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7041A - 원터치 한글입력시스템 - Google Patents

원터치 한글입력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7041A
KR20100007041A KR1020080067458A KR20080067458A KR20100007041A KR 20100007041 A KR20100007041 A KR 20100007041A KR 1020080067458 A KR1020080067458 A KR 1020080067458A KR 20080067458 A KR20080067458 A KR 20080067458A KR 20100007041 A KR20100007041 A KR 201000070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wel
input
key
keys
nume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74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예은
Original Assignee
김예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예은 filed Critical 김예은
Priority to KR10200800674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7041A/ko
Publication of KR201000070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70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62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ed keyboar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통용되고 있는 단말기의 문자입력 방식인 하나의 숫자키에 한글을 3-4개씩 배치하여 입력하도록 되어있는 한글 입력 방식을 문자별로 단번에 입력하도록 자판을 분할하여 구성한 자판이다.
일반적인 자판의 경우는 숫자키의 2번째 3번째 배열된 한글을 누르기 위하여는 해당 숫자키를 각 2회,3회 눌러 입력하여야 하나 본 발명의 자판은 별도로 눌러지도록 구성된 숫자키 가운데 부분을 1회 조작하여 눌러서 입력할 수 있다.
휴대폰,단말기,분할자판,원터치,한글 입력방법

Description

원터치 한글입력시스템{THE INPUT SYSTEM}
본 발명은 정보통신 분야에서 휴대 폰 등의 단말기 생산에 활용할 수 있는 문자입력 방법과 그를 이용한 단말기에 대한 것이다.
1.종래의 일반적인 한글 입력방식은 9-12개의 숫자키 위에 한글 자모를 나열하고 배열 순서의 횟수만큼 조작하여 입력하거나 특수키를 사용하여 입력할 수 있도록 되어 있었다.
이는 조작횟수가 많은 만큼만큼 입력 시간도 더 들고 기계적인 내구성에도 영향을 주었다.
대개 일반적인 한글 입력방식은 9-12개의 숫자키에 인쇄된 한글을 순서의 횟수만큼 조작하여 입력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3글자씩 배열한 경우에 있어서 2번째 글자는 2회 조작하고 맨 뒤에 인쇄된 글자의 경우는 3회를 조작해야 입력이 된다.
따라서 현재의 방식으로는 한글 26자의 경우 맨 앞에 배열된 한글 9자는 1회 조작으로 입력할 수 있지만 2번째 배열된 한글 9자는 2회 조작으로 입력하거나 특수문자 등의 조작으로 입력하게 된다.
KR 10-0226206의 경우에는 모음을 구성하는 l . ㅡ 등의 획수를 필기 순으로 조합하여 눌러 입력시키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지만 이는 일반적인 입력방식이 모음글자를 한번에 입력시키는 것에 비하여 획소로 나누어 입력하게 되므로 2배 이상의 입력 획수가 많아지게된다.
이점은 입력의 편리성에도 불구하고 기계적인 내구성이 줄어들고 입력시간이 더 걸리게하는 결정적인 흠이었다.
도1은 기존 삼성전자의 휴대폰 한글자판이다. 삼성의 자판은 대표적인 "티 나인(T9)" 방식 자판의 하나이다.
이것 역시 일명 천지인 자판으로 불리는 유명한 자판이다. 삼성 자판의 특징은 한글 모음을 필기순으로 "l" "." "ㅡ" 의 모음을 구성하는 구분기호를 이용하여 입력하는 것이다. 장점은 입력 방법이 이해하기 쉽다는 것이고 단점은 모음을 기호를 이용하기 때문에 조작횟수가 많아진다는 것이다.
아래 표가 천지인이라 불리는 모음입력방식의 배열이다.
1 ㅣ 2 . 3 ㅡ
위의 자판에서는 "ㅏ"를 입력한다면 1번 숫자키와 2번 숫자키를 차례로 조작하지만 그러나 본 발명을 천지인과 비교 시킨다면 모음구분기호의 위치배열에서 숫자1키와 숫자2 키의 배열에서 한눈에 "ㅏ"의 형상을 생각하면서 양키의 경계 부분을 원터치하면 "ㅏ"가 입력 되도록 되어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대표적 실시 예인 도2의 자판을 종래의 기술에 비하면 구성과 효율성에서 현저한 차이가 있다고 할 것이다.
또한 본인의 다른 발명인 KR 10-0679696 에서는 자음은 아라비아 숫자와 한글과의 유사성 모음은 획수에 따라 해당 숫자키에서 입력( 예를 들어 "ㅏ"는 2획이므로 2에서 입력) 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자음 입력의 편리성에 비해 모음입력방식은 대부분의 모음 획수가 2-3획에 몰려있으므로 후미에 배열된 모음의 경우 조작횟수가 수배에 이르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1.본 발명은 종래의 불편한 점들을 개선하여 어떤 자판이든지 기존의 배열이나 숫자 입력기능 등을 유지 한채 단 한 번의 조작으로 정확하게 한글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고 모음을 구성하는 획수나 자음의 복 자음 받침 등을 동시입력을 가능하게 해서 입력시간과 획수를 줄일 수 있는 자판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자판에서는 키를 분할하지만 전화 걸기 모드 (숫자 모드)에서는 하나의 숫자키 안에서는 좌우 어느 곳을 눌러도 하나의 숫자만 입력되도록 하였다.
3.특히 모음의 경우 "l" " . ( 。 - + 등으로 대치가능) " "ㅡ" 등의 구분기호를 복수로 배열하여 조합시 쉽게 기본 모음의 형태를 반영하여 입력하도록 하면서도 하나의 구분기호를 입력의 최소단위로 사용하지않고 모음의 형상을 감안한 최소 두개의 구분기호를 입력단위로 보아 키와 키의 중간 부분을 누르거나 두개 이상을 동시에 누르면 한번에 입력처리 되도록 하므로서 조작횟수를 절반 이하로 줄이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원은 일반적인 모음 입력 방식의 다음 두가지 단점을 극복하여 단순하면서도 조작 효율을 높이는 결과를 가져 올 것이다.
1) "ㅏ" "ㅓ" 등 기본적인 모음글자를 그대로 입력시키는 ( 일반적인 )방식은 기계조작 획수를 줄지만 키의 숫자가 많아지고 복잡해지는 단점.
2)획소인 "l" "." "ㅡ" 3개를 이용한 모음 구분기호 입력방식은 단순하고 편리하지만 조작횟수가 많아지는 단점.
4.키가 작아지는데 따른 오작동을 줄이기 위하여 숫자키 중심의 자판을 유지하되 하나의 숫자키 안에서 좌우의 키를 높이가 다르도록 만들어 낮은 키는 높은 키가 경계가 되어 손가락이 걸리므로 낮은 키만 조작이 가능하게 하고 높은 키는 위치가 높으므로 역시 다른 키를 건드리지않고 키를 분할 조작 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5. 기존의 입력방식에 익숙해진 사용자들을 위하여 숫자 입력기능이나 배열을 유지하도록 한 채 어떤 한글 입력방식에도 업그레이드 적용할 수 있게 하여 기존고객들의 불편이 거의 없도록 하였다.
