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9777A - 도어 록 장치 - Google Patents

도어 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9777A
KR20100009777A KR1020080070563A KR20080070563A KR20100009777A KR 20100009777 A KR20100009777 A KR 20100009777A KR 1020080070563 A KR1020080070563 A KR 1020080070563A KR 20080070563 A KR20080070563 A KR 20080070563A KR 20100009777 A KR20100009777 A KR 201000097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
door
shaft
rotating plate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0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72168B1 (ko
Inventor
최세현
장진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카모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카모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카모스
Priority to KR10200800705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2168B1/ko
Publication of KR201000097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97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21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21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1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rotary electro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05B2047/0015Output elements of actuators
    • E05B2047/0017Output elements of actuators with rotary mo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05B2047/0018Details of actuator transmissions
    • E05B2047/0024Cam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의 내측에 부착되는 내측 도어 록의 핸들 작동에 의하여 상시 도어가 개폐되고, 입력된 지문 또는 비밀 번호가 기 저장된 것과 일치하는 경우에 도어의 외측에 부착되는 외측 도어 록의 핸들에 의해서 도어가 개폐되는 도어 록 장치에 관한 것이며, 본 발명의 주요구성은 상기 내측 도어 록의 손잡이와 결합되어 회전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회전에 의하여 문틀의 삽입홈으로부터 해제되는 데드 볼트; 상기 샤프트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되는 제1회전판; 상기 도어의 외측에 설치된 외측 도어 록의 손잡이에 의하여 회전되는 제2회전판; 회전축의 외주면에 캠이 설치되며, 입력된 지문 또는 비밀 번호가 기 저장된 것과 일치하는 경우에 구동되는 모터; 상기 캠에 의하여 구동되어 상기 제2회전판의 회전력을 상기 제1회전판에 전달하여 상기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회전력 전달수단을 포함하는 것이다.
도어 록, 캠, 기어드 모터, 제1회전판, 제2회전판

Description

도어 록 장치{apparatus for door lock}
본 발명은 지문 또는 비밀 번호를 입력하여 도어를 개폐하는 도어 록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의 내측에 부착되는 내측 도어 록의 핸들 작동에 의하여 상시 도어가 개폐되고, 입력된 지문 또는 비밀 번호가 기 저장된 것과 일치하는 경우에 도어의 외측에 부착되는 외측 도어 록의 핸들에 의해서 도어가 개폐되는 도어 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종래 국내 공개특허 제2003-0019541호(전자식 도어 록 장치)에서 외부에서 도어를 열기 위해서는 외부 도아 록(130)에 설치된 키메트릭스에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키뭉치(110)의 데드볼트(116)가 문틀의 삽입홈으로부터 빠져 나오도록(이하, 해제라 함) 한 후 손잡이(132)를 회전시켜 래취볼트(114)를 해제시켜 도어를 개방시킨다. 마찬가지로 내부에서 도어를 개방하기 위해서는 내부 도아 록(120)에 설치된 작동버튼을 동작시키면 키뭉치(110)의 데드볼트(116)를 해제시킨 후 손잡이(132)를 회전시켜 래취볼트(114)를 해제시켜 도어를 개방시킨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도어 록 장치는 외부 도아 록(130)의 손잡이(132)의 샤프트는 내부 도아 록(120)의 외부에 설치되는 도어 손잡이(122)에 키 뭉치(110)을 관통하여 결합되기 때문에 손잡이들(122), (132)이 상호 연동되게 되어 된다.
또한, 도어 록 장치는 예를 들어 화재 발생시 또는 도어 록 장치의 고장시를 대비하여 내부 도어 록(120)에 설치되는 손잡이(122)가 회전될 때는 데드 볼트(116)가 항상 해제될 것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도어 록 장치는 내부 도어 록(120)의 손잡이(122)와 외부 도어 록(130)의 손잡이(132)는 하나의 샤프트로 연동되기 때문에 이러한 동작을 수행할 수 없었다.
