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6915A - 이동단말기의 탈착이 가능한 룸미러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단말기의 탈착이 가능한 룸미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6915A
KR20100006915A KR1020080067238A KR20080067238A KR20100006915A KR 20100006915 A KR20100006915 A KR 20100006915A KR 1020080067238 A KR1020080067238 A KR 1020080067238A KR 20080067238 A KR20080067238 A KR 20080067238A KR 20100006915 A KR20100006915 A KR 201000069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mirror
room mirror
cas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7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해룡
문태환
조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67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6915A/ko
Publication of KR201000069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69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4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insid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58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navigat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B60R2001/1284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with communication systems other than radio-receivers, e.g. keyless entry systems, navigation systems; with anti-collision 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단말기의 탈착이 가능한 룸미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룸미러의 내부에 이동단말기가 삽입 및 고정될 수 있는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공간부에 삽입된 이동단말기의 표시부의 화상이 거울의 전면으로 투과되도록 거울의 일부를 후면에서 전면으로의 투과가 가능한 부재로 형성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룸미러 장치는 일부분 또는 전체부분에 투과부재가 형성된 거울; 및 상기 거울을 지지하고 차량에 고정하되, 상기 거울과의 사이에 이동단말기가 삽입 및 탈락되는 공간부를 형성하는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거울의 투과부재는 상기 공간부에 삽입된 이동단말기의 표시부의 화상을 거울의 후면으로 투과시킨다.
룸미러, 거울, 네비게이션, 단말기, 삽입, 탈부착, 탈착, 착탈, 일체, 후방

Description

이동단말기의 탈착이 가능한 룸미러 장치{ROOM MIRROR APPARATUS INCLUDING ASSEMBLY AND DISASSEMBLY FUNCTION OF REMOVABLE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단말기의 탈착이 가능한 룸미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신차를 구입할 때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옵션으로 선택하게 되면 과도한 비용이 소요되며, 옵션 선택 시 상기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차량의 대시보드(dashboard)에 매립되어 출고되므로 사용자가 휴대용으로 이용할 수 없다.
이에 상기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옵션 비용이 부담스러운 사용자나, 상기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휴대용으로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휴대용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구입한 후 상기 휴대용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거치대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글라스에 탈착하면서 이용한다.
그러나 차량은 일반적으로 사고 발생을 대비하여 운전자의 상해가 최소가 되도록 모든 부품들이 배치되어 있지만, 사용자에 의해 임의로 차량의 글라스에 부착된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사고 발생 시 탈락되어 사용자에게 위해를 끼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네비게이션 시스템과 같은 이동단말기의 삽입 및 탈락이 가능하고, 삽입된 이동단말기의 표시부의 화상은 룸미러의 거울의 일부를 이용하여 투과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이동단말기의 탈착이 가능한 룸미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룸미러 장치는 일부분 또는 전체부분에 투과부재가 형성된 거울; 및 상기 거울을 지지하고 차량에 고정하되, 상기 거울과의 사이에 이동단말기가 삽입 및 탈락되는 공간부를 형성하는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거울의 투과부재는 상기 공간부에 삽입된 이동단말기의 표시부의 화상을 거울의 후면으로 투과시킨다.
여기서 본 발명의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단말기의 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수단을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공간부에 삽입된 이동단말기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더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이동단말기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회전축을 구비하고, 한쪽에는 이동단말기에 형성된 걸림홈에 삽입되는 걸림부가 형성되며, 다른쪽에는 버튼부가 형성된 고정부재; 및 상기 걸림부와 케이스의 내측면의 사이에 설치된 탄성체를 포함하며, 상기 버튼부가 가압되면 걸림부가 걸림홈에서 이탈되면서 탄성체가 수축되고, 상기 버튼부의 가압이 해제되면 상기 탄성체가 팽창하며 걸림부를 걸림홈 방향으로 가압시켜 이동단말기를 고정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투과부재는 트랜스플렉티브(transflective) 패널로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룸미러 장치에는 상기 연결수단과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부; 이동단말기 별 동작제어신호들의 목록이 저장된 메모리; 사용자로부터 키 조작 신호를 전달받는 키 입력부; 및 사용자로부터 전달받은 키 조작 신호에 따라 이동단말기에 해당하는 동작제어신호를 데이터 송수신부를 통해서 이동단말기로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한 제어장치를 더 구비한다.
