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8726A - 무인기 장착용 생물학적 물질 수집장치 - Google Patents

무인기 장착용 생물학적 물질 수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8726A
KR20100008726A KR1020080069333A KR20080069333A KR20100008726A KR 20100008726 A KR20100008726 A KR 20100008726A KR 1020080069333 A KR1020080069333 A KR 1020080069333A KR 20080069333 A KR20080069333 A KR 20080069333A KR 20100008726 A KR20100008726 A KR 201000087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ological material
air
sample
transfer pump
dr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9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18930B1 (ko
Inventor
이양원
박한오
Original Assignee
(주)바이오니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바이오니아 filed Critical (주)바이오니아
Priority to KR10200800693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8930B1/ko
Publication of KR20100008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87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89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89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1/14Suction devices, e.g. pumps; Ejector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01N1/2273Atmospheric sampl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01N1/26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with provision for intake from several spa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01N1/22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involving separation of sample components during sampling
    • G01N1/2214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involving separation of sample components during sampling by sorption
    • G01N2001/2217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involving separation of sample components during sampling by sorption using a liqui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인기를 이용하여 대기 중에 존재하는 생물학적 물질을 수집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집장치를 무인기에 장착되도록 하며, 대기 중에 포함된 생물학적 물질을 액상으로 수집하기 위한 무인기 장착용 생물학적 물질 수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소형 무인기에 탑재되며; 수집액이 저장되는 수집액 저장용기(10)와, 무인기의 프로펠러(1) 구동으로부터 발생된 양력에 의해 송풍된 공기가 유입되며, 수집액에 의해 유입된 공기와 접촉하여 액상으로 수집하도록 하는 수집기(20)와, 수집액을 공급하며 시료를 회수하는 이송펌프(30)와, 시료를 저장하는 시료 저장용기(40) 및 수집액 공급 및 시료 회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 박스(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액체의 시료를 채집하도록 함으로써 채집이 용이하고, 무인기가 양력을 유지하는 힘의 일부를 공기의 흐름으로 유도하여 생물 시료를 수집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장치의 무게를 최소화하여 무인기에 장착가능하며 소비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사이클론, 와류 형성, 시료 수집, 생물학적 물질, 무인기

Description

무인기 장착용 생물학적 물질 수집장치{Collecting Apparatus of Biological Material for Mounting on Remotely Piloted Vehicle}
본 발명은 무인기를 이용하여 대기 중에 존재하는 생물학적 물질을 수집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집장치를 무인기에 장착되도록 하며, 대기 중에 포함된 생물학적 물질을 액상으로 수집하기 위한 무인기 장착용 생물학적 물질 수집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기 중에 있는 입자 특히 생물 입자를 수집 하는 장치로는 가상 충돌기(Virtual Impactor)(US 7,325,465)와 집진 채취기(Cyclone Sampler)(US 5,855,652, US 5,902,385, US 6,851,459)를 예로 들 수 있겠다.
임펙터(Impactor)는 입자의 크기에 따라 분류하고, 각 크기 별로 화학적 분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널리 사용되는 장치이다. 임펙터의 작동 원리는 입자를 포함한 공기가 노즐(nozzle) 부분을 지나면서 빠른 속도로 충돌면(impaction plate)에 충돌하게 되는데, 충돌시 공기는 충돌면을 타고 옆으로 빠져나가게 되지만, 일정한 관성력 이상의 입자는 충돌면에 부딪히며 그 관성력으로 인해, 공기와 함께 충돌면 옆으로 빠져나가지 못하고 포집되게 되는 원리를 이용한다.
가상 충돌기(virtual impactor)는 기존의 충돌면이 있는 임펙터(impactor)와는 달리, 충돌면을 없애고 일정한 관성력 이상의 입자들은 자연스레 그 관성력으로 밑으로 이동하여 포집되는 형태의 임펙터(impactor)이다. 이렇게 충돌면을 없앰으로써 벽 손실(wall loss)을 줄여 분리효율을 높일 수 있고, 미세입자의 오염도 줄일 수 있다.
