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8349A - 구조화된 정보의 장면 표시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구조화된 정보의 장면 표시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8349A
KR20100008349A KR1020090063980A KR20090063980A KR20100008349A KR 20100008349 A KR20100008349 A KR 20100008349A KR 1020090063980 A KR1020090063980 A KR 1020090063980A KR 20090063980 A KR20090063980 A KR 20090063980A KR 20100008349 A KR20100008349 A KR 201000083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ene
structured information
attribute
updated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3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1092B1 (ko
Inventor
차지훈
이인재
임영권
이한규
홍진우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주식회사 넷앤티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주식회사 넷앤티비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EP09798099.9A priority Critical patent/EP2325767B1/en
Priority to CN2009801362242A priority patent/CN102216927B/zh
Priority to US13/054,337 priority patent/US20110145697A1/en
Priority to PCT/KR2009/003882 priority patent/WO2010008196A2/ko
Publication of KR20100008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83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10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10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1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for generating or manipulating the scene composition of objects, e.g. MPEG-4 obj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1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scene graphs, e.g. MPEG-4 scene graph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4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graphical data, e.g. 3D object, 2D graph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Image Generation (AREA)

Abstract

내부(internal) 또는 외부(external)에 존재하는 구조화된 정보(Structured Information)를 참조하여 프리젠테이션(presentation)을 수행하기 위한 규격을 정의하고, 상기 정의된 규격에 기초하여 구조화된 정보를 참조하여 장면을 표시하는 장면 표시 장치가 개시된다.
구조화된 정보, 프리젠테이션, XML, LASeR

Description

구조화된 정보의 장면 표시 장치 및 그 방법{DEVICE AND METHOD FOR SCENE PRESENTATION OF STRUCTURED INFORMA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구조화된 정보(Structured Information)를 액세스(access)하여 이를 기초로 프리젠테이션(presentation)을 수행하는 방법에 관련된다.
본 발명은 지식경제부 및 정보통신연구진흥원의 IT성장동력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 2006-S-082-03, 과제명: 맞춤시청형 DMB 기술개발].
구조화된 정보(Structured Information)의 프리젠테이션(presentation)과 연관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몇몇 접근법이 제안되고 있다.
첫 번째로는 스크립트(script)를 활용한 프로그램적 접근법이 있고, 두 번째로는 부가적인 정보를 프리젠테이션(presentation) 내에 정의하는 선언적(declarative)인 접근법이 있다.
스크립트를 활용한 프로그램적 접근은 구조화된 정보에 액세스(access)하기 위해 거의 무제한의 방법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매우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특정 스크립트 언어를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는 부담이 있고, 콘텐츠 저작자에게 스크립팅을 위한 특정 수준의 지식이 요구된다는 점에서 구조화된 정보를 프리젠테이션하기 위하여 활용한 LASeR 컨텐츠의 저작을 어렵게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적 접근은 선언적 언어인 LASeR를 사용함에 의해 발생하는 이점을 잘 활용할 수 없을 수 있다.
여기서, LASeR(Light Application Scene Representation)는 휴대폰 등과 같은 저사양 모바일 기기에 적합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규격으로, LASeR 컨텐츠 또는 LASeR 기반 시스템을 통해 무선포털, 모바일TV, 음악, 개인형서비스 등을 결합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며, 생생한 동적 효과, 대화식 인터페이스 등을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구조화된 정보를 프리젠테이션하기 위해, LASeR의 이점을 유지할 수 있는 선언적 접근법을 활용하는 것이 보다 효율적이다.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언어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특정 XML 데이터의 프래그먼트(fragment)를 식별하여 다른 문서에서 사용 가능하도록 하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대응하여 W3C(World Wide Web Consortium)에서는 Xpointer 프레임워크(framework)와 Xpath 언어와 같은 기술들을 개발하였다.
게다가,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에서는 상기 언급한 기술들을 이용하여 MPEG-21 프레임워크의 한 부분으로써 리소스들(resources)들의 프래그먼트의 식별과 관련된 표준을 개발하였다.