6. 또한 시장 진입을 위하여 새로운 입력방식을 원하는 사람들에게는 기존 기술과 목적과 구성에 있어 상이하고 효과에 있어서도 현저한 차이가 있는 신개념의 자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 방식에는 "l" "." "." "l" "." "ㅡ" "." 등을 이용한 모음 원터치 입력뿐 아니라 자음에도 동시입력이 가능하도록 복 자음 받침 등으로 쓰이는 ㄹㄱ, ㅂㅅ, ㄹㅂ, ㄱㅅ, ㄴㅎ, ㄴㅈ, ㄹㅎ, ㄹㅁ 등도 모음처럼 동시입력하여 획수를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형상을 보고 키와 키의 중간 부분을 눌러 (또는 키를 설치 하여) 양쪽을 함께 입력시키는 구성은 상기 인용발명들의 어느 곳에도 없는 입력방식의 새로운 패러다임이 될 것이다.
1. 본 발명은 어느 글자나 모두 원터치로 입력할 수 있다.
2. 한글 모음의 경우 모음의 형상을 보고 동시입력할 수 있고 ㄴㅎ, ㄴㅈ 등의 복 자음 받침도 한번에 입력할 수 있다.
3. 본 발명은 기존 한글 입력방식의 배열을 바꾸지 않고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메이커 측에서 비교적 위험부담 없이 적용할 수 있다.
4. 휴대폰 문자 멧세지 기능 이용자라면 자신이 사용하는 기종의 자판을 거의 외우고 있을 것이다. 입력 방식을 바꾸면 새로 자판을 외우는 것이 당연하고 그 부담 때문에 고객은 휴대폰 바꾸기를 망설이게 된다. 그러나 새로운 자판을 외우는 불편 없이 입력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5.좌우 버튼과 확연이 구별되므로 한글 문자 멧세지 입력방식의 주 사용자들인 청소년의 작은 손가락에 사용이 편리하다.
6.음성통화를 주로 하는 성인들은 평소 상태인 전화 걸기 모드에서는 한 숫자키 안에 있는 어떤 키를 눌러도 숫자만이 입력되므로 이전과 달라지는 것은 없다.또한 문자를 누를 때도 종전과 같이 연속 조작으로 사용해도 아무런 문제가 없다.
7.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이용하면 입력이 간편해지고 특히 조작횟수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일반적인 자판으로 현재 삼성전자에서 사용하고 있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시 예로서
본 발명은 한글 순서대로 나열하는 "티 나인" 방식의 어떠한 자판이든 자판 배열은 바꾸지않고 어떤 글자이든지 조작횟수를 줄여 원터치로 입력할 수 있도록 한 방식이다. 삼성의 자판의 배열을 그대로 적용할 수도 있고 엘지의 자판 배열을 그대로 이용할 수도 있다.
이 방식에서 숫자키를 키를 한글별로 분할하여 숫자키의 배열상 맨 뒤에 배치된 두번째 한글도 1회 조작으로 입력할 수 있다.
키를 분할하는 방법은 기존 숫자키의 형태를 유지한 채 독립적으로 조작되는 버튼들로 구성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도1의 삼성전자의 휴대폰에 적용했을 때 숫자키 '4'에 한글 'ㄱㅋ' 2개가 배열되어 있는 경우 기존의 자판은 한글 입력 모드에서 제일 앞의 'ㄱ'자는 1회, 둘째 글자인 'ㅋ'는 2회 조작하여 입력하게 되어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숫자키 자체를 2개로 분할하여 입력시 분할된 키들 을 1회씩 만 조작하면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 경우 숫자 모드에서는 분할키 'ㄱ'이나 'ㅋ' 중 어느 키를 눌러도 원래 4번 숫자키에 배열된 숫자이므로 하나로 된 4번 숫자키를 누른 것과 같이 동일한 숫자 '4'가 입력되게 된다.
일부에서 시도되는 한글 26자를 독립적인 키로 배치하는 방식은 좁은 공간에 숫자키와 별도로 추가 한글 키를 배치하기 때문에 숫자키의 규격이 너무 적어지므로 문자입력시 조작이 힘들 수 있고 기존 배열과 완전히 다른 것이 흠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을 해결하기 위해 기존의 키 배열 구조를 그대로 쓰면서숫자키 안에서 한글 키를 분할하는 방식을 택했다.
따라서 독립적으로 입력 가능하면서도 전체 키의 수는 늘어나지 않은 것이 특징이다. 비교적 공간의 여유가 있으므로 키를 약간만 크게 구성하면 오조작의 가능성도 해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특히 사람이 곧 하늘이라고 하는 "인내천" 처럼 두 개를 하나로 만들어 입력하므로 "인내천 한글" 이라고 부를 수도 있는 모음 입력방식은 삼성입력방식과 목적과 구성과 그 효과에 있어 완전히 다른 발명이면서 이를 사용하던 고객들이 쉽게 적응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동시에 입력하는 입력방식을 이해하기 쉽게 하늘을 상징하되 " 。" 사람을 품을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고 있는 작은 원형의 기호 " 。" (인내천 마크) 를 l ㅡ 와 함께 모음구분기호의 하나로 정하였다.
일반적으로 동그라미는 기독교 원불교 등에서 하나를 나타내는 친근한 상징으로 사용되고 있다.
흔히 점 ( . ) 형태로 표시되는 모음 구분 기호는 오래전부터 사용해오던 한글 모음의 하나이므로 모음 ㅏ, ㅓ, ㅡ, l 처럼 누구라도 글자 그 자체에 대한 독점적인 권리를 주장할 수는 없을 것이므로 주지 관용의 기술로 보아 " . " 을 사용할수도 있을 것이고 " - " 또는 " 。" 아니면 " + " 중 어느 것을 표시해도 좋을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일반적인 점과 구분하기 위해 원의 축소 형태이면서 획소로 알아 보기도 쉬운 " 。" 의 기호를 쓰기를 권장한다. 이하에서는 모음 구분기호" . "과 " 。" 와 " + " 등을 특별히 구분하지 않고 사용하기로 한다.
그러나 도2의 실시 예는 다른 방식을 이용하지않고 본 발명만을 이용한 자판 으로 천지인 자판이나 비슷한 유형의 자판과는 완전히 다른 목적과 구성과 효과를 보여주고 있다.
본 발명은 "l" "ㅡ" 등의 모음의 구분기호를 사용하는 것은 "ㅏ" "ㅓ" 등을 이용하는 것처럼 입력방법 구성시에 필수로 사용되는 공지의 기술이라고 할 수 있지만 도2의 실시 예는 목적에 있어서 모음 구분기호나 자음의 동시입력을 통한 간편한 입력을 목적으로 하고 있는 것이라든지 그 구성에 있어서 모음 구분기호를 구분기호의 배열 형상을 따라 모음이나 복 자음 받침을 동시에 원터치로 입력하도록 한 것, 그 효과에 있어서도 한글 입력의 조작횟수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고 특히 복 자음 받침에 쓰이는 자음 등을 이웃에 배열하고 두 키를 동시에 눌러 복 자음 받침을 입력 하게 한것, 그러면서도 그러면서 글자 배열에서 기업 고유의 정체성과 소망을 고객들에게 전달하도록 것은 어느 자판에도 유례가 없는 도2의 실시 예 만의 독특한 특징인 것이다.
또한 자음 입력방식은 기업별로 현재 배열을 쓰거나 본 발명의 독특한 실시예를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동시 입력이 가능하도록 자음 배열에 있어서도 복 자음 받침을 배열한 특징이 있다.
예를 들면 표1은 ㄹㄱ,ㅂㅅ, ㄹㅂ, ㄱㅅ, ㄴㅎ, ㄴㅈ,ㄹㅎ,ㄹㅁ등의 8개 복 자음 받침을 원 터치로 동시입력 가능하도록 배열한 것이다.
