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3064A - 수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선반 및 이것을 포함하는 냉장고구획장치 - Google Patents

수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선반 및 이것을 포함하는 냉장고구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3064A
KR20060103064A KR1020050068312A KR20050068312A KR20060103064A KR 20060103064 A KR20060103064 A KR 20060103064A KR 1020050068312 A KR1020050068312 A KR 1020050068312A KR 20050068312 A KR20050068312 A KR 20050068312A KR 20060103064 A KR20060103064 A KR 200601030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shelf
moving member
track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83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크레이그 비에닉
빈센트 엘. 라믹
Original Assignee
젬트론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젬트론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젬트론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601030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30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 A47B96/027Cantilever shelves
    • A47B96/028Cantilever shelves characterised by support bracket location means, e.g. fixing means between support bracket and shelf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3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detachable shelf supports
    • A47B57/48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detachable shelf supports consisting of tongues, pins or similar projecting means coacting with open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A47B96/061Cantilever brack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5/00Charging, supporting or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5/022Shelves made of glass or ceram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D2500/02Geometry probl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조절할 수 있는 조립선반은 한 쌍의 다리(legs) 및 만곡 벽(bight wall)에 의해 규정되는, 일반적으로 U자형인 횡축 단면 구조를 갖는 한 쌍의 선로 브래킷을 따라 조절될 수 있는 선반을 포함한다. 상기 만곡 벽은 불시의/우연한 하방 선반 움직임을 방지하고, 통상적인 냉장고 구획 선로 내의 수직으로 정렬되는 슬롯 쌍들 내에 상기 선로 브래킷을 고정하기 위해 이격되어 안쪽으로 돌출되는 돌기(protrusion) 및 이격되어 바깥쪽을 향하는 고리(hooks)를 포함한다. 각각의 선로 브래킷은 또한 상기 선반이 상기 브래킷 선로의 하단을 통해 그들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하단 멈춤 플랜지(bottom stop flanges)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수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선반 및 이것을 포함하는 냉장고 구획장치{VERTICALLY ADJUSTABLE SHELVES AND REFRIGERATOR COMPARTMENT HOUSING THE SAME}
도 1은 냉장고 내부 및 본 발명에 의해 구성된 새로운 조립선반(shelf assembly)을 도시한 것으로서, 사출성형으로 밀봉(injection molded encapsulation)된 또는 테두리(rim)로 일체화된 강화유리 선반부재(shelf member) 및 한 쌍의 금속 선반지지대(metal shelf support brackets), 제 1 및 제 2부재로 구성된 한 쌍의 선반어댑터, 냉장고 내부 후면에 고정되고 마주보는 안내면과 그 곳에 다수의 수직으로 배열된 슬롯으로 구성된 제 1부재, 슬롯에 수납되고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된 서포트 및 금속 선반지지대의 갈고리를 수납하는 추가적인 슬릿 또는 슬롯으로 구성된 제 2부재로 구성된 선반의 투시도.
도 2는 사출 성형된 테두리가 유리 선반부재와 금속 선반지지대의 위쪽 모서리를 밀봉하여 하나로 합친 것을 도시한 도 1의 선 2-2를 따라 본 확대 부분 단면도.
도 3은 안내면 및 제 1부재의 슬롯,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된 서포트 및 제 2부재의 슬릿 및 선반의 갈고리를 상세히 도시한 선반어댑터 중 하나의 부분 분해도.
도 4는 마주보는 방향으로 뻗은 제 2부재가 제 1부재의 슬롯에 안착되고, 선반지지대의 갈고리가 제 2부재의 슬릿에 수납되는 방법을 도시한 선반어댑터 중 하나의 부분 측면도.
도 5는 제 2부재의 돌출 서포트가 제 1부재의 안내면에서 미끄러져 미끄럼 높이조절효과를 내는 방법을 도시한 도 1의 각 선반어댑터의 확대 평면도.
도 6은 제 2부재의 돌출 서포트가 제 1부재의 안내면 안에 있을 때 부주의 또는 사고로 풀어지거나 떨어지면 선반이 약간 기울어지는 위치에서 자동으로 잠겨지게 되는 방법을 도시한 도 4의 선반어댑터의 측면도.
도 7은 선반어댑터 중 하나가 조절되고 잠겨진 것을 도시한 도 4의 선 7-7을 따라 본 부분 단면도.
도 8은 후방부재의 결합부분을 제 2부재의 반대방향으로 뻗은 지지용 돌기의 형태로 도시한 본 발명에 의해 구성된 선반지지대의 부분 투시도.
도 9는 사출성형 밀봉으로 테두리와 합쳐진 유리패널 및 냉장고 내부 벽에 고정된 종래기술을 따르는 제 1부재의 슬롯에 안착된 반대방향으로 뻗은 지지용 돌기로 구성된 선반지지대를 도시한 도 10의 선 9-9를 따라본 부분 단면도.
도 10은 원하는 높이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제 1과 제 2부재 사이의 내부 잠금 관계를 도시한 도 9의 선반과 선반어댑터의 부분 측면도.
도 11은 도 1의 제 2부재 중 하나가 사출성형 밀봉 또는 강화된 테두리로 선반과 하나로 합쳐진 것을 도시한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또 다른 선반어댑터를 위에서 본 투시도.
도 12는 제 2부재의 반대로 향한 돌기 서포트를 도시한 도 11을 아래로 본 부분 평면도.
도 13은 선반부재가 모퉁이에서 사출성형 밀봉 또는 테두리와 합쳐진 것을 전반적으로 도시한 선 13-13을 따라 본 확대 부분 단면도.
도 14는 마주보는 채널 또는 안내면 및 수직으로 배열된 슬롯으로 구성된 제 1부재와 그곳에 고정되어 선반을 지지하고 있는 제 2부재를 도시한 또 다른 선반어댑터의 확대 부분 투시도.
도 15는 제 1 및 2부재 사이의 상호 잠금관계와, 제 2부재가 있는 선반의 결합 갈고리를 도시한 도 14의 선 15-15를 따라 본 수직 단면도.
도 16은 도 14,15의 선반 및 제 2부재를 상세히 도시한 분해도.
도 17은 냉장고 구획 및 본 발명의 또 다른 새로운 조립선반을 포함하는 냉장고에 대한 사시도로서, 선반은 한 쌍의 금속 선반 지지 브래킷 및 만곡 벽에 의해 규정되는 일반적으로 U자형 횡축 단면 구조의 선로 또는 한 쌍의 수직 슬롯 브래킷에 강화 유리 선반 부재를 결합하는 테두리 또는 사출성형 밀봉을 가지며, 한 쌍의 이격된 각각의 측벽들은 각각의 선로 측벽에서 형성되는 최상부 및 최하부 슬롯 또는 개구부에 의해 상기 선반 지지 브래킷의 래치 핀(latching pins)에 의해 접근할 수 있는 안내면(slideway)을 규정하는 것에 대한 도시.
도 18은 도 17의 브래킷 또는 선로 중 하나에 대한 부분 확장 전면 입면도(fragmentary exploded front elevational view)로서, 상기 선반이 요구되는 최종 조정위치로 수직 상방 및 하방으로 이동될 수 있는 안내면으로 열려있는 상기 선로 측벽의 접근 개구부에 대한 상세한 도시.
도 19는 도18의 라인 19-19를 따라 취해지는 부분 단면도로서, 몇몇 수직으로 이격되고 하방으로 열리며 후방으로 돌출되는 고리 및 냉장고 구획의 슬롯 선로에 상시 선로를 각각 고정하고, 상기 선반의 불시의/우연한 하방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한 만곡 벽으로부터 형성되는 돌출 또는 전방을 향하는 돌출(protrusion)에 대한 도시.
도 20은 도 17의 라인 20-20을 따라 일반적으로 취해지는 부분 확대 단면도로서, 상기 냉장고 구획 선로의 슬롯에 걸려진 선로 브래킷들 중 하나에 대한 도시.
도 21은 도 20의 라인 21-21을 따라 취해지는 확대 단면도로서, 안내면을 규정하는 측벽, 상기 선로의 만곡 벽 물질로 형성되는 브래킷 지지 고리 및 전방과 후방으로 돌출하는 선반 정지장치, 및 측벽 물질로 형성되는 하단 정지 플랜지를 포함하는, 상기 선로 또는 선로 브래킷의 일반적으로 전방이 개방된 U자형 횡축 단면 구조에 대한 도시.