따라서, MPEG에 의해 정의된 표준들의 무결성을 유지하고, 새로운 해결책의 개발을 최소화하기 위해 이미 존재하는 표준을 이용하여 구조화된 정보에 액세스할 수 있는 기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특정 리소스(resource)를 참조하여 상기 특정 리소스에 포함된 구조화된 정보(Structured Information)의 프래그먼트를 적절히 포인팅(pointing)함으로써, 리치미디어(richmedia) 등에 상기 구조화된 정보를 포함시키지 않더라도 상기 구조화된 정보를 적절히 프리젠테이션(presentation)할 수 있는 기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면 표시 장치는 구조화된 정보(Structured Information)를 어드레싱하는 장면 표현 데이터를 파싱하는 파싱부 및 상기 장면 표현 데이터의 파싱 결과를 기초로 상기 구조화된 정보로부터 상기 구조화된 정보를 불러와 장면(scene)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특정 리소스(resource)를 참조하여 상기 특정 리소스에 포함된 구조화된 정보(Structured Information)의 프래그먼트를 적절히 포인팅(pointing)함으로써, 리치미디어(richmedia) 등에 상기 구조화된 정보를 포함시키지 않더라도 상기 구조화된 정보를 적절히 프리젠테이션(presentation)할 수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최근 멀티미디어(multimedia) 프리젠테이션(presentation)에 관한 메타데이터(medtadata) 표현(representation)을 위하여 MPEG-21 DID, MPEG-7, TV Anytime, DVB CBMS와 같은 다양한 구조화된 포멧(structured format) 표준들이 개발되어왔고, 널리 사용되고 있다.
유저(user) 환경에 기초한 적절한 컨텐츠를 준비하는 것은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중요한 열쇠 중 하나이다.
그리고, 메타 데이터가 대부분 텍스트(text) 정보로 구성되어 있다는 가정은 더 이상 항상 옳다고 볼 수 없다.
최근에는 더 효율적인 방식으로 미디어 소비자들과 커뮤니케이션하기 위해 이미지, 그래픽, 비디오나 오디오의 숏 클립(short clip)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자산이 메타 데이터로 사용되고 있다.
최근, 멀티미디어 서비스 디자이너들은 이러한 리소스(resource)들의 시공간적 구성과 유저의 입력에 기초한 정보의 인터랙티브(interactive)한 프리젠테이션에 관심을 집중하고 있다.
이 결과, 콘텐츠들과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인터랙티브한 리치미디어(richmedia)가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리치미디어는 많은 양의 구조화된 정보(Structured Information)를 포함할 수 있도록 개발되지 않았기 때문에, 메타 데이터가 포함된 리치미디어를 사용하는 것은 비효율적인 방법일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화된 정보를 적절히 프리젠테이션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특정 리소스를 참조하여 상기 특정 리소스에 포함된 구조화된 정보의 프래그먼트를 적절히 포인팅(pointing)함으로써, 리치미디어 등에 상기 구조화된 정보를 포함시키지 않더라도 상기 구조화된 정보를 적절히 프리젠테이션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에서는 아래와 같은 실시예들을 제안한다.
(a) 일관된 방법으로 구조화된 정보의 시공간적 표현 및 변경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조화된 정보에 액세스(access)하기 위한 메커니즘이 개시된다. 이와 관련하여 구조화된 정보의 특정 프래그먼트에 액세스하기 위해 구조화된 정보를 위한 포인터(pointer) 스킴(scheme)이 정의된다. 이때, 이 포인터 스킴을 "mpeg-pmsi() ((Presentation and Modification of Structured Information))스킴"으로 명명한다.
(b) 텍스트로 구성된 컨텐츠를 참조하기 위해 SVG tref 요소(element)를 이용한다.
(c) 특정 시간 간격으로 구조화된 정보의 업데이트를 확인하기 위한 LASeR externalReference 컨테이너 요소(container element)가 정의된다.