(표1)
1 2 3
4 5 ㄱ 6ㅎ
7 8 ㅅ 9
0 ㅁ
상세히 설명하면 가로 방향인 숫자키 4의 작은 키와 숫자키 5의 큰 키를 한 손가락으로 동시에 누르면 "ㄹㄱ"이 입력되고 세로 방향인 숫자키 4의 작은 키와 숫자키 7의 작은 키를 한 손가락으로 동시에 누르면 "ㄹㄱ"이 입력되고 표2에 예시한 것처럼 복 자음 받침에 해당하는 두 글자를 동시에 누르면 ㅂㅅ, ㄹㅂ, ㄱㅅ, ㄴㅎ, ㄴㅈ, ㄹㅎ, ㄹㅁ, ㄹㄱ 등이 입력된다. "ㄹㅁ" 과 "ㄹㅎ" 은 떨어져 있지만 제외한 다른 "ㄹㄱ, ㅂㅅ, ㄹㅂ, ㄱㅅ, ㄴㅎ, ㄴㅈ" 의 6개의 복 자음 받침은 가로나 세로로 인접해 있어 한 손가락으로 원터치 입력이 가능하다. 물론 "ㄲ" "ㅃ" "ㅉ" "ㄸ" "ㅆ" 등을 입력해야 한다면 해당키로 소정의 시간안에 두번 입력하면 된다.
원터치로 입력시 두 개의 숫자키를 동시에 누르므로 이론적으로 한 개는 빠르고 한 개는 늦을 수가 있으므로 일정시간 안에는 동시입력 처리되도록 하여야할 것이다. 참고로 성인 남자가 다른 생각 없이 오로지 숫자키만 조작할 때 1초에 4개 (0.25초 / 숫자키 1개당)정도 누를 수 있다.물론 현실적인 문자 입력상황에서는 존재하기 힘든 수치다.
따라서 입력시 그 정도의 소요 시간을 감안하여 입력시 복 자음 받침으로 입력처리되는 최소한의 시간은 두는 것이 당연할 것이다.
한편 일반 자판에서는 동시에 누를 경우 한 개만 입력되고 한 개는 작동하지 아니한다. 그리고 다시 누르면 순차적으로 입력 처리되는 것이 아니라 실제로는 엉뚱하게 입력처리된다.
(표2)
복 자음 받침 입력방법 일반적인 조작횟수 본발명 조작 횟수
ㄹㄱ 4작은 숫자키, 5 큰숫자키를 한손가락으로 원터치 조작 2회 1회
ㅂㅅ 7작은 숫자키, 8 큰숫자키를 한손가락으로 원터치 조작 2회 1회
ㄹㅂ 4작은 숫자키, 7 작은숫자키를 한손가락으로 원터치 조작 2회 1회
ㄱㅅ 5큰 숫자키, 8 큰숫자키를 한손가락으로 원터치 조작 2회 1회
ㄴㅎ 5작은 숫자키, 6 큰숫자키를 한손가락으로 원터치 조작 2회 1회
ㄴㅈ 5작은 숫자키, 8 작은숫자키를 한손가락으로 원터치 조작 2회 1회
ㄹㅎ 4작은 숫자키, 6 큰숫자키를 한손가락으로 원터치 조작 4작은 숫자키, 6 큰숫자키를 두손가락으로 원터치 조작 2회 1회또는 2회
ㄹㅁ 4작은 숫자키, 0 큰숫자키를 한손가락으로 원터치 조작 4작은 숫자키, 0 큰숫자키를 두손가락으로 원터치 조작 2회 1회또는 2회
멀리 떨어져 있는 ㄹㅎ 과 ㄹㅁ의 경우는 처음에는 따로 따로 입력 해도 좋을 것이다. 따로 입력도 가능하지만 그럴 필요가 없을 것이다.
(표3)
1 l 2 。 l 3
표3은 숫자키를 분할한 자판에 모음의 획수를 6개에 배열하여 모음을 동시에 입력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2의 실시예에서 모음 부분만 발췌)
기존의 모음의 구성요소 즉 모음의 자획 즉 모음의 자획 즉 모음의 자획 즉 모음의 자획을 이용한 기존의 방식들은 3개의 자판에 필기 순으로만 입력하도록 하였지만 표3에 나타난 본 발명의 입력방식은 필기 순 보다는 배치된 위치와 모양에 자획의 2-4개를 동시에 입력할 수 있도록 하여 숫자키 조작횟수를 획기적으로 줄인 것이다.
즉 기존의 자판은 모음 "ㅏ" 만들기 위해서 필기순에 따라 먼저 "l" 를 입력하고 "." 를 입력하여 순차적으로 조합하는 방식으로"ㅏ"를 입력 하였지만 본 발명은 자판의 자획을 배열한 분할 자판의 배열된 위치의 모양에서 한눈에 "ㅏ"를 알아 볼 수 있으므로 분할된 1번 숫자키의 큰 버튼과 작은 버튼을 동시에 중간 부분을 눌러 한번에 ㅏ를 입력하도록 한 것이다. 아래 그림(500)을 참고해 볼수 있다.
Figure 112008049996616-PAT00001
ㅓ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분할된 2번 숫자키의 큰 버튼과 작은 버튼을 동시에 중간 부분을 눌러 한번에 ㅓ를 입력하도록 한 것이다.
** ㅑ 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분할된 1번 숫자키의 큰 버튼과 작은 버튼, 숫자키 2의 큰 버튼을 동시에 중간 부분을 눌러 한번에 ㅑ를 입력하도록 한 것이다.
ㅕ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분할된 1번 숫자키의 작은 버튼과 2번 숫자키의 큰 버튼 2번 숫자키의 버튼을 동시에 중간 부분을 눌러 한번에 ㅕ를 입력하도록 한 것이다.
1번 숫자키와 2번 숫자키의 큰 버튼과 작은 버튼을 한꺼번에 누르면 ㅒ를 입력할수있다.
3번 숫자키의 큰 버튼과 작은 버튼을 동시에 누르면 ㅜ가 입력 처리된다.
이상은 대표적인 모음 입력 처리 방식이고 그외의 모음도 동시 입력 후에 부가하는 방식으로 입력한다.
예를 들어 ㅖ를 입력하려면 동시 입력하는 방식으로 ㅕ를 입력하고 l 를 부가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면 자획을 일일히 입력하는 것( 4회조작)의 절반인 2획이면 입력할 수 있는 것이다. 모음을 조합하는데 있어는 복수의 방법도 가능하다.
모음조합이 가능한한 2-4개를 동시에 누르면 모음이 입력처리되지만 2개 자판을 나누어 누르는 것이 편하리라고 생각된다.
문자 입력의 방법상 어느 자판이든 필기 순의 입력을 기본으로 하지만 본 자판의 기술적 특징은 2~4의 자획을 동시에 입력하되 자획 배열의 형상을 참고하므로 특히 모음입력의 경우 필기순을 생각하지 않고도 입력할 수 있어 단순한 필기 순 입력보다 효율을 배가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다음 표4는 위에서 설명한 도2에 의한 모음의 입력방법의 실시예이다.
입력 방법을 설명하고 천지인과 조작횟수를 비교하였다.
