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5172U - 택배용 충격흡수 패드 - Google Patents

택배용 충격흡수 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5172U
KR20100005172U KR2020080015014U KR20080015014U KR20100005172U KR 20100005172 U KR20100005172 U KR 20100005172U KR 2020080015014 U KR2020080015014 U KR 2020080015014U KR 20080015014 U KR20080015014 U KR 20080015014U KR 20100005172 U KR20100005172 U KR 2010000517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wall
air pad
pad
outer air
wall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50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철
Original Assignee
김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철 filed Critical 김영철
Priority to KR20200800150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5172U/ko
Publication of KR2010000517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517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65D81/12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rigid or semi-rigid sheets of shock-absorbing material
    • B65D81/127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rigid or semi-rigid sheets of shock-absorbing material laminated or bonded to the inner wall of a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7/00Press-button or snap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Abstract

본 고안은 택배용 충격흡수 패드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포장박스의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에 삽입되어 물건을 감싼 상태로 외부의 충격을 흡수하는 택배용 충격흡수 패드에 있어서, 상기 포장박스의 내부 내주면과 접촉된 상태로 상기 포장박스의 수용공간에 삽입되는 외측 에어패드와; 상기 외측 에어패드의 내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포장박스의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물건을 감싼 상태로 외부의 충격을 흡수하는 내측 에어패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외측 에어패드 및 상기 내측 에어패드에는 각각 공기주입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배용 충격흡수 패드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상기 외측 에어패드 및 상기 외측 에어패드의 내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내측 에어패드로 이루어진 이중구조이기 때문에 상기 외측 에어패드 및 상기 내측 에어패드 중 어느 한 곳에 구멍이 생기더라도 상기 포장박스의 수용공간에 수용된 물건을 감싼 상태로 외부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음으로써, 물건을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외측 에어패드, 내측 에어패드

Description

택배용 충격흡수 패드{HOME DELIVERY SHOCKING ABSORPTION PAD}
본 고안은 외측 에어패드 및 상기 외측 에어패드의 내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내측 에어패드로 이루어진 이중구조이기 때문에 상기 외측 에어패드 및 상기 내측 에어패드 중 어느 한 곳에 구멍이 생기더라도 포장박스의 수용공간에 수용된 물건을 감싼 상태로 외부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음으로써, 물건을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택배용 충격흡수 패드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포장박스의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에 삽입되어 물건을 감싼 상태로 외부의 충격을 흡수하는 택배용 충격흡수 패드에 있어서, 상기 포장박스의 내부 내주면과 접촉된 상태로 상기 포장박스의 수용공간에 삽입되는 외측 에어패드와; 상기 외측 에어패드의 내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포장박스의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물건을 감싼 상태로 외부의 충격을 흡수하는 내측 에어패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외측 에어패드 및 상기 내측 에어패드에는 각각 공기주입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배용 충격흡수 패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TV 및 비디오 등과 같이 쉽게 깨지거나 훼손될 우려가 있는 전 자제품 등의 물건(이하, 물건이라 칭함)을 포장박스에 수용할 경우 상기 포장박스 및 상기 물건 사이에 복수의 스티로폼패드(styrofoam pad) 또는 스폰지패드(sponge pad) 등의 충격흡수 패드를 삽입함으로써, 상기 물건이 상기 포장박스에 수용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포장박스와 상기 물건 사이에 상기 충격흡수 패드를 삽입할 경우 상기 포장박스에 수용된 상태의 상기 물건이 요동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외부의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상기 물건을 보호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 충격흡수 패드는 상기 물건의 외주면에 밀착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물건의 형상 및 크기에 따라 각각 따로 성형해야 하기 때문에 상기 물건의 형상 및 크기에 따라 소요될 상기 충격흡수 패드를 생산하기가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수작업에 의해 상기 충격흡수 패드를 상기 물건의 외주면에 밀착고정시켜야 하기 때문에 