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5134A - Safety device of elevator - Google Patents

Safety device of elev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5134A
KR20100005134A KR1020097024028A KR20097024028A KR20100005134A KR 20100005134 A KR20100005134 A KR 20100005134A KR 1020097024028 A KR1020097024028 A KR 1020097024028A KR 20097024028 A KR20097024028 A KR 20097024028A KR 20100005134 A KR20100005134 A KR 201000051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rail
rail
car
braking
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40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033378B1 (en
Inventor
나오유키 마루야마
히로시 기가와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051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513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33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337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18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 B66B5/22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by means of linearly-movable we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18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 B66B5/20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by means of rotatable eccentrically-mounted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A safety device of elevator in which an elevating/lowering body being guided by a pair of guide rails is provided with a pair of brake mechanism bodies. Each brake mechanism body has a housing supported by the elevating/lowering body, a receiving rail batten provided in the housing, and a movable rail batten which can approach the guide rail and can recede therefrom. The movable rail batten can be displaced between a neutral position where it is spaced apart from the receiving rail batten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brake positions located above and below the neutral position and where the movable rail batten is spaced apart from the receiving rail batten by a distance shorter than the predetermined distance. When the movable rail batten is displaced from the neutral position to the brake position depending o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elevating/lowering body while touching the guide rail, each guide rail is grasped individually between the receiving rail batten and the movable rail batten. Respective brake mechanism bodies are coupled by a coupling member. An electromagnetic driver for displacing the coupling member in the direction along which each movable rail batten approaches each guide rail and recedes therefrom is supported by the elevating/lowering body.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SAFETY DEVICE OF ELEVATOR}Safety device of elevator {SAFETY DEVICE OF ELEVATOR}

본 발명은 상하 어느 방향에 대해서도 엘리베이터칸의 주행을 제동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device for an elevator capable of braking travel of the car in any of the up and down directions.

종래, 엘리베이터의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 전기적으로 제동동작되는 쐐기식(wedge-type)의 비상정지장치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이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한 쌍의 비상정지장치가 공통의 엘리베이터칸에 탑재되어 있다. 각 비상정지장치는 전자 액츄에이터에 의해 쐐기를 변위시켜, 엘리베이터칸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과 엘리베이터칸에 설치된 리시빙 피팅(receiving fitting) 사이에 쐐기를 맞물려 넣음으로써, 엘리베이터칸에 제동력을 부여한다. 각 전자 액츄에이터는 공통의 출력부로부터 출력된 작동신호를 받는 것에 의해 동작을 개시한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Background Art Conventionally, elevator apparatuses having a wedge-type emergency stop device which is electrically braked in the event of an elevator abnormality have been proposed. In this conventional elevator apparatus, a pair of emergency stop apparatuses are mounted in a common car. Each emergency stop device displaces the wedge by the electromagnetic actuator and engages the wedge between the guide rail for guiding the car and the receiving fitting provided in the car, thereby giving the car a braking force. Each electronic actuator starts an operation by receiving the operation signal output from the common output part (for example, refer patent document 1).

특허문헌 1 : WO2004/083091Patent Document 1: WO2004 / 083091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Problems to be Solved by the Invention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위쪽 방향 및 아래쪽 방향의 각각에 대해 개별적으로 제동동작을 행하는 복수의 비상정지장치를 조합시켜 엘리베이터칸에 탑재해야 한다. 따라서, 상하 어느 방향에 대해서도 엘리베이터칸에 대한 제동동작을 행하기 위해서는 비상정지장치 전체가 대형화해 버린다.However, in such a conventional elevator apparatus, a plurality of emergency stop apparatuses which individually perform braking operations for each of the up direction and the down direction must be combined and mounted in the car. Therefore, in order to perform a braking operation | movement with respect to a cage | basket | car both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the whole emergency stop apparatus becomes large.

또, 각 비상정지장치의 제동동작이 서로 독립해 있으므로, 각 비상정지장치에 작동신호가 동시에 입력되었다고 하여도, 각 비상정지장치의 개체차(個體差)에 의해, 엘리베이터칸으로의 제동력이 발생할 때까지의 시간이 각 비상정지장치 사이에서 달라져 버린다.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칸이 제동시에 기울어져 버릴 우려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braking operations of the emergency stop devices are independent of each other, even if an operation signal is simultaneously input to each emergency stop device, the braking force to the car is generated by the individual differences of the emergency stop devices. The time until is different between each emergency stop. This may cause the car to tilt at the time of braking.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고, 상하 어느 방향에 대해서도 승강체의 제동동작을 단시간에 또한 안정하게 행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obtain an elevator safety device that can be miniaturized and can perform a braking operation of a lifting body in both up and down directions in a short time and in a stable manner. .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Means for solving the problem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에 안내되는 승강체에 지지된 하우징과, 하우징에 설치된 리시빙레일 맞닿음부와, 수평방향에 대해서 상기 가이드레일을 통하여 리시빙레일 맞닿음부에 대향하고, 리시빙레일 맞닿음부와의 간격이 소정의 거리가 되는 중립위치와 중립위치보다도 위쪽 및 아래쪽의 각각에 위치해 리시빙레일 맞닿음부와의 간격이 소정의 거리보다도 좁아지는 제동위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하며, 또한 가이드레일에 접리(接離) 가능한 가동레일 맞닿음부를 각각 가지고, 가동레일 맞닿음부가 가이드레일에 접촉하면서 승강체의 이동방향에 따른 제동위치로 변위됨으로써, 리시빙레일 맞닿음부와 가동레일 맞닿음부 사이에서 각 가이드레일을 개별적으로 파지(把持)하는 한 쌍의 제동기구체, 각 제동기구체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 및 승강체에 지지되어 각 가동레일 맞닿음부가 각 가이드레일에 접리하는 방향으로 연결부재를 변위시키는 전자구동장치를 구비하고 있다.The safety device of an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supported by a lifting body guided by a pair of guide rails, a receiving rail contacting portion provided in the housing, and a receiving rail fitting through the guide rail in a horizontal direction. It is located at the neutral position where the distance between the receiving rail contacting portion and the receiving rail contacting portion is a predetermined distance, respectively, above and below the neutral position,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receiving rail contacting portion and the receiving portion becomes narrower than the predetermined distance. Each of the movable rail abutments which can be displaced between the braking positions and foldable to the guide rails has a respective movable rail abutment portion which is displaced to a braking position according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lifting body while contacting the guide rails, A pair of braking mechanisms, each braking mechanism, which grips each guide rail individually between the ice rail contact portion and the movable rail contact portion. Is supported by the connecting member and the vertically movable member connecting them are provided with an electronic drive system for displacing the connecting member in a direction of abutment against each of the movable rail portion jeopri each guide rai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a block diagram which shows the elevator apparatus by Embodiment 1 of this invention.

도 2는 도 1의 화살표 A에 따라서 보았을 때의 한쪽의 비상정지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FIG.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one emergency stop device as viewed in accordance with arrow A in FIG. 1.

도 3은 도 2의 III-I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II of FIG. 2.

도 4는 도 2의 가동레일 맞닿음부의 중앙접촉면이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에 접촉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It is a block diagram which shows the state where the center contact surface of the movable rail contact part of FIG. 2 is in contact with a car guide rail.

도 5는 도 4의 V-V선에 따른 단면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V-V of FIG. 4.

도 6은 도 2의 가동레일 맞닿음부의 하부 마찰면이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에 접촉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It is a block diagram which shows the state in which the lower friction surface of the movable rail contact part of FIG. 2 is in contact with a car guide rail.

도 7은 도 6의 VII-V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II-VII of FIG. 6.

도 8은 도 2의 가동레일 맞닿음부의 상부 마찰면이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에 접촉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It is a block diagram which shows the state in which the upper friction surface of the movable rail contact part of FIG. 2 is in contact with a car guide rail.

도 9는 도 8의 IX-IX선에 따른 단면도이다.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X-IX of FIG. 8.

도 10은 도 2의 백업(backup)기구가 동작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10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ackup mechanism of FIG. 2 is operating.

도 11은 도 10의 XI-X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XI-XI of FIG. 10.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It is a block diagram which shows the safety device of the elevator by Embodiment 2 of this invention.

도 13은 도 12의 XIII-XI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FIG. 1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XIII-XIII of FIG. 12.

도 14는 도 13의 중립가압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14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neutral pressure device of FIG.

도 15는 도 12의 가동레일 맞닿음부가 위쪽의 제동위치로 변위되고 있을 때의 비상정지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FIG. 15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 emergency stop device when the movable rail contacting portion of FIG. 12 is displaced to an upper braking position.

도 16은 도 15의 연동(連動)레버가 플런져(plunger)에 대해서 위쪽으로 회동되고 있을 때의 중립가압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FIG. 16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neutral pressure device when the interlock lever of FIG. 15 is rotated upward with respect to the plunger. FIG.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의한 비상정지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Fig. 17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emergency stop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3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8은 도 17의 XVIII-XVI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1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XVIII-XVIII in FIG. 17.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의한 비상정지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Fig. 19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emergency stop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4 of the present invention.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형태>Preferred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drawings.

실시형태 1.Embodiment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칸(1) 및 균형추(2)(모두 승강체)는 메인로프(3)에 의해 승강로 내에 매달려 있다. 메인로프(3)는 승강로의 상부에 각각 설치된 권상기(4)의 구동쉬브(4a) 및 디플렉터 휠(deflector wheel)(5)에 감겨 있다. 구동쉬 브(4a)는 권상기(4)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된다. 엘리베이터칸(1) 및 균형추(2)는 구동쉬브(4a)의 회전에 의해 승강로 내를 승강한다. 승강로 내에는 엘리베이터칸(1)의 승강을 안내하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과, 균형추(2)의 승강을 안내하는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레일(7)이 설치되어 있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a block diagram which shows the elevator apparatus by Embodiment 1 of this invention. In the figure, the car 1 and the balance weight 2 (both the lifting bodies) are suspended in the hoistway by the main rope 3. The main rope 3 is wound around the drive sheave 4a and the deflector wheel 5 of the hoist 4 respectively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hoistway. The drive sheave 4a is rotated by the driving force of the hoisting machine 4. The car 1 and the counterweight 2 move up and down the hoistway by the rotation of the drive sheave 4a. In the hoistway, a pair of car guide rails 6 for guiding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car 1 and a pair of counterweight guide rails 7 for guiding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counterweight 2 are provided.

엘리베이터칸(1) 및 균형추(2)의 승강은 엘리베이터의 제어반(10)에 의해 제어된다. 제어반(10)에는 엘리베이터칸(1)의 속도를 검출하는 엘리베이터칸 속도검출센서(11), 엘리베이터칸(1)의 출입구(도시하지 않음)의 개폐 유무를 검출하는 도어 개폐검출센서(12) 및 메인로프(3)의 파단(破斷) 유무를 검출하는 메인로프 절단검출센서(13)의 각각으로부터의 정보가 보내진다. 엘리베이터칸 속도검출센서(11)로서는, 예를 들면 구동쉬브(4a)의 회전속도에 따른 신호를 발생하는 엔코더(encoder)나 리졸버(resolver) 등이 이용된다. 도어 개폐검출센서(12)로서는,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칸(1)의 출입구를 개폐하는 도어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센서 등이 이용된다. 메인로프 절단검출센서(13)로서는, 예를 들면 메인로프(3)의 장력을 검출하는 장력검출기 등이 이용된다.Lifting of the car 1 and the counterweight 2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panel 10 of the elevator. The control panel 10 includes a door speed detection sensor 11 for detecting the speed of the car 1, a door open / close detection sensor 12 for detecting the opening / closing of an entrance (not shown) of the car 1, and Information from each of the main rope break detection sensors 13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breakage of the main rope 3 is sent. As the car speed detection sensor 11, for example, an encoder or resolver that generates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al speed of the drive sheave 4a is used. As the door open / close detection sensor 12, a position sensor etc. which detect the position of the door which opens and closes the doorway of the cage | basket | car 1 are used, for example. As the main rope break detection sensor 13, for example, a tension detector for detecting the tension of the main rope 3 is used.

제어반(10)에는 엘리베이터칸 속도검출센서(11), 도어 개폐검출센서(12) 및 메인로프 절단검출센서(13)의 각각으로부터의 정보에 근거하여 엘리베이터의 이상 유무를 검출하는 제동지령부(14)가 마련되어 있다. 제동지령부(14)는 엘리베이터의 이상 발생을 검출했을 때에 제동지령을 출력한다.The control panel 10 includes a braking command unit 14 for detecting an abnormality of the elevator based on information from each of the car speed detection sensor 11, the door open / close detection sensor 12, and the main rope cutting detection sensor 13. ) Is provided. The braking command unit 14 outputs a braking command when detecting an abnormal occurrence of the elevator.

제동지령부(14)는 연산처리부(CPU 등), 기억부(ROM, RAM 및 하드디스크 등) 및 신호입출력부를 가진 컴퓨터를 가지고 있다. 제동지령부(14)의 기능은 컴퓨터에 의한 연산처리에 의해 실현 가능하다.The braking command unit 14 has a computer having an arithmetic processing unit (CPU, etc.), a storage unit (ROM, RAM, a hard disk, etc.) and a signal input / output unit. The function of the braking command unit 14 can be realized by arithmetic processing by a computer.

엘리베이터칸(1)의 하부에는 각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을 개별적으로 파지하여 엘리베이터칸(1)을 제동하는 한 쌍의 제동기구체인 비상정지장치(15, 16)와, 각 비상정지장치(15, 16) 사이를 연결하는 막대 모양의 연결부재(17)와, 연결부재(17)를 엘리베이터칸(1)에 대해서 수평방향으로 변위시키는 전자구동장치(18)가 설치되어 있다.In the lower part of the car 1, emergency stop devices 15 and 16, which are a pair of braking mechanisms for braking the car 1 by holding each car guide rail 6 individually, and each emergency stop device ( A rod-shaped connecting member 17 for connecting between 15 and 16 and an electronic driving device 18 for displacing the connecting member 17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ar 1 are provided.

한쪽의 비상정지장치(15)는 한쪽의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다른 쪽의 비상정지장치(16)는 다른 쪽의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연결부재(17)는 각 비상정지장치(15, 16) 사이에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동지령부(14)로부터의 제동지령은 전자구동장치(18)로 보내진다. 전자구동장치(18)는 제동지령을 받는 것에 의해 연결부재(17)를 변위시킨다. 각 비상정지장치(15, 16)는 연결부재(17)의 변위에 의해 제동동작을 행한다.One emergency stop device 15 is disposed opposite one car guide rail 6, and the other emergency stop device 16 is disposed opposite the other car guide rail 6. . The connecting member 17 is disposed horizontally between the emergency stop devices 15 and 16. The braking command from the braking command unit 14 is sent to the electronic driving device 18. The electromagnetic drive device 18 displaces the connecting member 17 by receiving a braking command. Each of the emergency stop devices 15 and 16 performs a braking operation by the displacement of the connecting member 17.

