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6967Y1 - 족구화 - Google Patents

족구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6967Y1
KR200376967Y1 KR20-2004-0034869U KR20040034869U KR200376967Y1 KR 200376967 Y1 KR200376967 Y1 KR 200376967Y1 KR 20040034869 U KR20040034869 U KR 20040034869U KR 200376967 Y1 KR200376967 Y1 KR 2003769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t
protrusions
shoe
protrusion
h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48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철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앤에스 스포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앤에스 스포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앤에스 스포츠
Priority to KR20-2004-00348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696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69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696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5/00Footwear for sporting purposes
    • A43B5/02Football boots or shoes, i.e. for soccer, football or rugby
    • A43B5/025Football boots or shoes, i.e. for soccer, football or rugby characterised by an element which improves the contact between the ball and the footwea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22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 A43B13/223Profiled sol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24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23/026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having different properties in different dir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06Shoes with flaps; Footwear with divided uppers
    • A43B3/08Shoes with flaps; Footwear with divided uppers with rubber or elastic insertions or gusse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실제 족구경기시 사용되는 모든 종류 기술의 효과를 향상시켜줄 수 있는 족구화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일측 말단이 신발에 봉제되어 고정되고 끈홀을 1회 이상 통과하며 타측 말단은 신발에 부착 고정된 벨크로즈테잎에 부착되는 체결끈; 체결끈을 덮어 보호하는 것으로서, 그 표면이 매끄럽게 형성되며 말단에는 베라 상면 일측에 체결되는 똑딱이 단추가 구비되는 덮개; 체결끈의 하단에 신축성이 있는 광폭 고무줄 재질로 구성되며, 발의 외면 방향으로 치우쳐 형성되는 비대칭 신축부재; 신발의 내측 중앙부에 구성되며, 융기점이 발의 앞쪽으로 치우친 삼각뿔 형태로 형성되는 다수의 타격돌기; 타격돌기 직후방 부위 하단에 타격돌기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구성되며, 융기점이 발의 앞쪽으로 치우친 삼각뿔 형태로 형성되는 다수의 회전타격돌기; 사각형의 각 모서리에 각각 형성되는 주변돌기와 중앙의 원형돌기로 구성되는 다수의 바닥돌기; 및 바닥면 뒤꿈치 중심 부분에 형성되고, 바닥돌기와 동일한 형태를 가지며, 마찰력이 우수한 천연고무 재질로 형성되는 정지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족구화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족구화 {Jokgu Shoes}
본 고안은, 족구화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족구 경기시 사용되는 모든 종류 기술의 효과를 향상시켜줄 수 있는 족구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족구는 2명 이상의 인원을 한 편으로 하여 네트를 사이에 두고 공을 주고받는 형식으로 진행되는 스포츠로서, 주로 군 부대를 중심으로 많이 행하여지던 게임이었으나, 근래 일반인들을 중심으로 스포츠에 대한 관심이 다양화되면서 각광받고 있는 운동이다.
이와 같은 족구는 지금까지 통상적인 운동화를 이용하여 즐기던 것이 주류였다고 할 수 있는데, 축구나 농구, 야구 등 다른 스포츠에 비해 비교적 좁은 운동장에서 적은 인원으로 즐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운동량이 많다는 장점이 인식되면서 족구 자체에 대한 인기와 함께 전문적인 족구화에 대한 요구도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사실, 족구는 발을 이용하여 공을 다루기 때문에 다른 어떤 스포츠와 비교하여도 신발이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및 중요성이 크다고 할 수 있는 스포츠임에도 불구하고, 그 동안 그 저변에 대한 과소평가와 올림픽, 아시안게임 등 종합스포츠 대회에서 정식종목으로 채택되고 있지 않다는 점 등이 원인으로 작용하여 전문적인 족구화의 필요성은 그렇게 크게 인식되지 못하고 있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와 같은 족구화에 대한 선행기술은 특허/실용신안 상의 선행 기재에서 종종 찾아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133208호에 보면, 내측 중앙부에 공을 받을 수 있도록 평면부를 구성하고 밑창의 선단 좌, 우 양측에 스핀용 돌기를 다수 형성하며 상기 평면부의 표면에는 돌기부를 형성시킨 족구화에 대해 개시된 바 있다.