(표4) 천지인과 본 발명의 조작횟수 비교
모음 동시 입력방법 천지인의 조작횟수 본 발명의조작 획수
l 。 2 1
ㅣ 。。 3 1
。l 2 1
。。l 3 1
。ㅡ 2 1
。。ㅡ 3 2
ㅡ。 2 1
ㅡ。。 3 2
1 1
l 1 1
l。l 3 2
l。。l 4 2
。ll 3 2
。。ll 4 3
。ㅡㅣ。 4 2
。ㅡl。l 5 3
。ㅡㅣ 3 2
ㅡ。。ㅣ 4 2
ㅡ。。ㅣㅣ 5 3
ㅡ。ㅣ 3 2
ㅡㅣ 2 2
모음을 1회 입력시 조작합계 62 회 37 회
도2의 모음의 구성요소를 표시한 표3의 각키 "l" "." "." "l" "." "ㅡ" "." 에 번호를 붙여 설명한 것이 표5 이다.
(표5)
1 l 1-1 。 2 。 2-1 l 3 。 3-1 ㅡ
6-1 。
표5의 맨 윗줄의 1 과 1-1 그리고 2 와 2-1 그리고 3과 3-1은 이해를 돕기 위하여 숫자키에 임의로 번호를 표시한 것이다. 1과 1-1은 숫자키 1을 분할한 것이고 2와 2-1은 숫자키 2가 두개로 분할된 것을 표시한 것이다. 3과 3-1은 숫자 키3을 분할한 것이다.
숫자키 1은 모음 "l" 숫자키 1-1은 모음을 구성하는 요소" . " 를 표시한 것이다.
2번키, 2-1키, 3번키, 3-1키도 모음의 구성요소 즉 모음의 자획 가운데 하나를 배열한 것이다. 6-1은 모음 ㅜ를 입력하기 위한 배열이다.
(표6)는 본 발명의 실시 예이다.
(표6)
1 l 2 。 l 3 ㅡ
4 o 5 ㄱ 6ㅎ
7 ㅅ 8 ㅅ 9ㅍ
*ㅋ 0 ㅁ #
표6는 본 발명의 실시 예 중 하나로 도2와 동일하다. 모음 동시입력기능과 자음 동시 입력기능을 함께 구현한 자판이다. 이때 숫자를 적어 넣지않은 작은 버튼의 높이를 큰 버튼의 높이 차이를 두면 작은 버튼입력시 작은 버튼만 살짝 누를 수 있고 큰 버튼 누를 때는 작은버튼이 경계 역할을 손가락 끝이 걸리므로 (도8의 801참조) 오작동이 없어진다.두 개의 버튼을 동시에 누를 때는 두 키에 손가락을 걸치고 중간 부분을 누르면(도5의 500 참조) 쉬울 것이다.
표7은 표5즉 도2의 실시예에 대한 문장입력시 조작 효율비교이다.
(표7)
문장 입력방법 천지인의 조작횟수 본발명의 조작횟수
안녕하세요 ㅇㅏㄴㄴㅕㅇㅎㅏㅅㅓ l ㅇㅛ 21 13
맑은 하늘 ㅁㅏ ㄹㄱ ㅇㅡㄴㅎㅏㄴㅡㄹ 18 11
강원도 ㄱㅏㅇㅇㅜㅓㄴㄷㅗ 12 9
합계 51 33
또한 휴대폰의 경우 다양한 기능(TV,게임,네비게이션 등)의 탑재로 말미암아 단말기가 약간씩 커지는 경향이다. 숫자키가 커질수록 한개의 숫자키를 몇 개로 나누어야 되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가 용이해 지는 것이다.
그리고 문자 메세지를 주로 보내는 고객층인 청소년들은 성인에 비해 손가락이 작은 것도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한글이 편리하게 원터치로 입력되는 외에는 현재의 메이커 별로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배열을 사용할 수 있고 동일한 숫자 입력 기능이 있는 것이다.
다만 한 개의 숫자키가 2-3개의 한글 키로 분할 구성 된다고 할 때 한부분의 키는 눈을 감고도 구분할 수 있도록 높이 차이를 두어 구성하면 좋을 것이다.
2007년 현재의 삼성전자 휴대폰의 2번 숫자키 "4ㄱㅋ" 키에 본 발명을 적용한다면 한글 대문자 모드에서 좌측의 큰 키 를 누르면 한글 'ㄱ'가 입력될 것이고,우측의 작고 높은 키를 누르면 ㅋ이 입력될 것이다.
역시 한 숫자키에 접점이 여러 개이므로 문자입력시 오조작의 가능성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입력시 작은 버튼은 작지만 숫자키의 키의 높이가 약간 높으므로 다른 키를 건드리지 않고 접촉할 수 있어 오작동을 막을 수 있고 큰 버튼은 작은 버튼에 손이 걸리므로 오히려 높이 차이가 없는 이전 방식보다 오작동이 적을 것이다.
물론 '전화 걸기 모드'에서는 하나의 숫자키 안에 있는 분할키 어느 곳을 눌러도 동일한 숫자가 입력되므로 좌를 누르든지 우를 누르든지 두 개가 한번에 눌러지든지 아무런 문제가 없을 것이다.
따라서 음성통화를 주로 하는 성인들은 평소 상태인 전화걸기 모드에서는 한 숫자키 안에 있는 어떤 키를 눌러도 숫자만이 입력되므로 이전과 달라지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
혹 손가락이 큰 경우 문자입력이 불편하게 느껴진다면 전화자판 설정 선택기능에서 분할자판이나 일판 자판을 선택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일반자판을 선택하였다면 이전과 같이 1회 조작하면 앞의 글자가 2회 조작하면 뒤의 글자가 입력되는 식이 될 것이다. 따로 선택하지 않아도 2회 조작하면 자동으로 전과 같이 입력되게 할 수 있게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때는 2회 조작으로 ㄲ,ㅃㅉ,ㅆ,ㄸ의 입력을 못하게 되므로 특수문자,조작횟수,시간 조절등 으로 쌍자음의 입력방법을 별도로 정해야하는 부담이 있다. 기존 자판을 업그레이드 하여 사용하는 경우는 기존 방식을 그대로 적용하면 될 것이다.)이 경우는 메이커든 고객이든 새로운 입력방식에 대한 부담을 전혀 느끼지 않아도 좋을 것이다. 그냥 편리한 대로 사용하면 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역시 전화 걸기 모드에서 처럼 한 숫자키 안에서라면 좌를 누르든지 우를 누르든지 한꺼번에 누르든지 이전과 동일하게 입력될 것이다.
본 발명은 새로운 방식에 적응 잘하는 고객이나 못하는 고객 모두 환영할만한 방식이다.
게임, 인터넷, 텔레비젼, 영화시청 기능 등이 활성화됨에 따라 휴대폰이 약간은 커질 수 있겠지만 무한정 커질 수는 없다.
숫자키가 약간만 커져도 본 발명의 방식의 편의를 극대화할 수 있고 기존 방식과 새로운 입력 방식의 절충이라고 할 수 있는 본 발명은 유용한 입력 방식이 될 가능성이 크다.
도3은
본 발명을 이용한 입력의 일 실시 예이다.
'삼성' 을 입력하려면
(S 301) 문자입력 모드로 초기화 시키는 1단계.
(S 302) 한글 대문자 모드 선택하는 2단계.
(S 303) " ㅅ " 을 1회 조작하는 3단계.
(S 304) " l - " 을 동시에 1회 조작하여 ㅏ를 입력하는 4단계.
(S 305) " o " 을 1회 조작하는 5단계.
(S 306) " ㅅ " 를 1회 조작하는 1회 조작하는 6단계.
(S 307) " - l " 을 동시에 1회 조작하여 ㅓ 를 입력하는 7단계.
(S 308) " o "을 입력을 확인하는 8단계.
(S 309) 문자를 전송하는 9단계.