가상 충돌기(Virtual Impactor)는 입자의 크기를 분해해 낼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 하지만, 그 구성에서 각각의 분류단계별 충돌 디스크(Impactor Disk)가 정교하게 조립되어져야 그 성능을 만족할 수 있으며, 디스크(Disk)의 재질 또한 강(Steel) 재질로 되어 무게가 무겁다는 단점이 있고, 각각의 부유단계별로 배기구를 두어야 하므로 시스템이 복잡해진다. 뿐만 아니라 블로어(Blower)의 용량에 따라 디스크(Disk)의 간격을 정밀하게 조절하여야 제대로 된 성능을 만족 시킬 수 있다.
이에 반해 집진 채취기(Cyclone Sampler)는 가상 충돌기(Virtual Impactor)가 가지는 입자의 크기 구분은 불가하지만 이보다 구조가 훨씬 간단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들 두 가지 타입(Type)의 수집 장치는 최소 분당 500L이상의 공기를 불어낼 수 있는 블로어(Blower)를 장착하여야 하는데, 이를 장착하고는 무인기의 페이로드(Pay-load)에 알맞도록 만드는 것이 불가하며, 가능하다 하더라도 블로어(Blower)에 의한 소비전력이 커서 무인기에는 장착이 불가해진다.
따라서 상기의 두 가지 타입(Type)의 수집 장치는 차량 고정형으로만 제작되 어 수집지역의 범위에 대한 제약이 있고, 또한 기동성을 발휘하기가 불가하여 생물학적 무기를 검출시 오염지역의 확산 경로 등을 예측하기에는 어느 정도 제한이 된다.
만약 전쟁 중 또는 환경에 독성 생물학적 물질이 살포될 경우, 이를 즉각적으로 고농도로 수집되어 분석되어야, 많은 손실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전쟁 중이나 또는 일반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수집 장치로 무인 비행 수단에 장착(US 7,073,748)되어 단시간 내에 특히, 의심 지역의 주변의 여러 방위에 대하여 수시로 수집을 실시하여 생물학적 무기의 확산을 미리 예측하고 대책을 꾸릴 수 있는 무인기에 장착 가능한 경량의 생물학 무기 농축 수집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공기 중에 존재하는 생물학적 물질을 고농도로 수집하며, 크기를 소형으로 제작하여 무인기의 페이로드에 적합하도록 하고, 시료의 수집을 위한 소비전력을 최소화하여 다양한 형태의 무인기에 장착이 가능한 무인기 장착용 생물학적 물질 수집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위치 정보 시스템과 연동하여 생물학적 물질의 오염 및 오염의 확산 경로를 예측하여 위험 물질로부터의 피해를 최소화하며 하나의 시스템으로 광범한 지역을 담당할 수 있는 무인기 장착용 생물학적 물질 수집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무인기 장착용 생물학적 물질 수집장치는 소형 무인기에 탑재되며; 공기중에 함유된 생물학적 물질을 용해시키는 수집액이 저장되는 수집액 저장용기(10)와, 무인기의 프로펠러(1) 구동으로부터 발생된 양력에 의해 송풍된 공기가 유입되며, 상기 수집액 저장용기(10)로부터 공급된 수집액에 의해 유입된 공기와 접촉하여 공기 중에 함유된 생물학적 물질을 수집하고 생물학적 물질이 수집되고 남은 공기를 배출하는 수집기(20)와, 상기 수집기(20)로 상기 수집액 저장용기(10)에 저장된 수집액을 공급하며 생물학적 물질이 용해된 시료를 회수하는 이송펌프(30)와, 상기 이송펌프(30)로부터 회수된 시료를 저장하는 시료 저장용기(40) 및 상기 이송펌프(30)의 수집액 공급 및 시료 회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 박스(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집기(20)는, 공기가 유입되는 메쉬망(21)이 구비된 외통(22)과, 상기 외통(22) 내부에 구비되고, 하부 부위에 상기 외통(22)으로 유입된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구(23)가 구비되며, 하부가 상기 이송펌프(30)와 연결되는 내통(24)과, 상기 내통(24)의 상부와 연결되며 생물학적 물질이 수집되고 남은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구(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내통(24)은 외통(22)으로 유입된 공기가 하부 부위에 구비된 상기 공기유입구(23)로 공기흐름이 용이하도록 외형이 유선형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공기유입구(23)의 내주연에는 공기가 유입되는 방향과 일정각도를 이루어 유입되는 공기가 와류를 발생시키도록 유도하는 다수개의 유도슬릿(23a)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지역별 오염농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상기 배기구(25)에는 배출된 공기의 양을 측정하는 에어 플로우미터(26)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배기구(25)에는 