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5291A - 가요성 발 지지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 - Google Patents

가요성 발 지지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5291A
KR20080095291A KR1020087022568A KR20087022568A KR20080095291A KR 20080095291 A KR20080095291 A KR 20080095291A KR 1020087022568 A KR1020087022568 A KR 1020087022568A KR 20087022568 A KR20087022568 A KR 20087022568A KR 20080095291 A KR20080095291 A KR 200800952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e structure
concave segment
heel portion
heel
bend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2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59180B1 (ko
Inventor
데렉 캠벨
Original Assignee
나이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이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나이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800952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52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91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91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22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 A43B13/24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by use of insertions
    • A43B13/26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by use of insertions projecting beyond the sole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6Pieced sol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41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with a part of the sole being flexible, e.g. permitting articulation or torsio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22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 A43B13/223Profiled sol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5/00Footwear for sporting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5/00Footwear for sporting purposes
    • A43B5/001Golf sho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5/00Non-skid devices or attachments
    • A43C15/16Studs or cleats for football or like boo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5/00Non-skid devices or attachments
    • A43C15/16Studs or cleats for football or like boots
    • A43C15/162Studs or cleats for football or like boots characterised by the shap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신발류 등을 위한 밑창 구조체는 접촉 부재(예컨대, 바깥창)(102)를 포함하며, 이 접촉 부재는 앞꿈치 부분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2개의 오목 세그먼트를 포함한다. 오목 세그먼트는 굽힘선을 제공하므로, 착용자가 자신의 체중을 이동시킬 때 접촉 부재의 여러 영역이 독립적으로 굽힘선 주위에서 이동하며 별개로 접촉면과 맞물림/맞물림 해제된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으로, 수용 부재는 앞꿈치 부분에 정지 마찰 부재의 세트(130)를 포함하여 선택적으로 내측 방향으로의 앞꿈치 이동을 허용하면서 외측 방향으로의 앞꿈치 이동을 방지하고, 뒤꿈치 부분에 정지 마찰 부재의 세트(140)를 포함하여 선택적으로 외측 방향으로의 뒤꿈치 이동을 허용하면서 내측 방향으로의 뒤꿈치 이동을 허용한다. 이러한 지지 구조체는 예컨대, 골프화, 또는 스윙 또는 뒤틀기 동작이 요구되는 다른 행동용 신발에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가요성 발 지지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FLEXIBLE FOOT-SUPPORT STRUCTURES AND PRODUCTS CONTAINING SUCH SUPPORT STRUCTURES}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신발류 물품 및 다른 발 수용 장치 제품에 유용한 가요성 지지 요소에 관한 것이다.
운동화를 포함하는 종래의 신발류 물품은 두 가지 주된 요소, 즉, 상부 부재와 밑창 구조체(sole structure)를 포함한다. 상부 부재는 밑창 구조체에 대해 발을 안정적으로 수용 및 배치하는 커버를 발에 제공한다. 또한, 상부 부재는 발을 보호하며 통풍을 제공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고, 이에 따라 발을 냉각시키며 땀을 제거한다. 밑창 구조체는 일반적으로 상부 부재의 하부에 고정되고, 일반적으로 발과 접촉면 사이에 배치된다[접촉면은 임의의 발 또는 신발류 접촉면을 포함할 수 있고, 지면, 풀, 먼지, 모래, 눈, 얼음, 타일, 바닥(flooring), 카페트, 인조 잔디, 인공 잔디 등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접촉면 반발력을 약화시키는 것과 더불어, 밑창 구조체는 정지 마찰(traction)을 제공할 수 있고, 회내(pronation)와 같은 발 동작의 제어를 도울 수 있다. 따라서, 상부 부재 및 밑창 구조체는 상호적으로 작동하여 걷기 및 뛰기와 같은 다양한 보행 행위에 적절한 안락 구조를 제공한다.
적어도 일부 경우에 있어서, 운동화의 밑창 구조체는 적층 구조를 나타내고, 이 적층 구조는 안락 개선용 안창(insole)과, [예컨대 적어도 부분적으로 폴리머 폼(foam) 재료로 형성되는] 탄성 중간창(midsole)과, 내마멸성 및 정지 마찰 모두를 제공하며 접촉면과 접촉하는 바깥창(outsole)을 포함한다. 적어도 일부 경우에 있어서, 중간창은 접촉면 반발력을 약화시키면서 발의 동작을 제어하는 주된 밑창 구조체 요소이다. 중간창의 적어도 일부를 위한 적절한 폴리머 폼 재료는 에틸비닐아세테이트("EVA") 또는 폴리우레탄("PU")을 포함하고, 이 재료들은 하중이 가해질 때 탄성적으로 압축되어 접촉면 반발력을 약화시킨다. 종래의 폴리머 폼 재료는 가스에 의해 실질적으로 치환되는 내부 체적을 형성하는 복수의 개방형 또는 폐쇄형 셀을 내포함으로써 부분적으로 탄성 압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어도 일부 양태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양태들의 일반적인 요약 내용을 기술한다. 이러한 요약 내용은 본 발명의 전반적인 개요가 아니다. 요약 내용은 본 발명의 주요 또는 필수 요소를 식별하거나 본 발명의 범위를 서술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다음의 요약 내용은 단지 이후에 기술하는 보다 상세한 설명에 대한 서두로서의 일반적인 형태로 본 발명에 관한 몇가지 개념을 기술한다.
본 발명의 양태는 (신발류 또는 다른 발 수용 장치 제품 등을 위한 지지 구조체와 같이) 이용되는 발 지지 요소 및 제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 따른 발 수용 장치 제품(예컨대, 운동화를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용 발 지지 부재(예컨대, 밑창 구조체 및/또는 이의 일부)는 접촉면과 접촉하기 위한 제1 주면(主面) 및 이 제1 주면과 대향하는 제2 주면을 포함하는 접촉면 접촉 부재(예컨대, 바깥창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주면은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i) 기준면(base level), (ii) 제2 주면을 향해 연장되며 접촉면 접촉 부재의 앞꿈치 부분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오목 세그먼트, 그리고 (iii) 제2 주면을 향해 연장되며 앞꿈치 부분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오목 세그먼트. 제1 및 제2 오목 세그먼트는 접촉면 접촉 부재에서 굽힘선을 제공할 수 있고, 이 부재의 적어도 앞꿈치 부분을 내측, 중앙 및 외측 영역으로 분할할 수 있으며, 여기서 내측, 중앙 및 외측 영역은 예컨대, 동적 힘이 제2 주면을 가로질러 측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예컨대, 착용자가 이러한 종류의 밑창 구조체를 포함하는 신발을 착용하고 있으면서 자신의 체중을 이동시킴에 따라) 독립적으로 접촉면과 맞물림 및 맞물림 해제되도록 굽힘선 주위에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양태는 다양한 정지 마찰 부재 장치[예컨대, 지면 표면 접촉 부재 또는 바깥창 부재 상에 마련되는 스파이크, 클리트(cleat) 또는 다른 정지 마찰 요소 세트]를 포함하는 발 수용 장치(예컨대, 신발류 물품)용 발 지지 부재(예컨대, 밑창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발 지지 부재는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a) 앞꿈치 부분, 뒤꿈치 부분, 외측부 및 내측부를 포함하며, 선택적으로 상술한 굽힘선을 구비하는 접촉면 접촉 부재(예컨대, 바깥창 부재); (b) 앞꿈치 부분에 있는 제1 세트의 정지 마찰 부재로서, 외측 방향으로의 앞꿈치 이동을 방지하면서 선택적으로 내측 방향으로의 앞꿈치 이동을 허용하도록 구성되는 제1 세트의 정지 마찰 부재; (c) 뒤꿈치 부분에 있는 제2 세트의 정지 마찰 부재로서, 내측 방향으로의 뒤꿈치 이동을 방지하면서 선택적으로 외측 방향으로의 뒤꿈치 이동을 허용하는 제2 세트의 정지 마찰 부재.
본 발명의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술한 종류의 지지 구조체는 비틀기 또는 회전 동작 중 안정한 지지를 제공하며 착용자의 체중 이동 및/또는 착용자 발의 이동에 따라 착용자의 발이 접촉면과 비교적 넓은 접촉 면적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유용할 수 있다. 예컨대, 골프 스윙 또는 다른 스윙 동작 중에, 그리고/또는 스텝 중에, 착용자의 체중이 예컨대, 내측에서 외측으로, 외측에서 내측으로, 앞에서 뒤로, 그리고/또는 뒤에서 앞으로의 이동과 같이 이동하기 쉽다. 상술한 종류의 지지 구조체는 접촉면 접촉 부재의 외측, 내측, 중앙 및/또는 다른 영역의 독립적인 이동(예컨대, 굽힘선 주위에서의 독립적인 이동 또는 회전)을 허용하고, 그리고/또는 다리 또는 발 둘레에서의 비틀림 회전 중에 안정한 지지를 제공함으로써, 접촉면 접촉 부재가 더욱 지면과의 접촉을 유지하게 하며, 스윙, 스텝 또는 다른 이동 또는 행위를 위한 단단한 기반 또는 지지를 제공하게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예컨대, 상술한 여러 종류의 발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과 같은 발 수용 장치 제품에 관한 것이다.
유사 참조 번호가 유사 구성을 지시하는 첨부된 도면을 고려하여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본 발명 및 이의 소정 장점에 대한 보다 완전한 이해가 얻어질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 따른 밑창 구조체의 하부 (외부) 평면도.
도 1b는 본 발명의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 따른 밑창 구조체의 (내부) 평면도.
도 1c는 본 발명의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 따른 밑창 구조체의 외측면도.
도 1d는 본 발명의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 따른 밑창 구조체의 내측면도.
도 1e는 본 발명의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 따른 밑창 구조체의 배면도.
도 1f는 본 발명의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 따른 밑창 구조체의 정면도.
도 1g는 본 발명의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 따른 밑창 구조체의 내측 사시도.
도 1h는 본 발명의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 따른 밑창 구조체의 외측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 따른 밑창 구조체를 포함하는 신발류의 예시적 물품의 부분 측면도.
도 2a는 본 발명의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 따른 신발류 물품에 포함될 수 있는 예시적인 안창 보드 구조체(innersole board structure)의 정면도.
도 2b는 본 발명의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 따른 신발류 물품에 포함될 수 있는 예시적 중간창 구조체의 정면도.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일부를 형성하며, 실시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양태에서의 다양한 예시적 구조 및 환경을 도시의 형태로 나타내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부품의 다른 구체적 배치, 예시적 구조 및 환경이 이용될 수 있고, 구조적이며 기능적인 수정이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상면", "하면", "측면", "전방", "후방", "상부", "하부", "아래", "위" 등의 용어가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 구조의 다양한 예시적 구성 및 요소를 설명하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고, 이들 용어는 예컨대, 사용중 형상 및/또는 일반적인 배향으로 도시된 예시적인 배향에 기초하여 여기서 편의적으로 이용된다.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본 설명은 다음과 같은 여러 하부 섹션으로 나뉘어져 있다 : 용어; 본 발명에 관한 일반 배경기술 정보; 본 발명에 따른 발 지지 구조체 및 관련 제품의 일반적인 설명;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 및 결어.
A. 용어
다음의 용어가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고, 달리 설명되거나 문맥상 명확하지 않다면 이들 용어는 다음에 제공되는 의미를 가진다.
"발 수용 장치"는 사용자가 자신의 발의 적어도 일부를 그 내부에 배치하는 임의의 장치를 의미한다. (아래에서 기술하는) 모든 종류의 신발류와 더불어, 발 수용 장치는 다음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스노우 스키, 크로스컨트리 스키, 수상 스키, 스노우보드 등에서 발을 고정하기 위한 바인딩 및 다른 장치; 자전거, 운동 장비 등에 사용하는 페달에 발을 고정하기 위한 바인딩, 클립 또는 다른 장치; 비디오 게임 또는 다른 게임을 플레이하는 과정에서 발을 수용하는 바인딩, 클립 또는 다른 장치; 기타 등등.
"신발류"는 발에 착용하는 임의의 종류의 제품을 의미하고, 이 용어는 다음 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모든 종류의 신발, 부츠, 스니커즈, 샌달, 통(thong), 고무 슬리퍼(flip-flop), 뮬(mule), 스커프(scuff), 슬리퍼, 특정 스포츠용 신발(예컨대, 골프화, 테니스화, 야구화, 축구화 또는 풋볼화, 스키 부츠 등), 기타 등등. "신발류"는 발을 주변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착용자의 실력을 (예컨대, 물리적, 생리적, 의학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발 커버 부재"는 착용자 발의 적어도 일부 위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그리고/또는 착용자 발의 적어도 일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커버하는 발 수용 장치의 하나 이상의 부분을 포함하고, 예컨대 이는 착용자의 발에, 그리고/또는 착용자의 발에 대한 제위치에 발 수용 장치를 유지하는 것을 보조하기 위한 것이다. "발 커버 부재"는 일부 종래 신발류 제품에 제공되는 종류의 상부 부재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발 지지 부재"는 착용자 발의 적어도 일부 아래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발 수용 장치의 하나 이상의 부분을 포함하고, 예를 들어 이는 발의 지지 및/또는 예컨대 발 수용 장치를 착용하고 계단을 내려갈 때 착용자의 발이 노출되는 반발력의 약화를 보조하기 위한 것이다. "발 지지 부재"는 일부 종래 신발류 제품에 제공되는 종류의 밑창 부재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밑창 부재는 종래의 바깥창, 중간창 및/또는 안창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접촉면 접촉 요소" 또는 "부재"는 사용시 지면 또는 임의의 다른 표면과 접촉하는 발 수용 장치 구조체의 적어도 일부, 그리고/또는 사용시 다른 요소 또는 구조체와 맞물리는 발 수용 장치 구조체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접촉 면 접촉 요소"는 예컨대, 일부 종래 신발류 제품에 제공되는 바깥창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적어도 일부 예시적 구조체에 있어서 "접촉면 접촉 요소"는 적절한 종래의 재료로 만들어져 오랜 착용 및 정지 마찰을 제공하고, 발을 보호하며, 그리고/또는 발 수용 장치 구조의 나머지를, 예컨대 사용시 지면 또는 다른 표면에 접촉할 때, 마멸 효과로부터 보호한다.
