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8297U - 스틱형 파종기. - Google Patents

스틱형 파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8297U
KR20100008297U KR2020090001535U KR20090001535U KR20100008297U KR 20100008297 U KR20100008297 U KR 20100008297U KR 2020090001535 U KR2020090001535 U KR 2020090001535U KR 20090001535 U KR20090001535 U KR 20090001535U KR 20100008297 U KR20100008297 U KR 2010000829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ed
rod
hole
input
h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15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54209Y1 (ko
Inventor
김이환
Original Assignee
김이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이환 filed Critical 김이환
Priority to KR20200900015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4209Y1/ko
Publication of KR2010000829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829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42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420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2Hand sowing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5/00Making or covering furrows or holes for sowing, planting or manuring
    • A01C5/02Hand tools for making holes for sowing, planting or manu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w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부외주연의 일측에 호퍼고정부를 형성하고, 하단부의 내측에 종 자투입부탈부착구를 형성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주연에 나사 결합되고, 내주연 에 중부받침턱을 형성한 종자투입공조절봉과, 상기 중부받침턱에 안착되는 스프링 과, 상기 종자투입공조절봉의 내주연에 나사 결합되는 안내봉과, 상기 스프링의 상 부에 안착되는 압박승강봉과, 상기 압박승강봉의 와이어고정부에 상부가 고정되고, 외주연중부에 형성된 와이어고정고리에 하부가 고정되어 상기 안내봉의 상부에 형 성된 회동부재의 외주연에서 연동되는 와이어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안내봉과 상기 압박승강봉의 내부에서 승강되어지는 승강봉과, 상기 승강봉의 하부에 고정되어 구 성된 종자투입봉과, 상기 종자투입부탈부착구의 내주연에 나사 결합되 고, 내부에 상기 종자투입봉이 입출되는 입출공을 형성한 종자투입부와, 상기 호퍼고정부의 내 주연에 나사 결합되는 종자투입구를 하부에 형성한 호퍼로 구성되어 상기 압박승강 봉을 원터치로 눌렀다 놓으면 상기 종자투입봉이 승강되어지며 상기 호퍼에서 공급 되는 종자를 상기 종자투입부의 입출공 밖으로 밀어내 손쉽게 파종할 수 있는 스틱 형 파종기에 관한 것이다.
본체, 종자투입공조절봉, 스프링, 안내봉, 압박승강봉, 승강봉, 종자투입봉, 종자투입부. 복토부재, 호퍼, 손잡이.

Description

스틱형 파종기.{Stick style seeding machine.}
본 고안은 하부외주연의 일측에 호퍼고정부를 형성하고, 하단부의 내측에 종자투입부탈부착구를 형성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주연에 나사 결합되고, 내주 연에 중부받침턱을 형성한 종자투입공조절봉과, 상기 중부받침턱에 안착되는 스프 링과, 상기 종자투입공조절봉의 내주연에 나사 결합되는 안내봉과, 상기 스프링의 상부에 안착되는 압박승강봉과, 상기 압박승강봉의 와이어고정부에 상부가 고정되 고, 외주연중부에 형성된 와이어고정고리에 하부가 고정되어 상기 안내봉의 상부에 형성된 회동부재의 외주연에서 연동되는 와이어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안내봉과 상 기 압박승강봉의 내부에서 승강되어지는 승강봉과, 상기 승강봉의 하부에 고정되어 구성된 종자투입봉과, 상기 종자투입부탈부착구의 내주연에 나사 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종자투입봉이 입출되는 입출공을 형성한 종자투입부와, 상기 호퍼고정부의 내 주연에 나사 결합되는 종자투입구를 하부에 형성한 호퍼로 구성되어 상기 압박승강 봉을 원터치로 눌렀다 놓으면 상기 종자투입봉이 승강되어지며 상기 호퍼에서 공급 되는 종자를 상기 종자투입부의 입출공 밖으로 밀어내 손쉽게 파종할 수 있는 스틱 형 파종기에 관한 것이다.
각종 농산물을 재배함에 있어 수확을 하기 까지는 여러 가지의 영농과정을
거치게 된다.
즉, 퇴비 또는 비료를 밑거름으로 시비한 후 경운 및 파종을 하고 발아가 되면 곧이어 솎아내기 및 제초작업과 병충해 방제, 추비시용, 기타 농작물 관리를 거쳐 수확을 하게 되는데 이러한 여러 가지 영농 작업중 어느 것 하나 중요치 않은 것이 없겠으나 농민들은 옛 부터 이르기를 파종하는 일을 반농사라고 하였다.
농민들이 이처럼 여러 가지 영농작업 중에도 파종하는 일을 중요시 하는 것은 파종이 잘 되지 않고는 좋은 수확을 기대하기란 애시 당초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와 같이 중요한 파종을 잘 하려면 종자의 크기와 작물의 특성에 따라 그에 맞는 적정량의 종자를 알맞은 깊이와 알맞은 거리로 파종을 하고 알맞은 심도로 복토를 하여야 발아가 잘 되고 튼튼하게 자라게 된다.
또한, 요즘은 농촌 인력 감소로 농촌 일손이 매우 부족하여 일손 부족 해결
과 영농비 절약을 위한 기계화 영농이 더욱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함에도 불구하고 작금의 파종 실태를 살펴보면 아직 까지도 많은 농민들
이 호미나 기타도구를 이용하여 수작업으로 파종을 하고 있으며, 이와 같이 수작업으로 파종을 할 경우에 파종할 지점에 흙을 파고 씨앗을 넣은 다음 복토를 하는 3단계 과정을 거쳐야 함으로 파종하는데 많은 일손이 소요되고, 장시간 등과 허리를 굽히고 작업하게 됨으로써 매우 힘이 들고 농민들 건강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치게 된다.
