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7857U - 조립식 목재침대 - Google Patents

조립식 목재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7857U
KR20100007857U KR2020090000973U KR20090000973U KR20100007857U KR 20100007857 U KR20100007857 U KR 20100007857U KR 2020090000973 U KR2020090000973 U KR 2020090000973U KR 20090000973 U KR20090000973 U KR 20090000973U KR 20100007857 U KR20100007857 U KR 2010000785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d
pair
sides
support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09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56261Y1 (ko
Inventor
원욱성
Original Assignee
원욱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욱성 filed Critical 원욱성
Priority to KR20200900009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6261Y1/ko
Publication of KR2010000785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785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62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626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2Parts or details of bedsteads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subgroups, e.g. bed rails, post rails
    • A47C19/021Bedstead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05Bedsteads dismount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2Parts or details of bedsteads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subgroups, e.g. bed rails, post rails
    • A47C19/028Parts or details of bedsteads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subgroups, e.g. bed rails, post rails for joining separate bedstea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07Anti-mite, anti-allergen or anti-bacterial means

Landscapes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조립 및 운반이 용이하고 친환경적인 조립식 목재침대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목재침대는 세 개의 패널로 이루어지며 침대의 본체를 구성하는 베드부재(100)와, 베드부재(100)의 상단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헤드부재(200)와, 베드부재(100)의 하부에 설치되어 베드부재(100)를 지지함과 동시에 헤드부재(200)를 결속시키는 한 쌍의 연결보(300)와, 한 쌍의 연결보(300)와 직교방향으로 결속되어 침대 전체를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대(400)를 포함하며, 침대를 구성하는 베드부재, 헤드부재, 연결보 및 지지대가 모두 친환경적인 목재로 제조되고 구성부분들을 단순히 결속시킴에 의해 침대가 완성되도록 함으로써, 환경친화성과 심미성이 뛰어나고 조립과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며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안정성 및 내구성이 클 뿐만 아니라 항균 및 부패방지 작용에 의해 사용시 인체에 유익한 효과가 발휘된다.
조립식, 침대, 목재, 자작나무

