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5185A - 통합 관리를 위한 배전반 그룹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통합 관리를 위한 배전반 그룹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5185A
KR20100005185A KR1020090121643A KR20090121643A KR20100005185A KR 20100005185 A KR20100005185 A KR 20100005185A KR 1020090121643 A KR1020090121643 A KR 1020090121643A KR 20090121643 A KR20090121643 A KR 20090121643A KR 20100005185 A KR20100005185 A KR 201000051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board
distributed
grouping
information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1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6814B1 (ko
Inventor
부창진
김호찬
이관우
강희병
Original Assignee
이관우
부창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관우, 부창진 filed Critical 이관우
Priority to KR10200901216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6814B1/ko
Publication of KR201000051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51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6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68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32System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s or equipment, the power network elements or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J13/0005System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s or equipment, the power network elements or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 elements or equipment being or involving power plugs or sock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06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 H02J13/00016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using a wired telecommunication network or a data transmission bus
    • H02J13/00018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using a wired telecommunication network or a data transmission bus using phone lin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06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 H02J13/00022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using wireless data transmis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40/00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 Y04S40/12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 Y04S40/124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using wired telecommunication networks or data transmission bus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40/00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 Y04S40/12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 Y04S40/126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using wireless data transmission

Abstract

본 발명에는 전력감시의 효율적인 운영관리를 위해 여러 장소에 분산된 배전반 시설물에 대한 중앙집중식 관리를 위해 기존에 사용하는 유선통신, 무선통신, 이동통신 등을 중앙의 서버를 통해 통합하여 감시하고 저장된 인근의 정보에 따라 계측, 제어, 진단 시스템으로 전환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는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배전반 통합관리 그룹화 시스템의 특징은 배전반 시설물의 신규 설치 시, 또는 사고 등의 원인으로 인한 고장 발생 시에 주변 위치 정보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응답 가능한 최적의 통신시스템으로 검색하고 설정할 수 있는, 검색 모드와 설정모드의 스위칭 기능을 포함함으로써 관리자에게 배전반에 관한 정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통보하여 배전반 설치 및 유지보수 등의 작업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이다.
배전반, 통합관리시스템, 원격시스템, 검색모드, 설정모드

