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7852U - 위생 항균 칫솔 - Google Patents

위생 항균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7852U
KR20100007852U KR2020090000963U KR20090000963U KR20100007852U KR 20100007852 U KR20100007852 U KR 20100007852U KR 2020090000963 U KR2020090000963 U KR 2020090000963U KR 20090000963 U KR20090000963 U KR 20090000963U KR 20100007852 U KR20100007852 U KR 2010000785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brush
bristles
antibacterial
toothbrush head
drai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09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56552Y1 (ko
Inventor
김리선
Original Assignee
김리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리선 filed Critical 김리선
Priority to KR20200900009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6552Y1/ko
Publication of KR2010000785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785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65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655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02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 A46B15/0051Brushes fitted with ventilation means, e.g. with air buffers, air vent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specially shaped for holding by the hand
    • A46B5/026Grips or handles having a nonslip section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DMANUFACTURE OF BRUSHES
    • A46D1/00Bristles; Selection of materials for bristles
    • A46D1/006Antimicrobial, disinfectant bristles, handle, bristle-carrier or packaging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위생 항균 칫솔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미끄럼 방지돌기가 형성된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칫솔모가 식모된 칫솔 헤드부를 포함하는 위생 항균 칫솔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의 후방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소정의 마찰력을 제공하여 적은 힘으로도 큰 파지력을 제공 받을 수 있는 마찰력 제공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칫솔모의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 형성되고 원통형의 장공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잔존하는 물기를 제거하는 다수의 배수홀이 형성되고, 이 배수홀에 상기 칫솔모가 식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항균 칫솔을 제공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본 고안에 의하면, 사용자가 칫솔을 이용하여 구강을 세척한 후에도 칫솔의 헤드부에 잔존하는 물기가 배수홀을 통해 제거됨으로써, 칫솔 헤드부 및 칫솔모의 자연 건조가 빠르게 이루어져 습기에 의해 칫솔모에 세균 등의 번식을 방지하여 칫솔의 위생 상태가 항상 양호한 상태에서 칫솔질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위생, 칫솔, 칫솔모, 물기 제거, 항균

Description

위생 항균 칫솔{A Sanitary Antibiosis Toothbrush}
본 고안은 위생 항균 칫솔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칫솔의 헤드부에 물기가 배수되는 다수의 배수홀을 형성하고, 이 배수홀에 칫솔모를 식모함으로써, 사용자가 칫솔을 이용하여 구강을 세척한 후, 칫솔의 헤드부에 잔존하는 물기의 제거가 용이하여 칫솔 헤드부 및 칫솔모의 자연 건조가 빠르게 이루어져 칫솔질 후, 습기에 의해 칫솔모에 세균이 번식하는 것을 억제하는 위생 항균 칫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칫솔은, 일정한 강도 및 경도를 가지는 칫솔모와, 이 칫솔모가 식모된 헤드부, 그리고 헤드부와 연결되어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잡이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칫솔은 구강 위생을 위해 필수적인 위생 용구로, 헤드부의 솔체 위에 적당량의 치약(齒藥)을 묻혀 구강 내의 치아(齒牙)나 혀 등을 닦아 주는 도구로서, 항상 청결을 유지해야 하며, 특히 칫솔모에 세균 번식이 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그러나, 현실적으로는 사용자가 구강 세척을 위해 칫솔질을 하고 난 후 칫솔모에 음식 찌꺼지, 니코틴 등의 이물질이 잔존하고 있어서, 칫솔질 후에는 필히 칫 솔모를 세척해야만 하기 때문에 칫솔모는 항상 완전히 건조되지 못한채 습기가 많은 상태로 보관될 수밖에 없어 세균번식으로 인한 여러가지 위생적인 문제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칫솔의 미사용시에는 유리컵 등과 같은 용기 내에 세워서 보관하거나 칫솔 꽂이 등에 걸어 보관하게 되는데, 용기 내에 보관시 보관된 칫솔의 수량이 많은 경우 칫솔의 칫솔모들이 서로 접촉한 상태로 보관될 수밖에 없어 각종 세균의 감염등 비위생적인 문제점이 있었으며, 칫솔 꽂이에 걸어 보관시에는 칫솔의 칫솔모들이 상호 접촉되는 것을 어느 정도는 막아주지만 칫솔 사용시 혹은 사용후 걸이둔 주변의 다른 칫솔들을 건드려 바닥 등에 떨어지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어 사용의 불편과 함께 위생상의 문제점들이 있었다.
