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9298A - 차량 장착형 동력전달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장착형 동력전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9298A
KR20100009298A KR1020080070135A KR20080070135A KR20100009298A KR 20100009298 A KR20100009298 A KR 20100009298A KR 1020080070135 A KR1020080070135 A KR 1020080070135A KR 20080070135 A KR20080070135 A KR 20080070135A KR 20100009298 A KR20100009298 A KR 201000092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pump
power transmission
vehicle
eng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0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소영
Original Assignee
송소영
송민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소영, 송민석 filed Critical 송소영
Priority to KR10200800701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9298A/ko
Publication of KR201000092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92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5/00Auxiliary drives
    • B60K25/02Auxiliary drives directly from an engine sh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2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driveline clu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xiliary Drives, Propulsion Controls, And Safety Devices (AREA)
  • Arrangement And Driving Of Transmission Device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장착형 동력전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동력을 별도로 설치되는 펌프나 기어박스에 전달하여 양수기나 다른 농기구의 동작전원으로 사용하도록 한 차량 장착형 동력전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차량에 장착되어 엔진의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장치에 있어서, 상기 엔진(1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발전하는 발전기(15)의 풀리(16)에 일체로 형성되는 보조풀리(20)와; 상기 보조풀리(20)에 일측이 밸트연결되고, 상기 엔진(10)의 외면에 브라켓(23)으로 결합된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동력전달축(22)과; 상기 동력전달축(22)의 타측에 밸트연결되어 상기 발전기(15)로 전달되는 동력을 펌프(30)에 전달하도록 상기 펌프(30)의 펌프축에 설치되는 마그네트 클러치(25)와; 상기 마그네트 클러치(25)의 작동으로 구동되는 펌프(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엔진, 발전기, 보조풀리, 동력전달축, 마그네트 클러치, 펌프

