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7690U - 조립식 걸레 - Google Patents

조립식 걸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7690U
KR20100007690U KR2020090013259U KR20090013259U KR20100007690U KR 20100007690 U KR20100007690 U KR 20100007690U KR 2020090013259 U KR2020090013259 U KR 2020090013259U KR 20090013259 U KR20090013259 U KR 20090013259U KR 20100007690 U KR20100007690 U KR 2010000769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p
connecting member
elastic
receiving groove
head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32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창이 린
밍체 팅
훙춘 펑
Original Assignee
디 카이 인터네이션 엔터프라이즈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 카이 인터네이션 엔터프라이즈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디 카이 인터네이션 엔터프라이즈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to KR20200900132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7690U/ko
Publication of KR2010000769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769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GHANDLES FOR HAND IMPLEMENTS
    • B25G3/00Attaching handles to the implements
    • B25G3/02Socket, tang, or like fix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47L13/24Frames for mops; Mop heads
    • A47L13/254Plate frames
    • A47L13/255Plate frames for mops of textile fring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GHANDLES FOR HAND IMPLEMENTS
    • B25G3/00Attaching handles to the implements
    • B25G3/38Hinged, pivoted, swivelling, or folding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립식 걸레에 관한 것으로, 걸레 머리부 구조와 걸레 손잡이부 구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걸레 손잡이부 구조의 연결부재는 걸레 머리부 구조의 수용홈 내부에 수용되고, 걸레 머리부 구조는 걸레 손잡이부 구조에 상응하여 회전된다. 연결부재가 수용홈에 장착될 때, 걸레 머리부 구조의 탄성 리브가 연결부재에 끼워지게 되고, 연결부재가 탄성 리브를 밀어 이동시키게 됨으로써, 연결부재가 수용홈에서 이탈된다.
조립식 걸레, 조립식 밀대

Description

조립식 걸레{BROOM ASSEMBLY}
본 고안은 조립식 걸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걸레 손잡이부 구조와 걸레 머리부 구조가 서로 회전 가능하고 쉽게 분리되도록 결합된 조립식 걸레에 관한 것이다.
중화민국 제M290028호 실용신안등록출원을 참조하여 보면, 전방위적으로 회전이 가능하고 위치가 고정된 휴대용 걸레를 개시하고 있는데, 상기 휴대용 걸레의 걸레 머리부는 원반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걸레 머리부와 걸레 손잡이부(바(bar)형 관과 손잡이부가 결합됨)는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휴대용 걸레를 사용할 때, 상기 걸레 머리부가 회전 및 이동하여 바닥을 청소하게 된다.
그 밖에, 상기 걸레 손잡이부에는 회전대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걸레 머리부에는 섬유 재질의 고정테두리부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테두리부는 상기 회전대에 결합된다. 상기 걸레 머리부를 일정 시간 사용한 후 교체할 필요가 있을 때, 고정테두리부 및 상기 고정테두리부에 고정된 섬유조직 전체가 교체되어야 한다. 그러나, 상기 고정테두리부를 상기 회전대에서 분리시킬 때에는 양손을 사용하여 분리시켜야 하는데, 그 분리가 쉽지 않고, 또한 상기 회전대와 상기 걸레 손잡 이부가 연결되어 있어, 상기 회전대와 상기 고정테두리부를 분리시키는 것이 쉽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실용신안등록출원에 첨부된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I 연결부와 원반 사이의 조립은 매우 복잡하고, 또한 그 조립에 사용되는 부품이 상당히 많다. 이에 따라, 조립에 소요되는 시간이 과도하고 생산비용이 상승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의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고 조립에 사용되는 부품 수가 줄어든 조립식 걸레를 제공함으로써, 종래 기술이 가지고 있던 조립시간과 생산 비용의 과다 문제를 해결하고, 사용자가 더욱 간편한 방식으로 걸레 머리부를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이 제공하는 조립식 걸레는 걸레 머리부 구조와 걸레 손잡이부 구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걸레 머리부 구조는 회전 베이스부와 탄성리브를 포함하야 구성되며, 상기 회전 베이스부에는 조립면이 형성되고, 상기 조립면에는 수용홈이 오목하게 형성된 개구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탄성 리브는 상기 개구에 인접한 테두리부로부터 상기 개구의 중심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상기 걸레 손잡이부 구조는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적어도 어느 일부분이 상기 수용홈 내부에 회전 및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연결부재가 상기 수용홈에 장착될 때, 상기 탄성 리브가 상기 연결부재에 끼워지게 되고, 상기 연결부재가 상기 탄성 리브를 밀어 이동시키게 됨으로써, 상기 개구를 통하여 상기 연결부재를 상기 수용홈에서 이탈시키게 된다.
