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7087A - 백라이트 어셈블리,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백라이트 어셈블리,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7087A
KR20100007087A KR1020080067553A KR20080067553A KR20100007087A KR 20100007087 A KR20100007087 A KR 20100007087A KR 1020080067553 A KR1020080067553 A KR 1020080067553A KR 20080067553 A KR20080067553 A KR 20080067553A KR 20100007087 A KR20100007087 A KR 201000070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power
unit
source unit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7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49040B1 (ko
Inventor
김태훈
양준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675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9040B1/ko
Priority to US12/396,799 priority patent/US8259097B2/en
Publication of KR20100007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70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90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90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406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20Controlling the colour of the ligh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30Driver circuits
    • H05B45/37Converter circuits
    • H05B45/3725Switched mode power supply [SMP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백라이트 어셈블리,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입력되는 교류전원을 다양한 레벨의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직류변환부와; 적어도 하나의 점광원을 포함하는 광원부와; 상기 직류전원을 기설정된 기준전류레벨을 갖는 출력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광원부로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효율이 증가되고 슬림화된 백라이트 어셈블리,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Figure P1020080067553
SMPS, 전압제어, 전류제어

Description

백라이트 어셈블리,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BACKLIGHT ASSEMBLY,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백라이트 어셈블리,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CRT를 대신하여 액정표시장치(LCD), PDP(plasma display panel),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의 평판표시장치가 많이 개발되고 있다.
이 중 액정표시장치가 포함하고 있는 액정패널은 비발광 패널이기 때문에 액정패널의 후면에는 빛을 공급하기 위한 백라이트 유닛이 위치한다. 백라이트 유닛에서 조사된 빛은 액정의 배열상태에 따라 투과량이 조정되며, 액정패널과 백라이트 유닛은 샤시와 같은 수용부재 내에 수용되어 있다. 백라이트 유닛에 사용되는 광원은 램프와 같은 선광원과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와 같은 점광원 등이 있으며, 최근 발광 다이오드가 주목 받고 있다.
입력되는 전원의 상태를 변환하여 광원에 공급하는 전원구동부는 통상적으로 여러 블록으로 구분되어 있다. 액정표시장치의 대형화에 따라 백라이트 유닛에 포함되는 광원의 수도 증가하고, 이에 대응하여 전원구동부의 개수도 증가하고 구성도 복잡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효율이 증가되고 슬림화된 백라이트 어셈블리,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고 제조비용이 절감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발열이 감소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백라이트 어셈블리에 있어서, 입력되는 교류전원을 다양한 레벨의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직류변환부와; 적어도 하나의 점광원을 포함하는 광원부와; 상기 직류전원을 기설정된 기준전류레벨을 갖는 출력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광원부로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에 의해 달성된다. 이로 인하여 효율이 증가되고 슬림화된 백라이트 어셈블리,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구조가 간단하고 제조비용이 절감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디 스플레이장치의 발열이 감소된다.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직류전원을 단속하는 스위칭부와, 상기 스위칭부와 상기 광원부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트랜스포머와; 상기 광원부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는 전류감지부와; 감지된 전류가 상기 기준전류레벨에 도달하도록 상기 스위칭부의 단속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전류의 레벨과 상기 기준전류레벨을 비교하는 비교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원공급부는 스위칭부와 같은 내부 구성의 보호를 위하여 상기 출력전원의 전압레벨을 기설정된 허용 범위와 비교하여 상기 광원부의 오류를 검출하는 오류검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오류검출부는 상기 트랜스포머와 상기 광원부 사이의 출력전압과 소정의 기준전압을 비교하는 연산 증폭기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기준전압은 상기 광원부에 오류가 발생하지 않았을 경우 상기 트랜스포머와 상기 광원부 사이의 정상출력전압의 약 40%~60%로 설정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력전압이 상기 기준전압보다 낮은 경우, 전원공급부를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광원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원부는 복수의 광원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전원공급부는 개별적으로 상기 광원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복수의 공급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액정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입력되는 교류전원을 다양한 레벨의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직류변환부와; 적어도 하나의 점광원을 포함하고, 상기 액정패널에 광을 제공하는 광원부와; 상기 직류원압을 기설정된 기준전류레벨을 갖는 출력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광원부로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를 경우, 광원의 오류를 검출할 수 있으며, 광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보호할 수 있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액정패널과, 상기 액정패널에 광을 제공하는 광원부를 갖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입력되는 교류전원을 다양한 레벨의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광원부에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직류전원을 기설정된 기준전원레벨을 갖는 출력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광원부로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효율이 증가되고 슬림화된 백라이트 어셈블리,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구조가 간단하고 제조비용이 절감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발열이 감소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광원의 오류를 검출할 수 있는 백라 이트 어셈블리,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광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보호할 수 있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제어블럭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광원부(100), 직류변환부(200) 및 전원공급부(300)를 포함한다.