특히, 칫솔 사용 후 칫솔이 보관되는 용기 혹은 칫솔 꽂이 등에 보관하면, 칫솔모로부터 칫솔모를 세척한 뒤, 잔여분의 물이 손잡이를 타고 흘러 내러 칫솔 전체에 분포하게 되고, 또한 이 상태로 장시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칫솔의 칫솔모가 습기로 인해 부패되어 악취의 발생은 물론 각종 세균등이 배양되어 칫솔의 위생을 저해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칫솔의 헤드부에 물기가 배수되는 다수의 배수홀을 형성하고, 이 배수홀에 칫솔모를 식모하여 사용자가 칫솔을 이용하여 구강을 세척한 후에도 칫솔의 헤드부에 잔존하는 물기가 배수홀을 통해 제거됨으로써, 칫솔 헤드부 및 칫솔모의 자연 건조가 빠르게 이루어져 습기에 의해 칫솔모에 세균 등의 번식을 방지하여 위생적인 칫솔질이 가능하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칫솔의 헤드부에 숯, 은, 금, 세라믹, 자일리톨 등의 항균물질을 함유하거나 코팅함으로써, 세포 재생 효과, 항균 효과, 세균 번식억제 효과와 함께 청량감있는 칫솔질로 인한 구강의 건강 및 구강 질환을 예방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미끄럼 방지돌기가 형성된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칫솔모가 식모된 칫솔 헤드부를 포함하는 위생 항균 칫솔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의 후방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소정의 마찰력을 제공하여 적은 힘으로도 큰 파지력을 제공 받을 수 있는 마찰력 제공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칫솔모의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 형성되고 원통형의 장공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잔존하는 물기를 제거하는 다수의 배수홀이 형성되고, 이 배수홀에 상기 칫솔모가 식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항균 칫솔을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미끄럼 방지돌기가 형성된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칫솔모가 식모된 칫솔 헤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칫솔 헤드부에 항균 물질이 구비된 항균부를 포함하는 위생 항균 칫솔에 있어서, 상기 칫솔 헤드부는 하부가 함몰 형성되어 공간부가 형성되며, 이 공간부의 내주면에 다수의 결합 돌기가 형성되고,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하는 배수홀이 다수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며, 외주면에 상기 칫솔 헤드부의 상기 결합 돌기가 끼워지는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칫솔모가 고정되는 고정홈이 상기 배수홀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형성되고, 이 고정홈 사이에 관통홀이 형성된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항균 칫솔을 제공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사용자가 칫솔을 이용하여 구강을 세척한 후에도 칫솔의 헤드부에 잔존하는 물기가 배수홀을 통해 제거됨으로써, 칫솔 헤드부 및 칫솔모의 자연 건조가 빠르게 이루어져 습기에 의해 칫솔모에 세균 등의 번식을 방지하여 칫솔의 위생 상태가 항상 양호한 상태에서 칫솔질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칫솔의 헤드부에 숯, 은, 금, 세라믹, 자일리톨 등의 항균물질을 함유하거나 코팅함으로써, 세포 재생 효과, 항균 효과, 세균 번식억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청량감 있는 칫솔질로 인한 구강의 건강 및 구강 질환을 예방하여 구강 내 청결 유지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위생 항균 칫솔을 나타낸 사시도, 도 2a 내지 도 2c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위생 항균 칫솔의 칫솔 헤드부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위생 항균 칫솔(100)은 사용자가 구강 위생을 위해 파지하는 손잡이(110), 이 손잡이(110)의 상부(112)에 연결되고, 손잡이(110)와 일체로 형성되며 다수의 배수홀(132)이 형성되는 칫솔 헤드부(120) 및 배수홀(132)에 식모되는 일정한 강도와 경도를 가지는 칫솔모(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위생 항균 칫솔(100)의 손잡이(110)는 그 상부(112)가 칫솔 헤드부(120)와 연결되고, 사용자의 구강내로 인입된 상태로 칫솔질을 하여도 사용자의 치아 혹은 잇몸 등에 상처가 나지 않도록 각 모서리 부분에 라운딩 처리가 이루어져 있으며, 칫솔 헤드부(120)의 높이(H)보다 손잡이(110)의 상부(112) 높이(h)가 일정 높이만큼 낮게 형성되어 칫솔 헤드부(120) 혹은 칫솔 헤드부(120)에 식모된 칫솔모(130)만 사용자의 치아 혹은 잇몸 등과 접촉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위생 항균 칫솔(100)의 손잡이(110)의 하부(114)에는 사용자가 보다 쉽게 파지하여 칫솔질을 할 수 있도록 타원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손잡이(110)의 중간부(116)에는 사용자가 칫솔질을 행할 때, 치약이나 물기 등에 의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미끄럼 방지돌기(150)가 다수 형성된다.