B. 본 발명과 관련된 일반 배경기술 정보
골프 스윙(또는 다른 스윙 행위) 중에, 플레이어의 체중은 클럽 또는 다른 물체가 휘둘림에 따라 이동하는 경향이 있다. 예컨대, 전형적인 골프 스윙 중에 수번의 체중 이동과 무게 중심 위치 변화가 일어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스윙 시작 전에) 전형적인 골프 스윙의 공 어드레스 위치에서, 가령 체중 또는 무게 중심이 약간 더 뒷발보다 앞발을 향해 위치한 채로 골퍼의 체중은 비교적 골퍼 자신의 발의 볼(ball)에 중심이 위치하는 경향이 있다. 골프 스윙을 시작함에 따라, 골퍼는 (백스윙 과정에서) 클럽을 뒤로 휘두르며, 이는 체중을 앞발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현저히 뒷발을 향해 이동시키기 쉽다. 많은 경우에 있어서, 백스윙의 상부에서 골퍼 체중의 대부분은 뒷발 앞꿈치 부분의 외측(바깥측)에, 그리고/또는 뒷발의 뒤꿈치 부분에 위치하게 된다[선택적으로, 적어도 일부 경우에 있어서, 체중은 뒷발 뒤꿈치의 내측(안측)에 어느 정도 있을 수 있다].
백스윙에서 다운스윙으로의 스윙 전환에 있어서, 플레이어가 뒷발 및 다리로 밀어내어 플레이어의 체중이 플레이어 자신의 앞발을 향해 이동함에 따라 회전력 또는 비틀림 힘이 뒷발에 가해질 수 있다(예컨대, 다리 또는 발을 통해 연장되는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클럽 헤드가 다시 공에 도달할 때) 충격 위치에 이를 때까지, 플레이어의 체중은 전형적으로 앞발의 뒤꿈치 부분과 앞발의 앞꿈치 부분 모두에서의 자신의 앞발로 (그리고 특히 앞발의 외측으로) 거의 완전히 이동한다[예컨대, 체중의 상당량이 거의 앞발의 5번째 중족지절 영역(metatarsophalangeal area)에 가해진다]. 약간의 체중이 이러한 충격 위치에서 뒷발에 있을 수 있으며, 실제로, 다수의 플레이어들에 있어서 많은 경우, 적어도 뒷발의 뒤꿈치가 지면으로부터 들어 올려지기 시작하여, 어떠한 체중도 뒷발의 발가락 또는 앞꿈치 부분 근처에서 뒷발에 존재하도록 배치한다. 결국, 클럽이 스윙 팔로우 스로우 위치(swing follow-through position)(예컨대, 플레이어의 앞쪽 어깨 위)에 도달할 때, 체중은 앞발에 완전하게 또는 적어도 대부분 남을 수 있고, 특히 외측 뒤꿈치 및/또는 장심(掌心; arch) 영역을 따라 남을 수 있으며, 뒷발은 지면과 접촉하는 전방 발가락 부분에만 본질적으로 수직하게 배향될 수 있다. 일부 골퍼는 실제로 팔로우 스로우 위치일 때 균형을 잃지 않고 뒷발을 자유롭게 들어올릴 수 있다.
전형적인 골프 스윙의 체중 이동 및/또는 무게 중심의 위치 변화 특징으로 인해, 일반적으로 골프화는 스윙 과정에서 플레이어를 위한 정지 마찰 및 지지를 제공하기 위한 노력으로서 스파이크, 클리트 또는 다른 종류의 정지 마찰 요소를 포함한다. (예컨대, 플레이어가 다운스윙 시작 과정에서 뒷발에 대해 가압할 때와 같이, 플레이어가 팔로우 스로우 등의 과정에서 공과 접촉하기 전, 접촉 중 및 접촉 후 즉시 앞발 상에서 전방으로 구를 때와 같이) 특히 플레이어의 발이 지면과의 접촉을 잃기 시작할 때와 같이 이러한 정지 마찰 요소는 유용하나 가치가 제한된 것일 수 있다. 즉, 스파이크, 클리트 또는 다른 정지 마찰 요소는 이들이 지면과 접촉하지 않을 때 정지 마찰 또는 지지를 제공하는 것을 도울 수 없다.
본 발명의 적어도 일부 양태는 정지 마찰을 개선하고, 스윙, 스텝 및/또는 다른 체중 이동 행위 과정에서 착용자에 대해 안정하고 견고한 지지를 제공하는 것을 돕는다.
C. 본 발명에 따른 발 지지 구조체 및 관련 제품의 일반적인 설명
1. 가요성 접촉면 접촉 부재를 포함하는 발 지지 구조체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양태는 신발류용 지지 구조체 또는 다른 발 지지 장치 제품과 같은 것에 이용되는 발 지지 요소 및 제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 따른 발 수용 장치 제품(예컨대, 운동화를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용 발 지지 부재(예컨대, 밑창 구조체 및/또는 이들의 일부)는 접촉면 접촉 부재(예컨대, 바깥창 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이 접촉면 접촉 부재는 접촉면과 접촉하기 위한 제1 주면(예컨대, 외부면)과 제1 주면에 대향하는 제2 주면(예컨대, 내부면)을 포함한다. 제1 주면은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i) 기준면, (ii) 제2 주면을 향해 연장되며 접촉면 접촉 부재의 앞꿈치 부분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오목 세그먼트, 그리고 (iii) 제2 주면을 향해 연장되며 앞꿈치 부분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오목 세그먼트. 제1 및 제2 오목 세그먼트는 접촉면 접촉 부재에 굽힘선을 제공할 수 있고, 접촉면 접촉 부재의 앞꿈치 부분을 내측, 중앙 및 외측 영역으로 나눌 수 있으며, 여기서 내측, 중앙 및 외측 영역은 동적 힘이 제2 주면을 가로질러 측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예컨대, 착용자가 신발 또는 다른 발 수용 장치를 착용한 상태에서 자신의 체중을 이동시킴에 따라) 독립적으로 접촉면과 맞물림 및 맞물림 해제되도록 굽힘선 주위에서 서로에 대해 이동할 수 있다.
제1 주면은 제2 주면을 향해 연장되는, 예컨대 접촉면 접촉 부재의 뒤꿈치 부분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 접촉면 접촉 부재의 뒤꿈치 부분에서 측방향으로 연장, 접촉면 접촉 부재의 앞꿈치 부분에서 측방향으로 연장,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등의 방식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추가 오목 세그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오목 세그먼트는 접촉면 접촉 부분을 구성하는 것보다 더욱 연한 재료와 같은 재료를 (예컨대, 하나 이상의 오목 세그먼트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워서) 그 안에 포함할 수 있다. 필요하다면, 동일하거나 상이한 재료가 여러 오목 세그먼트에 마련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여러 오목 세그먼트는 양을 달리하여 충전 재료로 채워질 수 있다. 또한, 필요하다면, 주어진 발 수용 장치 제품 상의 일부 오목 세그먼트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워질 수 있고, 동일 제품 상의 다른 오목 세그먼트는 채워지지 않은 채 남아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 따른 발 지지 구조체는 추가 구조 요소 및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 따른 발 지지 부재(예컨대, 밑창 구조체)는 하나 이상의 완충 부재(예컨대, 중간창 구조체), 안창 보드 구조체, 안창 부재, 힐 카운터, 팽창된 블래더(bladder), 양말 라이너(sock liner), 정지 마찰 요소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이들은 접촉면 접촉 부재와 맞물린다. 완충 부재 및/또는 안창 보드 부재와 같은 이러한 추가 요소는 접촉면 접촉 부재의 제2 주면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맞물리는 제1 주면과, 이러한 제1 주면에 대향하는 제2 주면을 포함할 수 있다. 필요하다면, 완충 부재 및/또는 안창 보드 또는 다른 부재의 적어도 제2 주면은, 예컨대 접촉면 접촉 부재에 마련된 다양한 오목 세그먼트 중 적어도 일부의 위치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굽힘선을 포함할 수 있다. 필요하다면, 주어진 지지 구조체는 다수의 완충 부재 또는 다른 구조체(예컨대, 중간창 및 안창 보드 모두)를 포함할 수 있고, 더욱 필요하다면, 이들 개별 부재의 일부 또는 전부는, 예컨대 오목 세그먼트의 적어도 일부의 위치에 대응하는 굽힘선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종류의 가요성 지지 구조체는 본 발명의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착용자의 체중 이동 및/또는 착용자의 발의 이동에 따라 착용자의 발이 접촉면과 비교적 큰 접촉 면적을 유지하게 함으로써 유용할 수 있다. 예컨대, 골프 스윙(또는 다른 스윙 행동) 중 체중은 이동하기 쉽고, 예컨대 착용자의 무게 중심은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그리고/또는 외측에서 내측으로 이동한다. 상술한 종류의 가요성 지지 구조체는 적어도 일부 구조체에 있어서 접촉면 접촉 부재의 외측, 내측 및/또는 중앙 영역의 독립적인 이동(예컨대, 굽힘선 주위에서 서로에 대해 독립적인 이동 또는 회전)을 허용하여, (예컨대, 이러한 가요성과 독립적이며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영역을 포함하지 않는 지지 구조체와 비교할 때) 접촉면 접촉 부재가 더 많이 지면과 접촉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2. 다양한 정지 마찰 부재 세트를 포함하는 발 지지 구조체
본 발명의 추가 양태는 다양한 정지 마찰 부재 세트(예컨대, 스파이크, 클리트, 또는 지면 접촉 부재 또는 바깥창 부재에 마련되는 다른 정지 마찰 요소의 세트)를 포함하는 발 수용 장치(예컨대, 운동화를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를 위한 발 지지 부재(예컨대, 밑창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발 지지 부재는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a) 앞꿈치 부분, 뒤꿈치 부분, 외측부 및 내측부를 포함하는 접촉면 접촉 부재(예컨대, 바깥창 부재); (b) 앞꿈치 부분에 있는 제1 세트의 정지 마찰 부재로서, 선택적으로 내측 방향으로의 앞꿈치 이동을 허용하면서 외측 방향으로의 앞꿈치 이동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제1 세트의 정지 마찰 부재; (c) 뒤꿈치 부분에 있는 제2 세트의 정지 마찰 부재로서, 선택적으로 외측 방향으로의 뒤꿈치 이동을 허용하면서 내측 방향으로의 뒤꿈치 이동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제2 세트의 정지 마찰 부재. 이러한 정지 마찰 부재는 하나 이상의 굽힘선 및/또는 상술한 종류의 오목 요소를 가지는 발 지지 부재에 포함될 수 있다.
상술한 종류의 정지 마찰 부재 세트는 소정 행동, 예컨대 비틀기 행동(예컨대, 골프 스윙, 야구 또는 소프트볼 스윙, 라크로스, 필드 하키 등과 같은 것들)을 하는 과정에서 정지 마찰이 필요한 행동을 위해 특히 유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정지 마찰 부재 세트는 뒤틀림 힘이 가해질 때, 예컨대 스윙 동작 중 발 또는 다리를 통해 진행하는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뒤틀기를 할 때, 착용자를 위한 충분한 지지를 제공할 수 있다. 앞꿈치 부분의 정지 마찰 요소는 외측 방향으로의 앞꿈치 이동을 방지 또는 금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뒤꿈치 부분의 정지 마찰 요소는 내측 방향으로의 뒤꿈치 이동을 방지 또는 금지하도록 구 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로서, 외측 방향으로의 앞꿈치 이동은 접촉면 접촉 부재의 주면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하나 이상의 표면으로서, 외측 방향을 향하는 이러한 실질적으로 수직한 표면의 노출면을 구비하는 하나 이상의 표면을 제공함으로써 방지 또는 금지될 수 있다. 필요하다면, 정지 마찰 요소는 테이퍼링되거나 라운딩되거나 또는 이와 달리 부드럽게 노출면으로부터 멀어져 내측을 향하도록 뒤로, 그리고/또는 접촉면 접촉 부재의 기준면을 향하도록 연장된다. 유사하게, 내측 방향으로의 뒤꿈치 이동은 주면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하나 이상의 표면으로서, 내측 방향을 향하는 이러한 실질적으로 수직한 표면의 노출면을 구비하는 하나 이상의 표면을 제공함으로써 방지 또는 금지될 수 있다. 필요하다면, 정지 마찰 요소는 테이퍼링되거나 라운딩되거나 또는 이와 달리 부드럽게 노출면으로부터 멀어져 외측을 향하도록 뒤로, 그리고/또는 접촉면 접촉 부재의 기준면을 향하도록 연장된다. 본 문맥상 여기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달리 설명이 없다면 "실질적으로 수직"이라는 용어는 접촉면 접촉 부재의 기준면 또는 주면과 ±15°의 범위 내에서 수직한 것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노출면은 ±10°또는 ±5°또는 그 미만의 범위 내에서 접촉면 접촉 부재의 주면에 수직하다.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정지 마찰 요소의 적어도 일부는 그 기저 치수(예컨대, 기준면을 따르는 길이 또는 너비) 중 적어도 하나가 정지 마찰 요소의 높이 치수(예컨대, 정지 마찰 요소가 기준면으로부터 떨어진 거리) 보다 크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러한 정지 마찰 요소는 우수한 지지, 지면 관통, 및/또는 지면 맞물림 특성을 제공하여, 걷기 또는 다른 행동을 위해 지면으로부터 용이하게 맞물림 해제되도록 촉진하면서 예컨 대, 골프 스윙 중(예컨대, 다운 스윙 동작 중)에 토크에 대한 저항을 제공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앞꿈치 부분에서) 제1 세트의 정지 마찰 부재는 내측 방향으로의 앞꿈치 이동을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뒤꿈치 부분에서) 제2 세트의 정지 마찰 부재는 외측 방향으로의 뒤꿈치 이동을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체는 뒤틀기 동작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뛰어난 저항성 또는 지지를 제공하면서, 다른 때에, 예컨대 뒤틀기 동작이 완료된 후, 일반적인 걷기, 뛰기 또는 다른 보행 행동 등을 하는 중에 용이한 발의 이동을 허용한다.