<부호설명>
R : 냉장고 20 : 테두리 또는 주변부
C : 냉장고 내부 25 : 어댑터
10 : 조립선반 26 : 제 1부재
15 : 선반 27 : 제 2부재
16,17 : 지지대 50 : 슬롯 또는 서포트
18 : 유리패널 60 : 돌기 또는 서포트
본 발명은 냉장고용 선반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가구 선반(furniture shelves), 캐비닛 선반(cabinet shelves), 판매시점 디스플레이(point-of-sale display) 등과 같은 다양한 환경에서 이용하기에 적합한 선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 구성된 냉장고 조립선반은 부분적으로 종래기술을 따르는 선반 즉, 한 쌍의 금속 지지대, 선택적으로 투명강화유리로 만들어지고 사출성형 밀봉된 평평한 선반부재, 지지대와 평평한 선반부재를 하나로 결합하는 주변부 또는 테두리로 구성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새로운 한 쌍의 어댑터를 포함한다. 각 어댑터는 선택적으로 금속으로 제작되고 수직으로 배열된 다수의 슬롯 및 안내면이 있는 제 1부재로 구성된다. 각 제 1부재의 후방부는 종래기술을 따르는 방법으로 냉장고 내부의 뒤쪽 벽에 고정된다. 제 2부재는 여러 쌍의 반대방향으로 돌출한 돌기 또는 서포트를 포함하고, 돌기는 제 1부재의 슬롯의 간격과 같은 간격으로 수직으로 배열되어있다. 나아가, 제 2부재의 서포트의 양단부 사이의 거리는 안내면 사 이의 거리와 같고 제 2부재의 수직슬롯의 지지모서리 사이의 최대 거리와 같다. 위와 같은 치수관계로 인하여 선반이 한 쌍의 선반어댑터로부터 실수 또는 사고로 완전히 이탈되지 않고 선반이 연결된 제 1 및 2부재가 안내면에서 상하로 움직이게된다. 제 2부재는 제 2부재의 미끄럼운동으로 선반이 상하로 조절될 때 선반의 갈고리에 걸려서 붙어있는 슬롯을 선택적으로 포함한다. 이 방법으로 선반과 어댑터는 절대로 완전히 떨어지지 않고 어댑터의 제 1 및 2부재는 의도적으로 행하지 않는 한 서로 분리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의하여 더 나아가, 제 2부재의 돌기 서포트 및 제 1부재의 안내면 및 슬롯과 관련하여, 제 2부재의 돌기가 안내면에 있을 때, 선반이 우연히 풀리게 되면, 물건이 위에 있거나 없는 외팔보 선반의 무게로 외팔보 선반이 전방 및 하방으로 기울어져서, 자동적으로 제 2 부재의 가장 아래에 있는 돌기가 제 1 부재의 슬롯에 걸리며, 슬롯의 지지 모서리에 떠받쳐져서, 외팔보 선반이 약간 앞쪽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자동적으로 고정된다. 이 방법으로 선반 전체와 위에 있는 물건은 떨어지지 않고, 전부는 아니라도 대부분의 물건은 선반의 유리부재 위에 그대로 있을 것이다.
이 새로운 조립선반 및 한 쌍의 어댑터는 제한된 수직방향 미끄럼운동 효과를 내서 선반들을 서로 다른 간격으로 수직 배열되게 한다. 그러나 선반이 어댑터로부터, 어댑터가 냉장고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지 않은 상태로 이와 같은 일을 할 수 있다. 본 선반은 후술하는 자동잠금 기능으로, 선반의 높이조절 중에 선반과 그 위의 물건을 파손 또는 손상하는 일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통상의 냉장고 구획 내에서 중분 높이 조정(incremental vertical adjustment)을 제공할 수 있고, 그것이 냉동실 또는 신선한 과일 보관실이 될 수 있으며, 냉장고 구획의 후벽 또는 측벽(rear or side wall)의 전체 수직 벽 부분으로서 도는 냉장고 구획 측벽 및/또는 후벽에 고정된 개의 선로로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선로로 이용될 때, 높이 조정동안 불시에, 우연히 또는 요구되지 않는 아래방향으로 선반이 움직일 수 있는 새로운 조립선반이다. 각각의 경우에, 선호적으로 한 쌍의 수직 선로들은 냉장고 구획의 상부 및 하부 벽 사이의 전체 수직 거리로 실질적으로 확장하며, 따라서 그것과 함께 결합된 선반은 결합된 냉장고 구획의 전체 수직 높이를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조절될 수 있다. 한 쌍의 수직 선로의 경우에, 상기 선반은 한 쌍의 선반 지지 브래킷을 포함하고, 각각은 래치 핀을 가지고 있으며, 각각의 래치 핀은 수직 선로의 슬롯 또는 개구부로 그것과 결합하기 위해 이동하는 동안 그것의 수직선로의 안내면에서 수직으로 조절될 수 있고, 상기 선반을 실질적으로 수평 사용 위치에 고정한다. 선호적으로 하나 이상의 그와 같은 선반들은 한쌍의 선로에 의해 지지되고, 상대적으로 조절될 수 있으나, 가장 중요한 것은 상기 선반들과 선로들이 수직 선로를 따라 상부, 하부 및 중간 위치에서 선반 핀들을 위해 횡단 들어감/이동경로를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배열된다는 것이다. 상기 선반 지지 핀들을 위한 횡단 들어감/이동경로는 각각의 수직 선로의 측벽 내의 한 쌍의 횡단 슬롯들에 의해 규정되고, 그것을 통해 각각의 선반 브래킷은 핀은 안내면 및 래치 또는 그것과 결합한 개구부 또는 슬롯을 가로로 들어가거나 또는 나올 수 있다. 후자는 그것이 냉장고 구획의 결합된 상단 벽 근처에서 조립선반의 높이 조절을 최대화하기 때문에 특히 중요하다. 따라서 상기 선로들과 선반들은 상기한 자동 잠금 특징을 가지도록 특별히 디자인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청소, 재배치등과 같은 다양한 목적을 위해 하나 이상의 선반들이 이동 및 분해되는 동안 냉장고 저장 구획을 최대화하기 위해 적어도 3개의 위치에서 상기 선로로부터 횡축으로 조립되거나 또는 분해될 수 있다.
본 발명과 추가적으로 일치하는 것은, 냉장고 구획의 내부 벽에 고정되는 분리된 수직 선로의 경우에, 각각의 선로는 만곡 벽(bight wall) 및 측벽에 의해 규정되는 U자형 횡단 단면 구조가 선호되며, 각각의 측벽은 미리 결정된 사이즈의 그리고 늘어난 최종 단부들에 더욱 밀접하게 인접한 안내면을 규정한다. 상기 선로들은 냉장고 구획 후면 벽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개방되고, 냉장고 구획의 반대쪽 벽 및/또는 후벽 중 하나에 고정시키기 위한 개구부를 포함한다. 그와 같은 개구부들은 상기 선로들이 전체 수직 벽 부분, 예를 들면 냉장고 구획 후벽을 구성하도록 제공되어질 필요가 없다. 그러나 하나의 경우에서, 측벽들 중 가장 앞쪽의 최종 측면 변부들은, 만약 그들 사이에 위치가 요구된다면, 각각 상기 구획 상단 벽에 인접한 곳, 즉 구획 하단 벽에 약간 덜 인접한 곳에서 개구부 또는 슬롯에 의해 두드러질 수 있다. 상기 선반들의 선반 브래킷들이 최상부 변부를 전달하기 때문 에, 최상부 선반은 냉장고 구획의 상단 벽에 인접한 최상부 접근 개구부를 통해 조립될 수 있으며, 그 이후에 필요시 수직으로 조절될 수 잇거나 또는 거기에서 선로의 수직 안내면에 대응하는 횡축 경로를 따르는 방식으로 이동될 수 있다. 최하부 접근 개구부들은 선로의 잠금 또는 래치 슬롯들이 즉시 접근할 수 있는 지점에서 상기 구획의 하단 벽 위에 위치되며, 따라서 냉장고 구획의 가장 낮은 선반 위치를 규정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은 상기 수직 선로를 따라 선택적으로 걸리도록 만들어진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래치 배열을 선택하기 위해, 다수의 수직으로 이격된 래치 슬롯들을 갖는 수직 선로를 규정하는 새로운 브래킷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수직 선로는 2개 이상의 늘어난 다리 및 그들 사이의 늘어난 만곡 벽(bight wall)에 의해 규정되며, 다수의 상기 래치 슬롯들은 2개의 늘어난 다리에서 규정되고, 다수의 수직으로 이격된 정지 돌출부들은 이동 부재의 불시의/우연한 하향 이동을 감소하기 위해 상기 선로의 만곡 부분을 따라 배열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은 상기 선로의 가장 아래 단부를 향하여 상기 선로에 상대적인 이동 부재의 수직 하향 움직임에 의해 상기 선로에 상대적인 이동부재의 분해를 막기 위하여, 상기 선로 브래킷의 하단에서 안쪽을 향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새로운 선로 브래킷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한 쌍의 냉장고 구획 선로에서 수직으로 이격된 슬롯들 중 선택된 하나에 상기 선로 브래킷을 걸기 위해, 상기 선로 브래킷의 만곡 벽이 다수의 고리들을 운반하는 선로를 규정하는 새로운 선로 브래킷을 제공하는 것이다.