또한,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 제1998-021736호에는, 상기 실용신안등록 제0133208호의 족구화 구성에 더하여, 평면부의 일측에 공의 외면에 대응하는 만곡 형상의 타격홈부와 일정 경사를 이루는 타격돌부를 구성한 족구화에 대해 개시된 바 있다.
또한,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 제1998-059210호에는, 상기 실용신안공개 제1998-021736호의 구성에 더하여, 신발 코부위 선단의 좌, 우 양측에 다수의 스핀용 돌기를 구성하고, 그 내측으로 공의 타격을 위한 타격면과 받기 위한 전방평면부를 구분하여 구성하며, 밑창의 바닥면에는 슬립 방지를 위한 다수의 돌기를 구성한 족구화에 대해 개시된 바 있다.
또한,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 제1999-0039959호에는, 상기 실용신안공개 제1998-059210호의 구성에 더하여, 밑창의 내측 중앙으로 슬립 방지와 강력한 가격을 위해 전방이 수직경사면을 형성하는 가격돌기부를 구성한 족구화에 대해 개시된 바 있다.
이밖에,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고 제1997-0005825호에 보면, 슬라이드 파스너에 의해 발의 앞부분 하단 주연부에 결합되어 고정설치되는 것으로서, 상면이 최대한의 수평면을 가지도록 형성하고, 그 양측 모서리는 호형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족구용 신발에 사용하고자 한 상면보강체에 대해 개시된 바도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족구화 또는 족구용 신발들은, 실제 족구 경기시 필요로 하는 다양한 기능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해서만 치중하여 해결책을 제시하고 있거나, 그 제시된 해결책 자체에 부족한 점이 있거나 하는 등의 공통적인 단점들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결함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실제 족구 경기시 사용되는 거의 모든 종류의 기술에 대해 해결책을 제시함으로써 종합적으로 향상된 경기력을 부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각의 플레이 기술에 부합하는 기능성을 최대한으로 높여줄 수 있는 족구화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일측 말단이 신발에 봉제되어 고정되고 끈홀을 1회 이상 통과하며 타측 말단은 신발에 부착 고정된 벨크로즈테잎에 부착되는 체결끈; 벨크로즈테잎 형식을 채택하여 구성되는 체결끈을 덮어 보호하는 것으로서, 그 표면이 매끄럽게 형성되며 말단에는 베라 상면 일측에 체결되는 똑딱이 단추가 구비되는 덮개; 체결끈의 하단에 신축성이 있는 광폭 고무줄 재질로 구성되며, 발의 외면 방향으로 치우쳐 형성되는 비대칭 신축부재; 신발의 내측 중앙부에 구성되며, 융기점이 발의 앞쪽으로 치우친 삼각뿔 형태로 형성되는 다수의 타격돌기; 타격돌기 직후방 부위 하단에 타격돌기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구성되며, 융기점이 발의 앞쪽으로 치우친 삼각뿔 형태로 형성되는 다수의 회전타격돌기; 사각형의 각 모서리에 각각 형성되는 주변돌기와 중앙의 원형돌기로 구성되는 다수의 바닥돌기; 및 바닥면 뒤꿈치 중심 부분에 형성되고, 바닥돌기와 동일한 형태를 가지며, 마찰력이 우수한 천연고무 재질로 형성되는 정지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족구화를 제공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은 족구 경기시 사용되는 모든 종류 기술의 효과를 향상시켜줄 수 있는 족구화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발의 안쪽으로 공을 타격하거나 받는 기술, 발등으로 공을 타격하거나 받는 기술을 향상시켜주고 각종 다양한 기술의 실제 구사시 기본적으로 필요한 기능이라고 할 수 있는 신발 바닥의 충격흡수 기능, 미끄럼방지 기능 등을 향상시킴으로써 종합적인 족구 경기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족구화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통상적인 족구화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 족구화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 족구화의 덮개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 족구화의 덮개가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 족구화의 타격돌기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도이며, 도 6은 본 고안 족구화의 회전타격돌기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도이고, 도 7은 본 고안 족구화의 바닥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족구화는 통상적인 운동화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체결용 운동화끈 대신 벨크로즈테잎(미도시)을 이용하는 체결끈(11) 및 신축부재(31)와 똑딱이단추(미도시) 및 덮개(21)로 구성되는 체결구조를 가지며, 내측면에는 타격시 공에 대한 타격력과 회전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타격돌기(41)와 회전타격부(51)가 구성되고, 바닥면에는 충격흡수 기능과 미끄럼방지 기능을 최대화할 수 있는 바닥돌기(61) 및 정지돌기(7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이와 같은 본 고안 족구화의 첫 번째 특징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운동화끈 대신 벨크로즈테잎(12)을 사용하여 신발을 조이고 체결한다는 것으로서, 본 고안 족구화에서 사용자가 운동화를 착용한 후 발의 크기에 맞게 신발을 조여 체결하는 체결부는 일측 말단이 신발에 봉제되어 고정되고 끈홀(13)을 1회 이상 통과하며 타측 말단은 신발에 부착 고정된 벨크로즈테잎(12)에 부착되는 체결끈(11)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벨크로즈테잎(12) 형식의 체결끈(11)은 사용자가 실제 족구 경기시 신발을 발에 꽉 끼게 착용하기 위해 일일이 신발끈을 조이고 풀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해 줌으로써 신고 벗기를 편리하게 해준다는 장점이 있다.
