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9770U - 족구화 - Google Patents

족구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9770U
KR20100009770U KR2020090003501U KR20090003501U KR20100009770U KR 20100009770 U KR20100009770 U KR 20100009770U KR 2020090003501 U KR2020090003501 U KR 2020090003501U KR 20090003501 U KR20090003501 U KR 20090003501U KR 20100009770 U KR20100009770 U KR 2010000977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e
foot
curved portion
shoes
b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35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54042Y1 (ko
Inventor
박순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에스네트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에스네트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에스네트웍스
Priority to KR20200900035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4042Y1/ko
Publication of KR2010000977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977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40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404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43B13/186Differential cushioning region, e.g. cushioning located under the ball of the foo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7Resiliency achieved by the features of the material, e.g. foam, non liquid materials
    • A43B13/188Differential cushioning reg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5/00Footwear for sporting purposes
    • A43B5/02Football boots or shoes, i.e. for soccer, football or rugby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족구화는, 몸체, 중창 및 밑창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의 외부로서 내측 중앙에는 상기 중창과 일체로 만들어져 완만한 굴곡을 가지는 제1 만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만곡부의 하부에는 상기 밑창과 일체로 만들어져 완만한 굴곡을 가지는 제2 만곡부가 형성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족구화의 외부로서 내측 중앙에 파일론 재질의 중창과 일체로 형성된 만곡부를 형성함으로써, 공을 타격할 때 공의 반발력을 최대한 살려 운동성을 강화시키고, 운동 및 보행시 발의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는 유연성을 갖춤으로써 발의 피로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족구화, 중창, 밑창, 만곡부, 파일론

Description

족구화{Jokgu shoes}
본 고안은 족구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족구화 몸체의 외부로서 내측 중앙에 딱딱한 재질의 밑창보다 부드러운 재질의 중창과 일체로 형성되는 만곡부를 가지는 족구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족구는 2명 이상의 인원이 한 팀을 이루어 네트를 사이에 두고 머리나 발을 사용하여 공을 주고받는 형식으로 진행되는 스포츠로서, 주로 군 부대를 중심으로 많이 행하여지던 게임이었으나, 근래 일반인들을 중심으로 스포츠에 대한 관심이 다양화되면서 각광받고 있는 운동이다.
과거에는 일반 운동화나 축구화 등을 착용하고 경기에 임하였으나, 족구가 대중 스포츠로 자리매김함에 따라 전문적인 족구화에 대한 욕구가 생겨나기 시작했다.