(d) 참조된(referenced) 구조화된 정보의 변화를 지시하기 위한 xmlUpdate 이벤트가 정의된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mpeg-pmsi() 스킴>
(1) 구조화된 정보의 프래그먼트들을 위한 포인팅 스킴으로서의 mpeg-pmsi() 스킴
mpeg-pmsi() 스킴은 LASeR 네임스페이스(namespace) 하에서 구조화된 정보의 프래그먼트를 어드레싱(addressing)하기 위해 XPointer 프레임워크(framework)와 함께 사용되도록 의도된다.
또한, mpeg-pmsi() 스킴에 의해 어드레싱된 엔티티(entity)들의 처리는 mpeg-pmsi() 스킴을 이용하는 노드(node)의 타입(type)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2) 신택스(syntax)
mpeg-pmsi() 스킴은 하기의 표 1에서 나타낸 EBNF 신택스로 정의될 수 있다.
PointerForStructuredInformation ::= PointerForStructuredInformationSchemeName "(" PointerForStructuredInformationSchemeData ")" PointerForStructuredInformationSchemeName ::= "mpeg-pmsi"
(3) 시맨틱스(semantics)
상기 표 1에서 PointerforStructuredInformationSchemeData는 W3C(World Wide Web Consortium) XPath 간략화 신택스(abbreviated syntax)를 따른다.
또한, mpeg-pmsi() 스킴은 원하지 않는 노드들로부터 주어진 노드-셋을 필터링(filtering out)하기 위한 XPath 프레디케이트(predicate)를 지원한다.
예컨대, 하기의 표 2는 Resource 요소의 ref 속성을 지시하는 표현을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Resource 요소는 'video_1'이라는 값의 title 속성을 갖는 Component 요소의 하위(child) 요소이다.
#mpeg-pmsi(Component[@title='video_1']/Resource/@ref))
(4) 예제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조화된 정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리젠테이션 정보에서 mpeg-pmsi() 스킴이 활용된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살펴보면, 도면부호 210은 도 1에 도시된 구조화된 정보들 중 도면부호 110이 지시하는 텍스트 정보를 어드레싱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구조화된 정보들 중 특정 프래그먼트(110)를 불러오기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젠테이션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상에서 mpeg-pmsi() 스킴을 이용하여 특정 프래그먼트(110)를 포인팅(210)할 수 있다.
<SVG tref 요소>
(1) 제안사항
보통, 구조화된 정보를 표현하는데 있어, XML 데이터에 존재하는 특정 텍스트 정보가 많이 참조되곤 한다.
피참조되는 XML 데이터 등으로부터 텍스트 정보를 검색하기 위해 xlink 속성(attribute)을 갖는 SVG tref 요소가 요구된다. SVG(Scalable Vector Graphics)는 2차원 그래픽을 표현하기 위해 XML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언어를 의미한다. tref(text reference)는 구조화된 정보에 포함된 텍스트를 참조하기 위해 사용되며, SVG는 tref를 통해 참조한 텍스트를 어떻게 표현할지를 나타낸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SVG tref 요소를 제안한다. SVG tref 요소는 [W3C SVG11]의 하위 조항(subclause) 10.6에 정의되어 있다.
(2) 예제
도 2의 도면부호 210을 살펴보면, 프리젠테이션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가 mpeg-pmsi() 스킴을 이용하여 도 1의 구조화된 정보들 중 도면부호 110이 지시하는 텍스트 정보를 포인팅할 수 있도록 SVG tref 요소가 이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구조화된 정보를 포함하는 XML 데이터로부터 텍스트 정보를 참조하는 경우, 장면 표현 데이터의 SVG tref 요소와 mpeg-pmsi() 스킴을 이용하도록 제안한다.
<LASeR externalReference 요소>
(1) 제안사항
구조화된 정보는 그 특성에 의해 시간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예컨대, DVB CBMS에 의해 표현되는 전자 서비스 가이드(Electronic Service Guide: ESG)는 방송되는 프로그램의 스케줄의 변화를 반영하여 규칙적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따라서, 구조화된 정보를 프리젠테이션함에 있어서, 구조화된 정보의 업데이트를 반영할 수 있는 메커니즘이 필요하다.