도 2는 도 1의 화살표 A에 따라서 보았을 때의 한쪽의 비상정지장치(15)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또, 도 3은 도 2의 III-I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또한, 다른 쪽의 비상정지장치(16)의 구성은 한쪽의 비상정지장치(15)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한쪽의 비상정지장치(15)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면에 있어서, 한쪽의 비상정지장치(15)에서는 장착프레임(19)이 엘리베이터칸(1)에 장착되어 있다. 장착프레임(19)에는 상하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상부 가이드로드(guide rod)(20) 및 하부 가이드로드(21)가 장착되어 있다. 상부 가이드로드(20) 및 하부 가이드로드(21)는 서로 평행이고 또한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다.FIG. 2: is a block diagram which shows one emergency stopping apparatus 15 when it sees along arrow A of FIG. 3 is sectional drawing along the III-III line | wire of FIG. In addition, since the structure of the other emergency stop device 16 is the same as the structure of one emergency stop device 15, only one emergency stop device 15 is demonstrated. In the figure, the mounting frame 19 is attached to the car 1 in one emergency stop device 15. The mounting frame 19 is equipped with an upper guide rod 20 and a lower guide rod 21 arranged at intervals from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upper guide rod 20 and the lower guide rod 21 are arranged parallel to each other and horizontally.

장착프레임(19)의 내측에는 하우징(22)이 설치되어 있다. 하우징(22)의 상하에는 슬라이드 가이드(22a ~ 22d)가 설치되어 있다. 슬라이드 가이드(22a, 22c)에는 상부 가이드로드(20)가 관통하고 있다. 슬라이드 가이드(22b, 22d)에는 하부 가이드로드(21)가 관통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하우징(22)은 상부 가이드로드(20) 및 하부 가이드로드(21)에 따라서 장착프레임(19)에 대해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하우징(22)은 엘리베이터칸(1)에 대해서 수평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The housing 22 is installed inside the mounting frame 19. Slide guides 22a to 22d are provided above and below the housing 22. The upper guide rod 20 penetrates the slide guides 22a and 22c. The lower guide rod 21 penetrates the slide guides 22b and 22d. As a result, the housing 22 is slidable relative to the mounting frame 19 along the upper guide rod 20 and the lower guide rod 21. That is, the housing 22 is displaceab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ar 1.

하우징(22)은 하우징 본체(23)와, 하우징 본체(23)로부터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 측으로 돌출하는 장착안내부(24)를 가지고 있다.The housing 22 has a housing main body 23 and a mounting guide portion 24 protruding from the housing main body 23 toward the car guide rail 6 side.

장착안내부(24)는 하우징(22)의 엘리베이터칸(1)에 대한 변위방향에 대해서,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에 대해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 장착안내부(24)는 상하방향을 따라서 배치된 받이부(24a)와, 받이부(24a)의 상단부 및 하단부의 각각으로부터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 측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수평부(24b, 24c)를 가지고 있다.The mounting guide part 24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position shift | deviated with respect to the car guide rail 6 with respect to the displacemen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ar 1 of the housing | casing 22. As shown in FIG. In addition, the mounting guide portion 24 includes a receiving portion 24a dispos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pair of horizontal portions extending from the upper end portion and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receiving portion 24a toward the car guide rail 6. 24b, 24c).

하우징(22)에는 수평방향에 대해서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리시빙레일 맞닿음부(25) 및 가동레일 맞닿음부(26)가 설치되어 있다. 즉,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은 공통의 하우징(22)에 설치된 리시빙레일 맞닿음부(25)와 가동레일 맞닿음부(26)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리시빙레일 맞닿음부(25) 및 가동레일 맞닿음부(26)는 하우징(22)과 함께 변위된다. 또, 리시빙레일 맞닿음부(25) 및 가동레일 맞닿음부(26)는 하우징(22)의 장착프레 임(19)에 대한 변위에 의해,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에 각각 접리 가능하게 되어 있다.The housing 22 is provided with a receiving rail contact portion 25 and a movable rail contact portion 26 which face each other with the car guide rail 6 interpos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at is, the car guide rail 6 is arrange | positioned between the receiving rail contact part 25 and the movable rail contact part 26 provided in the common housing 22. As shown in FIG. As a result, the receiving rail abutting portion 25 and the movable rail abutting portion 26 are displaced together with the housing 22. In addition, the receiving rail contacting portion 25 and the movable rail contacting portion 26 are each foldable to the car guide rail 6 by the displacement of the housing 22 with respect to the mounting frame 19. It is.

리시빙레일 맞닿음부(25)는 각 수평부(24b, 24c)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리시빙레일 맞닿음부(25)는 각 수평부(24b, 24c)를 따라서 안내된다. 리시빙레일 맞닿음부(25)에는 받이부(24a)를 관통하는 복수(본 예에서는 2개)의 계단식 볼트(27)가 고정되어 있다. 각 계단식 볼트(27)는 받이부(24a)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리시빙레일 맞닿음부(25)는 하우징(22)에 대해서 수평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The receiving rail abutting part 25 is arrange | positioned between each horizontal part 24b, 24c. The receiving rail contact portion 25 is guided along each of the horizontal portions 24b and 24c. A plurality of stepped bolts 27 penetrating the receiving portion 24a (two in this example) are fixed to the receiving rail contact portion 25. Each stepped bolt 27 is slidab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receiving part 24a. As a result, the receiving rail contacting portion 25 is displaceab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housing 22.

리시빙레일 맞닿음부(25)와 받이부(24a) 사이(즉, 리시빙레일 맞닿음부(25)를 중심으로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 측과는 반대 측)에는 공통의 계단식 볼트(27)가 각각 통과된 가압요소(28) 및 조정요소(29)가 배치되어 있다.A common stepped bolt is formed between the receiving rail contact portion 25 and the receiving portion 24a (that is, the side opposite to the car guide rail 6 side around the receiving rail contact portion 25). The pressing element 28 and the adjusting element 29 through which 27 are passed are disposed.

가압요소(28)는, 예를 들면 복수의 접시 스프링(Belleville spring)을 가지고 있다. 가압요소(28)는 접시 스프링이 수축되는 것에 의한 탄성반발력에 의해,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에 가까워지는 방향(즉, 받이부(24a)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리시빙레일 맞닿음부(25)를 가압하고 있다. 조정요소(29)는 가압요소(28)의 탄성반발력의 크기를 조정한다. 본 예에서는, 조정요소(29)는 서로 겹쳐진 복수의 스페이서(spacer)를 가지고 있다. 가압요소(28)의 탄성반발력의 크기의 조정은 스페이서의 매수의 조정에 의해 행해진다.The pressing element 28 has, for example, a plurality of Belleville springs. The pressing element 28 receives the receiving rail contact portion 25 in a direction closer to the car guide rail 6 (that is, away from the receiving portion 24a) by the elastic repulsive force due to the contraction of the disc spring. ) Is pressurized. The adjusting element 29 adjusts the magnitude of the elastic repulsive force of the pressing element 28. In this example, the adjusting element 29 has a plurality of spacers which overlap each other. The adjustment of the magnitude of the elastic repulsive force of the pressing element 28 is performed by adjusting the number of spacers.

각 계단식 볼트(27)에는 와셔(washer)(30)가 통과됨과 동시에, 위치결정너트(31)가 나사결합되어 있다. 와셔(30) 및 위치결정너트(31)는 받이부(24a)에 대해 서 결합 가능하게 되어 있다. 리시빙레일 맞닿음부(25)의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의 변위는 와셔(30) 및 위치결정너트(31)의 받이부(24a)에 대한 결합에 의해 규제된다. 리시빙레일 맞닿음부(25)의 하우징(22)에 대한 수평방향에 대해서의 위치조정은 위치결정너트(31)의 계단식 볼트(27)에 대한 나사결합량의 조정에 의해 행해진다.A washer 30 passes through each stepped bolt 27, and a positioning nut 31 is screwed into it. The washer 30 and the positioning nut 31 can be engaged with the receiving part 24a. The displacement of the receiving rail contacting portion 25 in the direction closer to the car guide rail 6 is regulated by engagement of the washer 30 and the receiving portion 24a of the positioning nut 31. Position adjustment of the receiving rail abutment part 25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housing | casing 22 is performed by adjustment of the screwing amount with respect to the stepped bolt 27 of the positioning nut 31. As shown in FIG.

리시빙레일 맞닿음부(25)가 받이부(24a)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변위될 때에는, 가압요소(28)는 리시빙레일 맞닿음부(25)의 변위에 거슬러 더욱 큰 탄성반발력을 발생한다.When the receiving rail abutting portion 25 is displaced in a direction closer to the receiving portion 24a, the pressing element 28 generates a greater elastic repulsion force against the displacement of the receiving rail abutting portion 25. .

가동레일 맞닿음부(26)는 하우징 본체(23)에 베어링(33)(도 3)을 통하여 장착된 수평축(주축)(32)에 고정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베어링(33)은 미끄럼 베어링으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가동레일 맞닿음부(26)는 주축(32)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가동레일 맞닿음부(26)의 형상은 상하방향으로의 회동에 의해 리시빙레일 맞닿음부(25)와의 간격이 연속적으로 작아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가동레일 맞닿음부(26)와 리시빙레일 맞닿음부(25) 사이의 간격은 가동레일 맞닿음부(26)의 회동 전(前)이 최대이고, 가동레일 맞닿음부(26)의 회동량이 커짐에 따라서 연속적으로 작아진다.The movable rail abutting portion 26 is fixed to a horizontal shaft (main shaft) 32 attached to the housing main body 23 via a bearing 33 (FIG. 3). In this example, the bearing 33 is a sliding bearing. As a result, the movable rail abutting portion 26 is rotat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about the main shaft 32. The shape of the movable rail abutting portion 26 is a shape in which the interval with the receiving rail abutting portion 25 is continuously reduced by rota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reby, the space | interval between the movable rail abutting part 26 and the receiving rail abutting part 25 is the largest before rotation of the movable rail abutting part 26, and the movable rail abutting part ( 26), the amount of rotation in turn decreases continuously.

즉, 가동레일 맞닿음부(26)는 주축(32)을 중심으로 한 회동에 의해, 리시빙레일 맞닿음부(25)와의 간격이 소정의 거리가 되는 중립위치와, 중립위치보다도 위쪽 및 아래쪽의 각각에 위치하여 리시빙레일 맞닿음부(25)와의 간격이 소정의 거리보다도 좁아지는 한 쌍의 제동위치와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한 캠으로 되어 있다.That is, the movable rail abutting part 26 is a neutral position where the space | interval with the receiving rail abutting part 25 becomes a predetermined distance by the rotation about the main shaft 32, and it is upper and lower than a neutral position. It is a cam which can be displaced between a pair of braking positions which are located in each of and whose space | interval with the receiving rail contact part 25 becomes narrower than predetermined distance.

중립위치에 있을 때의 가동레일 맞닿음부(26)와 리시빙레일 맞닿음부(25) 사이의 거리(즉, 소정의 거리)는 엘리베이터칸(1)의 편심하중에 의해서 엘리베이터칸(1)이 기울었을 때에도 가동레일 맞닿음부(26) 및 리시빙레일 맞닿음부(25)의 각각이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로부터 떨어진 상태를 유지 가능한 거리로 되어 있다. 소정의 거리의 조정은 위치결정너트(31)의 계단식 볼트(27)에 대한 나사결합량의 조정에 의해 행해진다.The distance between the movable rail contact portion 26 and the receiving rail contact portion 25 (ie, a predetermined distance) when the vehicle is in the neutral position is determined by the eccentric load of the car 1. Even when this tilts, each of the movable rail abutting portion 26 and the receiving rail abutting portion 25 is a distance capable of maintaining a state away from the car guide rail 6. The predetermined distance is adjusted by adjusting the amount of screwing with respect to the stepped bolt 27 of the positioning nut 31.

가동레일 맞닿음부(26)는 엘리베이터칸(1)의 이동시에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에 접촉하는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칸(1)의 이동방향에 따른 방향으로 회동된다. 즉, 가동레일 맞닿음부(26)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에 접촉하면, 엘리베이터칸(1)이 하강하고 있을 때에는 가동레일 맞닿음부(26)가 중립위치에서부터 위쪽의 제동위치로 변위되고, 엘리베이터칸(1)이 상승하고 있을 때에 가동레일 맞닿음부(26)가 중립위치에서부터 아래쪽의 제동위치로 변위된다.The movable rail abutting part 26 is rotated in the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car 1 by contacting the car guide rail 6 at the time of movement of the car 1. That is, when the movable rail abutting part 26 contacts the car guide rail 6, when the cage | basket | car 1 descend | falls, the movable rail abutting part 26 displaces from a neutral position to a braking position upwards. The movable rail abutting portion 26 is displaced from the neutral position to the lower braking position when the car 1 is raised.

가동레일 맞닿음부(26)는 가동레일 맞닿음부 본체(34)와, 가동레일 맞닿음부 본체(34)에 설치된 상부 제동슈(35) 및 하부 제동슈(36)(한 쌍의 제동슈)를 가지고 있다.The movable rail abutting portion 26 includes a movable rail abutting body 34 and an upper braking shoe 35 and a lower braking shoe 36 (a pair of braking shoes provided on the movable rail abutting body 34). Has)

가동레일 맞닿음부 본체(34)의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 측의 외주부에는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이 접촉 가능한 레일접촉면이 형성되어 있다. 레일접촉면은 중앙접촉면(34a)과, 중앙접촉면(34a)의 상단부에 연속하는 곡면인 상부 접촉곡면(상부 곡면부)(34b)과, 중앙접촉면(34a)의 하단부에 연속하는 곡면인 하부 접촉곡면(하부 곡면부)(34c)을 가지고 있다.The rail contact surface which the car guide rail 6 can contact is formed in the outer peripheral part of the car guide rail 6 side of the movable rail contact part main body 34. As shown in FIG. The rail contact surface is a lower contact curved surface that is a continuous surface at the lower end of the center contact surface 34a, an upper contact curved surface (upper curved portion) 34b that is a curved surface that is continuous to the upper end of the central contact surface 34a, and a central contact surface 34a. (Lower surface part) 34c.

