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5286A - 자동차용 휴대 전자기기 도킹 어셈블리, 휴대 전자기기 기반 멀티미디어 시스템을 구비하는 자동차, 및 휴대 전자기기 기반 멀티미디어 시스템을 구비하는 운송수단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휴대 전자기기 도킹 어셈블리, 휴대 전자기기 기반 멀티미디어 시스템을 구비하는 자동차, 및 휴대 전자기기 기반 멀티미디어 시스템을 구비하는 운송수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5286A
KR20160065286A KR1020140168406A KR20140168406A KR20160065286A KR 20160065286 A KR20160065286 A KR 20160065286A KR 1020140168406 A KR1020140168406 A KR 1020140168406A KR 20140168406 A KR20140168406 A KR 20140168406A KR 20160065286 A KR20160065286 A KR 201600652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portable electronic
housing
insertion space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8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찬
Original Assignee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684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65286A/ko
Publication of KR201600652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52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2External expansion units, e.g. docking 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전자기기가 인출 가능하게 삽입되는 하우징을 구비하는 홀딩 모듈; 및 상기 하우징에 삽입된 상기 휴대 전자기기와 자동차의 오디오 시스템 간의 전자적 연결을 매개하는 인터페이스 유닛과, 상기 휴대 전자기기에 자동차의 전원을 변환하여 제공하는 어댑터 유닛을 구비하는 인터페이스 모듈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휴대 전자기기 도킹 어셈블리, 휴대 전자기기 기반 멀티미디어 시스템을 구비하는 자동차 및 운송수단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휴대 전자기기 도킹 어셈블리, 휴대 전자기기 기반 멀티미디어 시스템을 구비하는 자동차, 및 휴대 전자기기 기반 멀티미디어 시스템을 구비하는 운송수단{ASSEMBLY FOR DOCK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 ON AUTOMOBILE, AUTOMOBILE HAVING MULTIMEDIA SYSTEM BASED ON PRTTABLE ELECTRONIC DEVICE, AND TRANSPORTING MEANS HAVING MULTIMEDIA SYSTEM BASED ON PRTTABLE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자동차에 휴대 전자기기를 도킹하기 위한 어셈블리와, 그를 가지는 자동차, 및 운송수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멀티미디어 시스템이 장착된다. 멀티미디어 시스템은, 음악 재생, 동영상 재생, 나아가 네비게이션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시스템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는 날로 강화되고 있다. 그러나 자동차에 장착된 멀티미디어 시스템은 그 자체로서 업그레이드에 한계가 있다.
이는 위 멀티미디어 시스템이 자동차 전용이라는 점, 그리고 자동차에서 분리해서 업그레이드하기가 불편한 장착 구조를 갖는 점 등에 기인한다.
따라서 이러한 제약을 극복하고 자동차용 멀티미디어 시스템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휴대 전자기기를 업그레드 함으로써 멀티미디어 시스템도 쉽게 업그레이드되게 하는, 자동차용 휴대 전자기기 도킹 어셈블리, 휴대 전자기기 기반 멀티미디어 시스템을 구비하는 자동차, 및 휴대 전자기기 기반 멀티미디어 시스템을 구비하는 운송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 전자기기를 활용해서 멀티미디어 시스템을 구축함에 있어 최적의 설치 구조를 갖는, 자동차용 휴대 전자기기 도킹 어셈블리, 휴대 전자기기 기반 멀티미디어 시스템을 구비하는 자동차, 및 휴대 전자기기 기반 멀티미디어 시스템을 구비하는 운송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 전자기기가 장착됨에 따라 다른 조작 없이도 멀티미디어 시스템이 동작할 수 있게 하는, 자동차용 휴대 전자기기 도킹 어셈블리, 휴대 전자기기 기반 멀티미디어 시스템을 구비하는 자동차, 및 휴대 전자기기 기반 멀티미디어 시스템을 구비하는 운송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멀티미디어 시스템에 대한 조작을 휴대 전자기기 외에 다른 수단을 통해 수행할 수 있는, 자동차용 휴대 전자기기 도킹 어셈블리, 휴대 전자기기 기반 멀티미디어 시스템을 구비하는 자동차, 및 휴대 전자기기 기반 멀티미디어 시스템을 구비하는 운송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과 관련된 자동차용 휴대 전자기기 도킹 어셈블리는, 휴대 전자기기가 인출 가능하게 삽입되는 하우징을 구비하는 홀딩 모듈; 및 상기 하우징에 삽입된 상기 휴대 전자기기와 자동차의 오디오 시스템 간의 전자적 연결을 매개하는 인터페이스 유닛과, 상기 휴대 전자기기에 자동차의 전원을 변환하여 제공하는 어댑터 유닛을 구비하는 인터페이스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은 상기 하우징의 배면에서 돌출되게 상기 홀딩 모듈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은, 전면 플레이트; 및 상기 전면 플레이트와 함께 상기 휴대 전자기기가 삽입되는 삽입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이 연결되는 배면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면 플레이트는,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이 연결되는 부분에서 벗어난 부분에 형성되며, 나사가 상기 자동차의 센터페시아 내의 브라켓에 체결되기 위해 삽입되는 체결홀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면 플레이트는, 상기 휴대 전자기기의 화면을 노출하는 노출구; 및 상기 노출구를 감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휴대 전자기기의 가장자리에 대응되는 폐곡선형의 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전면 플레이트 및 상기 배면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연결 유닛; 및 상기 전면 플레이트 및 상기 배면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삽입 공간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삽입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 유닛은, 상기 전면 플레이트와 상기 배면 플레이트의 일 측부를 서로 연결하는 측면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구는, 상기 전면 플레이트와 상기 배면 플레이트의 측부 중 상기 측면 플레이트의 반대 편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 유닛은, 상기 전면 플레이트 및 상기 배면 플레이트 각각의 하부를 서로 연결하여, 상기 삽입 공간에 위치한 상기 휴대 전자기기를 지지하는 저면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홀딩 모듈은, 상기 측면 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상기 휴대 전자기기의 출력 단자와 접속되는 입력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은, 상기 입력 단자에 상기 출력 단자가 접속됨에 따라, 상기 휴대 전자기기의 작동 모드를 자동차 모드로 변경하는 제어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홀딩 