상기 내통(24)이 배압을 형성하여 상기 외통(22)으로부터 상기 내통(24)의 공기유입구(23)로 공기의 유입이 용이하도록 하는 배출팬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이송펌프(30)와 상기 수집액 저장용기(10) 및 시료 저장용기(40)와의 연결부위에는 상기 수집액 저장용기(10)로부터 상기 이송펌프(30)로의 수집액 흐름 및 상기 이송펌프(30)로부터 시료 저장용기(40)로의 시료 흐름을 제어하며 상기 컨트롤 박스(50)의 제어에 의해 작동되는 제 1 흐름제어밸브(6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무인기는 헬기로 되어 생물학적 물질 수집 시 무인기 기체를 저고도로 유지하여 지표면 부근의 시료를 측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회수된 생물학적 물질이 용해된 수집액 분석에 의한 생물학적 물질 오염 확산예측시에 수집된 생물학적 물질의 수집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상기 무인기의 위치를 추적하는 위치추적장치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시료 저장용기(40)는 다수개 구비되어 상기 이송펌프(30)와 병렬로 연결되며, 상기 이송펌프(30)와 각각의 시료 저장용기(40)와의 연결부위에는 상기 이송펌프(30)로부터 각각의 시료 저장용기(40)로의 시료 흐름을 제어하며 상기 컨트롤 박스(50)의 제어에 의해 작동되는 제 2 흐름제어밸브(7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공기 중의 생물학적 물질이 수집액에 용해되도록 하여 액체의 시료를 채집하도록 함으로써 채집이 용이하고, 무인기가 양력을 유지하는 힘의 일부를 공기의 흐름으로 유도하여 생물 시료를 수집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장치의 무게를 최소화하여 무인기에 장착가능하며 소비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소형의 수집 장치로 비행체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어 생물학적 물질(BW, 조류독감, 구제역 등 동물 관련 질병 등)의 의심이 있는 곳의 대기 시료를 효과적으로 수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오염의 예측 및 이들 물질의 확산 방지를 위한 효과적인 대책을 세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공기 중에 존재하는 생물학적 물질을 탐지 및 식별하는 장치에 공급하기 위한 생물학적 시료를 액상으로 공급하기 위한 사이클론 타입의 생물시료 수집 장치에 관한 것으로 공기가 유입되며 유입된 공기와 수집액이 서로 혼합되며 공기 중에 함유된 생물학적 물질이 수집액에 포집되는 부분 그리고 이를 효율적으로 연결하는 부품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대기 환경으로부터 에어로졸 형태로 분포하는 생물학적 시료 혹은 생물 테러 물질을 액상의 샘플로 수집하기 위해 수집액을 전달하는 수단과 공기 흐름에 따른 와류 형성을 위한 수단, 그리고 와류 형성을 위해 공기의 흐름을 유도 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무인기가 양력을 유지하는 힘의 일부를 공기의 흐름으로 바꾸어서 생물 시료를 수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그 무게를 최소화하고, 무인기의 양력의 일부를 공기 흐름을 유도 하는 장치로 사용함으로써 소비전력을 최소화함으로써 소형의 무인기에 장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무인기 장착용 생물학적 물질 수집장치를 첨부된 도면 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무인기 장착용 생물학적 물질 수집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수집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수집기의 내통을 나타낸 단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무인기 장착용 생물학적 물질 수집장치는 소형 무인기에 탑재되며, 수집액이 저장되는 수집액 저장용기(10)와, 무인기의 프로펠러(1) 구동으로부터 발생된 양력에 의해 송풍된 공기가 유입되고 공급된 수집액과 접촉하여 생물학적 물질을 수집하는 수집기(20)와, 수집액을 공급하며 생물학적 물질이 용해된 시료를 회수하는 이송펌프(30)와, 회수된 시료를 저장하는 시료 저장용기(40) 및 상기 이송펌프(30)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 박스(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수집액 저장용기(10)는 공기중에 함유된 생물학적 물질을 용해시키는 수집액이 저장된다. 저장된 수집액은 이송펌프(30)에 의해 수집기로 이송된다.
