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8514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8514A
KR20100008514A KR1020080069039A KR20080069039A KR20100008514A KR 20100008514 A KR20100008514 A KR 20100008514A KR 1020080069039 A KR1020080069039 A KR 1020080069039A KR 20080069039 A KR20080069039 A KR 20080069039A KR 20100008514 A KR20100008514 A KR 201000085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sliding
shelf
guide
refrig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9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61962B1 (ko
Inventor
이륙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690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1962B1/ko
Publication of KR20100008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85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19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19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23Fastening devices for slides or guides
    • A47B88/427Fastening devices for slides or guides at drawer s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5/00Charging, supporting or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5/021Shelves with several possible configu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rawers Of Furnitur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라이딩 선반의 상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유동 저감 구조를 갖는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이드 레일보다 상측에 위치하는 안착레일과, 구간천이레일과, 상기 가이드 레일보다 상측에 위치하는 서포트 플랜지를 갖는 베이스 선반; 및 상기 베이스 선반으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안착레일에 안착되는 슬라이딩 레일과, 상기 슬라이딩 레일의 후방 단부로부터 하향 돌출 형성되며 상기 구간천이레일 상에서 슬라이딩하여 상기 슬라이딩 레일을 상기 가이드 레일로부터 상기 안착 레일로 유도하는 상승 가이드와, 상기 상승 가이드의 상부에 상향 돌출 형성되어 유동을 방지하도록 상기 서포트 플랜지와 상호 작용하는 유동방지돌출부를 갖는 슬라이딩 선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이에 슬라이딩 선반의 사용시 슬라이딩 선반에 무게가 가해지더라도 슬라이딩 선반 후방부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어 작동 안정성 및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냉장고, 베이스 선반, 슬라이딩 선반, 상승 가이드, 유동방지돌출부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슬라이딩 선반의 상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유동 저감 구조를 갖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홈바나 디스펜서 등이 구비되어 다양한 기능을 제공함은 물론, 대용량의 저장 공간을 제공하는 양문형 냉장고(Side By Side type refrigerator)나 바텀 프리저 타입(Bottom Freezer type) 냉장고의 보급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양문형 냉장고는 냉동실과 냉장실이 수직형으로 서로 이웃하게 형성된 구조이고, 바텀 프리저 타입의 냉장고는 냉동실이 냉장실의 하부에 위치한 구조이다. 이러한 냉장고들은 다양한 식품의 저장을 위해 야채실, 신선실 등으로 구획된 저장 공간을 제공하거나 선반의 높이와 폭을 사용자가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는 가변형 선반을 제공하기도 한다.
이중 폴딩 선반(Folding Shelf)은 선반의 전방 일부가 슬라이딩하여 선반의 후방부 하측에 겹쳐짐으로써 선반의 폭을 조절할 수 있는 선반이다. 폴딩 선반은 폴딩 선반이 설치된 아래쪽 칸에 높이가 높은 용기를 보관할 경우 일부를 접어 용기와 선반이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수납의 용이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 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폴딩 선반은 선반을 펼쳐서 사용할 때 선반의 유동을 방지하는 별도의 고정 구조가 없으면 슬라이딩 되는 선반의 전방부에 무게가 가해질 경우 상하 유동하는 문제가 있어 소비자 불만의 원인이 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슬라이딩 선반의 사용시 상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유동 저감 구조를 갖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이드 레일보다 상측에 위치하는 안착레일과, 구간천이레일과, 상기 가이드 레일보다 상측에 위치하는 서포트 플랜지를 갖는 베이스 선반; 및 상기 베이스 선반으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안착레일에 안착되는 슬라이딩 레일과, 상기 슬라이딩 레일의 후방 단부로부터 하향 돌출 형성되며 상기 구간천이레일 상에서 슬라이딩하여 상기 슬라이딩 레일을 상기 가이드 레일로부터 상기 안착 레일로 유도하는 상승 가이드와, 상기 상승 가이드의 상부에 상향 돌출 형성되어 유동을 방지하도록 상기 서포트 플랜지와 상호 작용하는 유동방지돌출부를 갖는 슬라이딩 선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상기 유동방지부는 상기 슬라이딩 레일과 상기 서포트 플랜지의 상면 사이의 거리에 대응하는 높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동방지부는 상기 슬라이딩 레일에 대응하는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간천이레일은 상기 가이드 레일의 후방 단부에 단차지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착 레일은 상기 가이드 레일의 전방 단부에 단차지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 선반은 상기 슬라이딩 선반의 수납시 상기 슬라이딩 레일을 지지하는 지지 레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간천이레일은 상기 지지 레일과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라이딩 선반은 상기 베이스 선반의 하부에 수납된 상태에서 인출될 때, 상기 슬라이딩 레일이 지지 레일 상을 이동하다 상기 상승 가이드에 의해 상기 구간천이레일을 따라 상승하여 상기 안착 레일에 상기 슬라이딩 레일의 전방 단부가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는 슬라이딩 선반의 사용시 슬라이딩 선반에 무게가 가해지더라도 슬라이딩 선반 후방부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어 작동 안정성 및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양문형 냉장고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선반의 인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따른 슬라이딩 선반의 이동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 내지 6은 도 1에 따른 슬라이딩 선반의 인출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선반의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다른 슬라이딩 선반의 이동시를 도시한 후방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냉장고(10)는 식품을 냉동 저장하기 위한 냉동실(100)과, 식품을 냉장 저장하기 위한 냉장실(200)로 구성된다.