모듈은, 상기 삽입 공간에 삽입된 상기 휴대 전자기기를 향해 편향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휴대 전자기기의 출력 단자와 접속되는 입력 단자를 구비하는 단자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자 유닛은, 상기 입력 단자와 연결되어, 상기 입력 단자를 상기 삽입 공간을 향해 이동시키도록 작동되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은, 상기 액츄에이터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작동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자 유닛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휴대 전자기기가 상기 삽입 공간에 삽입됨을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센서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작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홀딩 모듈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사용자 입력부가 조작됨에 따라, 상기 작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휴대 전자기기가 디스플레이 오프 상태인 경우에만, 상기 사용자 입력부가 조작됨에 따라 상기 작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상기 휴대 전자기기가 상기 삽입 공간으로 삽입되는 제1 방향과 상기 휴대 전자기기가 상기 삽입 공간에서 인출되는 제2 방향을 따라 가해지는 힘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형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회전형 버튼이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2 방향 중 어느 하나의 조작 방향으로 힘을 받아 회전 조작됨에 따라 상기 입력 단자도 상기 조작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액츄에이터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휴대 전자기기가 활성화된 경우에는, 상기 회전형 버튼이 회전 조작됨에 따라 상기 휴대 전자기기의 소리 출력이 증감되게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회전형 버튼이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2 방향을 따르는 회전의 중심축을 따라 누름 조작되면, 상기 휴대 전자기기를 디스플레이 오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홀딩 모듈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휴대 전자기기를 상기 삽입 공간 밖을 향해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배출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출 유닛은, 상기 휴대 전자기기가 걸리는 걸림단과, 하트 형태의 캠을 구비하는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더를 상기 삽입 공간의 밖을 향해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체; 및 일 단은 상기 캠에 맞물리고 타 단은 상기 하우징에 걸리는 핀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홀딩 모듈은, 상기 삽입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휴대 전자기기를 클램핑하는 클램핑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클램핑 유닛은,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상기 휴대 전자기기를 지지하는 지지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체는, 반구 형상의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에 형성된 절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자동차용 휴대 전자기기 도킹 어셈블리는, 전면 플레이트와, 상기 전면 플레이트와 함께 상기 삽입 공간을 형성하는 배면 플레이트와, 상기 전면 플레이트와 상기 배면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하여 휴대 전자기기가 상기 삽입 공간으로 슬라이딩 삽입되게 하는 측면 삽입구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측면 삽입구의 반대 편에 설치되고, 상기 휴대 전자기기의 출력 단자와 접속되는 입력 단자를 구비하는 단자 유닛; 및 상기 입력 단자에 상기 출력 단자가 접속됨에 따라, 상기 휴대 전자기기의 작동 모드가 자동차 모드로 변경되도록 상기 휴대 전자기기를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배면 플레이트에서 돌출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배면 플레이트에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면 플레이트는, 상기 휴대 전자기기의 화면을 노출하는 노출구; 및 상기 노출구를 감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휴대 전자기기의 가장자리에 대응되는 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휴대 전자기기를 디스플레이 오프되게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휴대 전자기기를 상기 삽입구 밖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배출 유닛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자동차용 휴대 전자기기 도킹 어셈블리는, 휴대 전자기기를 수용하는 삽입 공간을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삽입 공간에 삽입된 상기 휴대 전자기기의 출력 단자와 접속되는 입력 단자를 구비하는 단자 유닛; 및 상기 하우징에 상기 입력 단자를 거쳐 상기 휴대 전자기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휴대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오프를 위한 명령을 입력받도록 구성되는 사용자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누름 조작됨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오프를 위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 기반 멀티미디어 시스템을 구비하는 자동차은, 전력을 관리하도록 구성되는 전원 시스템; 소리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오디오 시스템; 및 휴대 전자기기에 연결되어, 상기 전원 시스템이 상기 휴대 전자기기에 상기 전력을 공급하게 하고, 상기 휴대 전자기기의 소리 신호가 상기 오디오 시스템을 통해 소리로 출력되게 하도록 구성되는 도킹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도킹 어셈블리에 운행 정보를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ECU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킹 어셈블리는, 상기 ECU로부터 수신한 상기 운행 정보를 상기 휴대 전자기기에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도킹 어셈블리는, 앞서 본 발명의 일 측면으로서 설명한 자동차용 휴대 전자기기 도킹 어셈블리일 수 있다.
여기서, 센터페시아를 더 구비되고, 상기 도킹 어셈블리는, 운전자가 상기 휴대 전자기기를 인지하게 하는 각도를 갖고서 상기 센터페시아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 기반 멀티미디어 시스템을 구비하는 운송 수단은, 앞서 본 발명의 일 측면으로서 설명한 자동차용 휴대 전자기기 도킹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자동차용 휴대 전자기기 도킹 어셈블리, 휴대 전자기기 기반 멀티미디어 시스템을 구비하는 자동차, 및 휴대 전자기기 기반 멀티미디어 시스템을 구비하는 운송수단에 의하면, 휴대 전자기기가 업그레드 됨에 따라 멀티미디어 시스템도 쉽게 업그레이드될 수 있다.