또한, 최근에는 비닐 피복재배 성향이 점증되고 있는 실정인데 콩이나 옥수
수와 같은 대립종 종자는 상관이 없으나 참께와 같은 소립종 종자를 비닐이 피복된 파종지에 수작업으로 파종하려면 파종할 지점에 흙을 파고 씨앗을 넣은 다음 복토
를 하는 파종작업이 일반 노지에 파종할 때보다 더 힘들고 더 많은 시간을 소요하 게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수작업 파종상의 고충과 문제점을 해소할 목적으로 다양한 종류의 파종기가 개발 보급되었으나 파종거리를 임의로 조절할 수 없도록 구성 되었는가하면 파종 량 조절이 잘 되지 않아 작은 크기의 종자는 너무 많은 량이 파종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자의 크기에 따라 파종량을 조절할 수 있고, 파종 깊이와 파종거리
도 임의대로 조절할 수 있는 파종기도 보급되고 있으나, 비닐이 피복된 파종지에 종자를 파종하는 경우에 파종과정에서 찢겨진 비닐의 일부가 흙속에 투입되어 파종 된 종자의 발아를 방해하거나 또는 발아된 종자가 비닐에 가로 막혀 잘 자라지 못 하고 햇볕에 타서 말라 죽는 사례가 적지 않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어 개선이 요 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파종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파종기가 시중에 공급되어 있고 일손도 매우 부족한 실정임에도 많은 농민들이 수작업 파종을 계 속하는 까닭은 시중에 공급된 파종기의 가격이 부담되어 구입을 꺼리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위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가격이 저렴하면서도 파종할 구덩이를 파는 천공작업과 종자를 파종하고 복토를 하는 3단계 파종 작업을 일시에 효과적으로 해결하여 파종인력의 대폭적인 절감은 물론 파종량과 파종 깊이 및 파종거리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고 일반노지에서는 물론 비닐이 피복된 파종지에서도 신속하고 용이하게 파종할 수 있으며, 또한, 안정적인 복토를 할 수 있고 파종 작업시 비닐이 흙속에 함께 파묻혀 지면 밖으로 노출되지 않음으로 인해 종자의 발아 또는 생장을 저해하지 않도록 파종할 수 있으며 파종하는 사람이 등이나 허리를 굽히지 않고 직립된 자세로 자연스럽게 걸어가면서 파종할 수 있는 본 고안에 따른 스틱형 파종기와 같은 파종기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본 고안은 하부외주연의 일 측에 호퍼고정부를 형성하고, 하단부의 내측에 종자투입부탈부착구를 형성한 본체 와, 상기 본체의 내주연에 나사 결합되고, 내주연에 중부받침턱을 형성한 종자투 입공조절봉과, 상기 중부받침턱에 안착되는 스프링과, 상기 종자투입공조절봉의 내주연에 나사 결합되는 안내봉과, 상기 스프링의 상부에 안착되는 압박승강봉과, 상기 압박승강봉의 와이어고정부에 상부가 고정되고, 외주연중부에 형성된 와이어 고정고리에 하부가 고정되어 상기 안내봉의 상부에 형성된 회동부재의 외주연에서 연동되는 와이어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안내봉과 상기 압박승강봉의 내부에서 승강 되어지는 승강봉과, 상기 승강봉의 하부에 고정되어 구성된 종자투입봉과, 상기 종자투입부탈부착구의 내주연에 나사 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종자 투입봉이 입출 되 는 입출공을 형성한 종자투입부와, 상기 호퍼고정부의 내주연에 나사 결합되는 종자투입구를 하부에 형성한 호퍼로 구성되어 상기 압박승강봉을 원터치로 눌렀다 놓으면 상기 종자투입봉이 승강되어지며 상기 호퍼에서 공급되는 종자를 상기 종자 투입부의 입출공 밖으로 밀어내 손쉽게 파종할 수 있는 스틱형 파종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하부외주연의 일측에 호퍼고 정부를 형성하고, 하단부의 내측에 종자투입부탈부착구를 형성한 본체와; 상기 본 체의 하부내주연에 하부외주연이 나사 결합되고, 내주연의 중부에 중부받침턱을 형 성한 종자투입공조절봉과; 상기 중부받침턱에 하부가 안착되는 스프링과; 상기 스 프링의 내부에 삽입되고, 외주연하부가 상기 종자투입공조절봉의 내주연중부에 나 사 결합되는 안내봉과; 상기 스프링의 상부에 하부가 안착되어지고 상기 종자투입 공조절봉의 내주연과 상기 안내봉의 외주연 사이에서 승강되도록 구성되는 압박승 강봉과; 상기 압박승강봉의 하단부내주연에 서로 마주하여 형성된 와이어고정부에 상부가 고정되고, 외주연중부에 서로 마주하여 형성된 와이어고정고리에 하부가 고 정되어 상기 안내봉의 내주연상부에 서로 마주하여 형성된 회동부재의 외주연상부 에서 연동되는 와이어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안내봉과 상기 압박승강봉의 내주연 상부에 형성된 승강홈의 내부에서 승강되어지는 승강봉과; 상기 승강봉의 하부에 상부가 고정되어 구성된 종자투입봉과; 상기 종자투입부탈부착구의 내주연에 상부 외주연이 나사 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종자투입봉이 입출되는 입출공을 형성한 종 자투입부와; 상기 호퍼고정부의 내주연에 외주연이 나사 결합되는 종자투입구를 하 부에 형성한 호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콩,옥수수 또는 이와 유사한 크기의 대립종 종자보다 작은 종자를 파종할 때는 원형으로 형성된 고정판의 상면에 투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투입부의 평면부 중앙에 통공을 형성하여 구성된 입출공축소조절구의 상기 투입부가 상기 종자투입부탈부착구의 입출공내에 투입되어 상기 입출공의 내경을 적당한 크기로 축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종자투입공조절봉의 상부외주연에는 내주연이 결합되어 형성된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일측에서 연장 형성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서 분리 형성된 제1,2브래킷과, 상기 제1브래킷과 상기 제2브래킷 사이에 수평바아가 삽입되고, 상기 수평바아의 일단과 타단이 상기 제1브래킷과 상기 제2브래킷에 각각 볼트로 고정되어 형성된 손잡이가 구성되는 것과, 상기 종자투입공조절봉은 상기 손잡이와 상기 중부받침턱의 중간부가 단절되어 상부종자투입공조절봉과 하부종자투입공조절봉으로 분리 형성되며 상기 상부종자투입공조절봉과 상기 하부종자투입공조절봉은 외주연결합부로 나사결합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종자투입봉은 상부에 결합공을 형성하며, 상기 결합공이 형성된 상부가 상기 승강봉의 하부 내측에 형성된 종자투입봉고정홈에 삽입되어 상기 결합 공과, 상기 종자투입봉고정홈에 서로 마주되게 형성된 양 결합공을 관통하여 결합 되는 힌지로 고정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종자투입부의 상면에는 원형의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 에는 상기 입출공의 상부에 씌워져 형성되는 조절막의 가외테두리가 삽입되어 고정링으로 고정되어지며, 외주연중부에 형성된 고정홈에는 복토부재의 상부가 고정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절막은 상면을 십자형으로 절개하여 형성하고, 탄성력을 갖는 