냉동실(100) 및 냉장실(200)에는 다양한 종류의 선반과 수납 공간이 구성되며,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슬라이딩하여 선반의 폭을 조절할 수 있는 선반이 설치된다.
슬라이딩 구조의 선반은 냉장실(200) 또는 냉동실(100)에 삽입되는 베이스 선반(300)과, 베이스 선반(300)으로부터 슬라이딩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딩 선반(400)으로 구성된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선반(300)은 냉장실(200) 또는 냉동실(100) 내측 벽면에 안착되는 선반 프레임(310)과, 슬라이딩 선반(400)의 이동을 위한 가이드 레일(320) 및 지지 레일(330)로 구성된다.
선반 프레임(310)에는 강화 유리 또는 강화 플라스틱 등의 플레이트(300a)가 결합되어 베이스 선반(300)의 형태를 이룬다. 선반 프레임(310)은 플레이트(300a)를 양측 및 후방에서 지지하며, 플레이트(300a)의 양측은 전방을 향해 연장된 형태이다.
선반 프레임(310)의 연장된 부분의 길이는 슬라이딩 선반(400)의 폭에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선반 프레임(310)의 연장된 부분이 슬라이딩 선 반(400)의 인출시 슬라이딩 선반(400)을 지지하기 때문이다. 또한, 선반 프레임(310)의 상면에는 서포트 플랜지(312)가 형성된다.
서포트 플랜지(312)는 슬라이딩 선반(400)의 인출 시 슬라이딩 선반(400)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에 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베이스 선반(300)에는 슬라이딩 선반(400)을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드 레일(320) 및 지지 레일(330)이 형성되고, 슬라이딩 선반(400)에는 슬라이딩 이동을 위한 슬라이딩 레일(410)과, 슬라이딩 레일(410) 상에 돌출된 상승 가이드(412) 및 유동방지돌출부(420)가 형성된다.
가이드 레일(320)은 선반 프레임(310)의 연장된 부분에 돌출 형성되며, 슬라이딩 선반(400)의 인출 상태에서 슬라이딩 선반(400)을 지지한다. 가이드 레일(320)의 후방 단부에는 구간천이 레일(322)이 연결 형성되고, 가이드 레일(320)의 전방 단부에는 안착 레일(324)이 연결 형성된다.
구간천이 레일(322)은 슬라이딩 선반(400)의 인출시 후술할 상승 가이드(412)를 지지하며, 가이드 레일(320)의 후방 단부로부터 하향 경사지도록 단차지게 절곡 형성된다. 도면에는 베이스 선반(300)의 하측을 향해 볼록한 형상으로 도시하였으나, 반대로 베이스 선반(300)의 상측을 향해 볼록한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안착 레일(324)은 슬라이딩 선반(400)의 인출이 완료된 후 슬라이딩 레일(410)의 전방 단부가 안착된다. 이를 위해 가이드 레일(320)의 전방 단부로부터 상향 경사지도록 단차지게 절곡 형성된다. 안착 레일(324)은 슬라이딩 레일(410)이 선반 프레임(310)의 전방으로 이탈되지 못하도록 진행 방향으로의 스토퍼 역할을 한다.
가이드 레일(320)과 구간천이 레일(322) 및 안착 레일(324)의 폭은 후술할 지지 레일(330)의 폭 보다 크게 형성된다.
지지 레일(330)은 베이스 선반(300)의 플레이트(300a) 하측에 위치하도록 선반 프레임(310)으로부터 돌출 형성된다. 지지 레일(330)은 가이드 레일(320)과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즉, 지지 레일(330)은 가이드 레일(320)의 연장선상에 위치한다.