광원부(100)는 적어도 하나의 점광원(110)을 포함하고, 입력되는 전원에 따라 빛을 출사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점광원(110)은 발광 다이오드이며, 발광 다이오드 회로기판(미도시)에 형성되어 있다. 점광원(110)은 적색, 녹색 및 청색의 상이한 색을 발광하는 발광다이오드 그룹(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 다이오드 그룹은 세 개 또는 네 개의 발광 다이오드로 구성되며, 백색 발광 다이오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동일한 색을 발광하는 점광원(110)은 직렬로 연결되어 점광원 스트링(string)을 형성한다. 발광을 위하여 전류 제어가 필요한 광원이라면 광원은 점광원 또는 발광 다이오드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류 제어란 부하에 관계 없이 공급되는 전원의 전류레벨을 일정하게 제어하는 것으로 본 실시예의 경우 광원부(100)에 공급되는 전원의 전류 레벨이 일정하게 제어된다. 한편, 광원에 일정한 레벨의 전압이 공급되도록 하는 것은 전압 제어에 해당한다.
직류변환부(200)는 입력되는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직류전원을 전원공급부(300)로 출력한다. 직류변환부(200)는 입력되는 교류전원을 단지 직류전원으로 변환할 뿐 직류전원의 레벨을 조절하지 않는다. 따라서, 직류변환부(200)에서 출력되는 직류전원은 200V 내지 400V 사이의 다양한 레벨을 갖는다. 직류변환부(200)는 전력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절전회로를 갖는 PFC(Power Factor Correction)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300)는 직류변환부(200)로부터 출력된 직류전원을 소정의 기준전류레벨을 갖는 출력전원으로 변환하여 광원부(100)로 출력한다. 즉, 전원공급부(300)는 일정하지 않은 전압레벨을 갖는 직류전원을 입력 받아 기준전류레벨을 갖는 출력전원, 즉 정전류 전원으로 변환한다. 전원공급부(300)는 직류변환부(200)와 광원부(100) 사이에 직류변환부(200) 및 광원부(100)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하나의 블럭으로 형성된다.
통상적으로 백라이트 어셈블리에 포함되어 있는 광원부에 구동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구동부는 여러 블록으로 구성되었다. 예를 들어, 전원구동부는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공급하는 블럭과, 직류전원을 일정한 레벨의 전압으로 변환하는 컨버터 블록 및 일정한 전압을 조절하여 일정한 레벨의 전류를 광원부로 공급하는 광원 드라이버 블록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 경우, 입력된 전원이 최종적으로 광원부에 공급되기 위하여 세 개의 블럭을 거쳐야 하고, 각 블럭을 거치면서 전원의 성질은 개별적으로 변경된다. 하나의 블럭을 거칠 때마다 효율이 감소하며, 블럭 당 전원 효율이 90%라고 할지라도 세 개의 블럭을 거친 최종 효율은 약 73% 정도이다. 즉, 27%이상이 열로 소비되기 때문에 발열에 따른 문제점도 존재한다. 또한, 광원의 개수가 증가하면서 구동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블록 역시 증가하여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박형화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를 경우, 입력되는 교류전원은 직류변환부(200) 및 전원공급부(300) 두 개의 블럭을 거쳐 최종적으로 광원부(100)에 공급된다. 세 개의 블럭이 두 개로 축소됨으로써 전원 공급에 대한 구성이 간소해지고 효율이 증가함과 동시에 발열도 개선된다. 또한,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제조 비용이 감소하고, 전원공급부분이 감소됨에 따라 백라이트 어셈블리가 박형화 된다.