이와 관련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특정 시간 간격으로 구조화된 정보의 업데이트를 식별할 수 있는 새로운 컨테이너 요소인 LASeR externalReference를 제안한다.
LASeR externalReference에 대한 요소 네임과 속성들은 하기의 표 3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Element name Attributes
externalReference Id updateInterval security
(2) 시멘틱스
LASeR externalReference 요소는 updateInterval 속성에 따라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되는 모든 요소들을 포함하는 컨테이너 요소이다.
만약, 이 요소가 어떠한 외부 레퍼런스(reference)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updateInterval 속성은 무시된다. 따라서, updateInterval 속성은 단지 mpeg-pmsi() 스킴과 함께 URI를 위해 사용된다. 다른 URI의 처리과정은 updateInterval 속성 값과 관계없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externalReference 요소는 하위 요소(children)를 허용한다.
(3) 속성
(a) lsr:updateInterval
updateInterval 속성은 해당 요소에 포함되는 모든 요소 및 속성에 대한 업데이트 간격을 의미한다. 이때, updateInterval 속성은 "none", "free", "<Clock-value>"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먼저, updateInterval 속성이 "none"인 경우, "none" 값은 구조화된 정보를 단지 한번만 확인할 것을 지시한다. 즉, 구조화된 정보가 업데이트 되었는지 여부를 다시 확인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updateInterval 속성이 "free"인 경우, "free" 값은 임의로 구조화된 정보의 업데이트 여부를 확인할 것을 지시한다. 즉, "free" 값은 프리젠테이션(presentation의 저자(author)가 구조화된 정보의 업데이트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간격을 설정하는 것이 아니라, 장치 구현자의 재량에 따라 임의의 간격에 구조화된 정보의 업데이트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의미한다.
updateInterval 속성이 "<Clock-value>"인 경우, 이는 지정된(predetermined) "<Clock-value>" 간격으로 구조화된 정보의 업데이트 여부를 확인할 것을 지시한다. 이때, "<Clock-value>" 값은 0보다 커야 한다. 즉, updateInterval 속성이 "<Clock-value>"인 경우, 프리젠테이션(presentation) 의 저자는 합리적으로 구조화된 정보의 업데이트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간격을 설정해야 한다.
(b) security
security 속성은 참조된 리소스 상에서 허용된 업데이트의 타입을 제어한다. security 속성은 ISO/IEC 14496-20의 하위조항 6.8.53에 정의되어 있다.
(4) 예제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리젠테이션 정보에서 LASeR externalReference 요소가 활용된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의 도면부호 310을 살펴보면, updateInterval이 "600"으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설정된 간격에 따라 mpeg-pmsi() 스킴을 기초로 참조되고 있는 구조화된 정보에 대한 업데이트 여부를 확인하여 장면을 업데이트한다.
<xmlUpdate 이벤트>
(1) 제안사항
구조화된 정보는 특정 프리젠테이션에서만 참조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구조화된 정보는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결과로 그 내용이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구조화된 정보가 다양하게 참조됨으로 인해, 구조화된 정보는 수정 또는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프리젠테이션 엔진에서 참조되는 구조화된 정보의 변경을 알릴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이와 관련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구조화된 정보의 변경을 식별할 수 있는 xmlUpdate 이벤트(event)를 제안한다.
xmlUpdate 이벤트에 대한 상세한 사항은 하기의 표 4로 나타낼 수 있다.
Event name Namespace Description Bubble Canc.
"xmlUpdate Um:mpeg:mpeg4:laser:2005 Informs the update of Structured Information referenced by the presentation engine No No
(2) IDL 정의
xmlUpdate 이벤트는 하기의 표 5에서 나타낸 IDL(Interface Definition Language)로 정의될 수 있다.
Interface xmlUpdateEvent : LASeR Event { readonly attribute DOMString resourceURL ; readonly attribute DOMString updatedValue ; } ;
(3) 속성
(a) resourceURL
resourceURL 값은 mpeg-pmsi() 프래그먼트를 포함하는 업데이트된 외부 리소스 URL을 식별한다.
