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6605U - 클립 - Google Patents

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6605U
KR20100006605U KR2020080016891U KR20080016891U KR20100006605U KR 20100006605 U KR20100006605 U KR 20100006605U KR 2020080016891 U KR2020080016891 U KR 2020080016891U KR 20080016891 U KR20080016891 U KR 20080016891U KR 20100006605 U KR20100006605 U KR 2010000660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ing
paper
clip
pressing part
press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68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명우
Original Assignee
박명우
박동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명우, 박동수 filed Critical 박명우
Priority to KR20200800168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6605U/ko
Publication of KR2010000660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660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00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without perforating; Means therefor
    • B42F1/02Paper-clips or like fasteners
    • B42F1/04Paper-clips or like fasteners metallic
    • B42F1/08Paper-clips or like fasteners metallic of round cross-section, e.g. made of wire

Landscapes

  • Sheet Hol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클립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하나의 스틸와이어를 다수회 절곡하여 만들어지는 클립으로서, 제1누름부(50), 제2누름부(60) 및 제3누름부(70)로 구성된다. 상기 제1누름부(50)는 나란하게 연장되는 제1직선부(52,52') 사이를 제1선단곡선(54)이 연결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누름부(60)는 상기 제1누름부(50)의 내측에 위치되고 서로 나란히 연장되는 제2직선부(62,62') 사이를 제2선단곡선(64)이 연결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3누름부(70)는 서로 나란히 연장되는 제3직선부(72,72')사이를 제3선단곡선(74)이 연결하여 구성된다. 상기 선단곡선(54,64,74)은 모두 동일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누름부(50)와 제2누름부(60)는 제1비틀림부(58)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제2누름부(60)와 제3누름부(70)는 제2비틀림부(68)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클립, 종이, 분리