Description

통합 관리를 위한 배전반 그룹화 시스템 {Switchboard grouping systems for a integrated management}
본 발명은 분산되어 설치된 배전반 시설물들의 데이터를 통합관리 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배전반이란 감시제어용 및 주회로기의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구조물에 장착하거나 수용하여 배선을 통해 감시제어 및 보수보안상 가장 유효한 형태로 추린 기기의 집합체이다. 배전반은 전력의 발전, 송전, 변전에서부터 수전, 배전 및 전동기 제어에 이르기까지 전력의 수급이 필요한 모든 부분에 필요한 장치로서 간단한 것에서부터 복잡한 용도의 것까지 또 기술진보에 의한 혁신도 포함해서 그 종류는 다양하다. 규모, 기능에 정도의 차가 있을지라도 감시 제어하는 각 기기가 충분한 성능을 발휘할 수 있게 상호 협조하여 유기적, 무형적인 결합을 하여야 한다. 따라서 배전반은 감시, 제어 보호기능을 갖기 위하여 과전류, 과전압, 부족전류, 부족전압, 지락 등의 각종 계전기와 전류, 전압, 전력, 주파수, 위상 등 계측기를 실장하고 있으며 개폐기 및 복잡한 교류 및 제어용 전선으로 구성되어야 하므로 전력수급 규모와 안전성에 대한 요구가 증대됨에 따라 복잡화되고 있다. 그러나 제조회사들의 배전반에 대한 다른 규격의 사용으로 분산되어 설치된 배전반들을 통 합하여 안정적이며 경제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통합하는 과정에 문제점이 있었다.
도 1은 종래의 분산된 배전반 시설물의 동작 설명을 위한 구성도이다.
제 1 배전반(101)에서 제 5 배전반(105)은 현장에 설치되어 있는 배전반을 나타내며, 분산 설치된 위치에 따라 각각 독립적으로 동작하며, 데이터의 처리도 독립적으로 이루어진다. 기존의 제 1 배전반(101)에서 제 5 배전반이 설치된 지역에 새로운 제 n 배전반(106)이 설치되면, 기존의 분산된 배전반들과 같이 독립적으로 시스템을 구성하고 데이터를 처리해야 하기 때문에 경제적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 배전반에 설정된 통신 시스템의 고장 발생 시에 관리자에게 신속하게 통보하기 위한 통신 시스템을 2중화, 3중화 시스템으로 구성하는 경제적 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분산된 배전반에 설치된 통신모듈을 통해 신규 설치 및 분산된 배전반 사이의 전송된 데이터를 중앙에서 관리, 운용, 제어에 편리성을 제공하여 전력감시 등의 효율성과 부하의 사용량에 따른 다양한 정보를 자동적으로 그룹화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기능을 부과하여 에너지절감의 효과를 기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산업용 응용에서 운용상의 신뢰성이 특히 중요한데 이는 전송 시간 보장하는 실시간 지원 및 예측 가능한 데이터 전송 결정적 특성에 대해 메커니즘을 제공하는 극히 신뢰성 있는 제품 사용을 요구한다. 이러한 이유로 기존의 분산된 배전반들의 그룹정보를 통해 정전 및 사고 발생 시 현장의 상황을 주변의 가능한 최적의 통신 시스템으로 검색하고 통보를 위한 시스템으로 설정하여 등록된 관리자 및 사용자에게 저장된 이벤트 등을 제공하여 사고원인 기록 및 유사 사고 예측 및 방지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배전반 통합 관리를 위한 그룹화 시스템 특징은 분산된 배전반들의 최적의 통신모듈 설정과 계측, 제어, 진단 등의 요소에 대한 최적의 그룹화를 적용하기 위한 모듈들을 사용하여 자동으로 배전반을 그룹 설정하는 것을 포함한 다.
또한, 본 발명에서 위치정보 메모리와 환경정보 메모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그룹화 처리모듈은 주변의 최적의 통신 영역의 정보와 눈, 비 등의 날씨에 대한 환경정보에 따른 배전반을 그룹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배전반 통합 관리를 위한 그룹화 시스템의 효과를 살펴보면, 분산된 배전반에서 분기되어 공급되는 과부하, 누전 등의 전기 상태를 주변 설비의 여건에 따라 확인함으로써 관리자 또는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고 안전하게 사용하고, 실시간 감시기능을 통한 에너지 손실을 절감하며, 신규 배전반 시공 설계 시에 유사 지역 검색을 통한 그룹화 시스템을 통해 시공비용 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분산된 배전반의 고장 시 기존 통신시스템과 연계된 그룹을 통해 고장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신속한 시설물 보수공사를 통해 정상적인 시설물 유지가 이루어져 산업적, 경제적 피해를 최소화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분산된 배전반 그룹화 모듈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분산된 배전반 그룹화 처리 모듈(200)은 모든 동작과 처리를 제어하는 프로세서(201), 계측기에서 제공되는 계측요소를 가진 경우의 배전반, 제어요소를 포함하는 배전 반, 진단 요소를 포함하는 배전반의 사양에 대한 각각의 요소를 구분지어 그룹화 요소를 만들어 내는 요소 최적화 모듈제어기(202), 각 배전반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통신 시스템을 분류하여 주변의 위치요소를 고려하는 통신최적화 모듈제어기(204), 계측, 제어, 진단요소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날씨 등의 환경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환경정보 메모리(203), 가장 최적으로 접속할 수 있는 인근의 접속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정보 메모리(205)로 구성되고, 이들은 검색모드(210)를 사용하여 통신 그룹 모듈(300)에 통신설정을 요청할 수 있으며, 승인신호에 따라서 요소 선택 모듈(400)을 선택하게 되면 설정모드(220)를 통해 분산된 배전반 그룹화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
검색모드(210)가 선택되면 자동으로 설정모드(220) 동작이 정지되며, 검색모드(210)의 동작이 정상적으로 완료가 되면 설정모드(220)가 동작된다. 또한 여기서 진단요소(401), 제어요소(402), 계측요소(403)들은 기존의 배전반이 가지고 있는 제품의 구성요소 등의 사양에 따라서 결정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분산된 배전반 그룹화 모듈의 동작과정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유선통신 영역(510)은 485통신, LAN 등의 유선통신이 가능한 영역을 나타내며, 무선통신 영역(520)은 무선 LAN 또는 블루투스 등의 통신이 가능한 영역을 말한다. 또한 이동통신 영역(530)은 단문 문자 메시지 서비스(SMS), CDMA 등의 통신이 가능한 영역을 나타낸다. 유선통신 영역(510)으로 선정된 경우 계측요소 영역(540)과 제어요소 영역(550), 진단요소 영역(560)에 대한 선정을 하게 된다. 여기서는 분산된 배전반의 성능에 따라 요소가 정의된다. 또한 진단요소 영역(560)은 분산된 배전반의 원격지 점검을 할 수 있음을 나타내며, 기기의 정지 점검과 동작 점검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유선통신 영역(510)은 계측요소 영역(540), 제어요소 영역(550), 진단요소 영역(560)으로 3개의 영역설정이 가능하며 무선통신 영역(520)과 이동통신 영역(530)도 같은 방법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분산된 배전반 그룹화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 이다.
장치초기화(601)는 새로운 그룹화를 설정하기 위한 장치를 초기화시키는 과정이다. 그룹관리 모듈(602)은 신규 설치되는 배전반 또는 분산된 배전반의 새로운 그룹 관리 선정을 하기 위한 모듈로 그룹관리 전체적인 시작을 의미한다. 위치정보 DB(603)는 일반 건물 지대, 해안가 지형, 산악 지형 등의 위치에 대한 정보 DB로 통신설정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위치정보 DB(603)에 등록이 된 경우 통신설정(605)을 하게 되며 여기서 새로운 위치정보를 나타내게 되면 위치정보갱신(604)을 동작시켜 위치정보 DB를 갱신한다. 설정된 통신설정(605)에서 전송된 명령은 환경정보 DB(606)에 저장된 날씨 등의 환경 정보를 통해 요소설정(608)을 하게 되는데 여기서는 계측, 제어, 진단 등의 요소에 대한 설정을 하게 된다. 여기에서 새로운 요소정보 갱신(607)은 추가적인 요소의 갱신을 의미한다. 즉 계측 요소 설정에서 진단요소의 추가 등의 요소의 추가 설정을 의미한다. 최종적으로 분산된 배전반 그룹 생성(609)을 통해 분산된 배전반의 그룹화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분산된 배전반 시설물의 동작 설명을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분산된 배전반 그룹화 모듈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분산된 배전반 그룹화 모듈의 동작과정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분산된 배전반 그룹화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Claims (3)