여기서, 본 고안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110)의 중간부(116)에 3개의 미끄럼 방지돌기(150)가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손잡이(110)의 중간부에서 하부로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다수 형성되어도 무방하며, 손잡이(110)의 중간부(116)와, 하부(114)의 단부에 각각 3개의 미끄럼 방지돌기(150)가 형성되어도 무방할 것이다.
이와 같은 손잡이(110)에는 사용자가 파지하였을 때, 소정의 마찰력을 제공하는 마찰력 제공부재(140)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는 적은 힘으로도 큰 파지력을 제공 받을 수 있어 더욱 편안하게 칫솔질이 가능하다.
여기서, 마찰력 제공부재(140)는 손잡이(110)의 상부(112), 중간부(116) 및 하부(114)를 전체적으로 감싸도록 형성하여도 무방할 것이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끄럼 방지돌기(150)가 형성된 손잡이(110)의 후방측 만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손잡이(110)의 상부(112)에는 그 후방측 일부에만 구비되거나 미끄럼 방지돌기(150)가 형성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구강 내로 세균 등이 침입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마찰력 제공부재(140)는 미끄럼 방지돌기(150)가 형성된 손잡이(110) 에 완전히 밀착되도록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손잡이(110)의 상부(112)에 이 손잡이(110)와 일체로 형성되는 칫솔 헤드부(120)는 도 2a 내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칫솔 헤드부(120)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관통하는 배수홀(132)이 다수 형성되며, 이 배수홀(132)에 칫솔모(130)가 식모된다.
이와 같은 칫솔 헤드부(120)의 배수홀(132)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칫솔질이 완료된 후, 칫솔모(130)와 칫솔 헤드부(120)에 잔존하는 물기가 배수홀(132)을 통해 완전히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칫솔모(130)의 자연 건조가 최대한 빠른 시간 내에 이루어지도록 하여 칫솔모(130)에 습기 등에 의해 세균이 번식하는 것을 억제시켜 사용자는 항상 청결을 유지하고 있는 본 고안의 위생 항균 칫솔(100)을 통해서 구강 내의 치아나 잇몸 등의 건강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칫솔 헤드부(120)에 형성된 배수홀(132)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는 상부 배수홀(210) 및 이 상부 배수홀(210)과 동일 중심선상에 위치하며, 상부 배수홀(21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하부 배수홀(2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부 배수홀(210)과 하부 배수홀(220)로 형성되는 배수홀(132)은 상부 배수홀(210)보다 작은 하부 배수홀(220)의 직경으로 인해서 칫솔 헤드부(120)에 식모된 칫솔모(130)가 더욱 견고하게 식모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잦은 칫솔질에도 배수홀(132)에 식모된 칫솔모(130)가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부 배수홀(210)의 하측 단부와 하부 배수홀(220)의 상측 단부에는 서로 다른 직경에 의해서 단턱부(230)가 형성되어 음식물 등의 이물질이 하부 배수홀(220)을 막아 물기의 배수가 원활하게 배수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한다.