본 예에서는, 중앙접촉면(34a)은 가동레일 맞닿음부(26)의 회동중심(Cn)을 통과하는 지름방향에 따른 직선에 대해서 수직인 평면이다. 또, 상부 접촉곡면(34b)은 회동중심(Cn)으로부터 위쪽으로 오프셋한 위치(Pup)를 중심으로 하는 원통면이다. 더욱, 하부 접촉곡면(34c)은 회동중심(Cn)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오프셋한 위치(Pdn)를 중심으로 하는 원통면이다. 또한, 상부 접촉곡면(34b)의 중심(Pup)은 회동중심(Cn)을 중심으로 한 X-Y좌표의 제2 사분 공간의 Y축 부근에, 하부 접촉곡면(34c)의 중심(Pdn)은 제3 사분 공간의 Y축 부근에 위치하고 있다.In this example, the center contact surface 34a is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straight line along the radial direction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rotation Cn of the movable rail abutting portion 26. Moreover, the upper contact curved surface 34b is a cylindrical surface centered on the position Pup which is offset upward from the rotation center Cn. Further, the lower contact curved surface 34c is a cylindrical surface centered on the position Pdn offset downward from the rotation center Cn. Further, the center Pup of the upper contact curved surface 34b is near the Y axis of the second quadrant space of the XY coordinates centered on the rotational center Cn, and the center Pdn of the lower contact curved surface 34c is the third. It is located near the Y axis of the quadrant space.

또, 본 예에서는, 각 접촉곡면(34b, 34c)의 각각의 중심(Pup 및 Pdn)과 회동중심(Cn) 사이의 Y축방향(연직방향)에 대한 치수(LY)와, 가동레일 맞닿음부(26)의 레일접촉점과 회동중심(Cn) 사이의 X축방향(수평방향)에 대한 치수(LX)의 비 γ(= LY / LX)에 대해서, 각 접촉곡면(34b, 34c)의 각각과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 사이의 마찰계수 μ가 커지도록(즉, γ < μ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가동레일 맞닿음부(26)의 가압력에 의한 복귀회전력(제동시에 회동되어야 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에 대해서 가동레일 맞닿음부(26)의 가압력에 대한 마찰력을 크게 할 수 있어, 가동레일 맞닿음부(26)를 보다 확실히 회동시킬 수 있다. 치수비 γ의 값을 작게 하기 위해서는 각 접촉곡면(34b, 34c)의 원통면의 반경(R)을 크게 하면 된다. 또, 마찰계수 μ를 크게 하기 위해서는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을 무급유(無給油) 가이드로 안내하여 기름성분의 부착이 방지되는 구조로 하거나,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에 박히는 다수의 미소 돌기를 각 접촉곡면(34b, 34c)에 형성하거나 하는 것을 들 수 있다.In this example, the movable rail abuts against the dimension LY of the Y axis direction (vertical direction) between the respective centers Pup and Pdn of the contact curved surfaces 34b and 34c and the rotational center Cn. Each of the contact curved surfaces 34b and 34c with respect to the ratio γ (= LY / LX) of the dimension LX to the X-axis direction (horizontal direction) between the rail contact point of the section 26 and the rotational center Cn And the friction coefficient μ between the car guide rail 6 and the car guide rail 6 are set to be large (that is, γ <μ). In this way, the frictional force with respect to the pressing force of the movable rail abutting part 26 is large against the return rotational force (the load acting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to be rotated at the time of braking) by the pressing force of the movable rail abutting part 26. The movable rail abutting part 26 can be rotated more reliably. In order to reduce the value of the dimension ratio γ, the radius R of the cylindrical surfaces of the contact curved surfaces 34b and 34c may be increased. In order to increase the friction coefficient μ, the car guide rail 6 is guided by a lubrication-free guide to prevent oil from adhering to the car guide rail, or a large number of minute protrusions that are lodged in the car guide rail 6. May be formed on each of the contact curved surfaces 34b and 34c.

상부 제동슈(35)는 상부 접촉곡면(34b)의 상단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상부 제동슈(35)에는 평면인 상부 마찰면(상부 평면부)(35a)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 제동슈(35)의 상부마찰면(35a)이 형성된 부분은 상부 접촉곡면(34b)의 상단보다도 소정량만큼 돌출해 있다.The upper braking shoe 35 is disposed adjacent to the upper end of the upper contact curved surface 34b. The upper braking shoe 35 is formed with a flat upper friction surface (upper planar portion) 35a. The portion where the upper friction surface 35a of the upper braking shoe 35 is formed protrudes by a predetermined amount from the upper end of the upper contact curved surface 34b.

상부 제동슈(35)의 배면과 회동레일 맞닿음부 본체(34) 사이에는 상부 제동슈(35)의 레일접촉면으로부터의 돌출량을 조정할 수 있는 스페이서(37)가 설치되어 있다. 상부 제동슈(35)의 돌출량의 조정은 스페이서(37)의 두께의 조정에 의해 행해진다.Between the rear surface of the upper braking shoe 35 and the rotation rail contacting part main body 34, a spacer 37 for adjusting the amount of protrusion from the rail contact surface of the upper braking shoe 35 is provided. The protrusion amount of the upper braking shoe 35 is adjusted by adjusting the thickness of the spacer 37.

하부 제동슈(36)는 하부 접촉곡면(34c)의 하단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하부 제동슈(36)에는 평면인 하부 마찰면(하부 평면부)(36a)이 형성되어 있다. 하부 제동슈(36)의 하부마찰면(36a)이 형성된 부분은 하부 접촉곡면(34c)의 하단보다도 소정량만큼 돌출해 있다.The lower braking shoe 36 is disposed adjacent to the lower end of the lower contact curved surface 34c. The lower braking shoe 36 is formed with a flat lower friction surface (lower flat portion) 36a. The portion where the lower friction surface 36a of the lower braking shoe 36 is formed protrudes by a predetermined amount from the lower end of the lower contact curved surface 34c.

하부 제동슈(36)의 배면과 회동레일 맞닿음부 본체(34) 사이에는 하부 제동슈(36)의 레일접촉면으로부터의 돌출량을 조정할 수 있는 스페이서(38)가 설치되어 있다. 하부 제동슈(36)의 돌출량의 조정은 스페이서(38)의 두께의 조정에 의해 행해진다. 본 예에서는 상부 제동슈(35) 및 하부 제동슈(36)의 레일접촉면으로부터의 각 돌출량은 거의 동일하게 되어 있다.Between the rear surface of the lower brake shoe 36 and the main body 34 of the rotation rail contacting part, a spacer 38 for adjusting the amount of protrusion from the rail contact surface of the lower brake shoe 36 is provided. The protrusion amount of the lower braking shoe 36 is adjusted by adjusting the thickness of the spacer 38. In this example, the protrusion amounts from the rail contact surfaces of the upper braking shoe 35 and the lower braking shoe 36 are substantially the same.

가동레일 맞닿음부(26)는, 통상은 중립위치에 유지되어 있다(도 2). 따라서, 가동레일 맞닿음부(26)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 측으로 변위되면,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에는 중앙접촉면(34a)이 접촉한다. 엘리베이터칸(1)이 이동하고 있을 때에 중앙접촉면(34a)이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에 접촉하면, 가동레일 맞닿음부(26)는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에 끌려, 중립위치에서부터 위쪽 및 아래쪽 중 어느 한 제동위치로 변위된다. 가동레일 맞닿음부(26)가 위쪽의 제동위치에 이르면,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이 하부 제동슈(36)와 리시빙레일 맞닿음부(25) 사이에서 파지되고, 가동레일 맞닿음부(26)가 아래쪽의 제동위치에 이르면,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이 상부 제동슈(35)와 리시빙레일 맞닿음부(25) 사이에서 파지된다.The movable rail abutting part 26 is normally maintained in the neutral position (FIG. 2). Therefore, when the movable rail contact part 26 is displaced toward the car guide rail 6 side, the center contact surface 34a is in contact with the car guide rail 6. When the center contact surface 34a contacts the car guide rail 6 while the car 1 is moving, the movable rail contacting portion 26 is attracted to the car guide rail 6 and moves upward from the neutral position. And a downward braking position. When the movable rail contact portion 26 reaches the upper braking position, the car guide rail 6 is gripped between the lower brake shoe 36 and the receiving rail contact portion 25, and the movable rail contact portion When 26 reaches the lower braking position, the car guide rail 6 is gripped between the upper braking shoe 35 and the receiving rail abutting portion 25.

한쪽의 비상정지장치(15)의 구성의 설명은 이상이다. 다른 쪽의 비상정지장치(16)에 대해서도 한쪽의 비상정지장치(15)와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Description of the structure of one emergency stop device 15 is as above. The other emergency stop device 16 also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at of one emergency stop device 15.

연결부재(17)는 각 주축(32)에 고정됨으로써, 각 비상정지장치(15, 16)의 가동레일 맞닿음부(26)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도 3). 즉, 각 가동레일 맞닿음부(26), 각 주축(32) 및 연결부재(17)는 엘리베이터칸(1)에 대해서 일체로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각 주축(32) 및 연결부재(17)의 각각은 수평의 동축상에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연결부재(17)는 각 가동레일 맞닿음부(26)의 회동에 따라 그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된다.The connecting member 17 is fixed to each main shaft 32, and is connected between the movable rail abutting parts 26 of the emergency stop devices 15 and 16 (FIG. 3). That is, each movable rail abutment part 26, each main shaft 32, and the connection member 17 are integrally displaceable with respect to the car 1. As shown in FIG. Moreover, each of the main shaft 32 and the connection member 17 is arrange | positioned on the horizontal coaxial axis. As a result, the connecting member 17 is rotated about its axis as the movable rail abutting portions 26 rotate.

전자구동장치(18)는 한쪽의 비상정지장치(15)의 가동레일 맞닿음부(26)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에 접촉하는 방향으로 하우징(22)을 가압하는 복수의 제1 가압스프링(제1 가압체)(39)과, 다른 쪽의 비상정지장치(16)의 가동레일 맞닿음부(26)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에 접촉하는 방향으로 하우징(22)을 가압하는 복수의 제2 가압스프링(제2 가압체)(40)(도 3)과, 제1 가압스프링(39) 및 제2 가압 스프링(40)의 각 가압력에 거슬러 연결부재(17)의 변위를 규제할 수 있는 유지·개방기구(41)를 가지고 있다.The electromagnetic drive device 18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pressure springs that press the housing 22 in a direction in which the movable rail contact portion 26 of one of the emergency stop devices 15 contacts the car guide rail 6. (1st press body) 39 and the plurality which presses the housing 22 in the direction which the movable rail contact part 26 of the other emergency stop device 16 contacts the car guide rail 6 The displacement of the connecting member 17 can be regulated against each pressing force of the second pressure spring (second pressure body) 40 (FIG. 3) and the first pressure spring 39 and the second pressure spring 40. It has a holding / opening mechanism 41 that can be used.

제1 가압스프링(39)은 한쪽의 비상정지장치(15)의 슬라이드 가이드(22a, 22b)와 장착프레임(19)의 일단부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제2 가압스프링(40)은 다른 쪽의 비상정지장치(16)의 슬라이드 가이드(22a, 22b)와 장착프레임(19)의 일단부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제1 및 제2 가압스프링(39, 40)으로서는, 예를 들면 코일스프링 등이 이용되고 있다. 제1 및 제2 가압스프링(39, 40)에는 상부 가이드로드(20) 및 하부 가이드로드(21)가 각각 통과되고 있다.The first press spring 39 is provided between the slide guides 22a and 22b of one of the emergency stop devices 15 and one end of the mounting frame 19. The second press spring 40 is provided between the slide guides 22a and 22b of the other emergency stop device 16 and one end of the mounting frame 19. As the first and second pressure springs 39 and 40, for example, a coil spring or the like is used. The upper guide rod 20 and the lower guide rod 21 pass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pressure springs 39 and 40, respectively.

유지·개방기구(41)는 엘리베이터칸(1)에 대해서 고정된 지지체(42)에 장착되어 있다. 또, 유지·개방기구(41)는 지지체(42)에 대해서 수평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막대 모양의 누름핀(43)과, 누름핀(43)의 선단부에 나사결합되어 연결부재(17)에 맞닿는 틈새조정나사(44)와, 누름핀(43)을 변위시키는 전자마그넷(45)을 가지고 있다.The holding / opening mechanism 41 is attached to a support 42 fixed to the car 1. In addition, the holding / opening mechanism 41 is a rod-shaped push pin 43 which is displaceab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upport 42, and a gap which is screwed to the distal end of the push pin 43 to abut on the connecting member 17. The adjustment screw 44 and the electromagnetic magnet 45 which displace the push pin 43 are provided.

누름핀(43)은 각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로부터 각 가동레일 맞닿음부(26)를 각각 개리시킨 상태로 연결부재(17)의 변위를 규제하는 유지위치(도 3)와, 유지위치로부터 후퇴하여 연결부재(17)의 규제를 해제하는 해제위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누름핀(43)이 변위되는 방향은 연결부재(17)의 길이방향에 대해서 교차하는 방향으로 되어 있다.The pressing pin 43 is a holding position (FIG. 3) for regulating the displacement of the connecting member 17 in a state where each movable rail abutting portion 26 is opened from each car guide rail 6, and the holding position. It is possible to displace between the release positions for retreating from and releasing the restric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17. The direction in which the push pin 43 is displaced is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17.

전자마그넷(45)은 지지체(42)에 고정된 고정철심(46)과, 고정철심(46)에 조립된 전자코일(47)과, 고정철심(46)에 대해서 변위 가능한 가동철심(48)을 가지고 있다.The electromagnetic magnet 45 includes a fixed iron core 46 fixed to the support 42, an electromagnetic coil 47 assembled to the fixed iron core 46, and a movable iron core 48 that can be displaced with respect to the fixed iron core 46. Have.

가동철심(48)의 중앙에는 누름핀(43)이 고정되어 있다. 또, 누름핀(43)은 고정철심(46)의 중심을 관통하고 있다. 누름핀(43)에는 복수의 조정너트(72)가 나사결합되어 있다. 가동철심(48)과 고정철심(46) 사이의 틈새의 크기는 조정너트(72)의 누름핀(43)에 대한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소정의 값으로 설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누름핀(43)의 변위량은 가동철심(48)과 고정철심(46) 사이의 틈새의 조정에 의해 조정된다.The push pin 43 is fixed to the center of the movable core 48. In addition, the push pin 43 penetrates the center of the fixed core 46. A plurality of adjustment nuts 72 are screwed to the push pin 43. The size of the gap between the movable core 48 and the fixed core 46 can be set to a predetermined value 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adjusting nut 72 with respect to the push pin 43. The displacement amount of the push pin 43 is adjusted by adjusting the clearance between the movable core 48 and the fixed iron core 46.