고무재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토부재는 탄성력이 있는 스프링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호퍼는 투명한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한 스틱형 파종기는 하부외주연의 일측에 호퍼고정부를 형성 하고, 하단부의 내측에 종자투입부탈부착구를 형성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주연 에 나사 결합되고, 내주연에 중부받침턱을 형성한 종자투입공조절봉과, 상기 중부 받침턱에 안착되는 스프링과, 상기 종자투입공조절봉의 내주연에 나사 결합되는 안 내봉과, 상기 스프링의 상부에 안착되는 압박승강봉과, 상기 압박승강봉의 와이어 고정부에 상부가 고정되고, 외주연중부에 형성된 와이어고정고리에 하부가 고정되 어 상기 안내봉의 상부에 형성된 회동부재의 외주연에서 연동되는 와이어의 움직임 에 따라 상기 안내봉과 상기 압박승강봉의 내부에서 승강되어지는 승강봉과, 상기 승강봉의 하부에 고정되어 구성된 종자투입봉과, 상기 종자투입부탈부착구의 내주 연에 나사 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종자투입봉이 입출되는 입출공을 형성한 종자투 입부와, 상기 호퍼고정부의 내주연에 나사 결합되는 종자투입구를 하부에 형성한 호퍼로 구성되어 상기 압박승강봉을 원터치로 눌렀다 놓으면 상기 종자투입봉이 승 강되어지며 상기 호퍼에서 공급 되는 종자를 상기 종자투입부의 입출공 밖으로 밀 어내 손쉽게 파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콩이나 옥수수 또는 이와 유사한 크기의 대립종 종자를 파종하기에 적합한 입출공을 구비한 종자투입부탈부착구와, 상기 대립종보다 작은 종자를 파종할 때 상기 종자투입부탈부착구의 상기 입출공의 내경을 다양한 크기로 작게 조절해 주는 입출공축소조절구와, 다양한 크기의 종자를 파종하기에 적합한 외경 및 적합한 길이로 형성된 종자투입봉과 상기 종자투입봉이 입출되기에 적합한 내경과 적합한 길이를 갖춘 종자투입부를 각각 다수개로 구비하여 콩이나 옥수수 또는 이와 유사한 크기의 대립종 종자는 물론 수수와 같은 중립종 종자나 참께와 같은 소립종 종자 및 또는 이보다 더 세분된 다양한 크기의 종자를 파종하는데 두루 사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종자투입부의 고정홈에 스프링으로 형성된 복토부재의 상부가 고정되어 구성됨으로서 일반 노지에서는 물론 비닐이 피복된 파종지에서도 안정적인 파종 및 복토를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비닐이 피복된 파종지에 파종할 때 상기 복토부재나 종자투입부가 투입되어지면서 찢겨져 흙속에 투입되었던 비닐조각들을 다시 지면위로 끌어올릴 수 있도록 구성되어 찢겨진 비닐조각이 흙속에 파묻혀 있음으로 해서 파종된 종자가 잘 발아되지 못하거나 발아된 새싹이 비닐에 눌려져 잘 자라지 못하고 햇볕에 타죽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종자투입공조절봉의 외주연상부에 손잡이가 구성되어 사용자가 지팡이처럼 손에 잡고 걸어가면서 한 줄로 또는 지그재그로 점파종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파종거리를 임의대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호퍼가 투명한 합성수지재로 형성되어 종자수용부에 들어 있는 종자의 잔여 량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및 사용하기가 편리하고, 노약자들도 쉽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의 하부내주연에 상기 종자투입공조절봉의 하부외주연을 어느 정도 깊이로 나사 결합시키는가에 따라 상기 종자투입공조절봉이 상기 본체의 내주연에서 상하로 이동 설치되어지면서 상기 종자투입공의 입구를 막아주거나 열어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상기 종자투입공을 통해 상기 종자대기실에 투입되는 종자의 량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종자투입봉이 상기 종자투입부탈부착구의 입출공이나 또는 상기 입출공축소조절구의 통공내에 투입되어진 종자만을 조절막을 통과하도록 밀어내 파 종하기 때문에 파종하고자 하는 종자량을 정확하게 파종할 수 있고, 종자가 깨어지 는 현상도 일어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압박승강봉의 원터치로 파종공의 굴착 및 파종과 복토를 한꺼번에 할 수 있어 신속하게 파종 할 수 있다.
또한, 구조가 간단하고 부피도 작음으로 생산비가 적게 들고 저렴한 비용으로 농가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부가 조립식으로 형성되어 어느 한 부분이 마모되거나 고장이 생기더라도 부분적인 교체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단면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호퍼와 호퍼고정부의 분리단면도이고, 도 6은 승강봉과 종자투입봉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개략단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안내봉에 설치된 회동부재와 와이어를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종자투입부탈부착구와 입출공축소조절구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종자투입부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호퍼와 본체를 연결하는 연결부와 연결부고정턱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스틱형 파종기(500)를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것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고안에 따른 스틱형 파종기(500)는 본체(10)와, 종자투입공조절봉(20)과, 스프링(30)과, 안내봉(40)과, 압박승강봉(50)과, 승강봉(60)과, 종자투입봉(70)과, 종자투입부(80), 복토부재(90), 호퍼(100), 손잡이(200)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0)는 하부외주연의 일측에 호퍼고정부(11)를 형성하고, 하단부의 내측에 종자투입부탈부착구(13)를 형성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10)는 통체로 형성되며 상부에 입출구(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는 합성수지재나 알루미늄재 또는 스테인레스재와 같이 가벼우면서도 견고하며 강직성을 지닌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호퍼고정부(11)의 내측에는 상기 본체(10)의 내부와 연통된 종자투입공(12)이 형성된다.
상기 종자투입부탈부착구(13)는 원주형벽체(13c)의 상부에 평면부(13a)가 형성되고, 상기 평면부(13a)의 중앙에 입출공(13b)이 형성되며 상기 원주형벽체(13c)의 내주연에 암나사산(13d)이 구비되어 형성된다.
상기 종자투입부탈부착구(13)의 평면부(13a)의 두께는 1㎜이하로 얇게 형성하고, 상기 원주형벽체(13c)의 두께는 두툼하게 형성한다.
