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1574B1 - 다용도 구강 위생기구 - Google Patents

다용도 구강 위생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1574B1
KR102421574B1 KR1020200071347A KR20200071347A KR102421574B1 KR 102421574 B1 KR102421574 B1 KR 102421574B1 KR 1020200071347 A KR1020200071347 A KR 1020200071347A KR 20200071347 A KR20200071347 A KR 20200071347A KR 102421574 B1 KR102421574 B1 KR 1024215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gue
toothpick
boss
interdental toothbrush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1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54391A (ko
Inventor
남우섭
Original Assignee
남우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우섭 filed Critical 남우섭
Priority to KR10202000713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1574B1/ko
Publication of KR202101543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43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15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15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2Toothpick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55Brush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normally separate from the brushing process, e.g. combs, razors, mirrors
    • A46B15/0069Brushes fitted with a interdental devices, e.g. toothpick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 A46B2200/108Inter-dental toothbrush, i.e. for cleaning interdental spaces specificall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아와 구강(口腔)을 위생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구강 위생기구에 관한 기술로서, 치간칫솔과 이쑤시개를 이용하여 치아 사이에 낀 이물질을 간편하게 제거하고, 또한 혀클리너를 이용하여 혀에 낀 설태(舌苔)를 쉽게 제거함으로써, 치아와 구강을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입냄새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볼팬 형상으로 휴대가 용이한 다용도 구강 위생기구에 관한 기술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주요 구성은, 원통 형상으로 양측에 각각 보스가 돌출 형성되는 바디; 상기 바디에서 일측 보스의 단부에 형성되는 치간칫솔; 상기 바디에서 다른 일측 보스의 단부에 형성되는 이쑤시개; 상기 바디의 양측 보스에 각각 끼워져 결합되며, 치간칫솔과 이쑤시개를 보호하는 캡; 및 상기 일측 캡의 단부에 형성되고, 외부에 캡이 끼워져 결합되는 혀클리너;를 포함하여 구현된다.

Description

다용도 구강 위생기구 {Versatile Oral Hygiene Device}
본 발명은 치아와 구강(口腔)을 위생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구강 위생기구에 관한 기술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치간칫솔과 이쑤시개를 이용하여 치아 사이에 낀 이물질을 간편하게 제거하고, 또한 혀클리너를 이용하여 혀에 낀 설태(舌苔)를 쉽게 제거함으로써, 치아와 구강을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입냄새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볼팬 형상으로 휴대가 용이한 다용도 구강 위생기구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치아는 매일 섭취하는 음식물을 저작하여 잘게 부수고, 음식물을 침과 혼합하여 식도로 넘김으로써, 소화를 돕는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러한 치아의 건강관리는 잇솔질, 즉 칫솔로 치아 사이에 낀 음식물을 제거하고, 치석이나 치태 등이 치아의 표면에 잔류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최근 칫솔은 칫솔모가 식재된 헤드와, 이 헤드의 사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핸들이 일체로 구성되며, 헤드의 칫솔모에 치약(tooth paste)을 묻혀서 치아를 닦아내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잇솔질은 식후에 세면장에서 수행하기에 용이하나 외출 중에, 특히 외부에서 식사를 하고, 곧바로 수행하기에는 용이하지 않은 단점이 있다. 또한 치아 사이에 낀 섬유질과 같은 잔류물은 잇솔질로도 충분히 제거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종래 볼펜과 같은 작은 크기로 휴대가 간편하면서 사용이 용이한 치간 칫솔의 대표적인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76545호(치간 칫솔)가 제시된 바 있다.
이러한 선행기술은 여유분의 치간솔 브러시를 저장할 수 있도록 하여 별도의 보관용기 없이 브러시를 신속하게 찾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치간솔을 상하로 반전하여 몸체에 착탈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미사용시 브러시의 외부 노출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 사용 중, 즉 몸체에 체결한 치간솔의 브러시와 여유분의 브러시가 별도의 독립된 공간에 보관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위생적인 사용 및 보관환경을 제공한다.