또한, 이러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내부 도어 록(120)의 손잡이(122)와 외부 도어 록(130)의 손잡이(132)가 별도의 샤프트로 구성되고, 이들 샤프트는 클러치 동작에 의하여 회전상태가 연결 또는 분리되어져야 한다. 그러나, 통상적인 클러치의 구성은 구조가 복잡하여 고장이 많이 발생되고, 부피가 크기 때문에 도어 록 장치에 적용시에 제조원가가 상승되고, 부피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구성이 단순하여 고장이 작고, 제조원가가 저렴하고, 부피가 작은 회전력 전달수단을 구비하는 도어 록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해결과제의 해결수단은 도어의 내측에 부착되는 내측 도어 록의 핸들 작동에 의하여 상시 도어가 개폐되고, 입력된 지문 또는 비밀 번호가 기 저장된 것과 일치하는 경우에 도어의 외측에 부착되는 외측 도어 록의 핸들에 의해서 도어가 개폐되는 도어 록 장치에 있어서: 상기 내측 도어 록의 손잡이와 결합되어 회전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회전에 의하여 문틀의 삽입홈으로부터 해제되는 데드 볼트; 상기 샤프트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되는 제1회전판; 상기 도어의 외측에 설치된 외측 도어 록의 손잡이에 의하여 회전되는 제2회전판; 회전축의 외주면에 캠이 설치되며, 입력된 지문 또는 비밀 번호가 기 저장된 것과 일치하는 경우에 구동되는 모터; 상기 캠에 의하여 구동되어 상기 제2회전판의 회전력을 상기 제1회전판에 전달하여 상기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회전력 전달수단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1회전판의 상기 제2회전판과 대접되는 대접면에 형성되는 핀 삽입부와, 반경방향으로 외주면까지 연장 형성되는 이동홈을 구비하고, 상기 제2회전판은 원형판부와 상기 원형판부의 외주면의 일부에 연장형성되는 걸림날과 상기 제1회전판의 대접면의 중심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핀 삽입부에 삽입되는 핀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력 전달수단은 상기 이동홈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제1회전판의 대접면 보다 돌출되는 돌출부를 구비하는 이동체; 상기 돌출부를 상기 걸림날의 외주면 밖으로 이동시키려는 복원력을 갖는 스프링; 상기 모터의 회전시에 상기 모터 축에 설치된 캠에 의하여 상기 돌출부를 상기 원형판부의 외주면에 접촉되도록 힘을 가하는 동력전달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모터는 기어드 모터(geared motor)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동력전달체는 상기 캠에 의하여 하우징에 설치된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수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부의 회전시 상기 수직부의 일측은 상기 이동체와 접촉되어 상기 이동체를 상기 제1회전판의 대접면 중심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동력전달체는 상기 수직부에 수직으로 형성된 수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평부의 회전시에 상기 수평부의 단부에의하여 스위치 접점을 개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해결과제와 해결수단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구조가 단순하여 고장율이 낮으며, 조립이 간단하여 제조원가 저렴하고, 부피가 작은 소형의 도어 록 장치를 제조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도어 록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어의 외측에 설치된 외측 도어 록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어 록 케이스(10)의 상부에는 키 메트릭스 커버(13)가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키 메트릭스 커버(13)의 내측에는 키 메트릭스가 설치되어 있어, 키 메트릭스 커버(13)를 상향 이동시킨 후 암호로 설정된 번호를 입력하도록 한다. 또한, 케이스(10)의 중간부분에는 지문 입력기(15)가 설치되어 있어 압력을 가하면 지문 입력가(15)가 회동하여 지문 입력창이 노출된다.
또한, 케이스(10)의 하부에는 관통공(11)이 형성되어 있고, 손잡이(19)의 축(21)에 보스(17)를 끼운 후 관통공(11)을 통과시켜 케이스(10)의 내측에 설치된 외측판(31)의 관통공(33)을 통과시킨 후 축(21)과 회전판(35)의 사각 돌출부(37)을 결합한다.
케이스(10)의 내측에는 하우징(40)과, 하우징(40)에 결합되는 외측판(31)이 설치되고, 하우징(40)과 외측판(31)의 내부의 수용공간에는 기어드 모터(50), 동력 전달체(60), 제1 회전판(70), 제2 회전판(35)이 설치된다.
하우징(100)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샤프트(90)은 하우징(100)의 관통공을 통과하여 제1 회전판(70)의 중심에 형성된 샤프트 삽입홈에 샤프트(90)가 삽입 설치된다.
샤프트(90)에는 미도시된 키뭉치의 데드 볼트와 래취볼트가 결합되어 샤프트(90)의 회전상태에 따라서 데드 볼트와 래취볼트의 해제(unloking) 또는 궤정(locking)된다.