본 발명의 룸미러 장치는 이동단말기의 탈착, 이동단말기의 표시부의 화상 표출 및 본래의 목적인 거울 기능으로의 사용이 가능하므로 사용자가 이동단말기를 필요에 따라 차량용 또는 휴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룸미러 장치는 후방을 관찰하기 위한 본래의 목적 외에도 네비게이션과 같은 이동단말기를 탈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편의를 주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룸미러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a는 본 발명의 이동단말기의 정면도이며, 도 2b는 본 발명의 이동단말기의 일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동단말기(200)의 탈착이 가능한 룸미러 장치(100)는 거울(10), 케이스(20), 연결수단(40) 및 제어장치(도시되지 않음) 등을 포함한다.
우선 본 발명의 룸미러(room mirror) 장치는 도 1을 참조하면, 운전자가 차량 후방의 움직임을 관찰할 수 있도록 차량 안쪽의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의 중간 지점 바로 위쪽에 설치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이동단말기(200)는 도 2a,b를 참조하면, 휴대 가능한 네비게이션 단말기, 이동통신단말기, MP3, PMP와 같은 멀티미디어 단말기를 총칭하며, 상기 이동단말기(200)의 상단부에는 후술하는 고정수단(30)의 걸림부(34)가 삽입되는 걸림홈(220)이 형성되고 일단부에는 룸미러 장치(100)의 연결수단(40)과 연결되는 접속단자(230)가 마련된다.
한편 거울(10)은 도 1을 참조하면, 룸미러 장치(100)의 전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차량의 후방의 움직임을 관찰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거울(10)에는 후술하는 이동단말기(200)의 표시부(210)에 대응되는 크기만큼 투과부재(12)가 형성된다. 상기 투과부재(12)의 구체적인 구성은 공간부(22)의 구성에서 더욱 상세히 언급한다.
도 3a는 본 발명의 룸미러 장치의 정단면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룸미러 장치의 공간부에 이동단말기가 삽입된 모습을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며, 도 4a는 본 발명의 룸미러 장치의 일측면에 이동단말기가 삽입되기 전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룸미러 장치의 일측면에 이동단말기가 삽입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한편 케이스(20)는 도 1, 도 3a,b 및 도 4a,b를 참조하면, 상기 거울(10)을 지지하고 별도의 차량 고정부(도시되지 않음)에 결합되어 상기 거울(10)을 차량에 고정한다. 상기 케이스(20)는 상기 거울(10)과의 사이에 이동단말기(200)가 삽입 및 탈락되는 공간부(22)를 형성한다. 상기 공간부(22)의 입구부(22a)는 상기 케이스(20)의 일단부에 형성된다.
한편 연결수단(40)은 도 3a,b를 참조하면, 상기 케이스(20)의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이동단말기(200)가 상기 공간부(22)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이동단말기(200)의 접속단자(230)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이에 상기 연결수단(40)은 상기 이동단말기(200)가 상기 공간부(22)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이동단말기(200)의 접속단자(230)와 결합됨으로써 상호간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한편 상기 이동단말기(200)가 상기 공간부(22)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이동단말기(200)의 표시부(210)는 상기 거울(10)의 투과부재(12)와 대응된다. 이어서 상기 거울(10)의 투과부재(12)에 대해서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거울(10)은 빛의 반사를 이용하여 상(像)을 맺는, 즉 물체의 모습을 비추는 도구로서, 유리판의 후면에 수은(水銀)을 바르고, 상기 수은 위에 습기를 막기 위하여 연단(鉛丹)을 칠함으로써 제작된다. 여기서 상기 거울(10)은 전면으로 조사되는 빛을 반사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수은 및 연단이 형성된 후면에서 전면으로는 빛이 차단된다.