상기 원주형벽체(13c)의 두께를 두툼하게 형성하는 것은 상기 원주형벽체(13c)의 내주연에 외주연이 나사 결합되는 상기 종자투입부(80)보다 상기 종자투입부탈부착구(13)의 하부를 넓게 형성하여 파종작업시 상기 종자투입부탈부착구(13)는 흙속에 투입되지 않고 상기 종자투입부(80)만 투입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종자투입부탈부착구(13)의 평면부(13a)는 그 가외부로부터 상기 입출공(13b)을 중심으로 미세한 경사면이 조성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입출공(13b)의 내경은 콩,옥수수 또는 이와 유사한 크기의 대립종 종자 2-3알이 일시에 투입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한다.
또한, 상기 종자투입부탈부착구(13)는 알루미늄재나 합성수지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종자투입부탈부착구(13)를 합성수지재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평면부(13a)를 알루미늄재나 또는 경량 철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종자투입부탈부착구(13)의 상부에는 상기 종자투입공(12)과 연통 된 종자대기실(15)이 구성된다.
즉, 상기 종자투입부탈부착구(13)의 상면이 상기 종자대기실(15)의 바닥면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콩,옥수수 또는 이와 유사한 크기의 대립종 종자보다 작은 종자를 파종할 때는 원형으로 형성된 고정판(17a)의 상면에 투입부(17b)가 형성되고, 상기 투입부(17b)의 평면부(17c)중앙에 통공(17d)을 형성하여 구성된 입출공축소조절구(17)의 상기 투입부(17b)가 상기 종자투입부탈부착구(13)의 입출공(13b)내에 투입되어 상기 입출공(13b)의 내경을 적당한 크기로 축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입출공축소조절구(17)는 상기 종자투입부탈부착구(13)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투입부(17b)가 상기 입출공(13b)내에 삽입되고, 상기 고정판(17a)이 상기 종자투입부탈부착구(13)의 내주연에 나사 결합되는 종자투입부(80)에 의해 상기 종자투입부탈부착구(13)의 평면부(13a)의 하부에 밀착 고정되어진다.
상기 통공(17d)에는 상기 종자투입봉(70)이 입출되어진다.
상기 입출공축소조절구(17)는 상기 통공(17d)의 내경을 각각 다르게 하여 다수개로 형성된다.
즉, 상기 통공(17d)은 수수,팥 또는 이와 유사한 크기의 중립종 종자는 4-5알이, 참께,들께 또는 이와 유사한 크기의 소립종 종자는 5-6알이 일시에 투입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입출공축소조절구(17)를 상기와 같이 다수개로 형성하는 것은 상기 중, 소립종 종자를 파종할 때 종자의 크기에 따라 사용하기에 적합한 통공(17d)을 구비한 입출공축소조절구(17)를 선별적으로 사용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입출공축소조절구(17)는 스테인레스재나 알루미늄재 또는 기타 경량 철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종자투입공조절봉(20)은 상기 본체(10)의 하부내주연에 하부외주연이 나사 결합되고, 내주연의 중부에 중부받침턱(25)을 형성하여 구성된다.
상기 종자투입공조절봉(20)의 하부외주연에는 숫나사산(21)을 형성하고, 상 기 본체(10)의 하부내주연에는 암나사산(14)을 형성한다.
상기 숫나사산(21)이 형성되는 상기 종자투입공조절봉(20)의 하부외경은 중 상부의 외경보다 가늘게 형성하고, 상기 암나사산(14)이 형성되는 상기 본체(10)의 하부내경은 상부내경보다 좁게 형성한다.
또한, 상기 종자투입공조절봉(20)의 상하단부에는 상부입출구(26)와 하부입출구(22)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상부입출구(26)는 상기 종자투입공조절봉(20)의 상단부내주연에 형성된 원형의 상부걸림턱(27)으로 인하여 상기 종자투입공조절봉(20)의 내경보다 좁게 형성되고, 상기 하부입출구(22)는 상기 종자투입공조절봉(20)의 하단부내주연에 상기 상부걸림턱(27)보다 더 크게 형성된 원형의 하부걸림턱(23)으로 인하여 상기 상부입출구(26)의 내경보다 더 좁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종자투입공조절봉(20)의 상부외주연에는 내주연이 결합되어 형성된 결합부(201)와, 상기 결합부(201)의 일측에서 연장 형성된 지지대(202)와, 상기 지지대(202)에서 분리 형성된 제1,2브래킷(203, 204)과, 상기 제1브래킷(203)과 상기 제2브래킷(204) 사이에 수평바아(205)가 삽입되고, 상기 수평바아(205)의 일단과 타단이 상기 제1브래킷(203)과 상기 제2브래킷에 각각 볼트(206)로 고정되어 형성된 손잡이(200)가 구성된다.
상기 손잡이(200)는 합성수지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종자투입공조절봉(20)은 상기 손잡이(200)와 상기 중부받침턱
(25)의 중간부가 단절되어 상부종자투입공조절봉(20A)과 하부종자투입공조절봉
(20B)으로 분리 형성되며 상기 상부종자투입공조절봉(20A)과 상기 하부종자투입공
조절봉(20B)은 외주연결합부(28)로 나사결합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상부종자투입공조절봉(20A)의 하부외주연과 상기 하부종자투입공조절봉(20B)의 상부외주연에는 각각 숫나사산(20a,20b)을 형성하고, 상기 외주연결합부(28)의 내주연에는 암나사산(28a)을 형성하며, 상기 외주연결합부(28)가 나사 결합되는 상기 하부종자투입공조절봉(20B)의 숫나사산(20b) 하부에 외주연걸림턱(20c)을 형성한다.
상기 외주연걸림턱(20c) 및 상기 외주연연결부(28)는 원형으로 형성한다.
상기 외주연걸림턱(20c)을 형성하는 것은 파종작업시 상부종자투입공조절봉(20A)에 가해지는 상기 압박승강봉(50)의 압력에 의해 상기 암수나사산(20a,20b,21 a)이 마모 또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종자투입공조절봉(20)은 외주연하부에 형성된 상기 숫나사산(21)을 상기 본체(10)의 내주연하부에 형성된 상기 암나사산(14)에 어느 정도 깊이로 나사결 합 시키는가에 따라 상기 본체(10)의 내주연에서 상하로 이동되어 설치되고, 그에 따라 상기 종자투입공(12)의 입구는 어느 정도로 막혀지거나 열려져 상기 종자투입공(12)을 통해 상기 종자대기실(15)에 투입되는 종자의 량을 조절하게 된다.