위와 후술하는 본서에서 내용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본질은 뒤에 오는 자세한 설명, 첨부된 청구항, 도면을 참조함으로써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제 1 및 2부재로 구성된 새로운 형태의 어댑터를 포함하는 쉽고 안전하게 높이조절이 가능한 조립선반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특히 냉장고를 위한 선반과 관련된 것이지만, 가구의 선반, 캐비닛의 선반, 상점의 진열대와 같은 다양한 다른 환경에도 적용할 수 있다.
종래의 전형적인 냉장고 선반은 평평한 선반부재, 선반부재와 연결된 한 쌍의 금속 선반 지지대, 선택적으로 합성수지 사출성형으로 모서리를 밀봉하는 테두리 또는 주변부로 구성된다. 전형적인 지지대는 냉장고 내부의 뒤쪽 벽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부착된 수직 지지대 또는 채널 또는 트랙에 나있는 한 쌍의 슬롯에 수납되는 한 쌍의 갈고리로 구성된다. 선반은 수직 지지대를 따라서 선반지지대의 갈고리를 수직 지지대 또는 트랙에 걸었다 풀었다하는 종래기술을 따르는 방법으로 단계별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는 선반에 물건이 없으면 쉽게 할 수 있다. 그 러나, 비교적 무거운 물건이 평평한 선반 부재 위에 놓여 있으면, 물건의 무게와 불균형으로 선반과 물건이 이탈 및 또는 추락하여 손상(파손, 엎질러짐 등)을 초래하는 일이 드물지 않게 발생한다. 물건이 놓인 외팔보 선반의 갈고리가 냉장고 내부의 수직 지지레일에 일부만 걸린 경우에는 기울어지게 되어 선반 자체는 떨어지지 않더라도 물건이 미끄러지고 떨어져서 파손된다. 따라서 냉장고 내부 뒷벽에 설치된 트랙에서 단계별 높이조절이 되도록 설계된 종래기술에 의한 외팔보 선반에 물건이 올려져 있으면 조절 중에 손상이 발생하기 쉽다.
제 1 및 2부재로 구성된 새로운 형태의 어댑터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의해 구성된 선반은 종래기술에 의한 선반의 문제점을 제거하여 쉽고 안전하게 높이조절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구성된 새로운 냉장고 조립선반은 도 1에서 냉장고(R)의 내부(C)와 함께 일반적으로 참조번호(10)를 지정하여 도시되었다.
조립선반(10)은 선반(15) 및 강화유리로 만든 선반부재(18)의 주변부에 사출성형으로 밀봉하여 접합한 마주보고 평행한 금속 선반지지대(16,17)및 1994,11,8에 승인된 미국특허 제 5,362,149호에 공개된 방법으로 만든 테두리 또는 주변부(20)(도 2)로 구성된다. 각 금속 지지대(16,17)는 종래기술을 따르는 하방으로 향한 갈 고리(21,22)를 이용하여 냉장고 내부에 있는 수직하고 평행한 선반 트랙에 직각으로 걸린다. 이런 종래기술을 따르는 선반(10)은 트랙의 슬롯에 걸고, 완전히 빼고, 다시 걸 수 있고 냉장고 바닥, 천장, 타선반에 대해서 선반의 단계별 높이조절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대로 종래기술을 따르는 선반 갈고리와 종래기술을 따르는 수직트랙 사이의 이러한 완전히 분리하는 방식의 단점은 부주의 또는 사고로 선반 또는 물건이 떨어져 파손 또는 손상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새로운 냉장고 조립선반은 이러한 결점을 개선했다.
조립선반(10)은 동일한 한 쌍의 어댑터(25,25)(도 1)를 포함한다. 어댑터는 제 1부재(26)와 제 2부재(27)(도 3 내지 5)로 구성된다. 한 쌍의 어댑터(25,25)의 각 제 1부재(26)는 일반적으로 단면이 U형태이고(도 5,7) 선택적으로 비교적 강성이 있는 금속판을 자르고, 구멍을 뚫어서 특정한 형상(도 3)으로 형성하여 만든다. 각 U형태의 제 1부재는 만곡한 벽(28) 및 다리(29.30)를 포함한다. 각 다리(29.30)는 비교적 곧은 전방모서리(31) 및 상방모서리(32) 및 하방모서리(33)를 포함한다. 벽(28)은 제 1부재(26)를 냉장고 내부(C)의 뒷벽(13)에 고정하기 위한 다수의 구멍(34)이 있다.
각 제 1부재(26,26)의 각 다리(29,30)에는 전방모서리(31)에 인접한 수직하고 평행한 안내면(41)이 있다. 각 안내면(41)은 일반적인 U형태의 단면(도 3,5,7)이고, 전방모서리(31)에서 가까운 제 1다리(42)와 제 2다리(43)로 구성되고 그 사 이에 만곡한 벽(44)이 있다. 다리(42,43)는 벽(44)에서 서로 벌어져있다. 각 안내면(41)의 가장 좁은 횡단거리(W)는 안내면(41)의 열린 방향으로 가면서 넓어진다. 다리부분(43)은 다리(29,30)의 중앙부(45)(도 3 내지 7)에 연결된다.
수직으로 배열된 다수의 슬롯(50)은 각 다리(29,39)의 중앙부(45)의 상방모서리(32)와 하방모서리(33) 사이의 길이를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각 슬롯(50)은 수직한 전방모서리(51) 및 수직한 후방모서리(52) 및 약간 구부러진 상방모서리(53)로 구성된다. 모서리(51,52)는 서로 평행하고 다리(29,30)의 전방모서리(31)와도 평행이다. 각 슬롯(50)의 하방모서리는 제 2부재(27)의 돌기 서포트(60)를 후술하는 방법으로 지지하는 수평의 지지모서리(54)를 포함한다. 구부러진 모서리(55)는 모서리(51)에서 모서리(54)로 뻗어있고 안내면의 만곡부(44)의 중앙지점에서 시작하여 융기한 부분(43)을 따라서 모서리(54)(도 3 내지 7)의 합쳐지는 부분(도면부호 없음)에서 끝난다.
제 1부재(26)의 다리(29,30)의 변환모서리(55)의 역할은 제 2부재(27)의 돌출 서포트가 안내면(41)에서 슬롯(50)의 아래쪽의 지지모서리(54)로 쉽게 들어가고 같은 방법으로 반대방향으로 쉽게 빠져 나오게 하여 제 2부재(27)를 제 1부재(26)에 대해 수직으로 미끄러지게 하여 선반(15)의 조립 또는 높이조절을 위한 것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대로, 어댑터(25)의 제 2부재(27)는 역시 단면이 일반적인 U형태이고, 역시 선택적으로 비교적 강성이 있는 금속판을 자르고, 구멍을 뚫어서 도 3,5의 형상으로 만든다. 각 제 2부재(27)는 만곡한 벽(68) 및 평행한 단부모서리(71,72)로 구성된 서로 좁아지고 마주보는 수평인 다리(69,70)를 포함한다. 단부모서리(71,72)는 수직으로 배열된 다수의 구멍(73)(도 4,5)이 있고 이 구멍으로 사출 성형된 중합 플라스틱 소재가 통과하여 단부(71,72)의 외면에는 미끄럼 부재(74)(도 3)를 단부(71,72)의 내면에는 확장된 머리(75)(도 5)를 형성한다. 슬롯(81,82)(도 3,5)은 제 2부재(27)의 만곡한 벽(86)에 형성되어 선반(15)의 갈고리(21,22)를 수납한다. 핀 또는 돌기(60)는 안내면(41)의 가장 좁은 폭(W)에서 최대 폭으로 증가하는 최대 직경(D)(도 5)을 가지고 있고 미끄럼 부재(74)가 제 1부재(26)의 다리(29,30)의 내면에 구속되었을 때 수직 미끄럼 운동을 가능하게 한다. 이는 도 5,7에 잘 나타나 있다.
