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6601A - 고등어 분획 건조 분말 또는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산화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고등어 분획 건조 분말 또는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산화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6601A
KR20100006601A KR1020080066785A KR20080066785A KR20100006601A KR 20100006601 A KR20100006601 A KR 20100006601A KR 1020080066785 A KR1020080066785 A KR 1020080066785A KR 20080066785 A KR20080066785 A KR 20080066785A KR 20100006601 A KR20100006601 A KR 201000066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ckerel
extract
fraction
oxidation
pharmaceutical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6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길원
김광우
남정숙
최종원
최용석
어명희
김옥선
조순영
Original Assignee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0667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6601A/ko
Publication of KR201000066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660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0Fish, e.g. seahorses; Fish egg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등어 분획 건조 분말 또는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고등어 분획 건조 분말 또는 그 추출물은 산화를 유도한 실험동물모델의 SOD(superoxide dismutase), 카탈라제(catalase) 및 글루타치온 퍼옥시다제(glutathione peroxidase)의 활성 효과를 나타냄으로써, 산화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고등어, 분획 건조 분말, 추출물, SOD(superoxide dismutase), 카탈라제(catalase), 글루타치온 퍼옥시다제(glutathione peroxidase), 산화 관련 질환

Description

고등어 분획 건조 분말 또는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산화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A composition comprising a dried powder of Mackerel fraction or the extract thereof for preventing and treating oxidation related diseases}
본 발명은 고등어 분획 건조 분말 또는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산화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문헌 1] Moini, H., Packer, L., Saris, N.L., Antioxidant and prooxidant activities of alpha-lipoic acid and dihydrolipoic acid, Toxicology And Applied Pharmacology , 182, pp.84-90, 2002
[문헌 2] Merte, O., Nutritional modification of cardiovascular disease risk, International Congress Serise , 1229, pp.109-114, 2002
[문헌 3] Noguchi, N., Gotoh, N., Niki, E., Dynamics of the oxidation of low density lipoprotein induced by free radicals, Biochem . Biophys . Res . Com , 213, pp.360-366, 1995
[문헌 4] Yan, L.J., Dray-Lefaix, M.T., Packer, L. Ginko biloba extract (EGb 761) protects human low density lipoproteins against oxidative modification mediated by copper, Biochem . Biophysics. Acta , 1168, pp.348-357, 1995
[문헌 5] Jeong, J., Kim, E., Hwangbo, H., Ham, S., Effects of Ligularia fischeri extracts on oxidation of low density lipoprotein. Korean J. Food Sci . Technol , 30, pp.1214-1221, 1998
[문헌 6] Lee, M.J., Moon, G.S., Antioxidative effects of Korean bamboo trees, Wang-dae, Som-dae, Maengjong-juk, Jolit-dae and O-juk, Korean J. Food Sci. Technol , 36, pp.1226-1232, 2003
[문헌 7] Park, C.O., Kim, K.S., Ji, Y.A., Ryu, B.H., Antioxidant activity of daidzin and puerarin toward oxidation of human low density lipoprotein, J. Korean Soc . Food Sci . Nutr . 26, pp.25-31, 1997
[문헌 8] Park, C.O., Jin, S.H., Ryu, B.H., Antioxidant activity of green tea extracts toward human low density lipoprotein, Korean J. Food Sci . Technol , 28, pp.850-858, 1996
[문헌 9] Yag, K.S., Jeon, C.M. Effect of Taraxacum Nakai on low density lipoprotein oxidation, Korean J. Pharmacogn , 27, pp.267-273, 1996
최근 경제성장과 국민소득 증대로 건강한 삶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질병을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는 천연물 유래 기능성 식의약품 소재의 발굴을 도모하는 연구가 매우 활발하며 또한, 천연물은 항산화제, 항균제, 항돌연변이제, 항암제 등을 함유하는 생물학적으로 활성이 있는 자원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항산화제는 세포막에서 다가 불포화 지방산을 공격하여 지질 과산화를 일으키는 활성산소종 (reactive oxygen species; ROS)이나 활성질소종 (reactive nitrogen species; RNS)을 소거하는데 이들이 생체 내에서 정상적으로 소거되지 않았을 때 유리기로 인한 산화적 스트레스(oxidative stress) 및 질산화적 스트레스(nitrosative stress)가 가해져 여러 조직에서 세포막의 변화, 효소활성의 감소, DNA 손상과 돌연변이 생성에 영향을 주게 되며 암, 아테롬성경화증, 염증반응, 관절염, 알츠하이머병, 백내장, 천식, 허혈 등의 만성 퇴행성 질환을 유발하게 된다( Moini, H., Packer, L., Saris, N.L., Antioxidant and prooxidant activities of alpha-lipoic acid and dihydrolipoic acid, Toxicology And Applied Pharmacology , 182, pp.84-90, 2002).