아울러, 배수홀(132)의 상부 배수홀(210)과 하부 배수홀(220)의 형상이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하부 배수홀(220)의 상측 단부는 상부 배수홀(210)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고, 하부 배수홀(220)의 하측 단부로 향할수록 점차 작아지도록 테이퍼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칫솔모(130)가 하부 배수홀(220)의 테이퍼진 형상으로 인해서 견고하게 식모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위생 항균 칫솔(100)은 사용자가 칫솔질을 하고 난 후, 본 고안의 위생 항균 칫솔(100)을 칫솔 꽂이 혹은 유리컵 등과 같은 용기에 보관하면, 칫솔모(130) 및 칫솔 헤드부(120)에 잔존하고 있는 물기가 배수홀(132)을 통해서 배수되어 칫솔모(130)의 자연 건조가 빠르게 진행되도록 함으로써, 칫솔의 칫솔모(130) 등에 습기에 의한 세균 등의 번식을 방지하여 사용자는 항상 위생 상태가 좋은 칫솔을 사용하여 칫솔질을 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위생 항균 칫솔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a 내지 도 4c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위생 항균 칫솔을 나타낸 요부 결합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위생 항균 칫솔(100)은 칫솔 헤드부(120)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숯, 은, 금, 자일리톨 등이 첨가된 항균 물질로 구성되는 항균부(310)가 포함된 칫솔 헤드부(120)의 위생 항균력을 상승시켜 사용자는 청량감이 있는 칫솔질이 가능하고, 이로 인한 구강내의 건강 및 구강 질환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고안의 칫솔 헤드부(120)가 나일론,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혹은 실리콘 중 어느 하나 혹은 둘의 재질로 형성되는 칫솔 헤드부(12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숯, 은, 금, 세라믹, 자일리톨 등의 항균 물질로 구성된 항균부(310)를 소정의 중량비로 혼합 성형하여 칫솔 헤드부(120)의 항균성, 청량성, 충치 예방효과 등을 극대화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위생 항균 칫솔(100)의 칫솔 헤드부(120)의 중량이 수지 원료가 약 70 ~ 85%의 중량비로 형성되고, 항균부(310)의 항균 물질 중 은의 중량비가 약 2 ~ 5%, 금의 중량비가 1 ~ 5%, 자일리톨의 중량비가 약 5 ~ 7%, 그리고 전술한 항균부(310)가 안정적으로 혼합되어 분산 고착될 수 있도록 하는 분산제가 약 4 ~ 7%를 서로 혼합 및 분산 고착되어 혼합 성형함으로써, 자일리톨의 성분으로 인해 사용자는 시원한 청량감을 느끼면서 칫솔질을 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초미세 미립자인 상태로 혼합되는 은 및 금을 통해 치아의 질환을 예방하여 치아 및 잇몸의 노화를 방지할 수 있어 구강의 건강 및 구강 질환에 탁월한 효과를 제공함은 물론,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발산하는 숯을 약 3 ~ 6%를 혼합 성형함으로써, 숯을 통해 발산되는 원적외선 및 음이온을 통해 사용자 잇몸의 각 혈관들을 자극하여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여 구강 내의 건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위생 항균 칫솔(100)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칫 솔 헤드부(120)의 상부 및 하부면, 그리고 배수홀(132)에 전술한 숯, 은, 금, 자일리톨 등의 항균부(310)를 코팅하는 방법으로 칫솔 헤드부(120)를 성형할 수도 있을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다시말해 칫솔 헤드부(120)의 성형시 항균부(310)를 인서트 사출 성형 방식으로 제작할 수도 있을 것이며,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칫솔 헤드부(120) 전체적으로 항균부(310)가 포함되도록 제작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위생 항균 칫솔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위생 항균 칫솔(100)은 칫솔 헤드부(120)의 배수홀(132)에 식모되는 칫솔모(130)가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배수홀(132)을 통해서 물기의 제거 역시 가능토록 구성된 것으로서, 칫솔 헤드부(120)의 하부에 결합 돌기(420)를 형성하고, 이 결합 돌기(420)에 의해 칫솔모(130)가 식모된 고정부재(410)가 끼움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위생 항균 칫솔(100)의 칫솔 헤드부(120)는 전술한 제 2 실시예에 기재된 바와 같이, 다양한 항균부(310)가 칫솔 헤드부(120)의 상부면 및 하부면, 그리고 배수홀(132)에 코팅 혹은 인서트 사출 성형 방식으로 제작되되, 칫솔 헤드부(120)의 하부면이 소정의 높이만큼 함몰 형성되어 공간부(425)를 형성하고, 이 공간부(425)의 내주면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다수 결합 돌기(420)를 구비한다.
