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8291A - 조립식 판넬의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조립식 판넬의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8291A
KR20100008291A KR1020080068788A KR20080068788A KR20100008291A KR 20100008291 A KR20100008291 A KR 20100008291A KR 1020080068788 A KR1020080068788 A KR 1020080068788A KR 20080068788 A KR20080068788 A KR 20080068788A KR 20100008291 A KR20100008291 A KR 201000082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fabricated panel
sound absorbing
fixing
absorbing material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8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87293B1 (ko
Inventor
김진호
Original Assignee
김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호 filed Critical 김진호
Priority to KR10200800687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7293B1/ko
Publication of KR201000082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82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7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72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75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 basic insulating layer and at least one covering lay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66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omposed of several layers, e.g. sandwich panels or layered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판넬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벽체와 조립식 판넬 사이에 흡음재가 개재되어져 상기 조립식 판넬이 벽체와 직접 고정되지않고 흡음재에 고정설치됨으로서 상기 조립식 판넬의 설치 및 해체가 간단하게 실시되어지는 조립식 판넬의 결합구조를 발명한 것이다.
이에 더하여 상기 흡음재를 통하여 실내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흡음하도록 함으로서 보다 쾌적한 실내공간 유지가 가능하여 소음으로 인한 고객의 피해를 최소화하도록 제공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결합되는 조립식 판넬은 후방영역에 고정돌기가 돌설되고 상기 흡음재의 전방영역에 고정공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돌기가 고정공에 끼움결합되면서 상기 조립식 판넬이 흡음재와 간단히 결합되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상기 고정돌기의 외주연에는 다수의 걸림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공의 내측에는 연질의 러버재가 결합되어지되, 상기 러버재의 내측으로 다수의 걸림턱이 형성되어져 상기 고정돌기의 걸림돌기가 러버재의 걸림턱에 기밀하게 끼움결합되면서 보다 견고한 구성을 갖는 조립식 판넬의 결합구조가 실시가능하다.
조립식 판넬, 흡음재, 고정돌기, 고정공, 러버재, 걸림돌기, 걸림턱

Description

조립식 판넬의 결합구조{Prefabricated panel for Construction Combination structure}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연질의 러버재가 결합된 상태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1-조립식 판넬 2-흡음재
11-고정돌기 12-베이스
13-결합돌기 14-웨브
15-플랜지 16-결합홈부
17-흡음공 21-고정공
22-러버재 100-벽체
111-걸림돌기 221-걸림턱
본 발명은 조립식 판넬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실내 벽체로부터 마감장식을 위하여 조립식 판넬이 용이하게 결합되어지도록 상기 벽체와 조립식 판넬 사이에 흡음재가 개재되어지되, 상기 흡음재에는 다수의 고정공이 형성되어져 상기 조립식 판넬의 배면부에 돌설된 고정돌기와 끼움결합되어져 설치가 간단하고 고정력을 향상시키며 우수한 흡음효과가 기대가능한 조립식 판넬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실시되는 조립식 판넬의 결합구조에 의하면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고정공에 보다 긴밀하게 결합되어질 수 있도록 상기 고정공의 내측에는 연질의 러버재가 결합되어지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상기 연질의 러버재의 내주연에는 다수의 걸림턱을 형성함으로서 상기 고정돌기의 외주연에 형성된 걸림돌기와 기밀한 끼움결합이 실시가능한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걸림턱에 걸림돌기가 결합되어지도록 상기 걸림턱과 걸림돌기의 단면부는 "
Figure 112008050943812-PAT00001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조립식 판넬과 벽체 사이에 개재되어지는 흡음재는 통상적으로 소리를 흡수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건축재료의 일부 구성요소이다.
상기와 같이 제공되는 흡음재는 그 구조에 따라 다공질 흡음재와 판상(板狀) 흡음재로 나뉘는데, 전자는 표면과 내부에 작은 기포(氣泡) 또는 가는 관(管) 모양의 구멍이 있고 이 구멍 속의 공기가 음파에 의해 진동하여 생긴 마찰 때문에 소리 에너지가 열에너지로 바뀌어 흡수되는 것이고, 후자는 음파가 판을 진동시키면서 소리에너지를 소모하게 하여 흡음 효과를 얻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양자의 흡음재 모두 외부의 소음을 효율적으로 흡음하도록 제공되는 것이며 상기 흡음재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상기 흡음재는 융점이 220~250℃의 범위에 있는 고융점 폴리에스터 섬유를 주재료로 하는 제 1섬유층과; 융점이 120~130℃의 저융점 폴리에스터 섬유를 주재료로 하는 제 2섬유층과; 상기 제 1섬유층과 제 2섬유층 사이에 섬유간 고정제로 하여 제조된 3~5종의 섬유웹을 복합적층시킨 제 3섬유층으로 구성된 폴리에스터 흡음재로 구성되어져 보다 효율적인 흡음효과가 제공가능하다.