사실, 족구는 발을 이용하여 공을 다루기 때문에 다른 어떤 스포츠와 비교하여도 신발이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및 중요성이 크다고 할 수 있는 스포츠임에도 불구하고, 그 동안 그 저변에 대한 과소평가와 올림픽, 아시안게임 등 종합스포츠 대회에서 정식종목으로 채택되고 있지 않다는 점 등이 원인으로 작용하여 전문적인 족구화의 필요성은 그렇게 크게 인식되지 못하고 있었다고 할 수 있다.
족구의 특성상 주로 신발의 내측 중앙부를 사용하여 공을 감아 타격한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종래의 족구화는 내측 중앙부에 밑창을 올려붙여 공 컨트롤과 타격력 강화를 꾀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족구화는 운동성 강화에만 중점을 둔 것으로서, 보행시 불편하며 발의 피로가 빨리 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공 타격시 타격력을 강화함과 동시에 발의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는 유연성을 갖추어 운동 및 보행시 발의 피로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족구화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족구화는, 몸체, 중창 및 밑창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의 외부로서 내측 중앙에는 상기 중창과 일체로 만들어져 완만한 굴곡을 가지는 제1 만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만곡부의 하부에는 상기 밑창과 일체로 만들어져 완만한 굴곡을 가지는 제2 만곡부가 형성된다.
상기 제1 만곡부는 세로로 다수의 홈을 가진다.
상기 밑창의 바닥면의 앞부분에는 전방이 완만한 경사면을 이루고 후방이 급경사면을 이루는 다수의 돌기를 가지는 제1 바닥부가 형성되고, 상기 밑창의 바닥면의 뒷부분에는 전방이 급경사면을 이루고 후방이 완만한 경사면을 이루는 다수의 돌기를 가지는 제2 바닥부가 형성되고, 상기 밑창의 바닥면의 중간부분에는 톱니 형상의 돌기를 가지는 제3 바닥부가 형성된다.
상기 제2 만곡부는 다수의 톱니 형태의 홈을 가진다.
상기 몸체의 외부로서 앞부분 측벽에는 밑창과 일체로 만들어져, 다수의 쐐기형 돌기를 가지는 제1 측면부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외부로서 뒷부분 측벽에는 밑창과 일체로 만들어져, 다수의 삼발이형 돌기를 가지는 제2 측면부가 형성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족구화의 외부로서 내측 중앙에 파일론 재질의 중창과 일체로 형성된 만곡부를 형성함으로써, 공을 타격할 때 공의 반발력을 최대한 살려 운동성을 강화시키고, 운동 및 보행시 발의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는 유연성을 갖춤으로써 발의 피로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밑창의 바닥면에는 다양한 형태의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어,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고, 공을 타격할 때 강한 회전을 만들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족구화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족구화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도 1의 족구화의 분리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족구화(10)는 몸체(12), 중창(14) 및 밑창(16)으 로 이루어진다. 몸체(12)의 외부로서 내측 중앙에는 중창(14)과 일체로 만들어져 완만한 굴곡을 가지는 제1 만곡부(15)가 형성된다. 제1 만곡부(15)는 중창(14)의 일부분이 몸체(12)의 외부로 연장되어 형성된 것이다.
제1 만곡부(15)는 고경도 파일론(phylon) 재질로 만들어진다. 제1 만곡부(15)를 고경도 파일론으로 만듦으로써, 탄성력을 강화시켜 공에 대한 타격력을 강화시킬 수 있으며, 발 아취(arch) 부위에 받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으며, 발의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 [표 1]은 제1 및 2 만곡부에 사용되는 일반 파일론, 고경도 파일론 및 러버에 대한 물성 테스트 결과를 나타낸다.
SERIES