작업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에어공간을 형성시켜 외력이 가해질 경우 물건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물건 및 포장박스 사이에 에어백이 구비된 전자렌지의 포장장치(공개특허특 제1998-039683호)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전자렌지의 포장장치(공개특허특 제1998-039683호)의 에어백은 이중구조로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상기 에어백에 구멍이 생기게 될 경우 상기 포장박스와 상기 포장박스에 수용된 상태의 상기 물건사이에 이격공간이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물건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포장박스의 수용공간에 삽입되는 에어패드가 이중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에어패드 중 어느 한 곳에 구멍이 생기더라도 포장박스의 수용공간에 수용된 물건을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택배용 충격흡수 패드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포장박스의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에 삽입되어 물건을 감싼 상태로 외부의 충격을 흡수하는 택배용 충격흡수 패드에 있어서, 상기 포장박스의 내부 내주면과 접촉된 상태로 상기 포장박스의 수용공간에 삽입되는 외측 에어패드와; 상기 외측 에어패드의 내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포장박스의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물건을 감싼 상태로 외부의 충격을 흡수하는 내측 에어패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외측 에어패드 및 상기 내측 에어패드에는 각각 공기주입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배용 충격흡수 패드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내측 에어패드의 내주면에는 주름진 형상의 복수의 충격흡수부가 상기 내측 에어패드의 내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외측 에어패드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사각통 형상의 측벽부와; 상기 측벽부의 일측 측벽 상단과 일단이 일체로 형성된 상태로 상기 측벽부의 수용공간을 커버하는 커버부와; 상기 측벽부의 일측 측벽 하단과 일단이 일체로 형성된 상태로 상기 측벽부의 수용공간을 커버하는 바닥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외측 에어패드의 바닥부는 상기 바닥부 및 상기 측벽부의 하단 사이에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측벽부의 하단에 체결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외측 에어패드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사각통 형상의 측벽부와; 상기 측벽부의 일측 측벽 상단과 일단이 일체로 형성된 상태로 상기 측벽부의 수용공간을 커버하는 커버부와; 상기 측벽부의 일측 측벽, 타측 측벽, 전방 측벽 및 후방 측벽의 하단과 네 테두리가 각각 일체로 형성되는 바닥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은 포장박스의 내부 내주면과 접촉된 상태로 상기 포장박스의 수용공간에 삽입되는 외측 에어패드와 상기 외측 에어패드의 내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내측 에어패드로 이루어진 이중구조이기 때문에 상기 외측 에어패드 및 상기 내측 에어패드 중 어느 한 곳에 구멍이 생기더라도 상기 포장박스의 수용공간에 수용된 물 건을 감싼 상태로 외부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음으로써, 물건을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내측 에어패드의 내주면에는 주름진 형상의 복수의 충격흡수부가 상기 내측 에어패드의 내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포장박스의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물건을 보다 용이하게 감쌀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보다 더욱 안전하게 물건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상기 외측 에어패드의 커버부 및 바닥부가 각각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사각통 형상의 측벽부의 일측 측벽 상단 및 하단에 일체로 형성된 상태로 상기 측벽부의 수용공간을 커버하기 때문에 물건을 상기 포장박스의 수용공간에 보다 용이하게 수용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상기 측벽부의 수용공간을 내주면이 밀착된 상태로 접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외측 에어패드의 바닥부는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측벽부의 하단에 체결결합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보다 편리하게 상기 바닥부를 상기 측벽부의 하단에 체결결합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외측 에어패드를 보다 더욱 용이하게 상기 포장박스의 내부 수용공간에 삽입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상기 외측 에어패드의 바닥부가 상기 외측 에어패드의 측벽부의 일측 측벽, 타측 측벽, 전방 측벽 및 후방 측벽의 하단과 네테두리가 각각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예를 들어, 액체 상태의 물건 또한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인 택배용 충격흡수 패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고, 도 3은 외측 에어패드(30) 및 내측 에어패드(50)가 포장박스(10)의 수용공간(110)에 삽입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인 택배용 충격흡수 패드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외측 에어패드(30) 및 내측 에어패드(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외측 에어패드(30)는 포장박스(10)의 수용공간(110)에 삽입되는 것으로써,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포장박스(10)의 내부 내주면과 접촉된 상태로 상기 포장박스(10)의 수용공간(110)에 삽입된다.
