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9169U - 곡물 분쇄기 - Google Patents

곡물 분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9169U
KR20100009169U KR2020090002726U KR20090002726U KR20100009169U KR 20100009169 U KR20100009169 U KR 20100009169U KR 2020090002726 U KR2020090002726 U KR 2020090002726U KR 20090002726 U KR20090002726 U KR 20090002726U KR 20100009169 U KR20100009169 U KR 2010000916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grinding
grain
pulverized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27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철홍
Original Assignee
김철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철홍 filed Critical 김철홍
Priority to KR20200900027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9169U/ko
Publication of KR2010000916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916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4/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 B02C4/02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with two or more rollers
    • B02C4/06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with two or more rollers specially adapted for milling gra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1/00Othe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grain mills
    • B02C11/02Breaking up amassed particles, e.g. fla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4/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 B02C4/28Details
    • B02C4/30Shape or construction of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4/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 B02C4/28Details
    • B02C4/32Adjusting, applying pressure to, or controlling the distance between, milling members
    • B02C4/38Adjusting, applying pressure to, or controlling the distance between, milling members in grain m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4/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 B02C4/28Details
    • B02C4/42Driving mechanisms; Roller speed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9/00Other milling methods or mills specially adapted for grain
    • B02C9/02Cutting or splitting gra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ushing And Grind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곡물 분쇄기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곡물을 호퍼로 유입하여 일차적으로 제1분쇄부를 통해 분쇄시킨 후 상기 제1분쇄부를 거친 분쇄물이 엉기는 것을 방지하고 바로 풀리도록 제2분쇄부를 통해 분말화시켜 배출시키는 곡물 분쇄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구성은, 호퍼로 유입된 곡물을 구동부에 의해 작동되는 분쇄부를 통해 분쇄한 후 분쇄된 곡물가루를 배출부를 통해 배출시키는 곡물 분쇄기에 있어서, 상기 분쇄부는, 상기 호퍼로 유입된 곡물을 분쇄시키는 제1분쇄부; 및 상기 제1분쇄부에 의해 분쇄된 분쇄물이 엉기지 않도록 분말화시키는 제2분쇄부;가 함께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분쇄기.
분쇄기, 브러쉬, 롤러, 메쉬