휴대 전자기기를 활용해서 멀티미디어 시스템을 구축함에 있어서, 자동차용 휴대 전자기기 도킹 어셈블리는 최적의 설치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휴대 전자기기가 자동차용 휴대 전자기기 도킹 어셈블리에 장착되면, 별다른 조작 없이도 멀티미디어 시스템이 동작할 수 있게 된다.
휴대 전자기기를 활용해서 멀티미디어 시스템을 구축된 경우에, 멀티미디어 시스템에 대한 조작은 휴대 전자기기 외에 다른 수단을 통해서도 수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 기반 멀티미디어 시스템을 구비하는 자동차(10000)의 제어적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휴대 전자기기 도킹 어셈블리(1000)가 센터페시아(C)에 설치된 자동차의 실내 모습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2의 자동차용 휴대 전자기기 도킹 어셈블리(1000)의 설치 상태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자동차용 휴대 전자기기 도킹 어셈블리(1000)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홀딩 모듈(100)에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에 따른 자동차용 휴대 전자기기 도킹 어셈블리 (1000')의 제어 관계를 보인 블록도이다.
도 7은 도 6의 자동차용 휴대 전자기기 도킹 어셈블리(1000')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휴대 전자기기 도킹 어셈블리, 휴대 전자기기 기반 멀티미디어 시스템을 구비하는 자동차, 및 휴대 전자기기 기반 멀티미디어 시스템을 구비하는 운송수단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 기반 멀티미디어 시스템을 구비하는 자동차(10000)의 제어적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휴대 전자기기 도킹 어셈블리(1000)가 센터페시아(C)에 설치된 자동차의 실내 모습에 대한 개략도이다.
먼저, 운송 수단은 사람이나 물자의 운송을 위해 사용되는 장치이다. 상기 운송 수단은, 예를 들어 자동차, 열차, 선박, 항공기 등이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운송 수단의 일 예로서 자동차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휴대 전자기기 기반 멀티미디어 시스템을 구비하는 자동차(10000)는, 도킹 어셈블리(1000), 휴대 전자기기(2000), ECU(3000), 전원시스템(4000), 오디오 시스템(5000)을 가질 수 있다.
도킹 어셈블리(1000)는 휴대 전자기기(2000)를 ECU(3000), 전원시스템(4000), 및 오디오 시스템(5000)과 전기, 전자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매개체이다. 도킹 어셈블리(1000)는 자동차의 센터페시아(C)에 설치될 수 있다. 센터페시아(C)는 대시보드 중에서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있는 컨트롤 패널 부분을 말한다.
휴대 전자기기(2000)는, 예를 들어 태블릿 피씨, 이동통신 단말기 등이 될 수 있다. 휴대 전자기기(2000)는 디스플레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휴대 전자기기(2000)는 도킹 어셈블리(1000)에 장착될 때, 일반 모드에서 자동차 모드로 변경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자동차 모드는 네비게이션 프로그램, 음악 재생 프로그램, 이미지 재생 프로그램 등 자동차 운행 시 요구되거나 자주 사용되는 프로그램들이 휴대 전자기기(2000)의 바탕 화면에 주된 요소로서 출력되는 모드이다. 반면에, 일반 모드는 휴대 전자기기(2000)에서 자동차 모드와 다른 구성의 일반적인 프로그램들이 바탕화면에 출력되는 모드이다.
상기 자동차 모드는 휴대 전자기기(2000)가 도킹 어셈블리(1000)에 장착된 상태에서 이용되는 것이라면, 상기 일반 모드는 휴대 전자기기(2000)가 도킹 어셈블리(1000)에서 분리된 경우에 이용되는 것일 수 있다.
ECU(3000)는 자동차의 각종 정보를 도킹 어셈블리(1000)에 전송할 수 있다. 그에 의해, 휴대 전자기기(2000)는 도킹 어셈블리(1000)를 통해, 자동차의 정보를 받아 이를 활용할 수 있다. 여기서, 자동차의 정보는 자동차의 속도 등과 같은 주행 정보, 실내 온도 정보, 자동차에 부착된 카메라가 촬영한 이미지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전원시스템(4000)은 배터리에 충전된 전력을 각종 전자 장치에 제공하는 것이다. 전원시스템(4000)은 도킹 어셈블리(1000)를 통해 휴대 전자기기(2000)에도 전력을 제공한다.
오디오 시스템(5000)은 소리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 등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휴대 전자기기(2000)에서 출력되는 소리 신호는 도킹 어셈블리(1000)를 거쳐서 오디오 시스템(5000)에서 소리로 출력될 수 있다.
이상에서, 휴대 전자기기(2000)는 도킹 어셈블리(1000), 및 오디오 시스템(5000)과 함께, 새로운 형태의 (자동차용) 멀티미디어 시스템이라 칭해질 수 있다.
위 멀티미디어 시스템은, 음악 재생, 동영상 재생, 통화, 인터넷 연결, 네비게이션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위 기능의 수행에 관련된 이미지는, 휴대 전자기기(2000)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된다. 반면에, 위 기능 수행과 관련된 소리는 자동차의 오디오 시스템(5000)을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위 기능 수행에 필요한 전력은 전원시스템(4000)에서 얻어질 수 있다.