한편, 상기 조립식 판넬은 후방영역에 평평한 형상의 베이스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의 상부 전면으로 결합돌기가 돌설되며 하부 전면에는 웨브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웨브의 단부에는 수직방향으로 플랜지가 형성되어지며 상기 플랜지의 하부를 내측방향으로 밴딩형성하여 결합홈부를 형성하되, 상기 베이스와 결합홈부 사이에는 흡음공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의 배면부에는 다수의 고정돌기가 돌설되어져 미려한 장식마감재로 실시가능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천장이나 벽체의 마감재로 사용되어지는 종래의 판넬은 대부분 상기 천장이나 벽체를 보호하고 또 다른 실내 디자인으로 공간 연출이 가능하고자 설치하는 것으로서 주로 지그재그 또는 격자형 베이스를 중심으로 상기 베이스에 다수의 플랜지가 직각방향으로 형성되어진 것이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판넬은 간단한 작업에 의하여 사출함으로서 사출과정이 간단하나 실질적으로 현장에서 사용시 일부분만 파손시에도 전체적인 교체가 필요하여 근래에는 상기 판넬의 전체형상으로 분할하여 설치가능한 조립식 판넬이 안출된 것이며 그에 따라 다수의 플랜지를 부분적으로 결합하여 사용하는 방안이 제시된 것이다.
즉 국내에 선출원된 등록특허 10-488392호 건축용 조립 판넬의 연결구조와 국내에 선등록된 등록실용신안 20-394586호 건축용 조립 판넬의 연결구조 등과 같이 새로운 개념의 특허가 출원되어 사용되어 온 것으로서 상기와 같이 제안된 특허의 경우 양자 모두 베이스와 벽체가 고정되기 위하여 볼트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방식이 제안된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조립판넬을 볼트를 이용하여 벽체에 직접고정하여 설치하는 경우 장기간 사용시 벽체와 고정된 볼트부분에 하중이 전달되어 파손의 우려가 제기되며 또한 상기 조립판넬에 걸쳐지는 다양한 장식제품등에 의하여 상기 조립판넬의 내외부에서 전달되어지는 압력에 의하여 판넬이 손상되어 빈번하게 교체하여야 하는 등 또 다른 문제점이 제기된 것이다.
이에 더하여 실내에서 발생하는 소음에 대한 별도의 흡음방안이 없어 실내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그대로 소비자에게 전달됨으로서 쾌적한 실내환경에 부적합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제기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벽체 또는 조립판넬에 볼트를 고정하는 경우 미관상 좋지 않을 뿐 아니라 재사용시 별도의 조립공정 내지 볼트공 주변을 수선하여야 하는 등의 문제점 등이 제기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벽체와 조립식 판넬 사이에는 전방영역에 고정공이 형성된 흡음재가 개재되어져 상기 조립식 판넬의 후방역역에 형성된 고정돌기와 끼움결합되어지는 것을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고정공의 내측으로 연질의 러버재가 결합되어지되, 상기 연질의 러버재의 내측으로 다수의 걸림턱이 형성되어지며 상기 고정돌기의 외주연에는 다수의 걸림돌기가 형성되어져 상기 고정돌기와 연질의 러버재가 보다 기밀하게 결합되어지는 것을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흡음재의 구성을 융점이 220~250℃의 범위에 있는 고융점 폴리에스터 섬유를 주재료로 하는 제 1섬유층과; 융점이 120~130℃의 저융점 폴리에스터 섬유를 주재료로 하는 제 2섬유층과; 상기 제 1섬유층과 제 2섬유층 사이에 섬유간 고정제로 하여 제조된 3~5종의 섬유웹을 복합적층시킨 제 3섬유층으로 구성된 것을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벽체(100)의 전방영역에는 흡음재(2)가 고정설치되고 상기 흡음재(2)의 전방영역에는 조립식 판넬(1)이 고정결합되어지는 조립식 판넬(1)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후방영역은 평평한 형상으로 형성된 베이스(12)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12)의 상부 전면으로 결합돌기(13)가 돌설되며 하부 전면에는 웨브(14)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웨브(14)의 