지지 레일(330)은 슬라이딩 선반(400)이 베이스 선반(300)의 하측에 수납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선반(400)을 지지한다. 지지 레일(330)은 슬라이딩 선반(400)에 형성된 슬라이딩 레일(410)이 얹혀지는 부분이므로, 지지 레일(330)의 폭은 슬라이딩 레일(410)의 폭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면에는 지지 레일의 하측에 구간천이레일과 연결되는 부분을 도시하였으나 이는 금형 상의 구조일 뿐 실질적인 레일 역할을 하는 것은 지지 레일임).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선반(400)의 양측면에는 베이스 선반(300)의 하부에 수납된 상태에서 지지 레일(330)에 안착되고, 베이스 선반(300)으로부터 인출될 때 지지 레일(330)을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딩 레일(410)이 돌출 형성된다.
슬라이딩 레일(410)은 전방 단부가 안착 레일(324)에 안착된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안착 레일(324)의 형태에 대응하여 절곡 형성된다. 슬라이딩 레일(410)의 후방 단부에는 상승 가이드(412) 및 유동방지돌출부(420)가 형성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승 가이드(412)는 슬라이딩 레일(410)의 후방 단부로부터 하향 돌출 형성된다. 도면에는 상승 가이드(412)를 단면이 삼각형인 형상으로 표현하였으나, 슬라이딩 선반(400)을 상승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면 그 형상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승 가이드(412)는 슬라이딩 선반(400)이 베이스 선반(300)의 하측에 수납된 상태에서는 사용되지 않다가 슬라이딩 선반(400)이 인출되면서 구간천이 레일(322)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상승 가이드(412)가 구간천이 레일(322)을 따라 상승하면서 슬라이딩 선반(400)을 가이드 레일(320) 위로 이송시키게 된다.
슬라이딩 선반(400)이 인출되기 전에는 슬라이딩 레일(410)이 지지 레일(330)을 따라 움직이므로 슬라이딩 선반(400)이 베이스 선반(300)보다 하측에 위치하게 된다. 그러나 사용자가 슬라이딩 선반(400)을 인출하면 슬라이딩 레일(410)은 지지 레일(330)을 벗어나게 되고 상승 가이드(412)가 구간천이 레일(322)에 얹혀 상향 이동하므로 슬라이딩 선반(400)이 베이스 선반(300)의 전방을 향해 상향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슬라이딩 선반(400)의 인출이 완료된 후 슬라이딩 선반(400)과 베이스 선반(300)의 상면은 식품 용기의 수납이 용이하도록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가이드 레일(320)은 서포트 플랜지(312)로부터 슬라이딩 선반(400)의 높이 만큼 이격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여기서 슬라이딩 선반의 높이는 슬라이딩 선반의 상면으로부터 상승 가이드의 하단부까지의 수직 길이를 의미한다 ).
유동방지돌출부(420)는 슬라이딩 레일(410)의 후방 단부로부터 상향 돌출 형성되되, 상승 가이드(412)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돌출 형성된다.
유동방지돌출부(420)는 슬라이딩 레일(410)에 대응하는 폭을 가지며, 슬라이딩 선반(400)의 인출시 슬라이딩 레일(410)로부터 서포트 플렌지()의 상면까지의 거리에 대응하는 높이를 갖는다. 따라서 유동방지돌출부(420)는 슬라이딩 선반(400)의 인출 상태에서 서포트 플랜지(312)의 하면에 끼워 맞춤된다. 이러한 구조로 유동방지돌출부(420)는 슬라이딩 선반(400)의 인출시 서포트 플랜지(312)와 상호 작용하여 슬라이딩 선반(400) 후방부의 상하 유동을 방지한다.
도면에는 유동방지돌출부(420)를 사각 형상으로 도시하였으나, 슬라이딩 선반(400)의 인출 상태에서 서포트 플랜지(312)에 밀착되는 높이에 대응하는 돌기 형태 등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유동방지돌출부(420)가 슬라이딩 레일(410)의 후방에 형성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슬라이딩 선반(400)의 인출 시 사용자는 슬라이딩 선반(400)을 들어올려 베이스 선반(300)의 전방을 향해 잡아당기게 된다. 이때 슬라이딩 선반(400)은 베이스 선반(300)의 상측을 향해 들어 올려진 상태에서 슬라이딩 레일(410)이 지지 레일(330)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슬라이딩 선반(400)이 인출됨에 따라 상승 가이드(412)가 구간천이 레일(322)로 진입하게 되고, 구간천이 레일(322)을 따라 상승 가이드(412)가 이동할 때 슬라이딩 선반(400)은 도 5와 같이 기울어지게 된다.