특히, 이 중에서 순환기계 질환은 미국과 서유럽에서 사망 원인의 제 1위를 차지할 만큼 사망의 주요인이 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식생활이 서구화 되면서 심근경색, 심장마비 등의 뇌혈관계 질환, 뇌졸중 및 말초혈관계 질환 등 혈액 순환기계 질환이 날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Merte, O., Nutritional modification of cardiovascular disease risk, International Congress Serise , 1229, pp.109-114, 2002).
이와 같이 산화 관련된 질환들을 예방 및 치료를 하기 위해서는 항산화제가 필요하다. 항산화제로 BHT, BHA 및 프로뷰콜(probucol) 등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화학적 합성품으로 생체효소의 활성을 억제하고 돌연변이 암을 유발한다는 보고가 있어 대부분의 항산화제는 거의 모두 인체에 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범위 내에서 사용규제를 받고 있다.
반면에 천연 항산화제로 이용되고 있는 α-토코페롤(α-tocopherol) 및 비타민(vitamin) C 등은 항산화 효과가 합성 항산화제에 비해 비교적 낮고 가격이 상대적으로 비싼 단점이 있다. 이외에 β-카로틴(β-carotene), α-카로틴(α-carotene), 라이코펜(lycopene), 레티노이드(retinoids) 및 유비퀴놀(ubiquinol) 등이 있는데, 이들은 대부분이 식물에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폴리페놀(polyphenol), 플라보노이드(flavonoid) 및 그 유도체가 강한 항산화 작용을 갖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Noguchi, N., Gotoh, N., Niki, E., Dynamics of the oxidation of low density lipoprotein induced by free radicals, Biochem . Biophys . Res . Com , 213, pp.360-366, 1995).
그러므로 항산화능이 우수하고 인체에 무해하며 경제적인 천연 항산화제를 이용한 산화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된다.
지금까지 연구된 항산화제에 관한 보고로는 은행잎(Yan, L.J., Dray-Lefaix, M.T., Packer, L. Ginko biloba extract (EGb 761) protects human low density lipoproteins against oxidative modification mediated by copper, Biochem . Biophysics . Acta , 1168, pp.348-357, 1995), 곰취(Jeong, J., Kim, E., Hwangbo, H., Ham, S., Effects of Ligularia fischeri extracts on oxidation of low density lipoprotein. Korean J. Food Sci . Technol , 30, pp.1214-1221, 1998), 대나무( Lee, M.J., Moon, G.S., Antioxidative effects of Korean bamboo trees, Wang-dae, Som-dae, Maengjong-juk, Jolit-dae and O-juk, Korean J. Food Sci . Technol , 36, pp.1226-1232, 2003) 추출물의 항산화효과, 갈근(Park, C.O., Kim, K.S., Ji, Y.A., Ryu, B.H., Antioxidant activity of daidzin and puerarin toward oxidation of human low density lipoprotein, J. Korean Soc . Food Sci . Nutr . 26, pp.25-31, 1997), 녹차(Park, C.O., Jin, S.H., Ryu, B.H., Antioxidant activity of green tea extracts toward human low density lipoprotein, Korean J. Food Sci . Technol , 28, pp.850-858, 1996), 민들레(Yag, K.S., Jeon, C.M. Effect of Taraxacum Nakai on low density lipoprotein oxidation, Korean J. Pharmacogn, 27, pp.267-273, 1996)의 항산화활성 등이 있다.
그러나, 항산화제 치료제를 응용하기엔 아직 터무니 없이 부족한 현실이다. 그러므로 치료효과가 우수하고 인체에 무해한 천연물을 이용한 산화 관련 질환에 의한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된다.
