치.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처리 장치는 해상도가 다른 복수의 출력부를 구비하고,
상기 물리 특성 정보 획득부는 상기 처리 화상을 구성하는 부분의 화상이며, 상기 복수의 각 출력부에 의해 출력되는 화상인 부분 화상을 특정하는 부분 특정 정보를 상기 복수의 출력부마다 획득하고
상기 복수의 각 출력부는 자신의 부분 특정 정보로 특정되는 부분 화상을 출력하는 화상 처리 장치.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처리 장치는 복수의 출력부를 구비하고,
상기 화상 수신부는 하나의 대상을 서로 다른 환경에서 촬영한 2 종류 이상의 화상을 수신하고,
상기 디지털 처리부는 상기 2 개 이상의 화상에 디지털 처리를 실시하여, 2 종류 이상의 처리 화상을 획득하고,
상기 물리 특성 정보 획득부는 상기 2 종류 이상의 각 처리 화상의 전부 또는 일부를 특정하는 정보인 물리 특성 정보를 획득하고,
물리적 특성 처리부는 상기 복수의 각 출력부에 대하여, 상기 물리 특성 정보에 따라 2 이상의 처리 화상의 전부 또는 일부를 중첩하여 출력하도록 지시하는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수신부, 디지털 처리부, 물리 특성 정보 획득부, 물리적 특성 처리부 및 출력부를 이용하여 구현되는 화상 처리 방법이며,
상기 화상 수신부가 1 또는 2 이상의 화상을 수신하는 화상 수신 단계;
상기 디지털 처리부가 상기 화상 수신 단계에서 수신된 1 또는 2 이상의 화상에 디지털 처리를 실시하여, 1 또는 2 이상의 처리 화상을 획득하는 디지털 처리 단계;
상기 물리 특성 정보 획득부가 상기 화상 수신부가 수신한 화상 내에 포함되는 대상의 크기, 대상의 크기에 대응하는 표시 화면 면적에 관한 정보, 광량, 시야각, 광 출력 제어의 정보 중 1 이상의 정보인 물리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물리 특성 정보 획득 단계;
상기 물리적 특성 처리부가 상기 1 또는 2 이상의 처리 화상을 이용하여 상기 물리 특성 정보에 대응하는 물리적 특성을 부가하기 위한 처리인 물리적 특성 처리를 실시하는 물리적 특성 처리 단계; 및
상기 출력부가 상기 물리적 특성 처리를 실시한 처리 화상을 출력하는 출력 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물리적 특성 처리 단계에서,
상기 물리 특성 정보 획득 단계에서 획득한 대상의 크기에 기초하여 처리 화상의 크기를 설정하는, 상기 표시 화면 면적에 관한 정보를 설정하는, 상기 물리 특성 정보 획득 단계에서 획득한 광량에 기초하여 광 출력하는 경우의 광량을 설정하는 처리, 상기 물리 특성 정보 획득 단계에서 획득한 시야각에 기초하여 시야각을 설정하는 처리, 상기 물리 특성 정보 획득 단계에서 획득한 광 출력 제어의 정보에 기초하여 광 출력을 위한 제어를 수행하는 처리 중 1이상의 처리를 실시하고,
상기 출력 단계에서,
상기 물리적 특성 처리 단계에서 설정한 처리 화상의 크기, 광량, 시야각 중 1 이상의 파라미터에 따라 처리 화상을 출력하거나, 또는 상기 물리적 특성 처리 단계에서 수행한 광 출력을 위한 제어에 따라 처리 화상을 출력하는 화상 처리 방법.
컴퓨터를,
1 또는 2 이상의 화상을 수신하는 화상 수신부;
상기 화상 수신부가 수신한 1 또는 2 이상의 화상에 디지털 처리를 실시하여, 1 또는 2 이상의 처리 화상을 획득하는 디지털 처리부;
상기 화상 수신부가 수신한 1 또는 2 이상의 화상 내에 포함되는 대상의 크기, 대상의 크기에 대응하는 표시 화면 면적에 관한 정보, 광량, 시야각, 광 출력 제어의 정보 중 1 이상의 정보인 물리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물리 특성 정보 획득부;
상기 1 또는 2 이상의 처리 화상을 이용하여 상기 물리 특성 정보에 대응하는 물리적 특성을 부가하기 위한 처리인 물리적 특성 처리를 실시하는 물리적 특성 처리부; 및
상기 물리적 특성 처리가 실시된 처리 화상인 출력 화상을 출력하는 출력부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이며,
상기 물리적 특성 처리부는,
상기 물리 특성 정보 획득부가 획득한 대상의 크기에 기초하여 처리 화상의 크기를 설정하는, 상기 표시 화면 면적에 관한 정보를 설정하는, 상기 물리 특성 정보 획득부가 획득한 광량에 기초하여 광 출력하는 경우의 광량을 설정하는 처리, 상기 물리 특성 정보 획득부가 획득한 시야각에 기초하여 시야각을 설정하는 처리, 상기 물리 특성 정보 획득부가 획득한 광 출력 제어의 정보에 기초하여 광 출력을 위한 제어를 수행하는 처리 중 1이상의 처리를 실시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물리적 특성 처리부가 설정한 처리 화상의 크기, 광량, 시야각 중 1 이상의 파라미터에 따라 처리 화상을 출력하거나, 또는 상기 물리적 특성 처리부가 수행한 광 출력을 위한 제어에 따라 처리 화상을 출력하는 것으로, 컴퓨터를 작동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KR1020157019961A 2013-02-12 2014-02-10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기록 매체 KR1022733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024993A JP6040042B2 (ja) 2013-02-12 2013-02-12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JP-P-2013-024993 2013-02-12
PCT/JP2014/053021 WO2014126032A1 (ja) 2013-02-12 2014-02-10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記録媒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6826A KR20150116826A (ko) 2015-10-16
KR102273331B1 true KR102273331B1 (ko) 2021-07-05

Family

ID=51354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9961A KR102273331B1 (ko) 2013-02-12 2014-02-10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672650B2 (ko)
EP (1) EP2958073A4 (ko)
JP (1) JP6040042B2 (ko)
KR (1) KR102273331B1 (ko)
CN (1) CN104885119B (ko)
TW (1) TWI592903B (ko)
WO (1) WO201412603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30904B2 (ja) 2014-10-22 2019-06-12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映像投射システム
JPWO2016181804A1 (ja) * 2015-05-08 2018-03-08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
EP3481045A4 (en) * 2016-06-30 2020-01-15 I-Cubed Research Center Inc. IMAGE OUTPUT DEVICE, IMAGE OUTPUT METHOD AND PROGRAM