전원공급부(3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칭부(310), 트랜스포머(320), 전류감지부(330) 및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부(340)를 포함한다.
스위칭부(310)는 복수의 스위칭 소자(미도시)를 포함하고, 제어부(340)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직류전원을 단속한다. 스위칭 소자는 브릿지 방식, 하프 브릿지 방식 등 공지된 다양한 기술로 설계될 수 있다.
트랜스포머(320)는 스위칭부(310)와 광원부(100) 사이에 연결되며, 스위칭부(310)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일정한 권선비에 따라 승압하여 광원부(100)로 출 력한다. 트랜스포머(320)와 광원부(100) 사이에는 다이오드와 캐패시터가 마련되어 있다. 트랜스포머(320)에서 출력되는 출력전원은 전류의 레벨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제어된다.
전류감지부(330)는 광원부(100)에 흐르는 전류(Isen)를 감지하여 제어부(340)에 출력한다. 전류감지부(330)는 저항(미도시), 전류증폭기(미도시) 및 출력되는 전류의 노이즈를 감소시키기 위한 필터(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40)는 감지된 전류가 기준전류레벨에 도달하도록 스위칭부(310)의 단속을 제어한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340)는 감지된 전류 레벨(Isen)과 기준전류레벨(Iref)을 비교하는 비교부(341)를 포함한다. 비교부(341)의 입력단에는 기준전류레벨을 갖는 전원이 연결되어 있다. 제어부(340)는 감지된 전류레벨(Isen)이 기준전류레벨(Iref)보다 낮을 경우 출력전원의 전원레벨을 증가시키고, 감지된 전류레벨(Isen)이 기준전류레벨(Iref)보다 높을 경우 출력전원의 전원레벨을 감소시키는 제어를 통하여 출력전원의 전류레벨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정리하면, 제어부(340)는 전원공급부(300)로 입력되는 직류전원이 일정한 레벨의 정전류로 출력될 수 있도록 스위칭부(310)를 제어하여 전류 제어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340)는 광원부(100)의 디밍에 관한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이에 따라 스위칭부(310)를 제어할 수도 있다. 백라이트 어셈블리가 액정패널과 같은 디스플레이패널에 광을 제공하는 경우, 디스플레이패널에 표시되는 영상신호에 따라 광원부(100)의 휘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밝은 계조의 영상에 대응하여 광원부(100)의 휘도를 증가시키거나 어두운 계조의 영상에 대응하여 광원부(100)의 휘 도를 감소시키는 등의 로컬 디밍이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제어블럭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부(300)는 오류검출부(350)를 더 포함한다. 오류검출부(35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도 1과 실질적으로 동일 또는 유사하다.