상기 수집기(20)는 무인기의 프로펠러(1) 구동으로부터 발생된 양력에 의해 송풍된 공기가 유입된다. 또한, 상기 수집기(20)는 상기 수집액 저장용기(10)로부터 공급된 수집액에 의해 유입된 공기와 접촉하여 공기 중에 함유된 생물학적 물질을 수집하고 생물학적 물질이 수집되고 남은 공기를 배출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비행 물체에 장착 할 수 있도록 무인기로부터 발생된 양력에 의해 송풍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그 크기를 최소화하였으며, 수집 시 소비 전력을 최소로 하고 수집 장치의 효율을 극대화하였다.
상기 수집기(20)의 구체적인 구성은 외통(22)과 내통(24) 및 배기구(25)로 구성된다.
상기 외통(22)은 무인기의 프로펠러(1) 구동으로부터 발생된 양력에 의해 송풍된 공기가 유입되는 메쉬망(21)이 상부에 구비되며, 내부에는 내통(24)이 수용된다.
이때, 상기 메쉬망(21)은 크기가 큰 입자들은 걸러지게 되며 큰 입자가 걸러진 공기가 유입되도록 한다.
상기 내통(24)은 상기 외통(22) 내부에 구비되고, 하부 부위에 상기 외통(22)으로 유입된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구(23)가 구비되며, 하부가 상기 이송펌프(30)와 연결된다. 상기 내통(24) 내부에서는 상기 공기유입구(23)로 유입된 공기와 상기 이송펌프(30)로부터 이송된 수집액이 서로 접촉하게 됨으로써 유입된 공기 중에 함유된 생물학적 물질이 수집액에 용해되게 되며 생물학적 물질이 용해된 수집액은 상기 이송펌프(30)에 의해 회수되게 된다.
이때, 상기 공기유입구(23)의 내주연에는 공기가 유입되는 방향과 일정각도를 이루어 유입되는 공기가 와류를 발생시키도록 유도하는 다수개의 유도슬릿(23a)이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 유도슬릿(23a)에 의해 상기 공기유입구(23)로 유입되는 공기가 와류를 발생시키도록 함으로써 유입된 공기가 내통(24)에 유입된 수집액과의 접촉이 용이하게 되어 공기중의 생물학적 물질이 수집액에 용해되는 것을 쉽게 할 수 있게 되며, 용해되지 않은 생물학적 물질이 배기구(25)로 빠져나가는 것을 최대한 줄일 수 있게 된다. 상기 유도슬릿(23a)에 의해 발생된 와류와 수집액 이 서로 혼합되어 공기중의 입자들이 수집액에 포집되게 되며, 포집되고 남은 공기는 배기구(25)로 배출되게 된다.