Description

곡물 분쇄기{GRAIN PULVERIZER}
본 고안은 곡물 분쇄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곡물의 분쇄작업과 분쇄 후 수분에 의해 분쇄된 곡물이 엉겨있는 것을 풀어주기 위하여 별도로 수행하던 작업을 제1분쇄부와 제2분쇄부로 나누어 하나의 장치에서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곡물 분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곡물분쇄장치는 쌀, 보리, 콩, 팥과 같은 각종의 곡물과 고추와 같은 양념류를 분쇄하는데 사용되는 것이다.
특히, 쌀의 경우엔 주로 떡을 만들기 위하여 쌀을 하루 정도 물에 불린 후에 물기만 제거하고 소정의 수분이 남아 있는 상태로 분쇄기에 넣고 분쇄하게 된다.
그러나, 소정의 수분으로 인해 분쇄된 쌀가루는 엉겨붙어 덩어리진 상태로 배출되고, 엉겨붙은 덩어리를 풀어주기 위하여 다시 덩어리를 풀어주는 분말장치를 이용하여 분말화시킨 후 사용하게 된다.
이를 위해선, 분쇄기와 분말장치를 각각 별도로 구비하여 사용해야 하기 때 문에 설치 공간을 확보해야 했으며, 두 개의 기계 사용으로 인한 제작비와 유지보수비가 상승하였고, 작업 효율성도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본 고안의 주된 목적은 분쇄기와 분말장치를 하나의 기계에 구성함으로써 제작비를 절감시키고, 작업 효율성을 향상시킨 곡물 분쇄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종래의 두 개의 기계를 설치하여 사용하던 것을 하나로 구성함으로써 작업공간 활용성을 높인 곡물 분쇄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인 곡물 분쇄기는, 호퍼로 유입된 곡물을 구동부에 의해 작동되는 분쇄부를 통해 분쇄한 후 분쇄된 곡물가루를 배출부를 통해 배출시키는 곡물 분쇄기에 있어서, 상기 분쇄부는, 상기 호퍼로 유입된 곡물을 분쇄시키는 제1분쇄부; 및 상기 제1분쇄부에 의해 분쇄된 분쇄물이 엉기지 않도록 분말화시키는 제2분쇄부;가 함께 구비되어 이루어짐으로써 달성된다.
이때, 상기 제1분쇄부에서 분쇄된 분쇄물을 상기 배출부 또는 상기 제2분쇄부로 이송시키는 가이드 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하나의 구동모터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분쇄부 및 상기 제2분쇄부는 상기 하나의 구동모터와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분쇄부는 한 쌍의 제1분쇄롤러로 이루어지며, 상기 구동부 의 작동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제1분쇄롤러 중 어느 하나가 작동되고, 이에 다른 하나가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분쇄부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는 메쉬; 및 다수 개의 브러쉬가 구비되며, 상기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구동부에 의해 작동되는 제2분쇄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2분쇄부로 이송된 분쇄물이 상기 제2분쇄롤러의 작동에 의해 상기 메쉬를 거쳐 상기 배출부로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고안에 따르면, 분쇄기와 분말장치라는 두 개의 장치를 각각 별도로 구비하여 사용하던 것을 하나의 장치로 구성함으로써, 작업공간 확보의 문제가 사라졌으며, 제작비가 절감되고, 작업 효율성이 향상되었으며, 하나의 구동모터를 이용하여 구동시킴으로써 유지보수비가 크게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곡물 분쇄기의 일실시예에 의한 개략적인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곡물 분쇄기의 일실시예에 의한 구동부와 제1분쇄부의 연결상태를 보이기 위한 개략적인 우측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곡물 분쇄기의 일실시예에 의한 구동부와 제1분쇄부 및 구동부와 제2분쇄부의 연결상태를 보 이기 위한 개략적인 좌측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곡물 분쇄기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2분쇄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곡물 분쇄기의 일실시예에 의한 가이드 수단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곡물 분쇄기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결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퍼(10)로 유입된 곡물을 구동부(300)에 의해 작동되는 분쇄부(100)를 통해 분쇄한 후 분쇄된 곡물가루를 배출부(20)를 통해 배출시키는 곡물 분쇄기에 있어서, 상기 분쇄부(100)는, 상기 호퍼(10)로 유입된 곡물을 분쇄시키는 제1분쇄부(110); 및 상기 제1분쇄부(110)에 의해 분쇄된 분쇄물이 엉기지 않도록 분말화시키는 제2분쇄부(120);가 함께 구비되어 이루어지는데, 상기 제1분쇄부(110)는 종래의 분쇄기에 해당되고, 상기 제2분쇄부(120)는 덩어리진 곡물가루를 풀어주는 종래의 분말장치에 해당된다.
최초 호퍼(10)로 유입된 곡물은 한 쌍의 제1분쇄롤러(111, 111')로 이루어진 상기 제1분쇄부(110)로 이송되어 분쇄된다.
이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제1분쇄롤러(111, 111') 중 어느 하나(111)의 일단부가 상기 구동부(300)와 연결되는데, 체인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구동부(300)의 모터축과 체인으로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제1분쇄롤러(111, 111') 중 어느 하나(111)가 회전된다.
상기 한 쌍의 제1분쇄롤러(111, 111') 중 어느 하나(111)가 상기 구동부(300)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하나의 상기 제1 분쇄롤러(111)의 타단부는 다른 하나의 상기 제1분쇄롤러(111')의 타단부와 평기어로 연결되어 상기 한 쌍의 제1분쇄롤러(111, 111') 중 어느 하나(111)가 회전하면 이와 연동되어 다른 하나(111')가 회전하게 된다.