상술한 내용을 종합하여 보면,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걸레는 종래 기술에 따른 회전대가 장착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레 손잡이부 구조는 긴 바(bar) 형상을 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걸레 머리부 구조와 상기 걸레 손잡이부 구조를 분리시킬 때, 상기 걸레 머리부 구조를 발로 밟고 상기 걸레 손잡이부 구조의 일단을 손으로 잡기만 하면 되는데, 쉽게 상기 걸레 손잡이부 구조와 걸레 머리부 구조가 분리되고, 분리된 후의 긴 바(bar) 형상의 걸레 손잡이부 구조를 수납시킴으로써 공간을 절약할 수 있게 된다.
그 밖에 본 고안에 따른 연결부재는 상기 회전 베이스부의 수용홈 내부에 끼움 결합되는데, 그 조립이 간편하고, 종래 기술에 비해 조립부품 수가 적어, 조립시간 및 생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의 특징 및 기술 내용을 진일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그러나 상기 첨부도면은 본 고안을 이해하고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를 제한하는데 사용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걸레(1000)의 입체도인데, 이를 참조한다.조립식 걸레(1000)는 걸레 머리부 구조(100)와 걸레 손잡이부 구조(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걸레 머리부 구조(100)는 원반 형상으로, 바닥을 청소하는 걸레부재(110)을 구비한다. 상기 걸레 손잡이부 구조(200)는 긴 바(bar) 형상으로, 사용자가 손으로 잡는 부분인데, 상기 걸레 머리부 구조(100)는 걸레 손잡이부 구조(200)에 대응되어 회전 가능하고 경사지게 결합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걸레(1000)의 분해도이고(걸레부재(100)는 미표시),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걸레(1000)의 부분 단면도인데, 이를 참조한다. 걸레 머리부 구조(100)는 회전 베이스부(120), 복수 개의 탄성 리브(130) 및 걸레부재(도 1에 도시됨)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회전 베이스부(120)는 원반형으로, 조립면(121)과 측면부(122)가 형성되어 있다. 측면부(122)는 조립면(121)에 대응되는 것으로, 상기 조립면(121)에는 개구(123)와 결합구멍(126)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개구(123)에는 수용홈(124)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구멍(126)은 상기 회전 베이스부(120)의 주변부를 둘러싸는 형상으로 성형된다.
탄성 리브(130)는 회전 베이스부(12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는데, 탄성 리브(130)와 회전 베이스부(120)의 재질은 합성수지로 사출성형의 방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탄성 리브(130)는 수용홈(124)의 저부에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된 후, 개구(123)에 인접한 테두리부에서 개구(123)의 중심을 향해 연장형성되는데, 이로 인해 탄성 리브(130)는 훅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걸레부재(110)는 복수 개의 섬유조직으로 형성되는데, 결합구멍(126)에 고정 되어 회전 베이스부(120)와 결합되며, 회전 베이스부(120)의 측면부(122)에 장착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할 경우, 걸레부재(110)는 얇은 천부재가 될 수 있는데, 측면부(122)에 부착 결합 된다.
걸레 손잡이부 구조(200)는 연결부재(210), 핀연결부재(220), 연결봉(230) 및 탄성위치제한부재(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연결부재(210)는 원반형으로, 상기 결합부재(210)의 적어도 어느 일부분은 중심축(AX1)에 연장되어 수용홈(124) 내부에 회전 및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다. 회전 베이스부(120)는 중심축(AX1)을 원심으로 하여 회전되기 때문에, 연결부재(210)의 중심은 중심축(AX1)과 중첩된다.
연결부재(210)는 제 1 연결부(211)와 제 2 연결부(21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제 1 연결부(211)는 조립면(121)의 상방에 장착되되, 상기 제 1 연결부(211)의 직경은 개구(123)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제 2 연결부(212)는 수용홈(124) 내부에 수용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연결부(211)와 제 2 연결부(212)는 분리 가능하며, 나사(213)에 의해 제 1 연결부(211)와 제 2 연결부(212)가 결합된다. 제 2 연결부(212)는 원형 측벽(214) 및 상기 원형 측벽(214)을 둘러싸며 상기 탄성 리브(130)를 수용하는 환형 가이드 홈(215)을 구비한다.