Description

조립식 목재침대{KNOCKDOWN BED}
본 고안은 조립이 용이한 목재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베드와 받침부분을 목재패널 형태로 제작하고 상호간 결합시키기 쉽도록 형성함으로써 조립과 설치 및 운반이 용이하고 환경친화적이며 인체에 유익한 효과를 발휘하는 조립식 목재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대는 전체를 지지하는 지지부재, 매트리스를 받칠 수 있는 받침부재 및 그 위에 안착되는 매트리스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침대는 완성품 또는 현장에서 조립할 수 있는 부품 형태로 제조되어 사용자에게 공급된다.
위와 같은 일반적인 침대는 목재나 금속 또는 합성수지 등을 혼용하여 제작되기 때문에 제작 공정이 까다로울 뿐만 아니라 복잡한 구조로 인하여 완성품으로 공급되어야 하거나 부품으로 공급되더라도 사용자가 직접 조립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매트리스 등을 이용하여 침대 사용자에게 유리한 영향을 미치게 하는 경우는 있으나, 침대 자체의 구성부분이 친환경적이고 인체에 유익한 재질로 구성된 것은 없어 이러한 침대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환경친화적이며 조립과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한 조립식 목재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안정성 및 내구성이 큰 조립식 목재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항균 및 부패방지 기능이 있는 재질로 제조하여 사용시 인체에 유익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조립식 목재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사각형상의 중앙패널과 그의 상하부에 연설되며 폭이 동일하고 길이가 짧은 상부패널과 하부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패널들의 양측에 종방향을 따라 형성된 다수의 나사공을 구비하며, 연설된 상기 패널들에 의해 침대의 본체를 구성하는 베드부재;
하부 양쪽에 각각 결속홈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패널의 상단면에 밀착되도록 수직으로 설치되어 침대의 머리부분을 구성하는 헤드부재;
상부면의 일단부에 상부결속홈이 형성되고, 하부면 양쪽에 하부결속홈이 형성되어, 상기 베드부재의 하부면 양쪽에 종방향으로 고정됨과 함께, 상단부가 상기 헤드부재의 하부와 결속되어 베드부재와 헤드부재를 연결시키고 지지하는 한 쌍의 연결보; 및
상부면 양쪽에 결속홈이 형성되고, 하부면 전체가 내측으로 만입된 아치부가 형성되어, 상기 양쪽 연결보에 걸쳐 하부에서 횡방향으로 결속되는 한 쌍의 지지대; 를 포함하는 조립식 목재침대를 제공한다.
상기 베드부재와 헤드부재에는 전후면을 관통하는 다수의 통공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드부재와 연결보는 나사공을 통해 나사결합되는 다수의 고정나사에 의하여 결합되거나 고정핀을 이용하여 상호 결속시킬 수 있다.
상기 조립식 목재침대를 구성하는 각 부재들은 자작나무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조립식 목재침대에 의하면, 침대를 구성하는 베드부재, 헤드부재, 연결보 및 지지대가 모두 친환경적인 목재로 제조되고, 구성부분들을 단순히 결속시킴에 의해 침대가 완성되도록 함으로써, 환경친화성과 심미성이 뛰어나고 조립과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며,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안정성 및 내구성이 크다.
또한, 본 고안의 조립식 목재침대는 항균 및 부패방지 작용을 함으로써 사용시 인체에 유익한 효과가 발휘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목재침대를 설명한다.
도 1과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목재침대의 사시도와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목재침대는 세 개의 패널로 이루어지며 침대의 본체를 구성하는 베드부재(100)와, 베드부재(100)의 상단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헤드부재(200)와, 베드부재(100)의 하부에 설치되어 베드부재(100)를 지지함과 동시에 헤드부재(200)를 결속시키는 한 쌍의 연결보(300)와, 한 쌍의 연결보(300)와 직교방향으로 결속되어 침대 전체를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대(400)를 포함한다.
각 부재의 상세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목재침대의 베드부재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베드부재(100)는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사각형상의 중앙패널(110)과, 그 상하부에 연설되는 상부패널(120)과 하부패널(130)로 이루어지고, 연설된 상기 패널(110,120,130)들에 의해 침대의 본체를 구성하는 부분이다.
상부패널(120)과 하부패널(130)은 중앙패널(110)과 폭이 동일하지만 길이는 짧게 형성되며, 각 모서리는 둥글게 라운딩처리되어 있다. 다만, 상부패널(120)의 상단면은 헤드부재(200)와 밀착되는 부분으로서 밀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라운딩처리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패널(110,120,130)들의 내부면 양측에는 나사공(150)이 종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연결보와 고정나사로 결합시키기 위하여 형성된 홀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목재침대의 헤드부재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헤드부재(200)는 침대의 머리부분을 구성하는 부재로서, 베드부재(100)의 상단에 수직으로 설치된다. 헤드부재(200)의 하부면에는 결속홈(210)이 양쪽에 각각 형성되어 있어서, 상부패널(120)의 상단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연결보(300)의 상단부와 결속된다.
그리고, 베드부재(100)와 헤드부재(200)는 전후면을 관통하여 다수의 통공(140,220)들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통기성을 향상시켜 매트리스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목재의 표면적을 넓히기 위한 것이다. 이는 특히 자작나무로 제작되는 경우 항균 및 부패방지 효과를 높이게 된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목재침대의 연결보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연결보(30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단면의 긴 막대형상을 하고 있으며, 베드부재(100)에 결합되고 헤드부재(200)와 결속되어 베드부재(100)와 헤드부재(200)를 연결시키고 지지하여 침대 형상을 이루도록 하는 한 쌍의 부재이다.
연결보(300)의 상부면 일단부에는 상부결속홈(310)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면 양쪽에는 하부결속홈(320)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결속홈(310)은 헤드부재(200)의 결속홈(210)과 결속되는 부분이고, 하부결속홈(320)은 지지대(400)의 결속홈(410)과 결속되는 부분이다. 이와 같이 홈과 홈의 결속을 통해 상호 위치를 일정하게 고정시킴과 동시에 부재들간의 결속력을 높일 수 있다.
연결보(300)는 베드부재(100) 하부면의 내부 양쪽에 종방향으로 설치되는데, 이는 베드부재(100)의 각 나사공(150)을 통해 고정나사(151)를 삽입하여 연결보(300)의 상부면에 형성된 나사공(330)에 나사결합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고정나사(151)를 사용할 수도 있지만, 단순히 고정핀 등을 이용하여 연결시킬 수도 있다. 또한, 나사공(330)에는 너트를 내장시켜 고정나사(151)와 볼트결합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목재침대의 지지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지지대(400)는 하부가 아치형태를 이루는 한 쌍의 막대형 부재로서, 각 지지대(400)는 나란히 설치되어 있는 양쪽 연결보(300)들에 직각으로 결속되어 침대 전체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지지대(400)의 상부면에는 결속홈(410)이 양쪽에 형성되어 있어서, 연결보(300)의 하부결속홈(320)과 각각 결속됨으로써 위치를 고정시킴과 동시에 결속력을 높이게 된다. 그리고, 하부면은 전체가 내측으로 만입되어 아치부(420)를 이루고 있는데, 이는 미적 효과를 높일 뿐만 아니라 지지대(400)의 크기에 비해 높은 강도를 도출시킬 수 있는 형상이다.
연결보(300)는 침대의 상부와 하부 두 곳에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침대 전체의 하중을 지지한다.
상기 조립식 목재침대를 구성하는 각 부재들은 자연산 원목 또는 합판으로 형성되며, 특히 자작나무 원목이나 그 합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작나무는 표면이 미려하여 장식적 효과가 뛰어날 뿐만 아니라 항균 및 부패방지에도 큰 효과를 발휘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실시예로 기재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당업자가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수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며, 이러한 변형과 수정 역시 첨부된 청구범위에 속한다는 것은 당연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목재침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목재침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목재침대의 베드부재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목재침대의 헤드부재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목재침대의 연결보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목재침대의 지지대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베드부재 110:중앙패널
120:상부패널 130:하부패널
140:통공 150,330:나사공
151:고정나사 200:헤드부재
210:결속홈 220:통공
300:연결보 310:상부결속홈
320:하부결속홈 400:지지대
410:결속홈 420:아치부