단부에는 수직방향으로 플랜지(15)가 형성되어지며 상기 플랜 지(15)의 하부를 내측방향으로 밴딩형성하여 결합홈부(16)를 형성하되, 상기 베이스(12)와 결합홈부(16) 사이에는 흡음공(17)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12)의 배면부에는 다수의 고정돌기(11)가 돌설되어진 조립식 판넬(1)과; 상기 조립식 판넬(1)의 고정돌기(11)와 결합되어지도록 상기 조립식 판넬(1)과 벽체(100)사이에 개재되어지고 전방영역에는 다수의 고정공(21)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공(21)의 내주연에는 연질의 러버재(22)가 결합되어지되, 상기 연질의 러버재(22)는 내측으로 다수의 걸림턱(221)이 형성되어진 흡음재(2)로 구성되어져 상기 조립식 판넬(1)의 고정돌기(11)의 외주연에 형성된 걸림돌기(111)가 상기 연질의 러버재(22)의 걸림턱(221) 내측으로 끼움결되어지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상기 조립식 판넬(1)의 고정돌기(11)와 상기 연질의 러버재(22)의 단면부가 "
Figure 112008050943812-PAT00002
"형상으로 형성되어진 것이다.
또한, 상기 흡음재(2)는 융점이 220~250℃의 범위에 있는 고융점 폴리에스터 섬유를 주재료로 하는 제 1섬유층과; 융점이 120~130℃의 저융점 폴리에스터 섬유를 주재료로 하는 제 2섬유층과; 상기 제 1섬유층과 제 2섬유층 사이에 섬유간 고정제로 하여 제조된 3~5종의 섬유웹을 복합적층시킨 제 3섬유층으로 구성된 흡음재(2)로 구성되어진 것이다.
한편 상기 고정돌기(11)의 외측으로 형성된 걸림돌기(111)의 각도가 25~30도로 형성되어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도시된 것과 같이 벽체(100)의 전면에는 흡음재(2)가 설치되어지고 상기 흡음재(2)의 전면에는 조립식 판넬(1)이 설치되어지되, 상기 조립식 판넬(1)은 평평한 형상으로 형성된 베이스(12)가 후방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12)의 상부 전면으로 결합돌기(13)가 돌설되며 하부 전면에는 웨브(14)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웨브(14)의 단부에는 수직방향으로 플랜지(15)가 형성되어지며 상기 플랜지(15)의 하부를 내측방향으로 밴딩형성하여 결합홈부(16)를 형성하되, 상기 베이스(12)와 결합홈부(16) 사이에는 흡음공(17)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12)의 배면부에는 다수의 고정돌기(11)가 돌설되어진 것이다.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조립식 판넬(1)은 상기 고정돌기(11)에 의하여 상기 흡음재(2)와 끼움결합되어 설치가능한 것이다.
이에 더하여 상기 조립식 판넬(1)의 흡음공(17)을 통하여 상기 흡음재(2)의 우수한 흡음효과가 실시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흡음재(2)가 벽체(100)와 기밀하게 설치되기 위하여 상기 흡음재(2)의 배면부에는 접착액이 도포되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조립식 판넬(1)의 외측으로 다양한 제품을 장식할 수 있도록 걸이구가 설치되어져 상기 걸이구의 단부에 다양한 제품을 거치가능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분리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도시된 것과 같이 조립식 판넬(1)의 배면부에 고정돌기(11)가 돌설되어지고 상기 흡음재(2)의 전면부에는 고정공(21)이 형성되어져 상기 고정공(21)에 상기 고정돌기(11)가 끼움결합되어 지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연질의 러버재(22)가 결합된 상태의 분리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도시된 것과 같이 조립식 판넬(1)의 배면부에 돌설된 고정돌기(11)의 외주연에는 다수의 걸림돌기(111)가 돌설되어지고 상기 흡음재(2)의 전면부에 형성된 고정공(21)의 내측으로 연질의 러버재(22)가 결합되어지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상기 연질의 러버재(22) 내측으로 다수의 걸림턱(221)이 형성되어져 상기 걸림돌기(111)가 기밀하게 결합가능한 것이다.