본 고안에 따른 연결부재(210)는 탄성 리브(130)와의 끼움 결합에 의해 상기 수용홈(124)의 내부에서 위치가 제한되는데, 이로 인해 조립식 걸레(1000)의 조립구조가 간단하고 조립에 사용되는 부품 수가 줄어들게 되어, 조립시간을 줄이고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핀연결부재(220)는 연결부재(210)로부터 연장된 것인데, 연결부재(210)와 일 체로 성형될 수 있으며, 핀연결부재(220)는 호형측면(221)을 구비한다. 호형측면(221)에는 복수 개의 오목홈(222)이 오목하게 형성된다.
연결봉(230)은 긴 바(bar)로서, 다수 개의 바를 연결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연결봉(230)은 힌지축(AX2)을 축심으로 하여 연장된 것으로, 핀연결부재(220)에 축결합된다. 이로 인해, 연결봉(230)은 힌지축(AX2)을 축 중심으로 하여 핀연결부재(220)와 결합되어 회전된다. 여기서 힌지축(AX2)은 중심축(AX1)과 수직으로 형성된다.
탄성위치제한부재(240)는 연결봉(230) 내부에 장착되는데, 그 일부분은 연결봉(230) 밖으로 돌출된다. 상기 탄성위치제한부재(240)은 탄성스프링(241)과 볼(24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볼(242)은 스틸 볼(steal ball)이 될 수 있다. 탄성스프링(241)의 일단은 연결봉(230) 내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볼(242)에 접촉되고, 볼(242)의 일부분은 연결봉(230) 밖으로 돌출되되 핀연결부재(220)의 오목홈(222)에 수용된다. 연결봉(230)이 핀연결부재(220)에 대응되어 회전되기 때문에, 볼(242)이 오목홈(222)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반면, 연결봉(230)이 핀연결부재(220)에 대응되어 회전되는데, 만일 볼(242)이 오목홈(222) 내부로 삽입된다면, 연결봉(230)과 핀연결부재(220)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걸레(1000)의 사용 상태도인데, 이를 참조한다. 사용자가 본 고안의 조립식 걸래(1000)를 사용할 때 걸레 손잡이부 구조(200)를 손으로 잡을 수 있는데, 상기 걸레 손잡이부 구조(200)는 걸레 머리부 구조(100)와 대응되어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것은 연결봉(230)이 핀연결부재(220)에 대응되어 회전한다는 의미로, 걸레 머리부 구조가 바닥에 접촉되고, 사용자는 쉽게 걸레 손잡이부 구조(200)를 잡아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가 걸레 손잡이부 구조(200)를 밀어서 움직일 때, 걸레 머리부 구조(100)는 바닥 및 걸레 손잡이부 구조(200)에 대응되어 회전된다. 이것은 회전 베이스부(120)가 연결부재(210)에 대응되어 회전한다는 의미로, 이를 통해 효과적으로 바닥을 청소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걸레(1000)의 사용 상태도인데, 이를 참조한다. 걸래부재(110)를 교체할 필요가 있을 때, 사용자는 힘을 사용하여 연결부재(210)를 회전 베이스부(120)에서 방향을 전환시켜 분리시키면 되는데, 탄성 리브(130)가 탄성 구조를 갖기 때문에, 연결부재(120)는 탄성리브(130)를 개구(123) 방향으로 밀어서 분리시킨다. 이로써 연결부재(210)는 수용홈(124)에서 이탈된다. 상술한 원리와 동일하게, 상기 걸레 손잡이부 구조(200)를 걸레 머리부 구조(100)와 결합시킬 때에는 연결부재(210)를 개구(123)를 통해 탄성 리브(130)로부터 밀어서 분리시키면서 상기 수용홈(124) 내부로 밀어 넣는다. 상기 결합부재(210)가 상기 수용홈(124)에 수용될 때, 상기 탄성 리브(130)는 상기 연결부재(210)에 탄성적으로 끼움 결합된다.