Description

클립{Clip}
본 고안은 클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여러 장의 종이를 자체의 탄성력을 사용하여 끼워 고정하는 클립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일반적인 클립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클립은 여러 장의 종이(1)를 함께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탄성변형이 가능한 스틸와이어를 절곡하여 형성한다. 즉, 대략 U자형상으로 절곡된 제1누름부(10)와 제2누름부(20)가 비틀림부(14)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1누름부(10)와 제2누름부(20)는 종이(1)의 일면 쪽과 반대면 쪽에 각각 밀착되어 종이(1)들을 함께 고정한다. 이때, 상기 비틀림부(14)는 비틀림력에 의해 탄성변형되어 있게 된다. 상기 비틀림부(14)의 탄성변형 정도는 종이(1)의 장수에 따라 달라진다..
상기 제1누름부(10)의 선단의 제1선단곡선(12)과 상기 제2누름부(20)의 제2선단곡선(22)은 서로 같은 방향을 향하도록 돌출되어 있어, 상기 제1선단곡선(12)과 제2선단곡선(22)의 사이로 종이(1)가 삽입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클립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종이(1)는 상기 제1누름부(10)와 제2누름부(20)의 사이에만 삽입될 수 있어, 클립에 의해 고정될 수 있는 종이(1)의 매수가 한정되는 문제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너무 많은 종이(1)를 상기 제1누름부(10)와 제2누름부(20)의 사이로 삽입하면 상기 비틀림부(14)에 소성변형이 발생하게 되고 종이(1)를 제대로 고정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종래에는 하나의 클립으로는 여러 장의 종이를 하나로만 고정할 수 있었다. 따라서, 고정되는 종이를 2개의 군으로 나눠 고정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클립을 사용하여야 하고, 이들 사이는 각각의 클립에 의해 고정된 상태로 별도로 보관되어야 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대적으로 많은 매수의 종이를 함께 고정할 수 있는 클립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하나의 클립으로 종이를 2개의 군으로 분리하여 함께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하나의 스틸와이어를 다수회 절곡하여 만들어지는 클립에 있어서, 나란하게 연장되는 제1직선부 사이를 제1선단곡선이 연결하여 구성되는 제1누름부와, 상기 제1누름부의 내측에 위치되고 서로 나란히 연장되는 제2직선부 사이를 상기 제1선단곡선과 같은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선단곡선이 연결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누름부와 제1비틀림부를 통해 연결되는 제2누름부와, 상기 제2누름부의 내측에 위치되고 서로 나란히 연장되는 제3직선부 사이를 상기 제2선단곡선과 같은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3선단곡선이 연결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누름부와 제2비틀림부를 통해 연결되는 제3누름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누름부, 제2누름부 및 제3누름부는 모두 동일 평면에 있다.
본 고안에 의한 클립은 하나의 스틸와이어를 동일한 평면상에 배치되는 제1,2,3누름부로 절곡하여 구성하였으므로, 크기와 두께가 상대적으로 크지 않으면서도 상대적으로 많은 매수의 종이를 함께 고정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는 하나의 클립으로 종이를 여러 장 고정함에 있어서, 이를 2개의 군으로 나눠서 고정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높아지는 효과도 있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클립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고안에 의한 클립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따르면, 본 고안의 클립은 하나의 스틸와이어를 동일 평면에 있도록 여러 차례 절곡하여 만든 것이다. 즉, 제1누름부(50), 제2누름부(60) 및 제3누름부(70)가 동일 평면에 있도록 하나의 스틸와이어를 연속적으로 절곡하여 클립이 만들어진다.
상기 제1누름부(50)와 제2누름부(60)의 사이에 여러 장의 종이가 함께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고, 상기 제2누름부(60)와 제3누름부(70)의 사이에 또한 여러 장의 종이가 함께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2,3누름부(50,60,70)는 대략 형상이 각각 U자형이고, 상기 제1누름부(50)와 제2누름부(60)는 제1비틀림부(58)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2누름부(60)와 제3누름부(70)는 제2비틀림부(68)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1누름부(50)의 내측에 제2누름부(60)가 형성되고, 상기 제2누름부(60)의 내측에 제3누름부(30)가 형성된다. 따라서, 제1누름부(50)의 크기가 가장 크고, 제2누름부(60)와 제3누름부(70)로 갈수록 크기가 작아진다.
상기 제1 누름부(50)에서 종이(1)에 밀착되는 부분은 제1직선부(52,52')로서 서로 나란하게 연장된다. 여기서 나란하다는 의미는 반드시 평행하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그 사이의 거리가 전체 직선부(52,52')를 따라 반드시 동일해야 하는 것도 아니며 서로 어느 정도 인접하여 있다는 의미로 생각할 수 있다. 상기 제1직선부(52,52')를 서로 연결하는 제1선단곡선(54)은 종이(1)의 삽입시 종이가 손상되지 않도록 곡선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 누름부(60)에서 종이(1)에 밀착되는 부분은 각각 제2직선부(62,62')로서 역시 서로 나란하게 연장된다. 상기 제2 누름부(60)의 제2직선부(62')가 상기 제1 누름부(50)의 제1직선부(52)와 상기 제1비틀림부(58)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상기 제2직선부(62,62')를 서로 연결하는 제2선단곡선(64)도 역시 종이(1)의 삽입시 종이가 손상되지 않도록 곡선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 누름부(60)의 제2직선부(62)와 제2비틀림부(68)를 통해 연결되게 제3누름부(70)가 구비된다. 상기 제3누름부(70)에서 종이(1)에 밀착되는 부분은 각각 제3직선부(72,72')이다. 상기 제3직선부(72')에 상기 제2비틀림부(68)가 연결된 다. 상기 제3직선부(72,72')를 연결하는 제3선단곡선(74)도 역시 종이(1)의 삽입시에 종이가 손상되지 않도록 곡선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2,3 누름부(50,60,70)의 제1,2,3선단곡선(54,64,74)은 모두 같은 방향을 향하게 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클립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의 클립을 사용하여 여러 장의 종이(1)를 고정하는 것을 설명한다. 먼저, 상기 제1 및 제2 누름부(50,60) 사이에 종이(1)를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및 제2 누름부(50,60)의 제1 및 제2선단곡선(54,64)사이로 함께 고정할 여러 장의 종이(1)를 삽입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누름부(50,60)를 연결하는 제1비틀림부(58)에 비틀림이 발생하면서 탄성변형된 상태로 상기 제1직선부(52,52')와 제2직선부(62,62')가 각각 종이(1)의 표면에 밀착되어 종이(1)들을 고정한다. 이때, 상기 제3누름부(70)는 제2누름부(60)와 동일한 종이(1)의 표면에 함께 밀착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2누름부(60)와 제3누름부(70)의 사이에도 종이(1)를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선단곡선(64)과 제3선단곡선(74) 사이로 종이(1)를 삽입하여 고정하는 것이다. 상기 제2누름부(60)와 제3누름부(70)의 사이에 종이(1)를 고정하게 되면 제2비틀림부(68)에 비틀림이 발생하면서, 종이(1)가 고정된다.
이와 같이 되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군의 종이(1)의 사이에는 제2누름부(60)가 위치되고, 각각의 종이(1)의 외면쪽에는 제1 및 제3누름부(50,70)가 위치되어 종이(1)를 2개의 군으로 나누어 고정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클립을 사용하면 상대적으로 많은 매수의 종이(1)를 고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누름부(50)와 제2누름부(60)의 사이에 일군의 종이(1)를 고정하고, 상기 제2누름부(60)와 제3누름부(70)의 사이에도 일군의 종이(1)를 고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종래에 하나의 클립에 일군의 종이(1)만을 고정할 수 있는 것에 비해 약 2배 정도 많은 매수의 종이(1)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클립으로 고정되는 종이(1)를 2개의 군으로 나눌 수 있어, 사용자가 하나의 클립으로 고정되는 종이(1)를 2개의 군으로 분류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참고로, 본 고안의 클립에서는 제1,2,3 누름부(50,60,70)가 모두 동일 평면에 형성되어 있어, 클립의 두께가 일반적인 것과 비교할 때, 두꺼워지지 않는다. 물론, 상기 누름부(50,60,70)들이 반드시 모두 동일 평면에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제1 누름부(50)의 내측에 제2누름부(60)가 있고, 제2누름부(60)의 내측에 제3누름부(70)가 있어 전체 부피에 있어서도 일반적인 클립과 비교할 때, 크지 않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클립 및 그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클립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실시예가 종이를 고정한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고안 실시예가 종이를 고정한 상태에서 단면 구성을 보인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종이 50: 제1누름부
52,52': 제1직선부 54: 제1선단곡선
58: 제1비틀림부 60: 제2누름부
62,62': 제2직선부 64: 제2선단곡선
68: 제1비틀림부 70: 제3누름부
72,72': 제3직선부 74: 제3선단곡선