이때, 위 기능의 수행은 휴대 전자기기(2000)가 중심이 되어 수행된다. 따라서, 멀티미디어 시스템의 성능은, 휴대 전자기기(2000)의 성능에 의해 좌우될 수 있다.
그에 따라, 휴대 전자기기(2000)가 업그레이드되면, 자동차용 멀티미디어 시스템 역시 간단히 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위의 도킹 어셈블리(1000)의 외형적 구조에 대해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도 2의 자동차용 휴대 전자기기 도킹 어셈블리(1000)의 설치 상태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자동차용 휴대 전자기기 도킹 어셈블리(1000)의 측면도이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도킹 어셈블리(1000)는, 홀딩 모듈(100)과, 인터페이스 모듈(200)을 가질 수 있다.
홀딩 모듈(100)은 휴대 전자기기(2000)를 수납하여 사용자게 의해 조작될 수 있는 상태로 유지하는 구성이다. 홀딩 모듈(100)은 하우징(110)과, 사용자 입력부(130)를 가질 수 있다.
하우징(110)은 대체로 직육면체와 같은 형상을 가진다. 하우징(110)은 센터페시아(C)의 전면에 대해 대체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110)의 측면에는 휴대 전자기기(2000)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하기 위한 삽입구(112)가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명령을 입력받는 구성이다.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해 입력되는 명령에 의해, 휴대 전자기기(2000)는 디스플레이 오프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 모듈(200)은 하우징(110)에 장착된 휴대 전자기기(2000)와 자동차(10000)의 ECU(3000, 도 1), 전원시스템(4000, 도 1), 및 오디오 시스템(5000, 도 1)간의 전자적 연결을 매개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인터페이스 모듈(200)은 휴대 전자기기(2000, 도 1)의 소리 신호를 변환하여 오디오 시스템(5000, 도 1)에 제공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유닛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 모듈(200)은 전원시스템(4000)의 전력을 변환하여 휴대 전자기기(2000)에 제공하는 어댑터 유닛을 가질 수 있다.
나아가, 인터페이스 모듈(200)은 휴대 전자기기(2000)가 하우징(110)에 장착되면, 휴대 전자기기(2000)가 자동차 모드로 작동하도록 휴대 전자기기(2000)를 제어하는 제어 유닛(210, 도 5)을 가질 수 있다. 제어 유닛(210)은 ECU(3000, 도 1)와 통신하고, 상기 인터페이스 유닛과 상기 어댑터 유닛을 제어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모듈(200)은 하우징(110)의 배면에서 돌출되는 구조를 갖도록, 홀딩 모듈(100)에 연결된다. 그에 의해, 하우징(110)이 센터페시아(C)의 외면에서 노출된 때, 인터페이스 모듈(200)은 센터페시아(C)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상의 도킹 어셈블리(1000) 중 홀딩 모듈(100)의 구체적 구성에 대해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도 3의 홀딩 모듈(100)에 분해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홀딩 모듈(100)은, 앞서 기재된 하우징(110)과 사용자 입력부(130)에 더하여, 단자 유닛(150), 배출 유닛(170), 그리고 클램핑 유닛(190)을 더 가질 수 있다.
먼저, 하우징(110)은, 구체적으로, 전면 플레이트(111)와, 배면 플레이트(113)와, 측면 플레이트(115)와, 저면 플레이트(117)와, 상면 플레이트(119)를 가질 수 있다.
전면 플레이트(111)는 중앙이 개구된 형태의 플레이트이다. 구체적으로, 전면 플레이트(111)는 중앙의 노출구(111a)와, 노출구(111a)를 감싸는 플랜지(111b)를 가질 수 있다. 노출구(111a)는 휴대 전자기기(2000)의 화면을 외부로 노출하기 위한 개구부이다. 플랜지(111b)는 노출구(111a)를 감싸는 폐곡선 형태로 형성되어, 휴대 전자기기(2000)의 화면을 둘러싼 가장자리 영역에 대응하게 된다.
배면 플레이트(113)는 전면 플레이트(111)와 이격되게 배치되어, 전면 플레이트(111)와 함께 휴대 전자기기(2000)가 삽입되는 삽입 공간(I)을 형성하는 플레이트이다. 배면 플레이트(113)는, 도 4에서 알 수 있듯이, 인터페이스 모듈(200)이 연결되는 부분이기도 하다. 배면 플레이트(113)의 중앙에는 체결홀(114)이 형성된다. 체결홀(114)에 삽입된 나사는 센터페시아(C) 내의 브라켓에 결합되어, 배면 플레이트(113)가 센터페시아(C)에 체결되게 한다.
측면 플레이트(115)와, 저면 플레이트(117), 및 상면 플레이트(119)는 전면 플레이트(111)와 배면 플레이트(113)를 연결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이들은 연결 유닛이라 통칭될 수도 있다.
측면 플레이트(115)는 전면 플레이트(111)와 배면 플레이트(113) 각각의 서로 대향되는 양 측부 중 인접한 어느 하나를 서로 연결하는 플레이트이다. 측면 플레이트(115)는 삽입구(112)의 반대 편에 위치하게 된다.
저면 플레이트(117)는 전면 플레이트(111)와 배면 플레이트(113)의 하부를 서로 연결하는 플레이트이다. 저면 플레이트(117)는 삽입 공간(I)에 삽입된 휴대 전자기기(2000)를 그의 하측에서 지지하게 된다.