오류검출부(350)는 출력전원의 전압레벨, 즉 출력전압(Vsen)을 기설정된 허용 범위와 비교하여 출력전압(Vsen)이 허용 범위를 벗어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오류검출부(350)는 트랜스포머(320)에서 광원부(100)로 출력되는 출력전압(Vsen)과 소정의 기준전압(Vref)을 비교하는 비교기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기준전압(Vref)은 광원부(100)에 오류가 발생하지 않았을 경우 트랜스포머(320)와 광원부(100) 사이의 전압에 해당하는 정상출력전압의 약 40%~60%, 보다 바람직하게 50%로 설정된다. 이는 전압검출에 따른 노이즈를 고려하여 오류를 검출할 때 잡음에 대한 오판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출력전압(Vsen)이 기준전압(Vref)과 정상출력전압 사이에 존재하는 경우 광원부(100)는 정상으로, 출력전압(Vsen)이 상기 범위를 초과하거나 상기 범위에 도달하지 못하는 경우 광원부(100)에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술한 오류검출부(350)의 전압비교 방법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기준전압(Vref)이 정상출력전압으로 설정될 수도 있으며, 오류가 발생한 정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복수의 기준전압을 설정할 수도 있다. 이러한 오류검출부(350)는 도시된 연산증폭기가 아닌 A/D 컨버터와 디지털 처리부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제어부(340)는 오류검출부(350)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따라 출력전압(Vsen)이 일정한 레벨을 갖도록 하거나 오류 정도에 따라 출력전원을 차단하도록 스위칭부(310)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점광원(110)이 모두 개방된 경우 전류가 흐르기 위한 폐회로가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전류감지부(330)에서 전류는 감지되지 않는다. 이런 경우, 비교부(341)에 의하여 전원 공급이 부족한 것으로 판단되므로 광원부(100)에 공급되는 출력전원은 증가된다. 하지만, 출력전원을 증가시켜도 전류가 감지되지 않기 때문에 출력전압(Vsen)은 점점 상승하게 되고 전원공급부(300)는 과열된다. 이로 인하여, 스위칭부(310) 등의 소자들은 손상을 입을 수도 있다. 또한, 광원부(100)의 점광원(110)이 모두 단락된 경우에도, 점광원(110)이 용량이 큰 저항으로 작용하여 0에 가까운 전류가 감지된다. 점광원(110)이 부분적으로 개방 또는 단락된 경우, 점광원(110)에 정상적인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고, 출력전압(Vsen) 역시 정상적인 레벨을 갖지 않는다. 제어부(340)는 출력전압(Vsen)의 레벨이 기준전압(Vref)과 정상출력전압 사이인 경우, 출력전압(Vref)이 정상출력전압에 도달하도록 제어한다. 점광원(110)이 부분적으로 단락이나 개방이 되어도 전원을 차단할 정도의 오류가 아닌 경우, 제어부(340)는 남은 점광원(110)을 이용하여 원하는 휘도를 얻을 수 있도록 스위칭부(310)의 단속을 제어한다. 반면, 출력전압(Vsen)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점광원(110)에 심각한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제어부(340)는 점광원(11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거나 최저 전원만이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40)는 점광원(110)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여 일정한 전류가 흐르도록 정전류 제어를 수행하는 동시에 점광원(110) 오류에 대한 소자들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정전압 제어를 동시에 수행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원공급부(300)는 광원부(100)에 오류가 발생했다는 오류발생정보 및 오류의 종류 등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원공급부(300)는 점광원(110)의 단락 또는 개방과 같은 오류가 발생할 경우 오류발생사실을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광원부(100)의 문제를 알릴 수 있다. 오류알람부는 오류가 발생하면 점등을 반복하는 발광 다이오드로 마련되거나 사이렌 소리 또는 특정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출력부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오류 발생을 표시하기 위한 UI화면을 표시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제어블럭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복수의 광원모듈(101, 103, 105)을 갖는 광원부(100) 및 복수의 공급모듈(301, 303, 305)을 갖는 전원공급부(300)를 포함한다. 각 광원모듈(101, 103, 105)은 도 1 또는 도 2과 같이 점광원 스트링으로 구성되고, 각 공급모듈(301, 303, 305) 역시 도 1 및 도 2의 스위칭부(310), 트랜스포머(320), 제어부(340) 등을 개별적으로 포함한다. 공급모듈(301, 303, 305)은 개별적으로 각 광원모듈(101, 103, 105)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처럼, 광원부(100)를 복수의 블록으로 나누어 제어할 경우 출사되는 빛의 휘도를 부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영상의 계조를 반영하여 빛의 휘도를 조절할 수도 있고 광원모듈(101, 103, 105)을 순차적으로 구동시킬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간략 사시도이다. 디스플레이장치는 액정층(미도시)을 포함하는 액정패널(400)과 액정패널(400)에 빛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600)를 포함한다. 액정패널(400)은 박 막트랜지스터(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는 제1기판(410), 제1기판(410)에 대향하는 제2기판(420), 제1기판(410)과 제2기판(420)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액정층을 포함한다. 액정패널(400)은 장방형상이고, 박막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행렬 형태의 복수의 화소(미도시)를 포함한다.