본 고안 족구화의 두 번째 특징은,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이 벨크로즈테잎(12) 형식을 채택하여 구성되는 체결끈(11)을 덮어 보호하는 것으로서, 그 표면이 매끄럽게 형성되며 말단에는 베라 상면 일측에 체결되는 똑딱이 단추(22)가 구비되는 덮개(21)가 구성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덮개(21)는 발등으로 공을 타격시 그 타격면과 공의 접촉면을 고르게 해줌으로써 타격된 공이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방향으로 진행하는 것을 방지하여 궁극적으로 경기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해주며, 똑딱이 단추(22)는 실제 타격시 덮개(21)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다음에, 본 고안 족구화의 세 번째 특징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벨크로즈테잎(12) 형식으로 구성되는 체결끈(11)의 하단에, 신축성이 있는 광폭 고무줄 재질로 구성되며 일반적인 발등 중앙부가 아닌 발의 외면 방향으로 치우쳐 형성되는, 비대칭 신축부재(31)가 구성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신축부재(31)는, 족구 경기시 사용자의 과격한 움직임이나 타격에 의한 신발의 유동성을 흡수해주어 발을 편안하게 해 줄 뿐만 아니라, 발등 중앙부가 아닌 발의 외면 방향으로 치우쳐 구비됨으로써 공을 타격할 때 주요 타격부위가 되는 발 안쪽의 매끄러운 면의 면적을 상대적으로 넓혀주는 역할을 하고 결과적으로 안정된 경기력을 확보해주는 기능을 가지게 된다.
본 고안 족구화의 네 번째 특징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신발의 내측 중앙부에 구성되며, 그 돌기의 융기점(42), 즉 삼각뿔의 정상이 되는 꼭지점이 발의 앞쪽으로 치우친 삼각뿔 형태로 형성되는 다수의 타격돌기(41)가 구성된다는 것으로서, 이와 같이 구성되는 타격돌기(41)는 그 일부가 바닥면까지 연장되어 구성됨으로써, 타격시 타점이 다소 빗나간다 하더라도 비교적 안정되게 공의 진행방향이 정해질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여 준다.
이러한 본 고안의 타격돌기(41) 구조는 실제 족구 경기시 득점을 하기 위해 수행되는 최종(세번째) 타격이 주로 발의 안쪽 부위를 이용하여 위에서 내려차는 형태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서, 공을 위에서 아래로 스파이크할 때 앞쪽이 돌출된 타격돌기(41)로 인해 공을 위에서 눌러주는 것과 같은 효과를 가지게 되며, 이에 따라 타격이 강하게 될 뿐 아니라 타격된 공이 미끄러져 빗나가지 않도록 해주는 기능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 족구화의 다섯 번째 특징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타격돌기(41) 직후방 부위 하단에 타격돌기(41)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그 돌기의 융기점(52), 즉 삼각뿔의 정상이 되는 꼭지점이 역시 발의 앞쪽으로 치우친 삼각뿔 형태로 형성되는 다수의 회전타격돌기(51)가 구성된다는 것으로서, 이와 같이 구성되는 회전타격돌기(51)는, 족구 경기에서 공의 측면 부위를 밀어때리는 형태의 타격시 타격력을 높여주는 역할을 하며, 경우에 따라 공에 시계 반대방향 회전을 주고자 할 때에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타격돌기(41)와 회전타격돌기(51) 사이의 공간은 각 돌기(41)(51) 사이에 일종의 움푹 들어간 포켓과 같은 부위를 형성함으로써 족구 경기에서 실제 타격시 그 포켓 부위에 공이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해주어 타격의 중심을 안정되게 유지하고 타격력을 높여주는 기능을 부여한다는 또 다른 장점도 가지게 된다.