상기 종자대기실(15)에 투입되는 종자의 적정량은 종자의 크기에 상관없이 상기 종자대기실(15)의 바닥면에 한 겹 정도로 깔리도록 조절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종자투입공조절봉(20)은 합성수지재나 알루미늄재 또는 스테인레스재와 같이 가벼우면서 견고하며 강직성을 지닌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프링(30)은 상기 중부받침턱(25)에 하부가 안착되어 구성된다.
즉, 상기 스프링(30)은 상기 종자투입공조절봉(20)의 내주연중부에 안착되어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안내봉(40)은 상기 스프링(30)의 내부에 삽입되며 외주연하부가 상기 종자투입공조절봉(20)의 내주연중부에 나사 결합되어 구성된다.
상기 종자투입공조절봉(20)의 내주연중부에는 암나사산(24)을 형성하고, 상기 안내봉(40)의 외주연하부에는 숫나사산(41)을 형성한다.
상기 암나사산(24)은 상기 중부받침턱(25)보다 돌출되게 형성한다.
또한, 상기 안내봉40)은 통체로 형성되며 상부에 입출구(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안내봉(40)은 합성수지재나 또는 알루미늄재와 같이 가벼우면서 도 견고하고 강직성을 지닌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압박승강봉(50)은 상기 스프링(30)의 상부에 하부가 안착되어 상기 종 자투입공조절봉(20)의 내주연과 상기 안내봉(40)의 외주연 사이에서 승강되도록 구 성된다.
또한, 상기 압박승강봉(50)의 상부몸체는 상기 종자투입공조절봉(20)의 상부입출구(26)를 통과할 수 있는 굵기로 형성하고, 상기 압박승강봉의 하부몸체는 상기 종자투입공조절봉(20)의 통체 내부에서만 승강되고 상기 상부입출구(26)의 밖으로 빠져나갈 수 없는 굵기로 형성한다.
또한, 상기 압박승강봉(50)의 상단부에는 단턱(50a)을 형성한다.
상기 압박승강봉(50)이 하강할 때 상기 중부받침턱(25)에 하부가 안착되어 구성된 상기 스프링(30)은 그 압축력으로 인하여 수축되고, 상기 안내봉(40)의 상부는 상기 압박승강봉(50)의 통체 내부로 진입되어진다.
또한, 상기 압박승강봉(50)은 합성수지재나 또는 알루미늄재와 같이 가벼우면서도 견고하고 강직성을 지닌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승강봉(60)은 상기 압박승강봉(50)의 하단부내주연에 서로 마주하여 형 성된 와이어고정부(52)에 상부가 고정되고, 외주연중부에 서로 마주하여 형성된 와 이어고정고리(61)에 하부가 고정되어 상기 안내봉(40)의 내주연상부에 서로 마주하 여 형성된 회동부재(42)의 외주연상부에서 연동되는 와이어(62)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안내봉(40)과 상기 압박승강봉(50)의 내주연상부에 형성된 승강홈(51)의 내부 에서 승강되어진다.
상기 회동부재(42)는 상기 안내봉(40)의 내주연상부에 서로 마주되게 형성되어 고정된 복수개의 지지대(43)의 상부에 각각 힌지(44)로 고정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회동부재(42)는 도르래처럼 형성된다.
상기 승강홈(51)은 가는 막대 모양으로 형성된 상기 승강봉(60)의 상부몸체가 삽입되어 좌우로 요동되지 않고 알맞게 승강되어지도록 최대한 좁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승강봉(60)은 합성수지재나 또는 알루미늄재와 같이 가벼우면서 견고하고 강직성을 지닌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종자투입봉(70)은 상기 승강봉(60)의 하부에 상부가 고정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종자투입봉(70)은 상부에 결합공(71)을 형성하며, 상기 결합공(71)이 형성된 상부가 상기 승강봉(60)의 하부 내측에 형성된 종자투입봉고정홈(63)에 삽입되어 상기 결합공(71)과, 상기 종자투입봉고정홈(63)에 서로 마주되게 형성된 양 결합공(64,65)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힌지(66)로 고정되어 구성된다.
상기 종자투입봉(70)의 결합공(71)과 상기 종자투입봉고정홈(63)의 양 결합공(64,65)의 내주연에는 각각 암나사산(71a,64a,65a)을 형성하고 상기 힌지(66)의 외주연에는 숫나사산(66a)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힌지(66)의 일측단면에는 드라이버를 삽입할 수 있는 삽입홈(66b)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종자투입봉(70)은 그 길이 및 외경이 각각 다르게 다수개로 형성 한다.
즉, 상기 종자투입봉(70)의 외경은 상기 종자투입봉고정홈(63)에 삽입되어지는 상부부분을 제외한 나머지부분이 상기 종자투입부탈부착구(11)의 입출공(11a)과, 다수개로 형성되는 상기 입출공축소조절구(17)의 통공(17c)에 각각 입출 되기에 적합하도록 형성하고, 상기 종자투입봉(70)의 길이는 상기 종자투입부(80)의 입출공(81)에 삽입되었을 때 그 말단부가 상기 종자투입부(80)의 말단부보다 1-2㎜정도 더 나가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종자투입봉(70)을 상기와 같이 다수개로 형성하는 것은 상기 대,중,소립종 종자를 파종할 때 각각 선별적으로 사용되도록 다양한 크기로 다수개로 형성되는 상기 종자투입부(80)의 입출공(81)내에 알맞게 삽입될 수 있는 적합한 외경 및 길이를 갖춰 형성된 종자투입봉(70)을 선별적으로 사용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종자투입봉(70)은 합성수지재나 또는 알루미늄재와 같이 가벼우면서도 견고하고 강직성을 지닌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종자투입부(80)는 상기 종자투입부탈부착구(13)의 내주연에 상부외주연 이 나사 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종자투입봉(70)이 입출 되는 입출공(81)을 형성하 여 구성된다.
상기 종자투입부(80)의 상부외주연에는 숫나사산(85)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종자투입부(80)의 상면에는 원형의 삽입홈(82)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82)에는 상기 입출공(81)의 상부에 씌워져 형성되는 조절막(83)의 가외테두리가 삽입되어 고정링(84)으로 고정되어지며, 외주연중부에 형성된 고정홈(86)에는 복토부재(90)의 상부가 고정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조절막(83)은 상면을 십자형으로 절개하여 형성하고, 탄성력을 갖는 고무재로 형성한다.