따라서 상기 거울(10)은 공간부(22)에 삽입된 이동단말기(200)의 표시부(210)의 화상을 거울(10)의 전면으로 투과시킬 수 없으므로, 상기 거울(10)에서 상기 이동단말기(200)의 표시부(210)와 대응되는 일부분 또는 상기 거울(10)의 모 든 부분은 트랜스플렉티브(transflective) 패널로 이루어진다.
상기 트랜스플렉티브 패널은 전면에서는 반사 모드가 되고, 후면에서는 투과 모드로 되는 패널로서 이는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거울(10)의 투과부재(12)는 전면에서 조사되는 빛은 반사하여 일반적인 거울(10)의 역할을 그대로 구현하되, 후면에서 이동단말기(200)의 표시부(210)로부터 조사되는 화상은 전면으로 투과시킨다. 결국 이동단말기(200)의 표시부(210)로부터 조사되는 화상을 거울(10)의 투과부재(12)의 전면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고정수단(30)은 도 3a,b를 참조하면, 상기 케이스(20)에 설치되어 상기 공간부(22)에 삽입된 이동단말기(200)를 고정한다.
상기 고정수단(30)은 고정부재 및 탄성체(39) 등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재는 패널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이동단말기(200)의 공간부(22)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중앙부에 회전축(32)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축(32)에 의해 상기 고정부재의 걸림부(34) 및 버튼부(36)는 상호 시소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의 한쪽에는 이동단말기(200)에 구비된 걸림홈(220)에 삽입되는 걸림부(34)가 형성되며, 다른쪽에는 버튼부(36)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버튼부(36)는 사용자로부터 가압될 수 있도록 케이스(20)에 형성된 관통공(24)을 통해서 케이스(20)의 외부로 돌출된다.
한편 탄성체(39)는 바람직하게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져 걸림부(34)와 케이스(20)의 내측면의 사이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버튼부(36)가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어 하강운동하면 고정부재가 회전축(32)에 의해 회전되면서 걸림부(34)가 상승운동하여 걸림홈(220)에서 이탈되면서 탄성체(39)가 수축되고, 상기 이동단말기(200)는 공간부(22)에서 탈락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 버튼부(36)의 가압이 해제되면 상기 탄성체(39)가 팽창하며 고정부재가 회전축(32)에 의해 회전되면서 걸림부(34)가 걸림홈(220) 방향으로 하강운동하게 되어 상기 걸림부(34)가 걸림홈(220)에 삽입되어 상기 이동단말기(200)는 공간부(22)에서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걸림부(34) 하단의 모서리에는 이동단말기(200)가 삽입되는 방향에 하향 경사진 경사부(38)가 더 형성되어 상기 이동단말기(200)가 상기 경사부(38)를 가압하게 되면 상기 고정부재의 걸림부(34)는 상승운동하고 탄성체(39)를 수축시켜 상기 이동단말기(200)가 상기 걸림부(34)의 방해 없이 공간부(22)로 삽입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공간부(22)에 삽입되어 연결수단(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이동단말기(200)를 제어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장치는 데이터 송수신부(도시되지 않음), 전원공급부(도시되지 않음), 메모리(도시되지 않음), 키 입력부(도시되지 않음) 등을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는 상기 연결수단(40)과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으로서, 상기 이동단말기(200)로부터 음성출력신호를 전달받는 오디오 신호 송수신부(도시되지 않음), 상기 이동단말기(200)로부터 영상출력신호를 전달받는 비디 오 신호 송수신부(도시되지 않음), 이동단말기(200)로 동작제어신호를 전달하는 명령신호 전달부(도시되지 않음) 등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연결수단(40)과 연결되어 상기 이동단말기(200)에 전원을 공급한다.
한편 상기 메모리에는 복수의 이동단말기(200)에 따른 키 조작 신호 별 동작제어신호들의 목록이 저장된다.