Claims (2)

  1. 하나의 스틸와이어를 다수회 절곡하여 만들어지는 클립에 있어서,
    나란하게 연장되는 제1직선부 사이를 제1선단곡선이 연결하여 구성되는 제1누름부와,
    상기 제1누름부의 내측에 위치되고 서로 나란히 연장되는 제2직선부 사이를 상기 제1선단곡선과 같은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선단곡선이 연결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누름부와 제1비틀림부를 통해 연결되는 제2누름부와,
    상기 제2누름부의 내측에 위치되고 서로 나란히 연장되는 제3직선부 사이를 상기 제2선단곡선과 같은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3선단곡선이 연결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누름부와 제2비틀림부를 통해 연결되는 제3누름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누름부, 제2누름부 및 제3누름부는 모두 동일 평면에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KR2020080016891U 2008-12-19 2008-12-19 클립 KR2010000660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6891U KR20100006605U (ko) 2008-12-19 2008-12-19 클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6891U KR20100006605U (ko) 2008-12-19 2008-12-19 클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6605U true KR20100006605U (ko) 2010-06-29

Family

ID=44452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6891U KR20100006605U (ko) 2008-12-19 2008-12-19 클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6605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39262A1 (en) * 2010-04-26 2011-11-10 Kai Chen Lu Paper clip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39262A1 (en) * 2010-04-26 2011-11-10 Kai Chen Lu Paper clip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39773B2 (ja) ルースチューブ型光ファイバユニット
EP1380786B1 (en) Clamp for holding elongated article
JP2016512918A (ja) 接触要素
JPS63170098A (ja) プラスチック紙はさみ
US9419348B2 (en) Connecting arrangement with a crimp connector and a wire fixed in place to the crimp connector
KR20100006605U (ko) 클립
US6716073B1 (en) Electrically connecting terminal structure
US8250951B2 (en) Tool of tool set
US9496636B2 (en) Female terminal having opposed first and second pluralities of resilient pieces, with each resilient piece having a free end and a contact portion near the free end
KR100838465B1 (ko) 내부안내지가 구비된 종이 클립
JP5087811B1 (ja) ケーブルキャリア
US11024991B2 (en) Receptacle terminal
JP2012157105A (ja) ワイヤハーネス用のバンド
KR20200118012A (ko) 결속구
KR100602740B1 (ko) 서랍 안내장치 및 그 서랍안내장치의 조립 및 제조방법
KR200471889Y1 (ko) 리셉터클 터미널
WO2007015338A1 (ja) クリップ
US7445483B2 (en) Signal connector
CN205671727U (zh) 拼合工艺梳
KR20060033680A (ko) 코일형 클립
US10855015B2 (en) Contact element
CN218368855U (zh) 弹性锁合件
JP5041452B2 (ja) 光コネクタ
TWI703781B (zh) 接觸套筒
JP3147569U (ja) クリ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00915

Effective date: 201109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