(b) updatedValue
updatedValue 값은 리소스 URL이 포인팅하는 업데이트된 값을 의미한다.
(4) 예제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리젠테이션 정보에서 xmlUpdate 이벤트가 활용된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의 도면부호 410은 mpeg-pmsi() 스킴을 이용하여 외부 리소스의 구조화된 정보를 참조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면부호 420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xmlUpdate 이벤트를 이용하여 도면부호 410에서 참조한 구조화된 정보가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구조화된 정보가 변경된 경우, handler를 통해 변경된 구조화된 정보가 다시 참조되도록 함으로써, 변경된 장면을 표시한다.
이상, 외부 리소스의 구조화된 정보를 참조하여 프리젠테이션을 수행하기 위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앞서 제안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구조화된 정보를 이용하여 장면을 표시하는 장면 표시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면 표시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장면 표시 장치(510)는 파싱부(511) 및 표시부(512)를 포함한다.
파싱부(511)는 구조화된 정보를 어드레싱하는 장면 표현 데이터를 파싱(parsing)한다. 이 때, 구조화된 정보는 어떤 사항을 표현할 것인가를 특정하는 메타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구조화된 정보는 MPEG-21, DID, MPEG-7으로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장면 표현 데이터는 구조화된 정보를 어떻게 표현할 것인가를 나타내는 장면 설명 스킴(Scene Description Scheme)을 의미할 수 있다. 장면 표현 데이터는 BIFS, LASeR로 나타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LASeR 포맷이 적용될 수 있다.
표시부(512)는 상기 장면 표현 데이터의 파싱 결과를 기초로 상기 구조화된 정보를 불러와 장면을 표시한다.
앞에서 이미 언급했듯이, LASeR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규격으로, 모바일 폰과 같은 리소스가 제한적인 디바이스에 대용량의 미디어 서비스(Rich Media)를 표현(Representation)하고 전송(Delivering)하기 위한 장면 설명 포맷(Scene Description)으로 정의된다. 즉, LASeR는 장면 설명 레벨에서 대용량의 미디어 서비스의 요구를 수행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LASeR 시스템의 디코더 모델은 디코딩 버퍼(Decoding Buffer), 요소 스트림(elementary Stream), 적어도 하나의 디코더(Decoder), 구성 유닛(composition unit)을 포함할 수 있다. 디코더 모델은 각각의 요소 스트림을 위해 코드화된 데이터가 저장된 디코딩 버퍼를 디코딩할 수 있다. 디코딩된 결과는 구성 유닛에 저장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면 표시 장치(510)가 디코더에 대응할 수 있다. 그리고, 구조화된 정보를 어드레싱한 장면 표현 데이터가 LASeR의 요소 스트림에 대응할 수 있다. 장면 표현 데이터는 디코딩 버퍼에 저장될 수 있다.
하나의 장면 표현 데이터가 입력되면 하나의 장면 표시 장치(510)가 장면 표현 데이터를 파싱하여 구조화된 정보를 불러와 장면을 표시할 수 있다.
만약, 그룹화된 복수의 장면 표현 데이터가 입력되면 복수의 장면 표시 장치(510) 각각이 그룹화된 복수의 장면 표현 데이터 각각을 파싱하여 구조화된 정보를 불러와 장면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그룹화된 복수의 장면 표현 데이터가 입력되고, 하나의 장면 표시 장치(510)가 존재하는 경우, 장면 표시 장치(510)는 복수의 장면 표현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한 장면 표현 데이터에 대해 파싱하여 구조화된 정보를 불러올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장면 표현 데이터는 선정된(predetermined) 스킴에 기초하여 상기 구조화된 정보를 어드레싱 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부(512)는 장면 표현 데이터가 어드레싱하는 구조화된 정보의 프래그먼트에 엑세스하여, 상기 프래그먼트를 장면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선정된 스킴은 상기 표 1의 신택스에 따라 정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장면 표현 데이터는 상기 구조화된 정보가 텍스트 정보인 경우, SVG tref 요소를 이용하여 상기 구조화된 정보를 어드레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의 장면 표현 데이터에서
<tref xlink: href="http://www.etri.re.kr/test_DI.xml
#mpeg.pmsi(//mpeg7: FreeTextAnnotation/text())"/> 라고 기재되어 있다.