도 5에 도시된 대로, 제 2부재(27)의 서로 반대방향으로 난 돌기(60)는 최대 유효거리(D1)만큼 떨어져있고 이 거리는 안내면(41)의 만곡부(44) 사이의 유효거리(D2)보다 다소 작은 거리이다. 거리(D1,D2)의 약간의 차이로 인하여, 돌기 서포트(60)는 안내면(41)사이를 용이하고, 쉽게, 수직으로, 상방으로, 하방으로 움직인다. 따라서, 제 1부재(26)의 초기 설치 후에, (26)는 냉장고 내부(C)의 뒷벽(13)에 슬롯(50)으로 고정되고, (50)는 수평으로 놓여지고, 돌기(60)는 상방 또는 하방으로부터 안내면(41)에 들어갈 수 있다. 이는 갈고리(21,22)를 제 2부재(27)의 상대되는 슬롯(81,82)에 최초로 거는 경우이며, 제 1부재의 위 또는 아래로부터 제 2 부재를 동시에 안내한다. 선반(15)은 갈고리(21,22)를 제 2부재(27)의 슬롯(81,82)에 걸 필요는 없고 제 2부재(27)는 안내면(41)으로 제 1부재(26)에 동시에 또는 각각 들어가서 수평으로 놓인다. 제 2부재(27)는 단순히 제 1부재(26)의 만곡한 벽(28)쪽으로 밀어 넣어진다. 제 2부재(27)가 밀어 넣어지면서, 돌기(60)는 한 쌍의 슬롯(50)의 상방모서리(53) 및 또는 하방모서리(55)에 구속되고 아래로 안내된다. 마주보는 각각의 제 1부재(26)의 안내면(41)의 다리부분(43)이 다리(29,30)의 전방모서리(31)로부터 만곡한 벽(43)쪽으로 가면서 서로 좁아진다. 따라서 돌기(60)가 안내면(41)(도 5)으로부터 넣어질 때, 좁아지는 벽(43)(도 5)의 좁아지는 모서리(55)를 따라서 돌기(60)가 안쪽으로 움직일 때, 돌기(60)는 안내면(41)의 만곡한 벽(44)사이의 거리(D2)로부터 인접한 지지모서리(54)사이의 최대거리(D3)로 점진적으로 들어간다. 이런 조립방법에서 변환모서리(55)(도 7) 및 수평으로 인접한 슬롯(50) 및 다리(29,30)로 구성된 제 1부재(26)가 안내면(41)에서 돌기(60)를 접하고 안내하게 되고, 안내면(41)의 지지모서리(54)(도 4,7)로부터 빼내서 분해한다.
방금 설명한 선반(15)의 높이조절 중에, 고정된 제 2부재(27)가 슬롯(50) 및 안내면(41)에서 움직일 때, 선반(15)은 제 2부재(27)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지 않거나 제 2부재(27)가 제 1부재(26)에서 완전히 분해되지 않는다. 따라서, 선반(15)의 높이조절 중에, 제 2부재(27)에 연결되었을 때, 선반(15)이, 위에 물건이 있거나 없거나, 부주의로 떨어지거나 기울어지지 않는다. 왜냐하면, 높이조절 중에 돌기(60)가 제 1부재(26)의 슬롯(50) 또는 안내면(41)과 항상 접해있기 때문이다. 돌기 (60)는 상대되는 안내면(41)을 따라서 오직 상하로만 움직이므로 선반(15)은 풀어지면 밑으로 내려오고, 세 돌기(60) 모두가 안내면(41)에서 풀어질 경우만, 선반(15)은 냉장고 바닥까지 떨어지는데 이런 경우는 후술하는 이유로 사실상 불가능하다.
도 6은 선반(15')이 제 2부재(27)에 상방으로부터 결합된 직후의 위치를 도시한다. (27)는 상대되는 제 1부재(26)에 삽입되고, (26)의 안내면(41)에는 돌기(27)가 있다. 제 2부재(27)의 가장 위에 있는 돌기(60)가 제 1부재(26)의 상방모서리(32) 근처에 있으면 선반(15')은 풀리거나 떨어지게 된다. 선반(15)은 외팔보 형태이므로, 위에 물건이 없더라도, 자체중량(Wt)(도 6)으로 아래로 움직여서 수직방향 축운동 및 회전운동 효과를 낸다. 즉, 선반(15)이 상단의 정해진 위치로부터 이탈하면, 자체중량(Wt)에 작용하는 중력으로 수직 추락을 시작하지만, 선반(15)이 외팔보 형태이므로, 반시계방향으로 축 회전하여 도 6에 경로(A)의 곡선으로 도시한 것처럼 기울어진다. 상단 돌기(60)는 안내면(41)의 전방다리부분(42)에 걸려서 지지되고, 하단 돌기(60)는 안내면(41)의 후방다리부분(43)에 걸려서 지지된다. 슬롯(50)이 안내면(41)의 만곡부(44)로 돌출하지 않았다면, 상하단 돌기(60)가 안내면(41)의 전후방다리부분(42,43)에 약간 걸려서 선반(15')은 아래로 계속 미끄러져 내려와서 바닥에 닿는다. 그러나 슬롯(50)에는 안내면(41)의 중간부분(44)에서 시작되는 모서리(55)(도 4,5)가 있어서, 돌기(60)(도 6)가 결국 슬롯(50)에 도달하고, 내부 다리(43)가 결여되어, 돌기(60)가 변환모서리(55)의 안내로 점차 수평으 로 놓인 슬롯(50)으로 들어간다. 도 6에 도시된 대로, 변환모서리(55)는 하단 돌기(60)를 수평의 지지모서리(54)까지 안내한다. 따라서 선반(15')은 제 1부재(26)가 제 2부재(27)로부터 이탈하는 염려 없이 원하는 대로 안내면(41)을 따라서 높이조절을 할 수 있다. 이는 최악의 경우에 중요한 기능이다. 선반(15')은 제 1부재(26)로부터 떨어지지 않고, 도 6에 도시된 정도보다 나쁘지 않게 기울어질 것이다. 후자는 물건이 선반(15') 위에 있을 때도 일어날 수 있고, 사용자는 양손으로 동시에 선반(15')과 그 위의 물건을 붙잡아서 물건이 떨어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구성된 또 다른 새로운 냉장고 조립선반이 도 8 내지 10에 일반적으로 참조번호(10")으로 도시되었다. 냉장고 조립선반(10")의 모든 구조와 부품은 도 1 내지 5의 냉장고 조립선반(10)과 동일한 참조번호에 (")를 붙여 표기되었다.
냉장고 조립선반(10")은 두 개의 금속 지지대(17")가 있는 선반(15")을 포함한다. 선반부재(18")는 강화유리로 만들고 사출성형으로 밀봉된 테두리 또는 주변부(20")로 지지대와 접합된다. 후자는 제 1부재(26")에 걸고, 빼고, 높이조절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조립선반(10")은 조립선반(10)과 유사하고, 다른 점은 분리된 제 2부재(27) 대신에 다른 한쪽이 도시되지 않은 선반지지대(17")가 있고, 제 2부재(90)가 선반지지대(17")의 일부를 구성한다(도 8). 선반지지대(17")는 길게 갈라지고, 구멍이 나지고, 잘라져서 상방다리(91), 중방다리(92), 하방다리 (93)로 구성된다.
상하방다리(91,93)는 선반지지대(17")의 수직면의 한쪽으로 떨어져있고, 중방다리(92)는 반대방향으로 같은 거리만큼 떨어져있어서 위에서 보면 전체적으로 U형태이다(도 9). 다리(91 내지 93)는 돌기(94 내지 96)를 포함한다. 돌기(94,96)는 돌기(95)와 반대 방향으로 나있다(도 9). 돌기(94,95; 95,96)사이의 수직거리는 제 1부재(26")의 슬롯(50")사이의 수직거리와 같다.
선반(15)의 경우와 같이, 선반(15")은 위와 아래로부터 돌기(94 내지 96)의 안내를 받으며 안내면(41")(도 9)을 따라서 제 1부재(26")에 수납할 수 있고, 돌기(94 내지 96)는 원하는 슬롯(50")에 위치한다(도 10). 조립선반(10,10")은 구조적으로 및 기능적으로 하나의 금속조각으로 된 선반지지대(17")와 제 2부재(90)를 제외하고 동일하다. 조립선반(10")의 전체적인 제작비용은 조립선반(10)의 비용보다 저렴하다.