하우징(40)의 내부에는 선형 격판(41)과 원형 격판(43)이 형성되어 있으며, 선형 격판(41)과 외측판(45) 사이에 기어드 모터(50)가 설치되고, 원형 격판(43)의 내부 수용공간에는 제1회전판(70)이 삽입된다. 또한, 원형격판(43)의 바닥면의 중심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바닥면의 외측으로는 관통공을 연장시키는 가이드 관(미도시)이 형성되어 샤프트(90)가 가이드 관을 관통하여 제1 회전판(70)의 샤프트 삽입홈에 삽입된다.
제1회전판(70)은 제2회전판(35)와 대접되게 되고, 대접면(71)에는 내측으로 형성된 중앙홈(75)이 형성되며, 대접면(71)의 반대쪽의 중심에는 사각형의 샤프트(90)의 단부가 삽입되는 샤프트 삽입홈이 형성된 돌출부(73)가 형성된다. 또한, 중앙홈(75)의 측벽의 일부는 절개되어 중앙홈(75)의 바닥면이 대접면(71)의 외주면까지 연장 형성된 이동홈(77)이 형성된다. 또한, 중앙홈(75)의 측벽은 대략 원형을 이루나 일부가 절개되어 바닥면이 외주면 쪽으로 연장된 연장홈(78), (79)이 형성된다. 또한, 중앙 홈(75)의 바닥면에는 대접면(71)의 표면까지 돌출되는 핀 삽입부(74)가 형성되고, 핀 삽입부(74)의 중심에는 삽입홀이 형성된다. 또한, 중앙홈(75)의 측벽 내측에는 스프링 고정부(72)가 돌출 형성되고, 스프링 고정부(72)의 중심에는 스프링(76)의 종단부가 삽입되는 홀이 형성된다. 스프링(76)은 종단이 스프링 고정부(72)에 고정되고, 시단은 이동홈(77)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체(1)를 중앙 홈(75)의 중심으로부터 외측으로 미는 복원력을 갖는다.
이동체(1)는 스프링(76)의 시단이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되고, 이동홈(77)을 따라 이동하는 판부(2)와 판부(2)에서 돌출되는 돌출부(3)로 이루어진다.
또한, 하우징(40)에는 중심에 볼트공이 형성된 보스(47)가 설치되고, 보스(47)에는 동력전달체(60)의 회전축인 회전축 볼트(61)가 결합된다.
동력전달체(60)는 'ㄱ'자 형상 이루도록 수평부(63), 수직부(65)로 이루어진다. 이때 동력전달체(60)가 회전축 볼트(61)를 중심으로 회전할 때, 수평부(63)의 단부는 하우징(40)에 설치된 기판(80)의 스위치 접점을 개폐한다. 또한, 수직부(65)의 일측은 기어드 모터(50)의 회전축이 회전할 때 회전축의 외주면에 형성된 캠(51)의 장축부에 점차 접촉됨에 따라서 중앙홈(75) 쪽으로 밀리게 되어 이동체(1)를 중앙홈(75)의 중심 쪽을 향하여 이동시킨다.
또한, 기어드 모터(50)는 모터 본체(53)와 모터 본체(53)의 회전축의 토오크를 증가시키도록 기어들이 설치되는 기어박스(55)와 기어박스(55)의 내부 기어에 의하여 회전되는 회전축(57)과 회전축(57)의 외주면에 형성된 캠(51)으로 이루어진다.
제어부(미도시 됨)는 지문입력창에 입력된 지문 또는 키 메트릭스에 입력되는 비밀 번호가 기 저장된 지문과 비밀번호가 일치하는 경우 기어드 모터(50)를 구동시키고, 기어드 모터(50)가 구동되는 경우 회전축(57)이 회전되고, 캠(51)의 장축부에 수직부(65)가 접촉됨에 따라서 이동체(1)를 중앙홈(75)의 중심으로 밀게 되고, 수직부(65)가 캠(51)의 단축부에 접촉됨에 따라서 수직부(65)와 이동체(1)는 분리되고, 이동체(1)는 스프링(76)의 복원력에 의하여 중앙홈(75)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제2회전판의 단면도이다.