본 고안 족구화의 여섯 번째 특징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족구화를 포함하여 일반적인 운동화의 바닥면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빨래판 형태의 바닥면 구조 대신, 사각형의 각 모서리에 각각 형성되는 주변돌기(62)와 중앙의 원형돌기(63)로 구성되는 다수의 바닥돌기(61)가 구성된다는 것으로서, 이와 같은 바닥면 충격흡수구조는 네 개의 모서리에 각각 구성되는 주변돌기(62)로 인하여 사용자가 전후좌우 어느 방향으로 움직이는 경우에도 미끄러지지 않고 안정감을 가지게 되며, 중앙의 원형돌기(63)로 인하여 점프후 착지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본 고안 족구화의 일곱 번째 특징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닥면 뒤꿈치 중심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바닥돌기(61)와 동일한 형태를 가지며, 마찰력이 우수한 천연고무 재질로 형성되는 정지돌기(71)가 구성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뒤꿈치 중심 부위에 마찰력이 우수한 정지돌기(71)가 구성됨으로써 사용자는 거의 모든 타격동작시 회전의 축이 되는 반대편 발의 중심을 잡기가 용이해지며, 뒤꿈치로 착지할 때 안정감이 향상되는 장점을 가지게 되고, 급격한 전진 또는 후진후 정지하고자 할 때 마찰력에 따른 정지력을 높여줌으로써 경기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이 완성됨으로써, 일측 말단이 신발에 봉제되어 고정되고 끈홀을 1회 이상 통과하며 타측 말단은 신발에 부착 고정된 벨크로즈테잎에 부착되는 체결끈; 벨크로즈테잎 형식을 채택하여 구성되는 체결끈을 덮어 보호하는 것으로서, 그 표면이 매끄럽게 형성되며 말단에는 베라 상면 일측에 체결되는 똑딱이 단추가 구비되는 덮개; 체결끈의 하단에 신축성이 있는 광폭 고무줄 재질로 구성되며, 발의 외면 방향으로 치우쳐 형성되는 비대칭 신축부재; 신발의 내측 중앙부에 구성되며, 융기점이 발의 앞쪽으로 치우친 삼각뿔 형태로 형성되는 다수의 타격돌기; 타격돌기 직후방 부위 하단에 타격돌기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구성되며, 융기점이 발의 앞쪽으로 치우친 삼각뿔 형태로 형성되는 다수의 회전타격돌기; 사각형의 각 모서리에 각각 형성되는 주변돌기와 중앙의 원형돌기로 구성되는 다수의 바닥돌기; 및 바닥면 뒤꿈치 중심 부분에 형성되고, 바닥돌기와 동일한 형태를 가지며, 마찰력이 우수한 천연고무 재질로 형성되는 정지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족구화가 제공될 수 있게 되었다.
본 고안이 완성됨으로써, 실제 족구 경기시 사용되는 거의 모든 종류의 기술에 대해 해결책을 제시함으로써 종합적으로 향상된 경기력을 부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각의 플레이 기술에 부합하는 기능성을 최대한으로 높여줄 수 있는 족구화가 제공될 수 있게 된 것이다.