Description

차량 장착형 동력전달장치{POWER TRANSMISSION APPARATUS WITH VEHICLE}
본 발명은 차량 장착형 동력전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동력을 별도로 설치되는 펌프나 기어박스에 전달하여 양수기나 다른 농기구의 동작전원으로 사용하도록 한 차량 장착형 동력전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스타터모터의 강제회전으로 엔진이 스스로 회전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엔진의 크랭크샤프트는 발전기와 밸트연결되어 엔진의 회전력이 상기 발전기를 돌리게 되면서 자체발전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엔진의 회전력은 워터펌프나 핸들펌프 및 에어콘펌프와도 밸트연결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엔진의 회전력은 자동차의 모든 부품의 동작전원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자체발전이 가능한 자동차의 동력은 다른 기계의 동력으로는 사용하지 않았으며, 사용할 필요를 느끼지 못하였다.
그러나 농촌에서는 불가피하게 동력을 필요로 하는 농기계의 사용시 번거럽게 별도의 동력장치 예를 들어 용량이 큰 밧데리를 구비하거나 경운기의 동력을 끌어와 대체전원으로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며, 더욱이 이와 같은 동력장치마저 구비 하지 못한 경우에는 손쉬운 작업임에도 불구하고 장시간에 걸쳐 어렵게 작업을 하여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경운기와 같은 대체동력외에도 차량의 동력을 끌어와 사용할 수 있도록 기술의 개시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동력을 별도로 설치되는 펌프나 기어박스에 전달하여 양수기나 다른 농기계의 동작전원으로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며, 양수기나 다른 농기계의 사용시 무조건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밧데리(기타 경운기의 동력)와 같은 동력장치가 불필요하여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차량 장착형 동력전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차량에 장착되어 엔진의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장치에 있어서, 상기 엔진(1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발전하는 발전기(15)의 풀리(16)에 일체로 형성되는 보조풀리(20)와; 상기 보조풀리(20)에 일측이 밸트연결되고, 상기 엔진(10)의 외면에 브라켓(23)으로 결합된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동력전달축(22)과; 상기 동력전달축(22)의 타측에 밸트연결되어 상기 발전기(15)로 전달되는 동력을 펌프(30)에 전달하도록 상기 펌프(30)의 펌프축에 설치되는 마그네트 클러치(25)와; 상기 마그네트 클러치(25)의 작동으로 구동되는 펌프(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동력을 별도로 설치되는 펌프나 기어박스에 전달하여 양수기나 다른 농기계의 동작전원으로 사용하도록 함으로 써 별도의 동작전원이 없더라도 편리하게 이용하여 작업할 수 있게 되고, 무조건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밧데리(기타 경운기의 동력)와 같은 동력장치가 불필요하게 되어 비용절감과 더불어 에너지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차량 장착형 동력전달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발전기의 풀리에 연결되는 동력전달장치를 보인 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보조풀리가 형성된 발전기의 풀리를 보인 상태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차량 장착형 동력전달장치는 차량에 장착되어 엔진의 동력을 전달하여 양수기나 농기계의 동작전원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구비된다.
통상 차량은 간단하게 설명하여 시동을 걸게 되면 스타터모터가 회전되면서 엔진(10)의 크랭크샤프트를 회전시켜 피스톤의 압축행정으로 엔진의 시동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한 시동에 의해 엔진(10)에 시동이 걸리게 되면, 엔진(10)의 회전력은 크랭크샤프트에 밸트연결되는 발전기(15)에 전달되면서 발전기(15)를 돌기게 된다. 또한 별도로 워터펌프나 핸들펌프 등과 밸트연결되어 엔진(10)의 회전력을 전달받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차량의 엔진(10)의 회전력을 전달하여 별도의 농기계의 동 작전원으로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의 엔진의 구성 및 동작원리에 대해서는 공지된 것이므로 생략하기로 하고, 본 발명의 특징부 구성인 동력의 전달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동력전달장치는 상기 엔진(1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발전하는 발전기(15)의 풀리(16)에 일체로 형성되는 보조풀리(20)와, 상기 보조풀리(20)에 일측이 밸트연결되는 동력전달축(22)과, 상기 동력전달축(22)의 타측에 밸트연결되어 상기 발전기(15)로 전달되는 동력을 펌프(30)에 전달하도록 상기 펌프(30)의 펌프축에 설치되는 마그네트 클러치(25)와, 상기 마그네트 클러치(25)의 작동으로 구동되는 펌프(30)로 구성된다.
상기 보조풀리(20)는 도 2와 같이, 이중구조를 갖도록 상기 발전기(15)의 풀리(16) 외측에 설치되고, 외주면에 밸트가 슬립되지 않고 밀착된 상태로 동력의 전달이 용이하도록 밸트가 간섭되게 미세한 톱니형상의 턱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축(22)은 상기 보조풀리(20)를 통해 전달되는 동력을 원활히 전달하도록 상기 엔진(10)의 외면에 브라켓(23)으로 유동되지 않게 결합된 상태로 베어링(24)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동력전달축(22)은 상기 엔진(10) 외에도 다른 부품에 장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여기서, 상기 동력전달축(22)으로 전달된 동력이 밸트를 통해 상기 펌프(30)의 축에 직접연결되지 않도록 상기 마그네트 클러치(25)가 구비되며, 상기 마그네트 클러치(25)는 스위치의 온/오프 동작으로 작동여부를 결정하여 상기 펌프(30)를 작동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만 동작되게 한다. 상기 스위치는 차량의 밧데리에 연결되게 하여 밧데리의 전원으로 상기 마그네트 클러치(25)를 동작시키도록 한다.
상기한 마그네트 클러치(25)는 전원의 온/오프동작에 따라 동작되는 것으로, 당업계에 이미 공지된 것이므로, 당업자에게 자명한 바 그 구조에 대해서는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상기 펌프(30)는 유동되지 않도록 별도의 지지대 등으로 지지된 상태로 설치되게 하고, 1톤차량의 경우 화물칸과 좌석 사이에 설치하면 되고, 승용차의 경우 본네트의 내부에 비교적 넓은 위치에 구비하면 된다.
본 발명에서는 엔진(10)의 동력을 끌어와 상기 펌프(30)를 구동시키도록 하고 있으나 상기 펌프(30)를 구비하지 않고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기어박스(감속웜기어)를 구비하여 다른 농기계의 동작전원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살펴보면, 엔진(10)의 시동을 걸게 되면, 엔진(10)의 크랭크샤프트에 밸트연결되는 발전기(15)가 동작되면서 발전하게 된다. 이때 발전기(15)의 풀리(16)에 일체로 형성된 보조풀리(20)에 밸트연결된 동력전달축(22)이 보조풀리(20)의 회전으로 회전되면서 엔진(10)의 회전력을 전달하게 된다.
상기 동력전달축(22)은 밸트연결된 펌프(30)의 풀리를 회전시키게 되는데, 이때 풀리에는 마그네트 클러치(25)가 설치되어 있어 상기 동력전달축(22)으로 전달된 회전동력은 상기 펌프(30)를 동작시키지 않은 상태로 상기 풀리를 공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상기 펌프(30)를 동작시키고자 하는 경우 스위치를 온시켜 상기 마그네트 클러치(25)를 작동시키게 되면 상기 풀리는 공회전되지 않고 상기 펌프(30)의 펌프축에 결합되면서 상기 펌프(30)를 구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펌프(30)를 동작시키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스위치를 오프시키면 된다.
이와 같이, 엔진(10)의 회전력을 효과적으로 전달시켜 펌프(30)를 구동시키는 구동전원으로 사용함으로써 농촌에서 사용되는 양수기에 적용하거나 상기 펌프(30)를 동력을 전달하는 기어박스로 구비한 경우에는 다른 농기계의 동작전원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양수기나 농기계의 사용시 무조건적으로 필요로 하는 펌프나 구동전원을 구비하지 않아도 됨으로써 보다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발전기의 풀리에 연결되는 동력전달장치를 보인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보조풀리가 형성된 발전기의 풀리를 보인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엔진 15: 발전기
16: 풀리 20: 보조풀리
22: 동력전달축 23: 브라켓
24: 베어링 25: 마그네트 클러치
30: 펌프