TEST ITEMS
UNIT Phylon Mid Sole
(WHT)
고경도 phylon
(GREY)
Rubber Out Sole
(BLK)
300% Modulus N/㎠ - - 568.79
인장강도 N/㎠ 274.59 - 1,333.71
인열강도 N/㎝ 107.87 - 480.53
신 장 율 % 280 - 510
경 도 C type 62 77 90
(A type : 66)
비 중 ­ 0.22 0.30 1.15
마모(N.B.S) ­ - - 220
[표 1]에서는, 고경도 파일론 소재를 사용하는 경우, 일반 파일론을 사용하는 경우보다, 경도가 높아짐을 알 수 있다.
딱딱한 재질의 밑창 소재가 아닌 부드러운 재질의 중창 소재로 완만한 굴곡을 가지도록 제1 만곡부(15)가 형성됨으로써, 운동 및 보행시 족구화(10)의 자연스러운 굽신(flexibility)이 가능해진다. 이렇게 유연성이 강화됨으로써, 발의 피로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제1 만곡부(15)에는 세로로 다수의 홈(21)이 형성된다. 다수의 홈(21)이 형성됨으로써, 제1 만곡부(15)는 보다 유연성을 가지게 되고, 공과의 접지력(다른 말로는, 그립력)이 강화될 수 있다.
제1 만곡부(15)의 하부에는 밑창(16)과 일체로 만들어져 완만한 굴곡을 가지는 제2 만곡부(17)가 형성된다. 제2 만곡부(17)의 밑창(16)의 일부가 몸체(12)의 외부로 연장되어 형성된 것이다.
제2 만곡부(17)에는 다수의 톱니 형태의 홈(22)이 형성된다. 다수의 톱니 형태의 홈(22)이 형성됨으로써, 공을 가격했을 때 강한 회전력이 생길 수 있다.
몸체(12)의 외부로서 앞부분 측벽에는 밑창(16)과 일체로 만들어진 제1 측면부(18)가 형성되고, 몸체(12)의 외부로서 뒷부분 측벽에는 밑창(16)과 일체로 만들어진 제2 측면부(19)가 형성된다. 제1 측면부(18) 및 제2 측면부(19)는 서로 다른 다수의 돌기를 각각 가지는 구조로 되어 있는데, 이러한 돌기는 도 4에 상세히 도시된다.
도 3은 도 1의 족구화의 저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도 1의 족구화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밑창(16)의 바닥면의 앞부분에는 전방이 완만한 경사면(43)을 이루고 후방이 급경사면(41)을 이루는 다수의 돌기(42)를 가지는 제1 바닥부(23)가 형성된다. 제1 바닥부(23)의 중앙에는 물결 형상의 돌기(31)를 가진다.
앞으로 뛰어나갈 때에는 제1 바닥부(23)에 발의 힘이 주로 가해지는바, 전방이 완만한 경사면(43)을 이룸으로써, 부드러운 무게 중심의 이동이 가능하게 하여 앞으로의 도약을 용이하게 하며, 후방이 급경사면(41)을 이룸으로써, 슬립(slip)을 방지한다.
밑창(16)의 바닥면의 뒷부분에는 전방이 급경사면(47)을 이루고 후방이 완만한 경사면(45)을 이루는 다수의 돌기(46)를 가지는 제2 바닥부(24)가 형성된다. 제2 바닥부(24)의 중앙에는 물결 형상의 돌기(32)를 가진다.
다수의 돌기(46)는 전방이 급경사면(47)을 이룸으로써, 움직임을 정지하려고 할 때, 슬립을 방지한다.
밑창(16)의 바닥면의 중간부분에는 톱니 형상의 돌기를 가지는 제3 바닥부(26, 27)가 형성된다. 제3 바닥부(26, 27)는 밑창(16)의 바닥면의 중간부분의 양쪽 가장자리에 각각 형성된다. 제3 바닥부(26, 27)에 형성된 톱니 모양의 돌기는 공의 타격시 공에 강한 회전력을 줄 수 있다.
제3 바닥부(26) 및 제2 만곡부(17)는 일체로 형성된 밑창(16)의 일부이다.
몸체의 외부로서 앞부분 측벽에 밑창과 일체로 형성된 제1 측면부(18)는 다수의 쐐기형 돌기(44)를 가진다. 제1 측면부(18)가 다수의 쐐기형 돌기(44)를 가짐으로써, 공이 미끄러지지 않으면서 안정하게 타격할 수 있다.
몸체의 외부로서 뒷부분 측벽에 밑창과 일체로 형성된 제2 측면부(19)는 다수의 삼발이형 돌기(48)를 가진다. 제2 측면부(19)가 다수의 삼발이형 돌기(48)를 가짐으로써, 공이 미끄러지지 않으면서 안정하게 타격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족구화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족구화의 분리상태를 나타내는 도.
도 3은 도 1의 족구화의 저면도.
도 4는 도 1의 족구화의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족구화 12 : 몸체
14 : 중창 15 : 제1 만곡부
16 : 밑창 17 : 제2 만곡부
18 : 제1 측면부 19 : 제2 측면부
23 : 제1 바닥부 24 : 제2 바닥부
26, 27 : 제3 바닥부