상면 플레이트(119)는 전면 플레이트(111)와 배면 플레이트(113)의 상부를 서로 연결하는 플레이트이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제어 명령을 입력받는 구성이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본 실시예에서 회전형 버튼(131)으로 예시되어 있다. 회전형 버튼(131)은 제1 방향(D1) 또는 제2 방향(D2)을 따르는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에 의해 회전되거나, 그러한 회전의 중심축을 따라 눌려질 수 있다. 여기서, 제1 방향(D1)은 휴대 전자기기(2000)가 삽입 공간(I)에 삽입되는 방향이라면, 제2 방향(D2)은 휴대 전자기기(2000)가 삽입 공간(I)에서 인출되는 방향이다.
단자 유닛(150)은 휴대 전자기기(2000)의 출력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입력 단자(151)를 가지는 구성이다. 이러한 단자 유닛(150)은 측면 플레이트(115)에 설치될 수 있다.
배출 유닛(170)은 삽입 공간(I)에 삽입된 휴대 전자기기(2000)를 삽입 공간(I) 밖을 향해 가압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 배출 유닛(170)은, 슬라이더(171)와, 탄성체(175)와, 핀로드(177)를 가질 수 있다.
슬라이더(171)는 삽입 공간(I) 내에서 제1 방향(D1) 및 제2 방향(D2)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는 구성이다. 슬라이더(171)는, 걸림단(172)과, 캠(173)을 가질 수 있다. 걸림단(172)은 휴대 전자기기(2000)의 코너 부분이 걸리는 부분이다. 캠(173)은 하트 모양으로 그루브가 형성된 부분이다. 걸림단(172)과 캠(173)은 각각 슬라이더의 양 단부 측에 위치하게 된다.
탄성체(175)는 슬라이더(171)를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슬라이더(171)를 제2 방향(D2)을 따라 가압하는 구성이다. 탄성체(175)는, 예를 들어 압축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
핀로드(177)는 그의 일 단은 캠(173)에 맞물리고 타 단은 측면 플레이트(115)의 고정홀에 걸리는 막대이다.
클램핑 유닛(190)은 삽입 공간(I)에 삽입된 휴대 전자기기(2000)를 클램핑하기 위한 구성이다. 클램핑 유닛(190)은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휴대 전자기기(2000)를 지지하는 지지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지지체는, 몸체부(191)와, 절개부(193)를 가질 수 있다. 몸체부(191)는 반구 형상을 가지며,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절개부(193)는 몸체부(191)의 일 부분이 컷아웃된 부분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휴대 전자기기(2000)가 제1 방향(D1)을 따라 삽입 공간(I)에 삽입됨에 따라, 슬라이더(171)의 걸림단(172)은 휴대 전자기기(2000)에 밀려서 탄성체(175)의 탄성력을 극복하며 제1 방향(D1)으로 이동된다. 그에 의해, 핀로드(177)의 일 단부는 캠(173)을 따라 상대 이동하여, 캠(173)의 도명상 우측에 걸리게 된다.
이러한 삽입 과정에서, 클램핑 유닛(190)은 탄성적으로 변형되면서 휴대 전자기기(2000)를 압착하게 된다. 그에 의해, 휴대 전자기기(2000)는 삽입 공간(I) 내에서 유동하지 않게 된다.
휴대 전자기기(2000)가 삽입 공간(I)에서 최대한 삽입되면, 휴대 전자기기(2000)의 출력 단자는 단자 유닛(150)의 입력 단자(151)와 접속된다.
이러한 접속 상태가 감지됨에 따라, 인터페이스 모듈(200)은 제어 유닛(210, 도 6)을 통해 휴대 전자기기(2000)에 전원을 공급하면서 그의 작동 모드를 자동차 모드로 변경하게 된다. 또한, 인터페이스 모듈(200)은 휴대 전자기기(2000), 도 1의 소리의 출력을 위해, 자동차의 오디오 시스템(5000, 도 1)을 대기 상태로 전환하기도 한다.
이러한 자동차 모드에서, 휴대 전자기기(2000)를 통해 입력되는 명령에 따라서, 자동차의 주변 장치의 작동 또한 제어될 수 있다. 여기서, 자동차의 주변 장치는, 에어콘, 히터 등과 같은 공조 장치 등이 될 수 있다.
휴대 전자기기(2000)를 도킹 어셈블리(1000)에서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휴대 전자기기(2000)를 제1 방향(D1)으로 가압하면 된다. 그러면, 휴대 전자기기(2000)에 의해 걸림단(172)이 제1 방향(D1)으로 다소간 밀려지면서, 핀로드(177)의 일 단부는 걸림 위치를 벗어나서 캠(173)의 도면상 왼쪽으로 상대 이동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는 압축된 탄성체(175)가 신장되면서 슬라이더(171)는 제2 방향(D2)으로 밀리게 된다. 그에 의해, 휴대 전자기기(2000)는 삽입 공간(I)의 밖으로 인출될 수 있다.
이제 다른 형태의 도킹 어셈블리(1000')에 대해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에 따른 자동차용 휴대 전자기기 도킹 어셈블리(1000')의 제어적 관계를 보인 블록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도킹 어셈블리(1000')는, 앞선 실시예의 도킹 어셈블리(1000)와 달리, 입력 단자(151)가 액츄에이터(153)에 의해 이동되는 점에 차이가 있다.
이를 위해, 도킹 어셈블리(1000')는, 사용자 입력부(130) 및 입력 단자(151)에 더하여, 액츄에이터(153), 센서(155), 제어 유닛(210)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입력 단자(151), 액츄에이터(153), 및 센서(155)는 단자 유닛이라 칭해질 수 있다.