이에 본 발명자는 삼면이 바다인 우리나라에서 손쉽게 구할 수 있는 고등어를 이용하여 공해유발, 유기용매 추출조작 및 버리는 부분없이 각 부위를 분획하여, 산화를 유도하는 물질로 알려진 아세트산납(lead acetate)를 섭취케한 실험동 물에 고등어 분획 건조 분말 또는 그 추출물을 투여하여 SOD(superoxide dismutase), 카탈라제(catalase) 및 글루타치온 퍼옥시다제(glutathione peroxidase)의 활성 효과를 나타냄으로써를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고등어 분획 건조 분말 또는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산화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고등어 분획 건조 분말 또는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산화 관련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고등어 분획”은 고등어의 전체 몸통, 살, 내장, 머리, 지느러미, 뼈, 꼬리, 연골, 껍질, 근육, 눈, 및 아가미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된 부위, 바람직하게는 전체 몸통, 살, 내장, 머리, 지느러미, 뼈 및 꼬리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된 부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전체 몸통 또는 살로부터 분획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산화 관련 질환”은 암, 당뇨, 동맥경화증, 간염, 위염, 신장염, 심장염, 류마티스 관절염, 심장질환, 후천성 면역결핌증 증후군, 백내장 및 피부종양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질환, 바람직하게는 신장염 및 심장염을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등어 분획 건조 분말 또는 그 추출물의 약학조성물은 총 중량에 대하 여 0.1 내지 50 중량%로 사용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고등어 분획 건조 분말 또는 그 추출물을 하기와 같은 공정으로 수득가능하다.
본 발명의 고등어 분획 건조 분말은 동해연안 등의 지역에서 수확한 고등어를 이물질 및 염분을 세척하여 제거하는 1차 처리 단계; 상기 고등어를 전체 몸통, 살, 내장, 머리, 지느러미, 뼈, 꼬리, 연골, 껍질, 근육, 눈 및 아가미 등의 분획들로 나누어 절단하는 공정을 거쳐 각 분획물을 얻는 제 2단계; 상기 각 분획물을 진공동결 건조법, 일광 건조법 등의 건조법을 수행하는 제 3단계 공정을 포함하는 제조공정을 통하여 본원 발명의 고등어 분획 건조분말을 수득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고등어 분획 추출물은 상기 공정의 제 2단계의 각 분획물을 압축, 마쇄 또는 믹서기를 통한 추출액을 얻는 추출법 및/또는 물, 알콜, 주정 등의 인체에 무해한 추출용매를 이용한 당업계에 잘 알려진 추출방법, 예를들어, 물에 상기 분획물을 넣고 약 12시간 내지 48시간, 바람직하게는 20시간 내지 40시간동안, 60℃ 내지 150℃,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20℃에서 가열 후, 잔사를 제거하는 공정을 통하여 얻은 추출액을 얻는 공정을 추가로 수행한 후에 상기 각 추출물을 여과지로 여과하는 제 3단계 공정을 포함하는 제조공정을 통하여 본원 발명의 고등어 분획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제조공정으로 얻어진 고등어 분획 건조 분말 또는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산화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 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활성 성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 (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 (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 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 (witepsol), 마크로골, 트윈 (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활성성분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활성성분은 1일 0.0001 내지 100 mg/kg으로,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 mg/kg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활성성분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 (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고등어 분획 건조 분말 또는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산화 관련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법률(건강기능식품법)이 규정한 바에 따라, 인체 특정 질병을 예방, 그 증상의 완화, 또는 특정 질병의 치료에 도움을 주기 위한 목 적으로 인체에 투여되는 정제, 캡슐제, 환제, 액제 등의 형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산화 관련 질환의 예방 및 개선효능을 갖는 고등어 분획 건조 분말 또는 그 추출물 및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첨가제를 함유한 건강보조식품 또는 식품첨가제를 제공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식품첨가제”는 이미 당업계에 공지된 식품에 미량으로 첨가되는 성분들, 예를 들어,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건강보조식품은 건강 음료, 정제, 캡슐제, 환제, 액제 등의 형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활성 성분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 기능성 식품류 등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추구하는 치료 및 예방 목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에 첨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산화 관련 질환의 예방 및 개선효능을 갖는 고등어 분획 건조 분말 또는 그 추출물을 함유한 식품첨가제를 제공한다.
이 때, 식품 또는 음료 중의 상기 활성 성분의 양은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건강 기능 식품 조성물은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5 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 음료 조성물은 100 ㎖를 기준으로 0.02 내지 5 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 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점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의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의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g이다.