필요하다면, 본 발명의 이러한 양태의 구성 중 일부 또는 전부(즉, 정지 마찰 부재 세트를 구비하는 지지 구조체)는 상술한 본 발명의 가요성 지지 부재 양태의 일부 또는 전부와 조합되어 이용될 수 있다.
3. 본 발명에 따른 지지 구조체를 포함하는 발 수용 장치 제품
본 발명의 추가 양태는 신발류 물품과 같은 발 수용 장치 제품으로서, 발 지지 부재, 예컨대, 상술한 여러 종류의 밑창 구조체를 포함하는 발 수용 장치 제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발 수용 장치 제품은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a) 발 커버 부재; 및 (b) 발 커버 부재와 맞물리는 발 지지 부재. 본 발명의 이러한 양태에 따른 발 지지 부재는 상술한 가요성 접촉면 접촉 부재 및/또는 정지 마찰 부재의 하나 이상의 구성 및 양태로서, 임의의 요구되는 하부 세트 및/또는 이들 구성 및 양태의 조합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 및 양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여러 추가 구조체 및 구성과, 중간창 구조체, 안창 보드 구조체, 안창 구조체, 양말 라이너, 뒤꿈치 완충 요소, 클로져 시스템, 힐 카운터 등과 같이 해당 분야에서 공지 및 이용되는 종래의 구조체 및 구성을 포함하는 추가 구조체 및 구성이 본 발명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이러한 발 수용 장치 제품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 실시예 및 구조체를 아래에서 상세히 기술한다. 독자는 이러한 구체적 실시예 및 구조체가 단지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기재되는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서 파악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D.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
본원의 다양한 도면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발 지지 부재 및 이들의 발 수용 장치 제품에서의 배치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하나 이상의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가 나타날 때, 이 참조 번호는 전체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품을 참조하도록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도면에서 일관되게 이용된다.
도 1a 내지 도 1h는 본 발명의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 따른 (예컨대, 바깥창 부재를 포함하는) 예시적 밑창 구조체(100)의 다양한 양태를 도시한다. 이러한 도시된 실시예의 밑창 구조체(100)는 외부를 형성하는 제1 주면, 지면(또른 다른 표면) 접촉 부재(102) 및 지면 접촉 부재 표면(102)과 대향하는 내부 주면(104)을 포함한다. 지면 접촉 부재 표면(102)은 기준면(106)을 포함하고,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기준면은 밑창 구조체(100)의 다양한 구성을 위해 전체적으로 연속적인 기저를 형성하며, 이를 아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기준면(106)은 (예컨대, 앞꿈치 영역, 장심 영역, 뒤꿈치 영역, 발가락 영역 등과 같은 다양한 종래의 신발 구성을 포함하도록) 비교적 평평하고, 매끄럽게 기울어지거나 만곡될 수 있으며, 또는 본 발명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이와 달리 형상화될 수 있다. 기준면(106)은 [밑창 구조체(100)의 나머지 부분과 함께] 본 발명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예컨대 가죽, 합성 고무, 폴리머(예컨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등을 포함하는, 임의의 요구되는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본 발명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기준면(106)은 다수의 독립적 및/또는 불연속 조각들로부터 구성될 수도 있으며, 그리고/또는 전체 밑창 구조체(100)의 일부에만 (예컨대, 발가락 부분과 후방 뒷꿈치 부분 등을 제외하고 앞꿈치 부분에만) 대응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의 기준면(106)은 그 내부에 형성되며 전체적으로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오목 세그먼트[예컨대, 전체적으로 세그먼트(108)로 참조되는 세그먼트들(108a, 108b 및 108c)]와, 그 내부에 형성되며 전체적으로 측방향으로 배치되는 오목 세그먼트[예컨대, 전체적으로 세그먼트(110)로 참조되는 세그먼트들(110a, 110b, 110c, 110d, 110e 및 110f)]를 포함한다. 오목 세그먼트(108 및 110)는 밑창 부재를 성형하는 과정에서 (예컨대, 칼, 레이저 등을 이용한) 절단 행위에 의해 그리고/또는 해당 분야에 공지 및 이용되는 종래 방식을 포함하는 어떤 다른 방식과 같이 임의의 요구되는 방식으로 밑창 구조체에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도시된 예시적 구조체(100)에 있어서 오목 세그먼트(108 및 110)는 밑창 구조체(100)에 굽힘선을 제공하고, 밑창 구조체(100)를 앞꿈치 외측 영역, 앞꿈치 중앙 영역, 앞꿈치 내측 영역, 뒤꿈치 외측 영역 및 뒤꿈치 내측 영역과 같은 다양한 영역으로 분할한다. 또한, 본 예시적 구조체(100)에 있어서, 오목 세그먼트(108 및 110)는 밑창 구조체(100)의 얇은 구역을 제공하므로, 다양한 영역(예컨대, 앞꿈치 외측 영역, 앞꿈치 중앙 영역 및 앞꿈치 내측 영역)의 적어도 일부는 동적 힘이 내부면(104)을 가로질러 측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다양한 영역이 독립적으로 접촉면과 맞물림 및 맞물림 해제되게 하기 위하여굽힘선 주위에서 서로에 대해 이동할 수 있거나 회전할 수 있다.
예컨대, 골프 스윙(또는 다른 스윙 행동) 중, 골퍼는 발의 중앙 구역으로부터 발의 외측 또는 내측을 향해 측방향으로 자신의 체중을 이동시킬 수 있고, 그로부터 다시 중앙을 향해, 그리고 가능하다면 중앙을 지나 다른 측을 향해 이동시킬 수 있다. 체중이 이동함에 따라, 골퍼 신발의 밑창은, 특히 골퍼가 종래의 비교적 뻣뻣하며 불요성(inflexible)인 밑창 구조체를 착용할 때, 지면과의 접촉을 잃기 쉽다. 굽힘선 및 길이 방향 오목 세그먼트(108)를 제공함으로써 밑창 구조체(100)는 오목 세그먼트(108)에 의해 형성된 굽힘선 주위의 신발 내부에서 골퍼의 발과 함께 구부러질 수 있고, 이에 의해 스윙(또는 다른 행위) 과정에서 밑창 구조체(100) 중 더 큰 비율이 지면 또는 다른 접촉면과의 접촉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골프 스윙(또는, 도보 또는 다른 행동) 중에, 골퍼는 자신의 체중을 발의 중앙 구역으로부터 발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로부터 다시 중앙으로, 그리고 가능하다면 중앙을 지나 대향 단부를 향해 이동시킬 수 있다. 체중이 이동함에 따라, 골퍼 신발의 밑창은, 특히 골퍼가 종래의 비교적 뻣뻣하거나 불요성인 바깥창 구조체를 가진 신발을 착용하였을 때, 지면과의 접촉을 잃기 쉬울 수 있다. 굽힘선 및 측방향 오목 세그먼트(110)를 제공함으로써, 밑창 구조체(100)는 오목 세그먼트(110)에 의해 형성된 굽힘선 주위의 신발 내부에서 골퍼의 발과 함께 구부러질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스윙, 스텝 또는 다른 행동 중에 밑창 구조체(100) 중 더 큰 비율이 지면 또는 다른 접촉면과의 접촉을 유지할 수 있다.
오목 세그먼트(108)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언급되어 있으나, 밑창 구조체(100)의 길이 방향 중앙선 방향으로만 연장될 필요는 없다. 오히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문맥상 여기서 이용되는 것처럼 "길이 방향"이라는 용어는 오목 세그먼트(108) 및 이에 의해 형성된 대응하는 굽힘선이 주로 길이 방향으로(예컨대, 전체적으로 신발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연장되며, 선택적으로 만곡된 방식으로(예컨대, 길이 방향으로 일반적인 발의 굽힘선 및/또는 굴곡에 대응하도록) 연장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개별적인 길이 방향 오목 세그먼트(108) 또는 굽힘선이 밑창 구조체(100)의 전방으로부터 그 후방으로 완전하게 연장될 필요는 없다. 도 1a의 실시예에 있어서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다수의 오목 세그먼트(108)가 존재할 때[예컨대, 세그먼트(108a, 108b 및 108c)], 다양한 세그먼트는 서로 평행할 필요가 없고, 이들은 정확하게 동일한 방향으로 또는, 동일한 아크 또는 곡률로 연장될 필요가 없다. 선택적으로, 요구된다면, 밑창 구조체(100)의 굽힘선은 착용자의 발의 통상적인 굽힘 구역과 대응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굽힘선 및 오목 세그먼트(108)는, 특히, 예컨대 오목 세그먼트(108a 및 108b)를 구비하는 앞꿈치 구역에 있어서, 어느 정도 아크형 또는 커브형일 수도 있다.
유사하게, 오목 세그먼트(110)는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언급되나, 밑창 구조체(100)를 가로지르는 방향만으로 연장될 필요가 없다. 오히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맥상 여기서 사용되는 것처럼 "측방향"이라는 용어는 오목 세그먼트(110) 및 이에 의해 형성된 대응하는 굽힘선이 주로 측방향으로(예컨대, 전체적으로 신발의 외측으로부터 신발의 내측으로) 연장되며, 선택적으로, 만곡되는 방식으로(예컨대, 측방향으로의 통상적인 발의 굽힘선 및/또는 굴곡에 대응하도록) 연장된다. 또한, 요구된다면, 개별 측방향 오목 세그먼트(110) 또는 굽힘선이 밑창 구조체(100)를 완전히 가로질러 연장될 필요는 없다. 도 1a의 실시예에 대해 도시된 바와 같이,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오목 세그먼트(110)가 존재할 때[예컨대, 세그먼트(110a, 110b, 110c, 110d, 110e 및 110f)], 다양한 세그먼트는 서로 평행할 필요가 없으며, 정확하게 동일한 방향 또는 동일한 곡률로 연장될 필요가 없다. 선택적으로, 요구된다면, 밑창 구조체(100)의 굽힘선은 착용자의 발의 통상적인 굽힘 구역과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굽힘선 및 오목 세그먼트(108)는 어느 정도 아크형 또는 커브형일 수 있다.
오목 세그먼트(108 및 110)는 본 발명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임의의 요구되는 크기(예컨대, 길이, 너비 및/또는 깊이)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일부 실시예로서, 필요하다면, 오목 세그먼트는 약 1 ㎜ 내지 10 ㎜의 너비와, 1 ㎜ 내지 10 ㎜의 깊이를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오목 세그먼트는 약 1 내지 5 ㎜의 너비와, 1 내지 5 ㎜의 깊이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오목 세그먼트(108 및/또는 110)는 이 오목 세그먼트(108 및/또는 110)의 하부에서 기저 재료의 두께가 0.25 내지 8 ㎜, 일부 경우에 있어서 1 내지 5 ㎜가 되도록 충분한 깊이를 가질 수 있다. 물론, 주어진 신발에 있어서 모든 오목 세그먼트가 동일한 치수 특성을 가질 필요는 없다. 또한, 오목 세그먼트(108 및/또는 110)의 치수는 개별 세그먼트의 길이, 너비 및/또는 깊이를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필요하다면, 오목 세그먼트(108 및/또는 110)의 일부 또는 전부는 [예컨대, 줄어들거나 적은 양의 기저 재료를 가지는 영역에서 밑창 구조체(100)의 불필요한 관통을 방지하는 것을 돕고, 줄어든 양의 기저 재료 등을 가지는 이들 영역에서 외부 요소에 대한 착용감을 감소시키기 위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다른 재료(112)로 채워질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기저층(106)을 구성하는 재료보다 어느 정도 연질의 재료(112)는 오목 세그먼트(108 및/또는 110)를 부분적으로 채우고, 오목 세그먼트(108 및 110) 각각의 측부에서 작은 간극을 남기고[예컨대, 충전 재료(112)는 각각의 측부를 따라 간극을 남기도록 오목 세그먼트(108 및/또는 110) 내에 중심을 두거나 또는 달리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또는 오목부 또는 약간의 단차를 남긴다. 이러한 간극은 적어도 일부 구조에 있어서 상술한 요구되는 굽힘 특성을 허용하면서도, 또한 상술한 불필요한 관통 및 관통감 특성을 방지하기 위해 오목 세그먼트(108 및/또는 110)를 여전히 실질적으로 채워진 상태로 남겨두는 데 유용할 수 있다. 임의의 요구되는 간극 크기(간극이 없는 경우 포함) 및/또는 충전 재료(112)의 두께가 본 발명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마련될 수 있다. 충전 재료(112)는 본 발명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시멘트 또는 접착제 등에 의한 성형과 같이 해당 분야에서 공지 및 사용되는 종래 방식을 포함 하는 임의의 요구되는 방식으로 오목 세그먼트(108 및/또는 110)에 마련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충전 재료(112)가 존재할 때, 이 충전 재료는 기저층(116)을 구성하는 재료보다 어느 정도 연할 수 있다. 물론, 임의의 요구되는 종류의 재료가 이들 구조에 이용될 수 있고, 고무 또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과 같은) 폴리머 재료를 포함하며, 해당 분야에서 공지되어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재료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인 일부 실시예로서, 기저층(106) 재료는 고무 재료로 구성될 수 있고, 예컨대, 60 내지 75의 쇼어 A 경도를 가지며(그리고 일부 실시예에서는 64 내지 70의 쇼어 A 경도), 그리고 충전 재료(112)는 거의 동일한 정도의 경도를 가지거나, (선택적으로 고무 또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재료로 만들어져) 아마도 좀 더 연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가능한 실시예로서, 필요하다면, 충전 재료(112)는 64 내지 80의 쇼어 A 경도(예컨대, 일부 실시예에서, 약 70 내지 78 쇼어 A 또는 거의 75 쇼어 A 경도)를 가지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재료일 수 있으며, 기저층(106)도 충전 재료(112)보다 높은 경도, 예컨대, 70 내지 90 쇼어 A 경도(예컨대, 일부 실시예에서, 75 내지 88 쇼어 A 경도 또는 80 내지 85 쇼어 A 경도)를 가지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재료 일 수 있다. 또한, 전체 기저층(106)이 동일한 경도를 가질 필요는 없다. 예컨대, 필요하다면, 내측은 외측보다 경질의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고(예컨대, 일 실시예에서 외측 경도가 80 쇼어 A이고, 내측 경도가 85 쇼어 A일 수 있고), 또는 그 반대일 수도 있다. 물론, 많은 종류의 다른 재료 및/또는, 재료 및/또는 경도의 조합이 본 발명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이용될 수 있다.