입력 단자(151)는 하우징(110), 구체적으로 측면 플레이트(115)에 삽입 공간(I)을 향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액츄에이터(153)는 입력 단자(151)를 삽입 공간(I)을 향해 이동시키거나 삽입 공간(I)으로부터 측면 플레이트(115) 내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액츄에이터(153)는, 예를 들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출력축에 설치되는 피니언과, 상기 피니언에 맞물린 채로 상기 입력 단자(151)에 설치되는 랙을 가질 수 있다.
센서(155)는 하우징(110), 예를 들어 측면 플레이트(115)에 설치되어, 휴대 전자기기(2000)가 삽입 공간(I)에 삽입된 상태를 감지하는 구성이다.
제어 유닛(210)은 액츄에이터(153)를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 신호를 생성하여, 액츄에이터(153)에 전송하는 구성이다.
이때, 제어 유닛(210)은 센서(155)의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액츄에이터(153)의 작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어 유닛(210)은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해 입력되는 제어 명령에 따라 액츄에이터(153)의 작동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사용자 입력부(130)로서, 회전형 버튼(131)의 작동에 따라 액츄에이터(153)를 구동하는 등의 제어 유닛(210)의 동작 방식에 대해서는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도 6의 자동차용 휴대 전자기기 도킹 어셈블리(1000')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제어 유닛(210)은 먼저 휴대 전자기기(2000)의 출력 단자가 단자 유닛(150)의 입력 단자(151)에 접속되었는지를 확인한다(S1).
다음으로, 제어 유닛(210)은 출력 단자가 입력 단자(151)에 접속되지 않은 상태에서, 회전형 버튼(131)의 회전 조작이 있는지를 확인한다(S3).
그 결과, 회전형 버튼(131)이 회전 조작된다면, 제어 유닛(210)은 액츄에이터(153)를 구동한다(S5). 액츄에이터(153)의 작동에 따라, 입력 단자(151)는 휴대 전자기기(2000)를 향해 이동하여, 휴대 전자기기(2000)의 출력 단자에 접속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회전형 버튼(131)이 제2 방향(D2)으로 회전됨에 따라, 입력 단자(151)도 제2 방향(D2)을 따라 이동하게 하는 것이다.
휴대 전자기기(2000)의 출력 단자가 입력 단자(151)에 접속된 경우라면, 제어 유닛(210)은 휴대 전자기기(2000)가 활성화된 상태인가를 확인한다(S7).
휴대 전자기기(2000)가 활성화되지 않은 경우라면, 이는 휴대 전자기기(2000)의 사용이 종료되어 휴대 전자기기(2000)를 도킹 어셈블리(1000')에서 분리하기 위한 단계로 판단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회전형 버튼(131)이 회전 조작되면, 액츄에이터(153)를 구동하여 입력 단자(151)가 출력 단자에서 분리되게 한다(S3 및 S5). 구체적으로, 회전형 버튼(131)이 제1 방향(D1)으로 회전됨에 따라, 입력 단자(151)도 제1 방향(D1)을 따라 이동하게 하는 것이다.
휴대 전자기기(2000)가 활성화된 경우라면, 회전형 버튼(131)의 회전 조작이 있더라도(S9), 제어 유닛(210)은 그를 액츄에이터(153)의 구동을 위한 신호로 이용하지 않는다.
대신에, 제어 유닛(210)은 회전형 버튼(131)의 회전 조작에 따라 휴대 전자기기(2000)의 소리 출력 레벨을 조절하게 된다(S11).
회전형 버튼(131)이 회전 조작되지 않고 누름 조작이 되는 경우라면(S13), 제어 유닛(210)은 휴대 전자기기(2000)를 디스플레이 오프시킬 수 있다(S15).
상기와 같은 자동차용 휴대 전자기기 도킹 어셈블리, 휴대 전자기기 기반 멀티미디어 시스템을 구비하는 자동차 및 운송수단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000,1000': 자동차용 휴대 전자기기 도킹 어셈블리
100: 홀딩 모듈 110: 하우징
111: 전면 플레이트 113: 배면 플레이트
115: 측면 플레이트 117: 저면 플레이트
119: 상면 플레이트 130: 사용자 입력부
131: 회전형 버튼 150: 단자 유닛
151: 입력 단자 153: 액츄에이터
155: 센서 170: 배출 유닛
171: 슬라이더 175: 탄성체
177: 핀로드 190: 클램핑 유닛
191: 몸체부 193: 절개부
200: 인터페이스 모듈 210: 제어 유닛

Claims (35)

  1. 휴대 전자기기가 인출 가능하게 삽입되는 하우징을 구비하는 홀딩 모듈; 및
    상기 하우징에 삽입된 상기 휴대 전자기기와 자동차의 오디오 시스템 간의 전자적 연결을 매개하는 인터페이스 유닛과, 상기 휴대 전자기기에 자동차의 전원을 변환하여 제공하는 어댑터 유닛을 구비하는 인터페이스 모듈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휴대 전자기기 도킹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은,
    상기 하우징의 배면에서 돌출되게 상기 홀딩 모듈에 연결되는, 자동차용 휴대 전자기기 도킹 어셈블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전면 플레이트; 및
    상기 전면 플레이트와 함께 상기 휴대 전자기기가 삽입되는 삽입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이 연결되는 배면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휴대 전자기기 도킹 어셈블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 플레이트는,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이 연결되는 부분에서 벗어난 부분에 형성되며, 나사가 상기 자동차의 센터페시아 내의 브라켓에 체결되기 위해 삽입되는 체결홀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휴대 전자기기 도킹 어셈블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플레이트는,
    상기 휴대 전자기기의 화면을 노출하는 노출구; 및
    상기 노출구를 감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휴대 전자기기의 가장자리에 대응되는 폐곡선형의 플랜지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휴대 전자기기 도킹 어셈블리.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전면 플레이트 및 상기 배면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연결 유닛; 및
    상기 전면 플레이트 및 상기 배면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삽입 공간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삽입구를 더 포함하는, 자동차용 휴대 전자기기 도킹 어셈블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유닛은,
    상기 전면 플레이트와 상기 배면 플레이트의 일 측부를 서로 연결하는 측면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구는,
    상기 전면 플레이트와 상기 배면 플레이트의 측부 중 상기 측면 플레이트의 반대 편에 형성되는, 자동차용 휴대 전자기기 도킹 어셈블리.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유닛은,
    상기 전면 플레이트 및 상기 배면 플레이트 각각의 하부를 서로 연결하여, 상기 삽입 공간에 위치한 상기 휴대 전자기기를 지지하는 저면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휴대 전자기기 도킹 어셈블리.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 모듈은,