이때, 상기 내통(24)은 외통(22)으로 유입된 공기가 하부 부위에 구비된 상기 공기유입구(23)로 공기흐름이 용이하도록 외형이 유선형으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기구(25)는 상기 내통(24)의 상부와 연결되며 생물학적 물질이 수집되고 남은 공기를 배출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배기구(25)에는 지역별 오염농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배출된 공기의 양을 측정하는 에어 플로우미터(26)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배기구(25)에는 공기의 배출을 용이하도록 하며 상기 내통(24)이 배압을 형성하도록 하여 상기 외통(22)으로부터 상기 내통(24)의 공기유입구(23)로 공기의 유입이 용이하도록 하는 배출팬이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송펌프(30)는 상기 수집기(20)의 내통(24)으로 상기 수집액 저장용기(10)에 저장된 수집액을 공급하며 상기 내통(24)에서 생물학적 물질이 용해된 시료를 회수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이송펌프(30)는 수집액을 전달하기 위한 수단으로 Peristaltic Pump, 혹은 이와 유사한 수단이면 충분하다. 회수된 시료는 시료 저장용기(40)에 저장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이송펌프(30)와 상기 수집액 저장용기(10) 및 시료 저장용기(40)와의 연결부위에는 상기 수집액 저장용기(10)로부터 상기 이송펌프(30)로의 수집액 흐름 및 상기 이송펌프(30)로부터 시료 저장용기(40)로의 시료 흐름을 제어 하며 상기 컨트롤 박스(50)의 제어에 의해 작동되는 제 1 흐름제어밸브(60)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시료 저장용기(40)는 다수개 구비되어 상기 이송펌프(30)와 병렬로 연결되도록 하여 여러 곳에서의 생물학적 물질을 수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이송펌프(30)와 각각의 시료 저장용기(40)와의 연결부위에는 상기 이송펌프(30)로부터 각각의 시료 저장용기(40)로의 시료 흐름을 제어하며 상기 컨트롤 박스(50)의 제어에 의해 작동되는 제 2 흐름제어밸브(70)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수의 시료 저장용기(40)는 적절히 무인기에 적재되며, 1회 수집시마다, 무인기를 이동하여 다음의 수집 장소에서 제 2 흐름제어밸브(70)의 제어에 의해 다른 시료 저장용기(40)로 새로운 시료를 수집하도록 한다.
시료수집과정을 설명하면, 상기 이송펌프(30)에 의해 상기 수집기(20)로 수집액을 펌핑하여 대기물질을 수집기(20)에서 시료가 일정시간 수집되면 컨트롤 박스(50)의 제어에 의해 이송펌프(30)의 작동을 반대로 하고 제 1,2 흐름제어 밸브(60,70)를 제어하면 수집기(20)에서 수집된 대기 시료는 시료 저장용기(40)에 분산되어 담기게 된다.
상기 컨트롤 박스(50)는 상기 이송펌프(30)의 수집액 공급 및 시료 회수 작동을 제어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의 무인기 장착용 생물학적 물질 수집장치는 공기 중의 생물학적 물질이 수집액에 용해되도록 하여 액체의 시료를 채집하도 록 함으로써 채집이 용이하고, 무인기가 양력을 유지하는 힘의 일부를 공기의 흐름으로 유도하여 생물 시료를 수집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장치의 무게를 최소화하여 무인기에 장착가능하며 소비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때, 상기 무인기는 헬기로 되어 생물학적 물질 수집 시 무인기 기체를 저고도로 유지하여 지표면 부근의 시료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인기에는 상기 무인기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위치추적장치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위치추적장치에 의해 무인기의 위치를 추적하게 됨으로써 회수된 생물학적 물질이 용해된 수집액 분석에 의한 생물학적 물질 오염 확산예측시에 수집된 생물학적 물질의 수집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무인기 장착용 생물학적 물질 수집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수집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수집기의 내통을 나타낸 단면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프로펠러 10: 수집액 저장용기
20: 수집기 21: 메쉬망
22: 외통 23: 공기유입구
23a: 유도슬릿 24: 내통
25: 배기구 26: 에어 플로우미터
30: 이송펌프 40: 시료 저장용기
50: 컨트롤 박스 60: 제 1 흐름제어밸브
70: 제 2 흐름제어밸브

Claims (10)

  1. 소형 무인기에 탑재되며;