이상으로 입력이 완료된다.
도4는 본 발명을 이용한 문자 배열의 일 실시 예이다.
본 실시예는 한글자음 ㅇ (401) 한글자음 ㄱ (402) 한글자음 ㅎ(403)을 가로로 연결하여 대표, 개발자 등 사람의 이름이나 사물의 이름을 만들 수 있다.
위의 예를 들면 첫 글자를 연결하면 사람이름 "이건ㅎ"(특정인의 이름이 되므로 세번째 글자 모음생략, 이하 같이 처리함) 가 되는 것이고
같은 방식으로 한글자음 ㅅ (404) 한글자음 ㅅ(405) 한글자음 ㅍ(406)을 가로로 연결하여 역시, 대표, 개발자 ,제품명 등 사람의 이름이나 사물의 이름을 만들 수 있다. 이 실시 예의 경우는 이을 가로로 연결하면 "삼ㅅ폰"의 첫글자가 되는 것이다.
또는 한글자음 ㄴ (407)은 "노키ㅇ"의 첫글자이고 한글자음 ㅁ(408)은 "모토로ㄹ"의 첫 글자가 되는 것이다. 한글자음 ㅊ(409)은 "추월한다" 또는 대표 이름의 첫 글자" 최 지 ㅅ" 등의 첫 글자 등으로 기업의 각오와 염원을 구성원이나 소비자에게 전달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전체적으로 연결하여 역시, 대표, 개발자 ,제품명 등 사람의 이름이나 사물의 이름을 만들 수 있다. 기업의 염원이나 정체성을 담을 수도 있다. 나머지 글자에는 예를 들면 ㅌ은 약간 다르게 인쇄해서 명예의 전당처럼 이동통신의 공로자의 이름인 " 이 기 ㅌ" 사장의 이니셜을 헌정한것으로 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것은 고객의 감성에 전달되어 호기심으로 그 이름을 기억할 것이고 결과적으로 자판 암기가 쉬워지고 입력이 빨라지는 것이다. 구성원들의 자부심과 사기도 높아질 것이다. 특정업체뿐 아니고 어느 기업이라도 가능한 것이다.
도5는 본 발명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의 일 실시 예이다.
도5의 (501)-(503)은 입력 편의를 위해 배열된 글자의 형상을 보고 글자를 원터치로 입력할 수 있도록 핀 스타일의 키를 더 설치한 실시 예이다. 핀 스타일의 키는 면적을 최대한 적게 차지하기 위해 핀 모양 일뿐 기능은 일반 키와 동일하다.
각 핀 스타일의 키는 키는 ㅏ(501), ㅓ(503), ㅜ(504), ㅗ(505) 가 원터치로 입력된다.
(506)-(511)은 ㄹㄱ(506),ㅂㅅ(508), ㄹㅂ(509), ㄱㅅ(510), ㄴㅎ(507), ㄴㅈ(511),ㄹㅁ(509)등의 6개 복 자음 받침을 원 터치로 동시입력 가능하도록 배열한 것이다.
* 도6는 본 발명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의 일 실시 예이다.
손가락(601)은 ㄹㄱ을 단번에 입력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도7은 본 발명을 이용한 입력의 일 실시 예이다.
손가락(701)은 ㄹㅂ을 단번에 입력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도8는 본 발명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의 일 실시 예이다.
손가락은 높이가 낮은 키를 누르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도9은 본 발명을 이용한 입력의 일 실시 예이다.
손가락이 높은 키를 누르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다른 인접한 키보다 높이가 높기 때문에 규격이 작아도 다른키를 건드리지않아 정확한 입력이 가능하다.
도10은 모음의 형상이 되도록 배치한 일 실시 예이다.
위에서도 설명했지만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실시 예는 ㅏ 의 형상을 이루게 하기 위하여 l 와 . 키를 좌우에 배열한 것을 보여준다(1001).
ㅓ 의 형상을 이루게 하기 위하여 . 와 l 키를 좌우에 배열한 것을 보여준다(1002).
ㅗ 의 형상을 이루게 하기 위하여 . 와 ㅡ 키를 좌우에 배열한 것을 보여준다(1003).
ㅜ 의 형상을 이루게 하기 위하여 ㅡ 와 . 키를 좌우에 배열한 것을 보여준다(1008).
ㅑ의 형상(1007)을 보여준다. 실제 입력시에 l . . 를 모두 누르면 모음 ㅑ 가 입력 처리될 것이고 모음 구분요소 . . 와 l, 를 동시에 누르면 모음 ㅕ 가 입력되고 . . 와 ㅡ를 동시에 누르면 모음 ㅛ가 입력되고 . . 과 ㅡ을 동시에 누르면 모음 ㅠ 가 각각 입력 처리된다. 그외에 중 모음은 형상 또는 필기 순으로 입력처리된다.
도10 의 가 (1004)-(1006)은 가로로 복자음 받침을 배열한 것이다. 도10의 나 (1009)-(1011)은 세로로 복자음 받침을 배열한 실시예이다.
도11은 모음 구분기호의 표시에 대한 실시 예이다. 주로 자판을 분할하지 않고 기존의 자판을 사용할 때 필요한 사항이다.
도 11의 (가) 의 (1101)은 기존의 삼성의 천지인 등에서 사용중인 모음 구분기호 표시이다. 이 표시를 사용할 경우 키보드의 중간을 누르면 양쪽의 모음이 조합되어 입력되는 것으로 한다. "l "와" . "를 동시에 누르면 "ㅏ" 가 입력되고 " . "와 "ㅡ "를 동시에 누르면 "ㅗ" 가 입력되는 것으로 한다. " l "와 "ㅡ "를 동시에 누르면 "ㅢ(의)" 가 입력되는 것으로 한다. 동시에 입력이 불가능한 것은 종전대로 필기 순으로 입력할 수 있을 것이다. 기존 삼성 자판에 사용할 경우 입력효율의 향상이 기대된다. 기존의 삼성 자판과 기능이 다르므로 혼동되지 안으려면 " . " (아래아) 대신 " 。 " 기호를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1의 (가) 의 (1102)는 기존의 삼성의 천지인에서 사용중인 모음 구분기호 표시인 " . " 를 "+"로 대신한 것이다. " . " (아래아) 대신 "+" 기호를 사용하므로 동시 입력으로 획수를 부가시킨다는 의미를 전달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도 11의 (가) 의 (1103)은 모음 (1002)에 사용된 모음 구분기호 부가 표시인 "+" 에 원형을 추가한 한 것이다. " 。" 와 "+" 기호를 합쳐서 사용하므로 획수를 부가시킨다는 의미를 보다 더 잘 전달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도 11의 (나) 의 (1104)는 모음 (1002)에 사용된 모음 구분기호 부가 표시인 "+" 에 모두 4개의 "." 을 상하좌우에 추가한 한 것이다. 도 11의 (나) 에서 확대해서 보여주고 있다. 편의상 "천지인'과 구분하기 위하여 "쌍 천지인" 입력방식으로 부르기로 한다.
도면11의 (나) 표시한 내용을 설명하기 위하여 상하좌우 " . " ( 또는 " 。" 기호)각 방향에 " . " 를 4개 배열한 실시 예 (1201),(1202),(1203),(1204)이 다.