또한 종래 복수의 브러시를 구비하여 치아 사이에 낀 이물질을 제거하는 치간칫솔의 대표적인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67822호(복수의 브러시를 구비하는 치간 칫솔)가 제시된 바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내측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가이드홀이 구비된 몸체, 상기 몸체에 장착되고, 제1브러시를 구비하는 제1브러시 스틱, 상기 제1브러시 스틱과 이격하여 몸체에 장착되고, 제2브러시를 구비하는 제2브러시 스틱 및 상기 몸체의 가이드홀을 따라 위치하여 제1브러시 스틱을 출몰시킬 수 있는 스틱 출몰장치를 구비한다.
이러한 선행기술은 치아 사이의 이물질을 제거함과 동시에 잇몸에 접촉하는 치아와 잇몸 사이 또는 치아 면에 부착된 치태 또는 치석과 같은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하는 효과를 갖는다.
그러나, 종래 선행기술에서 제시된 "치간칫솔"은 치아 사이에 낀 이물질과 치태 또는 치석 등을 제거하는 기능으로서, 그 용도가 제한적이고, 이쑤시개를 선호하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사용할 수 없으며, 특히 혀에 낀 설태를 제거하지 못하므로, 입냄새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구강을 위생적으로 관리하지 못하는 문제점 등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7093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04403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65554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67822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76545호.
본 발명은 종래 선행기술에서 제시된 "치간칫솔"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볼팬 형상을 갖는 바디의 양측부에 각각 치간칫솔과 이쑤시개가 구비되고, 치간칫솔 또는 이쑤시개를 보호하는 캡에 혀클리너가 구성되어 사용자가 용도에 따라 치간칫솔과 이쑤시개 및 혀클리너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다용도 구강 위생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사용자가 치간칫솔과 이쑤시개를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치아 사이에 낀 이물질을 간편하게 제거하고, 또한 혀클리너를 이용하여 혀에 낀 설태를 제거함에 따라 치아와 구강을 위생적으로 관리하여 입냄새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휴대가 용이하고, 치아 또는 혀에 따라 여러가지 기능으로 사용할 수 있는 다용도 구강 위생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원통 형상으로 양측에 각각 보스가 돌출 형성되는 바디; 상기 바디에서 일측 보스의 단부에 형성되는 치간칫솔; 상기 바디에서 다른 일측 보스의 단부에 형성되는 이쑤시개; 상기 바디의 양측 보스에 각각 끼워져 결합되며, 치간칫솔과 이쑤시개를 보호하는 캡; 및 상기 일측 캡의 단부에 형성되고, 외부에 캡이 끼워져 결합되는 혀클리너;를 포함하여 구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보스는 바디의 외경보다 작고, 소정의 길이를 갖는 원통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바디의 양측부에 각각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혀클리너는 일측 캡의 단부에 원통 형상으로 보스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보스의 단부에 길이 방향으로 지지바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바의 끝부분에 접철가능케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혀클리너는 저면부에 설태를 긁어서 제거하는 스크레이퍼가 뾰족하게 형성되고, 상부 중앙에 원추 형상으로 체결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한편 체결돌기를 중심으로 복수개의 고정홈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사용자가 치간칫솔과 이쑤시개를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치아 사이에 낀 이물질을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고, 또한 혀클리너를 이용하여 혀에 낀 설태를 쉽게 제거함으로써, 치아와 구강을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입냄새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볼팬 형상으로 치간칫솔과 이쑤시개 및 혀클리너에 각각 캡을 끼워서 휴대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먼지나 또는 이물질로부터 치간칫솔과 이쑤시개 및 혀클리너가 보호되고, 치아 사이에 낀 이물질을 제거하거나 또는 혀에 낀 설태를 제거하는 등의 여러가지 기능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치간칫솔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이쑤시개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에서 혀클리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서 혀클리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서 혀클리너를 나타낸 분해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서 혀클리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요부 평면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요 구성은, 원통 형상으로 양측에 각각 보스(11)(12)가 돌출 형성되는 바디(10); 상기 바디(10)에서 일측 보스(11)의 단부에 형성되는 치간칫솔(20); 상기 바디(10)에서 다른 일측 보스(12)의 단부에 형성되는 이쑤시개(30); 상기 바디(10)의 양측 보스(11)(12)에 각각 끼워져 결합되며, 치간칫솔(20)과 이쑤시개(30)를 보호하는 캡(40)(40a); 및 상기 일측 캡(40)의 단부에 형성되고, 외부에 캡(50a)이 끼워져 결합되는 혀클리너(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실시예의 주요 구성에서 바디(10)는 합성수지(플라스틱)로 성형됨이 바람직하고, 도면에서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길이(1~2cm)가 짧은 원통 형상으로 구성되는 한편 양측부에 각각 길이 방향으로 보스(11)(12)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에서 보스(11)(12)는 바디(10)의 외경보다 작고, 소정의 길이(0.5~1cm)를 갖는 원통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바디(10)의 양측부에 각각 일체로 성형되고, 상기 보스(11)(12)에 후술하는 치간칫솔(20)과 이쑤시개(30)가 각각 구성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의 주요 구성에서 치간칫솔(20)은 치아 사이에 낀 이물질과 치태 또는 치석 등을 제거하는 기능으로서, 상기 치간칫솔(20)은 도면에서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바디(10)에서 일측 보스(11)의 단부에 설치되며, 원추 형상의 브러시로 구성된다.