Claims (4)

  1. 사각형상의 중앙패널과 그의 상하부에 연설되며 폭이 동일하고 길이가 짧은 상부패널과 하부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패널들의 양측에 종방향을 따라 형성된 다수의 나사공을 구비하며, 연설된 상기 패널들에 의해 침대의 본체를 구성하는 베드부재;
    하부 양쪽에 각각 결속홈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패널의 상단면에 밀착되도록 수직으로 설치되어 침대의 머리부분을 구성하는 헤드부재;
    상부면의 일단부에 상부결속홈이 형성되고, 하부면 양쪽에 하부결속홈이 형성되어, 상기 베드부재의 하부면 양쪽에 종방향으로 고정됨과 함께, 상단부가 상기 헤드부재의 하부와 결속되어 베드부재와 헤드부재를 연결시키고 지지하는 한 쌍의 연결보; 및
    상부면 양쪽에 결속홈이 형성되고, 하부면 전체가 내측으로 만입된 아치부가 형성되어, 상기 양쪽 연결보에 걸쳐 하부에서 횡방향으로 결속되는 한 쌍의 지지대; 를 포함하는 조립식 목재침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드부재와 헤드부재에는 전후면을 관통하는 다수의 통공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시 목재침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드부재와 연결보는 나사공 또는 고정핀으로 결합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시 목재침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 목재침대를 구성하는 각 부재들은 자작나무 또는 그 합판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시 목재침대.
KR2020090000973U 2009-01-29 2009-01-29 조립식 목재침대 KR2004562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0973U KR200456261Y1 (ko) 2009-01-29 2009-01-29 조립식 목재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0973U KR200456261Y1 (ko) 2009-01-29 2009-01-29 조립식 목재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7857U true KR20100007857U (ko) 2010-08-06
KR200456261Y1 KR200456261Y1 (ko) 2011-10-21

Family

ID=44453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0973U KR200456261Y1 (ko) 2009-01-29 2009-01-29 조립식 목재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626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8066B1 (ko) * 2021-03-11 2021-07-16 주식회사 팔로모리빙 공간 활용의 효율성을 강화한 접이식 매트리스 어셈블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3182Y1 (ko) 2016-09-08 2017-04-13 이은혜 전동식 목재 침대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5542B1 (ko) 2007-03-05 2008-12-24 최기주 조립형침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8066B1 (ko) * 2021-03-11 2021-07-16 주식회사 팔로모리빙 공간 활용의 효율성을 강화한 접이식 매트리스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6261Y1 (ko) 2011-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3860796U (zh) 铝材柜体的拼装结构
KR200456261Y1 (ko) 조립식 목재침대
CN203182363U (zh) 一种实木拼板的柜子
CN202681000U (zh) 一种桌子
KR20190112349A (ko) 가구 배면판넬 조립구조
CN208550533U (zh) 一种新型桌脚组合结构
CN202553049U (zh) 一种雕花式实木床
US20030044231A1 (en) Puzzle joint system
JP3134653U (ja) 改良構造による組立て家具
NO315683B1 (no) Konstruksjonselement for möbler
CN203022291U (zh) 拼花地板
KR20170018587A (ko) 조립식 정자의 기둥부재용 주두
KR101574976B1 (ko) 짜맞춤을 이용한 목재 스툴
JP3161706U (ja) 組立式家具
CN110821923A (zh) 一种板式家具用燕尾榫连接结构
CN202874509U (zh) 一种桌脚
CN211483722U (zh) 一种软包床
CN203308023U (zh) 一种楼梯踏板的边条安装结构
JP4415714B2 (ja) 学習机
CN202698426U (zh) 木制简易加固凳子
CN203399804U (zh) 一种实木拼板的桌子
CN210842242U (zh) 一种可扩展的家具组合台面
CN201013073Y (zh) 具有侧端衔接结构的踢脚线板
KR200288622Y1 (ko) 평판과 지주의 연결부위에 설치되는 가구용 완충부재
KR200340568Y1 (ko) 가구용 기둥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