상술한 내용을 종합하여 보면, 본 고안에 따른 걸레 손잡이부 구조(200)는 종래 기술에 따른 회전대가 장착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레 손잡이부 구조(200)는 긴 바(bar) 형상을 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걸레 머리부 구조(100)와 상기 걸레 손잡이부 구 조(200)를 분리시킬 때, 상기 걸레 머리부 구조(100)를 발로 밟고 상기 걸레 손잡이부 구조(200)의 일단을 손으로 잡기만 하면 되는데, 쉽게 상기 걸레 손잡이부 구조(200)와 걸레 머리부 구조(100)가 분리되고, 분리된 후의 긴 바(bar) 형상의 걸레 손잡이부 구조(200)를 수납시킴으로써 공간을 절약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로서 든 실시태양에 불과한 것으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보호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며, 따라서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걸레의 입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걸레의 분해도이다(걸레부재는 미표시).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걸레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걸레의 사용 상태도이다.
* 주요 구성에 대한 도면부호의 설명 *
1000 : 조립식 걸래
100 : 걸레 머리부 구조
110 : 걸레부재
120 : 회전 베이스부
121 : 조립면
122 : 측면부
123 : 개구
124 : 수용홈
126 : 결합구멍
130 : 탄성리브
200 : 걸레 손잡이부 구조
210 : 연결부재
211 : 제 1 연결부
212 : 제 2 연결부
213 : 나사
214 : 원형측벽
215 : 환형 가이드홈
220 : 핀연결부재
221 : 호형측면
222 : 오목홈
230 : 연결봉
240 : 탄성위치제한부재
241 : 탄성스프링
242 : 볼
AX1 : 중심축
AX2 : 힌지축

Claims (10)

  1. 걸레 머리부 구조와 걸레 손잡이부 구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조립식 걸레로서,
    상기 걸레 머리부 구조는,
    조립면을 구비하되, 상기 조립면에는 수용홈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개구가 성형되어 있는 회전 베이스부; 및
    상기 개구에 인접한 테두리부로부터 상기 개구의 중심을 향해 연장된 탄성 리브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걸레 손잡이부 구조는 적어도 어느 일부분이 상기 수용홈 내부에 회전 및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연결부재가 상기 수용홈에 장착될 때, 상기 탄성 리브가 상기 연결부재에 끼워져 결합되고, 상기 연결부재가 상기 탄성 리브를 밀어 이동시키게 됨으로써, 상기 개구를 통하여 상기 연결부재를 상기 수용홈에서 이탈시키게 되는 조립식 걸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원형 측벽 및 상기 원형 측벽을 둘러싸며 상기 탄성 리브를 수용하는 환형 가이드 홈을 구비하는 조립식 걸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조립면의 상방에 장착되되, 그 직경이 상기 개구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제 1 연결부; 및
    상기 수용홈 내부에 수용되되, 원형 측벽 및 상기 원형 측벽을 둘러싸며 상기 탄성 리브를 수용하는 환형 가이드 홈을 구비하는 제 2 연결부를 포함하는 조립식 걸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레 손잡이부 구조는
    상기 연결부재로부터 연장되되, 오목홈이 형성된 핀연결부재;
    상기 핀연결부재에 축결합하는 연결봉; 및
    상기 연결봉 내부에 장착되되, 그 일부분이 상기 연결봉 밖으로 돌출되고, 나머지 부분은 상기 오목홈 내부에 장착되는 탄성위치제한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조립식 걸레.
  5. 제 4 항에 있어서, 탄성위치제한부재는 탄성스프링과 볼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탄성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볼에 접촉되고, 상기 볼의 일부분은 상기 연결봉 밖으로 돌출되되 상기 오목홈에 수용되는 조립식 걸레.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베이스부는 원반형으로, 중심축이 원심(圓心)이 되어 회전하며, 상기 연결부재의 중심과 상기 중심축이 겹쳐지게 되는 조립식 걸레.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베이스부에는 측면부가 형성되는데, 상기 측면부는 상기 조립면에 대응되어 성형되며, 상기 걸레 머리부 구조는 걸레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걸레부재는 복수 개의 섬유조직에 의해 형성되어 상기 측면부에 장착되는 조립식 걸레.