굽힘선 및/또는 오목 세그먼트(108 및/또는 110)가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에서 신발류 물품의 앞꿈치 및 뒤꿈치 구역 모두에 위치할 필요는 없다. 오히려, 필요하다면, 하나 이상의 굽힘선 및/또는 오목 세그먼트(108 및/또는 110)는 본 발명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임의의 하나 이상의 뒤꿈치 영역, 장심 영역 및/또는 앞꿈치 영역에 마련될 수 있다.
도 1b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밑창 구조체(100)의 내부면(104)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면(104)은 밑창 구조체의 반대쪽 앞꿈치면(102) 상의 오목 세그먼트(108 및 110) 위치에 대응하여 내부면 안에 형성된 굽힘선(114)을 포함한다. 이러한 내부의 굽힘선(114)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전체 밑창 구조체(100)의 요구되는 굽힘 특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것을 돕는다.
도면은 본 발명의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서 존재할 수 있는 밑창 구조체의 다른 구조적 구성을 도시한다. 예컨대, 도면은 이러한 예시적 밑창 구조체(100)가 신발의 뒤꿈치 영역에 대한 추가 완충 특성을 제공하는 완충 뒤꿈치 유닛(120)을 포함하는 것을 도시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별도의 완충 뒤꿈치 유닛(120)을 제공함으로써, 밑창 구조체(100)의 바깥창 부분은 비교적 얇게[예컨대, 기저층(106)에서 1 내지 20 ㎜(일부 실시예에서 1.5 내지 5 ㎜ 또는 2 내지 3 ㎜), 그리고 오목 부분(108 및 110)에서 0.25 내지 8 ㎜(일부 실시예에서 0.25 내지 2 ㎜ 또는 0.5 내지 1.5 ㎜)] 유지되어, 안락한 보행 또는 다른 행동을 위한 적절한 완충을 제공하면서도 굽힘성을 보존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이렇게 도시된 예시적 구조 체(100)에서 임의의 요구되는 종류의 완충 뒤꿈치 유닛(120)이 본 발명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제공될 수 있으며, 뒤꿈치 유닛(120)은 폴리우레탄 또는 에틸비닐아세테이트 재료와 같은 완충 폴리머 재료(124)에 포함되거나 이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유지되는 가스 충전 블래더 요소(122)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도시된 실시예에서 임의의 요구되는 크기 및 두께의 뒤꿈치 유닛(120)이 제공될 수 있으며, 전체 뒤꿈치 유닛(120)은 중앙의 뒤꿈치 지지 위치에서 약 15 ㎜의 두께를 가진다. 이러한 종류의 가스 충전 블래더(122) 및/또는 완충 재료(124)는 오레곤주 비버톤에 소재한 나이키사로부터 입수가능한 상표명 AIR 브랜드 신발류의 여러 제품과 같은 종래 신발류 제품에 있어서 공지 및 사용되고 있다.
물론, 필요하다면, 종래의 폼 또는 다른 완충 재료, 원주형 충격 흡수형 요소(예컨대, 오레곤주 비버톤에 소재한 나이키사로부터 입수가능한 상표명 SHOX 브랜드 신발류의 여러 제품에 있어서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것들) 등과 같이 다른 종류의 뒤꿈치 유닛 또는 다른 완충 요소 또는 구조체가 본 발명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필요하다면, 가스 충전 블래더(122), 충격 흡수 요소 또는 다른 완충 요소가 있을 때, 본 발명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완충 재료(124)에서와 같이] 다른 재료 내부에 감춰질 수 있으며, 부분적으로 이러한 재료에 감춰지거나 외부 환경에 개방 및 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밑창 구조체는 예컨대, 골프, 야구 또는 소프트볼 스윙에 이용되는 것과 같은 뒤틀기 동작 중에; 특히 고르지 못한 지형에서, 서기, 스윙, 걷기, 뛰기 또는 다른 행동 중에; 기타 행동 중에 정지 마찰을 제공하기 위한 자체 능력을 향상시키는 추가의 구조적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물론, 임의의 요구되는 종류의 정지 마찰 요소가 본 발명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제공될 수 있고, 해당 분야에 공지 및 이용되는 것과 같은 종래의 정지 마찰 요소를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 따른 밑창 구조체(100)는 상술한 여러 스윙과 다른 행동 및 동작을 보조하는 정지 마찰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렇게 도시된 예시적 밑창 구조체(100)에 있어서, 이 밑창 구조체(100)의 하부면(102)은 여러 상이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보조하는 복수의 정지 마찰 요소를 포함한다. 예컨대, 앞꿈치 영역의 복수의 정지 마찰 요소(130)는 외측 방향을 향하는 실질적으로 수직한 벽(132)과, 벽(132)으로부터 기준면(106)을 향해 뒤로 연장된 경사진 벽(134)을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에 있어서, 정지 마찰 요소(130)는 강한 기반과 지지를 제공(예컨대, 골프 다운스윙 중에 강한 기반과 지지를 제공)하여 발의 앞꿈치 부분이 외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금지하거나 방지하고, 내측 방향으로의 상대적으로 용이한 앞꿈치 이동을 허용(예컨대, 보행을 재개하는 경우 등에 있어서 다시 발의 용이한 이동을 허용)한다.
도 1a 내지 도 1h에 도시된 예시적 밑창 구조체(100)는 뒤꿈치 부분에서 상이한 종류 또는 배향의 정지 마찰 요소(140)를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렇게 도시된 예시적 밑창 구조체(100)에 있어서, 뒤꿈치 영역의 정지 마찰 요소(140)는 내측 방향을 향하는 실질적으로 수직인 벽(142)과, 벽(142)으로부터 기준면(106)을 향해 뒤로 연장된 경사진 벽(144)을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에 있어서, 정지 마찰 요소(140)는 강한 기반과 지지를 제공(예컨대, 골프 다운스윙 중에 강한 기반 및 지지를 제공)하여 내측 방향으로 발의 뒤꿈치 부분이 이동하는 것을 금지 및 방지하고, 외측 방향으로의 상대적으로 용이한 뒤꿈치 이동을 허용(예컨대, 보행을 재개하는 경우 등에 있어서 지면으로부터 맞물림이 해제될 때 다시 발의 용이한 이동을 허용)한다.
더욱 상이한 정지 마찰 요소(150) 구조 또는 배향이 도 1a 내지 도 1h에 도시된 밑창 구조체(100)의 후방 뒤꿈치 영역에 마련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예시적 구조체(100)에 있어서, 뒤꿈치 영역은 신발류 전방을 향하는 실질적으로 수직인 벽(152)과, 전방의 벽(152)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 경사진 벽(154)을 구비한다. 이러한 구조 및 배향은 걷기, 서기 또는 스윙(또는 다른 행동의 수행)을 할 때, 특히 내리막길 또는 하향 경사에서 정지 마찰을 제공하는 것을 돕는다. 또한, 다른 정지 마찰 요소(160) 구조 또는 배향이 밑창 구조체(100)의 최전방 발가락 영역에 마련된다. 이러한 도시된 예시적 구조체(100)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발가락 영역은 신발류 후방을 향하는 실질적으로 수직한 벽(162)을 가지고, 벽(162)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된 경사진 벽(164)을 구비한다. 이러한 구조 및 배향은 걷기, 서기 또는 스윙(또는 다른 행동의 수행) 중 일 때, 특히 오르막길 또는 상향 경사에서 정지 마찰을 제공하는 것을 돕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임의의 종류 또는 배치의 정지 마찰 요소가 본 발명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정지 마찰 요소[예컨대, 요소(130, 140, 150 및/또는 160)]는 [기준면(106)과 같은] 밑창 구조체(100)의 다른 부분과 함께 밑창 구조체(100) 내에 일체로 성형되거나, 밑창 구조체(100)에[예컨대, 접착 제, 시멘트, 나사, 죔쇠, 유지 요소, 다른 기계적 연결구 등에 의해 기준면(106)에] 부착되는 것 등에 의해 본 발명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임의의 요구되는 방식으로 밑창 구조체(100)의 일부로서 포함될 수 있다. 도시된 예시적 밑창 구조체(100)에 있어서, 정지 마찰 요소의 적어도 일부[예컨대, 요소 (130, 140, 150 및/또는 160]는 그 기저 치수 중 적어도 하나[예컨대, 기준면(106)을 따르는 길이 또는 너비]는 정지 마찰 요소의 높이 치수[예컨대, 기준면(106)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거리]보다 크다. 이러한 정지 마찰 요소는 우수한 지지, 지면 관통 및/또는 지면 맞물림 특성을 제공하여 골프 스윙 중(예컨대, 다운스윙 동작 중) 토크에 저항하면서, 예컨대, 걷기 또는 다른 행동에 있어서 지면으로부터의 용이한 맞물림 해제를 허용한다. 필요하다면, 본 발명의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 따라, 미국 특허 제6,817,117호 및/또는 제6,705,027호에 도시된 종류 및/또는 배치에 따른 정지 마찰 요소가 본 발명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미국 특허 각각은 전체적으로 참조로써 여기에 통합된다.
예컨대,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양한 오목 세그먼트(108 및 110)는 바깥창 부재의 바닥면(102)을 발가락 영역, 외측 앞꿈치 영역, 중앙 앞꿈치 영역, 내측 앞꿈치 영역, 후방 영역, 내측 뒤꿈치 영역 및 외측 뒤꿈치 영역과 같은 복수의 상이한 영역으로 분할한다. 이러한 여러 상이한 영역은, 예컨대 외측 오목 세그먼트(110)의 존재로 인해, 더 작은 영역으로 분할될 수도 있다. 이렇게 도시된 예시적 구조체(100)에서, 정지 마찰 요소의 후속 구역 및 하부 구역이 포함된다; (a) 발가락 영역은 세 개의 구역(외측, 내측 및 중앙)을 포함하고, 이들 각 구역에 단 일한 별개의 정지 마찰 요소가 마련된다; (b) 앞꿈치 영역은 총 12개의 구역을 포함한다(예컨대, 외측, 중앙 및 내측 앞꿈치 구역을 포함하고, 각 구역은 정지 마찰 요소의 4개의 별개 하부 구역을 포함하며, 각각의 하부 구역 자체는 복수의 개별 정지 마찰 요소를 포함); (c) 뒤꿈치 영역은 총 네 개의 구역을 포함한다(예컨대, 외측 및 내측 뒤꿈치 구역을 포함하고, 각 구역은 정지 마찰 요소의 두 개의 별개 하부 구역을 포함하고, 각각의 하부 구역 자체는 복수의 개별 정지 마찰 요소를 포함); 그리고 (d) 뒤꿈치 영역은 두 개의 구역(내측 및 외측)을 포함하고, 각 구역에는 복수의 정지 마찰 요소가 마련된다. 물론, 상술한 많은 개별 구역 및 하부 구역은 복수의 개별 정지 마찰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개별 구역 및 하부 구역은 본 발명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임의의 요구되는 개수의 정지 마찰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필요하다면, 도 1a, 1c, 1d, 1g 및 1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주어진 하부 영역 내에 적어도 일부가 배치된, 다양한 정지 마찰 요소는 다양한 방식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어진 하부 영역 내[예컨대, 오목 세그먼트들(110c 및 110d) 사이]에서 인접한 정지 마찰 요소의 기저는 정지 마찰 요소의 전방 벽들 사이에서 정지 마찰 요소의 경사진 벽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연장된 기저 요소(190)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또한, 필요하다면, 하나의 정지 마찰 요소의 전방 벽[예컨대, 전방 벽(132)]은 전체적으로 동일한 하부 영역 내의 다른 정지 마찰 요소의 인접한 경사진 벽[예컨대, 경사진 벽(134)]에 매우 근접하거나 이에 맞닿을 수 있다. 정지 마찰 요소의 이러한 기저 요소 연결 부(190), 접촉 및/또는 근접한 구조적 배치는 골프 스윙 또는 다른 행동 중에 정지 마찰 요소를 이용할 때 더욱 견고하며 안정한 착용감을 제공 및/또는 유지하는 것을 도울 수 있으며, 예컨대, 어떤 정지 마찰 요소는 기저 부재 또는 접촉에 의해 다른 정지 마찰 요소에 고정되어 추가 수준의 지지를 제공한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일부 예시적 구조에 있어서, 필요하다면, 최종 밑창은 '스파이크가 없는 것'일 수 있으며, 예컨대, 탈착가능한 금속 또는 플라스틱 클리트 요소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 따른 밑창 구조체(100)를 포함할 수 있는 예시적 신발류 물품(200)의 부분 측면도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의 밑창 구조체(100)는 내부면(104)과 맞물리는 안창 보드 요소(170)(도 2a 참조) 및/또는 밑창 구조체(100)의 완충 부재(124)를 더 포함한다. 필요하다면, 도 2 및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창 보드 요소(170)의 적어도 최상단면(예컨대, 착용자의 발과 가장 가까운 표면)도 굽힘선(172)(예컨대, 얇은 영역, 사전에 구부러지거나 구부러질 수 있거나 비틀린 영역, 개방 부분 또는 불연속부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선택적으로 바깥창 부재의 지면 접촉면(102)의 오목 영역(108 및 110) 및 굽힘선의 일부 또는 전부에 대응하도록 배치된다. 필요하다면, 안창 보드 요소(170)의 하부면도 굽힘선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안창 보드(170)는 추가적인 지지를 제공할 수 있고, 금속, 폴리머 재료[예컨대, 프랑스 퓌토에 소재한 아토피나 사로부터 입수가능한 폴리에테르 블록 코폴리아미드 폴리머(polyether-block co-polyamide polymer)인 상표명 PEBAX 등]와 같은 임의의 요구되는 재료로, 임의 의 요구되는 두께 및/또는 다양한 두께(예컨대, 0.25 ㎜ 내지 5 ㎜)를 가지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일부 예시적 밑창 구조체(100)에 있어서, 밑창 구조체(100)는 중간창 또는 안창 보드(170)와 맞물리는 다른 완충 요소(180)(도 2b 참조)와, 밑창 구조체(100)의 내부면(104) 및/또는 밑창 구조체(100)의 완충 부재(1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필요하다면, 도 2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중간창 요소(180)의 최상단면(예컨대, 착용자의 발과 가장 가까운 표면)도 굽힘선(182)(예컨대, 얇은 영역, 사전에 구부러지거나 구부러질 수 있거나 비틀린 영역, 개방 부분 또는 불연속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바깥창 부재의 지면 접촉면(102)의 오목 영역(108 및 110) 및 굽힘선의 일부 또는 전부와 대응하도록 배치된다. 필요하다면, 중간창 요소(180)의 하부면도 굽힘선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중간창 요소(180)는 추가의 완충 특성을 제공할 수 있고, 고무, 폴리머 재료[예컨대, 폴리우레탄, 에틸비닐아세테이트, 파이론(phylon), 파이라이트(phylite), 폼 등]와 같은 임의의 요구되는 재료로, 임의의 요구되는 두께 및/또는 다양한 두께(예컨대, 0.5 ㎜ 내지 10 ㎜, 일부 실시예에서 약 3 내지 8 ㎜ 또는 5 내지 6 ㎜)를 가지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신발류 구조체(200)는 밑창 구조체(100)와 맞물리는 상부 부재(202)를 더 포함한다. 상부 부재(202) 및 밑창 구조체(100)가 서로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맞물리는 방식은 어떠한 것이든 본 발명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이용될 수 있고, 해당 분야에서 공지 및 이용되는 종래 방식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 적인 실시예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부재(202)는 안창 보드(170)와 바깥창 부재(100) 사이에서, 그리고/또는 중간창 요소(180)와 바깥창 부재(100) 사이에서, 예컨대, 시멘트, 접착제, 스티칭(stitching) 등 종래의 이음(lasting) 공정으로, 맞물려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상부 부재(202)는 임의의 요구되는 재료 및/또는 재료의 혼합물로 만들어질 수 있고, 직물, 가죽, 폴리머 재료, 고무 재료 등과 같이 해당 분야에서 공지 및 이용되는 종래의 재료를 포함한다.