본 발명에 의한 또 다른 조립선반이 도 11 내지 13에 참조번호(100)로 도시되었다. 조립선반(100)은 조립선반(10)과 비교하여 구조적으로 유사하고 기능적으로 동일하다. 사출성형 밀봉된 테두리 또는 주변부(120)의 뒤쪽 부분에 제 2부재(127)가 있고 이는 제 2부재(27)(도 3)와 기능이 동일하고 선반(150)의 높이조절을 위하여 제 1부재(26)에 수납된다. 조립선반(100)이 조립선반(10)과 다른 점은 선반 (150)에 선반지지대(16,17)에 해당하는 금속 지지대가 제거되었고, 사출성형 밀봉된 테두리 또는 주변부(120)의 뒷부분에서 강화유리로 된 선반부재(118)와 제 2부재(127)가 하나로 접합되었다. 주변부(120)는 다수의 구멍(181 내지 183)(도 13)을 통해 융합된 중합 소재로 사출성형 된다. 선반(150)의 모퉁이에 있는 제 2부재(127)에는 반대방향으로 나있는 돌기(160)가 있고, 돌기는 제 1부재(26)의 안내면(41) 및 슬롯(50)에 조립선반(10)에서 설명한 방법으로 결합된다.
본 발명에 의해 구성된 새로운 마지막 냉장고 조립선반은 도 14 내지 16에 참조번호(210)로 도시되었다. 조립선반(10)과 대등한 구조 및 기능의 조립선반(210)은 200으로 시작하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갖는다. 선반(215)의 강화유리로 된 선반부재(218)에 사출성형 밀봉된 테두리 또는 주변부(220)의 뒤쪽 모퉁이에는 밑으로 향한 비교적 강성있는 결합 갈고리(216)가 있고 이곳의 중앙 아래에는 얇고 유연한 감금탭(300) 및 감금쇠(305) 및 손가락탭(310)(도 15)이 있다. 각 갈고리(216)는 중합 합성플라스틱 소재로 성형된 제 2부재(227)의 전방벽(301)에 걸린다. 제 2부재(227)는 역시 중합 합성플라스틱 소재로 성형된 제 1부재(226)(도 14)에 결합되어 높이조절을 할 수 있다. 제 2부재(227)에는 한 쌍의 수직으로 일정한 거리를 두고 반대방향으로 난 돌기(260)(도 15,16)가 있고 이 것은 제 1부재(226)의 마주보는 다리(229.230)(도 14) 방향으로 열린 안내면(241)(도 14,15)의 내부에서 미끄러진다. 각 다리(229,230)에는 전방 플랜지(231)가 있고 플랜지(231)는 서로 마주보고 있으며 제 1부재(226)의 전체 수직 길이로 뻗어있는 안내면(241)의 한쪽 을 구성한다. 각 다리(229,230)는 주형으로 성형되고 슬롯(50)의 구조에 해당하는 면과 모서리로 이루어진 다수의 슬롯(250)으로 구성되며 같은 참조번호(252 내지 255)로 되어있다.
제 2부재(227)의 돌기(260)는 제 1부재(226)의 슬롯(250)에 결합하고, (226)는 상기 네 경우처럼 도 1 내지 7에 도시된 대로 어댑터(25)의 제 1 및 제 2부재(26,27)와 관련된 작동방법을 따른다. 명백히, 두 방법 사이의 주요 차이점은 슬롯(50)이 다리(29,30)에 "뚤린" 구조라면, 슬롯(250)은 "막힌"구조로서 다리(229,230)를 관통하지 않는다. 후자는 슬롯(250)이 다리(229,230)에서 보이지 않으므로 미관과 관련된 목적으로 선호된다. 더욱이 제 1부재(226)의 다리(229,230)의 외면은 비교적 평평하고 단일면으로 되어있어서 특히 다리(29,30)의 안내면(41)의 파상적인 외관보다 아름답다고 여겨진다. 그러나 두 조립선반(10,210) 모두 높이조절 및 도 6,7의 선반(15')에서 설명한 방법으로 부주의 또는 사고로 인한 선반추락을 방지하는데 동일한 기능을 가진다. 선반(215)의 경우, 도 14,15에 도시된 대로, 자체무게(Wt')로 축을 따라 시계방향으로 기울어지고, 돌기(260)가 안내면(241)에 있을 때, 상단 돌기(260)는 다리(229,230)의 전방 플랜지(231)에 접하고, 이는 선반(215)의 기울어짐을 제한하고, 하단 돌기(260)를 슬롯(250)에 들어가게 안내하여서, 선반(215)을 도 6의 선반(15')에 해당하는 상태가 되게 한다.
선반(215)의 갈고리(216)가 제 2부재(227)의 전방벽(301)에 걸리면 잠금탭 (300)의 잠금쇠(305)가 제 2부재(227)의 하부모서리(306) 아래에 걸려서 도 15에 도시된 대로 선반(215)이 부주의 또는 사고로 제 2부재(227)에서 빠지지 못하게 된다. 잠금기능은 단순히 갈고리(216)를 제 2부재(227)의 아래쪽으로 밀어 넣어서 원하기 전에 분리되는 것을 자동적으로 방지한다. 분리방법은 사람이 손가락탭(310)(도 15)을 왼쪽으로 밀어서 갈고리(216)가 제 2부재(227)의 벽(301)에서 분리되게 한다.
본 발명과 일치하는 것으로 생각되는 조립선반의 또 다른 새로운 냉장고 선반이 도 17에서 도시되고, 도면부호 (510)에 의해 일반적으로 지시된다. 상기 조립선반(10)의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응하는 조립선반(510)의 구성요소들은 동일한 것을 한정하여 기술하지 않고 동일한 구조를 식별하기 위해 (“500”)이 앞에 붙여진다. 예를 들면, 조립선반(10)의 경우에서처럼, 상기 조립선반(510)은 사출성형 밀봉에 의해 강화유리의 선반 부재 또는 패널(518)의 주위 변부(도면부호 없음), 미국 특허번호 5,362,149에서 개시된 방법과 일치하도록 형성된 테두리 또는 주변부에 일체화된 실질적으로 반대쪽으로 평행한 금속 선반 브래킷(516,517)에 의해 규정되는 선반(515)을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 조립선반(10)의 금속 지지 브래킷(16,17)과는 반대로, 상기 조립선반(510)의 각각의 금속 선반 브래킷(516,517)은 수직으로 이격된 지지 수단, 슬롯들 또는 수직 브래킷/선로(526)의 개구부(550)에 대하여 수직 단계 조정(vertical stepwise adjustment)에 영향을 주고, 상술된 제 1 선반 브래킷 부재(26)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대응하기 위하여, 래치 수단(latch means) 도는 핀 수단(pin means, 560)(도 17)을 최하부 단부 부분(도면부호 없음)에서 포함한다. 각각의 금속 선반 브래킷(516, 517)은 상기 선로(526,526)에 대하여 수직 상방 또는 수직 하방 조정을 하는 동안 상기 선반(515)의 어떠한 조정된 위치에서 측면 선반 움직임을 감속하기 위해, 상기 선로(526)의 선로 측벽(542,542)의 수직 말단 측면 단부 또는 벽들(531,531)과 밀접하게 미끄러지듯이 맞물리기 위한 측면 안정화 수단(539)(도 17)을 추가로 포함한다.
각각의 금속 선반 브래킷(516,517)은 매우 낮은 마찰 계수 및 양호한 미끄러움을 갖는 플라스틱 물질 블록 형태의 미끄럼 제공 수단(lubricity providing means, 540)(도 17)을 추가로 포함하며, 따라서 선로(526)(도 17) 각각의 측벽(542,542)에 대한 내측 수직 측면 변부 또는 벽들(531,531)과 밀접한 접촉 관계로 상기 미끄러짐 블록(540)이 미끄러질 때, 상기 선로(526,526)에 대하여 상방 또는 하방으로 상기 선반(515)의 미끄러짐 조정을 하는 동안 마찰력을 감소시킨다.
상기 핀 수단(560), 상기 안정화 수단(539) 및 상기 미끄러짐 수단(540)에 대한 세부적인 것뿐만 아니라, 그에 따라 수행되는 기능들이 “Vertically Adjustable Shelves and Refrigerator Compartment Housing the Same”이라는 명칭을 가진 출원인의 계속중인 출원에 완전하게 개신된다.