백라이트 어셈블리(600)는 제1광원모듈(101) 및 제2광원모듈(103), 광원모듈(101, 103)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도광판(510), 액정패널(400)과 도광판(510) 사이에 마련되어 있는 광조절부재(520)를 포함한다. 제1광원모듈(101) 및 제2광원모듈(103)은 점광원 회로기판(111) 상에 배열되어 있는 점광원(110)으로 구성된다. 도광판(510)은 광원모듈(101, 103)로부터 출사된 빛을 액정패널(400) 방향으로 유도하고, 광조절부재(520)는 도광판(510)으로부터 유도된 빛의 휘도를 균일하게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600)는 빛을 제공하는 광원이 액정패널(400)의 배면에서 액정패널(400)의 두 개 변을 따라 마련되어 있는 에지 타입(edge type)에 해당한다. 광원부(100)가 복수의 광원모듈(101, 103)을 포함하는 것은 광원이 액정패널의 배면 전체에 균일하게 마련되는 직하 타입보다 광원의 배열이 한정되어 있는 에지 타입에서 더 효율적이다. 직하 타입의 경우 광원모듈의 개수가 증가할수록 공급모듈의 개수가 증가하여 백라이트 어셈블리가 두꺼워 질 수 있다. 에지 타입의 경우 광원모듈(101, 103)의 개수가 한정적이고, 전원공급을 위한 블록이 두 개로 감소하였기 때문에 백라이트 어셈블리(600) 및 디스플레이장치는 슬림 해진다.
도 5는 도 4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흐름도이다. 도 5는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직류변환부(200)는 입력되는 교류전원을 다양한 레벨의 직류전원으로 변환한다(S10).
광원부(100)로 전원이 공급되면, 전류감지부(330)는 점광원(110)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한다(S20).
제어부(340)는 감지된 전류의 레벨을 기준전원레벨로 조절하기 위하여 감지된 전류 레벨이 기준전류레벨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30).
판단 결과, 감지된 전류 레벨이 기준전류레벨과 동일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340)는 출력전원의 전류레벨을 조절하여 기준전류레벨에 도달하도록 스위칭부(310)를 제어한다(S40). 즉, 제어부(340)는 광원부(100)에 안정적 전류가 공급되도록 정전류 제어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340)는 광원부(100)로 공급되는 출력전원의 전압레벨이 허용되는 범위 이내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광원부(100)의 오류를 검출한다(S50).
제어부(340)는 출력전원의 전압이 기설정된 허용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광원부(10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전원공급부(300)를 보호한다(S60).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전원공급부의 구성을 두 개의 블록으로 감소시키고, 정전압 및 정전류의 제어를 하나의 블록을 통하여 동시에 수행한다.