그밖에 본 발명의 건강보조식품 또는 그 조성물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은 고등어 분획 건조 분말 또는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산화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고등어 분획 건조 분말 또는 그 추출물은 산화를 유도한 실험동물모델의 SOD(superoxide dismutase), 카탈라제(catalase) 및 글루타치온 퍼옥시다제(glutathione peroxidase)의 활성을 나타냄으로써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였는 바, 상기 조성물은 산화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참고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예 1. 실험 재료의 준비
실험동물모델 선정
실험동물은 (주)대한바이오 링크로부터 분양받아 동물사내의 명암(12시간 light/dark cycle), 습도(55-60%) 및 온도(24±2℃)는 자동으로 조절되는 ECRS(Environmental controlled rearing system DJ-201D, Daejong instruments, Korea)을 사용하여 2주 가량 충분하게 적응시켜 사육한 체중 200±10g의 Sprague-Dawley계 웅성 흰쥐(SPF)를 사용하였고, 실험 시간 전 24시간 동안 물만 주고 절식 하였으며, 이때 효소 활성의 일중 변동을 고려하여 실험동물을 일정시간(오전 10:00-12:00) 내에서 처치하였다.
실시예 1. 고등어의 각각의 부위별 분획물 제조
1-1. 고등어의 분획 건조 분말
고등어(Common Mackerel, Scomber japonicus)는 체장 31.0±4.2 cm, 체중 503.0±52.4 g으로 2007년 10월 동해연안에서 수확하여 강릉시 주문진 수협으로부터 냉동된 상태로 제공받았다. 냉동된 시료를 해동 후 이물질과 염분을 세척하여 제거한 후 고등어의 전체 몸통, 살, 내장, 머리+꼬리+뼈로 각각 4개의 분획으로 나누어, 진공동결건조(Vaccum Freeze Dryer, PVIFD30A, 한국 일산사)하여 50 메쉬(mesh)로 분쇄하여 고등어의 전체 몸통(이하 ‘K-1’이라 함), 살(이하 ‘K-2’라 함), 내장(이하 ‘K-3’라 함), 머리+꼬리+뼈(이하 ‘K-4’라 함)를 수득하여 하기 실험예에 사용하였다 .
1-2. 고등어의 분획 추출물
상기 1-1에서 수득한 동결건조한 고등어 각 분획 500g을 물 50L에 혼합 한 후, 약 36시간동안 100℃에서 혼합액을 가열하면 고등어 각 분획에 포함된 성분들이 녹여나오게 되는데, 이 때 자유로운 증발을 위해 용기의 상단부를 열어 물 상당량을 증발로 제거한다. 이러한 가열 공정을 거치면 고등어의 살 부위는 대부분은 액상에 녹아 들어가 최종적으로 농도가 짙고 점도가 높은 액상의 추출물이 생성되 는데 뼈 등의 고형성분 및 잔존물 일부는 용기 밑바닥에 침전물로 남아 있게 된다. 가열 공정이 끝나면 추출물을 상온으로 식힌 후, 여과지(3M)를 이용하여 여과한 다음, 여액을 회전감압농축기 (EYELA FDU-1100)를 이용하여 감압 농축하여 고등어의 전체 몸통 추출물(이하 ‘KE-1’이라 함) 35g, 살 추출물(이하 ‘KE-2’라 함) 35g, 내장 추출물(이하 ‘KE-3’라 함) 35g, 머리+꼬리+뼈 추출물(이하 ‘KE-4’라 함) 35g을 얻었다.
실험예 1. 자유 라디칼 소거 활성의 측정
음용수에 산화적 스트레스 및 ROS(reactive oxygen species)를 유도하는 물질로 알려진 아세트산납(lead acetate : 이하 ‘LAT’라 함) 100 ppm(0.48 mmol/L)를 첨가하여 임의로 8주간 섭취케 하여 산화를 유도하였고, 실시예에서 수득한 K-2를 1% 트윈 80(tween 80)에 용해한 후 생리식염수로 희석하여 고혈압 유도 마지막 4주째부터 각 시료 100, 200 mg/kg을 경구로 투여 하였으며, 효소용액의 제조는 실험동물을 CO2 가스로 마취시키고 신장 및 심장을 1cm가량 적출하였다. 적출한 각 장기를 완충액(Trizma-HCl buffer (pH 7.8, 30 mM KCl, 5 mM magnesium acetate, 0.25 M sucrose, 1% triton 100 함유))에 일정량(100 mL) 마쇄한 후 5,000×g에서 15분간 원심분리한 상등액을 사용하였으며, 상기의 실험은 항상 4℃에서 행하였다.
K-2의 SOD 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기존 문헌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Marklund, S. and Marklund, G. Involvement of the superoxide anion radical in the autoxidation of pyrogallol and a convenient assay for superoxide dismutase. Eur. J. Biochem. 47(3), 469-474, 1974).