Claims (1)

  1. 차량에 장착되어 엔진의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장치에 있어서,
    상기 엔진(1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발전하는 발전기(15)의 풀리(16)에 일체로 형성되는 보조풀리(20)와;
    상기 보조풀리(20)에 일측이 밸트연결되고, 상기 엔진(10)의 외면에 브라켓(23)으로 결합된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동력전달축(22)과;
    상기 동력전달축(22)의 타측에 밸트연결되어 상기 발전기(15)로 전달되는 동력을 펌프(30)에 전달하도록 상기 펌프(30)의 펌프축에 설치되는 마그네트 클러치(25)와;
    상기 마그네트 클러치(25)의 작동으로 구동되는 펌프(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장착형 동력전달장치.
KR1020080070135A 2008-07-18 2008-07-18 차량 장착형 동력전달장치 KR201000092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0135A KR20100009298A (ko) 2008-07-18 2008-07-18 차량 장착형 동력전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0135A KR20100009298A (ko) 2008-07-18 2008-07-18 차량 장착형 동력전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298A true KR20100009298A (ko) 2010-01-27

Family

ID=41817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0135A KR20100009298A (ko) 2008-07-18 2008-07-18 차량 장착형 동력전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929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17652B2 (en) Drive unit with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20050187066A1 (en) Integrated electric motor-driven oil pump for automatic transmissions in hybrid applications
WO2007149207A3 (en) Auxiliary power system for a motor vehicle
TW200948690A (en) Service vehicle
EP1731802A3 (en) Oil pressure control
DE102005053887A1 (de) Elektromotorisches Antriebsmodul
PL2117869T3 (pl) Napęd hybrydowy, zwłaszcza do pojazdu mechanicznego
JP2011021600A (ja) エンジン、トランスミッション、遊星歯車装置、および電気機械を有する駆動系
TW200637746A (en) Straddle type hybrid vehicle
WO2005082014A3 (en) Vehicle mounted electrical generator system
EP1574379A3 (en) Straddle-type vehicle
WO2006114542A3 (fr) Dispositif de transmission de puissance d&#39;un vehicule automobile muni d&#39;un mecanisme a roues libres entrainant une pompe a huile
RU2011138201A (ru) Переключатель скоростей и электрический инструмент с установленным на нем переключателем скоростей
RU2010103843A (ru) Привод барабана для автобетоносмесителя
TW200512125A (en) Hybrid vehicle
EP2231433A4 (en) HYBRID POWER DRIVE SYSTEM
JP2012200923A (ja) ミキサドラム駆動装置
KR20190019399A (ko) 차량용 댐퍼 풀리
WO2006006919A3 (en) Force transmitting system for a hybrid driven motor vehicle
JP2010208603A (ja) 車両用パワーユニット
JP2009161004A5 (ko)
FR2881382B1 (fr) Dispositif d&#39;accouplement entre le rotor d&#39;une machine electrique tournante reversible et l&#39;arbre primaire de la boite de vitesses d&#39;un moteur thermique d&#39;un vehicule automobile
KR20100009298A (ko) 차량 장착형 동력전달장치
EP2158101A4 (en) DEVICE FOR MOTOR VEHICLE AND VEHICLE COMPRISING SUCH A DEVICE
KR200452655Y1 (ko) 차량 장착형 동력전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