상기 치간칫솔(20)은 바디(10)에서 일측 보스(11)의 단부가 원추 형상으로 성형되고, 상기 원추 형상의 끝부분에 설치되며, 일반적으로 다수의 브러시를 가는 철사로 꼬아서 구성된다.
따라서, 바디(10)의 일측에 치간칫솔(20)이 구성됨에 따라 사용자가 치간칫솔(20)을 이용하여 치아 사이에 낀 이물질과 치태 또는 치석 등을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의 주요 구성에서 이쑤시개(30)는 치아 사이에 낀 음식물이나 이물질을 제거하는 기능으로서, 상기 이쑤시개(30)는 도면에서 도 2와 도 3 및 도 5와 같이, 바디(10)에서 다른 일측 보스(12)의 단부에 일체로 구성되며, 길이 방향으로 길쭉하고, 끝부분이 뾰족하게 형성된다.
상기에서 이쑤시개(30)는 뾰족하게 형성된 끝부분이 상향으로 굽어져 형성되며, 이는 치아 사이에 낀 음식물이나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함이고, 바디(10)의 다른 일측에 이쑤시개(30)가 구성됨에 따라 사용자가 이쑤시개(30)를 이용하여 치아 사이에 낀 음식물이나 이물질을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의 주요 구성에서 복수개의 캡(40)(40a)은 치간칫솔(20)과 이쑤시개(30)를 감싸 보호하는 기능으로서, 상기 캡(40)(40a)은 도면에서 도 1 내지 도 5와 같이, 내부 공간이 구비된 원통 형상으로 구성되며, 합성수지(플라스틱)로 성형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복수개의 캡(40)(40a)은 일측이 개방되는 한편 다른 일측은 막혀 구성되고, 개방된 일측이 바디(10)의 양측부 보스(11)(12)에 끼워져 결합됨으로써, 구강 위생기구를 휴대할 경우, 치간칫솔(20)과 이쑤시개(30)를 감싸 먼지 등의 이물질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게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의 주요 구성에서 혀클리너(50)는 혀에 낀 설태(舌苔)를 제거하는 기능으로서, 상기 혀클리너(50)는 도면에서 도 1 내지 도 3 및 도 6과 같이, 치간칫솔(20)을 감싸는 일측 캡(40)의 단부에 구성되고, 외부에 캡(50a)이 끼워져 결합 설치된다.
상기에서 혀클리너(50)는 도면에서 도 7 내지 도 10과 같이, 외부에 캡(50a)이 끼워져 감싸도록 접철되는 구조로서, 일측 캡(40)의 단부에 원통 형상으로 보스(52)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보스(52)의 단부에 길이 방향으로 지지바(53)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바(53)의 끝부분에 접철가능케 설치된다.
혀클리너(50)는 저면부에 설태를 긁어서 제거하는 스크레이퍼(scraper)(51)가 뾰족하게 형성되고, 상부 중앙에 원추 형상으로 체결돌기(54)가 돌출 형성되는 한편 체결돌기(54)를 중심으로 복수개의 고정홈(55)(55a)이 형성된다.
상기에서 지지바(53)는 끝부분에 홀(53a)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고, 저면부에 홀(53a)을 중심으로 하나의 돌기(53b)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바(53)의 홀(53a)에 혀클리너(50)의 체결돌기(54)가 끼워져 접철가능케 결합 설치된다.