또한, 칫솔 헤드부(120)의 결합 돌기(420)와 끼움 결합되는 고정부재(410)는 상부에 칫솔 헤드부(120)의 배수홀(132)과 동일한 개수로 형성되는 고정홈(416)을 형성하여 이 고정홈(416)에 칫솔모(130)를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식모하는 한편, 외주면에는 결합 돌기(420)가 끼워지는 끼움홈(412)을 형성하여 칫솔 헤드부(120)와 고정부재(410) 간의 결합력이 유지되도록 한다.
또한, 고정부재(410)의 고정홈(416) 사이에는 다수의 관통홀(414)이 형성되어 칫솔 헤드부(120)의 배수홀(132)을 통해 배수되는 물기가 칫솔 헤드부(120)의 외부로 완전히 배수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고정부재(410)의 상부면에는 칫솔 헤드부(120)에 성형된 항균부(310)가 코팅 혹은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고정부재(410)의 상부면과 칫솔 헤드부(120)의 하부면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여 공간부(425)를 형성함으로써, 칫솔 헤드부(120)의 배수홀(132)을 통해 배수되는 물이 원활하게 관통홀(414)로 이동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즉,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위생 항균 칫솔(100)은 다수의 배수홀(132)이 형성된 칫솔 헤드부(120)와 이 칫솔 헤드부(120)와 분리 및 결합이 가능토록 구성되며, 칫솔모(130)가 칫솔 헤드부(120)의 배수홀(132)의 개수만큼 식모되는 고정부재(410)를 구비함으로써, 칫솔모(130)의 위생 상태 및 손상 여부에 따라 교체가 가능하므로 사용자는 항상 청결한 칫솔을 통해 구강 내 건강 및 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 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위생 항균 칫솔을 나타낸 사시도,
도 2a 내지 도 2c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위생 항균 칫솔의 칫솔 헤드부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위생 항균 칫솔을 나타낸 사시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위생 항균 칫솔을 나타낸 요부 결합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위생 항균 칫솔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위생 항균 칫솔 110: 손잡이
120: 칫솔 헤드부 130: 칫솔모
132: 배수홀 140: 마찰력 제공부재
210: 상부 배수홀 220: 하부 배수홀
310: 항균부 410: 고정부재
412: 끼움홈 414: 관통홀
416: 고정홈 420: 결합 돌기

Claims (6)

  1. 미끄럼 방지돌기가 형성된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칫솔모가 식모된 칫솔 헤드부를 포함하는 위생 항균 칫솔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의 후방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소정의 마찰력을 제공하여 적은 힘으로도 큰 파지력을 제공 받을 수 있는 마찰력 제공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칫솔모의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 형성되고 원통형의 장공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잔존하는 물기를 제거하는 다수의 배수홀이 형성되고, 이 배수홀에 상기 칫솔모가 식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항균 칫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홀은 그 직경이 상기 칫솔 헤드부의 하부로 갈수록 점차 작아지도록 테이퍼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칫솔모가 식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항균 칫솔.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홀은 상기 칫솔 헤드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 배수홀과, 상기 상부 배수홀과 동일 중심을 가지고, 상기 상부 배수홀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하부 배수홀 및 상기 상부 배수홀과 상기 하부 배수홀 사이에 단턱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항균 칫솔.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칫솔 헤드부에는 숯, 은, 금, 자일리톨 중 어느 하나의 항균 성분 또는 상기 항균 성분 모두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상기 헤드부는 항균 코팅되거나 상기 성분을 혼합 성형하여 사출되는 방식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항균 칫솔.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칫솔 헤드부는 수지 원료의 중량비가 약 70 ~ 85%의 중량비로 형성되고, 상기 항균 성분 중 은의 중량비가 약 2 ~ 5%, 금의 중량비가 1 ~ 5%, 자일리톨의 중량비가 약 5 ~ 7%, 숯의 중량비가 약 3 ~ 6%, 그리고 분산제가 약 4 ~ 7%가 안정적으로 혼합 및 분산 고착되어 혼합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항균 칫솔.