슬라이딩 선반(400)의 수납시와 인출시의 높이가 상이하므로 직선형의 슬라이딩 선반(400)이 단차진 구간을 통과하려면 서포트 플랜지(312)와 가이드 레일(320) 사이에 유동을 위한 간격이 필요하다.
슬라이딩 선반(400)의 인출시 슬라이딩 레일(410)의 전방부는 고정되지만 후방부는 유동 간격만큼의 틈이 생기게 되므로 슬라이딩 선반(400)의 후방부가 상하 유동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유동방지돌출부(420)를 구비한다(도 8 참조)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슬라이딩 선반의 작동에 따른 각 부분의 관계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슬라이딩 선반(400)은 베이스 선반(300)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냉장고(10)에 설치된다.
베이스 선반(300)의 하측에 높이가 높은 식품 용기 등을 수납하는 경우, 사용자는 슬라이딩 선반(400)을 베이스 선반(300)의 하측으로 밀어 넣게 된다. 그러면 베이스 선반(300)의 전체적인 폭이 슬라이딩 선반(400)의 폭 만큼 줄어들게 되므로 하측의 용기 등에 간섭되지 않게 할 수 있다.
베이스 선반(300)을 넓게 사용하고 싶은 경우에는 슬라이딩 선반(400)을 다시 꺼내서 사용할 수 있다.
슬라이딩 선반(400)이 베이스 선반(300)의 하측에 수납된 상태에서는 슬라이 딩 레일(410)이 선반 프레임(310)에 형성된 지지 레일(330)에 수납되어 있다. 사용자가 슬라이딩 선반(400)을 잡아당기면 슬라이딩 선반(400)의 전방이 위로 들리면서 슬라이딩 레일(410)이 플레이트(300a) 하측의 선반 프레임(310)에 형성된 지지 레일(33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한다.
슬라이딩 선반(400)이 인출됨에 따라 슬라이딩 레일(410)은 점점 지지 레일(330)을 벗어나 선반 프레임(310)의 전방 쪽으로 이동한다. 이때 슬라이딩 레일(410)의 후방에 형성된 상승 가이드(412)가 구간천이 레일(322)에 접근하게 된다.
상승 가이드(412)가 구간천이 레일(322)에 진입하여 이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승 가이드(412)는 구간천이 레일(322)을 따라 구간천이 레일(322)에 연결된 가이드 레일(320)로 진입하게 된다.
가이드 레일(320)은 지지 레일(330)과 동일한 높이에 형성되지만, 슬라이딩 레일(410)이 가이드 레일(320)로 진입하는 것이 아니라 슬라이딩 레일(410)보다 하측에 위치한 상승 가이드(412)가 가이드 레일(320)로 진입하므로 슬라이딩 선반(400)의 높이는 베이스 선반(300) 하측에 수납된 상태보다 높은 위치에 오게 된다.
슬라이딩 선반(400)의 인출이 완료되면 슬라이딩 레일(410)의 전방 단부가 가이드 레일(320)의 전방 단부에 연결 형성된 안착 레일(324)에 안착되어 선반 프레임(310)으로부터 임의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된다.
이때 슬라이딩 레일(410)의 후방에 돌출 형성된 유동방지돌출부(420)가 서포 트 플랜지(312)에 밀착된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방지돌출부(420)가 슬라이딩 레일(410)과 서포트 플랜지(312)의 사이에 끼워 맞춤 되므로 슬라이딩 선반(400)의 후방 쪽에는 슬라이딩 레일(410)과 서포트 플랜지(312) 사이에 이격이 생기지 않아 슬라이딩 선반(400) 후방 쪽에 무게가 가해지더라도 유동 되지 않는다. 따라서 슬라이딩 선반(400)의 작동 안정성 및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된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양문형 냉장고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선반의 인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도 1에 따른 슬라이딩 선반의 이동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4 내지 6은 도 1에 따른 슬라이딩 선반의 인출시를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선반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선반의 인출시를 도시한 후방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양문형 냉장고 100 : 냉동실
200 : 냉장실 300 : 베이스 선반
310 : 서포트 프레임 320 : 지지 레일
330 : 가이드 레일 332 : 제1 레일부
334 : 제2 레일부 336 : 단차부
340 : 슬라이딩 선반 342 : 슬라이딩 레일
344 : 슬라이딩부 346 : 유동방지부

Claims (8)

  1.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이드 레일보다 상측에 위치하는 안착레일과, 구간천이레일과, 상기 가이드 레일보다 상측에 위치하는 서포트 플랜지를 갖는 베이스 선반; 및