각각의 선로들(526,526)은 또한 상단 및 하단 벽(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하는 통상적인 냉장고(R1)(도 17)의 냉동실(C1) 또는 통상적인 신선한 과일 보관실에 대한 후벽(RW) 및/또는 통상적인 측벽(도시되지 않음)에 상기 선로(526,526)를 직접 고정하기 위한 수단(534)(도 19,20 및 21)을 포함한다. 도 17에서, 상기 구획(C1)의 후벽(RW)은 상기 상단 및 하단 벽들 사이의 전체 거리에 걸쳐 연장되거나 또는 진행되는 슬롯들(S,S)에 의해 형성되는 한 쌍의 통상적인 수직 선로(T,T)를 갖는다. 통상적인 냉장고에서, 고리를 갖는 선반은 상기 수직 선로(T,T) 각각의 슬롯(S,S) 쌍 내에 한 쌍의 선반 브래킷 개개의 고리를 걸도록 함으로써 상기 구획(C1) 내에서 수직으로 조정된다. 그러나 만약 통상적인 선반이 그 위에서 지지되는 제품(도시되지 않음)과 함께, 상기 선로(T,T)에 상대적으로 조정되고, 상기 선반이 경사지거나 또는 떨어진다면, 제품 파괴/엎질러짐이 쉽게 발생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통상적인 선로(T,T)와 결합된 본 발명의 선로(526,526)를 이용함으로써, 도 6 및 거기서 도시된 조립선반(10)에 대하여 지금까지 한정하여 기술된 것에 대응하는 조립선반(510)의 동작에 의한 선반 조절에 부수하는 그와 같은 불시의/우연한 피해가 배제되어진다. 앞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선로(526,526)는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가 더 짧게(9"-12") 또는 더 길게(12"-24") 될 수 있으며, 상기 구획(C1)의 상단 및 하단 사이의 전체 거리에 길이 면에서 실질적으로 대응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에서, 선로(T,T)를 갖는 어떠한 통상적인 냉장고 구획(C1)은 지금까지 기술된 장점들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조립선반(510)과 함께 이용하도록 쉽게 전환되어질 수 있다.
냉장고 구획의 상단 및 하단 벽은 상기 냉장고(R1) 구획(C1)의 최상부 또는 최하부 내측 벽일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상단 벽은 상부의 분리되어 앞쪽에서 접근할 수 있는 냉동실(도시되지 않음)의 하단 벽이 될 수 있으며, 반면에 하단 벽은 내측 도어가 미끄러짐으로써 접근되어지는 내측 야채실의 상부 벽이 될 수 있다. 사실, 상기 구획(C1)은 통상적인 신선한 과일 보관실 구획 또는 냉동실 구획에 대한 주요한 부피에 대해 도시하며, 여기서 하나 이상의 선반들(515)은 상기 선로(526,526)의 적당한 길이를 적절하게 선택함으로써 어떤 요구되는 수직 거리를 통해 상기 선로(526,526) 내에서 수직 거리 조절을 위해 장착되어질 수 있다.
각각의 브래킷, 선로 브래킷 또는 선로(526,526)는 일반적으로 U자형횡축 단면(도 21)을 가지며, 선호적으로 도 21에서 잘 도시되는 특정한 구조로 찍어지고(stamped), 메워지며(blanked), 형성되는(formed) 상대적으로 단단한 금속 시트 물질로 선호적으로 구성된다. 각각의 U자형 선로는 만곡 벽 또는 만곡 부분(528) 및 반대쪽 다리 또는 다리 부분(529,530)을 포함한다. 각각의 다리(529,530)는 상대적으로 직선인 전방 변부 또는 변부 부분(531), 상단 변부 또는 변부 부분(532) 및 하단 변부 또는 변부 부분(533)을 포함한다. 개개 선로(526)의 만곡 부분 또는 벽(528)은 상기 구획(C1)의 통상적인 선로(T,T)의 슬롯(S,S) 내에 선택적인 수직 위치에서 상기 선로를 고정하기 위한 다수의 수직으로 이격된 수단(534)(도 19 내지 21)을 갖는다. 상기 고정수단(534)은 개개 상기 선로(526,526)의 만곡 부분 또는 벽(528)의 물질로 형성되고 주조되는(struck) 하방으로 열린 고리에 의해 각각 규 정되어진다. 상기 고리들(534)은 도시된 구획 선로(T)에 대한 한 쌍의 수직으로 이격된 슬롯들(S)에 걸리도록 도 20에서 잘 도시되어진다. 분명히 도 20의 선로(526)는 상기 선로(526)의 분리 및 연속된 조정에 영향을 주기 위해 상기 슬롯(S)에 상대적으로 상기 고리(534)를 제거하도록 들어올려질 수 있고, 그와 같은 것은 필수적이거나 또는 요구되어져야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을 유지하는 경우, 그것의 의도는 상기 선로(526,526)가 위치되는 구획(C1) 내에 정확한 위치를 최종 사용자가 먼저 선택하고, 곧이어 상기 선로(526,526)를 그 곳에 고정하며, 그 이후에 도 6에서 도시되고 지금까지 기술된 방식으로 래치 슬롯 또는 개구부(550) 및 상기 핀 수단(560)(도 17)에 의해, 상기 구획(C1) 내의 하나 이상의 선반들(515)의 조정에 영향을 준다.
최종 사용자는 예를 들면 다량의 물주전자, 우유 상자, 직립한 와인 병들과 같은 매우 키가 큰 항목들을 지지하기 위해 상기 구획(C1)의 하단 벽을 이용하기를 바랄수도 있다. 그와 같은 경우에,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의 선로(526,526)가 최상부 선반(515) 및 상기 구획(C1)의 상단 벽 사이의 상대적으로 편평하거나 또는 키가 작은 제품 및 상기 2개의 선반(515,515)들 사이의 유사한 키가 작은 제품들을 지지하기 위해 2개의 선반(515)과 결합되어 구획(C1)의 상부 부분에서 이용되어질 수 있다. 만약 다소 더 긴 선로(526,526)가 이용된다면, 3개의 그와 같은 선반들(515)은 그들 사이에 결합되어 이용될 수 있다. 요구되는 길이의 상기 선로(526,526)를 적당하게 선택함으로써, 최종 사용자는 본 발명의 조립선반(510)으로 통상적인 냉장고(R)의 통상적인 선로 시스템(T,T)을 전환하도록 요구되는 조정 길이 및 선반의 수를 결정할 수 있다.
각각의 선로(526,526)는 후자로-식별되는 계속중인 출원의 정지 고리(270)에 대응하는 다수의 수직으로 이격된 내측 방향 정지장치 또는 돌출부(도 19 내지 21)를 포함한다. 상기 정지장치 또는 돌출부의 목적 및 기능은 상기 정지 고리(270)에 대하여 기술되는 기능에 동일하게 반응하며, 그것의 전체 설명은 참조로써 이곳에 통합되어진다. 그러나 그것의 주요한 목적은 선반(515)이 우연히 또는 불시에 벗겨졌을 때 상기 선반(515)이 수직 하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주로 돌출부(protrusion), 정지장치, 핑거 및 융기(projections)의 수 및 수직 거리에 의존하는 증가 움직임에 그와 같은 움직임을 제한하는 것이다.
상기 선로(526)는 또한 상기 선반(515)의 불시의 또는 우연한 하방 움직임을 유사하게 배제하기 위한 최하부 수단을 규정하는 말단 또는 최하단 수단(570')을 포함하고, 그것의 하단을 통해 상기 선반(515)이 상기 선로(526,526)를 빠져나가는 것을 추가적으로 방지한다. 다른 식으로 제공되지 않는다면, 비록 마지막 정지장치(570)가 상기 선로(526) 각각의 최하단 단부에 즉시 제공될 지라도, 만약 상기 핀들(560)이 마지막 정지장치(570) 아래 지점에서 상기 슬롯들(550)과 걸리지 않는다면, 선반(515)은 상기 선로(526,526)의 하단 단부를 불시에 또는 우연히 빠져나간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큰 내측방향 핑거, 융기, 플랜지 또는 서로 반대되는 탭들 형태로 상기 정지 수단(570')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선반(515)의 하강 및 상기 선로(526)로부터 그것의 아래쪽 빠져나옴은 상기 미끄럼 블록(540) 및 상기 탭, 융기 또는 노즈들(noses, 570') 사이의 접촉에 의해 확실히 배제되어진다. 그러나 상기 미끄럼 블록(540)들이 없을 때조차도, 상기 정지 탭들 또는 핑거들(570') 사이의 거리는 상기 선로 브래킷(516,517)의 하부 변부(도면부호 없음)가 그들 사이를 통과하고, 동일한 것을 접하게 되며, 따라서 상기 선로(526,526)를 하방으로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할 것이다.
