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7589Y1 - 기능성 족구화 - Google Patents

기능성 족구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7589Y1
KR200477589Y1 KR2020140003814U KR20140003814U KR200477589Y1 KR 200477589 Y1 KR200477589 Y1 KR 200477589Y1 KR 2020140003814 U KR2020140003814 U KR 2020140003814U KR 20140003814 U KR20140003814 U KR 20140003814U KR 200477589 Y1 KR200477589 Y1 KR 2004775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twear
ball
circular
protrusion
protrus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38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재
Original Assignee
이광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광재 filed Critical 이광재
Priority to KR20201400038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758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75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758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43B13/186Differential cushioning region, e.g. cushioning located under the ball of the foo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7Resiliency achieved by the features of the material, e.g. foam, non liquid materials
    • A43B13/188Differential cushioning reg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5/00Footwear for sporting purposes
    • A43B5/02Football boots or shoes, i.e. for soccer, football or rugby
    • A43B5/025Football boots or shoes, i.e. for soccer, football or rugby characterised by an element which improves the contact between the ball and the footwea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기능성 족구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족구를 보다 잘 하기 위한 족구용 전용 신발인 족구화의 안쪽 측면에 원형의 돌기와 돌출구를 형성하여 플레이를 할 때 공에 정확한 임펙트와 회전력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여 경기력을 향상시킨 기능성 족구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능성 족구화에 의하면 신발의 밑창의 안쪽측면의 가운데에 형성된 원형돌기에 의해서 공을 더욱 안정적으로 컨트롤할 수 있고, 원형으로 형성된 돌기이므로 구형상의 공을 컨트롤 함에 있어서 매우 안정적이며, 신발의 몸체의 측면에 직선형 돌기에 의해서 공에 회전력을 가할 수 있으므로 더욱 강한 임펙트로 공격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발생한다.

Description

기능성 족구화{FURNCTIONAL SHOESE FOR FOOT VALLEYBALL}
본 고안은 기능성 족구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족구를 보다 잘 하기 위한 족구용 전용 신발인 족구화의 안쪽 측면에 원형의 돌기와 돌출구를 형성하여 플레이를 할 때 공에 정확한 임펙트와 회전력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여 경기력을 향상시킨 기능성 족구화에 관한 것이다.
족구는 한국에서 생겨난 구기 종목으로 배구와 네트를 사이 에 두고 머리와 발을 이용하여 상대팀으로 공을 넘겨 승부를 겨루는 종목이다.
최근에는 각종 대회가 개최되고 프로 선수들로 생겨나서 저변확대가 많이 되고 있다.
종래에는 족구를 하기 위해서 일반 운동화나 축구화를 착용하고 플레이하였으나, 족구가 대중 스포츠로 자리매김을 함에 따라서 보다 경기력이 향상시키기 위해 전문적인 족구화에 대한 욕구가 생기게 되어 최근에 많은 족구화가 제공되고 있다.
상기 족구는 주로 신발의 안쪽측면으로 공을 받거나 차기 때문에 신발을 묶는 끈의 위치를 바깥쪽측면으로 위치를 이동시키거나, 안쪽측면에 돌기 등을 형성한다.
종래의 족구화에 관한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54042호 또는 제0455359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족구화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1) 신발의 안쪽측면의 밑창 쪽 돌기가 형성되어 있어서 안정적으로 받는 용도로만 사용된다.
(2) 돌기가 직선형으로 형성되어 구형상의 공이 안정적으로 컨트롤 되지 못하고 튈 수 있다.
(3) 돌기가 형성된 부분이 좁아서 일반인들의 경우에는 활용도가 떨어진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발을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전방에 끈을 묶을 수 있도록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하단에 형성되는 밑창으로 구성되는 일반적인 족구화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안쪽 측면에는 직선형 돌기가 다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밑창의 안쪽측면 가운데에는 다수개의 동심원으로 형성된 원형돌기가 적어도 2개가 형성되며, 상기 밑창의 안쪽측면의 후방에는 원형돌기가 적어도 2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형 발명의 기능성 족구화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발생한다.
(1) 신발의 밑창의 안쪽측면의 가운데에 형성된 원형돌기에 의해서 공을 더욱 안정적으로 컨트롤 할 수 있다.
(2) 원형으로 형성된 돌기이므로 구형상의 공을 컨트롤 함에 있어서 매우 안정적이다.
(3) 신발의 몸체의 측면에 직선형 돌기에 의해서 공에 회전력을 가할 수 있으므로 더욱 강한 임펙트로 공격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기능성 족구화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기능성 족구화의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기능성 족구화의 원형돌기의 측단면도.
도 4은 종래의 족구화의 사시도.
본 고안은 발을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112)이 형성되고 전방에 끈을 묶을 수 있도록 형성된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의 하단에 형성되는 밑창(120)으로 구성되는 일반적인 족구화(100)에 있어서,
상기 몸체(110)의 안쪽 측면에는 직선형 돌기(117)가 다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밑창(120)의 안쪽측면 가운데에는 다수개의 동심원으로 형성된 원형돌기(127)가 적어도 2개가 형성되며, 상기 밑창의 안쪽측면의 후단에는 원형돌기(127)가 적어도 2개가 형성된다.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 신발의 안쪽측면과 바깥쪽측면은 발을 끼웠을 때 발의 안쪽측면과 바깥쪽측면을 의미한다.
상기 몸체(110)는 전방으로 끊을 묶도록 형성되거나, 측면으로 끊을 묶도록 형성된 것이 모두 가능하다.
상기 직선형 돌기(117)는 몸체(110)의 안쪽측면에 다수개가 돌출되어 형성되는데,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고, 3개 ~ 5개 정도가 적당하다.
상기 각 직선형 돌기(117)는 가운데에 형성되는 것에서 부터 높이가 차이가 날 수 있도록 형성되는데, 가운데가 가장 높고 측면으로 갈 수록 낮아질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밑창(120)에는 다수개의 원형돌기(127)가 형성되는데, 상기 밑창(120)은 안쪽측면의 가운데와 후단은 상단으로 일부 돌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밑창(120)의 안쪽측면의 가운데에는 다수개의 원형돌기(127)가 형성되는데 2~3개가 적당하다.
상기 원형돌기(127)의 크기는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으나, 홀수개로 형성될 경우에는 가운데가 크고 양측으로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밑창(120)의 안쪽측면의 후단에는 적어도 2개의 원형돌기(127)가 형성된다.
상기 각 원형돌기(127)는 원형의 띠가 동심원을 이루면서 다수개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각 원형돌기(127)에는 적어도 2개의 동심원의 띠로 형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기능성 족구화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기능성 족구화로 족구를 할 때 공을 신발의 안쪽으로 받게 되는데, 이때, 공은 밑창의 안쪽측면 가운데에 형성된 원형돌기(127)에 주로 위치하게 된다.
이때, 공은 여러개의 원형의 띠가 동심원으로 형성되어 구형상의 공을 방향의 전환됨 없이 안전하게 위쪽으로 띄울 수 있다.
이후, 플레이어가 공격을 하기 위해서 신발의 안쪽측면으로 공을 찰 경우에는 공이 직선형 돌기(117)들에 스치면서 튀겨져 나가게 되는데, 이때, 각 직선형 돌기(117)들이 공에 회전력을 부가하여 공의 방향성의 결정을 정확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다 강한 임펙트로 공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기능성 족구화에 의하면 신발의 밑창의 안쪽측면의 가운데에 형성된 원형돌기에 의해서 공을 더욱 안정적으로 컨트롤할 수 있고, 원형으로 형성된 돌기이므로 구형상의 공을 컨트롤 함에 있어서 매우 안정적이며, 신발의 몸체의 측면에 직선형 돌기에 의해서 공에 회전력을 가할 수 있으므로 더욱 강한 임펙트로 공격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발생한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포괄되는 본 고안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100 : 족구화 110 : 몸체
112 : 공간부 117 : 직선형 돌기
120 : 밑창 127 : 원형돌기