틈새조정나사(44)는 누름핀(43)의 선단부로부터 돌출해 있다. 연결부재(17)의 변위는 연결부재(17)의 중간부가 틈새조정나사(44)에 결합됨으로써 규제된다. 틈새조정나사(44)의 누름핀(43)에 대한 돌출량은 틈새조정나사(44)의 누름핀(43)에 대한 나사결합량의 조정에 의해 조정된다. 누름핀(43)이 유지위치에 있을 때의 가동레일 맞닿음부(26) 및 리시빙레일 맞닿음부(25)의 각각과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 사이의 틈새 치수는 틈새조정나사(44)의 누름핀(43)에 대한 돌출량의 조정에 의해 조정된다.The clearance adjusting screw 44 protrudes from the distal end of the push pin 43. The displacement of the connecting member 17 is restricted by the intermediate por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17 being coupled to the gap adjusting screw 44. The protruding amount of the clearance adjusting screw 44 with respect to the push pin 43 is adjusted by adjusting the screwing amount of the clearance adjusting screw 44 with respect to the pushing pin 43. The clearance dimension between each of the movable rail abutment portion 26 and the receiving rail abutment portion 25 and the car guide rail 6 when the push pin 43 is in the holding position is the clearance adjustment screw 44. ) Is adjusted by adjusting the amount of protrusion on the push pin 43.

가동철심(48)은 전자마그넷(45)이 여자(勵磁)됨으로써, 고정철심(46)에 흡착되어 유지된다. 누름핀(43)은 고정철심(46)에 의한 가동철심(48)의 흡착에 의해, 고정철심(46)에 대해서 움직이지 않도록 유지된다. 즉, 누름핀(43)의 위치는 고정철심(46)에 의한 가동철심(48)의 흡착에 의해 유지위치에 유지된다.The movable core 48 is attracted to and held by the fixed core 46 by being excited by the electromagnetic magnet 45. The push pin 43 is held so as not to move with respect to the fixed iron core 46 by the suction of the movable iron core 48 by the fixed iron core 46. That is, the position of the push pin 43 is maintained in the holding position by the suction of the movable iron core 48 by the fixed iron core 46.

전자마그넷(45)의 유지력은 제1 및 제2 가압스프링(39, 40)의 가압력을 이겨내도록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각 비상정지장치(15, 16)에서는 전자마그넷(45)의 여자에 의해, 리시빙레일 맞닿음부(25) 및 가동레일 맞닿음부(26)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로부터 떨어진 상태로 유지된다.The holding force of the electromagnetic magnet 45 is set to withstand the pressing force of the first and second pressure springs 39 and 40. Therefore, in each of the emergency stop devices 15 and 16, the receiving rail contacting portion 25 and the movable rail contacting portion 26 are separated from the car guide rail 6 by the excitation of the electromagnetic magnet 45. Stays in the state.

또, 누름핀(43)의 유지위치에서의 유지는 전자마그넷(45)의 여자의 정지에 의해서 해제된다. 따라서, 누름핀(43)은 전자마그넷(45)의 여자가 정지되면, 제1 및 제2 가압스프링(39, 40)의 가압력에 의해, 연결부재(17)로 눌리면서 유지위치로부터 해제위치로 변위된다. 이것에 의해, 각 비상정지장치(15, 16)에서는 가동레일 맞닿음부(26)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에 접촉하는 방향으로 변위된다.The holding of the push pin 43 in the holding position is released by the excitation of the excitation of the electromagnetic magnet 45. Therefore, the push pin 43 is displaced from the holding position to the release position while being pressed by the connecting member 17 by the pressing force of the first and second pressure springs 39 and 40 when the excitation of the electromagnetic magnet 45 is stopped. do. As a result, in each of the emergency stop devices 15 and 16, the movable rail contact portion 26 is displaced in the direction of contact with the car guide rail 6.

연결부재(17)에는 각 가동레일 맞닿음부(26)의 위치가 중립위치로 변위하는 방향으로 연결부재(17)를 가압하는 중립가압장치(49)가 지지되어 있다. 중립가압장치(49)는 한 쌍의 비틀림 스프링(twist spring)(50)과, 비틀림 스프링(50)의 일단부가 접속되어 지지체(42)에 각각 설치된 한 쌍의 슬라이드판(51)과, 비틀림 스프링(50)의 타단부가 접속되어 연결부재(17)에 고정된 한 쌍의 고정핀(52)을 가지고 있다.The connecting member 17 is supported by a neutral pressure device 49 for pressing the connecting member 17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positions of the movable rail abutting portions 26 are displaced to the neutral position. The neutral pressure device 49 has a pair of torsion springs 50, a pair of slide plates 51 connected to one end of the torsion spring 50 and installed on the support 42, respectively, and a torsion spring. The other end of 50 has a pair of fixing pins 52 fixed to the connecting member 17.

각 슬라이드판(51)에는 연결부재(17)가 회전 가능하게 관통하고 있다. 각 슬라이드판(51)은 지지체(42)에 대한 회전이 규제되어 있음과 동시에, 연결부재(17)가 변위되는 수평방향에 대해 지지체(42)에 대해서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Each slide plate 51 penetrates through the connecting member 17 rotatably. Each slide plate 51 is restricted from rotation with respect to the support 42, and is displaceable with respect to the support 42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which the connecting member 17 is displaced.

비틀림 스프링(50)은 코일스프링으로 되어 있다. 연결부재(17)는 각 비틀림 스프링(50) 내에 통해져 있다. 각 비틀림 스프링(50)은 각 가동레일 맞닿음부(26)가 중립위치에서부터 각 제동위치 중 어느 한쪽으로 변위되는 방향으로 연결부재(17)가 회전됨으로써 탄성변형된다. 각 비틀림 스프링(50)의 탄성변형은 각 가동 레일 맞닿음부(26)가 중립위치로 변위되면 해제된다. 즉, 각 가동레일 맞닿음부(26)가 중립위치에서부터 위쪽 및 아래쪽 중 어느 한쪽으로 변위되면, 각 가동레일 맞닿음부(26)는 각 비틀림 스프링(5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중립위치로 변위되는 방향으로 가압된다.Torsion spring 50 is a coil spring. The connecting member 17 passes through each torsion spring 50. Each torsion spring 50 is elastically deformed by rotating the connecting member 17 in a direction in which each movable rail contact portion 26 is displaced from a neutral position to either of the braking positions. The elastic deformation of each torsion spring 50 is released when each movable rail contact portion 26 is displaced to the neutral position. That is, when each movable rail contact part 26 is displaced from the neutral position to either the upper side or the lower side, each movable rail contact part 26 is moved to the neutral position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each torsion spring 50. Pressurized in the direction of displacement.

한쪽의 슬라이드판(51)에는 검출장치 장착부재(53)가 고정되어 있다. 검출장치 장착부재(53) 및 연결부재(17)에는 각 가동레일 맞닿음부(26)의 중립위치에서부터 위쪽 및 아래쪽의 각각으로의 변위를 검출하는 검출장치(54)가 설치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검출장치(54)는 가동레일 맞닿음부(26)의 제동위치로의 변위를 위쪽 및 아래쪽의 각각에 대해 검출하도록 되어 있다. 검출장치(54)는 연결부재(17)의 회전(변위)을 검출함으로써, 가동레일 맞닿음부(26)의 각 제동위치로의 변위의 유무를 검출한다.The detection device mounting member 53 is fixed to one slide plate 51. The detection device mounting member 53 and the connection member 17 are provided with a detection device 54 for detecting a displacement from the neutral position of each movable rail abutting portion 26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respectively. In this example, the detection device 54 is configured to detect the displacement of the movable rail abutting portion 26 to the braking position for each of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The detecting device 54 detects the rotation (displacement) of the connecting member 17, thereby detec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displacement of the movable rail abutting portion 26 to each braking position.

검출장치(54)는 연결부재(17)의 중간부에 고정된 원통형의 검출부재(55)와, 검출부재(55)의 회전을 검출함으로써, 각 가동레일 맞닿음부(26)의 위쪽의 제동위치로의 변위를 검출하는 위쪽 변위 검출스위치(위쪽 변위 검출부)(56)와, 검출부재(55)의 회동을 검출함으로써, 각 가동레일 맞닿음부(26)의 아래쪽의 제동위치로의 변위를 검출하는 아래쪽 변위 검출스위치(아래쪽 변위 검출부)(57)를 가지고 있다.The detection device 54 detects the rotation of the cylindrical detection member 55 fixed to the intermediate por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17 and the rotation of the detection member 55, thereby braking the upper side of each movable rail contact portion 26. By detecting the rotation of the upper displacement detecting switch (upper displacement detecting section) 56 and the detecting member 55 to detect the displacement to the position, the displacement of the movable rail abutting portion 26 to the lower braking position is detected. It has a downward displacement detection switch (lower displacement detection part) 57 to detect.

위쪽 변위 검출스위치(56) 및 아래쪽 변위 검출스위치(57)는 검출장치 장착부재(53)에 고정되어 있다. 또, 위쪽 변위 검출스위치(56) 및 아래쪽 변위 검출스위치(57)는 스위치 본체(58)와, 스위치 본체(58)에 대해서 진퇴 가능한 플런져(59) 와, 플런져(59)의 선단부에 설치된 롤러(60)를 각각 가지고 있다. 위쪽 변위 검출스위치(56) 및 아래쪽 변위 검출스위치(57)는 플런져(59)가 스위치 본체(58)로 밀어 넣어짐으로써 ON상태(검출상태)가 되고, 가압력이 해제되어 플런져(59)가 통상위치로 복귀함으로써 OFF상태(비검출상태)가 된다.The upper displacement detecting switch 56 and the lower displacement detecting switch 57 are fixed to the detecting device mounting member 53. In addition, the upper displacement detecting switch 56 and the lower displacement detecting switch 57 are provided in the switch main body 58, the plunger 59 which can move back and forth with respect to the switch main body 58, and the distal end of the plunger 59. It has the roller 60, respectively. The upper displacement detecting switch 56 and the lower displacement detecting switch 57 are turned on (detected state) by the plunger 59 being pushed into the switch main body 58, and the pressing force is released to release the plunger 59. Returns to the normal position to enter the OFF state (non-detection state).

검출부재(55)의 외주부에는 위쪽 변위 검출스위치(56)의 롤러(60)가 삽입되는 위쪽 검출 홈(61)과, 아래쪽 변위 검출스위치(57)의 롤러(60)가 삽입되는 아래쪽 검출 홈(62)이 형성되어 있다. 위쪽 검출 홈(61) 및 아래쪽 검출 홈(62)은 연결부재(17)의 회전방향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연결부재(17)의 회전방향에 대한 위쪽 검출 홈(61) 및 아래쪽 검출 홈(62)의 위치는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다.The upper detection groove 61 into which the roller 60 of the upper displacement detection switch 56 is inserted and the lower detection groove into which the roller 60 of the lower displacement detection switch 57 is inserted into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detection member 55 ( 62) is formed. The upper detection groove 61 and the lower detection groove 62 are formed along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17. Positions of the upper detection groove 61 and the lower detection groove 62 with respect to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17 are arranged to be offset from each other.

가동레일 맞닿음부(26)가 중립위치에 있을 때에는 위쪽 변위 검출스위치(56) 및 아래쪽 변위 검출스위치(57)의 롤러(60) 모두가 각 검출 홈(61, 62)에 삽입된 채로 있다. 이 때에는 위쪽 변위 검출스위치(56) 및 아래쪽 변위 검출스위치(57)는 모두 OFF상태로 되어 있다.When the movable rail abutting portion 26 is in the neutral position, both the roller 60 of the upper displacement detecting switch 56 and the lower displacement detecting switch 57 remain inserted in the respective detection grooves 61 and 62. At this time, both the upper displacement detecting switch 56 and the lower displacement detecting switch 57 are in an OFF state.

각 가동레일 맞닿음부(26)가 위쪽의 제동위치에 이르면, 위쪽 변위 검출스위치(56)의 롤러(60)만이 위쪽 검출 홈(61)으로부터 벗어난다. 이것에 의해, 위쪽 변위 검출스위치(56)의 플런져(59)가 검출부재(55)의 외주부에 의해 밀어 넣어져 위쪽 변위 검출스위치(56)만이 ON상태가 된다. 각 가동레일 맞닿음부(26)가 아래쪽의 제동위치에 이르면, 아래쪽 변위 검출스위치(57)의 롤러(60)만이 아래쪽 검출 홈(62)으로부터 벗어난다. 이것에 의해, 아래쪽 변위 검출스위치(57)의 플런져(59)가 검출부재(55)의 외주부에 의해 밀어 넣어져 아래쪽 변위 검출스위치(57)만이 ON 상태가 된다. 검출장치(54)는 위쪽 변위 검출스위치(56)가 ON상태가 됨으로써 가동레일 맞닿음부(26)가 위쪽의 제동위치에 이른 것을 검출하고, 아래쪽 변위 검출스위치(57)가 ON상태가 됨으로써 가동레일 맞닿음부(26)가 아래쪽의 제동위치에 이른 것을 검출한다.When each movable rail abutting portion 26 reaches the upper braking position, only the roller 60 of the upper displacement detecting switch 56 is released from the upper detecting groove 61. As a result, the plunger 59 of the upper displacement detecting switch 56 is pushed by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detecting member 55 so that only the upper displacement detecting switch 56 is turned on. When each movable rail abutting portion 26 reaches the lower braking position, only the roller 60 of the lower displacement detecting switch 57 is released from the lower detecting groove 62. As a result, the plunger 59 of the lower displacement detecting switch 57 is pushed by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detecting member 55 so that only the lower displacement detecting switch 57 is turned ON. The detection device 54 detects that the movable rail abutting portion 26 has reached the upper braking position by turning the upper displacement detecting switch 56 ON, and operates by turning the lower displacement detecting switch 57 ON. It detects that the rail contact part 26 reached the lower braking position.