상기 고정링(84)은 금속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입출공(81)의 상부내경은 상기 조절막(83)의 십자형절개부의 탄성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넓게 형성하고, 하부말단의 내경은 상부로부터 하부로 내려가면서 차츰 좁아지게 형성하여 상기 종자투입봉(70)이 입출 되는 공간외에는 여유 공간이 전혀 없도록 형성한다.
또한, 상기 종자투입부(80)는 상기 숫나사산(85)이 형성된 외주연상부로 부터 아래로 내려가면서 차츰 좁아드는 원추형 모양으로 형성한다.
또한, 상기 종자투입부(80)는 그 길이 및 입출공(81)의 내경을 각각 다르게 하여 다수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종자투입부(80)의 길이는 적정한 파종심도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대립종 종자 및 상기 중립종 종자를 파종하기 위한 것은 상기 숫나사산(85)이 형 성된 외주연상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길이가 3-3.5 ㎝정도 되도록 형성하고, 상기 소립종 종자를 파종하기 위한 것은 상기 숫나사산(85)이 형성된 외주연상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길이가 2- 2.5㎝정도 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 기 종자투입부(80)의 입출공(81)은 종자의 크기에 따라 적합한 것으로 사용하기 위 해 상기 종자투입봉고정홈(63)에 삽입되는 상부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외경 을 각각 다르게 하여 다수개로 형성된 상기 종자투입봉(70)이 각각 입출 되기에 적 합하도록 그 하부내경을 각각 다르게 하여 다수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상기 종자투입부(80)의 길이 및 입출공(81)의 내경을 각각 다르게 하여 다수개로 형성하는 것은 상기 대,중,소립종 종자를 파종할 때 종자의 크기에 따라 사용하기에 적합한 길이 및 적합한 내경의 입출공(81)을 갖춰 형성된 종자투입부(80)를 선별적으로 사용하기 위함이다.
상기 복토부재(90)는 탄발력이 있는 스프링으로 형성한다.
상기 복토부재(90)의 상부는 상기 고정홈(86)에 고정되기에 적합한 크기로 형성하고, 상기 복토부재(90)의 하부는 상기 종자투입부(80)처럼 상부로부터 하부 로 내려가면서 차츰 좁아지게 형성하여 상기 복토부재(90)를 설치시 상기 복토부 재(90)의 내주연과 상기 종자투입부(80)의 외주연 사이에 일정한 간격이 생기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토부재(90)의 내주연과 상기 종자투입부(80)의 외주연 사이에 일정 한 간격이 생기도록 상기 복토부재(90)를 형성하는 것은 상기 복토부재(90)의 탄 발력이 원활히 발휘되도록 하여 상기 복토부재(90)의 스프링사이에나 또는 상기 복토부재(90)의 내주연과 상기 종자투입부(80)의 외주연 사이에 흙이 뭉쳐지는 것 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복토부재(90)의 길이는 상기 복토부재(90)를 설치하였을 때 상 기 종자투입부(80)의 하단보다 1-2㎝정도 더 나가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토부재(90)는 파종작업시 상기 종자투입부(80)보다 먼저 흙속에 투 입되고, 뒤따라 투입되는 상기 종자투입부(80)의 입출공(81)에서 입출되는 상기 종 자투입 봉(70)에 의해 종자가 밀려나와 파종이 된 후 지상으로 노출되어지는 상기 종자투입부(80)를 뒤따라 올라오면서 수축되었다 다시 원상회복되는 탄발력으로 인 해 파종구 주변의 흙을 흘러내게 하여 자연스럽게 복토가 이루어지게 한다.
또한, 상기 복토부재(90)는 비닐이 피복된 파종지에서 파종할 때에도 상기 종자투입부(80)보다 먼저 비닐을 뚫고 흙속에 투입되고, 파종이 이루어진 후 지상으로 노출되는 상기 종자투입부(80)를 뒤 따라 올라오면서 상기 복토부재(90)의 압력에 의해 찢겨져 흙속에 묻혀있던 비닐조각을 지면위로 끌어올려 파종된 종자가 발아되어 생장하는데 지장이 없도록 해주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상기 호퍼(100)는 상기 호퍼고정부(11)의 내주연에 외주연이 나사 결합되는 종자투입구(101)를 하부에 형성하여 구성된다.
상기 호퍼고정부(11)의 내주연에는 암나사산(11a)을 형성하고, 상기 종자 투입구(101)의 외주연에는 숫나사산(101a)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호퍼(100)의 하부에 형성된 상기 종자투입구(101)의 상부에는 다수개의 종자를 수용할 수 있는 종자수용부(102)가 연장 형성되고, 상기 종자수 용부(102)의 상부외주연에는 내주연이 나사 결합되는 뚜껑(103)이 안착되어 구성 된다.
또한, 상기 종자수용부(102)의 상부외주연에는 암나사산(102a)을 형성하고, 상기 뚜껑(103)의 내주연에는 숫나사산(103a)을 형성한다.
또한,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호퍼(100)의 상부외주연 일측에는 타측에 결합공(104a)을 구비한 연결부(104)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104)의 타측 은 상기 호퍼고정부(11)의 상부에 형성된 연결부고정턱(16)의 양 날개벽(16a,16b)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결합공(104a)과 상기 양 날개벽(16a,16b)에 각각 형성된 결합공(16a',16b')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볼트(105)로 고정되어진다.
상기 연결부(104)는 상기 호퍼(100)를 상기 본체(10)의 외주연에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되어지게 한다.
또한, 상기 호퍼(100)는 투명한 합성수지재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상부내주연과 상기 종자투입공조절봉(20)의 중부외주연이 서로 결합되는 상기 본체(10)의 상부외주연에는 상기 본체(10)의 상부외주연과 상기 종자투입공조절봉(20)의 중부외주연을 일체로 감싸고 안착되는 결합부보호캡(29)이 구성된다.