한편 상기 키 입력부는 복수의 키 버튼으로 이루어져 사용자로부터 키 조작 신호를 전달받는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로부터 전달받은 키 조작 신호에 따라 해당하는 동작제어신호를 데이터 송수신부를 통해서 이동단말기(200)로 전달한다.
즉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결수단(40)에 이동단말기(200)가 연결되었을 때 상기 이동단말기(200)의 모델명을 파악하고, 메모리에서 해당하는 이동단말기(200)의 키 조작 신호 별 동작제어신호들의 목록을 추출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로부터 이동단말기(200)의 조작을 위한 특정 키 조작 신호를 입력받으면 상기 키 조작 신호에 해당하는 동작제어신호를 데이터 송수신부의 명령신호 전달부를 통해서 이동단말기(200)로 전달한다. 예컨대 사용자로부터 좌로 이동키 "→"에 해당하는 키 조작 신호를 입력받으면, 상기 "→"에 해당하는 상기 이동단말기(200)의 동작제어신호를 이동단말기(200)로 전달하며, 사용자로부터 확인키 "enter"에 해당하는 키 조작 신호를 입력받으면, 상기 "enter"에 해당하는 상기 이동단말기(200)의 동작제어신호를 이동단말기(200)로 전달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200)의 접속단자(230)가 연결수단(40)에 연결되었을 때 이동단말기(200)의 전원을 자동으로 켜지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오디오 장치의 정면도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제어장치는 도 5를 참조하면, 차량의 오디오 장치(300)의 키 입력부, 메모리, 데이터 송수신부를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즉, 차량의 오디오에서는 FM/AM 청취모드(310), CD 플레이어 청취모드(320), AUX/NAVI 등의 외부입력모드(330)를 지원하게 된다. 이에 사용자는 차량의 오디오 모드를 AUX/NAVI(330)로 전환하고 상하좌우 이동키(342, 344, 346, 348) 및 확인키(도시되지 않음)를 키 입력부로 활용하여 이동단말기(200)의 표시부(210)를 보면서 이동단말기(20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동단말기(200)가 무선 리모컨(도시되지 않음)이 채용된 단말기라면 상기 제어장치는 불필요하며, 상기 이동단말기(200)가 룸미러 장치(100)의 삽입공간에 삽입되었을 때 사용자는 리모컨을 이용하여 이동단말기(200)에 별도로 마련된 리모컨 송수신부를 통해서 이동단말기(200)를 직접 제어할 수 있다. 물론 이때는 상기 투과부재(12)에서 이동단말기(200)의 리모컨 송수신부에 대응되는 부분은 전면에서 후면으로 빛을 투과할 수 있도록 하는 투명부재(도시되지 않음)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이동단말기(200)의 탈착이 가능한 룸미러 장치(100)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3a,b를 참조하면, 우선 이동단말기(200)를 룸미러 장치(100)의 공간부(22)에 삽입하여 상기 이동단말기(200)의 일단부가 고정부재의 경사부(38)까지 진입하면 상기 이동단말기(200)의 일단부는 상기 룸미러 장치(100)의 고정부재의 경사부(38)를 가압하게 되고, 상기 경사부(38)의 가압에 의해 상기 고정부재의 걸림부(34)는 상승운동하며 탄성체(39)를 수축시킨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의 걸림부(34)는 이동단말기(200)의 상단부를 따라 이동단말기(200)의 걸림홈(220)까지 가이드된다.
이어서 상기 고정부재의 걸림부(34)는 이동단말기(200)의 걸림홈(220)까지 가이드되면 탄성체(39)의 팽창력에 의해 하강운동하면서 걸림홈(220)에 "딸칵"하면서 삽입된다. 상기 고정부재의 걸림부(34)가 걸림홈(220)에 삽입되면 상기 고정부재의 회전축(32)의 회전에 의해 버튼부(36)는 케이스(20)의 관통공(24)을 통해서 사용자가 가압할 수 있도록 일정 길이만큼 돌출된다.