한쪽의 비상정지장치(15)에는 기계식 백업기구(63)가 연결되어 있다. 백업기구(63)는 엘리베이터칸(1)의 이동에 수반하여 이동하는 조속기 로프(도시하지 않음)와, 엘리베이터칸(1)의 이동속도가 소정의 과속도에 이르렀을 때에 조속기 로프를 구속함으로써, 조속기 로프의 이동을 저지하는 조속기(도시하지 않음)와, 엘리베이터칸(1)에 설치되어 조속기 로프의 이동의 저지에 의해, 엘리베이터칸(1)의 이동방향에 따른 제동위치로 가동레일 맞닿음부(26)를 변위시키는 링크기구(64)를 가지고 있다.A mechanical backup mechanism 63 is connected to one emergency stop device 15. The backup mechanism 63 restrains the governor rope (not shown) which moves with the movement of the car 1, and the governor rope when the moving speed of the car 1 reaches a predetermined overspeed, The moving rail abutting part is provided to a braking position according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car 1 by a governor (not shown) which prevents the movement of the governor rope and is installed in the car 1 to prevent the movement of the governor rope. It has the link mechanism 64 which displaces (26).

조속기는 승강로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다. 조속기 로프는 조속기의 조속기쉬브에 감겨 있다. 조속기쉬브는 조속기 로프의 이동에 따라 회전된다. 조속기는 조속기쉬브의 회전을 검출함으로써, 엘리베이터칸(1)의 과속도의 유무를 검출한다.The governor is installed at the top of the hoistway. The governor rope is wound around the governor sheave of the governor. The governor sheave rotates as the governor rope moves. The governor detects the presence of the overspeed of the car 1 by detecting the rotation of the governor sheave.

링크기구(64)는 조속기 로프에 접속된 인상봉(引上棒 : pull-up stick)(65)과, 인상봉(65)이 접속되고, 한쪽의 비상정지장치(15)의 하우징(22)에 설치된 제동레버(66)를 가지고 있다.The link mechanism 64 includes a pull-up stick 65 connected to a governor rope and a pull rod 65 connected to the housing 22 of one emergency stop device 15. It has a brake lever 66 installed on it.

인상봉(65)은 조속기 로프의 이동의 저지에 의해, 이동하는 엘리베이터칸(1)에 대해서 변위된다.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칸(1)이 하강하고 있을 때에 조속기 로프의 이동이 저지되면, 인상봉(65)이 엘리베이터칸(1)에 대해서 위쪽으로 변위된 다.The impression rod 65 is displaced with respect to the moving car 1 by the inhibition of the movement of a governor rope. For example, if movement of the governor rope is prevented when the car 1 is descending, the impression rod 65 is displaced upward with respect to the car 1.

제동레버(66)는 가동레일 맞닿음부(26)의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 측과 반대 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 제동레버(66)는 하우징(22)에 고정된 고정축(67)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동레버(66)는 고정축(67)에 설치된 레버 본체(68)와, 레버 본체(68)에 형성되고, 고정축(67)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69)를 가지고 있다.The brake lever 66 is arranged on the side opposite to the car guide rail 6 side of the movable rail contacting portion 26. In addition, the brake lever 66 is rotatable about a fixed shaft 67 fixed to the housing 22. The brake lever 66 has a lever body 68 provided on the fixed shaft 67 and a protrusion 69 formed on the lever body 68 and protruding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fixed shaft 67.

레버 본체(68)에는 인상봉(65)의 단부가 연결핀(70)을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동레버(66)는 인상봉(65)의 엘리베이터칸(1)에 대한 변위에 따라 고정축(67)을 중심으로 회동된다. 또, 돌출부(69)는 인상봉(65)이 엘리베이터칸(1)에 대해서 위쪽으로 변위됨으로써 아래쪽으로 변위되며, 인상봉(65)이 엘리베이터칸(1)에 대해서 아래쪽으로 변위됨으로써 위쪽으로 변위된다.The end of the impression rod 65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lever main body 68 via the connecting pin 70. As a result, the brake lever 66 is rotated about the fixed shaft 67 in accordance with the displacement of the lift rod 65 with respect to the car 1. In addition, the protrusion 69 is displaced downward by the upwardly displaced bar 65 with respect to the car 1, and is displaced upward by the downwardly displaced bar 65 with respect to the car 1. .

한쪽의 비상정지장치(15)의 가동레일 맞닿음부(26)에는 돌출부(69)가 걸어맞춤 가능한 걸어맞춤핀(71)이 주축(32)과 평행하게 돌출해 있다. 돌출부(69)가 걸어맞춤핀(71)과 걸어맞춤하면서 제동레버(66)가 고정축(67)을 중심으로 회동됨으로써, 가동레일 맞닿음부(26)가 주축(32)을 중심으로 회동된다. 본 예에서는 돌출부(69)가 아래쪽으로 변위되는 방향으로 제동레버(66)가 회동됨으로써, 돌출부(69)가 걸어맞춤핀(71)에 걸어맞춤된다. 또, 돌출부(69)가 걸어맞춤핀(71)에 걸어맞춤 되면서 아래쪽으로 변위됨으로써, 가동레일 맞닿음부(26)가 중립위치에서부터 위쪽의 제동위치로 향하여 회동된다.In the movable rail abutting portion 26 of one of the emergency stop devices 15, an engaging pin 71 to which the protrusion 69 can engage is projected in parallel with the main shaft 32. As the protruding portion 69 engages with the engagement pin 71, the brake lever 66 rotates about the fixed shaft 67, whereby the movable rail contact portion 26 rotates about the main shaft 32. . In this example, the brake lever 66 is rotat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protrusion 69 is displaced downward, so that the protrusion 69 is engaged with the engagement pin 71. Further, the projecting portion 69 is displaced downward while being engaged with the engagement pin 71, so that the movable rail contact portion 26 is rotated from the neutral position to the upward braking position.

다음으로,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도 2의 가동레일 맞닿음부(26)의 중앙접촉면(34a)이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에 접촉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5는 도 4의 V-V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또, 도 6은 도 2의 가동레일 맞닿음부(26)의 하부마찰면(36a)이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에 접촉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7은 도 6의 VII-V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또한, 도 8은 도 2의 가동레일 맞닿음부(26)의 상부마찰면(35a)이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에 접촉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9는 도 8의 IX-IX선에 따른 단면도이다.Next, the operation will be described. 4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entral contact surface 34a of the movable rail contacting portion 26 of FIG. 2 is in contact with the car guide rail 6, and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V of FIG. to be. 6 is a block diagram which shows the state in which the lower friction surface 36a of the movable rail contact part 26 of FIG. 2 is in contact with the car guide rail 6, and FIG. 7 is VII- of FIG. It is sectional drawing along the VII line. 8 is a block diagram which shows the state in which the upper friction surface 35a of the movable rail contact part 26 of FIG. 2 is in contact with the car guide rail 6, FIG. 9 is IX- of FIG. It is sectional drawing along the IX line.

통상시에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자마그넷(45)이 여자되어 있고, 가동철심(48)이 고정철심(46)에 흡착된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이 때에는 누름핀(43)은 유지위치(도 3)에 유지되어 있고, 해제위치로의 변위가 규제되고 있다. 또, 이 때에는 연결부재(17)가 틈새조정나사(44)에 결합되어 있으며, 각 비상정지장치(15, 16)에서는 가동레일 맞닿음부(26) 및 리시빙레일 맞닿음부(25)의 각각이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로부터 개리(開離)되어 있다.2 and 3, the electromagnetic magnet 45 is excited, and the movable iron core 48 is held in a state in which the fixed iron core 46 is adsorbed. At this time, the push pin 43 is held in the holding position (FIG. 3), and the displacement to the release position is regulated. In this case, the connecting member 17 is coupled to the clearance adjusting screw 44. In each of the emergency stop devices 15 and 16, the movable rail abutting portion 26 and the receiving rail abutting portion 25 are formed. Each is opened from the car guide rail 6.

제동지령부(14)에 의해서 엘리베이터의 이상이 검출되면, 제동지령이 제동지령부(14)로부터 전자구동장치(18)로 출력된다. 전자구동장치(18)가 제동지령을 받으면, 전자코일(47)로의 통전이 정지되어 전자마그넷(45)의 유지력이 소실한다. 이것에 의해, 누름핀(43)은 제1 및 제2 가압스프링(39, 40)의 가압력에 의해 연결부재(17)로 밀리면서 유지위치(도 3)로부터 해제위치(도 5)로 변위된다. 이 때, 각 비상정지장치(15, 16)에서는 하우징(22)이 도 4의 화살표 D의 방향으로 변위되며, 가동레일 맞닿음부(26)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에 접촉한다(도 4 및 도 5).When the abnormality of the elevator is detected by the braking command unit 14, the braking command is output from the braking command unit 14 to the electronic drive device 18. When the electromagnetic drive device 18 receives the braking command, the energization to the electromagnetic coil 47 is stopped, and the holding force of the electromagnetic magnet 45 is lost. As a result, the push pin 43 is displaced from the holding position (FIG. 3) to the release position (FIG. 5) while being pushed to the connecting member 17 by the pressing force of the first and second pressure springs 39 and 40. . At this time, in each emergency stop device 15, 16, the housing 22 is displaced in the direction of arrow D in Fig. 4, and the movable rail contacting portion 26 is in contact with the car guide rail 6 (Fig. 4 and FIG. 5).

엘리베이터칸(1)이 하강하고 있을 때 각 가동레일 맞닿음부(26)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에 접촉하면, 각 가동레일 맞닿음부(26)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에 끌려 위쪽(도 6 및 도 7의 화살표 E1 방향)으로 회동됨과 동시에, 연결부재(17) 및 검출부재(55)가 가동레일 맞닿음부(26)의 회동에 따라 회전된다. 이 때, 제1 및 제2 가압스프링(39, 40)의 가압력에 의해, 하부 접촉곡면(34c)이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에 접촉한 채로 각 가동레일 맞닿음부(26)가 회동된다. 이것에 의해, 주축(32)이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로부터 떨어지는 방향(도 6 및 도 7의 화살표 F 방향)으로 각 하우징(22)이 변위되고, 각 리시빙레일 맞닿음부(25)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변위된다. 또한, 이 때, 틈새조정나사(44)는 각 하우징(22)의 변위에 의해, 연결부재(17)로부터 개리된다(도 7).When each movable rail abutment 26 contacts the car guide rail 6 when the car 1 is descending, each movable rail abutment 26 is attracted to the car guide rail 6. While rotating upwar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E1 in FIGS. 6 and 7), the connecting member 17 and the detecting member 55 are rotated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movable rail contacting portion 26. At this time, the movable rail contact portions 26 are rotated while the lower contact curved surface 34c is in contact with the car guide rail 6 by the pressing pressure of the first and second pressure springs 39 and 40. . Thereby, each housing 22 is displac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main shaft 32 falls from the car guide rail 6 (arrow F direction of FIG. 6 and FIG. 7), and each receiving rail contact part 25 is carried out. Is displaced in a direction approaching the car guide rail 6. At this time, the clearance adjusting screw 44 is opened from the connecting member 17 by the displacement of each housing 22 (FIG. 7).

이 후, 각 가동레일 맞닿음부(26)가 더욱 위쪽으로 회동되어 각 하부 제동슈(36)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에 이르면(즉, 각 가동레일 맞닿음부(26)가 위쪽의 제동위치에 이르면),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비상정지장치(15, 16)에서는 하부 제동슈(36)와 리시빙레일 맞닿음부(25) 사이에서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이 파지된다. 이 때, 가압요소(28)는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로 밀린 리시빙레일 맞닿음부(25)의 변위에 의해 수축되어 있고, 리시빙레일 맞닿음부(25)를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에 밀어붙이는 탄성반발력을 발생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각 비상정지장치(15, 16)에 의한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의 파지력이 확보되어 엘리베이터칸(1)에 제동력이 주어진다.Thereafter, when each movable rail contacting part 26 is rotated further upward and each lower brake shoe 36 reaches the car guide rail 6 (that is, each movable rail contacting part 26 moves upward). 6 and 7, in each emergency stop device 15, 16, the car guide rail 6 is provided between the lower braking shoe 36 and the receiving rail contacting portion 25. ) Is gripped. At this time, the pressing element 28 is contracted by the displacement of the receiving rail contacting portion 25 pushed by the car guide rail 6, and the receiving rail contacting portion 25 is moved to the car guide rail ( 6) elastic repulsion force is generated. As a result, the holding force of the car guide rail 6 by the emergency stop devices 15 and 16 is secured, and a braking force is applied to the car 1.

또, 각 가동레일 맞닿음부(26)가 위쪽의 제동위치에 이르면, 검출부재(55)의 회전에 의해, 위쪽 변위 검출스위치(56)의 롤러(60)만이 위쪽 검출 홈(61)으로부터 벗어난다. 이것에 의해, 위쪽 변위 검출스위치(56)의 플런져(59)가 검출부재(55)의 외주부에 의해 스위치 본체(58)로 밀어 넣어져 위쪽 변위 검출스위치(56)만이 ON상태가 된다.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칸(1)이 하강하고 있을 때의 제동동작이 행해진 것이 검출된다.Moreover, when each movable rail abutting part 26 reaches the upper braking position, only the roller 60 of the upper displacement detection switch 56 is disengaged from the upper detection groove 61 by the rotation of the detection member 55. . Thereby, the plunger 59 of the upper displacement detection switch 56 is pushed into the switch main body 58 by the outer peripheral part of the detection member 55, and only the upper displacement detection switch 56 is turned ON. As a result, it is detected that the braking operation is performed when the car 1 is descending.

한편, 엘리베이터칸(1)이 상승하고 있을 때에 각 가동레일 맞닿음부(26)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에 접촉하면, 각 가동레일 맞닿음부(26)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에 끌려 아래쪽(도 8 및 도 9의 화살표 E2 방향)으로 회동됨과 동시에, 연결부재(17) 및 검출부재(55)가 가동레일 맞닿음부(26)의 회동에 따라 회전된다. 이 때, 제1 및 제2 가압스프링(39, 40)의 가압력에 의해, 상부 접촉곡면(34b)이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에 접촉한 채로 각 가동레일 맞닿음부(26)가 회동된다. 이것에 의해, 주축(32)이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로부터 떨어지는 방향(도 8 및 도 9의 화살표 F 방향)으로 각 하우징(22)이 변위되며, 각 리시빙레일 맞닿음부(25)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변위된다. 또한, 이 때, 틈새조정나사(44)는 각 하우징(22)의 변위에 의해, 연결부재(17)로부터 개리된다(도 9).On the other hand, when the movable rail abutting portion 26 contacts the car guide rail 6 while the car 1 is rising, the movable rail abutting portion 26 is the car guide rail 6. At the same time, the connecting member 17 and the detecting member 55 are rotated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movable rail abutting portion 26, while being rotated downwar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E2 in FIGS. 8 and 9). At this time, the movable rail contacting portions 26 are rotated while the upper contact curved surface 34b is in contact with the car guide rail 6 by the pressing force of the first and second pressure springs 39 and 40. . Thereby, each housing 22 is displac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main shaft 32 falls from the car guide rail 6 (arrow F direction of FIG. 8 and FIG. 9), and each receiving rail abutting part 25 Is displaced in a direction approaching the car guide rail 6. At this time, the clearance adjusting screw 44 is opened from the connecting member 17 by the displacement of each housing 22 (FIG. 9).