이때, 회전방향은 도 2를 기준으로 상기 구동부(300)와 연결된 상기 제1분쇄롤러(111)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다른 하나의 상기 제1분쇄롤러(111')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한편,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곡물 분쇄기의 양측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상기 제1분쇄부(110)에서 분쇄된 분쇄물을 상기 배출부(20) 또는 상기 제2분쇄부(120)로 이송시키는 가이드 수단(200)이 더 구비되는데, 상기 가이드 수단(2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으로, 도 2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곡물 분쇄기의 일측으로 조작 레버(210)가 절곡져 형성되며, 상기 곡물 분쇄기의 일측에서 상기 조작 레버(210)를 파지하여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제1분쇄부(110)에서 분쇄된 곡물을 상기 배출부(20) 또는 상기 제2분쇄부(120)로 이송시키게 된다.
상기 제1분쇄부(110)를 거쳐 분쇄된 곡물은 상기 가이드 수단(200)을 통해 상기 제2분쇄부(120)로 이송된다.
상기 제2분쇄부(1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21); 상기 프레임(121)의 하부에 결합되는 메쉬(123); 및 다수 개의 브러쉬(125)가 구비되며, 상기 프레임(12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구동부(300)에 의해 작동되는 제2분쇄롤러(1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2분쇄부(120)로 이송된 분쇄물이 상 기 제2분쇄롤러(124)의 작동에 의해 상기 메쉬(123)를 거쳐 상기 배출부(20)로 이송된다.
상기 프레임(12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형상의 상기 메쉬(123)를 안착시키고, 상기 프레임(121)에 결합된 상기 메쉬(123)의 상부로 상기 제2분쇄롤러(124)를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며, 자세히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프레임(121)의 상부로 일측면에 경칩 등으로 결합된 잠금장치(122)를 이용하여 상기 메쉬(123) 및 상기 제2분쇄롤러(124)가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프레임(121)을 폐쇄시켜 사용하게 된다.
상기 제2분쇄롤러(124)의 타단부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부(300)와 벨트 풀리 등으로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300)의 작동에 의해 연동되어 동작한다.
즉, 상기 하나의 구동모터(300)에 의해 상기 제1분쇄부(110) 및 상기 제2분쇄부(120)가 작동되는 것이다.
상기 제2분쇄부(120)로 이송된 곡물(분쇄물)은 다수 개의 상기 브러쉬(125)가 외주면에 구비된 상기 제2분쇄롤러(124)의 회전에 의해 상기 메쉬(123)를 거쳐 덩어리가 풀어지고 분말화되면서 하부로 떨어져 상기 배출부(20)를 통해 배출된다.
또한, 미도시 하였으나, 상기 곡물 분쇄기의 전면과 후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투명재질로 형성하여 내부를 들여다 볼 수 있도록 제작할 수 있으며, 상기 곡물 분쇄기의 전면부 및 상기 곡물 분쇄기의 일측부에는 개폐도어(미도시)를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작업과정을 지켜보거나 상기 제2분쇄부(120)를 상기 개폐도어(미 도시)를 통해 삽탈시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자세히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부(300) 없이 제작하여 종래의 곡물 분쇄기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제1분쇄롤러(111)의 일단부와 상기 제2분쇄롤러(124)의 일단부를 벨트 풀리 등으로 연결하고, 미도시 하였으나, 상기 제1분쇄롤러(111)의 타단부를 종래의 곡물 분쇄기에서 사용하던 종래의 구동부(모터)와 연동되도록 벨트 풀리 등으로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분쇄롤러(111, 111')의 타단부는 각각 평기어로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제1분쇄롤러(111)의 타단부에 형성된 평기어의 일측으로 벨트 풀리 결합부 등이 더 구비되며, 상기 종래의 구동부와 상기 벨트 풀리 결합부가 연동되도록 결합된다.
종래의 구동부(모터)와 결합하여 사용시 상기 종래의 구동부의 작동에 의해 상기 제1분쇄롤러(110)가 회전하며, 상기 제1분쇄롤러(111)와 연동되도록 벨트 풀리로 결합된 상기 제2분쇄롤러(124)가 회전하여 작동한다.
이때, 상기 제1분쇄롤러(111) 일단부의 벨트 풀리 연결부의 크기를 조정하여 감속비를 조정하게 된다.
또한, 상기 조작 레버(210)는 벨트 풀리 외측으로 연장되게 형성하여 상기 조작 레버(210)의 작동과 상기 제1분쇄롤러(111) 및 상기 제2분쇄롤러(124)에 결합된 벨트 풀리의 작동이 상호 간섭되지 않도록 설치하며, 상기 종래의 곡물 분쇄기의 크기에 대응시켜 제작할 수 있다.
한편, 도면상에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써, 형상과 비율 및 위치 등은 당업자에 따라 달리할 수 있으며, 상기 제1분쇄부(110) 및 상기 제2분쇄부(120)는 각각 별도로 사용되던 공지된 기술이므로 사시도 없이 측면도만을 도시하여 설명하였다.
이상에서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를 한정하지 아니하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곡물 분쇄기의 일실시예에 의한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곡물 분쇄기의 일실시예에 의한 구동부와 제1분쇄부의 연결상태를 보이기 위한 개략적인 우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곡물 분쇄기의 일실시예에 의한 구동부와 제1분쇄부 및 구동부와 제2분쇄부의 연결상태를 보이기 위한 개략적인 좌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곡물 분쇄기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2분쇄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곡물 분쇄기의 일실시예에 의한 가이드 수단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곡물 분쇄기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결합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호퍼 20 : 배출부
100 : 분쇄부 110 : 제1분쇄부
111, 111' : 제1분쇄롤러 120 : 제2분쇄부
121 : 프레임 122 : 잠금장치
123 : 메쉬 124 : 제2분쇄롤러
125 : 브러쉬 200 : 가이드 수단
210 : 조작 레버 300 : 구동부, 구동모터