이것은 하나의 키가 상하 좌우 4개의 접점을 가지는 멀티 키나 분할키를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것은 도 12 에 표시 한대로 (1201),(1202),(1203),(1204)의 4개의 접점이 있다는 뜻인데 이 실시 예에서는 ㅑ ㅕ ㅛ ㅠ 등의 이중모음도 원터치로 입력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즉 ㅣ와 4개의 접점(혹은 4개의 분할키)중 하나인 (1203)또는(1204)를 동시에 누르면 방향에 맞는 단모음 ㅏ 가 입력되고, ㅣ와 (1203)(1204) 를 동시에 원터치로 누르면 ㅑ 가 입력되는 것이다.
l와 (1201),(1202)중 한 개와 동시에 누르면 ㅓ가 입력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 (1201),(1202),(1203),(1204)중 아무것이나 한 개 누르고 ㅣ를 누르면 ㅓ 가 입력시키는 경우 종전의 천지인 방식과 비슷한 것이다.) 이처럼 모음을 입력할 때 " . " 가 위치할 방향으로 보아 두 가지 이상의 입력 방법이 있을 수도 있는 것이다. 이런 경우 표8에서는 가장 가까운 곳을 기준으로 하였지만 실시 예에 따라 (1201),(1202),(1203),(1204)중에서 편리한 것을 골라서 입력할 수도 있는 것이다. 즉 입력 기능 상으로는 필기 순에 따라 입력 가능한 모든 입력 방법을 활용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일례를 들면 ㅑ를 입력할 때 소비자의 사용 가능성은 거의 없지만 ㅣ를 먼저 입력하고 (1204)와 (1202)를 입력하여도 ㅑ가 입력되게 하자는 의미이다. 물론 ㅣ를 먼저 입력하고 (1201)와 (1203)를 입력하거나 어느 위치의 " . " 이든 모음 형상과 필순에 맞게 2개만 입력하면 ㅑ가 입력될 것이다. 동시에 입력하든지 나누어 입력하든지 동일하게 ㅑ가 입력된다. 이런 과정에서 소비자는 가장 좋은 방식을 스스로 선택하게 되는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 예는 ㅕ 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1201)(1202)를 동시에 누르고 l 을 누르면 된다.
바람직한 실시 예는 ㅛ 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1201)(1202)와 동시에 l 을 원터치로 누르면 된다.
바람직한 실시 예는 ㅠ 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1201)(1204)를 동시에 누르고 l 을 누르면 된다.
바람직한 실시 예는 ㅛ의 입력시 (1204) (1201)를 먼저 누르고 ㅡ 를 나누어 2회로 입력하지만 "(1204) (1201)와 ㅡ "의 동시에 눌러도 ㅛ를 입력에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표8에서 제시한 바람직한 입력방식 외에 ㅡ ㅣ 등 모음 형상의 방향과 필순과 " . " 음소의 수만 일치하면 조합가능한 모든 모음이 입력 되도록 하면 좋을 것이다. 이것은 본 입력 방식에 대하여 전혀 모르는 소비자라도 형상과 필순과 " . " 음소의 수를 감안하여 한 두번 조작하면 직관적으로 본 입력 방식을 익히게 해줄 것이기 때문이다.
ㅓ 를 입력할 때에는 " . " 를 먼저 누르고 l 를 누를 경우 종전의 입력방식과 동일하다. 또한 ㅜ 도 ㅡ 를 먼저 누르고 " . " 를 누르면 종전과 비슷한 방식이 된다. 그러나 이것은 종전과 외형상 입력시 조작횟수가 같다는 의미일 뿐 본 발명에는 " . " 기호가 4개나 되므로 " . " 기호의 위치에 따라 달라지는 모 음의 모양을 미리 형상화 시키기가 용이하여 입력할 글자를 종전보다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구성이 존재하는 것이다. 이외에 이중모음은 기본 입력 방법에 필요한 획을 추가하는 형태로 입력이 가능하다.따라서 본 발명은 종전 방식에 에 비해 탁월한 입력 방식이 될 것이다. 바람직한 입력 방법을 표로 표시하고 천지인과 비교하면 다음 표8과 같다.
(표8) 천지인과 본 발명 (쌍 천지인 입력방식)의 조작횟수 비교
모음 동시 입력방법 천지인의 조작횟수 본 발명의조작 획수
l 。(1204) 2 1
ㅣ 。。(1203)(1204) 3 1
。(1201) l 2 1
。。(1201)(1202), l 3 2
。(1201) ㅡ 2 1
。。(1204)(1201), ㅡ 3 2
ㅡ。(1202) 2 1
ㅡ, 。。(1203)(1202) 3 2
1 1
l 1 1
l(1204)。 , l 3 2
l。。(1204)(1203) , l 4 2
。(1203),l,l 3 3
。。(1203)(1204), l, l 4 3
。(1201)ㅡ,ㅣ。(1203) 4 2
。(1201)ㅡ, l。(1203),l 5 3
。(1201)ㅡ,ㅣ 3 2
ㅡ。(1202) , 。(1203),ㅣ 4 3
ㅡ。(1202), 。(1203),ㅣ,ㅣ 5 4
ㅡ。(1202),ㅣ 3 2
ㅡㅣ 2 1
모음을 1회 입력시 조작합계 62 회 40 회
상기 표 8의 입력 방식은 l 과 ㅡ 은 분할하지 않은 상태에서 " . "만 4개의 접점을 갖도록 구성한 실시 예 로서 천지인 방식에 비하여 35.4%의 조작이 횟수가 줄어드는 효율성이 있는 입력방식이다. .
본 발명을 등록특허10-0679696에 적용해 자음키 배열을 구성해도 유용할 것이 다. 모음 입력방법이나 원터치 입력은 본 발명의 내용이지만 인용발명의 고유한 자음 배열 방법은 인용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 내용이므로 본 출원에 속한 것은 아니다. 다만 본 발명의 활용 예를 보여 주고자 하는 것이다.
인용발명의 자음 배열은 아라비아 숫자와의 유사성을 기준으로 찾기 쉽게 배열되어 있지만 모음을 획수로 배열하여 특히 불편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모음 입력방식을 활용하면 효율은 배가 될 것이다.
` 본 발명은 각 입력 방식별로 적용가능하며 다양한 한글입력방식에서 사용가능하다.
또 한 숫자키를 분할하는 방식은 터치스크린 방식에서도 적용 가능할 것이다. 사용범위로는 전화기,전자사전 등을 물론하고 문자입력을 필요로 하는 모든 기기에 사용할 수 있다.
이하 특허 청구범위에 포함될 본 발명의 주요부분을 8항으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문자와 숫자가 입력 가능하도록 다수의 숫자키들로 이루어져 있는 단말기에서, 상기 숫자키에는 모음을 구성하는 단위인 모음 구분기호가 배열되어 있으며, 분할은 상기 각 숫자 키 안에서 한글의 별도 입력이 가능하도록 적어도 2개의 키로 나눈 것인데,상기 분할된 키에서 한글을 입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한글을 분할된 키 별로 할당한 1개의 숫자키를 소정횟수 눌러서 자음을 입력하는 단계;
분할된 숫자키 중 모음구분기호 키를 소정횟수 누르면 해당 글자가 입 력 처리되고, 분할된 적어도 2개의 키를 동시에 누르면 모음구분기호가 조합되어 모음이 단번에 입력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문자 입력 방법.