이 후, 각 가동레일 맞닿음부(26)가 더욱 아래쪽으로 회동되어 각 상부 제동슈(35)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에 이르면(즉, 각 가동레일 맞닿음부(26)가 아래쪽의 제동위치에 이르면),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비상정지장 치(15, 16)에서는 상부 제동슈(35)와 리시빙레일 맞닿음부(25) 사이에서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이 파지된다. 이 때, 가압요소(28)는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로 밀린 리시빙레일 맞닿음부(25)의 변위에 의해 수축되어 있으며, 리시빙레일 맞닿음부(25)를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로 밀어붙이는 탄성반발력을 발생시키고 있다. 이것에 의해, 각 비상정지장치(15, 16)에 의한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의 파지력이 확보되어 엘리베이터칸(1)에 제동력이 주어진다.Thereafter, the movable rail abutting portions 26 are rotated further downward so that each upper brake shoe 35 reaches the car guide rail 6 (that is, each movable rail abutting portion 26 is moved downward. 8 and 9, in each emergency stop device 15, 16, a car guide rail (between the upper braking shoe 35 and the receiving rail contacting portion 25) is used. 6) is gripped. At this time, the pressing element 28 is contracted by the displacement of the receiving rail contacting portion 25 pushed by the car guide rail 6, and the receiving rail contacting portion 25 is moved to the car guide rail ( 6) to generate elastic repulsive force. As a result, the holding force of the car guide rail 6 by the emergency stop devices 15 and 16 is secured, and a braking force is applied to the car 1.

또, 각 가동레일 맞닿음부(26)가 아래쪽의 제동위치에 이르면, 검출부재(55)의 회동에 의해, 아래쪽 변위 검출스위치(57)의 롤러(60)만이 아래쪽 검출 홈(62)으로부터 벗어난다. 이것에 의해, 아래쪽 변위 검출스위치(57)의 플런져(59)가 검출부재(55)의 외주부에 의해 스위치 본체(58)에 밀어 넣어져 아래쪽 변위 검출스위치(57)만이 ON상태가 된다.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칸(1)이 상승하고 있을 때의 제동동작이 행해진 것이 검출된다.Moreover, when each movable rail contact part 26 reaches the lower braking position, only the roller 60 of the lower displacement detection switch 57 will be disengaged from the lower detection groove 62 by the rotation of the detection member 55. . Thereby, the plunger 59 of the lower displacement detection switch 57 is pushed into the switch main body 58 by the outer peripheral part of the detection member 55, and only the lower displacement detection switch 57 is turned ON. As a result, it is detected that the braking operation is performed when the car 1 is rising.

제동상태로부터 복귀할 때에는 전자마그넷(45)을 여자하여 가동철심(48)을 고정철심(46)에 흡착시킨 후, 각 가동레일 맞닿음부(26)가 중립위치로 회동되는 방향으로 엘리베이터칸(1)을 이동시킨다. 즉, 하강에 대한 제동상태를 복귀시킬 때에는 엘리베이터칸(1)을 상승시키고, 상승에 대한 제동상태를 복귀시킬 때에는 엘리베이터칸(1)을 하강시킨다. 엘리베이터칸(1)을 이동시키면, 각 가동레일 맞닿음부(26)의 위치가 중립가압장치(49)의 가압에 의해 제동위치에서 중립위치로 되돌려져 엘리베이터칸(1)의 제동상태가 해제된다.When returning from the braking state, the electromagnetic magnet 45 is excited to adsorb the movable iron core 48 to the fixed iron core 46, and then the movable rail abutting portion 26 is rotated to the neutral position. Move 1). That is, the car 1 is raised when restoring the braking state for the lowering, and the car 1 is lowered when restoring the braking state for the rising. When the car 1 is moved, the position of each movable rail abutment part 26 is returned from a braking position to a neutral position by the pressurization of the neutral pressure device 49, and the braking state of the car 1 is canceled | released. .

전자구동장치(18)가 제동지령을 받았을 때에 있어서도 어떠한 이상에 의해 연결부재(17)가 변위되지 않고 각 가동레일 맞닿음부(26)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로부터 떨어진 채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엘리베이터칸(1)의 이동속도가 소정의 과속도에 이름으로써, 백업기구(63)가 동작되어 각 비상정지장치(15, 16)에 의한 엘리베이터칸(1)의 제동동작이 행해진다.When the electromagnetic drive device 18 receives the braking command and the connecting member 17 is not displaced due to any abnormality, and the movable rail contact portions 26 are separated from the car guide rail 6. When the moving speed of the car 1 is called a predetermined overspeed, the backup mechanism 63 is operated, and the braking operation of the car 1 by the emergency stop devices 15 and 16 is performed.

도 10은 도 2의 백업기구(63)가 동작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XI-X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칸(1)이 하강하고 있을 때에 엘리베이터칸(1)의 이동속도가 소정의 과속도에 이르면, 엘리베이터칸(1)과 함께 이동하는 조속기 로프가 조속기에 의해 구속된다. 이것에 의해, 조속기 로프의 이동이 저지되어 인상봉(65)이 엘리베이터칸(1)에 대해서 끌어 올려진다.FIG. 10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ackup mechanism 63 of FIG. 2 is operating, and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XI-XI of FIG. As shown in the figure, when the moving speed of the car 1 reaches a predetermined overspeed while the car 1 is descending, the governor rope moving together with the car 1 is restrained by the governor. As a result, movement of the governor rope is prevented, and the impression rod 65 is pulled up with respect to the car 1.

인상봉(65)이 엘리베이터칸(1)에 대해서 끌어 올려지면, 제동레버(66)가 회동되어 돌출부(69)가 아래쪽으로 변위된다. 이 후, 돌출부(69)가 걸어맞춤핀(71)에 걸어맞춤하고, 걸어맞춤핀(71)과 걸어맞춤하면서 더욱 아래쪽으로 변위된다. 이것에 의해, 각 가동레일 맞닿음부(26)가 위쪽으로 회동되어 각 가동레일 맞닿음부(26)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에 접촉한다. 이 후, 각 가동레일 맞닿음부(26)는 엘리베이터칸(1)의 하강에 의해, 더욱 위쪽으로 회동되어 위쪽의 제동위치에 이른다. 이것에 의해, 각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이 가동레일 맞닿음부(26)와 리시빙레일 맞닿음부(25) 사이에서 파지되어 각 비상정지장치(15, 16)에 의한 엘리베이터칸(1)의 제동동작이 행해진다.When the impression bar 65 is pulled up with respect to the car 1, the brake lever 66 is rotated and the protrusion 69 is displaced downward. Thereafter, the protrusion 69 engages with the engagement pin 71 and is displaced further downward while engaging with the engagement pin 71. Thereby, each movable rail contact part 26 rotates upwards and each movable rail contact part 26 contacts the car guide rail 6. Thereafter, each movable rail contact portion 26 is rotated further upward by the lowering of the car 1 to reach the upper braking position. Thereby, each car guide rail 6 is gripped between the movable rail contact part 26 and the receiving rail contact part 25, and the car 1 by each emergency stop device 15 and 16 is carried out. ) Braking operation is performed.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에서는 각 비상정지장치(15, 16) 사이가 연 결부재(17)에 의해 연결되고, 각 비상정지장치(15, 16)의 가동레일 맞닿음부(26)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에 접리하는 방향으로 연결부재(17)가 전자구동장치(18)에 의해서 변위되므로, 공통의 전자구동장치(18)에 의해서 각 비상정지장치(15, 16)에 의한 제동동작을 행하게 할 수 있어, 안전장치 전체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각 비상정지장치(15, 16)에서 가동레일 맞닿음부(26)를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에 접촉시킴으로써 상하 어느 방향에 대해서도 엘리베이터칸(1)을 제동시키므로, 각 비상정지장치(15, 16)의 각각의 소형화도 도모할 수 있다.In the safety device of such an elevator, between the emergency stop devices 15 and 16 is connected by the connecting member 17, and the movable rail contacting part 26 of each emergency stop device 15 and 16 is a car. Since the connecting member 17 is displaced by the electromagnetic drive device 18 in the direction to be folded to the guide rail 6, the braking operation by the emergency stop devices 15 and 16 by the common electromagnetic drive device 18. This makes it possible to reduce the overall safety device. In addition, the emergency stop devices 15 and 16 contact the movable rail abutting portion 26 with the car guide rails 6 to brake the car 1 in both up and down directions. Miniaturization of each of 15 and 16 can also be achieved.

또한, 전자구동장치(18)가 전기적인 작동신호를 받음으로써 연결부재(17)를 변위시킬 수 있으므로, 엘리베이터칸(1)의 제동동작의 개시를 조기에 행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칸(1)의 속도가 낮은 단계에서 엘리베이터칸(1)을 제동할 수 있어 제동거리를 짧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엘리베이터칸(1)의 감속도도 작게 할 수 있다. 더욱이 또한, 공통의 연결부재(17)를 변위시켜 각 가동레일 맞닿음부(26)를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에 접촉시키므로, 각 비상정지장치(15, 16)의 동작을 연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각 비상정지장치(15, 16) 중 어느 하나만이 동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엘리베이터칸(1)의 제동동작을 안정하게 행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electronic drive device 18 can displace the connecting member 17 by receiving an electric operation signal, the braking operation of the car 1 can be started early. As a result, the car 1 can be braked at a step in which the speed of the car 1 is low, the braking distance can be shortened, and the deceleration of the car 1 can also be reduced. Moreover, since the movable rail contacting portion 26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car guide rail 6 by displacing the common connecting member 17, the operations of the emergency stop devices 15 and 16 can be interlocked. . Therefore, only one of the emergency stop devices 15 and 16 can be prevented from operating, and the braking operation of the car 1 can be performed stably.

또, 가동레일 맞닿음부(26)는 하우징(22)에 대해서 상하방향에 회동됨으로써, 중립위치와 각 제동위치 사이에서 변위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각 비상정지장치(15, 16)의 구성을 더욱 간단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movable rail abutting portion 26 is rotated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housing 22, the movable rail abutting portion 26 is displaced between the neutral position and the respective braking positions. It can be done.

또, 연결부재(17)는 각 가동레일 맞닿음부(26)에 접속되어 있으므로, 각 가 동레일 맞닿음부(26)의 변위를 연결부재(17)에 연동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연결부재(17)의 변위를 검출하는 공통의 검출장치에 의해서 각 가동레일 맞닿음부(26)의 변위를 검출할 수 있어 부품 점수를 줄일 수 있다.Moreover, since the connection member 17 is connected to each movable rail contact part 26, the displacement of each movable rail contact part 26 can be interlocked with the connection member 17. As shown in FIG. Thereby, the displacement of each movable rail abutting part 26 can be detected by the common detection apparatus which detects the displacement of the connection member 17, for example, and can reduce a component score.

또, 검출장치(54)가 연결부재(17)의 변위를 검출함으로써, 각 가동레일 맞닿음부(26)가 변위되는 방향이 검출되므로, 상하 어느 방향에 대해서 제동동작이 행해졌는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칸(1)의 제동상태의 복귀 동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detection device 54 detects the displacement of the connecting member 17, the direction in which the movable rail abutting portions 26 are displaced is detected, so that it is easy to grasp in which direction the braking operation is performed. Can be. Therefore, the return operation | movement of the braking state of the cage | basket | car 1 can be performed easily.

또, 검출장치(54)는 각 가동레일 맞닿음부(26)의 위쪽 및 아래쪽의 제동위치로의 변위를 개별적으로 검출하는 위쪽 변위 검출스위치(56) 및 아래쪽 변위 검출스위치(57)를 가지고 있으므로, 각 가동레일 맞닿음부(26)의 위쪽 및 아래쪽의 제동위치로의 변위를 보다 확실히 검출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detection device 54 has an upper displacement detecting switch 56 and a lower displacement detecting switch 57 for separately detecting displacements to the braking positions of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each movable rail abutting portion 26, The displacement of the movable rail abutting portion 26 to the braking positions above and below can be more reliably detected.

또, 각 가동레일 맞닿음부(26)의 위치가 중립위치로 변위하는 방향으로 연결부재(17)가 중립가압장치(49)에 의해 가압되므로, 예를 들면 지진시나 엘리베이터칸(1)의 이동시 등의 진동에 의해, 각 가동레일 맞닿음부(26)가 중립위치에서부터 벗어나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각 비상정지장치(15, 16)의 오동작의 방지를 도모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onnecting member 17 is pressurized by the neutral pressure device 49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positions of the movable rail abutting portions 26 are displaced to the neutral position, for example, during an earthquake or when the car 1 is moved. By vibrating or the lik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movable rail abutting portion 26 from escaping from the neutral position, thereby preventing malfunction of the emergency stop devices 15 and 16.

또, 엘리베이터칸(1)의 속도가 소정의 과속도에 이르렀을 때에 기계식 백업기구(63)의 동작에 의해, 엘리베이터칸(1)의 이동방향에 따른 제동위치로 가동레일 맞닿음부(26)가 변위되므로, 어떠한 원인으로 전자구동장치(18)에 의한 작동신호의 수신이 방해되거나 전자구동장치(18)의 동작불량이 발생하거나 한 경우라도 기계식 백업기구(63)에 의해 각 비상정지장치(15, 16)를 동작시킬 수 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칸(1)의 제동동작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speed of the car 1 reaches a predetermined overspeed, the movable rail contacting portion 26 moves to the braking position according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car 1 by the operation of the mechanical backup mechanism 63. Is displaced, and even if the reception of the operation signal by the electronic driving device 18 is disturbed for some reason or an operation failure of the electronic driving device 18 occurs, each of the emergency stop devices by the mechanical backup mechanism 63 ( 15, 16) can be operated. Therefore, the reliability of the braking operation of the car 1 can be improved.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가동레일 맞닿음부(26)의 변위가 위쪽 및 아래쪽의 각각에 대해서 개별적으로 검출되고 있지만, 연결부재(17)의 회전방향을 검출하는 공통의 회전검출기(검출장치)에 의해, 가동레일 맞닿음부(26)의 변위의 방향을 검출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부품 점수를 더욱 줄일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above example, the displacement of the movable rail abutting portion 26 is detected separately for each of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but the common rotation detector (detecting device) that detects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17 is detected. Thus, the direction of the displacement of the movable rail abutting portion 26 may be detected. In this way, the parts score can be further reduced.