Claims (5)

  1. 몸체, 중창 및 밑창으로 이루어진 족구화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외부로서 내측 중앙에는 상기 중창과 일체로 만들어져 완만한 굴곡을 가지는 제1 만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만곡부의 하부에는 상기 밑창과 일체로 만들어져 완만한 굴곡을 가지는 제2 만곡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만곡부는 고경도 파일론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구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만곡부는 세로로 다수의 홈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구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밑창의 바닥면의 앞부분에는 전방이 완만한 경사면을 이루고 후방이 급경사면을 이루는 다수의 돌기를 가지는 제1 바닥부가 형성되고,
    상기 밑창의 바닥면의 뒷부분에는 전방이 급경사면을 이루고 후방이 완만한 경사면을 이루는 다수의 돌기를 가지는 제2 바닥부가 형성되고,
    상기 밑창의 바닥면의 중간부분에는 톱니 형상의 돌기를 가지는 제3 바닥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구화.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만곡부는 다수의 톱니 형태의 홈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구화.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외부로서 앞부분 측벽에는 밑창과 일체로 만들어져, 다수의 쐐기형 돌기를 가지는 제1 측면부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외부로서 뒷부분 측벽에는 밑창과 일체로 만들어져, 다수의 삼발이형 돌기를 가지는 제2 측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구화.
KR2020090003501U 2009-03-26 2009-03-26 족구화 KR2004540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3501U KR200454042Y1 (ko) 2009-03-26 2009-03-26 족구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3501U KR200454042Y1 (ko) 2009-03-26 2009-03-26 족구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770U true KR20100009770U (ko) 2010-10-06
KR200454042Y1 KR200454042Y1 (ko) 2011-06-14

Family

ID=44200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3501U KR200454042Y1 (ko) 2009-03-26 2009-03-26 족구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404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597Y1 (ko) * 2011-02-28 2011-05-17 김승대 타격과 콘트롤을 강화한 족구화
KR101485085B1 (ko) * 2014-10-01 2015-01-22 노태석 족구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8405B1 (ko) * 2011-05-17 2011-09-29 신신상사 주식회사 족구화
KR102430991B1 (ko) 2022-01-10 2022-08-09 이성길 공기주입식 족구화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3611Y1 (ko) 2000-06-14 2000-11-15 구기회 신발 중창
KR20020003611A (ko) * 2000-06-21 2002-01-15 박종섭 반도체 소자의 전극용 폴리실리콘층 도핑 방법
KR20040037012A (ko) * 2002-10-26 2004-05-04 펫챠일드 주식회사 통신망을 이용한 동물 유전자 정보 제공 시스템
KR20030060089A (ko) * 2003-05-24 2003-07-12 안순균 공기정화기 겸용 향기 나는 헤어드라이기
KR200376967Y1 (ko) 2004-12-08 2005-03-10 주식회사 앤에스 스포츠 족구화
KR200437012Y1 (ko) 2007-02-28 2007-10-25 김영호 족구화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597Y1 (ko) * 2011-02-28 2011-05-17 김승대 타격과 콘트롤을 강화한 족구화
KR101485085B1 (ko) * 2014-10-01 2015-01-22 노태석 족구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4042Y1 (ko) 2011-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87604B2 (en) Soccer shoe component or insert made of one material and/or a composite and/or laminate of one or more materials for enhancing the performance of the soccer shoe
US8695235B2 (en) Soccer shoe component or insert made of one material and/or a composite and/or laminate of one or more materials for enhancing the performance of the soccer shoe
JP4847493B2 (ja) ゴルフシューズおよびそのアウトソール
US8677657B2 (en) Golf shoe outsole
CN102573546B (zh) 具有控球部分的鞋类物品
KR20080095291A (ko) 가요성 발 지지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
US20120317841A1 (en) Athletic performance shoes
US20180185731A1 (en) Article of Footwear with Multiple Durometer Outsole and Directional Cleat Pattern
JP2002045203A (ja) ゴルフ靴
US20160366975A1 (en) Athletic shoe with power extension
JP2010517710A (ja) 運動靴
US20180084862A1 (en) Golf shoe with an outsole having a skeletal frame
KR200454042Y1 (ko) 족구화
JP4485029B2 (ja) ゴルフ靴
WO2006019042A1 (ja) 靴中敷き
US10897951B2 (en) Footwear insert
US10034520B1 (en) Sports shoe with cleat
US10238167B2 (en) Footwear insert
KR200436592Y1 (ko) 비거리를 향상시킨 높이조절형 발깔창을 갖는 골프화
KR200494597Y1 (ko) 골프화
CN106455754A (zh) 具有选择性定位的衬垫的鞋类鞋面
JP2018102533A (ja) 靴底裏面構造
KR102495179B1 (ko) 신발
KR100970515B1 (ko) 족구화
KR200453597Y1 (ko) 타격과 콘트롤을 강화한 족구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2

Year of fee payment: 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