비록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제어블럭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제어블럭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제어블럭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간략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광원부 110 : 점광원
200 : 직류변환부 300 : 전원공급부
310 : 스위칭부 320 : 트랜스포머
330 : 전류감지부 340 : 제어부
350 : 오류검출부 400 : 액정패널

Claims (17)

  1. 백라이트 어셈블리에 있어서,
    입력되는 교류전원을 다양한 레벨의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직류변환부와;
    적어도 하나의 점광원을 포함하는 광원부와;
    상기 직류전원을 기설정된 기준전류레벨을 갖는 출력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광원부로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직류전원을 단속하는 스위칭부와,
    상기 스위칭부와 상기 광원부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트랜스포머와;
    상기 광원부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는 전류감지부와;
    감지된 전류가 상기 기준전류레벨에 도달하도록 상기 스위칭부의 단속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전류의 레벨과 상기 기준전류레벨을 비교하는 비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출력전원의 전압레벨을 기설정된 허용 범위와 비교하여 상기 광원부의 오류를 검출하는 오류검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오류검출부는 상기 트랜스포머와 상기 광원부 사이의 출력전압과 소정의 기준전압을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전압은 상기 광원부에 오류가 발생하지 않았을 경우 상기 트랜스포머와 상기 광원부 사이의 정상출력전압의 약 40%~60%로 설정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력전압이 상기 기준전압보다 낮은 경우, 상기 광원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복수의 광원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전원공급부는 개별적으로 상기 광원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복수의 공급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8. 액정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입력되는 교류전원을 다양한 레벨의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직류변환부와;
    적어도 하나의 점광원을 포함하고, 상기 액정패널에 광을 제공하는 광원부와;
    상기 직류원압을 기설정된 기준전류레벨을 갖는 출력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광원부로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입력되는 전원을 단속하는 스위칭부와,
    상기 스위칭부와 상기 광원부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트랜스포머와;
    상기 광원부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는 전류감지부와;
    감지된 전류의 레벨이 상기 기준전류레벨에 도달하도록 상기 스위칭부의 단속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출력전원의 전압레벨을 기설정된 허용 범위와 비교하여 상기 광원부의 오류를 검출하는 오류검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오류검출부는 상기 트랜스포머와 상기 광원부 사이의 출력전압과, 상기 광원부에 오류가 발생하지 않았을 경우 상기 트랜스포머와 상기 광원부 상이의 정상출력전압의 약 40%~60%로 설정되는 기준전압을 비교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력전압이 상기 기준전압보다 낮은 경우, 상기 광원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복수의 광원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전원공급부는 개별적으로 상기 광원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복수의 공급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패널은 장방형으로 마련되고,
    상기 광원모듈은 상기 액정패널의 적어도 한 변을 따라 상기 액정패널의 배면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4. 액정패널과, 상기 액정패널에 광을 제공하는 광원부를 갖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입력되는 교류전원을 다양한 레벨의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광원부에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직류전원을 기설정된 기준전원레벨을 갖는 출력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광원부로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로 상기 출력전원을 공급하는 단계는,
    상기 광원부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는 단계와;
    감지된 전류의 레벨이 상기 기본전류레벨에 도달하도록 상기 출력전원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로 공급되는 상기 출력전원의 전압레벨을 기설정된 허용 범위와 비교하여 상기 광원부의 오류를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오류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광원부로 공급되는 상기 출력전원의 전압과 기설정된 기준전압을 비교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출력전압이 상기 기준전압보다 낮은 경우, 상기 광원부로 공급되는 전 원을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KR1020080067553A 2008-07-11 2008-07-11 백라이트 어셈블리,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제어방법 KR1015490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7553A KR101549040B1 (ko) 2008-07-11 2008-07-11 백라이트 어셈블리,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제어방법
US12/396,799 US8259097B2 (en) 2008-07-11 2009-03-03 Backlight assembly, display compris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7553A KR101549040B1 (ko) 2008-07-11 2008-07-11 백라이트 어셈블리,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7087A true KR20100007087A (ko) 2010-01-22
KR101549040B1 KR101549040B1 (ko) 2015-09-01

Family