여기서, 상기 외측 에어패드(30)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부에 수용공간(332)이 형성되는 사각통 형상의 측벽부(330)와; 상기 측벽부(330)의 일측 측벽(330a) 상단과 일단이 일체로 형성된 상태로 상기 측벽부(330)의 수용공간(332)을 커버하는 커버부(350)와; 상기 측벽부(330)의 일측 측벽(330a) 하단과 일단이 일체로 형성된 상태로 상기 측벽부(330)의 수용공간(332)을 커버하는 바닥부(370);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상기 외측 에어패드(30)의 커버부(350) 및 바닥부(370)가 각각 내부에 수용공간(332)이 형성되는 사각통 형상의 상기 측벽부(330)의 일측 측벽(330a) 상단 및 하단에 일체로 형성된 상태로 상기 측벽부(330)의 수용공간(332)을 커버하기 때문에 물건을 상기 포장박스(10)의 수용공간(110)에 보다 용이하게 수용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상기 측벽부(330)의 수용공간(332)을 내주면이 밀착된 상태로 접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외측 에어패드(30)에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공기주입구(31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공기주입구(310)로 예를 들어, 공지된 체크밸브(미도시)를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체크밸브(미도시)를 상기 외측 에어패드(30)의 커버부(350)의 타단에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공기주입구(310)가 상기 외측 에어패드(30)의 커버부(350)의 타단에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 공기주입구(310)를 통해 상기 외측 에어패드(30)의 내부로 공기를 보다 용이하게 주입시킬 수 있음은 물론,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공기를 보다 용이하게 방출시킬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포장박스(10)의 수용공간(110)에 수용되는 물건을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포장박스(10)의 수용공간(110)에 새로운 물건을 수용하 고자 할 경우 상기 외측 에어패드(30)를 다시 상기 포장박스(10)의 수용공간(110)에 삽입한 후 상기 공기주입구(310)를 통해 상기 외측 에어패드(30)의 내부로 공기를 주입함으로써, 상기 외측 에어패드(30)를 재활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공기주입구(310)로 상기 체크밸브(미도시)를 사용할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 내지 도 6은 외측 에어패드(30)의 바닥부(370)가 체결부재(372)에 의해 상기 외측 에어패드(30)의 측벽부(330)의 하단에 체결결합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여기서, 상기 외측 에어패드(30)의 바닥부(370)는 도 4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바닥부(370) 및 상기 측벽부(330)의 하단 사이에 구비되는 예를 들어, 지퍼(372a), 똑딱이 단추(372b) 및 지퍼 슬라이더(372c) 등의 체결부재(372)에 의해 상기 측벽부(330)의 하단에 체결결합되는 것이 좋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체결부재(372)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퍼(372a)로 이루어질 경우 사용자는 도 4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지퍼(372a)를 상기 바닥부(370) 및 상기 측벽부(330)의 일단에서 타단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바닥부(370)를 도 4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측벽부(330)의 하단에 체결결합시키게 된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체결결합된 상태의 상기 바닥부(370)와 상기 측벽 부(330)의 체결결합을 해제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상기 지퍼(372a)를 상기 바닥부(370) 및 상기 측벽부(330)의 타단에서 일단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바닥부(370)와 상기 측벽부(330)의 체결결합을 해제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재(372)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삽입돌기(372b1) 및 삽입홈(372b2)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똑딱이 단추(372b)로 이루어질 경우 사용자는 도 5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똑딱이 단추(372b)의 삽입돌기(372b1)를 도 5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삽입홈(372b2)에 삽입시킴으로써, 상기 바닥부(370)를 상기 측벽부(330)의 하단에 체결결합시키게 된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체결결합된 상태의 상기 바닥부(370)와 상기 측벽부(330)의 체결결합을 해제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상기 삽입홈(372b2)에 삽입된 상태의 상기 삽입돌기(372b1)를 외부방향으로 이탈시킴으로써, 상기 바닥부(370)와 상기 측벽부(330)의 체결결합을 해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체결부재(372)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퍼 슬라이더(372c)로 이루어질 경우 사용자는 도 6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지퍼 슬라이더(372c)를 상기 바닥부(370) 및 상기 측벽부(330)의 일단에서 타단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바닥부(370)를 도 6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측벽부(330)의 하단에 체결결합시키게 된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체결결합된 상태의 상기 바닥부(370)와 상기 측벽 부(330)의 체결결합을 해제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상기 