그러면, 장면 표시 장치(510)는 장면 표현 데이터에 포함된 SVG tref를 이용하여 구조화된 정보인 http://www.etri.re.kr/test_DI.xml를 참고할 수 있다. 그리고, 장면 표시 장치(510)는 http://www.etri.re.kr/test_DI.xml에서 mpeg.pmsi() 스킴에 기초하여 도 1에 표시된 구조화된 정보를 어드레싱 할 수 있다. 장면 표시 장치(510)는 구조화된 정보 중 mpeg.pmsi() 스킴이 가리키는 FreeTextAnnotation 부분을 장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FreeTextAnnotation 부분에 표시된 텍스트는 SVG에 정의된 텍스트 표현 형태에 따라 장면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장면 표현 데이터는 상기 구조화된 정보의 업데이트를 식별하는 선정된 컨테이너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선정된 컨테이너 요소는 상기 구조화된 정보의 업데이트 여부를 확인하는 간격과 연관된 속성인 updateInterval 속성을 갖는 externalReference 요소 이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때, 표시부(512)는 상기 장면 표현 데이터의 파싱 결과를 기초로 상기 업데이트된 구조화된 정보를 불러와 업데이트된 장면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512)는 상기 updateInterval의 속성 값이 "none"으로 설정된 경우, 상기 구조화된 정보의 업데이트 여부를 한번 확인한 후, 그 이후에는 확인하지 않는다. 그리고, 표시부(512)는 상기 updateInterval의 속성 값이 "free"로 설정된 경우, 임의로 상기 구조화된 정보의 업데이트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업데이트된 장면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512)는 상기 updateInterval의 속성 값이 "0"보다 큰 "<Clock-value>"로 고정된 경우, "<Clock-value>" 주기 간격으로 상기 구조화된 정보의 업데이트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업데이트된 장면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updateInterval이 600인 경우, 표시부(512)는 600s마다 tref가 가리키는 http://www.etri.re.kr/example.xml에서 mpeg.pmsi() 스킴에 표시된 item[3]/Descriptor[1]/Statement[1]/CreationInformation/Title[2]/text())에 표시된 텍스트의 업데이트 여부를 확인하여, 업데이트 장면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장면 표현 데이터는 상기 구조화된 정보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구조화된 정보의 변경을 확인하여 상기 변경된 구조화된 정보를 불러오기 위한 이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벤트는 상기 표 4에서 나타낸 IDL로 정의될 수 있다.
이때, 표시부(512)는 상기 장면 표현 데이터의 파싱 결과를 기초로 상기 구조화된 정보의 변경을 확인하여 상기 변경된 구조화된 정보를 불러와 변경된 장면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조화된 정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리젠테이션 정보(장면 표현 데이터)에서 mpeg-pmsi() 스킴이 활용된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리젠테이션 정보(장면 표현 데이터)에서 LASeR externalReference 요소가 활용된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리젠테이션 정보(장면 표현 데이터)에서 xmlUpdate 이벤트가 활용된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면 표시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Claims (10)

  1. 구조화된 정보(structured information)를 어드레싱하는 장면 표현 데이터(scene representation data)를 파싱하는 파싱부; 및
    상기 장면 표현 데이터의 파싱 결과를 기초로 상기 구조화된 정보를 불러와 장면(scene)을 표시하는 표시부
    를 포함하는 장면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장면 표현 데이터가 어드레싱하는 상기 구조화된 정보의 프래그먼트에 엑세스하여, 상기 프래그먼트를 장면 표시하는 장면 표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면 표현 데이터는
    선정된 스킴(scheme)에 기초하여 상기 구조화된 정보를 어드레싱하는 장면 표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선정된 스킴은
    하기의 표 1의 신택스에 따라 정의되는 장면 표시 장치.