실시형태 2.Embodiment 2.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또, 도 13은 도 12의 XIII-XI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각 비상정지장치(제동기구체)(15, 16)는 엘리베이터칸(1)의 하부에 지지된 하우징(81)과, 하우징(81)에 설치된 리시빙레일 맞닿음부(86)와, 리시빙레일 맞닿음부(86)와의 사이에서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을 끼우는 쐐기로서의 가동레일 맞닿음부(87)를 각각 가지고 있다.It is a block diagram which shows the safety device of the elevator by Embodiment 2 of this invention. 1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XIII-XIII of FIG. 12. In the figure, each of the emergency stop devices (braking mechanisms) 15 and 16 includes a housing 81 support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car 1, and a receiving rail contact portion 86 provided on the housing 81. And the movable rail abutting portion 87 as a wedge for fitting the car guide rail 6 between the receiving rail abutting portion 86, respectively.

하우징(81)에는 하우징 본체(82)와, 하우징 본체(82)로부터 각각 수평으로 돌출하고, 수평방향에 대해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가동 맞닿음부 측 돌출부(83) 및 리시빙 맞닿음부 측 돌출부(84)를 가지고 있다. 하우징 본체(82)에는 각 비상정지장치(15, 16)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17)가 통과하는 통과구멍(85)이 형성되어 있다. 리시빙레일 맞닿음부(86) 및 가동레일 맞닿음부(87)는 가동 맞닿음부 측 돌출부(83)와 리시빙 맞닿음부 측 돌출부(84)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The housing 81 has a housing main body 82 and a movable contacting part side protrusion 83 and a receiving contacting part side, which protrude horizontally from the housing main body 82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t has a protrusion 84. The housing main body 82 is provided with a passage hole 85 through which the connecting member 17 for connecting between the emergency stop devices 15 and 16 passes. The receiving rail abutting portion 86 and the movable rail abutting portion 87 are disposed between the movable abutting portion side protrusion 83 and the receiving abutting side side protrusion 84.

리시빙레일 맞닿음부(86)는 리시빙 맞닿음부 측 돌출부(84)의 안내에 의해 하우징(81)에 대해서 수평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리시빙레일 맞닿음부(86)와 리시빙 맞닿음부 측 돌출부(84) 사이에는 복수의 가압요소(88)가 배치되어 있다. 가압요소(88)는 리시빙레일 맞닿음부(86)와 리시빙 맞닿음부 측 돌출부(84) 사이에서 수축됨으로써 탄성반발력을 발생한다. 리시빙레일 맞닿음부(86)는 가압요소(88)의 탄성반발력의 발생에 의해,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가압된다.The receiving rail abutting part 86 is displaceab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housing 81 by the guidance of the receiving abutting part side protrusion 84. In addition, a plurality of pressing elements 88 are disposed between the receiving rail abutting portion 86 and the receiving abutting portion side protrusion 84. The pressing element 88 is contracted between the receiving rail abutment 86 and the receiving abutment side protrusion 84 to generate an elastic repulsive force. The receiving rail abutting portion 86 is pressed in a direction approaching the car guide rail 6 by the generation of the elastic repulsive force of the pressing element 88.

가동레일 맞닿음부(87)는 리시빙레일 맞닿음부(86)와의 간격이 소정의 거리가 되는 중립위치(도 12)와, 중립위치보다도 위쪽 및 아래쪽의 각각에 위치하고 리시빙레일 맞닿음부(86)와의 간격이 소정의 거리보다도 좁아지는 한 쌍의 제동위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가동레일 맞닿음부(87)는 통과구멍(85)을 통과한 연결부재(17)에 접속되어 있다. 가동레일 맞닿음부(87)는 연결부재(17)의 수평방향으로의 변위에 의해,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에 대해서 접리 가능하게 되어 있다.The movable rail abutting part 87 is located at the neutral position (FIG. 12) which the space | interval with the receiving rail abutting part 86 becomes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is located in the upper and lower positions than the neutral position, respectively. Displacement is possible between the pair of braking positions where the distance to the 86 is narrower than the predetermined distance. The movable rail abutting portion 87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member 17 which has passed through the passage hole 85. The movable rail abutting part 87 is foldable with respect to the car guide rail 6 by the displacement of the connecting member 17 in the horizontal direction.

가동 맞닿음부 측 돌출부(83)에는 중립위치에서부터 위쪽의 제동위치로 가동레일 맞닿음부(86)를 안내하는 상부 안내부(83a)와, 중립위치에서부터 아래쪽의 제동위치로 가동레일 맞닿음부(86)를 안내하는 하부 안내부(83b)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 안내부(83a)는 위쪽으로 향하여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에 연속적으로 가까워지도록 경사져 있다. 하부 안내부(83b)는 아래쪽으로 향하여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에 연속적으로 가까워지도록 경사져 있다.The movable abutting part side projection 83 has an upper guide portion 83a for guiding the movable rail abutting portion 86 from the neutral position to the upper braking position, and the movable rail abutting portion from the neutral position to the lower braking position. The lower guide part 83b which guides 86 is formed. The upper guide portion 83a is inclined upward to continuously approach the car guide rail 6. The lower guide portion 83b is inclined downward to continuously approach the car guide rail 6.

가동레일 맞닿음부(87)는, 통상은 중립위치에 유지되어 있다(도 12 및 도 13). 가동레일 맞닿음부(87)는 엘리베이터칸(1)의 이동시에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에 접촉함으로써, 엘리베이터칸(1)의 이동방향에 따른 방향으로 변위된다. 즉, 가동레일 맞닿음부(87)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에 접촉하면, 엘리베이터칸(1)이 하강하고 있을 때에는 가동레일 맞닿음부(87)가 위쪽으로 변위되고, 엘리베이터칸(1)이 상승하고 있을 때에는 가동레일 맞닿음부(87)가 아래쪽으로 변위된다. 또, 가동레일 맞닿음부(87)는 상부 안내부(83a)로 안내되면서 위쪽으로 변위됨으로써 위쪽의 제동위치에 이르고, 하부 안내부(83b)로 안내되면서 아래쪽으로 변위됨으로써 아래쪽의 제동위치에 이른다. 가동레일 맞닿음부(86)가 위쪽 및 아래쪽의 어느 한 제동위치에 이르면,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이 리시빙레일 맞닿음부(86)와 가동레일 맞닿음부(87) 사이에서 파지된다.The movable rail abutting portion 87 is usually held in a neutral position (FIGS. 12 and 13). The movable rail abutting part 87 is displaced in the direction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car 1 by contacting the car guide rail 6 at the time of movement of the car 1. That is, when the movable rail contact part 87 contacts the car guide rail 6, when the car 1 descends, the movable rail contact part 87 will displace upward and the car 1 ), The movable rail abutting portion 87 is displaced downward. In addition, the movable rail contact portion 87 is guided to the upper guide portion 83a to be displaced upwards to reach the upper braking position, and is guided to the lower guide portion 83b to be displaced downward to reach the lower braking position. . When the movable rail contact portion 86 reaches one of the up and down braking positions, the car guide rail 6 is gripped between the receiving rail contact portion 86 and the movable rail contact portion 87. .

또한, 가동레일 맞닿음부(87)에는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의 측면에 대향하는 접촉평면이 형성되어 있다. 또, 가동레일 맞닿음부(87)의 수평치수(두께)는 가동레일 맞닿음부(87)의 중앙부에서 최대가 되고, 상하의 각 단부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연속적으로 작아지고 있다.In addition, a contact plane facing the side surface of the car guide rail 6 is formed in the movable rail contact portion 87. Moreover, the horizontal dimension (thickness) of the movable rail abutting part 87 becomes the maximum at the center part of the movable rail abutting part 87, and it is continuously decreasing as it approaches each upper and lower edge part.

전자구동장치(18)는 연결부재(17)의 변위에 따라 변위되는 플런져(90)와, 가동레일 맞닿음부(87)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에 접촉하는 방향으로 플런져(90)를 가압하는 누름스프링(91)과, 누름스프링(91)의 가압력에 거슬러, 가동레일 맞닿음부(87)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플런져(90)를 변위시키는 전자마그넷(89)을 가지고 있다. 전자마그넷(89)은 엘리베이터칸(1)에 대해서 고정된 고정철심(92)과, 고정철심(92)에 조립된 전자코일(93)을 가 지고 있다. 누름스프링(91)은 고정철심(92) 내에 배치되어 있다. 각 비상정지장치(15, 16)에서는 전자구동장치(18)에 의한 연결부재(17)의 변위에 의해, 가동레일 맞닿음부(86)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에 접리된다.The electromagnetic drive device 18 includes a plunger 90 displaced according to the displacement of the connecting member 17 and a plunger 90 in a direction in which the movable rail contact portion 87 contacts the car guide rail 6. Electrons for displacing the plunger 90 in a direction in which the movable rail abutting portion 87 moves away from the car guide rail 6 against the pressing spring 91 for pressurizing the pressing spring 91 and the pressing spring 91. It has a magnet 89. The electromagnetic magnet 89 has a fixed iron core 92 fixed to the car 1 and an electromagnetic coil 93 assembled to the fixed iron core 92. The pressing spring 91 is disposed in the fixed core 92. In each of the emergency stop devices 15 and 16, the movable rail contact portion 86 is folded onto the car guide rail 6 by the displacement of the connecting member 17 by the electromagnetic drive device 18.

전자구동장치(18) 및 연결부재(17)는 중립가압장치(94)를 통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다. 중립가압장치(94)는 플런져(90)의 선단부와 연결부재(17)의 중간부를 연결하는 연동레버(95)와, 가동레일 맞닿음부(87)의 위치를 중립위치에 유지하는 방향으로 연동레버(95)를 가압하는 가압기구체(96)를 가지고 있다.The electronic driving device 18 and the connecting member 17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neutral pressure device 94. The neutral pressure device 94 is a direction for maintaining the position of the interlocking lever 95 and the movable rail abutting portion 87 connecting the front end of the plunger 90 and the middle of the connecting member 17 in a neutral position. It has the pressurizing mechanism 96 which presses the interlocking lever 95. As shown in FIG.

도 14는 도 13의 중립가압장치(94)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연동레버(95)의 일단부에는 연결부재(17)가 통과하는 안내구멍(95a)이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연동레버(95)는 연결부재(17)의 축선(軸線) 둘레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연동레버(95)의 타단부에는 수평으로 관통하는 안내구멍(95b)이 형성되어 있다. 안내구멍(95b)에는 플런져(90)의 선단부에 설치된 핀(97)이 수평으로 통과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연동레버(95)는 플런져(90)에 대해서 상하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연동레버(95)의 중간부에는 연동레버(95)의 길이방향에 따른 장공(長孔)(95c)이 형성되어 있다.14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neutral pressure device 94 of FIG. In the figure, a guide hole 95a through which the connecting member 17 passes is formed at one end of the interlock lever 95. Thereby, the interlocking lever 95 is rotatable around the axis line of the connecting member 17. As shown in FIG. At the other end of the interlock lever 95, a guide hole 95b penetrates horizontally. The pin 97 provided in the front end of the plunger 90 passes horizontally through the guide hole 95b. As a result, the interlock lever 95 can be rot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plunger 90. In the middle of the interlock lever 95, a long hole 95c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terlock lever 95 is formed.

가압기구체(96)는 엘리베이터칸(1)에 대해서 고정된 스프링 프레임(98)과, 스프링 프레임(98) 내에 고정되고, 상하방향을 따라서 배치된 안내봉(99)과, 안내봉(99)을 따라서 슬라이드되는 스프링 받이부재(100)와, 스프링 받이부재(100)의 위쪽 및 아래쪽의 각각으로부터 스프링 받이부재(100)를 향하여 서로 가압하며, 스프링 받이부재(100)의 변위에 따라 스프링 받이부재(100)와 스프링 프레임(98) 사 이에서 신축되는 한 쌍의 스프링(101)을 가지고 있다.The pressurizing mechanism 96 includes a spring frame 98 fixed to the car 1, a guide rod 99 fixed in the spring frame 98 and arrang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guide rod 99. Therefore, the spring receiving member 100 and the spring receiving member 100, which slides from each of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spring receiving member 100 to each other toward the spring receiving member 100, according to the displacement of the spring receiving member 100 spring receiving member ( It has a pair of springs 101 which are stretched between 100 and spring frame 98.

스프링 받이부재(100)에는 장공(95c)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통해진 슬라이드 핀(102)이 고정되어 있다. 즉, 스프링 받이부재(100)는 연동레버(95)에 걸어맞춤하면서 장공(95c)을 따라서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연동레버(95)가 플런져(90)에 대해서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면, 스프링 받이부재(100)는 장공(95c)을 따라 연동레버(95)에 대해서 변위되면서, 안내봉(99)을 따라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된다.The spring pin member 100 is fixed with a slide pin 102 slidably passed through the long hole 95c. That is, the spring receiving member 100 is displaceable along the long hole 95c while engaging the interlocking lever 95. By this, when the interlocking lever 95 is rotated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plunger 90, the spring receiving member 100 is displaced with respect to the interlocking lever 95 along the long hole 95c, and the guide rod 99 Slide in the vertical direction.

도 15는 도 12의 가동레일 맞닿음부(87)가 위쪽의 제동위치로 변위되어 있을 때의 비상정지장치(16)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또, 도 16은 도 15의 연동레버(95)가 플런져(90)에 대해서 위쪽으로 회동되어 있을 때의 중립가압장치(94)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프링 받이부재(100)가 위쪽으로 변위되면, 위쪽의 스프링(101)이 수축되고 아래쪽의 스프링(101)이 늘어난다. 이것에 의해, 아래쪽으로의 가압력이 스프링 받이부재(100)에 대해서 발생한다. 한편, 스프링 받이부재(100)가 아래쪽으로 변위되면, 위쪽의 스프링(101)이 신장하여 아래쪽의 스프링(101)이 수축한다. 이것에 의해, 위쪽으로의 가압력이 스프링 받이부재(100)에 대해서 발생한다. 즉, 가압기구체(96)는 중립위치에서부터 각 제동위치로의 가동레일 맞닿음부(87)의 변위에 거스르는 가압력을 발생한다. 다른 구성은 실시형태 1과 동일하다.FIG. 15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emergency stop device 16 when the movable rail contact portion 87 of FIG. 12 is displaced to an upper braking position. 16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neutral pressure device 94 when the interlocking lever 95 of FIG. 15 is rotated upward with respect to the plunger 90. As shown in FIG. As shown in the figure, when the spring receiving member 100 is displaced upward, the upper spring 101 contracts and the lower spring 101 extends. As a result, downward pressure is generated with respect to the spring receiving member 100. On the other hand, when the spring receiving member 100 is displaced downward, the upper spring 101 is extended to contract the lower spring 101. As a result, upward pressure is generated with respect to the spring receiving member 100. That is, the pressurizing mechanism 96 generates a pressing force against the displacement of the movable rail abutting portion 87 from the neutral position to each braking position. The other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at in the first embodiment.