  6. 미끄럼 방지돌기가 형성된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칫솔모가 식모된 칫솔 헤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칫솔 헤드부에 항균 물질이 구비된 항균부를 포함하는 위생 항균 칫솔에 있어서,
    상기 칫솔 헤드부는 하부가 함몰 형성되어 공간부가 형성되며, 이 공간부의 내주면에 다수의 결합 돌기가 형성되고,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하는 배수홀이 다수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며,
    외주면에 상기 칫솔 헤드부의 상기 결합 돌기가 끼워지는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칫솔모가 고정되는 고정홈이 상기 배수홀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형성되고, 이 고정홈 사이에 관통홀이 형성된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항균 칫솔.
KR2020090000963U 2009-01-29 2009-01-29 위생 항균 칫솔 KR2004565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0963U KR200456552Y1 (ko) 2009-01-29 2009-01-29 위생 항균 칫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0963U KR200456552Y1 (ko) 2009-01-29 2009-01-29 위생 항균 칫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7852U true KR20100007852U (ko) 2010-08-06
KR200456552Y1 KR200456552Y1 (ko) 2011-11-07

Family

ID=44453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0963U KR200456552Y1 (ko) 2009-01-29 2009-01-29 위생 항균 칫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655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18239A1 (ko) * 2011-03-02 2012-09-07 Jeong Yong Sik 세척홀이 있는 치솔 헤드를 보유한 치솔
US20220211169A1 (en) * 2019-04-09 2022-07-07 M+C Schiffer Gmbh Oral Care Instrumen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8163B1 (ko) * 2012-08-14 2013-05-27 김리선 항균위생 칫솔
KR102175680B1 (ko) 2020-04-03 2020-11-09 주식회사 케이비덴탈 유무기 하이브리드 항균제를 함유하는 서방성 항균칫솔
KR102283822B1 (ko) * 2020-10-21 2021-07-30 김동주 칫솔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7707A (ko) * 1998-09-07 1998-12-05 임성조 동(구리)이 부착된 칫솔
KR200348370Y1 (ko) * 2003-12-04 2004-04-28 김리선 향기를 발산하는 항균 위생 칫솔
KR200422446Y1 (ko) 2006-05-08 2006-07-26 원부준 기능성 칫솔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18239A1 (ko) * 2011-03-02 2012-09-07 Jeong Yong Sik 세척홀이 있는 치솔 헤드를 보유한 치솔
US20220211169A1 (en) * 2019-04-09 2022-07-07 M+C Schiffer Gmbh Oral Care Instru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6552Y1 (ko) 2011-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13428A (en) Biodegradable toothbrush
KR200456552Y1 (ko) 위생 항균 칫솔
US7901153B1 (en) Disposable toothbrush apparatus
CN108697494B (zh) 用于可移除牙科用具的清洁装置
CA2483074C (en) Tooth-cleaning device
KR100709560B1 (ko) 세정용 컵을 일체로 구비한 양치수단 보관용 케이스
JP2010264211A (ja) ブラシ掃除具付き歯ブラシ
KR20090116067A (ko) 유아용 젖병 세척솔
TWM480302U (zh) 一體成型無縫隙刷具
KR200407689Y1 (ko) 치간칫솔이 구비된 칫솔
KR102421574B1 (ko) 다용도 구강 위생기구
JP3149503U (ja) 噛む歯ブラシ
KR101585415B1 (ko) 구강세척장치
KR200476545Y1 (ko) 치간칫솔
CN202005683U (zh) 一种漱口杯
US20180103786A1 (en) Toothbrush holder
KR101358421B1 (ko) 휴대용 구강 클리너
CN209047220U (zh) 一种具有磨牙功能的宠物牙刷
US20170347785A1 (en) Toothbrush head
JP3226578U (ja) 歯ブラシ
KR100895628B1 (ko) 칫솔
KR20090009112A (ko) 다기능 칫솔
CN220937149U (zh) 一种具有清洁刷牙杯功能的牙刷
WO2023118948A1 (en) Multifunctional ergonomic toothbrush
KR20180093715A (ko) 다기능 칫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