제2회전판(35)은 제1회전판(70)의 대접면(71)에 대접되는 원판상의 반경 a인 원형판부(36)와, 원형판부(36)의 대접면의 중심으로부터 핀 삽입부(74)의 삽입홀에 삽입되도록 돌출되는 핀(34 )과, 대접면의 반대면에서 돌출형성되어 도어 록의 손잡이의 축(21)에 결합되는 사각 돌출부(37)와, 원형판부의 외주면의 일부에 길이 b만큼 연장 형성되는 걸림날(38)로 이루어진다. 이때 걸림날(38)은 시작부부터 외연부까지 두께가 작아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하우징내에 부품이 설치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동력전달체(60)의 수직부(65)는 캠(51)의 단축부와 접촉된 상태로서, 스프링(76)의 복원력이 이동체(1)를 외측으로 이동시켜 돌출부(3)가 제2회전판(35)의 걸림날(38)의 외측으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때, 수평부(63)의 단부는 기판(80)의 스위치 접점과 접촉된 상태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이동체(1)는 스프링(76)의 힘에 의하여 중앙홈(75)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이동체(1)는 원형 격판(43)과 접촉하게 되고, 이동체(1)의 돌출부(3)는 제2회전판(35)의 걸림날(38)의 외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내측의 도어 록의 손잡이가 회전하게 되면 샤프트(90)는 회전하게 되고, 데드 볼트와 래취 볼트가 문틀의 삽입홈으로부터 해제되게 되어 문이 열리게 되나, 외측의 도어 록 장치의 손잡이(19)가 회전하게 되면 손잡이(19)에 결합된 사각 돌출부(37)가 회전되어 원형판부(36)가 회전하게 되지만 이동체(1)의 돌출부(3)는 걸림날(38)과 접촉되지 않기 때문에 제1회전판(70)에 회전력이 전달되 지 않기 때문에 제1회전판(70)은 회전되지 않고, 결국 샤프트(90)는 회전되지 않아 데드볼트가 해제되지 않는다.
외부에 설치된 도어 록의 키 메트릭스에 정확한 비밀번호를 입력하거나, 지문을 입력하게 되면 미도시된 제어부에 의하여 기어드 모터(50)가 구동되고, 회전축(57)이 회전하게 되면 캠(51)의 장축부가 동력전달체(60)의 수직부(65)와 접촉하게 되어 캠동작이 발생하면, 동력전달체(60)의 수평부와 수직부는 도 4의 a방향과 같이 회전축 볼트(61)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동력전달체(60)의 수직부(65)가 회전하여 이동체(1)를 중앙홈(75)의 중심쪽으로 밀게 되고, 이동체(1)의 돌출부(3)는 제2회전판(35)의 원형판부(36)의 걸림날(38)이 형성되지 않은 외주면과 접촉하게 된다. 이런 상태에서 손잡이(19)가 회전하게 되면 사각 돌출부(37)가 회전하게 되어 제2회전판(35)의 원형판부(36)가 회전하게 된다. 원형판부(36)가 회전되면, 이동체(1)의 돌출부(3)는 걸림날의 단부에 걸리기 때문에 결국 제1회전판(70)이 회전되게 되고,샤프트(90)가 회전되게 되어 데드 볼트 및 래취 볼트가 문틀의 삽입홈으로부터 해제되게 된다.
도 1은 국내 공개특허 제2003-0019541호(전자식 도어 록 장치)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도어 록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제2회전판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하우징내에 부품이 설치된 상태의 평면도이다.

Claims (5)

  1. 도어의 내측에 부착되는 내측 도어 록의 핸들 작동에 의하여 상시 도어가 개폐되고, 입력된 지문 또는 비밀 번호가 기 저장된 것과 일치하는 경우에 도어의 외측에 부착되는 외측 도어 록의 핸들에 의해서 도어가 개폐되는 도어 록 장치에 있어서:
    상기 내측 도어 록의 손잡이와 결합되어 회전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회전에 의하여 문틀의 삽입홈으로부터 해제되는 데드 볼트;
    상기 샤프트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되는 제1회전판;
    상기 도어의 외측에 설치된 외측 도어 록의 손잡이에 의하여 회전되는 제2회전판;
    회전축의 외주면에 캠이 설치되며, 입력된 지문 또는 비밀 번호가 기 저장된 것과 일치하는 경우에 구동되는 모터;
    상기 캠에 의하여 구동되어 상기 제2회전판의 회전력을 상기 제1회전판에 전달하여 상기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회전력 전달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록 장치.