    공기중에 함유된 생물학적 물질을 용해시키는 수집액이 저장되는 수집액 저장용기(10)와,
    무인기의 프로펠러(1) 구동으로부터 발생된 양력에 의해 송풍된 공기가 유입되며, 상기 수집액 저장용기(10)로부터 공급된 수집액에 의해 유입된 공기와 접촉하여 공기 중에 함유된 생물학적 물질을 수집하고 생물학적 물질이 수집되고 남은 공기를 배출하는 수집기(20)와,
    상기 수집기(20)로 상기 수집액 저장용기(10)에 저장된 수집액을 공급하며 생물학적 물질이 용해된 시료를 회수하는 이송펌프(30)와,
    상기 이송펌프(30)로부터 회수된 시료를 저장하는 시료 저장용기(40) 및
    상기 이송펌프(30)의 수집액 공급 및 시료 회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 박스(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기 장착용 생물학적 물질 수집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기(20)는,
    공기가 유입되는 메쉬망(21)이 구비된 외통(22)과,
    상기 외통(22) 내부에 구비되고, 하부 부위에 상기 외통(22)으로 유입된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구(23)가 구비되며, 하부가 상기 이송펌프(30)와 연결되는 내통(24)과,
    상기 내통(24)의 상부와 연결되며 생물학적 물질이 수집되고 남은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구(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기 장착용 생물학적 물질 수집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24)은 외통(22)으로 유입된 공기가 하부 부위에 구비된 상기 공기유입구(23)로 공기흐름이 용이하도록 외형이 유선형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기 장착용 생물학적 물질 수집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입구(23)의 내주연에는 공기가 유입되는 방향과 일정각도를 이루어 유입되는 공기가 와류를 발생시키도록 유도하는 다수개의 유도슬릿(23a)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기 장착용 생물학적 물질 수집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지역별 오염농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상기 배기구(25)에는 배출된 공기의 양을 측정하는 에어 플로우미터(26)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기 장착용 생물학적 물질 수집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구(25)에는 상기 내통(24)이 배압을 형성하여 상기 외통(22)으로부터 상기 내통(24)의 공기유입구(23)로 공기의 유입이 용이하도록 하는 배출팬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기 장착용 생물학적 물질 수집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펌프(30)와 상기 수집액 저장용기(10) 및 시료 저장용기(40)와의 연결부위에는 상기 수집액 저장용기(10)로부터 상기 이송펌프(30)로의 수집액 흐름 및 상기 이송펌프(30)로부터 시료 저장용기(40)로의 시료 흐름을 제어하며 상기 컨트롤 박스(50)의 제어에 의해 작동되는 제 1 흐름제어밸브(6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기 장착용 생물학적 물질 수집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인기는 헬기로 되어 생물학적 물질 수집 시 무인기 기체를 저고도로 유지하여 지표면 부근의 시료를 측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기 장착용 생물학적 물질 수집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7 항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회수된 생물학적 물질이 용해된 수집액 분석에 의한 생물학적 물질 오염 확산예측시에 수집된 생물학적 물질의 수집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상기 무인기의 위치를 추적하는 위치추적장치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기 장착용 생물학적 물질 수집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7 항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료 저장용기(40)는 다수개 구비되어 상기 이송펌프(30)와 병렬로 연결되며,
    상기 이송펌프(30)와 각각의 시료 저장용기(40)와의 연결부위에는 상기 이송펌프(30)로부터 각각의 시료 저장용기(40)로의 시료 흐름을 제어하며 상기 컨트롤 박스(50)의 제어에 의해 작동되는 제 2 흐름제어밸브(7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기 장착용 생물학적 물질 수집장치.