조직들의 SOD 활성은 알카리 상태에서 피로갈롤(pyrogallol)의 자동산화에 의한 발색을 이용하였다. 즉, 완충액(tris-HCl buffer: 50 mM Tris/ 10 mM EDTA, pH 8.5)에 상기에서 제조한 효소용액을 넣고 7.2 mM 피로갈롤(pyrogallol)을 가하여 반응을 시작 시킨 다음 25℃에서 10분간 반응시킨 후, 1N-염산(HCl)을 가하여 10분간 반응시켜 산화된 피로갈롤(pyrogallol)을 420 nm에서 측정하였다.
K-2의 카탈라제의 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기존 문헌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Aebi, H., Catalase in vitro, Methods Enzymol., 105, 121-126, 1984).
조직들의 카탈라제 활성은 50 mM potassium phsophate buffer(pH 7.0)에 상기에서 제조한 효소용액을 넣고 기질인 30 mM H2O2를 넣어 25℃에서 5분간 흡광도를 측정하여 분자흡광계수 0.041 mM-1cm-1을 이용하여 활성도를 산정하였다. 효소활성의 단위는 1분당 1 mg 단백질이 분해하는 과산화수소(hydrogen peroxide)의 양을 nmole로 표시하였다.
K-2의 글루타치온 퍼옥시다제(Glutathione peroxidase)의 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기존 문헌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Paglia, D.E and Valentine, W.N. Studies on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characterization of erythrocyte glutathione peroxidase. J. Lab. Clin. Med. 70(1), 158-169, 1967).
0.1 M의 EDTA, 0.1 M sodium azide, 0.1 M dithiothreitol(DTT), 0.5 mM NADPH, 7.0 mM reduced glutathione을 함유하는 pH 7.0의 0.1 M potassium phosphate buffer에 효소액 일정량을 넣고 37℃에서 10분간 NADPH가 산화되는 양을 측정하였다.
1-1. 신장조직에서의 자유라디칼의 소거활성
실험결과,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신장에서 SOD는 LAT-유도된 대조군이 36.9 Unit/mg을 나타낸 것에 비하여 K-2의 농도 200 mg/kg이 투여된 동물에서는 30.9 Unit/mg을 나타내어 16.3%의 감소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글루타치온 퍼옥시다제(이하 ‘GSH-Px’라 함) 및 카탈라제(Catalase)는 LAT로 유도된 대조군이 253.9 nmol/mg과 180.7 nmol/mg을 나타낸것에 비하여 K-2가 200 mg/kg이 투여된 동물에서 각각 218.9 nmol/mg과 160.1 nmol/mg을 나타내어 13.8%, 11.5%의 감소효과를 나타내었다.
처리군 농도 (mg/kg) SOD* GSH-Px** Catalase***
정상군 25.4±3.36b 193.6±18.2b 124.6±19.3b
대조군 36.9±4.27a 253.9±21.5a 180.7±15.7a
K-2 (육) 100 32.2±5.11ab 232.7±18.5a 165.2±20.7a
200 30.9±4.13ab 218.9±20.1ab 160.1±14.0a
*SOD: superoxide dismutase: Unit/mg protein/min **GSH-Px: glutathione peroxidase: NADPH nmol/mg protein/min ***Catalase: H2O2 nmol/mg protein/min
1-2. 심장조직에서의 자유라디칼의 소거활성
실험결과, 표 2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심장에서 SOD는 LAT로 유도된 대조군은 3.59 Unit/mg을 나타낸 것에 반하여, K-2의 농도 200 mg/kg 투여군에서 2.94 Unit/mg을 나타내어 18.2%의 감소효과를 나타내었다. GSH-Px와 카탈라제는 대조군이 각각 30.7 nmol/mg과 21.6 nmol/mg을 나타낸 것에 반하여, K-2의 농도 200 mg/kg 투여군에서 각각 23.7 nmol/mg과 17.3 nmol/mg을 나타내어 22.9%, 19.9%의 감소효과를 나타내었다.