본 발명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상부 부재(202)는 임의의 요구되는 개수의 조각을 포함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임의의 요구되는 구성으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해당 분야에서 공지 및 이용되는 종래의 구성을 포함한다. 신발류 구조체(200)도 고정 시스템(예컨대, 레이스, 버클, 후크 및 루프 패스너, 지퍼 등)과 같이 해당 분야에서 공지 및 이용되는 종래의 구조 및/또는 요소를 포함하는 추가의 구조 또는 요소; 힐 카운터(heel counter); 안창 부재; 내부 부티; 양말 라이너(sock liner); 추가 완충 요소; 가스 충전 블래더; 완충 폼 또는 다른 종단체(column); 기타 등등을 포함한다.
사용시 본 발명의 양태 및 구성은 스윙 동작을 할 때, (가파르거나 평탄하지 않은 지형에서도) 스텝 또는 다른 이동을 할 때, 그리고/또는 착용자가 신발류 물품(200)을 착용하고 있으면서 자신의 체중을 이동시키고 그리고/또는 자신의 무게 중심을 변화시킬 때와 같은 여러 상이한 조건에서 지면과 높은 수준 및 정도의 접촉 표면적을 유지하도록 돕는다. 예컨대, 기준 지면 상에 정지 상태로 서있을 때 (예컨대, 골프 스윙 시작시), 착용자의 체중은 자신의 발 위에(예컨대, 발의 중앙 또는 볼에) 비교적 고르게 분배될 수 있다. 착용자가 골프 스윙(또는 다른 스윙 동작)을 시작함에 따라, 착용자는 자신의 체중을 측부 및/또는 발의 전방으로의(골프 스윙 중 앞발에 있어서 내측으로의, 뒷발에 있어서 외측으로의) 이동을 시작할 수 있다. 무게 중심 또는 체중이 밑창 구조체(100)의 내부를 거쳐 이동함에 따라, 밑창 부재(100)의 개별 구역 및/또는 하부 구역이 이동[예컨대, 굽힘선(108 및/또는 110) 주위에서 서로에 대해 어느 정도 회전 또는 이동]할 수 있으므로, 전체 밑창 부재(100)는 한번에 및/또는 전체 스윙 과정에서 초기에 지면과의 접촉을 잃지 않는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골프 스윙의 시작 부분(백스윙)에 있어서, 플레이어의 체중이 앞발의 내측을 향하여, 그리고 뒷발의 외측을 향하여 이동할 수 있다. 체중이 앞발의 내측을 향해 이동함에 따라 앞발의 밑창 구조체(100)의 전방부는 오목 세그먼트(108b) 주위에서 이동할 수 있으므로, 밑창 구조체(100)의 최외측부는 [오목 세그먼트(108b) 주위 밑창 구조체(100)의 굽힘성으로 인해] 필요하다면 지면으로부터 떨어질 수 있으나, 밑창 구조체(100)의 중앙 및 내측 부분은 지면과 우수한 접촉을 유지한다. 유사하게, 뒷발에 있어서, 뒷발의 밑창 구조체(100)의 전방부는 체중이 뒷발의 외측을 향해 이동함에 따라 오목 세그먼트(108a) 주위에서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밑창 구조체(100)의 최내측부는 [오목 세그먼트(108a) 주위 밑창 구조체(100)의 굽힘성으로 인해] 필요하다면 지면과 떨어질 수 있으나, 밑창 구조체(100)의 중앙 및 외측 부분은 지면과 우수한 접촉을 유지한다. 필요하다면, 백스윙 길이 및 체중 이동이 더욱 증가함에 따라 오목 세그먼트(108a) 주위에서 앞발의 회전이 발생할 수 있고, 오목 세그먼트(108b) 주위에서 뒷발의 회전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종래 밑창 구조체와 비교할 때, 앞발은 그 내측 부분이 더 많이 지면과의 접촉을 유지할 수 있고, 뒷발은 그 외측 부분이 더 많이 지면과의 접촉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발의 뒤꿈치 부분은 착용자의 체중이 이동함에 따라 오목 세그먼트(108c) 주위에서 독립적으로 이동할 수 있거나 회전할 수 있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스윙을 백스윙에서 포워드 스윙으로 전환함에 따라, 착용자의 체중 및/또는 무게 중심은 신발에 있어서 중앙을 향해 다시, 그리고 신발의 반대측을 향해 이동할 수 있다(예컨대, 적어도 일부의 스윙 단계에서, 뒤틀림 힘이 전체적으로 착용자의 발 또는 다리의 중앙부를 통해 진행하는 축선에 가해진다). 착용자 발의 전방 외측을 향하는 실질적으로 수직인 벽(132)과 착용자 발의 후방 내측을 향하는 실질적으로 수직인 벽(142)을 제공함으로써, 착용자는 골프 스윙 중 푸싱 오프(pushing off)를 지지하기 위한 우수한 정지 마찰을 얻을 수 있다[예컨대, 실질적으로 수직한 벽(132 및 142)은 지면과 맞물릴 수 있고, 스윙을 위한 비교적 단단한 기반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오목 세그먼트[108a, 108b 및 108c(및/또는 110)] 주위에서 밑창 구조체(100)의 여러 부분의 이동은 다운 스윙 및 팔로우 스로우 동작 중 체중 이동이 발생함에 따라 밑창 구조체(100)가 더 많이 지면과 접촉하는 것을 유지하도록 도울 수 있다.
밑창 구조체(100)의 전방 부분의 정지 마찰 요소(160)는 착용자가 오르막 지 형에서 서있거나 이동할 때 정지 마찰을 유지하는 것을 돕는다(예컨대, 착용자는 통상적으로 앞으로 기울이고 그리고/또는 자신의 발가락에 더 많은 체중을 실어서 자신의 균형을 유지하려고 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벽(162)이 지면과 맞물려 정지 마찰을 제공하는 것을 돕는다). 유사한 방식으로, 밑창 구조체의 뒤꿈치 부분에서 후방 정지 마찰 요소(150)는 착용자가 내리막 지형에서 이동하거나 서있을 때 정지 마찰을 유지하는 것을 돕는다(예컨대, 착용자는 통상적으로 뒤로 기대고, 그리고/또는 자신의 뒤꿈치에 더 많은 체중을 두어 자신의 균형을 유지하려고 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벽(152)이 지면과 맞물려 정지 마찰을 제공하는 것을 돕는다). 또한, 체중이 전방에서 후방으로, 또한 그 반대로 이동하기 때문에(예컨대, 걷기, 뛰기, 스윙 등을 하면서 스텝 및 랜딩(landing) 행동 중에), 밑창 구조체(100) 일부의 외측 오목 세그먼트(110a, 110b, 110c, 110d, 110e 및/또는 110f) 주위에서 밑창 구조체의 다른 부분에 대한 이동은 길이 방향 오목 세그먼트(108)에 대해 상술한 바와 유사한 방식으로 더 많은 밑창 구조체(100)가 (예컨대, 불요성 및/또는 딱딱한 바깥창 구조체가 접촉하는 정도에 비해) 지면과의 접촉을 유지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 및 양태는 다양한 범위의 신발 또는 다른 발 수용 장치, 특히 스윙 동작이 만들어질 때 이용되는 신발 및 다른 발 수용 장치(예컨대, 골프화, 야구화 또는 소프트볼화, 크리켓화, 필드하키화, 비디오 게임 플레이에 이용되는 발을 유지하기 위한 장치 등)에 적용될 수 있다.
D. 결어
본 발명은 현재 바람직한 본 발명의 수행 모드를 포함하는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기술되었으나, 당업자는 상술한 구조의 다양한 변화, 조합 및 치환이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 포함된 다양한 특정 구조적 구성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구조의 일부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는 구조적 구성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당업자는 다양한 특정 구조적 구성이 본 발명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신발류 또는 다른 발 수용 장치 제품에서 생략 및/또는 수정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독자는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이 첨부된 청구항에 기재한 바와 같이 넓게 파악되어야 함을 이해하여야 한다.

Claims (60)

  1. 접촉면과 접촉하기 위한 제1 주면(主面)과, 이 제1 주면과 대향하는 제2 주면을 포함하는 접촉면 접촉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주면은 기준면과, 상기 제2 주면을 향해 연장되며 상기 접촉면 접촉 부재의 앞꿈치 부분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제1 오목 세그먼트과, 상기 제2 주면을 향해 연장되며 상기 앞꿈치 부분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오목 세그먼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오목 세그먼트는 접촉면 접촉 부재에 굽힘선을 제공하며 상기 접촉면 접촉 부재의 앞꿈치 부분을 내측 영역, 중앙 영역 및 외측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내측, 중앙 및 외측 영역은 동적 힘이 상기 제2 주면을 가로질러 측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독립적으로 접촉면과 맞물림 및 맞물림 해제되도록 상기 굽힘선 주위에서 이동할 수 있는 것인 발 수용 장치용 발 지지 부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주면은 상기 제2 주면을 향해 연장되며 상기 접촉면 접촉 부재의 뒤꿈치 부분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오목 세그먼트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발 지지 부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주면은 상기 제2 주면을 향해 연장되며 상기 접촉면 접촉 부재의 앞꿈치 부분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오목 세그먼트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발 지지 부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오목 세그먼트에 포함되는 제1 재료와 상기 제2 오목 세그먼트에 포함되는 제2 재료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발 지지 부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주면은 상기 제1 오목 세그먼트의 위치에 대응하는 제1 굽힘선과, 상기 제2 오목 세그먼트의 위치에 대응하는 제2 굽힘선을 포함하는 것인 발 지지 부재.
  6. 앞꿈치 부분, 뒤꿈치 부분, 외측부 및 내측부를 포함하는 접촉면 접촉 부재로서, 이 접촉면 접촉 부재는 상기 앞꿈치 부분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제1 오목 세그먼트과 상기 앞꿈치 부분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오목 세그먼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오목 세그먼트는 상기 접촉면 접촉 부재에 굽힘선을 제공하며 상기 접촉면 접촉 부재의 앞꿈치 부분을 내측 영역, 중앙 영역 및 외측 영역으로 분할하는 것인 접촉면 접촉 부재;
    상기 앞꿈치 부분에 위치하며, 내측 방향으로의 앞꿈치 이동을 허용하면서 외측 방향으로의 앞꿈치 이동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제1 세트의 정지 마찰 부재; 및
    상기 뒤꿈치 부분에 위치하며, 상기 외측 방향으로의 뒤꿈치 이동을 허용하면서 상기 내측 방향으로의 뒤꿈치 이동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제2 세트의 정지 마찰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 중앙 및 외측 영역은 동적 힘이 상기 접촉면 접촉 부재를 가로질러 측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독립적으로 상기 제1 세트의 정지 마찰 부재의 하부세트가 접촉면과 맞물림 및 맞물림 해제되도록 상기 굽힘선 주위에서 이동할 수 있는 것인 발 수용 장치용 발 지지 부재.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접촉면 접촉 부재의 내부면은 상기 제1 오목 세그먼트의 위치에 대응하는 제1 굽힘선과, 상기 제2 오목 세그먼트의 위치에 대응하는 제2 굽힘선을 포함하는 것인 발 지지 부재.