한편 상기 이동단말기(200)가 공간부(22)에 삽입되어 고정수단(30)에 의해 고정될 때 이동단말기(200)의 접속단자(230)는 룸미러 장치(100)의 연결수단(40)과 연결되어 상기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다. 여기서 상기 이동단말기(200)가 룸미러 장치(100)의 공간부(22)에 삽입되면 상기 이동단말기(200)의 표시부(210)는 거울(10)의 투과부재(12)를 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어장치의 제어부는 상기 이동단말기(200)의 접속단자(230)가 룸미러 장치(100)의 연결수단(40)과 연결되면 이동단말기(200)의 전원을 켜게 되고, 상기 이동단말기(200)와 데이터 통신하여 상기 이동단말기(200)의 모델명을 파악하 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키 입력부로부터 사용자의 키 조작 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키 조작 신호에 해당하는 동작명령신호를 제어부에서 검색하여 이동단말기(200)로 데이터 송수신부를 통해서 전달하게 되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단말기(200)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이동단말기(200)의 사용을 완료하고, 룸미러 장치(100)의 케이스(20)의 외부로 돌출된 버튼부(36)를 가압하면 고정부재가 회전축(32)에 의해 회전하여 걸림부(34)가 상승운동하고 탄성체(39)를 수축시킨다.
이때 상기 걸림부(34)는 상승운동에 의해 이동단말기(200)의 걸림홈(220)에서 이탈되고 상기 이동단말기(200)를 사용자가 잡아당기면 상기 이동단말기(200)가 공간부(22)에서 탈락된다. 상기 이동단말기(200)가 공간부(22)에서 탈락된 후 상기 사용자가 버튼부(36)의 가압을 해제하면 상기 걸림부(34)는 탄성체(39)의 팽창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한다.
이상,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구성과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러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하기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룸미러 장치의 정면도.
도 2a는 본 발명의 이동단말기의 정면도.
도 2b는 본 발명의 이동단말기의 일측면도.
도 3a는 본 발명의 룸미러 장치의 정단면도.
도 3b는 본 발명의 룸미러 장치의 공간부에 이동단말기가 삽입된 모습을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룸미러 장치의 일측면에 이동단말기가 삽입되기 전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b는 본 발명의 룸미러 장치의 일측면에 이동단말기가 삽입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오디오 장치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룸미러 장치에 이동단말기가 삽입되어 동작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정면도.

Claims (6)

  1. 룸미러 장치로서,
    일부분 또는 전체부분에 투과부재가 형성된 거울; 및
    상기 거울을 지지하고 차량에 고정되되, 상기 거울과의 사이에 이동단말기가 삽입 및 탈락되는 공간부를 형성하는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거울의 투과부재는 상기 공간부에 삽입된 이동단말기의 표시부의 화상을 거울의 후면으로 투과시키는 이동단말기의 탈착이 가능한 룸미러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단말기의 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수단을 더 포함한 룸미러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공간부에 삽입된 이동단말기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더 포함한 이동단말기의 탈착이 가능한 룸미러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이동단말기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회전축을 구비하고, 한쪽에는 이동 단말기에 형성된 걸림홈에 삽입되는 걸림부가 형성되며, 다른쪽에는 버튼부가 형성된 고정부재; 및
    상기 걸림부와 케이스의 내측면의 사이에 설치된 탄성체를 포함하며,
    상기 버튼부가 가압되면 걸림부가 걸림홈에서 이탈되면서 탄성체가 수축되고, 상기 버튼부의 가압이 해제되면 상기 탄성체가 팽창하며 걸림부를 걸림홈 방향으로 가압시켜 이동단말기를 고정하는 이동단말기의 탈착이 가능한 룸미러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투과부재는 후면에서 조사되는 빛을 전면으로 투과하고 전면에서 조사되는 빛은 반사하는 트랜스플렉티브(transflective) 패널로 이루어진 이동단말기의 탈착이 가능한 룸미러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룸미러 장치에는
    상기 연결수단과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부;
    상기 연결수단과 연결되어 상기 이동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복수의 이동단말기에 따른 키 조작 신호 별 동작제어신호들의 목록이 저장된 메모리;
    사용자로부터 키 조작 신호를 전달받는 키 입력부; 및
    사용자로부터 전달받은 키 조작 신호에 따라 이동단말기에 해당하는 동작제 어신호를 데이터 송수신부를 통해서 이동단말기로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한 제어장치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탈착이 가능한 룸미러 장치.