한편 상기 러버재(22)가 상기 고정공(21)에 기밀하게 결합되기 위하여 상기 러버재(22)와 고정공(21)의 인접영역에는 접착액을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결합상태 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도시된 것과 같이 벽체(100)의 일측으로 흡음재(2)가 고정설치되어지고 상기 흡음재(2)의 일측으로 조립식 판넬(1)이 설치되어지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상기 흡음재(2)와 조립식 판넬(1)이 보다 기밀하게 결합되기 위하여 일측의 확대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흡음재(2)의 고정공(21) 내측으로 러버재(22)가 결합되는 것이며 상기 러버재(22)의 내주연에는 다수의 걸림턱(221)이 형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조립식 판넬(1)의 고정돌기(11)는 외주연에 다수의 걸림돌기(111)가 형성되어져 상기 고정돌기(11)의 걸림돌기(111)와 러버재(22)의 걸림턱(221)이 치합결합되어지는 것이다.
즉 상기 고정돌기(11)의 걸림돌기(111)를 상기 러버재(22)의 걸림턱(221)에 밀어넣게 되면 상기 걸림턱(221)에 결합되는 걸림돌기(111)는 외부로의 이탈이 방지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걸림턱(221)과 걸림돌기(111)의 치합결합되어지는 개수만큼 결합력이 우수한 것이며 상기 걸림돌기(111)가 완전히 걸림턱(221)과 결합시 상기 조립식 판넬(1)의 지지력이 증강가능한 것이다.
한편 상기 걸림돌기(111)의 경사각도는 다양하게 실시가능하나 보다 안정적인 결합과 지지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걸림돌기(111)의 각도는 25~30도로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벽체의 전면부에 흡음재를 설치한 후 상기 흡음재에 조립식 판넬을 설치함으로서 상기 벽체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며, 조립식 판넬의 고정돌기를 이용하여 흡음재에 간단히 결합가능하여 설치가 용이하며 해체시에는 상기 흡음재로부터 조립식 판넬을 분리한 후 상기 흡음재를 제거함으로서 해체 작업 또한 간단히 실시되어져 작업능률의 효과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조립식 판넬은 원형이 항상 유지가능함으로서 상기 조립식 판넬이 반영구적으로 재사용이 가능하여 자원절감의 효과가 기대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조립식 판넬에 형성된 흡음공을 통하여 실내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적절히 감소시켜 줌으로서 실내에서 발생하는 소음에 대한 피해를 최소화하는 효과가 제공된다.
한편 본 발명은 그에 관한 최선의 구성상태를 열거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 첨부되는 청구범위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면 이전까지 서술된 구성예의 변경을 고려해 볼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4)

  1. 벽체의 전방영역에는 흡음재가 고정설치되고 상기 흡음재의 전방영역에는 조립식 판넬이 고정결합되어지는 조립식 판넬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후방영역은 평평한 형상으로 형성된 베이스(12)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12)의 상부 전면으로 결합돌기(13)가 돌설되며 하부 전면에는 웨브(14)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웨브(14)의 단부에는 수직방향으로 플랜지(15)가 형성되어지며 상기 플랜지(15)의 하부를 내측방향으로 밴딩형성하여 결합홈부(16)를 형성하되, 상기 베이스(12)와 결합홈부(16) 사이에는 흡음공(17)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12)의 배면부에는 다수의 고정돌기(11)가 돌설되어진 조립식 판넬(1)과;
    상기 조립식 판넬(1)의 고정돌기(11)와 결합되어지도록 상기 조립식 판넬(1)과 벽체(100)사이에 개재되어지고 전방영역에는 다수의 고정공(21)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공(21)의 내주연에는 연질의 러버재(22)가 결합되어지되, 상기 연질의 러버재(22)는 내측으로 다수의 걸림턱(221)이 형성되어진 흡음재(2)로 구성되어져 상기 조립식 판넬(1)의 고정돌기(11)의 외주연에 형성된 걸림돌기(111)가 상기 연질의 러버재(22)의 걸림턱(221) 내측으로 끼움결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판넬의 결합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 판넬(1)의 고정돌기(11)와 상기 연질의 러버재(22)의 단면부가 "
    Figure 112008050943812-PAT00003
    "형상으로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판넬의 결합구조.