  8. 접촉면 및 이 접촉면에 대향하는 내부면을 포함하는 바깥창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면은 기준면과, 상기 내부면을 향해 연장되며 상기 바깥창 부재의 앞꿈치 부분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오목 세그먼트과, 상기 내부면을 향해 연장되며 상기 앞꿈치 부분에서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오목 세그먼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오목 세그먼트는 상기 바깥창에 굽힘선을 제공하며 상기 바깥창 부재의 앞꿈치 부분을 내측 영역, 중앙 영역 및 외측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내측, 중앙 및 외측 영역은 동적 힘이 상기 내부면을 가로질러 측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독립적으로 표면과 맞물림 및 맞물림 해제되도록 굽힘선 주위에서 이동 할 수 있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밑창 구조체.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접촉면은 상기 내부면을 향해 연장되며 상기 바깥창 부재의 뒤꿈치 부분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오목 세그먼트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밑창 구조체.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접촉면은 상기 내부면을 향해 연장되며 상기 뒤꿈치 부분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4 오목 세그먼트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밑창 구조체.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접촉면은 상기 내부면을 향해 연장되며 상기 바깥창 부재의 앞꿈치 부분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오목 세그먼트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밑창 구조체.
  12.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 오목 세그먼트에 포함되는 제1 재료와 상기 제2 오목 세그먼트에 포함되는 제2 재료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밑창 구조체.
  13.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밑창 구조체는 상기 앞꿈치 부분에 제1 세트의 정지 마찰 부재를 더 포함하고, 이 제1 세트의 정지 마찰 부재는 외측 방향으로의 앞꿈치 이동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밑창 구조체.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밑창 구조체는 상기 바깥창 부재의 뒤꿈치 부분에 제2 세트의 정지 마찰 부재를 더 포함하고, 이 제2 세트의 정지 마찰 부재는내측 방향으로의 뒤꿈치 이동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밑창 구조체.
  15.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밑창 구조체는 상기 바깥창 부재의 뒤꿈치 부분에 제1 세트의 정지 마찰 부재를 더 포함하고, 이 제1 세트의 정지 마찰 부재는 내측 방향으로의 뒤꿈치 이동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밑창 구조체.
  16.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바깥창 부재의 내부면과 맞물리는 완충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밑창 구조체.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완충 부재는 상기 바깥창 부재의 내부면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맞물리는 제1 주면과, 상기 제1 주면에 대향하는 제2 주면을 포함하고,
    상기 완충 부재의 제2 주면은 상기 제1 오목 세그먼트의 위치에 대응하는 제1 굽힘선과, 상기 제2 오목 세그먼트의 위치에 대응하는 제2 굽힘선을 포함하는 것인 밑창 구조체.
  18.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내부면은 상기 제1 오목 세그먼트의 위치에 대응하는 제1 굽힘선과, 상기 제2 오목 세그먼트의 위치에 대응하는 제2 굽힘선을 포함하 는 것인 밑창 구조체.
  1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내부면과 맞물리는 안창 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밑창 구조체.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안창 보드는 상기 내부면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맞물리는 제1 주면과, 상기 제1 주면과 대향하는 제2 주면을 포함하고,
    상기 안창 보드의 제2 주면은 상기 제1 오목 세그먼트의 위치에 대응하는 제1 굽힘선과, 상기 제2 오목 세그먼트의 위치에 대응하는 제2 굽힘선을 포함하는 것인 밑창 구조체.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안창 보드와 맞물리는 중간창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간창 부재는 상기 안창 보드의 제2 주면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맞물리는 제1 주면과, 상기 중간창 부재의 제1 주면과 대향하는 제2 주면을 포함하는 것인 밑창 구조체.
  22.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중간창 부재의 제2 주면은 상기 제1 오목 세그먼트의 위치에 대응하는 제1 굽힘선과, 상기 제2 오목 세그먼트의 위치에 대응하는 제2 굽힘선을 포함하고, 상기 안창 보드의 제2 주면은 상기 제1 오목 세그먼트의 위치에 대응하는 제1 굽힘선과, 상기 제2 오목 세그먼트의 위치에 대응하는 제2 굽힘선을 포함하는 것인 밑창 구조체.
  23.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밑창 구조체는 골프화용 밑창 구조체인 것인 밑창 구조체.
  24. 앞꿈치 부분, 뒤꿈치 부분, 외측부 및 내측부를 포함하는 외부면으로서, 이 외부면은 상기 앞꿈치 부분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오목 세그먼트과, 상기 앞꿈치 부분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오목 세그먼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오목 세그먼트는 상기 바깥창 부재에 굽힘선을 제공하며 상기 바깥창 부재의 앞꿈치 부분을 내측 영역, 중앙 영역 및 외측 영역으로 분할하는 것인 외부면;
    상기 앞꿈치 부분에 위치한 제1 세트의 정지 마찰 부재로서, 이 제1 세트의 정지 마찰 부재는 내측 방향으로의 앞꿈치 이동을 허용하면서 외측 방향으로의 앞꿈치 이동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제1 세트의 정지 마찰 부재; 및
    뒤꿈치 부분에 위치한 제2 세트의 정지 마찰 부재로서, 이 제2 세트의 정지 마찰 부재는 상기 외측 방향으로 뒤꿈치 이동을 허용하면서 내측 방향으로의 뒤꿈치 이동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제2 세트의 정지 마찰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 중앙 및 외측 영역은 동적 힘이 상기 바깥창 부재의 내부면을 가로질러 측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독립적으로 제1 세트의 정지 마찰 부재의 하부세트가 표면과 맞물림 및 맞물림 해제되도록 상기 굽힘선 주위에서 이동할 수 있는 것인 외부면 신발류 물품용 밑창 구조체.
  25.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제1 오목 세그먼트에 포함되는 제1 재료와 상기 제2 오목 세그먼트에 포함되는 제2 재료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밑창 구조체.
  26.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바깥창 부재의 내부면은 상기 제1 오목 세그먼트의 위치에 대응하는 제1 굽힘선과, 상기 제2 오목 세그먼트의 위치에 대응하는 제2 굽힘선을 포함하는 것인 밑창 구조체.
  27.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바깥창 부재와 맞물리는 중간창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밑창 구조체.
  28.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바깥창 부재와 맞물리는 안창 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밑창 구조체.
  29. 청구항 28에 있어서, 상기 안창 부재와 맞물리는 중간창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밑창 구조체.
  30.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뒤꿈치 부분과 맞물리는 뒤꿈치 완충 요소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밑창 구조체.
  31. 청구항 30에 있어서, 상기 뒤꿈치 완충 요소와 맞물리는 안창 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밑창 구조체.
  32. 청구항 31에 있어서, 상기 안창 보드와 맞물리는 완충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밑창 구조체.
  33.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밑창 구조체는 골프화용 밑창 구조체인 것인 밑창 구조체.
  34. 발 커버 부재; 및
    상기 발 커버 부재와 맞물리는 발 지지 부재로서, 이 발 지지 부재는 접촉면과 접촉하기 위한 제1 주면과 이 제1 주면과 대향하는 제2 주면을 가지는 접촉면 접촉 부재를 포함하는 것인 발 지지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주면은 기준면과, 상기 제2 주면을 향해 연장되며 상기 접촉면 접촉 부재의 앞꿈치 부분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오목 세그먼트과, 상기 제2 주면을 향해 연장되며 상기 앞꿈치 부분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오목 세그먼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오목 세그먼트는 상기 접촉면 접촉 부재에 굽힘선을 제공하며 상기 접촉면 접촉 부재의 앞꿈치 부분을 내측 영역, 중앙 영역 및 외측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내측, 중앙 및 외측 영역은 동적 힘이 상기 제2 주면을 가로질러 측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접촉면과 독립적으로 맞물림 및 맞물림 해제되도록 상기 굽힘선 주위에서 이동할 수 있는 것인 발 수용 장치.
  35. 청구항 34에 있어서, 상기 제1 주면은 상기 제2 주면을 향해 연장되며 상기 접촉면 접촉 부재의 앞꿈치 부분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오목 세그먼트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발 수용 장치.
  36. 청구항 34에 있어서, 상기 접촉면 접촉 부재는 상기 제1 오목 세그먼트에 제1 재료를, 또한 상기 제2 오목 세그먼트에 제2 재료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발 수용 장치.
  37. 청구항 34에 있어서, 상기 제2 주면은 상기 제1 오목 세그먼트의 위치에 대응하는 제1 굽힘선과, 상기 제2 오목 세그먼트의 위치에 대응하는 제2 굽힘선을 포함하는 것인 발 수용 장치.
  38. 발 커버 부재 및 이 발 커버 부재와 맞물리는 발 지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발 지지 부재는
    앞꿈치 부분, 뒤꿈치 부분, 외측부 및 내측부를 포함하는 접촉면 접촉 부재로서, 이 접촉면 접촉 부재는 상기 앞꿈치 부분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오목 세그먼트과 상기 앞꿈치 부분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오목 세그먼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오목 세그먼트는 상기 접촉면 접촉 부재에 굽힘선을 제공하며 상기 접촉면 접촉 부재를 내측 영역, 중앙 영역 및 외측 영역으로 분할하는 것인 접촉면 접촉 부재;
    상기 앞꿈치 부분에 있는 제1 세트의 정지 마찰 부재로서, 이 제1 세트의 정지 마찰 부재는 내측 방향으로의 앞꿈치 이동을 허용하면서 외측 방향으로의 앞꿈치 이동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제1 세트의 정지 마찰 부재; 및
    뒤꿈치 부분에 있는 제2 세트의 정지 마찰 부재로서, 이 제2 세트의 정지 마찰 부재는 상기 외측 방향으로의 뒤꿈치 이동을 허용하면서 내측 방향으로의 뒤꿈치 이동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제2 세트의 정지 마찰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 중앙, 외측 영역은 동적 힘이 상기 접촉면 접촉 부재를 가로질러 측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 세트의 정지 마찰 부재의 하부세트가 독립적으로 접촉면과 맞물림 및 맞물림 해제되도록 상기 굽힘선 주위에서 이동할 수 있는 것인 발 수용 장치용 발 수용 장치.
  39. 청구항 38에 있어서, 상기 접촉면 접촉 부재의 내부면은 상기 제1 오목 세그먼트의 위치에 대응하는 제1 굽힘선과 상기 제2 오목 세그먼트의 위치에 대응하는 제2 굽힘선을 포함하는 것인 발 수용 장치.
  40. 상부 부재; 및
    상기 상부 부재와 맞물리는 밑창 구조체로서, 이 밑창 구조체는 접촉면과 이 접촉면에 대향하는 내부면을 가지는 바깥창 부재를 포함하는 것인 밑창 구조체
    을 포함하고,
    상기 접촉면은 기준면과, 상기 내부면을 향해 연장되며 상기 바깥창 부재의 앞꿈치 부분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오목 세그먼트과, 상기 내부면을 향해 연장되며 상기 앞꿈치 부분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오목 세그먼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오목 세그먼트는 상기 바깥창에 굽힘선을 제공하며 상기 바깥창 부재의 앞꿈치 부분을 내측 영역, 중앙 영역 및 외측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내측, 중앙 및 외측 영역은 동적 힘이 상기 내부면을 가로질러 측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독립적으로 표면과 맞물림 및 맞물림 해제되도록 굽힘선 주위에서 이동할 수 있는 것인 신발류 물품.
  41. 청구항 40에 있어서, 상기 제1 주면은 상기 내부면을 향해 연장되며 상기 바깥창 부재의 앞꿈치 부분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오목 세그먼트를 더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42. 청구항 40에 있어서, 상기 접촉면은 상기 제1 오목 세그먼트에 제1 재료를, 또한 상기 제2 오목 세그먼트에 제2 재료를 더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43. 청구항 40에 있어서, 상기 밑창 구조체는 상기 앞꿈치 부분에 제1 세트의 정지 마찰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세트의 정지 마찰 부재는 외측 방향으로의 앞꿈치 이동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44. 청구항 43에 있어서, 상기 밑창 구조체는 상기 바깥창 부재의 뒤꿈치 부분에 제2 세트의 정지 마찰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세트의 정지 마찰 부재는 내측 방향으로의 뒤꿈치 이동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45. 청구항 40에 있어서, 상기 밑창 구조체는 상기 바깥창 부재의 뒤꿈치 부분에 제1 세트의 정지 마찰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세트의 정지 마찰 부재는 내측 방향으로의 뒤꿈치 이동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46. 청구항 40에 있어서, 상기 밑창 구조체는 상기 바깥창 부재의 내부면과 맞물리는 완충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완충 부재는 상기 바깥창 부재의 내부면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맞물리는 제1 주면과, 이 제1 주면에 대향하는 제2 주면을 포함하고, 상기 완충 부재의 제2 주면은 상기 제1 오목 세그먼트의 위치에 대응하는 제1 굽힘선과 상기 제2 오목 세그먼트의 위치에 대응하는 제2 굽힘선을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47. 청구항 40에 있어서, 상기 내부면은 상기 제1 오목 세그먼트의 위치에 대응하는 제1 굽힘선과 상기 제2 오목 세그먼트의 위치에 대응하는 제2 굽힘선을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48. 청구항 40에 있어서, 상기 밑창 구조체는 상기 내부면과 맞물리는 안창 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창 보드는 상기 바깥창 부재의 내부면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맞물리는 제1 주면과 상기 안창 보드의 제1 주면에 대향하는 제2 주면을 포함하고, 상기 안창 보드의 제2 주표면은 상기 제1 오목 세그먼트의 위치에 대응하는 제1 굽힘선과 상기 제2 오목 세그먼트의 위치에 대응하는 제2 굽힘선을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49. 청구항 48에 있어서, 상기 밑창 구조체는 상기 안창 보드와 맞물리는 중간창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간창 부재는 상기 안창 보드의 제2 주면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맞물리는 제1 주면과 상기 중간창 부재의 제1 주면과 대향하는 제2 주면을 포함하고, 상기 중간창 부재의 제2 주면은 상기 제1 오목 세그먼트의 위치에 대응하는 제1 굽힘선과 상기 제2 오목 세그먼트의 위치에 대응하는 제2 굽힘선을 포함하고, 상기 안창 보드의 제2 주면은 상기 제1 오목 세그먼트의 위치에 대응하는 제1 굽힘선과 상 기 제2 오목 세그먼트의 위치에 대응하는 제2 굽힘선을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50. 청구항 40에 있어서, 상기 신발류 물품은 골프화인 것인 신발류 물품.