처리군 농도 (mg/kg) SOD* GSH-Px** Catalase***
정상군 2.34±0.31c 19.6±0.31d 12.4±0.33d
대조군 3.59±0.25a 30.7±0.43a 21.6±0.51a
K-2 (육) 100 3.12±0.17b 25.3±0.50b 18.7±0.25b
200 2.94±0.20b 23.7±0.48c 17.3±0.30c
*SOD: superoxide dismutase: Unit/mg protein/min **GSH-Px: glutathione peroxidase: NADPH nmol/mg protein/min ***Catalase: H2O2 nmol/mg protein/min

Claims (6)

  1. 고등어 분획 건조 분말 또는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산화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등어 분획은 고등어의 전체 몸통, 살, 내장, 머리, 지느러미, 뼈, 꼬리, 연골, 껍질, 근육, 눈 및 아가미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된 부위로부터 분획함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 관련 질환은 암, 당뇨, 동맥경화증, 간염, 위염, 신장염, 심장염, 류마티스 관절염, 심장질환, 후천성 면역결핌증 증후군, 백내장 및 피부종양으로 이루어진 군으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질환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조성물.
  4. 상기 고등어 분획 건조 분말 또는 그 추출물은 약학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50 중량%으로 포함하는 약학조성물.
  5. 고등어 분획 건조 분말 또는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산화 관련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6. 제 5항에 있어서, 정제, 캡슐제, 환제 또는 액제인 건강기능식품.
KR1020080066785A 2008-07-10 2008-07-10 고등어 분획 건조 분말 또는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산화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000066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6785A KR20100006601A (ko) 2008-07-10 2008-07-10 고등어 분획 건조 분말 또는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산화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6785A KR20100006601A (ko) 2008-07-10 2008-07-10 고등어 분획 건조 분말 또는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산화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6601A true KR20100006601A (ko) 2010-01-21

Family

ID=41815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6785A KR20100006601A (ko) 2008-07-10 2008-07-10 고등어 분획 건조 분말 또는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산화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660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72525A1 (ko) * 2012-05-16 2013-11-21 주식회사 코씨드바이오팜 어류 안구의 파쇄물 또는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약학 및 식품 조성물
JPWO2021107122A1 (ko) * 2019-11-29 2021-06-03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72525A1 (ko) * 2012-05-16 2013-11-21 주식회사 코씨드바이오팜 어류 안구의 파쇄물 또는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약학 및 식품 조성물
CN104411296A (zh) * 2012-05-16 2015-03-11 考希德芭以奧帕有限公司 含有鱼类眼球的粉碎物或提取物的化妆料、药学及食品组合物
JPWO2021107122A1 (ko) * 2019-11-29 2021-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WO2006014028A1 (ja) サツマイモ茎葉抽出物およびその用途
KR101298568B1 (ko) 우엉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용 식품조성물
JP2006016390A (ja) プロアントシアニジン含有組成物
KR101407150B1 (ko) 해당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운동성 육체적 스트레스 관련 질환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조성물
JPWO2006011245A1 (ja) 体脂肪低減剤
KR100817600B1 (ko) 갈근추출물을 함유하는 약학조성물
KR20100006601A (ko) 고등어 분획 건조 분말 또는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산화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JP2005170836A (ja) 海藻抽出物およびそれを含むリパーゼ阻害剤
JP5704067B2 (ja) コエンザイムq10を含む経口摂取用組成物
KR20070089288A (ko) 항산화 활성을 갖는 사인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JP2014239699A (ja) 血中アディポネクチン量増加剤
KR100640094B1 (ko) 콜레스테롤 저하 또는 항산화 활성을 갖는 녹차씨유를 포함하는 조성물
KR20170072055A (ko) 얌빈 지하부 껍질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JP2005060338A (ja) プロアントシアニジン含有組成物
JP2010043036A (ja) 糖代謝促進剤
JP5702514B2 (ja) ルテインの光劣化に対する安定化方法
WO2006057073A1 (ja) 運動能力向上組成物
KR20100006895A (ko) 꽁치 분획 건조 분말 또는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산화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50085215A (ko) 흑마늘 및 천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JP2020176093A (ja) 桑の葉加工物を含む血中中性脂肪上昇抑制剤
TWI651091B (zh) 一種製備具有減緩已受高脂飲食誘發高血脂及脂肪肝的黑蒜頭熱水萃取物之用途
JP6806729B2 (ja) 黒大豆種皮抽出物とヒハツ抽出物を必須成分として含有する、血清中一酸化窒素産生増強用、肝臓中抗酸化機能改善促進用および血清中中性脂肪量低下機能促進用の可食性組成物および血管内皮機能改善剤
KR102297900B1 (ko) 소나무 껍질 추출물을 포함하는 고혈압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hatterjee et al. Food as vector for nutraceutical ingredients
KR20090068960A (ko) 흑마늘 및 홍삼 혼합추출액 함유 항산화용 건강보조식품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