지퍼 슬라이더(372c)를 상기 바닥부(370) 및 상기 측벽부(330)의 타단에서 일단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바닥부(370)와 상기 측벽부(330)의 체결결합을 해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체결부재(372)로는 예를 들어, 지퍼(372a), 똑딱이 단추(372b) 및 지퍼 슬라이더(372c) 등을 사용할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외측 에어패드(30)의 바닥부(370)를 상기 측벽부(330)의 하단에 체결결합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외측 에어패드(30)의 바닥부(370)는 상기 체결부재(372)에 의해 상기 측벽부(330)의 하단에 체결결합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보다 편리하게 상기 바닥부(370)를 상기 측벽부(330)의 하단에 체결결합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외측 에어패드(30)를 보다 더욱 용이하게 상기 포장박스(10)의 내부 수용공간(110)에 삽입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7은 측벽부(330)의 일측 측벽(330a), 타측 측벽(330b), 전방 측벽(330c) 및 후방 측벽(330d)의 하단과 바닥부(370)의 네테두리가 각각 일체로 형성된 상태의 외측 에어패드(3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여기서, 상기 외측 에어패드(30)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외측 에어패드(30)는 내부에 수용공간(332)이 형성되는 사각통 형상의 측벽부(330)와; 상기 측벽부(330)의 일측 측벽(330a) 상단과 일단이 일체로 형성된 상태로 상기 측벽 부(330)의 수용공간(332)을 커버하는 커버부(350)와; 상기 측벽부(330)의 일측 측벽(330a), 타측 측벽(330b), 전방 측벽(330c) 및 후방 측벽(330d)의 하단과 네 테두리가 각각 일체로 형성되는 바닥부(370);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외측 에어패드(30)가 상기 포장박스(10)의 수용공간(11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포장박스(10)의 수용공간(110)에 예를 들어, 죽 또는 젓갈 등의 액체 상태의 물건이 수용되더라도 상기 외측 에어패드(30)의 바닥부(370)가 상기 측벽부(330)의 일측 측벽(330a), 타측 측벽(330b), 전방 측벽(330c) 및 후방 측벽(330d)의 하단과 네 테두리가 각각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액체 상태의 물건이 상기 포장박스(10)의 외부로 샐 우려가 없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외측 에어패드(30)의 바닥부(370)가 상기 외측 에어패드(30)의 측벽부(330)의 일측 측벽(330a), 타측 측벽(330b), 전방 측벽(330c) 및 후방 측벽(330d)의 하단과 네테두리가 각각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액체 상태의 물건 또한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음으로, 상기 내측 에어패드(50)는 상기 포장박스(10)의 수용공간(110)에 수용되는 물건을 감싼 상태로 외부의 충격을 흡수하는 것으로써,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외측 에어패드(30)의 내측에 일체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내측 에어패드(50)의 내주면에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주름진 형상의 복수의 충격흡수부(530)가 상기 내측 에어패드(50)의 내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내측 에어패드(50)에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공 기주입구(51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내측 에어패드(50)의 공기주입구(510)에 대한 설명은 상기 외측 에어패드(30)의 공기주입구(310)에 대한 설명과 동일하기 때문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8은 포장박스(10)의 수용공간(110)에 삽입된 상태의 외측 에어패드(30)의 내측에 일체로 형성된 내측 에어패드(50)가 상기 포장박스(10)의 수용공간(110)에 수용된 물건을 감싸고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공기주입구(510)를 통해 상기 내측 에어패드(50)의 내부에 공기가 주입될 경우 상기 내측 에어패드(50)의 충격흡수부(530)가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내측 에어패드(50)의 내측방향으로 보다 더 부풀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내측 에어패드(50)의 충격흡수부(530)가 상기 포장박스(10)의 수용공간(110)에 수용된 상태의 물건(T)의 면적을 보다 용이하게 감쌀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내측 에어패드(50)의 내주면에는 주름진 형상의 상기 복수의 충격흡수부(530)가 상기 내측 에어패드(50)의 내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포장박스(10)의 수용공간(110)에 수용되는 물건(T)을 보다 용이하게 감쌀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보다 더욱 안전하게 물건(T)을 보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인 택배용 충격흡수 패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고,
도 3은 외측 에어패드 및 내측 에어패드가 포장박스의 수용공간에 삽입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 내지 도 6은 외측 에어패드의 바닥부가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외측 에어패드의 측벽부의 하단에 체결결합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7은 측벽부의 일측 측벽, 타측 측벽, 전방 측벽 및 후방 측벽의 하단과 바닥부의 네테두리가 각각 일체로 형성된 상태의 외측 에어패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포장박스의 수용공간에 삽입된 상태의 외측 에어패드의 내측에 일체로 형성된 내측 에어패드가 상기 포장박스의 수용공간에 수용된 물건을 감싸고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포장박스, 110,332; 수용공간,