  3. 제 1항 또는 제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재(2)는 융점이 220~250℃의 범위에 있는 고융점 폴리에스터 섬유를 주재료로 하는 제 1섬유층과;
    융점이 120~130℃의 저융점 폴리에스터 섬유를 주재료로 하는 제 2섬유층과;
    상기 제 1섬유층과 제 2섬유층 사이에 섬유간 고정제로 하여 제조된 3~5종의 섬유웹을 복합적층시킨 제 3섬유층으로 구성된 흡음재(2)로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판넬의 결합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기(11)의 외측으로 형성된 걸림돌기(111)의 각도가 25~30도로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판넬의 결합구조.
KR1020080068788A 2008-07-15 2008-07-15 조립식 판넬의 결합구조 KR1009872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8788A KR100987293B1 (ko) 2008-07-15 2008-07-15 조립식 판넬의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8788A KR100987293B1 (ko) 2008-07-15 2008-07-15 조립식 판넬의 결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8291A true KR20100008291A (ko) 2010-01-25
KR100987293B1 KR100987293B1 (ko) 2010-10-12

Family

ID=41816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8788A KR100987293B1 (ko) 2008-07-15 2008-07-15 조립식 판넬의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72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5304A (ko) * 2015-03-26 2016-10-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블래스트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1270B1 (ko) 2012-03-15 2012-06-15 중재기업(주) 주조형 방음판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8938Y1 (ko) * 1993-03-31 1995-10-18 안찬응 단열판재
KR100517795B1 (ko) * 2002-11-08 2005-10-04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마그네토스트릭션 센서를 이용한 굽힘파 및 굽힘진동 측정장치및 방법
KR100730656B1 (ko) * 2007-03-16 2007-06-20 양내문 복합 단열재용 고정장치
KR100787862B1 (ko) 2007-04-10 2007-12-27 김영미 건축용 흡음판넬
KR200440974Y1 (ko) 2007-04-19 2008-07-11 유인섭 패널 결합핀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5304A (ko) * 2015-03-26 2016-10-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블래스트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7293B1 (ko) 2010-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7345B1 (ko) 니들펀칭형 방염 섬유 및 단백질계 친환경 접착제를 이용한 천장 판넬 및 역 v자 형상 클립을 이용한 천정 판넬 설치방법
JP2011504211A (ja) 強度補強用パネル
CN205330060U (zh) 一种室内设计用装饰墙板
AU2010352423B2 (en) Building panel or building panel set, fastening system for a building panel, and method for fastening a building panel
KR100987293B1 (ko) 조립식 판넬의 결합구조
KR100816788B1 (ko) 가설 방음벽의 구조
US20140065349A1 (en) Reinforced architectural panel
KR102236474B1 (ko) 우물천장 구조물
KR20120037132A (ko) 벽체 구조물의 내진보강공법
JP2008133699A (ja) 断熱パネル、断熱パネル用の繊維系断熱材及び断熱パネルの施工方法
KR102247571B1 (ko) 판진동 흡수구조를 갖는 층간소음 저감용 바닥 슬래브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874212B1 (ko) 벽체 마감용 및 천정용 처짐 방지 일체형 멜라민 흡음재유닛구조 및 이를 이용하여 벽체 및 천정을 시공하는 방법
KR20090005274A (ko) 건물의 외벽면 샌드위치 판넬 시공구조
KR101702063B1 (ko) 건축용 외장패널 고정구조체
TWM290175U (en) Structure of the light building materials with sound absorption and insulation function
JP2004068299A (ja) 建物における内装の吸音構造及びそれに用いる建築用内装パネル
KR20080017772A (ko) 벽체 마감용 패널
KR20050103166A (ko) 조립식 벽체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구조물
CN216195953U (zh) 一种建筑用的保温隔音墙板结构
CN212772927U (zh) 一种新型环保铝单板保温一体板
CN220486813U (zh) 一种装配式装饰一体隔声防火墙体结构
CN216865664U (zh) 一种新型吊顶结构
CN211850186U (zh) 一种金属门套安装结构
CN210421618U (zh) 一种房屋建设用降噪型板墙
KR100551020B1 (ko) 입상관 고정 및 지지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