    상기 측면 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상기 휴대 전자기기의 출력 단자와 접속되는 입력 단자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휴대 전자기기 도킹 어셈블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은,
    상기 입력 단자에 상기 출력 단자가 접속됨에 따라, 상기 휴대 전자기기의 작동 모드를 자동차 모드로 변경하는 제어 유닛을 더 포함하는, 자동차용 휴대 전자기기 도킹 어셈블리.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 모듈은,
    상기 삽입 공간에 삽입된 상기 휴대 전자기기를 향해 편향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휴대 전자기기의 출력 단자와 접속되는 입력 단자를 구비하는, 단자 유닛을 더 포함하는, 자동차용 휴대 전자기기 도킹 어셈블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유닛은,
    상기 입력 단자와 연결되어, 상기 입력 단자를 상기 삽입 공간을 향해 이동시키도록 작동되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은,
    상기 액츄에이터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작동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 유닛을 더 포함하는, 자동차용 휴대 전자기기 도킹 어셈블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유닛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휴대 전자기기가 상기 삽입 공간에 삽입됨을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센서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작동 신호를 생성하는, 자동차용 휴대 전자기기 도킹 어셈블리.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 모듈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사용자 입력부가 조작됨에 따라, 상기 작동 신호를 생성하는, 자동차용 휴대 전자기기 도킹 어셈블리.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휴대 전자기기가 디스플레이 오프 상태인 경우에만, 상기 사용자 입력부가 조작됨에 따라 상기 작동 신호를 생성하는, 자동차용 휴대 전자기기 도킹 어셈블리.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상기 휴대 전자기기가 상기 삽입 공간으로 삽입되는 제1 방향과 상기 휴대 전자기기가 상기 삽입 공간에서 인출되는 제2 방향을 따라 가해지는 힘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형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회전형 버튼이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2 방향 중 어느 하나의 조작 방향으로 힘을 받아 회전 조작됨에 따라 상기 입력 단자도 상기 조작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액츄에이터를 제어하는, 자동차용 휴대 전자기기 도킹 어셈블리.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휴대 전자기기가 활성화된 경우에는, 상기 회전형 버튼이 회전 조작됨에 따라 상기 휴대 전자기기의 소리 출력이 증감되게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자동차용 휴대 전자기기 도킹 어셈블리.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회전형 버튼의 중심축을 따라 누름 조작되면, 상기 휴대 전자기기를 디스플레이 오프시키도록 구성되는, 자동차용 휴대 전자기기 도킹 어셈블리.
  1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 모듈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휴대 전자기기를 상기 삽입 공간 밖을 향해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배출 유닛을 더 포함하는, 자동차용 휴대 전자기기 도킹 어셈블리.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유닛은,
    상기 휴대 전자기기가 걸리는 걸림단과, 캠을 구비하는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더를 상기 삽입 공간의 밖을 향해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체; 및
    일 단은 상기 캠에 맞물리고 타 단은 상기 하우징에 걸리는 핀로드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휴대 전자기기 도킹 어셈블리.
  2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 모듈은,
    상기 삽입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휴대 전자기기를 클램핑하는 클램핑 유닛을 더 포함하는, 자동차용 휴대 전자기기 도킹 어셈블리.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유닛은,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상기 휴대 전자기기를 지지하는 지지체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휴대 전자기기 도킹 어셈블리.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반구 형상의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에 형성된 절개부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휴대 전자기기 도킹 어셈블리.
  24. 전면 플레이트와, 상기 전면 플레이트와 함께 삽입 공간을 형성하는 배면 플레이트와, 상기 전면 플레이트와 상기 배면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하여 휴대 전자기기가 상기 삽입 공간으로 슬라이딩 삽입되게 하는 측면 삽입구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측면 삽입구의 반대 편에 설치되고, 상기 휴대 전자기기의 출력 단자와 접속되는 입력 단자를 구비하는 단자 유닛; 및
    상기 입력 단자에 상기 출력 단자가 접속됨에 따라, 상기 휴대 전자기기의 작동 모드가 자동차 모드로 변경되도록 상기 휴대 전자기기를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휴대 전자기기 도킹 어셈블리.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배면 플레이트에서 돌출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배면 플레이트에 연결되는, 자동차용 휴대 전자기기 도킹 어셈블리.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플레이트는,
    상기 휴대 전자기기의 화면을 노출하는 노출구; 및
    상기 노출구를 감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휴대 전자기기의 가장자리에 대응되는 플랜지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휴대 전자기기 도킹 어셈블리.
  27.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휴대 전자기기를 디스플레이 오프되게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자동차용 휴대 전자기기 도킹 어셈블리.