  51. 상부 부재 및 이 상부 부재와 맞물리는 밑창 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밑창 구조체는
    앞꿈치 부분, 뒤꿈치 부분, 외측부 및 내측부를 포함하는 외부면으로서, 이 외부면은 상기 앞꿈치 부분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오목 세그먼트과 상기 앞꿈치 부분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오목 세그먼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오목 세그먼트는 상기 바깥창 부재에 굽힘선을 제공하며 상기 바깥창 부재의 앞꿈치 부분을 내측 영역, 중앙 영역 및 외측 영역으로 분할하는 것인 외부면;
    상기 앞꿈치 부분에 있는 제1 세트의 정지 마찰 부재로서, 이 제1 세트의 정지 마찰 부재는 내측 방향으로의 앞꿈치 이동을 허용하면서 외측 방향으로의 앞꿈치 이동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제1 세트의 정지 마찰 부재; 및
    뒤꿈치 부분에 있는 제2 세트의 정지 마찰 부재로서, 이 제2 세트의 정지 마찰 부재는 상기 외측 방향으로의 뒤꿈치 이동을 허용하면서 상기 내측 방향으로의 뒤꿈치 이동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제2 세트의 정지 마찰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 중앙 및 외측 영역은 동적 힘이 상기 바깥창 부재의 내부면을 가로질러 측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 세트의 정지 마찰 부재 의 하부세트가 표면으로부터 독립적으로 맞물림 및 맞물림 해제되도록 상기 굽힘선 주위에서 이동할 수 있는 것인 신발류 물품용 신발류 물품.
  52. 청구항 51에 있어서, 상기 외부면은 상기 제1 오목 세그먼트에 제1 재료를, 또한 상기 제2 오목 세그먼트에 제2 재료를 더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53. 청구항 51에 있어서, 상기 바깥창 부재의 내부면은 상기 제1 오목 세그먼트의 위치에 대응하는 제1 굽힘선과 상기 제2 오목 세그먼트의 위치에 대응하는 제2 굽힘선을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54. 청구항 51에 있어서, 상기 밑창 구조체는 상기 바깥창 부재와 맞물리는 중간창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55. 청구항 51에 있어서, 상기 밑창 구조체는 상기 바깥창 부재와 맞물리는 안창 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56. 청구항 55에 있어서, 상기 밑창 구조체는 상기 안창 보드와 맞물리는 중간창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57. 청구항 51에 있어서, 상기 밑창 구조체는 상기 뒤꿈치 부분과 맞물리는 뒤꿈 치 완충 요소를 더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58. 청구항 57에 있어서, 상기 밑창 구조체는 상기 뒤꿈치 완충 요소와 맞물리는 안창 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59. 청구항 58에 있어서, 상기 밑창 구조체는 상기 안창 보드와 맞물리는 완충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60. 청구항 51에 있어서, 상기 신발류 물품은 골프화인 것인 신발류 물품.
KR1020087022568A 2006-02-24 2007-02-07 가요성 발 지지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 KR1010591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360,997 2006-02-24
US11/360,997 US7707748B2 (en) 2006-02-24 2006-02-24 Flexible foot-support structures and products containing such support structures
PCT/US2007/003107 WO2007100451A1 (en) 2006-02-24 2007-02-07 Flexible foot-support structures and products containing such support structur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5291A true KR20080095291A (ko) 2008-10-28
KR101059180B1 KR101059180B1 (ko) 2011-08-25

Family

ID=38188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2568A KR101059180B1 (ko) 2006-02-24 2007-02-07 가요성 발 지지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707748B2 (ko)
EP (1) EP1986517B1 (ko)
JP (1) JP4870172B2 (ko)
KR (1) KR101059180B1 (ko)
CN (1) CN101404906B (ko)
AT (1) ATE535164T1 (ko)
WO (1) WO200710045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43714A1 (ko) * 2021-08-25 2024-02-29 조명순 스웨이방지 골프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33288A1 (en) * 2003-04-07 2009-05-28 Gallegos Alvaro Z Footwear with two-plate system
ITPD20040208A1 (it) * 2004-07-30 2004-10-30 Geox Spa Suola impermeabile e traspirante per calzature
US7650707B2 (en) * 2006-02-24 2010-01-26 Nike, Inc. Flexible and/or laterally stable foot-support structures and products containing such support structures
US7707748B2 (en) 2006-02-24 2010-05-04 Nike, Inc. Flexible foot-support structures and products containing such support structures
US7954261B2 (en) * 2006-09-27 2011-06-07 Rush University Medical Center Joint load reducing footwear
US7814686B2 (en) * 2007-03-06 2010-10-19 Nike, Inc. Lightweight and flexible article of footwear
US7941945B2 (en) * 2007-10-17 2011-05-17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heel traction elements
US20090313856A1 (en) * 2008-06-20 2009-12-24 Arizumi James K Flexible sole for an article of footwear
JP5044529B2 (ja) * 2008-11-13 2012-10-10 アクシュネット カンパニー ゴルフシューズ
US9931804B2 (en) * 2008-11-14 2018-04-03 Nike, Inc. Decorated sole elements for articles of footwear and processes for making thereof
US8616892B2 (en) 2009-04-02 2013-12-31 Nike, Inc. Training system for an article of footwear with a traction system
WO2010115004A1 (en) * 2009-04-02 2010-10-07 Nike International, Ltd. Traction elements
US8632342B2 (en) 2009-05-28 2014-01-21 Nike, Inc. Training system for an article of footwear
FR2945917B1 (fr) 2009-05-29 2011-07-15 Jean Luc Guer Chaussure de sport de type a crampons
US8573981B2 (en) 2009-05-29 2013-11-05 Nike, Inc. Training system for an article of footwear with a ball control portion
US8453354B2 (en) 2009-10-01 2013-06-04 Nike, Inc. Rigid cantilevered stud
ES2457190T3 (es) 2009-10-04 2014-04-25 Christian Thagaard Hansen Suela exterior para zapatos y zapatos con dichas suelas exteriores
US8356428B2 (en) 2009-10-20 2013-01-22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flexible reinforcing plate
US8671589B2 (en) * 2009-12-22 2014-03-18 K-Swiss, Inc. Shoe sole having forwardly and rearwardly facing protrusions
EP2345340B1 (de) * 2010-01-19 2017-10-11 Swiss Line Fashion AG Kinematische Schuhsohle sowie Schuh mit kinematischer Schuhsohle
US8533979B2 (en) 2010-02-18 2013-09-17 Nike, Inc. Self-adjusting studs
US8322051B2 (en) 2010-02-23 2012-12-04 Nike, Inc. Self-adjusting studs
KR101168704B1 (ko) 2010-05-14 2012-07-30 (주)알와이엔코리아 아동용 신발 아웃솔
US9210967B2 (en) 2010-08-13 2015-12-15 Nike, Inc. Sole structure with traction elements
US8661717B2 (en) 2010-08-20 2014-03-04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slots and method of making
US8689467B2 (en) 2010-08-20 2014-04-08 Nike, Inc. Sole structure with visual effects
US8732986B2 (en) 2010-08-20 2014-05-27 Nike, Inc. Sole structure comprising a fluid filled member with slots
EP2611323A1 (en) * 2010-09-03 2013-07-10 W.L. Gore & Associates GmbH Method for manufacturing a sole assembly and for manufacturing a shoe
DE102010040964B4 (de) * 2010-09-17 2019-10-24 Adidas Ag Stollen für Stollenschuh
US8529267B2 (en) 2010-11-01 2013-09-10 Nike, Inc. Integrated training system for articles of footwear
US8516721B2 (en) * 2011-01-10 2013-08-27 Saucony Ip Holdings Llc Articles of footwear
GB2487367A (en) * 2011-01-18 2012-07-25 Walk Ltd J Flexible sole for footwear
US8713819B2 (en) 2011-01-19 2014-05-06 Nike, Inc. Composite sole structure
US8418382B2 (en) * 2011-03-16 2013-04-16 Nike, Inc. Sole structure and article of footwear including same
US9414638B2 (en) 2011-08-02 2016-08-16 Nike, Inc. Golf shoe with natural motion structures
US9220320B2 (en) 2011-09-16 2015-12-29 Nike, Inc. Sole arrangement with ground-engaging member support features
US8806779B2 (en) 2011-09-16 2014-08-19 Nike, Inc. Shaped support features for footwear ground-engaging members
US8966787B2 (en) 2011-09-16 2015-03-03 Nike, Inc. Orientations for footwear ground-engaging member support features
US9138027B2 (en) 2011-09-16 2015-09-22 Nike, Inc. Spacing for footwear ground-engaging member support features
US9173450B2 (en) 2011-09-16 2015-11-03 Nike, Inc. Medial rotational traction element arrangement for an article of footwear
US9149088B2 (en) 2011-09-16 2015-10-06 Nike, Inc. Medial rotational traction element arrangement for an article of footwear
US8984774B2 (en) 2011-09-16 2015-03-24 Nike, Inc. Cut step traction element arrangement for an article of footwear
US10226082B2 (en) 2012-04-18 2019-03-12 Frampton E. Ellis Smartphone-controlled active configuration of footwear, including with concavely rounded soles
US11901072B2 (en) 2012-04-18 2024-02-13 Frampton E. Ellis Big data artificial intelligence computer system used for medical care connected to millions of sensor-equipped smartphones connected to their users' configurable footwear soles with sensors and to body sensors
US9030335B2 (en) * 2012-04-18 2015-05-12 Frampton E. Ellis Smartphones app-controlled configuration of footwear soles using sensors in the smartphone and the soles
US9204682B2 (en) * 2012-06-13 2015-12-08 Taylor Made Golf Company, Inc. Golf shoe outsole
US20140013620A1 (en) * 2012-07-11 2014-01-16 Charles Cole Releasable connection system
US8656613B2 (en) 2012-07-13 2014-02-25 Skechers U.S.A., Inc. Ii Article of footwear having articulated sole member
US9609915B2 (en) * 2013-02-04 2017-04-04 Nike, Inc. Outsole of a footwear article, having fin traction elements
US20140082968A1 (en) * 2012-09-21 2014-03-27 Nike, Inc. Tread Pattern For Article of Footwear
US9179738B2 (en) * 2012-11-05 2015-11-10 Taylor Made Golf Company, Inc. Golf shoes
DE102013202353B4 (de) * 2013-02-13 2020-02-20 Adidas Ag Sohle für einen Schuh
US9930928B2 (en) * 2013-02-13 2018-04-03 Adidas Ag Sole for a shoe
US20140250723A1 (en) * 2013-03-07 2014-09-11 Nike, Inc. Flexible sole supports for articles of footwear
US10238168B2 (en) 2013-03-15 2019-03-26 Laurence James Shoe construction
US9801426B2 (en) * 2013-03-15 2017-10-31 Nike Inc. Flexible sole and upper for an article of footwear
USD748385S1 (en) * 2013-07-03 2016-02-02 Reebok International Limited Shoe
US9700103B2 (en) 2013-08-20 2017-07-11 Nike, Inc. Cleated footwear with flexible cleats
US9655403B2 (en) * 2013-09-12 2017-05-23 Nike, Inc. Outsole with stepped projections for article of footwear
US9833039B2 (en) * 2013-09-27 2017-12-05 Nike, Inc. Uppers and sole structures for articles of footwear
US20150096195A1 (en) * 2013-10-08 2015-04-09 Acushnet Company Golf shoes having outsoles with sections of differing hardness
US9427043B2 (en) * 2013-10-31 2016-08-30 Nike, Inc. Fluid-filled chamber with stitched tensile member
US9615626B2 (en) * 2013-12-20 2017-04-11 Nike, Inc. Sole structure with segmented portions
US10123588B2 (en) * 2013-12-31 2018-11-13 Nike, Inc. Footwear ground engaging members having concave portions
US10463106B2 (en) * 2014-02-13 2019-11-05 Nike, Inc. Sole assembly with textile shel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20150305434A1 (en) * 2014-04-25 2015-10-29 Columbia Insurance Company Shoe with Divided Ground Contact Surfaces
DE102014215897B4 (de) 2014-08-11 2016-12-22 Adidas Ag adistar boost
USD731769S1 (en) 2014-10-23 2015-06-16 Skechers U.S.A., Inc. Ii Shoe outsole periphery and bottom
US10441033B2 (en) 2014-11-11 2019-10-15 New Balance Athletics, Inc. Method of providing decorative designs and structural features on an article of footwear
US9907365B2 (en) 2014-11-11 2018-03-06 New Balance Athletics, Inc. Method of providing decorative designs and structural features on an article of footwear
FR3030200B1 (fr) * 2014-12-17 2017-05-05 Babolat Vs Chaussure de sport
US9894958B2 (en) * 2015-01-30 2018-02-20 Wolverine Outdoors, Inc. Flexible article of footwear and related method of manufacture
JP6679363B2 (ja) 2015-03-23 2020-04-15 アディダス アーゲー ソールおよびシューズ
US10477913B2 (en) * 2015-03-30 2019-11-19 Scott Lawrence Gilkey Outward rotating golf shoes
USD776412S1 (en) * 2015-05-18 2017-01-17 Nike, Inc. Shoe outsole
CN112971270B (zh) * 2015-05-22 2022-11-15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用于鞋类物品的地面接合结构
USD746564S1 (en) * 2015-05-29 2016-01-05 Nike, Inc. Shoe outsole
USD801658S1 (en) * 2015-09-17 2017-11-07 Wolverine Outdoors, Inc. Footwear sole