  1. 분산된 배전반들을 통합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으로 최적의 통신모듈 설정과 계측, 제어, 진단 등의 요소에 대한 최적의 그룹화를 적용할 수 있는 모듈들이 자동적으로 배전반 그룹을 설정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통합 관리를 위한 배전반 그룹화 시스템
  2. 분산된 배전반의 위치정보를 이용한 배전반 통신 그룹 모듈과 분산된 배전반 주변의 환경정보를 이용하여 계측, 제어, 진단 요소를 설정하는 요소 선택 모듈을 포함하며 이를 동작을 정의하는 검색모드와 설정모드를 포함하는 분산된 배전반 그룹화 처리 모듈
  3. 제 2항에 있어서 배전반 분전반의 고장 발생 시 주변의 통신그룹을 검색할 수 있고 검색된 통신시스템을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방식과 제어요소에 대한 정보를 설정할 수 있으며, 현재의 통신시스템의 이상 발생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관리자 및 사용자에게 통보할 수 있는 배전반 그룹 생성 모듈
KR1020090121643A 2009-12-09 2009-12-09 통합 관리를 위한 배전반 그룹화 시스템 KR1010868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1643A KR101086814B1 (ko) 2009-12-09 2009-12-09 통합 관리를 위한 배전반 그룹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1643A KR101086814B1 (ko) 2009-12-09 2009-12-09 통합 관리를 위한 배전반 그룹화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1366U Division KR20090007837U (ko) 2008-01-29 2008-01-29 통합 관리를 위한 배전반 그룹화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5185A true KR20100005185A (ko) 2010-01-14
KR101086814B1 KR101086814B1 (ko) 2011-11-25