    [표 1]
    PointerForStructuredInformation ::= PointerForStructuredInformationSchemeName "(" PointerForStructuredInformationSchemeData ")" PointerForStructuredInformationSchemeName ::= "mpeg-pmsi"
    여기서, PointerForStructuredInformationSchemeData는 Xpath 간략화 신택스(abbreviated syntax)를 따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장면 표현 데이터는
    상기 구조화된 정보가 텍스트(text) 정보인 경우, SVG tref 요소(element)를 이용하여 상기 구조화된 정보를 어드레싱하는 장면 표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면 표현 데이터는
    상기 구조화된 정보의 업데이트를 식별하는 선정된 컨테이너 요소(container element)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장면 표현 데이터의 파싱 결과를 기초로 상기 업데이트된 구조화된 정보를 불러와 업데이트된 장면을 표시하는 장면 표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선정된 컨테이너 요소는
    상기 구조화된 정보의 업데이트 여부를 확인하는 간격과 연관된 속성인 updateInterval 속성(attribute)을 갖는 externalReference 요소 이름(element name)으로 정의되는 장면 표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updateInterval의 속성 값이 "none"으로 설정된 경우, 상기 구조화된 정보의 업데이트 여부를 확인하지 않고, 상기 updateInterval의 속성 값이 "free"로 설정된 경우, 임의로 상기 구조화된 정보의 업데이트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업데이트된 장면을 표시하며, 상기 updateInterval의 속성 값이 "0"보다 큰 "<Clock-value>"로 고정된 경우, "<Clock-value>" 주기 간격으로 상기 구조화된 정보의 업데이트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업데이트된 장면을 표시하는 장면 표시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면 표현 데이터는
    상기 구조화된 정보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구조화된 정보의 변경을 확인하여 상기 변경된 구조화된 정보를 불러오기 위한 이벤트(event)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장면 표현 데이터의 파싱 결과를 기초로 상기 구조화된 정보의 변경을 확인하여 상기 변경된 구조화된 정보를 불러와 변경된 장면을 표시하는 장면 표시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는
    하기의 표 5에서 나타낸 IDL(Interface Definition Language)로 정의되는 장면 표시 장치.
    [표 5]
    Interface xmlUpdateEvent : LASeR Event { readonly attribute DOMString resourceURL ; readonly attribute DOMString updatedValue ; } ;
    여기서, resourceURL은 변경된 구조화된 정보와 연관된 URL을 식별하기 위한 값에 대한 속성이고, updatedValue는 상기 URL이 포인팅하는 변경된 값에 대한 속성임.
KR1020090063980A 2008-07-15 2009-07-14 구조화된 정보의 장면 표시 장치 및 그 방법 KR1016210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9798099.9A EP2325767B1 (en) 2008-07-15 2009-07-15 Device and method for scene presentation of structured information
CN2009801362242A CN102216927B (zh) 2008-07-15 2009-07-15 用于结构化信息的场景显示的装置和方法
US13/054,337 US20110145697A1 (en) 2008-07-15 2009-07-15 Device for scene presentation of structured information
PCT/KR2009/003882 WO2010008196A2 (ko) 2008-07-15 2009-07-15 구조화된 정보의 장면 표시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074908P 2008-07-15 2008-07-15
US61/080,749 2008-07-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8349A true KR20100008349A (ko) 2010-01-25
KR101621092B1 KR101621092B1 (ko) 2016-05-16

Family

ID=41816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3980A KR101621092B1 (ko) 2008-07-15 2009-07-14 구조화된 정보의 장면 표시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10145697A1 (ko)
EP (1) EP2325767B1 (ko)
KR (1) KR101621092B1 (ko)
CN (1) CN102216927B (ko)
WO (1) WO2010008196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15624A1 (ko) * 2012-02-02 2013-08-08 삼성전자 주식회사 멀티미디어 통신 시스템에서 장면 구성 정보 송/수신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1417B1 (ko) * 2008-07-16 2015-06-25 삼성전자주식회사 리치 미디어 컨텐츠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101615378B1 (ko) * 2008-09-26 2016-04-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구조화된 정보의 업데이트 장치 및 그 방법
KR102069538B1 (ko) * 2012-07-12 2020-03-23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미디어 요소의 배치를 위한 마크업을 구성하는 방법
CN104035943B (zh) * 2013-03-08 2018-07-06 联想(北京)有限公司 存储数据的方法及相应服务器