한편 혀클리너(50)의 상부에 형성된 복수개의 고정홈(55)(55a)은 서로 직교 방향으로 배치되며, 도면에서 도 10과 같이, 혀클리너(50)가 접히거나 또는 펼쳐지는 경우, 복수개의 고정홈(55)(55a) 중에서 어느 하나가 지지바(53)의 돌기(53b)에 끼워져 설치됨으로써, 혀클리너(50)가 접히거나 또는 펼쳐진 상태를 유지한다.
즉, 혀클리너(50)를 억지 회전시켜 길이 방향으로 접으면, 지지바(53)의 돌기(53b)에 혀클리너(50)의 일측 고정홈(55)이 끼워지면서 혀클리너(50)가 접혀진 상태를 유지하고, 일측이 개방된 캡(50a)을 보스(52)에 끼워 체결함으로써, 혀클리너(50)가 캡(50a)에 감싸여 보호된다.
또한 보스(52)에서 캡(50a)을 분리하고, 접혀진 혀클리너(50)를 억지 회전시켜 펼치면, 지지바(53)의 돌기(53b)에 혀클리너(50)의 다른 일측 고정홈(55a)이 끼워지면서 혀클리너(50)가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므로, 사용자가 캡(40)을 잡고 혀에 낀 설태를 긁어서 제거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면에서 도 1 및 도 2와 같이, 바디(10)와 다수개로 구성된 캡(40)(40a)(50a)의 외주면에 각각 지지면(13)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면(13)은 외주면 양측에 대칭으로 배치되고, 평탄한 평면으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지지면(13)은 바디(10)와 다수개로 구성된 캡(40)(40a)(50a)의 외주면에 평탄한 평면으로 구성됨으로써, 구강 위생기구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세면대나 또는 선반 위에 올려놓을 경우, 지지면(13)이 세면대나 또는 선반 위에 놓여서 밀착되므로, 구강 위생기구가 굴러 떨어지지 않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과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우선 사용자가 치간칫솔(20)을 이용하는 경우, 도면에서 도 4와 같이, 바디(10)에서 치간칫솔(20)을 감싸고 있는 캡(40)을 분리한 다음, 일측에 배치된 캡(40a)을 손으로 잡고 치간칫솔(20)을 사용하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이쑤시개(30)를 이용하는 경우, 도면에서 도 5와 같이, 이쑤시개(30)를 감싸고 있는 캡(40a)을 분리한 다음, 일측에 배치된 캡(40)(50a)을 손으로 잡고 이쑤시개(30)를 사용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혀클리너(50)를 이용하는 경우, 도면에서 도 6과 같이, 혀클리너(50)를 감싸고 있는 캡(50a)을 분리하고, 지지바(53)에 접혀진 혀클리너(50)를 억지 회전시켜 펼친 다음, 일측에 배치된 캡(40)을 손으로 잡고 혀클리너(50)를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사용자가 치간칫솔과 이쑤시개를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치아 사이에 낀 음식물이나 이물질 등을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고, 또한 혀클리너를 이용하여 혀에 낀 설태를 쉽게 제거함으로써, 치아와 구강을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므로, 입냄새를 방지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볼팬 형상으로 치간칫솔과 이쑤시개 및 혀클리너에 각각 캡을 끼워서 휴대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먼지나 또는 이물질로부터 치간칫솔과 이쑤시개 및 혀클리너가 보호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 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0: 바디 11(12): 보스
13: 지지면 20: 치간칫솔
30: 이쑤시개 40(40a): 캡
50: 혀클리너 50a: 캡
51: 스크레이퍼(scraper) 52: 보스
53: 지지바 53a: 홀
54: 체결돌기

Claims (5)

  1. 원통 형상으로 양측에 각각 보스(11)(12)가 돌출 형성되는 바디(10); 상기 바디(10)에서 일측 보스(11)의 단부에 형성되는 치간칫솔(20); 상기 바디(10)에서 다른 일측 보스(12)의 단부에 형성되는 이쑤시개(30); 상기 바디(10)의 양측 보스(11)(12)에 각각 끼워져 결합되며, 치간칫솔(20)과 이쑤시개(30)를 보호하는 캡(40)(40a); 및 상기 일측 캡(40)의 단부에 형성되고, 외부에 캡(50a)이 끼워져 결합되는 혀클리너(50);를 포함하며,
    상기 혀클리너(50)는 일측 캡(40)의 단부에 원통 형상으로 보스(52)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보스(52)의 단부에 길이 방향으로 지지바(53)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바(53)의 끝부분에 접철가능케 설치되고, 저면부에 설태를 긁어서 제거하는 스크레이퍼(51)가 뾰족하게 형성되며, 상부 중앙에 원추 형상으로 체결돌기(54)가 돌출 형성되는 한편 체결돌기(54)를 중심으로 복수개의 고정홈(55)(55a)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바(53)는 끝부분에 홀(53a)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며, 저면부에 홀(53a)을 중심으로 하나의 돌기(53b)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바(53)의 홀(53a)에 혀클리너(50)의 체결돌기(54)가 끼워져 접철가능케 결합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구강 위생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보스(11)(12)는,