KR1020080067238A 2008-07-10 2008-07-10 이동단말기의 탈착이 가능한 룸미러 장치 KR201000069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7238A KR20100006915A (ko) 2008-07-10 2008-07-10 이동단말기의 탈착이 가능한 룸미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7238A KR20100006915A (ko) 2008-07-10 2008-07-10 이동단말기의 탈착이 가능한 룸미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6915A true KR20100006915A (ko) 2010-01-22

Family

ID=41815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7238A KR20100006915A (ko) 2008-07-10 2008-07-10 이동단말기의 탈착이 가능한 룸미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691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6862B1 (ko) * 2012-09-21 2014-07-08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Etcs 탈착형 룸미러 장치
KR101584021B1 (ko) * 2014-12-31 2016-01-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인사이드 미러의 모바일 단말기 도킹 장치
EP3030461A4 (en) * 2013-08-07 2017-05-03 Ignomirelo, Brian Intelligent mirro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6862B1 (ko) * 2012-09-21 2014-07-08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Etcs 탈착형 룸미러 장치
EP3030461A4 (en) * 2013-08-07 2017-05-03 Ignomirelo, Brian Intelligent mirror
KR101584021B1 (ko) * 2014-12-31 2016-01-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인사이드 미러의 모바일 단말기 도킹 장치
US9537992B2 (en) 2014-12-31 2017-01-03 Hyundai Motor Company Mobile phone docking device of inside mirr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3974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dding a trainable transceiver to a vehicle
US10713937B2 (en) Trainable transceiver and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diagnostic systems and methods
EP1908639B1 (en) Infotainment system
JP3725533B2 (ja) 多機能な携帯電話
KR101835593B1 (ko) 휴대 전자기기를 차량에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장치
KR20100006915A (ko) 이동단말기의 탈착이 가능한 룸미러 장치
ES2430570T3 (es) Sistema y método de comunicación de corto alcance para un vehículo
CN202551153U (zh) 基于手机的家居与汽车遥控系统
US9836029B2 (en) Alarm clock having a motion sensor and mobile device connectivity
KR101746574B1 (ko) 멀티미디어 미러링 기능을 갖는 모니터 시스템
CN100363204C (zh) 汽车后视镜式gps导航装置
JP7171651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車載システム
KR102443046B1 (ko) 캔 통신을 통해 운송수단과 연동되어 작동상태 및 미디어 기능을 지원하는 외장형 클러스터
KR200372059Y1 (ko) 착탈형 텔레메틱스 피엠피
KR20160037688A (ko) 무선 조그 다이얼 장치와 그와 연동하는 멀티미디어 장치
KR20160065286A (ko) 자동차용 휴대 전자기기 도킹 어셈블리, 휴대 전자기기 기반 멀티미디어 시스템을 구비하는 자동차, 및 휴대 전자기기 기반 멀티미디어 시스템을 구비하는 운송수단
CN105045339A (zh) 电子产品多功能扩展设备及其扩展方法
CN202624067U (zh) 内嵌行车记录仪的车内/外后视镜
KR20140087564A (ko) 운전자별 차량의 자동 셋팅 시스템
EP1909070A1 (en) Vehicle electronic system coupling a mobile navigation module to a vehicle audio module
CN103661132A (zh) 可安装在机动车内的诸如多媒体汽车收音机之类的音频/视频电子设备
CN215284768U (zh) 车载显示控制装置及包含其的车载电子装置
KR100850038B1 (ko)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
JP6111703B2 (ja) 無線通信機
KR100689776B1 (ko) 탈부착 가능한 휴대용 패널을 구비하는 카오디오 시스템의원격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