Claims (3)

  1. 발을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전방에 끈을 묶을 수 있도록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하단에 형성되는 밑창(120)으로 구성되는 일반적인 족구화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안쪽 측면에는 직선형 돌기가 적어도 2개가 형성되고, 상기 밑창의 안쪽측면 가운데에는 다수개의 동심원으로 형성된 원형돌기가 적어도 2개가 형성되며, 상기 밑창의 안쪽측면의 후단에는 원형돌기가 적어도 2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족구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돌기는 외부로 돌출된 동심원의 띠가 적어도 2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족구화.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형 돌기는 4개 ~5개가 형성되고, 서로 높이가 다르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족구화.
KR2020140003814U 2014-05-19 2014-05-19 기능성 족구화 KR2004775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3814U KR200477589Y1 (ko) 2014-05-19 2014-05-19 기능성 족구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3814U KR200477589Y1 (ko) 2014-05-19 2014-05-19 기능성 족구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7589Y1 true KR200477589Y1 (ko) 2015-06-29

Family

ID=53513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3814U KR200477589Y1 (ko) 2014-05-19 2014-05-19 기능성 족구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7589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6645U (ko) * 1995-12-29 1997-07-24 박기영 축구화의 실축조정이 가능한 축구화
KR19980021736U (ko) * 1996-10-23 1998-07-15 원성익 족구화
KR20100004952U (ko) * 2008-11-04 2010-05-13 이영자 족구화
KR101068405B1 (ko) * 2011-05-17 2011-09-29 신신상사 주식회사 족구화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6645U (ko) * 1995-12-29 1997-07-24 박기영 축구화의 실축조정이 가능한 축구화
KR19980021736U (ko) * 1996-10-23 1998-07-15 원성익 족구화
KR20100004952U (ko) * 2008-11-04 2010-05-13 이영자 족구화
KR101068405B1 (ko) * 2011-05-17 2011-09-29 신신상사 주식회사 족구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46488B2 (ja) 履物用のソールならびにソールを設計し製造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0435060B1 (ko) 공의 회전력과 속력을 향상시킨 축구화
JP5620944B2 (ja) ゴルフシューズアウトソール
JP7450335B2 (ja) スポーツ用履物
CN114929057B (zh) 增加飞行距离并使方向性变准确的高尔夫球鞋
US8602918B1 (en) Multi-purpose football tees
KR200477589Y1 (ko) 기능성 족구화
KR101485085B1 (ko) 족구화
KR200454042Y1 (ko) 족구화
US10034520B1 (en) Sports shoe with cleat
US20180206595A1 (en) Golf shoes with shift structure for shifting center of gravity of golfer
KR200453597Y1 (ko) 타격과 콘트롤을 강화한 족구화
KR200437012Y1 (ko) 족구화
KR101068405B1 (ko) 족구화
US20200345109A1 (en) Athletic transition shoe
KR200198336Y1 (ko) 족구화
CN102462061B (zh) 高尔夫球鞋
KR200376967Y1 (ko) 족구화
KR200414201Y1 (ko) 세터용 족구화
CN202800337U (zh) 高尔夫球鞋
CN212282805U (zh) 一种足球练习目标靶
KR20110082640A (ko) 축구화 밀착용 밴드
KR101458129B1 (ko) 임펙트 파워 구조를 갖는 스포츠화용 깔창
JP3096947U (ja) ゴルフ靴
AU2013203358B2 (en) The accurate football kick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