  28.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휴대 전자기기를 상기 삽입구 밖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배출 유닛을 더 포함하는, 자동차용 휴대 전자기기 도킹 어셈블리.
  29. 휴대 전자기기를 수용하는 삽입 공간을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삽입 공간에 삽입된 상기 휴대 전자기기의 출력 단자와 접속되는 입력 단자를 구비하는 단자 유닛; 및
    상기 하우징에 상기 입력 단자를 거쳐 상기 휴대 전자기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휴대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오프를 위한 명령을 입력받도록 구성되는 사용자 입력부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휴대 전자기기 도킹 어셈블리.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누름 조작됨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오프를 위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버튼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휴대 전자기기 도킹 어셈블리.
  31. 전력을 관리하도록 구성되는 전원 시스템;
    소리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오디오 시스템; 및
    휴대 전자기기에 연결되어, 상기 전원 시스템이 상기 휴대 전자기기에 상기 전력을 공급하게 하고, 상기 휴대 전자기기의 소리 신호가 상기 오디오 시스템을 통해 소리로 출력되게 하도록 구성되는 도킹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휴대 전자기기 기반 멀티미디어 시스템을 구비하는 자동차.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도킹 어셈블리에 운행 정보를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ECU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킹 어셈블리는,
    상기 ECU로부터 수신한 상기 운행 정보를 상기 휴대 전자기기에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휴대 전자기기 기반 멀티미디어 시스템을 구비하는 자동차.
  33.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도킹 어셈블리는,
    제1항에 따르는 자동차용 휴대 전자기기 도킹 어셈블리인, 휴대 전자기기 기반 멀티미디어 시스템을 구비하는 자동차.
  34. 제31항에 있어서,
    센터페시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킹 어셈블리는,
    운전자가 상기 휴대 전자기기를 인지하게 하는 각도를 갖고서 상기 센터페시아에 설치되는, 휴대 전자기기 기반 멀티미디어 시스템을 구비하는 자동차.
  35. 제1항에 따른 자동차용 휴대 전자기기 도킹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휴대 전자기기 기반 멀티미디어 시스템을 구비하는 운송 수단.
KR1020140168406A 2014-11-28 2014-11-28 자동차용 휴대 전자기기 도킹 어셈블리, 휴대 전자기기 기반 멀티미디어 시스템을 구비하는 자동차, 및 휴대 전자기기 기반 멀티미디어 시스템을 구비하는 운송수단 KR201600652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8406A KR20160065286A (ko) 2014-11-28 2014-11-28 자동차용 휴대 전자기기 도킹 어셈블리, 휴대 전자기기 기반 멀티미디어 시스템을 구비하는 자동차, 및 휴대 전자기기 기반 멀티미디어 시스템을 구비하는 운송수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8406A KR20160065286A (ko) 2014-11-28 2014-11-28 자동차용 휴대 전자기기 도킹 어셈블리, 휴대 전자기기 기반 멀티미디어 시스템을 구비하는 자동차, 및 휴대 전자기기 기반 멀티미디어 시스템을 구비하는 운송수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5286A true KR20160065286A (ko) 2016-06-09

Family

ID=56138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8406A KR20160065286A (ko) 2014-11-28 2014-11-28 자동차용 휴대 전자기기 도킹 어셈블리, 휴대 전자기기 기반 멀티미디어 시스템을 구비하는 자동차, 및 휴대 전자기기 기반 멀티미디어 시스템을 구비하는 운송수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6528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74827A1 (ko) * 2016-10-19 2018-04-26 모트렉스(주) 차량용 스마트 어댑터
US10325567B2 (en) 2016-11-01 2019-06-18 Hyundai Motor Company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74827A1 (ko) * 2016-10-19 2018-04-26 모트렉스(주) 차량용 스마트 어댑터
US10325567B2 (en) 2016-11-01 2019-06-18 Hyundai Motor Company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3974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dding a trainable transceiver to a vehicle
US7245274B2 (en) Headrest mountable video system
US7149078B2 (en) Video display system
US8981962B2 (en) Holder device capable of automatically adjusting orientation of an electronic device placed thereon, and assembly of holder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10680396B2 (en) Interface for connect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vehicle
US7127332B2 (en) Retaining element for a portable computer device
EP1908639B1 (en) Infotainment system
US20080284586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etachably attaching the same using magnetic attachment device
US20070018955A1 (en) Electronic unit
US20170297430A1 (en) Display audio device
US20070038434A1 (en) Universal system interface
US20050140845A1 (en) View angle-adjustable detachable display assembly
CN101801705A (zh) 具有帮助功能的汽车系统
WO2008055117A2 (en) Personal computer for vehicles
KR20160065286A (ko) 자동차용 휴대 전자기기 도킹 어셈블리, 휴대 전자기기 기반 멀티미디어 시스템을 구비하는 자동차, 및 휴대 전자기기 기반 멀티미디어 시스템을 구비하는 운송수단
US7593002B2 (en) Positioning a front panel of a telematics terminal
US20080021634A1 (en) Latch apparatus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20070204240A1 (en) Display control and antenna positioning apparatus for display device
JP5018175B2 (ja) 電子機器
JP5935087B2 (ja) ミラー装置
KR20100006915A (ko) 이동단말기의 탈착이 가능한 룸미러 장치
CN111845589B (zh) 带有用户界面的车辆
US11166116B2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converting artwork or photographs into audio-enhanced exhibits
US11865919B2 (en) Vehicle display device
CN111845589A (zh) 带有用户界面的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