30; 외측 에어패드, 310,510; 공기주입구,
330; 측벽부, 330a; 일측 측벽,
330b; 타측 측벽, 330c; 전방 측벽,
330d; 후방 측벽, 350; 커버부,
370; 바닥부, 372; 체결부재,
372a; 지퍼, 372b; 똑딱이 단추,
372b1; 삽입돌기, 372b2; 삽입홈,
372c; 지퍼 슬라이더, 50; 내측 에어패드,
530; 충격흡수부, T; 물건

Claims (5)

  1. 포장박스의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에 삽입되어 물건을 감싼 상태로 외부의 충격을 흡수하는 택배용 충격흡수 패드에 있어서,
    상기 포장박스의 내부 내주면과 접촉된 상태로 상기 포장박스의 수용공간에 삽입되는 외측 에어패드와;
    상기 외측 에어패드의 내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포장박스의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물건을 감싼 상태로 외부의 충격을 흡수하는 내측 에어패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외측 에어패드 및 상기 내측 에어패드에는 각각 공기주입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배용 충격흡수 패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에어패드의 내주면에는 주름진 형상의 복수의 충격흡수부가 상기 내측 에어패드의 내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배용 충격흡수 패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에어패드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사각통 형상의 측벽부와;
    상기 측벽부의 일측 측벽 상단과 일단이 일체로 형성된 상태로 상기 측벽부의 수용공간을 커버하는 커버부와;
    상기 측벽부의 일측 측벽 하단과 일단이 일체로 형성된 상태로 상기 측벽부의 수용공간을 커버하는 바닥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배용 충격흡수 패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에어패드의 바닥부는 상기 바닥부 및 상기 측벽부의 하단 사이에 구비되는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측벽부의 하단에 체결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배용 충격흡수 패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에어패드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사각통 형상의 측벽부와;
    상기 측벽부의 일측 측벽 상단과 일단이 일체로 형성된 상태로 상기 측벽부의 수용공간을 커버하는 커버부와;
    상기 측벽부의 일측 측벽, 타측 측벽, 전방 측벽 및 후방 측벽의 하단과 네 테두리가 각각 일체로 형성되는 바닥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배용 충격흡수 패드.
KR2020080015014U 2008-11-11 2008-11-11 택배용 충격흡수 패드 KR2010000517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5014U KR20100005172U (ko) 2008-11-11 2008-11-11 택배용 충격흡수 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5014U KR20100005172U (ko) 2008-11-11 2008-11-11 택배용 충격흡수 패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5172U true KR20100005172U (ko) 2010-05-20

Family

ID=44450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5014U KR20100005172U (ko) 2008-11-11 2008-11-11 택배용 충격흡수 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5172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43984A (zh) * 2015-05-08 2015-09-30 句容市鼎盛纸箱包装有限公司 防压包装箱
CN107458756A (zh) * 2017-09-08 2017-12-12 湖州南浔永方机械有限公司 一种机械零件运输盒
CN109229898A (zh) * 2018-07-25 2019-01-18 田飞标 一种充气式可防止碰撞的外卖箱
KR20210148746A (ko) 2020-06-01 2021-12-08 김영선 포장 상자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43984A (zh) * 2015-05-08 2015-09-30 句容市鼎盛纸箱包装有限公司 防压包装箱
CN107458756A (zh) * 2017-09-08 2017-12-12 湖州南浔永方机械有限公司 一种机械零件运输盒
CN109229898A (zh) * 2018-07-25 2019-01-18 田飞标 一种充气式可防止碰撞的外卖箱
KR20210148746A (ko) 2020-06-01 2021-12-08 김영선 포장 상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3354B1 (ko) 보온 및 보냉 기능을 갖는 포장용 박스
KR20100005172U (ko) 택배용 충격흡수 패드
JP2003063569A (ja) 梱包用緩衝材および梱包物
KR101461011B1 (ko) 곤포재 및 곤포체
EP3720312B1 (en) Carryable case comprising a corner bumper
KR101211934B1 (ko) 완충케이스를 구비한 포장상자
KR20110002494U (ko) 패널제품용 포장박스
KR101179611B1 (ko) 절첩형 발포수지 포장상자
KR101899521B1 (ko) 포장용구
KR101601808B1 (ko) 접이식 포장 박스
KR200371623Y1 (ko) 포장물용 모서리보호대
JP6478155B2 (ja) 梱包材
KR102024553B1 (ko) 접이식 스티로폼 포장박스
KR20170003910U (ko) 드론 이동 및 보관용 가방
KR101991653B1 (ko) 안전 포장상자
JP2010070206A (ja) 包装装置
CN220221878U (zh) 用于包装底座的护角及包装底座
US20130200092A1 (en) Folding type package
KR20060105332A (ko) 전자제품 완충포장용 펄프 패드
JP2007084120A (ja) 段ボール製梱包体及びこれを備えた梱包装置
JP6915871B2 (ja) 発泡樹脂容器
KR102054282B1 (ko) 포장용 박스
KR200464052Y1 (ko) 패널제품용 포장박스
KR102024549B1 (ko) 분리형 스티로폼 포장박스
KR20140114598A (ko) 가전제품용 포장 상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