  8. 걸레 손잡이부 구조에 결합되는 걸레 머리부 구조로서,
    조립면을 구비하되, 상기 조립면에는 수용홈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개구가 성형되어 있는 회전 베이스부;와
    상기 개구에 인접한 테두리부로부터 상기 개구의 중심을 향해 연장된 탄성 리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걸레 손잡이부 구조의 일단이 상기 수용홈에 장착될 때, 상기 회전 베이스부는 상기 걸레 손잡이부 구조에 대응되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상기 탄성 리브가 상기 걸레 손잡이부 구조에 끼워지게 되고, 상기 걸레 손잡이부 구조가 상기 탄성 리브를 밀어 이동시키게 됨으로써, 상기 걸레 손잡이부 구조를 상기 수용홈에서 이탈시키게 되는 걸레 머리부 구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베이스부에는 측면부가 형성되는데, 상기 측면부는 상기 조립면에 대응되어 성형되며, 상기 걸레 머리부 구조는 걸레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걸레부재는 복수 개의 섬유조직에 의해 형성되어 상기 측면부 에 장착되는 걸레 머리부 구조.
  10. 걸레 머리부 구조에 결합되는 걸레 손잡이부 구조로서,
    걸레 머리부 구조에는 수용홈과 탄성리브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레 손잡이부 구조는,
    적어도 어느 일부분이 상기 수용홈 내부에 회전 및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되, 원형 측벽 및 상기 원형 측벽을 둘러싸며 상기 탄성 리브를 수용하는 환형 가이드 홈을 구비하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로부터 연장되는 핀연결부재; 및
    상기 핀연결부재에 축결합하는 연결봉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연결부재가 상기 탄성 리브를 밀어 이동시키게 됨으로써, 상기 연결부재를 상기 수용홈에서 이탈시키게 되는 걸레 손잡이부 구조.
KR2020090013259U 2009-01-20 2009-10-12 조립식 걸레 KR2010000769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3259U KR20100007690U (ko) 2009-01-20 2009-10-12 조립식 걸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098201053 2009-01-20
KR2020090013259U KR20100007690U (ko) 2009-01-20 2009-10-12 조립식 걸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7690U true KR20100007690U (ko) 2010-07-29

Family

ID=44453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3259U KR20100007690U (ko) 2009-01-20 2009-10-12 조립식 걸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7690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6878B1 (ko) * 2011-08-19 2013-09-10 서영림 힘분산방식의 회전형 밀대걸레
WO2023182637A1 (ko) * 2022-03-23 2023-09-28 삼성전자 주식회사 로봇 청소기 및 이를 포함하는 청소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6878B1 (ko) * 2011-08-19 2013-09-10 서영림 힘분산방식의 회전형 밀대걸레
WO2023182637A1 (ko) * 2022-03-23 2023-09-28 삼성전자 주식회사 로봇 청소기 및 이를 포함하는 청소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50362U (ja) 組合せ式モップ
KR101987341B1 (ko) 진동칫솔
US8312587B2 (en) Self-rotating mop
JPH1043106A (ja) 把手付き清掃装置、把手付き動力工具およびそのハウジング組立方法
JPH1043107A (ja) 清掃装置および清掃アタッチメント
KR200446290Y1 (ko) 몹과 탈수통 조립체
US11672328B2 (en) Brush head for a personal grooming device
US20090293216A1 (en) Detachable multifunctional cleaner
US20110154607A1 (en) Drainer basket assembling structure of stepping wringer bucket
KR101291202B1 (ko)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KR20100007690U (ko) 조립식 걸레
KR20040058824A (ko) 진공청소기의 연장관 록킹장치
KR102139398B1 (ko) 청소구용 케이스
KR101522177B1 (ko) 청소기
KR101887762B1 (ko) 칫솔머리부가 회전 가능한 기능성 칫솔
JP3158513U (ja) 脱水桶
US20090235469A1 (en) Washing device and mounting device for the same
KR101306878B1 (ko) 힘분산방식의 회전형 밀대걸레
KR200283320Y1 (ko) 아이스크림 디셔
KR20140132638A (ko) 진동 칫솔
US20110247169A1 (en) Mop bucket
KR20120073425A (ko) 청소용 브러쉬 및 이를 구비한 청소 도구
EP2127582B1 (en) Suction head for vacuum cleaner
JP3228084U (ja) 汚水を自動分離できるモップバケツ構造
CN218651702U (zh) 扫把簸箕组合的清洁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