EP3481074A4 (en) * 2016-06-30 2020-01-08 I-Cubed Research Center Inc. VIDEO SIGNAL PROCESSING DEVICE, VIDEO SIGNAL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CN109511285A (zh) * 2016-06-30 2019-03-22 I<sup>3</sup>研究所股份有限公司 影像信号处理装置、影像信号处理方法以及程序
US10497257B2 (en) * 2017-08-31 2019-12-03 Nec Corporation Parking lot surveillance with viewpoint invariant object recognition by synthesization and domain adapta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62039A1 (en) * 2010-04-27 2011-10-27 Cheng Du Image enhancement method, image enhancement device, object detection method, and object detection device
JP2012253739A (ja) * 2011-05-11 2012-12-20 I-Cubed Research Center Inc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25482B2 (ja) 1986-08-02 1998-11-18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ジタル画像信号の補間装置
JP3072306B2 (ja) 1996-01-29 2000-07-31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ジタルビデオ信号変換装置及び変換方法
JP3072306U (ja) 1999-08-06 2000-10-13 秀一 井上 タッチスクリーンによるコミュニケーション支援システム
US6868190B1 (en) * 2000-10-19 2005-03-15 Eastman Kodak Company Methods for automatically and semi-automatically transforming digital image data to provide a desired image look
US6888564B2 (en) * 2002-05-24 2005-05-0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and system for estimating sharpness metrics based on local edge kurtosis
JP2005210208A (ja) * 2004-01-20 2005-08-04 Fuji Xerox Co Ltd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6190259A (ja) * 2004-12-06 2006-07-20 Canon Inc 手ぶれ判定装置及び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639936B2 (en) * 2011-05-11 2017-05-02 I-Cubed Reserach Center Inc.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in which program is stored for enhancing an image via super-resolution
JP2014222447A (ja) * 2013-05-14 2014-11-27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62039A1 (en) * 2010-04-27 2011-10-27 Cheng Du Image enhancement method, image enhancement device, object detection method, and object detection device
JP2012253739A (ja) * 2011-05-11 2012-12-20 I-Cubed Research Center Inc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6826A (ko) 2015-10-16
EP2958073A1 (en) 2015-12-23
TW201439981A (zh) 2014-10-16
US9672650B2 (en) 2017-06-06
CN104885119A (zh) 2015-09-02
CN104885119B (zh) 2018-11-27
US20160019705A1 (en) 2016-01-21
TWI592903B (zh) 2017-07-21
EP2958073A4 (en) 2016-11-16
JP2014154046A (ja) 2014-08-25
JP6040042B2 (ja) 2016-12-07
WO2014126032A1 (ja) 2014-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3331B1 (ko)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기록 매체
US9672603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display apparatus for generating and displaying a combined image of a high-dynamic-range image and a low-dynamic-range image
US7961222B2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image capturing method
JP5427247B2 (ja) 自動ホワイトバランス(awb)調整
KR101450105B1 (ko) 화상처리장치 및 화상처리장치의 제어방법
US8456578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for correcting image signal gradation using a gradation correction curve
WO2012153727A1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US10861420B2 (en) Image output apparatus, image output method, for simultaneous output of multiple images
CN107430841B (zh) 信息处理设备、信息处理方法、程序以及图像显示系统
EP2744209A1 (en) Content processing device, content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US20190026005A1 (en) Display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thereof
JP6134414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244396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15107880A1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6499612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11971953B (zh) 图像处理设备、图像处理方法和记录介质
JP6244397B2 (ja) ルックアップテーブル取得装置、ルックアップテーブルの生産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22245624A1 (en) Display management with position-varying adaptivity to ambient light and/or non-display-originating surface light
JP5558934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
JP2018201089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