2. 문자와 숫자가 입력 가능하도록 다수의 숫자키들로 이루어져 있는 단말기에서
상기 숫자키에는 아라비아 숫자와 한글이 배열되어 있으며, 모음 구분기호를 배열하는 기준은 배열된 인접한 모음 구분기호를 동시에 눌렀을 때 조합되어 모음이 입력 되도록 하는 것인데, 상기키에서 에 숫자와 한글 모음 구분기호를 배열하는 방법에 있어서,
모음 구분기호 "l" " 。" "ㅡ" 를 각 숫자 키에 배열할 때 인접한 모음구분기호를 원터치로 동시에 누를 수 있도록 인접하게 배열하는 과정과;
각 숫자키에 배열된 일정한 위치의 모음구분기호를 연결했을 때 예를 들면 좌측에 "l" 우측의" 。" 를 배열하여 구체적인 모음의 ㅏ의 형상이 되도록 배열하는 과정과;
예를 들면 좌측에 " 。" 우측에 "l"를 배열하여 구체적인 모음의 ㅓ의 형상이 되도록 배열하는 과정과;
예를 들면 상측에 " 。" 하측에 "lㅡ"를 배열하여 구체적인 모음의 ㅗ 의 형상이 되도록 배열하는 과정과;
각 숫자 키에 배열된 일정한 위치의 모음 구분기호들을 연결했을 때 구체적인 모음의 형상을 갖도록 배열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 단말기에서 한글 모음구분기호를 배열하는 방법.
3. 모음 구분기호를 배열하는 방법은
"l" " 。" "ㅡ" 를 각 숫자 키에 배열할 때 " 。" 대신
도11의 (1102)에서 예시된 "+" 기호,
도11의 (1103)에서 예시된 "o" 기호 안에 "+"를 배치한 기호,
도11의 (1103), (나)에서 예시된 "+" 에 "." 기호 4개를 상하 좌우에 배열한 기호 중 적어도 1개를 사용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 단말기에서 한글 모음구분기호를 배열하는 방법.
4. 문자와 숫자가 입력 가능하도록 다수의 숫자키들로 이루어져 있는 단말기에서,
상기 숫자키에는 아라비아 숫자와 한글이 배열되어 있으며, 자음을 배열하는 기준은 배열된 인접한 자음을 동시에 눌렀을 때 조합되어 자음이 입력 되도록 하는 것인데, 상기키에서 자음들을 배열하는 방법에 있어서,
가로로 보아 복자음 받침이 인접하게 배열하는 과정과;
세로로 보아 복자음 받침이 인접하도록 배열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자음을 배열하는 방법.
5. 제4항에서 자음을 배열하는 기준은
가로로 보아 ㄹㄱ, ㄴㅎ, ㅂㅅ, 복자음 받침이 인접하게 배열하는 과정과;
세로로 보면 ㄹㅂ, ㄱㅅ, ㄴㅈ 복자음 받침이 인접하도록 배열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자음을 배열하는 방법.
6. 문자와 숫자가 입력 가능하도록 다수의 숫자키들로 이루어져 있는 단말기에는 상기 숫자키에는 모음을 구성하는 단위인 모음 구분기호가 적어도 1개 이상 배열되어 있으며, 분할은 상기 각 숫자 키 안에서 한글의 별도 입력이 가능하도록 적어도 2개의 키로 나눈 것인데,상기 분할된 키에서 한글 모음구분기호를 입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각 숫자키에 배열된 일정한 위치의 모음구분기호를 입력할 때 복수의" 。" 중 적어도 1개를 선택하여 입력하는 과정과;
각 숫자키에 배열된 일정한 위치의 모음구분기호를 입력할 때 복수의" l " 중 적어도 1개를 선택하여 입력하는 과정과;
각 숫자키에 배열된 일정한 위치의 모음구분기호를 입력할 때 복수의" ㅡ " 중 적어도 1개를 선택하여 소정횟수 눌러 입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 단말기에서 한글 모음구분기호를 입력하는 방법.
7. 문자와 숫자가 입력 가능하도록 다수의 숫자키들로 이루어져 있는 단말기에서 상기 숫자키에는 모음을 구성하는 단위인 모음 구분기호가 배열되어 있으며, 분할은 상기 각 숫자 키 안에서 한글이 별도 입력이 가능하도록 적어도 2개의 키로 나눈 것인데,상기 분할된 단말기 키의 구조에 있어서,
적어도 2개로 분할된 키 중 적어도 한 개의 키가 소정높이가 분할된 다른 키보다 더 높게 만들어진 키;
분할된 숫자키 중 키가 더 낮은 키를 소정횟수 누를 때 더 높은 키에 손가락이 걸려서 입력이 편리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키의 구조.
8.제6항에서
한글 모음구분기호를 입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각 숫자키에 배열된 일정한 위치의 모음구분기호를 입력할 때 복수의" 。" 중 적어도 1개를 선택하여 입력하는 과정은
각 숫자키에 배열된 일정한 위치의 모음구분기호를 임의로 선택하되 필기순에 따라 적어도 1개를 선택하여 소정횟수 눌러 입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 단말기에서 한글 모음구분기호를 입력하는 방법.
상기 실시 예는 설명을 위하여 예를 든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다양한 변형을 가할 수 있을 것이며 상기 실시 예로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권리의 보호범위는 이하 청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한글자판의 일 예이다.
* 도 2는 본 발명을 이용한 자판의 일 실시 예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입력방법의 일 실시 예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글자배열의 일 실시 예이다.
* 도 5는 본 발명의 입력방법의 일 실시 예이다.
도 6는 본 발명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의 일 실시 예이다.
도 7은 본 발명을 이용한 입력의 일 실시 예이다.
도 8는 본 발명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의 일 실시 예이다.
도 9은 본 발명을 이용한 입력의 일 실시 예이다.
도10은 모음의 형상이 되도록 배치한 일 실시 예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이다.
*용어의 설명
1. 분할키(분할된 키): 한 숫자키 안에 배열된 글자들이 각각 독립적으로 원터치입력 될 수 있도록 숫자키 자체를 나눈 키.

Claims (8)

  1. 문자와 숫자가 입력 가능하도록 다수의 숫자키들로 이루어져 있는 단말기에서, 상기 숫자키에는 모음을 구성하는 단위인 모음 구분기호가 배열되어 있으며, 분할은 상기 각 숫자 키 안에서 한글의 별도 입력이 가능하도록 적어도 2개의 키로 나눈 것인데,상기 분할된 키에서 한글을 입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한글을 분할된 키 별로 할당한 1개의 숫자키를 소정횟수 눌러서 자음을 입력하는 단계;
    분할된 숫자키 중 모음구분기호 키를 소정횟수 누르면 해당 글자가 입 력 처리되고, 분할된 적어도 2개의 키를 동시에 누르면 모음구분기호가 조합되어 모음이 단번에 입력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문자 입력 방법.
  2. 문자와 숫자가 입력 가능하도록 다수의 숫자키들로 이루어져 있는 단말기에서,
    상기 숫자키에는 아라비아 숫자와 한글이 배열되어 있으며, 모음 구분기호를 배열하는 기준은 배열된 인접한 모음 구분기호를 동시에 눌렀을 때 조합되어 모음이 입력 되도록 하는 것인데, 상기키에서 에 숫자와 한글 모음 구분기호를 배열하는 방법에 있어서,
    모음 구분기호 "l" " 。" "ㅡ" 를 각 숫자 키에 배열할 때 인접한 모음구분기호를 원터치로 동시에 누를 수 있도록 인접하게 배열하는 과정과;
    각 숫자키에 배열된 일정한 위치의 모음구분기호를 연결했을 때 예를 들면 좌측에 "l" 우측의" 。" 를 배열하여 구체적인 모음의 ㅏ의 형상이 되도록 배열하는 과정과;
    예를 들면 좌측에 " 。" 우측에 "l"를 배열하여 구체적인 모음의 ㅓ의 형상이 되도록 배열하는 과정과;
    예를 들면 상측에 " 。" 하측에 "lㅡ"를 배열하여 구체적인 모음의 ㅗ 의 형상이 되도록 배열하는 과정과;
    각 숫자 키에 배열된 일정한 위치의 모음 구분기호들을 연결했을 때 구체적인 모음의 형상을 갖도록 배열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 자입력 단말기에서 한글 모음구분기호를 배열하는 방법.