상기 결합부보호캡(29)은 합성수지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스틱형 파종기(500)의 손잡이(200)를 손에 잡고 약간의 힘을 주어 누르면 상기 종자투입부(80)가 파종지의 흙속에 투입된다,
이때에 상기 손잡이(200)를 잡은 손의 손바닥을 이용하여 상기 압박승강봉(50)의 상부에 약간의 힘을 가하여 누르면 상기 압박승강봉(50)이 하강되면서 상기 압박승강봉(50)의 하부에 설치된 스프링(30)은 압력에 의해 수축되고, 상기 압박승강봉(50)의 하단부내주연에 형성된 상기 와이어고정부(52)에 상부가 고정된 와이어(62)의 상부는 상기 압박승강봉(50)을 따라 함께 하강된다. 그리고 상기 회동 부재(42)의 상부외주연에서 연동되는 상기 와이어(62)의 하부가 외주연중부에 형성된 와이어고정고리(61)에 연결 고정된 상기 승강봉(60)은 상기 와이어(62)에 이끌려 상승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승강봉(60)의 하부에 고정되고, 상술한 작동절차에 의해 흙속에 투입된 상기 종자투입부(80)의 입출공(81)내부에 삽입되어지고 그 말단부가 상기 종자투입부(80)의 입출공(81)밖에 약간 노출된 상태로 파종지의 흙속에 투입되어있던 상기 종자투입봉(70)은 상기 승강봉(60)과 함께 상승되어 그 말단이 상기 종자투입공조절봉(20)의 하부입출구(22)내에 대기 상태로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종자투입봉(70)이 상승된 상태로 대기하는 사이에 상기 호퍼(100)의 종자수용부(102)에 수용되어있던 다수개의 종자중 일부 종자가 상기 종자투입공(12)을 통해 상기 종자대기실(15)로 투입되어 바닥면에 펼쳐지게 되고, 그 중의 일부 종자는 상기 종자투입부탈부착구(13)의 입출공(13b)내에 투입되어진다. 그러나 상기 종자부입부탈부착구(13)의 내주연에 외주연이 나사 결합된 상기 종자투입부(80)의 입출공(81)의 상부에 형성된 조절막(83)에 가로 막혀 상기 입출공(81)의 내부로 투입되지 못하고 상기 조절막(83)의 상면에 얹혀 진 상태로 대기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압박승강봉(50)을 가압했던 손바닥을 들어 올리면 상기 압박승강봉(50)의 압력에 눌려 압축되어있던 스프링(30)은 탄발력에 의해 원상회복되어지고, 이와 동시에 상기 압박승강봉(50)도 상승되어 원위치로 돌아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압박승강봉(50)이 하강될 때 상기 압박승강봉(50)의 와이어고정 부(51)에 상부가 고정된 와이어(62)에 이끌려 상승되어 상기 종자투입공조절봉(20)의 하부입출구(22)내에 그 말단부가 대기상태로 위치해 있던 상기 종자투입봉(70)이 다시 하강하여 상기 종자투입부(80)의 입출공(81)의 내부로 삽입되어지면서 상기 조절막(83)의 상면에 얹혀있던 종자들을 밀어내 상기 조절막(83)과 상기 입출공(81)을 통과한 후 흙속에 배출시켜 파종되게 한다.
또한, 상기 종자투입부(80)의 고정홈(86)에 상부가 고정되어 구성되며 파종작업시 상기 종자투입부(80)보다 먼저 흙속에 투입되고, 파종이 된 후 상기 종자투입부(80)를 뒤따라 지상으로 노출되어지며, 수축되었다가 원상회복되는 복토부재(90)의 탄발력에 의해 파종구주변의 흙이 흘러내리면서 자연스럽게 복토가 완성되어지는바,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파종작업을 반복적으로 지속하게 되면 신속하게 파종을 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 및 그와 균등한 것들에 의하여 정해져야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정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단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호퍼와 호퍼고정부의 분리단면도.
도 6은 승강봉과 종자투입봉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개략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안내봉에 설치된 회동부재와 와이어를 나타낸 확대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종자투입부탈부착구와 입출공축소조절구의 분리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종자투입부의 분리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호퍼와 본체를 연결하는 연결부와 연결부고정턱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본체 11:호퍼고정부 11a:암나사산 12:종자투입공 13:종자투입부탈부착구 13a:평면부 13b:입출공 13c:원주형벽체 13d:암나사산 14:암나사산 15:종자대기실 16:연결부고정턱 16a,16b:날개벽 16a´,16b´:결합공 17:입출공축소조절구 17a:고정 판 17b:투입부 17c:평면부 17d:통공 20:종자투입공조절봉 20A:상부종자투입공조절 봉 20B:하부종자투입공조절봉 20a,20b:숫나사산 20c:외주연걸림턱 21:숫나사산 22:하부입출구 23:하 부걸림턱 24:암나사산 25:중부받침턱 26:상부입출구 27:상부걸림턱 28:외주연결합 부 28a:암나사산 29:결합부보호캡 30:스프링 40:안내봉 41:숫나사산 42:회동부재 43:지지대 44:힌지 50: 압박승강봉 50a:단턱 51:승강홈 52:와이어고정부 60:승강봉 61:와이어고정고리 62: 와이어 63:종자투입봉고정홈 64:결합공 64a:암나사산 65:결 합홈 65a:암나사산 66: 힌지 66a:숫나사산 66b:삽입홈 70:종자투입봉 71:결합공 71a:암나사산 80:종자투입부 81:입출공 82:삽입홈 83:조절막 84:고정링 85:숫나사 산 86:고정홈 90:복토부재 100:호퍼 101:종자투입구 101a:숫나사산 102:종자수용부 102a:암나사산 103:뚜껑 103a:숫나사산 104:연결부 104a:결합공 105:볼트 200:손잡 이 201:결합부 202:지지대 203:제1브래킷 204:제2브래킷 205:수평바아 206:볼트 500:스틱형파종기.