US9615625B1 (en) 2015-09-17 2017-04-11 Wolverine Outdoors, Inc. Sole assembly for article of footwear
USD795545S1 (en) * 2015-11-14 2017-08-29 Converse Inc. Shoe outsole
USD783966S1 (en) * 2015-12-01 2017-04-18 Nike, Inc. Shoe outsole
USD787792S1 (en) * 2015-12-28 2017-05-30 Nike, Inc. Shoe outsole
AU366783S (en) * 2016-01-08 2016-01-27 Bunzl Brands & Operations Pty Ltd Sole for footwear
AU366751S (en) * 2016-01-08 2016-01-27 Bunzl Brands & Operations Pty Ltd Sole for footwear
AU366752S (en) * 2016-01-08 2016-01-27 Bunzl Brands & Operations Pty Ltd Sole for footwear
DE102016006273A1 (de) 2016-01-28 2017-08-03 Springer Aktiv Ag Einlage für einen Schuh
US10477918B2 (en) * 2016-05-24 2019-11-19 Under Armour, Inc. Footwear sole structure with articulating plates
CN106418897B (zh) * 2016-08-29 2018-03-23 张雪红 一种具蹬地发力导向功能的鞋底及包含该鞋底的运动鞋
WO2018081260A1 (en) 2016-10-26 2018-05-03 Nike Innovate C.V. Upper component for an article of footwear
EP4193865A1 (en) 2016-10-26 2023-06-14 NIKE Innovate C.V. Footwear heel spring device
EP3531856B1 (en) * 2016-10-26 2022-05-04 Nike Innovate C.V. Hinged footwear sole structure for foot entr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US11752413B2 (en) * 2016-12-31 2023-09-12 Under Armour,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multiple durometer outsole and directional cleat pattern
US11304479B2 (en) 2017-02-28 2022-04-19 Nike, Inc. Footwear with laceless fastening system
USD842596S1 (en) 2017-03-14 2019-03-12 Wolverine Outdoors, Inc. Footwear sole
USD841959S1 (en) 2017-03-14 2019-03-05 Wolverine Outdoors, Inc. Footwear sole
CN108741392B (zh) * 2017-04-07 2020-09-18 黎明职业大学 一种具有防外翻崴脚功能的安全型篮球鞋
US10758010B2 (en) 2017-04-17 2020-09-01 Nike, Inc. Increased access footwear
US10512298B2 (en) 2017-05-23 2019-12-24 Nike, Inc. Footwear upper with lace-engaged zipper system
US11172727B2 (en) 2017-05-23 2021-11-16 Nike, Inc. Rear access article of footwear with movable heel portion
US10159310B2 (en) 2017-05-25 2018-12-25 Nike, Inc. Rear closing upper for an article of footwear with front zipper to rear cord connection
USD852481S1 (en) * 2017-09-21 2019-07-02 Jinshi Liu Shoe sole
JP7181942B2 (ja) 2018-04-13 2022-12-01 ナイキ イノベイト シーブイ 履物締結システム
USD840663S1 (en) 2018-06-14 2019-02-19 Nike, Inc. Shoe
USD854303S1 (en) 2018-06-14 2019-07-23 Nike, Inc. Shoe
USD853707S1 (en) 2018-06-14 2019-07-16 Nike, Inc. Shoe
USD881544S1 (en) * 2018-08-20 2020-04-21 Nike, Inc. Shoe
CN109222323A (zh) * 2018-09-20 2019-01-18 上海希玛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高韧性的运动鞋底
US10966482B2 (en) * 2018-10-12 2021-04-06 Deckers Outdoor Corporation Footwear with stabilizing sole
US11723428B2 (en) 2018-10-12 2023-08-15 Deckers Outdoor Corporation Footwear with stabilizing sole
US11730228B2 (en) 2018-10-12 2023-08-22 Deckers Outdoor Corporation Footwear with stabilizing sole
WO2020139486A1 (en) 2018-12-28 2020-07-02 Nike Innovate C.V. Footwear element with locating peg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n article of footwear
JP7238140B2 (ja) 2018-12-28 2023-03-13 ナイキ イノベイト シーブイ 容易なアクセスのための接合されたソール構造を備える履物
WO2020139487A2 (en) 2018-12-28 2020-07-02 Nike Innovate C.V. Footwear with vertically extended heel counter
KR102580099B1 (ko) 2019-02-13 2023-09-18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신발류 힐 서포트 기구
USD903992S1 (en) * 2019-04-12 2020-12-08 Nike, Inc. Shoe
USD900450S1 (en) * 2019-04-26 2020-11-03 Nike, Inc. Shoe
USD909726S1 (en) * 2019-04-26 2021-02-09 Foot Care Store Inc. Footwear sole
USD900445S1 (en) * 2019-04-26 2020-11-03 Nike, Inc. Shoe
USD1010300S1 (en) 2019-04-26 2024-01-09 Nike, Inc. Shoe
USD900442S1 (en) * 2019-05-14 2020-11-03 Nike, Inc. Shoe
USD899743S1 (en) * 2019-05-14 2020-10-27 Nike, Inc. Shoe
USD900446S1 (en) * 2019-05-17 2020-11-03 Nike, Inc. Shoe
USD900451S1 (en) * 2019-05-17 2020-11-03 Nike, Inc. Shoe
USD908333S1 (en) * 2019-07-11 2021-01-26 Nike, Inc. Shoe
USD889799S1 (en) * 2019-08-08 2020-07-14 Nike, Inc. Shoe
USD911688S1 (en) * 2019-08-14 2021-03-02 Nike, Inc. Shoe
USD910294S1 (en) * 2019-08-22 2021-02-16 Nike, Inc. Shoe
USD934547S1 (en) * 2019-10-11 2021-11-02 Target Corporation Outsole tread
WO2021076440A1 (en) 2019-10-18 2021-04-22 Nike Innovate C.V. Easy-access article of footwear with cord lock
US20210127785A1 (en) * 2019-11-05 2021-05-06 Nike, Inc. Foot support components for articles of footwear including multiple flexible projections at the ground-facing surface
WO2021108034A1 (en) 2019-11-25 2021-06-03 Nike Innovate C.V. Tension-retaining system for a wearable article
WO2021142428A1 (en) * 2020-01-10 2021-07-15 Nike Innovate C.V. Sole structures having multiple hardnesses and/or flex promoting structures
USD910297S1 (en) * 2020-03-25 2021-02-16 Nike, Inc. Shoe
USD910298S1 (en) * 2020-03-25 2021-02-16 Nike, Inc. Shoe
USD911004S1 (en) * 2020-03-25 2021-02-23 Nike, Inc. Shoe
JP7202685B2 (ja) * 2020-10-26 2023-01-12 山三商事株式会社 履物
USD949532S1 (en) * 2021-04-16 2022-04-26 Nike, Inc. Shoe
USD949531S1 (en) * 2021-04-16 2022-04-26 Nike, Inc. Shoe
USD951615S1 (en) * 2021-04-16 2022-05-17 Nike, Inc. Shoe
USD949536S1 (en) * 2021-06-09 2022-04-26 Nike, Inc. Shoe
US11910867B2 (en) 2022-03-28 2024-02-27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heel entr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4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53990A (en) 1926-09-01 1932-04-12 Essex Rubber Company Inc Composite rubber structure
US2211057A (en) 1937-02-13 1940-08-13 United Shoe Machinery Corp Shoe
US2547480A (en) * 1948-05-15 1951-04-03 Eskel J Mcdaniel Shoe platform construction
US2897611A (en) 1954-12-20 1959-08-04 Schaller Johannes Shoe soles with twistable shank
US4307521A (en) 1977-11-07 1981-12-29 Asics Corporation Shoe sole
DE2801964B2 (de) 1978-01-18 1979-11-08 Adolf 8522 Herzogenaurach Dassler Laufsohle für Sportschuhe
US4481727A (en) 1980-05-06 1984-11-13 Pensa, Inc. Shoe sole construction
EP0160415B1 (en) * 1984-04-04 1988-09-07 Hi-Tec Sports Limite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running shoes
US4676010A (en) 1985-06-10 1987-06-30 Quabaug Corporation Vulcanized composite sole for footwear
US4779361A (en) * 1987-07-23 1988-10-25 Sam Kinsaul Flex limiting shoe sole
US4885851A (en) 1987-12-30 1989-12-12 Tretorn Ab Shoesole for golf shoe
IT1232798B (it) 1989-02-17 1992-03-05 Pol Scarpe Sportive Srl Struttura di suola traspirante/impermeabile per calzature.
FR2646060B1 (fr) 1989-04-25 1991-08-16 Salomon Sa Semelle de marche pour une chaussure de sport, notamment une chaussure de golf et chaussure pourvue d'une telle semelle
ATE181647T1 (de) 1991-09-26 1999-07-15 U S A Retama Inc Schuhsohleelement
WO1994013164A1 (en) 1992-12-10 1994-06-23 Nike International Ltd. Bonding of rubber to plastic in footwear
US5832636A (en) 1996-09-06 1998-11-10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having non-clogging sole
US5943794A (en) 1997-08-18 1999-08-31 Nordstrom, Inc. Golf shoes with aligned traction members
US6016613A (en) 1997-11-05 2000-01-25 Nike International Ltd. Golf shoe outsole with pivot control traction elements
US6108943A (en) 1998-01-30 2000-08-29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having medial and lateral sides with differing characteristics
KR100266925B1 (ko) 1998-07-29 2000-09-15 원종필 골프화
GB2341308B (en) 1998-09-14 2001-03-28 Mitre Sports Internat Ltd Sports footwear and studs therefor
DE19904744B4 (de) 1999-02-05 2005-11-10 Adidas International Marketing B.V. Schuh
US20010032400A1 (en) * 1999-10-08 2001-10-25 Jeffrey S. Brooks Footwear outsole having arcuate inner-structure
DE29919124U1 (de) * 1999-11-02 2000-03-02 Grau Stefan Laufsohle für Schuhe, insbesondere für Sicherheitsschuhe
US6516541B2 (en) 1999-12-29 2003-02-11 Bcny International, Inc. Flexible shoe sole and methods of construction for a shoe utilizing the sole
US6948264B1 (en) 2000-04-26 2005-09-27 Lyden Robert M Non-clogging sole for article of footwear
US6708426B2 (en) 2002-01-14 2004-03-23 Acushnet Company Torsion management outsoles and shoes including such outsoles
US6817117B1 (en) 2002-03-05 2004-11-16 Nike, Inc. Golf shoe outsole with oriented traction elements
US7559160B2 (en) 2002-04-09 2009-07-14 Trisport Limited Studded footwear
US6931768B2 (en) 2002-04-18 2005-08-23 Dc Shoes, Inc. Skateboard shoe with sole of varying hardness
US6857205B1 (en) 2002-05-09 2005-02-22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sole structure with a split plate
US7181868B2 (en) 2002-06-26 2007-02-27 Nike, Incorporated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sole with a flex control member
US6892479B2 (en) 2002-06-26 2005-05-17 Nike, Inc. Article of cleated footwear having medial and lateral sides with differing properties
US6834446B2 (en) 2002-08-27 2004-12-28 Softspikes, Llc Indexable shoe cleat with improved traction
US6904707B2 (en) 2003-07-01 2005-06-14 Softspikes, Llc Indexable shoe cleat with improved traction
US7290357B2 (en) 2003-10-09 2007-11-06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an articulated sole structure
US6990755B2 (en) 2003-10-09 2006-01-31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a stretchable upper and an articulated sole structure
US7124519B2 (en) 2004-01-14 2006-10-24 Columbia Insurance Company Shoe sole having improved flexibility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ITTO20040563A1 (it) 2004-08-10 2004-11-10 Daniele Belluto Calzature asimmetriche, particolarmente per il gioco del golf
US20060242863A1 (en) 2005-04-28 2006-11-02 Hi-Tec Sports Plc Cleated sports shoes
GB0514846D0 (en) 2005-07-20 2005-08-24 Inoveight Ltd Shoe sole
DE202005013282U1 (de) 2005-08-22 2005-12-22 Prototec Aktiengesellschaft Schuhsohle
US7555851B2 (en) * 2006-01-24 2009-07-07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fluid-filled chamber with flexion zones
US7707748B2 (en) 2006-02-24 2010-05-04 Nike, Inc. Flexible foot-support structures and products containing such support structures
US7827705B2 (en) 2007-03-08 2010-11-09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multiple cleat sizes
US7905034B2 (en) 2007-07-09 2011-03-15 Acushnet Company Golf shoe outso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43714A1 (ko) * 2021-08-25 2024-02-29 조명순 스웨이방지 골프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199211A1 (en) 2007-08-30
EP1986517A1 (en) 2008-11-05
WO2007100451A1 (en) 2007-09-07
US7707748B2 (en) 2010-05-04
ATE535164T1 (de) 2011-12-15
JP2009527326A (ja) 2009-07-30
CN101404906A (zh) 2009-04-08
KR101059180B1 (ko) 2011-08-25
JP4870172B2 (ja) 2012-02-08
EP1986517B1 (en) 2011-11-30
CN101404906B (zh) 2011-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9180B1 (ko) 가요성 발 지지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
KR101002375B1 (ko) 유연한 및/또는 측방으로 안정한 발 지지 구조체 및 그러한지지 구조체를 포함하는 제품
US10952495B2 (en) Reinforcing shank arrangement for footwear sole structure
US10863798B2 (en) Support features for footwear ground engaging members
US7905034B2 (en) Golf shoe outsole
US20200170353A1 (en) Athletic Cleat
CN112425860B (zh) 在中底中具有复合板以提供挠曲和稳定性的高尔夫球鞋
US20240065370A1 (en) Golf shoe with internal longitudinal groo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