    상기 베이스 선반으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안착레일에 안착되는 슬라이딩 레일과, 상기 슬라이딩 레일의 후방 단부로부터 하향 돌출 형성되며 상기 구간천이레일 상에서 슬라이딩하여 상기 슬라이딩 레일을 상기 가이드 레일로부터 상기 안착 레일로 유도하는 상승 가이드와, 상기 상승 가이드의 상부에 상향 돌출 형성되어 유동을 방지하도록 상기 서포트 플랜지와 상호 작용하는 유동방지돌출부를 갖는 슬라이딩 선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방지부는 상기 슬라이딩 레일과 상기 서포트 플랜지의 상면 사이의 거리에 대응하는 높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방지부는 상기 슬라이딩 레일에 대응하는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간천이레일은 상기 가이드 레일의 후방 단부에 단차지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 레일은 상기 가이드 레일의 전방 단부에 단차지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선반은 상기 슬라이딩 선반의 수납시 상기 슬라이딩 레일을 지지하는 지지 레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간천이레일은 상기 지지 레일과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선반은 상기 베이스 선반의 하부에 수납된 상태에서 인출될 때, 상기 슬라이딩 레일이 지지 레일 상을 이동하다 상기 상승 가이드에 의해 상기 구간천이레일을 따라 상승하여 상기 안착 레일에 상기 슬라이딩 레일의 전방 단부가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080069039A 2008-07-16 2008-07-16 냉장고 KR1014619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9039A KR101461962B1 (ko) 2008-07-16 2008-07-16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9039A KR101461962B1 (ko) 2008-07-16 2008-07-16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8514A true KR20100008514A (ko) 2010-01-26
KR101461962B1 KR101461962B1 (ko) 2014-11-14

Family

ID=41817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9039A KR101461962B1 (ko) 2008-07-16 2008-07-16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196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54657A (zh) * 2011-08-27 2013-03-06 博西华家用电器有限公司 家用电器
KR20180007772A (ko) * 2016-07-14 2018-01-24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28311B (zh) * 2016-05-05 2018-08-10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冰箱
DE102018118513A1 (de) * 2018-06-27 2020-01-02 Liebherr-Hausgeräte Ochsenhausen GmbH Kühl- und/oder Gefriergerät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42263B2 (ja) * 1995-10-26 2002-11-05 三洋電機株式会社 冷蔵庫等の棚のストッパー装置
JP2002090054A (ja) 2000-09-20 2002-03-27 Fujitsu General Ltd 冷蔵庫の棚装置
KR100513680B1 (ko) * 2003-12-31 2005-09-09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100513681B1 (ko) 2003-12-31 2005-09-09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54657A (zh) * 2011-08-27 2013-03-06 博西华家用电器有限公司 家用电器
CN102954657B (zh) * 2011-08-27 2017-05-17 博西华家用电器有限公司 家用电器
KR20180007772A (ko) * 2016-07-14 2018-01-24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1962B1 (ko) 2014-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19038B1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승강 서랍
CA2067634C (en) Food compartment for refrigerators
EP2549212B1 (en) Refrigerator
US9033438B2 (en) Shelf assembly for a refrigerator
KR101644018B1 (ko) 냉장고
KR20110002589A (ko) 가변선반 및 이를 갖춘 냉장고
CN102472560B (zh) 具有可移除的搁板的制冷装置
KR20100008514A (ko) 냉장고
KR100814692B1 (ko) 도어 선반 높이 연장 커버를 구비한 냉장고
CN102365516B (zh) 篮的移出
CN109764618B (zh) 抽屉组件及具有该抽屉组件的冰箱
KR20060103064A (ko) 수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선반 및 이것을 포함하는 냉장고구획장치
KR100814690B1 (ko) 도어 선반 높이 연장 커버를 구비한 냉장고
CN109764616B (zh) 抽屉组件及具有该抽屉组件的冰箱
KR100775822B1 (ko) 냉장고의 선반 높이 조절 장치
CN102997588A (zh) 冰箱
JPH04268185A (ja) 引出し式貯蔵容器を備えた貯蔵庫
CN201844648U (zh) 搁盘及具有该搁盘的制冷设备
EP2630426B1 (en) Refrigerator and stopping arrangement of refrigerator shelf
KR200319649Y1 (ko) 다목적 냉장고
CN202153083U (zh) 用于冰箱的抽屉和具有该抽屉的冰箱
CN107796163B (zh) 冰箱
CN219693637U (zh) 冰箱
CN109764617A (zh) 抽屉组件及具有该抽屉组件的冰箱
US20220307762A1 (en) Shelf tray assembly and refrigeration appli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