  2. 청구항 1에서, 상기 제1회전판의 상기 제2회전판과 대접되는 대접면에 형성되는 핀 삽입부와, 반경방향으로 외주면까지 연장 형성되는 이동홈을 구비하고, 상기 제2회전판은 원형판부와 상기 원형판부의 외주면의 일부에 연장형성되는 걸림날 과 상기 제1회전판의 대접면의 중심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핀 삽입부에 삽입되는 핀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력 전달수단은
    상기 이동홈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제1회전판의 대접면 보다 돌출되는 돌출부를 구비하는 이동체,
    상기 돌출부를 상기 걸림날의 외주면 밖으로 이동시키려는 복원력을 갖는 스프링;
    상기 모터의 회전시에 상기 모터 축에 설치된 캠에 의하여 상기 돌출부를 상기 원형판부의 외주면에 접촉되도록 힘을 가하는 동력전달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록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서, 상기 모터는 기어드 모터(geared moto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록 장치.
  4. 청구항 2에서, 상기 동력전달체는 상기 캠에 의하여 하우징에 설치된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수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부의 회전시 상기 수직부의 일측은 상기 이동체와 접촉되어 상기 이동체를 상기 제1회전판의 대접면 중심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록 장치.
  5. 청구항 3에서, 상기 동력전달체는 상기 수직부에 수직으로 형성된 수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평부의 회전시에 상기 수평부의 단부에의하여 스위치 접점을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록 장치.
KR1020080070563A 2008-07-21 2008-07-21 도어 록 장치 KR1009721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0563A KR100972168B1 (ko) 2008-07-21 2008-07-21 도어 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0563A KR100972168B1 (ko) 2008-07-21 2008-07-21 도어 록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777A true KR20100009777A (ko) 2010-01-29
KR100972168B1 KR100972168B1 (ko) 2010-07-26

Family

ID=41818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0563A KR100972168B1 (ko) 2008-07-21 2008-07-21 도어 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216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1457B1 (ko) 2020-06-29 2020-12-15 강은규 푸쉬버튼형 라이트를 이용한 안전모
KR102265831B1 (ko) 2020-06-29 2021-06-16 강은규 하나의 라이트로 다양한 발광이 제공되는 안전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69057B1 (ja) 1998-01-16 1999-03-10 タキゲン製造株式会社 内側非常開放機能付きロックハンドル装置
ES2193793B2 (es) 2000-03-01 2005-02-01 Escudos Kala Internacional, S.L. Mecanismo de condena para cerraduras electronicas.
KR100669495B1 (ko) 2006-07-26 2007-01-16 김상민 도어록 메카니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1457B1 (ko) 2020-06-29 2020-12-15 강은규 푸쉬버튼형 라이트를 이용한 안전모
KR102265831B1 (ko) 2020-06-29 2021-06-16 강은규 하나의 라이트로 다양한 발광이 제공되는 안전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2168B1 (ko) 2010-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7246B1 (ko) 액츄에이터 일체형 푸시 오프너
US7621571B2 (en) Door lock system
JP4944990B2 (ja) 家電機器用ドアロック装置
AU2019202691B2 (en) Clutch engagement assembly of door lock and driving device thereof
US10890019B2 (en) Reversible electric door lock
KR101193963B1 (ko) 모티스 및 이를 갖춘 도어록
KR100972168B1 (ko) 도어 록 장치
KR20090120132A (ko) 핸들중앙 비상키겸용 디지털 도어록용 클러치 모듈
AU2011245881B2 (en) Door lock drive assembly
KR200469307Y1 (ko) 미닫이 창호용 자동잠금장치
KR100976818B1 (ko) 자동 도어락 장치
JP5096204B2 (ja) 扉用錠装置
KR101912381B1 (ko) 디지털 도어락
KR101595853B1 (ko) 클러치 구조를 갖는 문 잠금장치
KR20110130545A (ko) 도어록 장치의 실내측 핸들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도어록 장치
KR20160103269A (ko) 푸쉬풀형 도어록 바디
JP3133714U (ja) 開き戸の施解錠機構
KR20150001050U (ko) 도어락용 클러치 방식 기어박스
JP2009228310A (ja) 扉用錠装置
KR20090071341A (ko) 도어록 장치
KR102318846B1 (ko) 도어락의 멀티 모션 핸들
JP7441505B2 (ja) 電気錠の操作ユニット
JP2019167761A (ja) ドアロック装置
KR100940336B1 (ko) 디지털 도어록 클러치
WO2013022006A1 (ja) ラッチストライ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