도 1은 통상적인 족구화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족구화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족구화의 덮개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족구화의 덮개가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 족구화의 타격돌기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도,
도 6은 본 고안 족구화의 회전타격돌기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도,
도 7은 본 고안 족구화의 바닥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체결끈 12: 벨크로즈테잎
21: 덮개 22: 똑딱이 단추
31: 신축부재 41: 타격돌기
51: 회전타격돌기 61: 바닥돌기
71: 정지돌기

Claims (2)

  1. 일측 말단이 신발에 봉제되어 고정되고 끈홀(13)을 1회 이상 통과하며 타측 말단은 신발에 부착 고정된 벨크로즈테잎(12)에 부착되는 체결끈(11);
    벨크로즈테잎(12) 형식을 채택하여 구성되는 체결끈(11)을 덮어 보호하는 것으로서, 그 표면이 매끄럽게 형성되며 말단에는 베라 상면 일측에 체결되는 똑딱이 단추(22)가 구비되는 덮개(21);
    체결끈(11)의 하단에 신축성이 있는 광폭 고무줄 재질로 구성되며, 발의 외면 방향으로 치우쳐 형성되는 비대칭 신축부재(31);
    신발의 내측 중앙부에 구성되며, 융기점(42)이 발의 앞쪽으로 치우친 삼각뿔 형태로 형성되는 다수의 타격돌기(41);
    타격돌기(41) 직후방 부위 하단에 타격돌기(41)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구성되며, 융기점(52)이 발의 앞쪽으로 치우친 삼각뿔 형태로 형성되는 다수의 회전타격돌기(51);
    사각형의 각 모서리에 각각 형성되는 주변돌기(62)와 중앙의 원형돌기(63)로 구성되는 다수의 바닥돌기(61); 및
    바닥면 뒤꿈치 중심 부분에 형성되고, 바닥돌기(61)와 동일한 형태를 가지며, 마찰력이 우수한 천연고무 재질로 형성되는 정지돌기(71)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족구화.
  2. 제 1항에 있어서,
    타격돌기(41)는, 그 일부가 바닥면까지 연장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족구화.
KR20-2004-0034869U 2004-12-08 2004-12-08 족구화 KR2003769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4869U KR200376967Y1 (ko) 2004-12-08 2004-12-08 족구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4869U KR200376967Y1 (ko) 2004-12-08 2004-12-08 족구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6967Y1 true KR200376967Y1 (ko) 2005-03-10

Family

ID=43678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4869U KR200376967Y1 (ko) 2004-12-08 2004-12-08 족구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696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042Y1 (ko) 2009-03-26 2011-06-14 주식회사 엘에스네트웍스 족구화
KR101068405B1 (ko) * 2011-05-17 2011-09-29 신신상사 주식회사 족구화
KR200456052Y1 (ko) 2008-11-04 2011-10-10 이영자 족구화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6052Y1 (ko) 2008-11-04 2011-10-10 이영자 족구화
KR200454042Y1 (ko) 2009-03-26 2011-06-14 주식회사 엘에스네트웍스 족구화
KR101068405B1 (ko) * 2011-05-17 2011-09-29 신신상사 주식회사 족구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157405A1 (en) Article of footwear for soccer
US8914997B2 (en) Article of footwear with interchangeable bootie
KR100435060B1 (ko) 공의 회전력과 속력을 향상시킨 축구화
US8042289B2 (en) Article of footwear with gripping system
KR20010015831A (ko) 운동용 신발
US20090249652A1 (en) Sports shoe sole with functional topography
JPS63255001A (ja) スポーツ靴
US20020043007A1 (en) Kicking aid for a shoe and method therefor
US6886275B1 (en) Kicking aid
CN111345541A (zh) 具有带全表面牵引区域的外底的高尔夫球鞋
KR200376967Y1 (ko) 족구화
US20180110299A1 (en) Wearable devices with sports implements
KR20110110499A (ko) 축구화
KR101068405B1 (ko) 족구화
CN2306674Y (zh) 足球鞋面上的橡胶片
KR200453597Y1 (ko) 타격과 콘트롤을 강화한 족구화
KR200448516Y1 (ko) 족구용 신발
KR200414201Y1 (ko) 세터용 족구화
KR200456052Y1 (ko) 족구화
KR102056427B1 (ko) 축구화용 밀착밴드
KR0140770Y1 (ko) 족구화
KR101987588B1 (ko) 축구화 보조구
KR200312574Y1 (ko) 축구 보조구
KR200477589Y1 (ko) 기능성 족구화
JPH012248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1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