Family

ID=41814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1643A KR101086814B1 (ko) 2009-12-09 2009-12-09 통합 관리를 위한 배전반 그룹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681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7618B1 (ko) * 2010-04-05 2010-07-05 동영전기 주식회사 듀얼 시퀀스 장치를 구비한 배전반 관리 시스템
KR102297625B1 (ko) * 2021-03-11 2021-09-03 (주)에코파워텍 고장 진단 사전예측을 위한 통합 모니터링이 가능한 내진 배전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2789B1 (ko) * 2006-09-20 2008-07-01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디지털 그래픽 기반의 수배전반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7618B1 (ko) * 2010-04-05 2010-07-05 동영전기 주식회사 듀얼 시퀀스 장치를 구비한 배전반 관리 시스템
KR102297625B1 (ko) * 2021-03-11 2021-09-03 (주)에코파워텍 고장 진단 사전예측을 위한 통합 모니터링이 가능한 내진 배전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6814B1 (ko) 2011-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510048B (zh) 一种防越级跳闸保护方法
KR20110084674A (ko) 이더넷 기반 전력기기의 통신오류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30082007A (ko) 분전반 모니터링 장치
CN106329732B (zh) 高压断路器监控系统及其方法
KR102185020B1 (ko)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배전반 내 차단기의 계통 분석 시스템
KR100783503B1 (ko) 변전소 운영상태 감시를 위한 디지탈 축소형 모자익 배전반
KR20190113405A (ko) 배전반 내 차단기 관리 시스템
KR101521635B1 (ko) 유무선 이중화 통신 방식의 태양광 발전 시스템 및 그 통신 방법
KR102043441B1 (ko) IoT 기반 이동통신용 스마트 분전반 제어 장치
KR20090007837U (ko) 통합 관리를 위한 배전반 그룹화 시스템
KR101086814B1 (ko) 통합 관리를 위한 배전반 그룹화 시스템
KR102160425B1 (ko) 배전반 내 차단기 관리 시스템
KR100961789B1 (ko) Rtu 제어전원 종합검출관리장치
US11677880B2 (en) Switchboard management system
CN203433023U (zh) 一种带漏电报警的智能电表箱
US10896658B1 (en) Virtual display
KR20190106508A (ko) 배전반 제어 시스템
Kharat et al. Internet of Thing (IOT) base controlling & monitoring of circuit breaker
KR101861576B1 (ko) Iec61850 기반 현장정보 처리반
KR200426883Y1 (ko) 고속철도 비상단로기 리모터터미널유니트
KR102312689B1 (ko) 무선 단말기기를 이용한 보호 계전 장치
KR20190104732A (ko) 배전반의 관리 시스템
KR20080003282U (ko) 배전반 통합 감시장치
KR20200136295A (ko) 누전차단기의 원격제어관리 시스템
KR20130078369A (ko) 디지털 보호 계전기 및 이의 정보 수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