Claims (8)

  1. 하부외주연의 일측에 호퍼고정부(11)를 형성하고, 하단부의 내측에 종자투입부탈부착구(13)를 형성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하부내주연에 하부외주연이 나사 결합되고, 내주연의 중부에 중부받침턱(25)을 형성한 종자투입공조절봉(20)과;
    상기 중부받침턱(25)에 하부가 안착되는 스프링(30)과;
    상기 스프링(30)의 내부에 삽입되며 외주연하부가 상기 종자투입공조절봉(20)의 내주연중부에 나사 결합되어 구성되는 안내봉(40)과;
    상기 스프링(30)의 상부에 하부가 안착되어 상기 종자투입공조절봉(20)의 내주연과 상기 안내봉(40)의 외주연 사이에서 승강되도록 구성되는 압박승강봉(50)과;
    상기 압박승강봉(50)의 하단부내주연에 서로 마주하여 형성된 와이어고정부 (52)에 상부가 고정되고, 외주연중부에 서로 마주하여 형성된 와이어고정고리(61) 에 하부가 고정되며, 상기 안내봉(40)의 내주연상부에 서로 마주하여 형성된 회동 부재(42)의 외주연상부에서 연동되는 와이어(62)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안내봉(40) 과 상기 압박승강봉(50)의 내주연상부에 형성된 승강홈(51)의 내부에서 승강되어 지는 승강봉(60)과;
    상기 승강봉(60)의 하부에 상부가 고정되어 구성되는 종자투입봉(70)과;
    상기 종자투입부탈부착구(13)의 내주연에 상부외주연이 나사 결합되고 내부 에 상기 종자투입봉(70)이 입출되는 입출공(81)을 형성한 종자투입부(80)와; 상기 호퍼고정부(11)의 내주연에 외주연이 나사 결합되는 종자투입구(101)를 하부에 형 성한 호퍼(1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형파종기.
  2. 제 1항에 있어서,
    콩,옥수수 또는 이와 유사한 크기의 대립종 종자보다 작은 종자를 파종할 때는 원형으로 형성된 고정판(17a)의 상면에 투입부(17b)가 형성되고, 상기 투입부(17b)의 평면부(17c)중앙에 통공(17d)을 형성하여 구성된 입출공축소조절구(17)의상기 투입부(17b)가 상기 종자투입부탈부착구(13)의 입출공(13b)내에 투입되어 상기 입출공(13b)의 내경을 적당한 크기로 축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형 파종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종자투입공조절봉(20)의 상부외주연에는 내주연이 결합되어 형성된 결합부(201)와, 상기 결합부(201)의 일측에서 연장 형성된 지지대(202)와, 상기 지지대(202)에서 분리 형성된 제1,2브래킷(203, 204)과, 상기 제1브래킷(203)과 상기 제2브래킷(204) 사이에 수평바아(205)가 삽입되고, 상기 수평바아(205)의 일 단과 타단이 상기 제1브래킷(203)과 상기 제2브래킷에 각각 볼트(206)로 고정되어 형성된 손잡이(200)가 구성되는 것과, 상기 종자투입공조절봉(20)은 상기 손잡이(200)와 상기 중부받침턱(25)의 중간부가 단절되어 상부종자투입공조절봉(20A)과 하부종 자투입공조절봉(20B)으로 분리 형성되며 상기 상부종자투입공조절봉(20A)과 상기 하부종자투입공조절봉(20B)은 외주연결합부(28)로 나사결합 연결되도록 구성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형 파종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종자투입봉(70)은 상부에 결합공(71)을 형성하며, 상기 결합공(71)이 형성된 상부가 상기 승강봉(60)의 하부 내측에 형성된 종자투입봉고정홈(63)에 삽입되어 상기 결합공(71)과, 상기 종자투입봉고정홈(63)에 서로 마주되게 형성된 양 결합공(64,65)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힌지(66)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형 파종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종자투입부(80)의 상면에는 원형의 삽입홈(82)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82)에는 상기 입출공(81)의 상부에 씌워져 형성되는 조절막(83)의 가외테두리가 삽입되어 고정링(84)으로 고정되어지며, 외주연중부에 형성된 고정홈(86)에는 복토부재(90)의 상부가 고정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형 파종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막(83)은 상면을 십자형으로 절개하여 형성하고, 탄성력을 갖는 고 무재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형 파종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토부재(90)는 탄성력이 있는 스프링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형 파종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100)는 투명한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형 파종기.
KR2020090001535U 2009-02-12 2009-02-12 스틱형 파종기 KR2004542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1535U KR200454209Y1 (ko) 2009-02-12 2009-02-12 스틱형 파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1535U KR200454209Y1 (ko) 2009-02-12 2009-02-12 스틱형 파종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8297U true KR20100008297U (ko) 2010-08-20
KR200454209Y1 KR200454209Y1 (ko) 2011-06-21

Family

ID=44453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1535U KR200454209Y1 (ko) 2009-02-12 2009-02-12 스틱형 파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420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242946A (zh) * 2023-10-12 2023-12-19 河北热点农业发展有限公司 一种用于农业种植的自动化一体设备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0825A (ko) * 2003-04-23 2003-07-16 주식회사 드림나우 참조 경로를 이용한 성향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JP2005087198A (ja) 2003-09-20 2005-04-07 Mitsuo Tanokura 菜園用種蒔き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242946A (zh) * 2023-10-12 2023-12-19 河北热点农业发展有限公司 一种用于农业种植的自动化一体设备
CN117242946B (zh) * 2023-10-12 2024-04-02 河北热点农业发展有限公司 一种用于农业种植的自动化一体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4209Y1 (ko) 2011-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926247A (zh) 棉花地膜精播辅助器械
KR102228840B1 (ko) 파종기
CN211321996U (zh) 一种四行玉米豆类一体铺膜播种机
CN110892849B (zh) 艾草种植方法
CN208924607U (zh) 一种手提式播种施肥器
KR101990206B1 (ko) 관수장치가 구비된 롤러타입 양파 파종기
KR200454209Y1 (ko) 스틱형 파종기
KR102052426B1 (ko) 비료 투입기
KR101512002B1 (ko) 비닐 피복장치용 파종기
CN210959435U (zh) 一种便捷式甘蔗种植工具
KR100668037B1 (ko) 콩 파종기
CN205510783U (zh) 玉米多功能一体机
CN215346091U (zh) 一种中草药育苗育种用半自动播种机
CN204907329U (zh) 一种农作物播种膜及制膜设备
CN205320524U (zh) 手持式蔬菜播种器
KR20180119784A (ko) 수동식 이중 비닐피복장치
KR101958765B1 (ko) 파종기
KR200417419Y1 (ko) 트랙터 부착용 수답전답 담수 직파기
KR200416221Y1 (ko) 승용이앙기 부착용 담수 직파기
CN109892062A (zh) 一种玉米避盐播种机及玉米避盐的播种方法
CN216820899U (zh) 一种生态园林绿化种植盘
KR100699489B1 (ko) 트랙터 부착용 수답전답 담수 직파기
CN217850084U (zh) 一种具备辅助控制种植深度功能的玉米种植器
CN110915330B (zh) 一种抗旱抗伏倒的提高大麦产量的种植装置及种植方法
CN210491646U (zh) 一种蔬菜种植用播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