비록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이곳에서 특정적으로 기술되고 설명되지만, 작은 변화들이 첨부된 청구항들에 의해 규정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고 상기 장치 내에서 만들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제 1 및 2부재로 구성된 새로운 형태의 어댑터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의해 구성된 선반은 종래기술에 의한 선반의 문제점을 제거하여 쉽고 안전하게 높이조절을 할 수 있다.

Claims (29)

  1. 수직 선로(vertical trackway)를 규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선택적인 수직 조정(selective vertical adjustment)을 제공하기 위한 브래킷장치(bracket)로서,
    상기 수직 선로는 상기 수직 선로를 따라 선택적으로 걸리도록 만들어진 이동 부재(travel means)를 갖는 선택적으로 래치되는 장치(selectively latching engagement)에 대한 다수의 수직으로 이격된 래치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선로는 상기 선로 래치 수단이 벗겨진 후에 이동 부재(travel member)의 요구되지 않는 하방 수직 이동을 멈추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며, 따라서 상기 이동 부재의 불시의/우연한 하방 이동거리가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인 수직 조정을 제공하기 위한 브래킷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 장치는 선로 래치 수단이 벗겨진 후에 상기 이동 부재의 요구되지 않는 하방 수직 이동을 멈추기 위한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먼저 언급된 추가적인 멈춤 수단은 서로 수직으로 이격된 관계(vertically spaced relationship)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인 수직 조정을 제공하기 위한 브래킷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 장치는 선로 래치 수단이 벗겨진 후에 상기 이동 부재의 요구되지 않는 하방 수직 이동을 멈추기 위한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먼저 언급된 추가적인 멈춤 수단은 서로 수직으로 정렬된 이격 관계(vertically aligned spaced relationship)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인 수직 조정을 제공하기 위한 브래킷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로는 이동 부재에 의해 그것을 따라 수직 하방 이동을 위한 방해되지 않는 수직 경로(unobstructed vertical path)를 규정하며, 상기 멈춤 수단은 이동 부재에 의해 접하게 되는 수직 이동경로를 따라 방해면(obstruction surface)을 규정하고, 따라서 그것의 불시의/우연한 하방 이동을 멈추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인 수직 조정을 제공하기 위한 브래킷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선로는 미리 결정된 사이 각을 규정하는 2개 이상의 늘어난 벽을 포함하고, 제 1 상기 벽은 상기 다수의 수직으로 이격된 래치 수단을 포함하며, 제 2 상기 벽은 상기 멈춤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인 수직 조정을 제공하기 위한 브래킷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선로는 2개 이상의 늘어난 다리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수직으로 이격된 래치 수단은 상기 2개의 늘어난 다리의 부분에 의해 규정되며, 상기 멈춤 수단은 상기 다리 사이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 적인 수직 조정을 제공하기 위한 브래킷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선로는 2개 이상의 늘어난 다리 및 그들 사이에 있는 늘어난 만곡 벽(bight wall)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수직으로 이격된 래치 수단은 상기 2개의 늘어난 다리에 의해 규정되며, 상기 멈춤 수단은 상기 만곡 벽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인 수직 조정을 제공하기 위한 브래킷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선로는 2개 이상의 늘어난 다리 및 U자형 횡축 단면 구조(U-shaped transverse cross-section configuration)를 규정하는 그들 사이의 늘어난 만곡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수직으로 이격된 래치 수단은 상기 2개의 늘어난 다리에 의해 규정되며, 상기 멈춤 수단은 상기 만곡 부분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인 수직 조정을 제공하기 위한 브래킷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장치는 상기 선로의 최하부 단부를 향한 이동 부재의 수직 하방 움직임에 의해 상기 선로에 상대적인 이동 부재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인 수직 조정을 제공하기 위한 브래킷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장치는 냉장고 구획 내에 상기 선로를 고정하 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인 수직 조정을 제공하기 위한 브래킷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로는 이동부재에 의한 수직 하방 움직임을 위해 방해되지 않는 수직 이동경로를 규정하고, 상기 멈춤 수단은 방해되지 않는 수직 이동경로로 융기되는 돌출부(protrusio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인 수직 조정을 제공하기 위한 브래킷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로는 이동부재에 의한 수직 하방 움직임을 위해 방해되지 않는 수직 이동경로를 규정하고, 상기 멈춤 수단은 방해되지 않는 수직 이동경로로 융기되는 딤플(dimpl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인 수직 조정을 제공하기 위한 브래킷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로는 이동부재에 의한 수직 하방 움직임을 위해 방해되지 않는 수직 이동경로를 규정하고, 상기 멈춤 수단은 방해되지 않는 수직 이동경로로 융기되는 탭(tap)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인 수직 조정을 제공하기 위한 브래킷장치.
  1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선로는 이동부재에 의한 수직 하방 움직임을 위해 방해되지 않는 수직 이동경로를 규정하고, 상기 처음 언급된 추가적인 멈춤 수단은 방해되지 않는 수직 이동경로로 융기되는 돌출부(protrusio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인 수직 조정을 제공하기 위한 브래킷장치.
  1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선로는 이동부재에 의한 수직 하방 움직임을 위해 방해되지 않는 수직 이동경로를 규정하고, 상기 처음 언급된 추가적인 멈춤 수단은 방해되지 않는 수직 이동경로로 융기되는 딤플(dimpl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 선택적인 수직 조정을 제공하기 위한 브래킷장치.
  1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선로는 이동부재에 의한 수직 하방 움직임을 위해 방해되지 않는 수직 이동경로를 규정하고, 상기 처음 언급된 추가적인 멈춤 수단은 방해되지 않는 수직 이동경로로 융기되는 탭(tap)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인 수직 조정을 제공하기 위한 브래킷장치.
  17.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장치는 상기 선로 래치 수단이 벗어진 후에 상기 이동부재의 원하지 않는 하방 수직 이동을 멈추기 위한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처음 언급된 추가적인 멈춤 수단은 서로 수직으로 이격된 관계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인 수직 조정을 제공하기 위한 브래킷장치.
  1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 장치는 상기 선로의 최하부를 향한 상기 이 동부재의 수직 하방 움직임에 의해 상기 선로에 상대적인 이동 부재의 분해를 배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인 수직 조정을 제공하기 위한 브래킷장치.
  1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 장치는 냉장고 구획 내에 상기 선로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인 수직 조정을 제공하기 위한 브래킷장치.
  2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선로는 이동부재에 의한 수직 하방 움직임을 위해 방해되지 않는 수직 이동경로를 규정하고, 상기 분해 배제수단은 이동부재가 나아갈 수 없는 수직 이동경로의 하부 단부 부분(lower end portion)에서 방해를 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인 수직 조정을 제공하기 위한 브래킷장치.
  2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선로는 이동부재에 의한 수직 하방 움직임을 위해 방해되지 않는 수직 이동경로를 규정하고, 상기 분해 배제수단은 이동부재가 나아갈 수 없는 수직 이동경로의 하부 단부 부분에서 방해를 규정하며, 상기 방해는 융기된 돌기(projection projecting)에 의해 규정되고, 이동부재로 나아가는 이동경로를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인 수직 조정을 제공하기 위한 브래킷장치.
  2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선로는 이동부재에 의한 수직 하방 움직임을 위해 방해되지 않는 수직 이동경로를 규정하고, 상기 분해 배제수단은 이동부재가 나아갈 수 없는 수직 이동경로의 하부 단부 부분에서 방해를 규정하며, 상기 방해는 융기된 한 쌍의 돌기(a pair of projection projecting)에 의해 규정되고, 이동부재로 나아가는 이동경로를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인 수직 조정을 제공하기 위한 브래킷장치.
  2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선로는 이동부재에 의한 수직 하방 움직임을 위해 방해되지 않는 수직 이동경로를 규정하고, 상기 분해 배제수단은 이동부재가 나아갈 수 없는 수직 이동경로의 하부 단부 부분에서 방해를 규정하며, 상기 방해는 융기된 한 쌍의 반대쪽 돌기(a pair of opposing projection projecting)에 의해 규정되고, 이동부재로 나아가는 이동경로를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인 수직 조정을 제공하기 위한 브래킷장치.
  2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적인 멈춤 수단은 상기 처음 언급된 멈춤 수단 아래에 놓여지고, 상기 추가적인 멈춤 수단은 상기 선로의 하부 단부 부분을 통해 이동부재의 하방 분해를 배제하는 위한 수단을 추가로 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인 수직 조정을 제공하기 위한 브래킷장치.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적인 멈춤 수단은 상기 방해되지 않는 수직 이 동경로로 융기되는 하나 이상의 핑거(at least one fing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인 수직 조정을 제공하기 위한 브래킷장치.