Claims (5)

  1. 호퍼로 유입된 곡물을 구동부에 의해 작동되는 분쇄부를 통해 분쇄한 후 분쇄된 곡물가루를 배출부를 통해 배출시키는 곡물 분쇄기에 있어서,
    상기 분쇄부는,
    상기 호퍼로 유입된 곡물을 분쇄시키는 제1분쇄부; 및
    상기 제1분쇄부에 의해 분쇄된 분쇄물이 엉기지 않도록 분말화시키는 제2분쇄부;
    가 함께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분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분쇄부에서 분쇄된 분쇄물을 상기 배출부 또는 상기 제2분쇄부로 이송시키는 가이드 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분쇄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하나의 구동모터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분쇄부 및 상기 제2분쇄부는 상기 하나의 구동모터와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분쇄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분쇄부는,
    한 쌍의 제1분쇄롤러로 이루어지며, 상기 구동부의 작동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제1분쇄롤러 중 어느 하나가 작동되고, 이에 다른 하나가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분쇄기.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분쇄부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는 메쉬; 및
    다수 개의 브러쉬가 구비되며, 상기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구동부에 의해 작동되는 제2분쇄롤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2분쇄부로 이송된 분쇄물이 상기 제2분쇄롤러의 작동에 의해 상기 메쉬를 거쳐 상기 배출부로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분쇄기.
KR2020090002726U 2009-03-10 2009-03-10 곡물 분쇄기 KR2010000916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2726U KR20100009169U (ko) 2009-03-10 2009-03-10 곡물 분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2726U KR20100009169U (ko) 2009-03-10 2009-03-10 곡물 분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169U true KR20100009169U (ko) 2010-09-20

Family

ID=49294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2726U KR20100009169U (ko) 2009-03-10 2009-03-10 곡물 분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9169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57707A (zh) * 2015-12-15 2016-04-06 重庆长源饲料有限公司 混合饲料粉碎机
KR20190064780A (ko) * 2017-12-01 2019-06-11 전남익 고추 분쇄 장치
KR20190066441A (ko) * 2017-12-05 2019-06-13 주식회사성진종합건설 건설 및 해양 쓰레기 분쇄 장치
CN112024091A (zh) * 2020-08-07 2020-12-04 胡碧星 一种葛根研磨机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57707A (zh) * 2015-12-15 2016-04-06 重庆长源饲料有限公司 混合饲料粉碎机
KR20190064780A (ko) * 2017-12-01 2019-06-11 전남익 고추 분쇄 장치
KR20190066441A (ko) * 2017-12-05 2019-06-13 주식회사성진종합건설 건설 및 해양 쓰레기 분쇄 장치
CN112024091A (zh) * 2020-08-07 2020-12-04 胡碧星 一种葛根研磨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0230134U (zh) 一种榔头式粉碎机
KR20100009169U (ko) 곡물 분쇄기
KR20090031028A (ko) 콤팩트한 구조의 분쇄기
CN205323867U (zh) 一种地瓜压碾粉碎装置
CN110774396A (zh) 一种木材废料粉碎研磨机
CN103752385A (zh) 塑料粉碎机
CN207857003U (zh) 一种谷物碾碎机
CN207204290U (zh) 一种新型中药研磨机
KR20120006052U (ko) 수평형 고추분쇄기
CN205761419U (zh) 一种婴儿米粉生产用除尘效果优秀的粉碎装置
KR200391603Y1 (ko) 고추 분쇄기
CN205182904U (zh) 秸秆、粪块粉碎机
KR100768541B1 (ko) 비누 분쇄기
CN211755705U (zh) 一种苦荞茶破碎输送装置
CN204051849U (zh) 一种带有传送装置的物料粉碎机构
KR200158704Y1 (ko) 고추분쇄기
CN206152878U (zh) 一种锤片式粉碎机
CN207605844U (zh) 一种变性淀粉原料粉碎装置
KR100209320B1 (ko) 분쇄기
CN210207034U (zh) 一种碾米粉碎一体组合机
CN210875530U (zh) 一种新型选矿破碎系统
CN217410929U (zh) 一种粉磨均匀的水泥生产用水泥粉磨装置
CN110124822A (zh) 一种精油加工工艺
CN215209307U (zh) 一种啤酒麦芽湿式粉碎机
CN204841796U (zh) 一种双辊双链破碎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