    바디(10)의 외경보다 작고, 소정의 길이를 갖는 원통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바디(10)의 양측부에 각각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구강 위생기구.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00071347A 2020-06-12 2020-06-12 다용도 구강 위생기구 KR1024215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1347A KR102421574B1 (ko) 2020-06-12 2020-06-12 다용도 구강 위생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1347A KR102421574B1 (ko) 2020-06-12 2020-06-12 다용도 구강 위생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4391A KR20210154391A (ko) 2021-12-21
KR102421574B1 true KR102421574B1 (ko) 2022-07-14

Family

ID=79165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1347A KR102421574B1 (ko) 2020-06-12 2020-06-12 다용도 구강 위생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15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1951U (ko) 2022-04-01 2023-10-11 남우섭 다용도 구강 위생기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24369A (zh) * 2014-08-27 2014-12-24 青岛华新华义齿技术有限公司 一种带舌苔清洁器的电动牙刷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8829B1 (ko) * 2008-04-01 2011-01-18 최지연 다용도 칫솔
KR20110038283A (ko) * 2009-10-08 2011-04-14 김완수 휴대용 치아 청결 기구
KR200465554Y1 (ko) 2011-04-08 2013-02-25 이상근 휴대용 치간 칫솔
KR200467822Y1 (ko) 2011-09-20 2013-07-05 (주)아모레퍼시픽 복수의 브러시를 구비하는 치간 칫솔
KR200476545Y1 (ko) 2013-12-06 2015-03-18 장기선 치간칫솔
KR101570934B1 (ko) 2014-10-21 2015-11-23 노창현 치간 칫솔
KR101604403B1 (ko) 2015-04-14 2016-03-17 오지원 치간칫솔 내장형 칫솔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24369A (zh) * 2014-08-27 2014-12-24 青岛华新华义齿技术有限公司 一种带舌苔清洁器的电动牙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4391A (ko) 2021-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57004B1 (en) Oral hygiene device
US7901153B1 (en) Disposable toothbrush apparatus
US20120036665A1 (en) Disposable toothbrush
US20140325776A1 (en) Toothbrush with thin and tapered bristles and with ingredients and with tongue cleaner
KR100962796B1 (ko) 유아용 젖병 세척솔
KR102421574B1 (ko) 다용도 구강 위생기구
US9185968B1 (en) Oral hygiene device
US9532641B2 (en) L-shaped toothbrush
US9743751B1 (en) Oral hygiene device
US20080244850A1 (en) Toothbrush with safety device
US20020002753A1 (en) Superior toothbrush
US20060070636A1 (en) Toothpick device
KR200407689Y1 (ko) 치간칫솔이 구비된 칫솔
US20160166051A1 (en) Oral Care Implement
US8800574B2 (en) Fluffy floss kit
KR20070000185U (ko) 캡슐형 일회용 칫솔
KR200476545Y1 (ko) 치간칫솔
JP3149503U (ja) 噛む歯ブラシ
JP2007130117A (ja) 噛む歯ブラシ
KR20230001951U (ko) 다용도 구강 위생기구
KR200382580Y1 (ko) 유아용 칫솔
US20050071939A1 (en) Dual head toothbrush
KR200417701Y1 (ko) 치간칫솔
KR102486629B1 (ko) 막대형 일회용 브러시 껌
KR200437910Y1 (ko) 치간치솔이 구비된 휴대용 칫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