  26.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적인 멈춤 수단은 상기 방해되지 않는 수직 이동경로로 융기되는 한 쌍 이상의 핑거(at least a pair of fingers)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인 수직 조정을 제공하기 위한 브래킷장치.
  27.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적인 멈춤 수단은 상기 방해되지 않는 수직 이동경로로 융기되는 한 쌍 이상의 반대쪽 핑거(at least a pair of opposing fingers)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인 수직 조정을 제공하기 위한 브래킷장치.
  28.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적인 멈춤 수단은 상기 방해되지 않는 수직 이동경로로 융기되는 상기 선로 물질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핑거(at least one fing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인 수직 조정을 제공하기 위한 브래킷장치.
  29.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적인 멈춤 수단은 상기 방해되지 않는 수직 이동경로로 융기되는 상기 선로 물질로 형성되는 한 쌍 이상의 핑거(at least a pair of fingers)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인 수직 조정을 제공하기 위한 브래킷장치.
KR1020050068312A 2005-03-25 2005-07-27 수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선반 및 이것을 포함하는 냉장고구획장치 KR2006010306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088,949 2005-03-25
US11/088,949 US20050162055A1 (en) 2003-01-31 2005-03-25 Vertically adjustable shelves and refrigerator compartment hou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3064A true KR20060103064A (ko) 2006-09-28

Family

ID=35840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8312A KR20060103064A (ko) 2005-03-25 2005-07-27 수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선반 및 이것을 포함하는 냉장고구획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50162055A1 (ko)
EP (1) EP1707908A1 (ko)
KR (1) KR20060103064A (ko)
CA (1) CA2513477A1 (ko)
MX (1) MXPA0500799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08999A1 (en) * 2007-07-06 2009-01-15 Enodi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ing air within a display case
AU2012229877A1 (en) * 2011-03-11 2013-05-02 Greg ELSTON An adaptable bracket
US8757743B2 (en) * 2011-06-03 2014-06-24 General Electric Company Support system for use with an appliance
US8960827B2 (en) 2012-08-24 2015-02-24 Ssw Holding Company, Inc. Anti-tip and retention assembly for appliance support plate
US9783216B2 (en) * 2014-05-28 2017-10-10 Weber-Stephen Products, Llc Gas cylinder cart securable to gas grill
BR102015006334B1 (pt) * 2015-03-20 2022-09-13 Whirlpool S.A. Sistema de prateleira ajustável para aparelhos eletrodomésticos
CN114076437B (zh) * 2020-08-19 2022-10-28 青岛海尔特种制冷电器有限公司 自平衡可调搁物架装置及具有其的冰箱

Family Cites Families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9640A (en) * 1896-10-20 Shelving
USRE19798E (en) * 1935-12-31 Refrigerator structure
US948857A (en) * 1909-02-09 1910-02-08 Olcott Haskell Vertical-filing compressor.
US2573348A (en) * 1946-10-08 1951-10-30 Kenneth E Meadows Garment hanger support
US2644591A (en) * 1948-12-10 1953-07-07 Mcmahan Roy Franklin Shelving and partition support
US2841459A (en) * 1957-03-26 1958-07-01 Gen Motors Corp Vertically adjustable refrigerator shelves
US3004059A (en) * 1958-02-11 1961-10-10 Degussa Process for the recovery of omega-aminonitriles
US3172715A (en) * 1963-02-14 1965-03-09 Gen Motors Corp Adjustable refrigerator shelf
US3162416A (en) * 1963-05-27 1964-12-22 Amarillas Lorenzo Adjustable support
US3299839A (en) * 1965-10-14 1967-01-24 Nordbak Carl Shelf device
US3316044A (en) * 1965-10-14 1967-04-25 Gen Electric Apparatus for adjusting vertically spaced shelves
US3479974A (en) * 1967-08-07 1969-11-25 Hirsh Co Knockdown steel shelving
US3536015A (en) * 1968-12-16 1970-10-27 Gen Fireproofing Co The Shelf mounting
US3702137A (en) * 1970-06-04 1972-11-07 Aurora Equipment Co Latching mechanism
US3865337A (en) * 1971-12-27 1975-02-11 Rangine Corp Shelving arrangement or the like
US3888440A (en) * 1974-04-08 1975-06-10 Unistrut Corp Support arrangement
US4250815A (en) * 1978-08-04 1981-02-17 White Consolidated Industries, Inc. Cantilevered shelf and supporting means
US4901965A (en) * 1989-02-21 1990-02-20 Bowman Thomas C Continuous height adjustment wall standard and anchor assembly
US4934645A (en) * 1989-03-20 1990-06-19 Rtc Industries, Inc. Shelving assembly
CH678687A5 (ko) * 1989-06-23 1991-10-31 Fehlbaum & Co
US5088607A (en) * 1990-03-12 1992-02-18 Sara Lee Corporation Pull-out tray assembly for an integrated modular store fixture system
US5441338A (en) * 1991-03-07 1995-08-15 Donnelly Corporation Snap-on shelf
US5338137A (en) * 1992-02-28 1994-08-16 Jensen Richard H Adjustable decking system for use in supporting freight in a compartment
US5483902A (en) * 1993-09-14 1996-01-16 Grosch; Peter T. Adjustable work surface for computer stations
US5735222A (en) * 1994-02-18 1998-04-07 Webb; Sharon L. Vertically adjustable detachable keyboard tray
US5642924A (en) * 1996-02-29 1997-07-01 White Consolidated Industries, Inc. Shelf system for a refrigerator cabinet
DE19626416A1 (de) * 1996-07-01 1998-01-08 Takata Europ Gmbh Airbagmodul-Abdeckkappe
US6166032A (en) * 1997-02-07 2000-12-26 Synapse Pharmaceuticals International, Inc. Method for controlling tobacco use and alleviating withdrawal symptoms due to cessation of tobacco use
US5921411A (en) * 1997-06-09 1999-07-13 Merl; Milton J. Shelf assembly
US5913584A (en) * 1997-09-23 1999-06-22 White Consolidated Industries, Inc. Adjustable refrigerator shelf
US7048131B2 (en) * 1998-04-09 2006-05-23 Gay Kenneth F Open frame shelf assembly
US6065821A (en) * 1998-05-15 2000-05-23 Maytag Corporation Vertically adjustable shelf and support rail arrangement for use in a cabinet
US6584916B1 (en) * 1998-12-11 2003-07-01 Versatile Products Llc Support and related shelf
US6675725B2 (en) * 1998-12-11 2004-01-13 Versatile Products Llc Shelf and shelf support
US6196141B1 (en) * 1999-02-22 2001-03-06 Herron, Iii Warren L. Vertically stabilized adjustable shelf bracket assembly
US6227636B1 (en) * 1999-11-15 2001-05-08 Maytag Corporation Refrigerator shelf and serving tray assembly
US6962116B2 (en) * 2003-01-31 2005-11-08 Gemtron Corporation Refrigerator compartment housing vertically adjustable shelves
JP3919705B2 (ja) * 2003-06-27 2007-05-30 株式会社玉俊工業所 棚板等の受け具の基部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162055A1 (en) 2005-07-28
MXPA05007999A (es) 2006-09-25
CA2513477A1 (en) 2006-09-25
EP1707908A1 (en) 2006-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62116B2 (en) Refrigerator compartment housing vertically adjustable shelves
US7337730B2 (en) Vertically adjustable shelves and refrigerator compartment housing the same
KR20060103064A (ko) 수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선반 및 이것을 포함하는 냉장고구획장치
KR20060103063A (ko) 수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선반 및 이것을 포함하는 냉장고구획장치
US8881660B2 (en) Shelf assembly
US6582038B2 (en) Storage bin mounting system for a refrigerator door
US7270385B2 (en) Spill proof shelf assembly method and structure
US9752821B2 (en) Concealed vertical adjustment mechanism for kitchen appliance storage members
US5004305A (en) Refrigerator door shelves
US20140265803A1 (en) Shelf assembly for a refrigerator
WO2016187255A1 (en) Drawer system including cover
KR20040070075A (ko) 안전하게 미세 높이조절이 가능한 냉장고 조립선반
US9486078B2 (en) Shelf assembly
US2330044A (en) Storage pan for refrigerators
KR101461962B1 (ko) 냉장고
EP2629034A1 (en) Refrigerating apparatus for foodstuff products
US20130328473A1 (en) Storage container for a refrigerator appliance with supplemental storage features
CA2421903C (en) Mounting assembly for a refrigerator storage drawer
KR19980056574U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