ID=41504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7553A KR101549040B1 (ko) 2008-07-11 2008-07-11 백라이트 어셈블리,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259097B2 (ko)
KR (1) KR1015490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3226A (ko) * 2012-06-29 2014-01-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 다이오드용 전원 공급 장치 및 전원 공급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49905B2 (ja) * 2008-10-27 2013-11-2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放電灯点灯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車両用前照灯点灯装置
KR101677730B1 (ko) * 2009-08-14 2016-11-30 페어차일드코리아반도체 주식회사 Led 발광 장치
US8183787B2 (en) * 2010-03-05 2012-05-22 O2Micro, Inc Power supply systems with controllable power
US20120013479A1 (en) * 2010-07-16 2012-01-19 Lien Chang Electronic Enterprise Co., Ltd. Led system and driving device with error detection, and error detection module thereof
KR20120016494A (ko) * 2010-08-16 2012-02-24 삼성전자주식회사 공용 전원공급장치 및 공용 전원공급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US8587215B2 (en) * 2011-05-05 2013-11-19 General Electric Company Self-dimming OLED light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US20130285571A1 (en) * 2012-04-26 2013-10-31 Fei Li LED Backlight drive circuit, LCD Device and Driving Method
CN103777727A (zh) * 2012-10-23 2014-05-07 英业达科技有限公司 自动调整输入电力的变压器与计算机装置
WO2014141002A1 (en) 2013-03-14 2014-09-18 Koninklijke Philips N.V. Current feedback for improving performance and consistency of led fixtures
EP3030174A4 (en) * 2013-08-05 2017-04-05 Blumenthal, Scott L. Vertebral endplate apparatus and method
CN106409220B (zh) * 2016-09-29 2019-01-29 深圳创维-Rgb电子有限公司 一种oled驱动电源装置及oled电视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551181C (zh) * 2004-10-27 2009-10-14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发光二极管的电源和在其中启动闪烁抑制的装置和方法
EP1820371A1 (en) * 2004-11-29 2007-08-22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and a driver circuit for led operation
JP2007080771A (ja) * 2005-09-16 2007-03-29 Nec Lighting Ltd 照明用低圧電源回路、照明装置および照明用低圧電源出力方法
TWI338169B (en) 2006-01-17 2011-03-01 Chimei Innolux Corp Led light source module and liquid crystal display thereof
US7855520B2 (en) * 2008-03-19 2010-12-21 Niko Semiconductor Co., Ltd. Light-emitting diode driving circuit and secondary side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3226A (ko) * 2012-06-29 2014-01-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 다이오드용 전원 공급 장치 및 전원 공급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259097B2 (en) 2012-09-04
KR101549040B1 (ko) 2015-09-01
US20100007644A1 (en) 2010-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9040B1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제어방법
KR101589138B1 (ko) 광원 구동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광원 장치 및 이 광원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1473366B1 (ko) 광원구동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광원 장치 및 이 광원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1480357B1 (ko) 백라이트 유닛 어셈블리와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US20070064421A1 (en) Light source unit for use in a lighting apparatus
JP2006303016A (ja) 照明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表示装置
US7659496B2 (en) Light emitt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090160756A1 (en) Display device with a backlight
US8125161B2 (en) Light emitting device driving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JP2004047466A (ja) 表示装置用光源の駆動装置
KR20130049555A (ko) Led 구동 장치, led구동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US20060001385A1 (en) Apparatus for driving lamp of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070096242A (ko) 백 라이트의 구동 장치 및 방법
KR101974218B1 (ko) Led 구동 장치
KR20050112905A (ko) 백라이트 유닛의 휘도 제어방법
KR102358203B1 (ko) Led 구동 장치, 방법
JP2004191975A (ja) 液晶表示装置用バックライト装置
KR20070093736A (ko) 발광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217673B1 (ko) 백라이트 구동회로, 이의 동작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US20060001642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7274159B2 (en) Backlight for a display device
KR20080018570A (ko) 백라이트 구동부, 그 구동방법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KR102193202B1 (ko) Led 구동 장치 제어 시스템
KR20080061686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와 이의 구동 방법 그리고 이를 구비하는액정 표시 장치
JP2009294506A (ja) 表示装置および表示装置の表示品質の調整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