CN114416603B (zh) * 2022-03-31 2022-07-12 北京搜狐新动力信息技术有限公司 Ui元素测试方法、装置、存储介质和设备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76493A (ja) * 1999-01-29 2000-10-06 Canon Inc 電子的にアクセスできるリソースのブラウジング方法
US7590644B2 (en) * 1999-12-21 2009-09-1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of streaming data transformation using code generator and translator
US7987491B2 (en) * 2002-05-10 2011-07-26 Richard Reisman Method and apparatus for browsing using alternative linkbases
EP1403778A1 (en) * 2002-09-27 2004-03-31 Sony International (Europe) GmbH Adaptive multimedia integration language (AMIL) for adaptive multimedia applications and presentations
US20040128342A1 (en) 2002-12-31 2004-07-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ulti-modal interactive streaming media applications
CN101513070B (zh) * 2006-07-11 2011-06-15 韩国电子通信研究院 用于显示轻量级应用场景表示内容的方法和设备
KR100790191B1 (ko) * 2007-01-16 2008-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LASeR 컨텐츠를 이용한 방송 화면 제공 방법, 이를위한 DVB―H 시스템 및 단말
KR20090113912A (ko) * 2007-02-26 2009-11-02 노키아 코포레이션 콘텐츠의 배송 방법, 장치 및 시스템과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15624A1 (ko) * 2012-02-02 2013-08-08 삼성전자 주식회사 멀티미디어 통신 시스템에서 장면 구성 정보 송/수신 장치 및 방법
US9794648B2 (en) 2012-02-02 2017-10-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ceiving scene composition information in multimedia communication system
US10368143B2 (en) 2012-02-02 2019-07-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ceiving scene composition information in multimedia communication system
US10390107B2 (en) 2012-02-02 2019-08-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ceiving scene composition information in multimedia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25767B1 (en) 2017-10-04
CN102216927B (zh) 2013-11-06
US20110145697A1 (en) 2011-06-16
EP2325767A4 (en) 2012-05-09
WO2010008196A3 (ko) 2010-11-04
EP2325767A2 (en) 2011-05-25
KR101621092B1 (ko) 2016-05-16
WO2010008196A2 (ko) 2010-01-21
CN102216927A (zh) 2011-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19616B2 (en) Time references for multimedia objects
KR101206111B1 (ko) 스트리밍 콘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621092B1 (ko) 구조화된 정보의 장면 표시 장치 및 그 방법
US20190286684A1 (en) Reception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 reception device, transmission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20110298981A1 (en) Scripted Access to Hidden Multimedia Assets
US20040024898A1 (en) Delivering multimedia descriptions
KR101485461B1 (ko) Ait를 이용한 애플리케이션의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20120038367A (ko) 스트리밍 컨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615378B1 (ko) 구조화된 정보의 업데이트 장치 및 그 방법
US2009018497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the laser contents
KR102042213B1 (ko) 스트리밍 컨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CN101335884B (zh) 多媒体数据的获取方法及多媒体设备
BRPI1005113A2 (pt) método para fornecer conteúdo por meio de um sistema de fornecimento de conteúdo que seja acessìvel por meio de diversas mìdias e sistema para fornecer conteúdo que seja acessìvel por meio de diversas mìdias
Van Assche et al. Multi-channel publishing of interactive multimedia presentations
KR100602388B1 (ko) 엠펙-21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에서의 리소스 참조 방법
Ji-Xian et al. A Method for Improving Interaction of Embedded Rich Media Application
Smart Technical Specification Version 3.0
KR20090003047A (ko) 사용자 제작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단말기 및 그 방법
Perrot DVB-HTML
Jin et al. Digital broadcasting contents packaging for storage med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