  3. 제 2항에서
    모음 구분기호를 배열하는 방법은
    "l" " 。" "ㅡ" 를 각 숫자 키에 배열할 때 " 。" 대신
    도11의 (1102)에서 예시된 "+" 기호,
    도11의 (1103)에서 예시된 "o" 기호 안에 "+"를 배치한 기호,
    도11의 (1103), (나)에서 예시된 "+" 에 "." 기호 4개를 상하 좌우에 배열한 기호 중 적어도 1개를 사용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 단말기에서 한글 모음구분기호를 배열하는 방법.
  4. 문자와 숫자가 입력 가능하도록 다수의 숫자키들로 이루어져 있는 단말기에서,
    상기 숫자키에는 아라비아 숫자와 한글이 배열되어 있으며, 자음을 배열하는 기준은 배열된 인접한 자음을 동시에 눌렀을 때 조합되어 자음이 입력 되도록 하는 것인데, 상기키에서 자음들을 배열하는 방법에 있어서,
    가로로 보아 복자음 받침이 인접하게 배열하는 과정과;
    세로로 보아 복자음 받침이 인접하도록 배열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자음을 배열하는 방법.
  5. 제4항에서 자음을 배열하는 기준은
    가로로 보아 ㄹㄱ, ㄴㅎ, ㅂㅅ, 복자음 받침이 인접하게 배열하는 과정과;
    세로로 보면 ㄹㅂ, ㄱㅅ, ㄴㅈ 복자음 받침이 인접하도록 배열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자음을 배열하는 방법.
  6. 문자와 숫자가 입력 가능하도록 다수의 숫자키들로 이루어져 있는 단말기에서, 상기 숫자키에는 모음을 구성하는 단위인 모음 구분기호가 적어도 1개 이상 배열되어 있으며, 분할은 상기 각 숫자 키 안에서 한글의 별도 입력이 가능하도록 적어도 2개의 키로 나눈 것인데,상기 분할된 키에서 한글 모음구분기호를 입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각 숫자키에 배열된 일정한 위치의 모음구분기호를 입력할 때 복수의" 。" 중 적어도 1개를 선택하여 입력하는 과정과;
    각 숫자키에 배열된 일정한 위치의 모음구분기호를 입력할 때 복수의" l " 중 적어도 1개를 선택하여 입력하는 과정과;
    각 숫자키에 배열된 일정한 위치의 모음구분기호를 입력할 때 복수의" ㅡ " 중 적어도 1개를 선택하여 소정횟수 눌러 입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 단말기에서 한글 모음구분기호를 입력하는 방법.
  7. 문자와 숫자가 입력 가능하도록 다수의 숫자키들로 이루어져 있는 단말기에서, 상기 숫자키에는 모음을 구성하는 단위인 모음 구분기호가 배열되어 있으며, 분할 은 상기 각 숫자 키 안에서 한글이 별도 입력이 가능하도록 적어도 2개의 키로 나눈 것인데,상기 분할된 단말기 키의 구조에 있어서,
    적어도 2개로 분할된 키 중 적어도 한 개의 키가 소정높이가 분할된 다른 키보다 더 높게 만들어진 키;
    분할된 숫자키 중 키가 더 낮은 키를 소정횟수 누를 때 더 높은 키에 손가락이 걸려서 입력이 편리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키의 구조.
  8. 제6항에서
    한글 모음구분기호를 입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각 숫자키에 배열된 일정한 위치의 모음구분기호를 입력할 때 복수의" 。" 중 적어도 1개를 선택하여 입력하는 과정은
    각 숫자키에 배열된 일정한 위치의 모음구분기호를 임의로 선택하되 필기순에 따라 적어도 1개를 선택하여 소정횟수 눌러 입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 단말기에서 한글 모음구분기호를 입력하는 방법.
KR1020080067458A 2008-07-11 2008-07-11 원터치 한글입력시스템 KR201000070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7458A KR20100007041A (ko) 2008-07-11 2008-07-11 원터치 한글입력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7458A KR20100007041A (ko) 2008-07-11 2008-07-11 원터치 한글입력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33581A Division KR20140132312A (ko) 2014-10-02 2014-10-02 원터치 한글입력시스템
KR1020140133584A Division KR20140133791A (ko) 2014-10-02 2014-10-02 원터치 한글입력시스템
KR20140133583A Division KR20140133790A (ko) 2014-10-02 2014-10-02 원터치 한글입력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7041A true KR20100007041A (ko) 2010-01-22

Family

ID=41816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7458A KR20100007041A (ko) 2008-07-11 2008-07-11 원터치 한글입력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704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32830A1 (en) 2010-04-23 2011-10-27 Ewha University - Industry Collaboration Foundation A new kanamycin compound, kanamycin-producing streptomyces species bacterium, and method of producing kanamycin
US10737535B2 (en) 2017-01-25 2020-08-11 Tannus Co., Ltd. Coupling unit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32830A1 (en) 2010-04-23 2011-10-27 Ewha University - Industry Collaboration Foundation A new kanamycin compound, kanamycin-producing streptomyces species bacterium, and method of producing kanamycin
US10737535B2 (en) 2017-01-25 2020-08-11 Tannus Co., Ltd. Coupling unit
US10737536B2 (en) 2017-01-25 2020-08-11 Tannus Co., Ltd. Coupling unit
US10737537B2 (en) 2017-01-25 2020-08-11 Tannus Co., Ltd. Coupling uni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53797A (ko) 정보단말기용 키보드 및 그 배열방법
KR20060101367A (ko) 숫자 키를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 및 문자 입력방법
KR101808774B1 (ko) 가상 키보드 구조, 가상 키패드 기반 문자 입력 방법, 이를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2012020752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ositioning keys in limited key space of handheld mobile wireless devices
KR10093797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영문자 입력 시스템
CN102422621B (zh) 字母输入的方法与装置
KR20100007041A (ko) 원터치 한글입력시스템
KR100892856B1 (ko) 한글입력단말기
JP5220217B1 (ja) ディスプレー用日本語入力鍵盤
KR10034863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방법
KR20040043727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문자입력 장치
KR20100007033A (ko) 원터치 한글입력시스템
KR20120060732A (ko) 준세벌 한글자판과 새로운 두루자판 시스템
KR20090007270A (ko) 모음자음분할입력단말기
KR20090007269A (ko) 모음분할입력단말기
KR20080066636A (ko) 한글입력단말기
KR101129689B1 (ko) 2개국 겸용 속기 키보드
KR20100008719A (ko) 원터치 한글입력 방법
KR100860837B1 (ko) 디스플레이 변환형 키패드 및 이를 포함하는이동통신단말기
KR20060107646A (ko) 디지털 단말기 한글입력시스템
JP2015043560A (ja) ソフトウエアキーボードプログラム、文字入力装置および文字入力方法
KR20140133790A (ko) 원터치 한글입력시스템
KR20140133791A (ko) 원터치 한글입력시스템
KR20140132312A (ko) 원터치 한글입력시스템
KR101445061B1 (ko) 스마트폰의 한글입력버튼 배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