KR1020080069333A 2008-07-16 2008-07-16 무인기 장착용 생물학적 물질 수집장치 KR1013189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9333A KR101318930B1 (ko) 2008-07-16 2008-07-16 무인기 장착용 생물학적 물질 수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9333A KR101318930B1 (ko) 2008-07-16 2008-07-16 무인기 장착용 생물학적 물질 수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8726A true KR20100008726A (ko) 2010-01-26
KR101318930B1 KR101318930B1 (ko) 2013-10-17

Family

ID=41817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9333A KR101318930B1 (ko) 2008-07-16 2008-07-16 무인기 장착용 생물학적 물질 수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8930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6868B1 (ko) * 2015-11-12 2017-03-27 울산과학기술원 화학시료 채취를 위한 무인비행장치
CN110068524A (zh) * 2019-06-03 2019-07-30 南京信息工程大学 大气颗粒物含铅及其同位素检测系统
KR20200009860A (ko) * 2018-07-20 2020-01-30 대한민국 (관리부서 :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장) 드론 및 실시간이동 측정 차량을 이용한 오염원 추적 시스템
KR20210137349A (ko) * 2020-05-10 2021-11-17 주식회사 월드아이 스마트드론을 이용한 환경분석 장치
EP4166923A1 (en) * 2021-10-14 2023-04-19 Nederlandse Organisatie Voor Toegepast- Natuurwetenschappelijk Onderzoek Tno Acquisition of analytes with an unmanned mobile platform
WO2023182573A1 (ko) * 2022-03-24 2023-09-28 재단법인 바이오나노헬스가드연구단 공기 중 유해물질 검출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8685A (ko) 2019-12-19 2021-06-29 주식회사 네오엔비즈 바이오플락 양식 사육수를 이용한 군체 형성 미세조류 및 동물 플랑크톤 자동 생산 및 회수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024227D0 (en) * 2000-10-04 2000-11-15 Secr Defence Air samplers
US7073748B2 (en) * 2004-07-15 2006-07-11 Lockheed Martin Corporation UAV comprising a sensing system for detection and identification of biological particles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6868B1 (ko) * 2015-11-12 2017-03-27 울산과학기술원 화학시료 채취를 위한 무인비행장치
KR20200009860A (ko) * 2018-07-20 2020-01-30 대한민국 (관리부서 :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장) 드론 및 실시간이동 측정 차량을 이용한 오염원 추적 시스템
CN110068524A (zh) * 2019-06-03 2019-07-30 南京信息工程大学 大气颗粒物含铅及其同位素检测系统
KR20210137349A (ko) * 2020-05-10 2021-11-17 주식회사 월드아이 스마트드론을 이용한 환경분석 장치
EP4166923A1 (en) * 2021-10-14 2023-04-19 Nederlandse Organisatie Voor Toegepast- Natuurwetenschappelijk Onderzoek Tno Acquisition of analytes with an unmanned mobile platform
WO2023063828A1 (en) * 2021-10-14 2023-04-20 Nederlandse Organisatie Voor Toegepast-Natuurwetenschappelijk Onderzoek Tno Method of acquisition of analytes with an unmanned mobile platform, mobile delivery platform, assembly and use
WO2023182573A1 (ko) * 2022-03-24 2023-09-28 재단법인 바이오나노헬스가드연구단 공기 중 유해물질 검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8930B1 (ko) 2013-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8930B1 (ko) 무인기 장착용 생물학적 물질 수집장치
US10746634B2 (en) Air sampling system
US6520034B1 (en) High air volume to low liquid volume aerosol collector
JP4249243B2 (ja) エンジン洗浄からの廃水を収集し処理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装置
US7799567B1 (en) Air sampler based on virtual impaction and actual impaction
US8820672B2 (en) Environmental sampling with an unmanned aerial vehicle
US8561486B2 (en) Particle interrogation devices and methods
US20060257287A1 (en) Robust system for screening enclosed spaces for biological agents
US6887710B2 (en) Robust system for screening mail for biological agents
US6695146B2 (en) Method for surface deposition of concentrated airborne particles
US7578973B2 (en) Devices for continuous sampling of airborne particles using a regenerative surface
US7759123B2 (en) Removing surface deposits of concentrated collected particles
US6101886A (en) Multi-stage sampler concentrator
EP3599166A1 (en) Chemical sensing autonomuous system for an aerial vehicle
US20110203931A1 (en) Particle Interrogation Devices and Methods
JP7217669B2 (ja) 降下煤塵の水平流束の計測装置および降下煤塵の分析方法
JP2020117203A (ja) ドローンの重量測定装置
Haglund et al. A circumferential slot virtual impactor
WO1999026464A2 (en) Aerogel environmental sampler and concentrator
US6938777B2 (en) Method for removing surface deposits of concentrated collected particles
EP3950090A1 (en) Microparticle-trapping device
US6796164B2 (en) Integrated fluidics system for simplified analysis of aerosolized biological particles and particle detection ticket thereof
JP2019178982A (ja) 降下煤塵量推定方法
WO2007080379A1 (en) Airborne particle collection arrangements and methods
CA2742633A1 (en) Particle interrogation devices and metho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