다음으로,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통상시에는 전자마그넷(89)이 여자되어 있고, 가동레일 맞닿음부(87)가 중립위치에 유지되어 있다. 이 때, 각 비상정지장 치(15, 16)에서는 리시빙레일 맞닿음부(86) 및 가동레일 맞닿음부(87)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로부터 개리되어 있다(도 12).Next, the operation will be described. Normally, the electromagnetic magnet 89 is excited, and the movable rail abutting part 87 is held at the neutral position. At this time, in each emergency stop device 15, 16, the receiving rail contact part 86 and the movable rail contact part 87 are opened from the car guide rail 6 (FIG. 12).

제동지령부(14)로부터의 제동지령을 전자구동장치(18)가 받으면, 전자마그넷(89)의 여자가 정지되어 누름스프링(91)의 가압력에 따라서 플런져(90)가 변위된다. 이것에 의해, 각 비상정지장치(15, 16)의 가동레일 맞닿음부(87)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에 각각 접촉한다.When the electronic driving device 18 receives the braking command from the braking command unit 14, the excitation of the electromagnetic magnet 89 is stopped and the plunger 90 is displac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sing force of the pressing spring 91. As a result, the movable rail contacting portions 87 of the emergency stop devices 15 and 16 contact the car guide rails 6, respectively.

엘리베이터칸(1)이 하강하고 있을 때에 각 가동레일 맞닿음부(87)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에 접촉하면, 각 가동레일 맞닿음부(87)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에 끌려 연결부재(17)와 함께 위쪽으로 변위된다. 이것에 의해, 각 가동레일 맞닿음부(87)는 상부 안내부(83a)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 사이로 끌여들여진다. 이 때, 연동레버(95)는 플런져(90)에 대해서 위쪽으로 회동된다. 이 후, 엘리베이터칸(1)이 더욱 하강함으로써, 가동레일 맞닿음부(87)가 상부 안내부(83a)로 안내되면서 더욱 위쪽으로 변위되어 하우징(81)이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에 대해서 수평방향으로 변위된다. 이것에 의해, 리시빙레일 맞닿음부(86)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에 접촉한다.When each movable rail abutment 87 contacts the cage guide rail 6 while the car 1 is descending, each movable rail abutment 87 is attracted to the cage guide rail 6. It is displaced upward with the connecting member 17. As a result, each movable rail abutting portion 87 is drawn between the upper guide portion 83a and the car guide rail 6. At this time, the interlock lever 95 is rotated upward with respect to the plunger 90. Thereafter, the car 1 is further lowered, whereby the movable rail abutting portion 87 is guided to the upper guide portion 83a to be displaced further upwards so that the housing 81 is moved relative to the car guide rail 6. Displaced horizontally. As a result, the receiving rail contacting portion 86 contacts the car guide rail 6.

이 후, 각 가동레일 맞닿음부(87)가 더욱 위쪽으로 변위되어 위쪽의 제동위치에 이르면, 각 비상정지장치(15, 16)에서는,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시빙레일 맞닿음부(86)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에 접촉한 상태로 가동레일 맞닿음부(87)가 상부 안내부(83a)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 사이에 물려 들어간다. 이것에 의해, 가동레일 맞닿음부(87)와 리시빙레일 맞닿음부(86) 사이에서 엘 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이 파지된다. 이 때, 가압요소(88)는 리시빙레일 맞닿음부(86)의 변위에 의해 수축되어 리시빙레일 맞닿음부(86)를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로 밀어붙이는 탄성반발력을 발생한다. 이것에 의해, 각 비상정지장치(15, 16)에 의한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의 파지력이 확보되어 엘리베이터칸(1)에 제동력이 주어진다.After that, when each movable rail contact part 87 is displaced further upward and reaches the upper braking position, in each emergency stop device 15, 16, as shown in FIG. 15, the receiving rail contact part ( The movable rail abutting portion 87 is engaged between the upper guide portion 83a and the car guide rail 6 with the 86 being in contact with the car guide rail 6. As a result, the elevator car guide rail 6 is gripped between the movable rail abutting portion 87 and the receiving rail abutting portion 86. At this time, the pressing element 88 is contracted by the displacement of the receiving rail abutment 86 to generate an elastic repulsion force for pushing the receiving rail abutment 86 to the car guide rail 6. As a result, the holding force of the car guide rail 6 by the emergency stop devices 15 and 16 is secured, and a braking force is applied to the car 1.

엘리베이터칸(1)이 상승하고 있을 때에 각 가동레일 맞닿음부(87)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에 접촉하면, 각 가동레일 맞닿음부(87)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에 끌려 연결부재(17)와 함께 아래쪽으로 변위된다. 이것에 의해, 각 가동레일 맞닿음부(87)는 하부 안내부(83b)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 사이로 끌여들여진다. 이 때, 연동레버(95)는 플런져(90)에 대해서 아래쪽으로 회동된다. 이 후, 엘리베이터칸(1)이 더욱 상승함으로써, 가동레일 맞닿음부(87)가 하부 안내부(83b)로 안내되면서 더욱 위쪽으로 변위되어 하우징(81)이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에 대해서 수평방향으로 변위된다. 이것에 의해, 리시빙레일 맞닿음부(86)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에 접촉한다.When each movable rail abutment 87 contacts the cage guide rail 6 while the car 1 is up, each movable rail abutment 87 is attracted to the cage guide rail 6. It is displaced downward with the connecting member 17. Thereby, each movable rail abutting part 87 is drawn in between the lower guide part 83b and the car guide rail 6. At this time, the interlock lever 95 is rotated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plunger 90. After that, as the car 1 is further raised, the movable rail abutting part 87 is guided to the lower guide part 83b and displaced further upward so that the housing 81 is moved with respect to the car guide rail 6. Displaced horizontally. As a result, the receiving rail contacting portion 86 contacts the car guide rail 6.

이 후, 각 가동레일 맞닿음부(87)가 더욱 아래쪽으로 변위되어 아래쪽의 제동위치에 이르면, 각 비상정지장치(15, 16)에서는 리시빙레일 맞닿음부(86)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에 접촉한 상태로 가동레일 맞닿음부(87)가 하부 안내부(83b)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 사이에 물려 들어간다. 이것에 의해, 가동레일 맞닿음부(87)와 리시빙레일 맞닿음부(86) 사이에서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이 파지된다. 이 때, 가압요소(88)는 리시빙레일 맞닿음부(86)의 변위에 의해 수축되어, 리시빙레일 맞닿음부(86)를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로 밀어붙이는 탄성반발력을 발생한다. 이것에 의해, 각 비상정지장치(15, 16)에 의한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의 파지력이 확보되어 엘리베이터칸(1)에 제동력이 주어진다.Thereafter, when the movable rail abutting portions 87 are further displaced to reach a lower braking position, the receiving rail abutting portions 86 are each of the car guide rails in the emergency stop devices 15 and 16. The movable rail abutting part 87 is engaged between the lower guide part 83b and the car guide rail 6 in contact with 6). As a result, the car guide rail 6 is gripped between the movable rail abutting portion 87 and the receiving rail abutting portion 86. At this time, the pressing element 88 is contracted by the displacement of the receiving rail abutment 86 to generate an elastic repulsion force for pushing the receiving rail abutment 86 to the car guide rail 6. . As a result, the holding force of the car guide rail 6 by the emergency stop devices 15 and 16 is secured, and a braking force is applied to the car 1.

제동상태로부터 복귀할 때에는 전자마그넷(89)을 여자한 후, 각 가동레일 맞닿음부(87)가 중립위치에 회동되는 방향으로 엘리베이터칸(1)을 이동시킨다. 즉, 하강에 대한 제동상태를 복귀할 때에는 엘리베이터칸(1)을 상승시키고, 상승에 대한 제동상태를 복귀할 때에는 엘리베이터칸(1)을 하강시킨다. 엘리베이터칸(1)을 이동시키면, 중립가압장치(94)에 의한 연결부재(17)의 가압에 의해, 각 가동레일 맞닿음부(87)의 위치가 제동위치로부터 중립위치로 되돌려져 엘리베이터칸(1)의 제동상태가 해제된다.When returning from the braking state, after the electromagnetic magnet 89 is excited, the car 1 is mov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movable rail abutting portions 87 are rotated to the neutral position. That is, the car 1 is raised when returning the braking state for the lowering, and the car 1 is lowered when returning the braking state for the rising. When the car 1 is moved, the position of each movable rail abutting part 87 is returned from a braking position to a neutral position by pressuriza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17 by the neutral pressure device 94. The braking condition of 1) is released.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에서는 중립위치에서부터 위쪽의 제동위치로 가동레일 맞닿음부(87)를 안내하는 상부 안내부(83a)와, 중립위치에서부터 아래쪽의 제동위치로 가동레일 맞닿음부(87)를 안내하는 하부 안내부(83b)가 하우징(81)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가동레일 맞닿음부(87)를 제동위치로 보다 확실하게 유도할 수 있어, 각 비상정지장치(15, 16)에 의한 엘리베이터칸(1)의 제동동작을 보다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In the safety device of such an elevator, the upper guide portion 83a for guiding the movable rail abutting portion 87 from the neutral position to the upper braking position and the movable rail abutting portion 87 from the neutral position to the lower braking position are provided. Since the lower guide portion 83b is formed in the housing 81, the movable rail abutting portion 87 can be guided more reliably to the braking position, so that the emergency stop devices 15 and 16 The braking operation of the car 1 can be performed more reliably.

실시형태 3.Embodiment 3.

상기 실시형태 1에서는 연결부재(17)가 각 가동레일 맞닿음부(26)에 접속되어 있지만, 각 하우징(22)에 연결부재를 접속해도 된다.In the said Embodiment 1, although the connection member 17 is connected to each movable rail abutting part 26, you may connect a connection member to each housing 22. As shown in FIG.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의한 비상정지장치(15)를 나타내는 구성도 이며, 도 18은 도 17의 XVIII-XVI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각 비상정지장치(15, 16)의 하우징(22)에는 수평방향에 대해 서로 대향하는 연결용 돌출부(110)가 형성되어 있다. 각 연결용 돌출부(110)는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돌출하고 있다.FIG. 17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 emergency stop device 15 according to Embodiment 3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XVIII-XVIII in FIG. 17. In the drawing, the housings 22 of the emergency stop devices 15 and 16 are formed with connecting projections 110 facing each oth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Each connection protrusion 110 protrudes in a direction approaching each other.

각 연결용 돌출부(110) 사이에는 관상(管狀)의 연결부재(111)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연결부재(111)의 양단부에는 연결용 돌출부(110)에 연결부재(111)를 장착하기 위한 멈춤볼트(112)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연결부재(111)의 각 연결용 돌출부(110)로의 장착은 연결용 돌출부(110)를 연결부재(111) 내에 삽입하고, 연결부재(111)에 삽입된 연결용 돌출부(110)를 멈춤볼트(112)로 체결함으로써 행해진다. 이와 같이 하여, 각 하우징(22) 사이가 연결부재(111)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연결부재(111)는,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전자구동장치(18)에 의해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A tubular connecting member 111 is detachably attached between the connecting protrusions 110. Both ends of the connection member 111 are provided with stop bolts 112 for mounting the connection member 111 to the connection protrusion 110, respectively. Mounting of the connecting member 111 to each connecting protrusion 110 inserts the connecting protrusion 110 into the connecting member 111 and stops the connecting protrusion 110 inserted into the connecting member 111. 112). In this way, between the housings 22 is connected by the connecting member 111. As in the first embodiment, the connecting member 111 is displaceable by the electromagnetic driving device 18.

또한, 본 예에서는 각 비상정지장치(15, 16)에서 주축(32)이 하우징(22)에 고정되고, 가동레일 맞닿음부(26)가 베어링(33)을 통하여 주축(32)에 장착되어 있다. 또, 본 예에서는, 실시형태 1의 백업기구(63)는 각 비상정지장치(15, 16) 중 어느 것으로도 설치되지 않는다. 다른 구성은 실시형태 1과 동일하다.In this example, the main shaft 32 is fixed to the housing 22 in each of the emergency stop devices 15 and 16, and the movable rail contacting portion 26 is mounted to the main shaft 32 through the bearing 33. have. In addition, in this example, the backup mechanism 63 of the first embodiment is not provided with any of the emergency stop devices 15 and 16. The other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at in the first embodiment.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에서는 연결부재(111)가 각 하우징(22)에 접속되어 있으므로, 각 비상정지장치(15, 16) 사이를 연결하는 구성을 더욱 간단하게 할 수 있다.In the safety device of such an elevator, since the connection member 111 is connected to each housing 22, the structure which connects between the emergency stop devices 15 and 16 can be made simpler.

실시형태 4.Embodiment 4.

상기 실시형태 2에서는 가동레일 맞닿음부(87)가 중앙부로부터 상하의 각 단부를 향하여 두께가 연속적으로 작아지는 쐐기로 되어 있지만, 가동레일 맞닿음부(87)의 형상을 원기둥 모양으로 해도 된다.In the second embodiment, the movable rail abutting portion 87 is formed as a wedge in which the thickness is continuously reduced from the central portion toward the upper and lower ends, but the shape of the movable rail abutting portion 87 may be cylindrical.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의한 비상정지장치(16)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가동레일 맞닿음부(87)는 수평에 배치된 원기둥 모양 부재로 되어 있다. 즉, 각 비상정지장치(15, 16)에서 가동레일 맞닿음부(87)는 연결부재(17)의 축선과 동축에 배치된 원기둥 모양 부재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연결부재(17)의 변위에 의해, 가동레일 맞닿음부(87)의 외주면이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에 접리된다.Fig. 19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emergency stop device 16 according to Embodiment 4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igure, the movable rail abutting part 87 is a cylindrical member arranged horizontally. That is, in each emergency stop device 15, 16, the movable rail abutting part 87 becomes a cylindrical member arrange | positioned coaxially with the axis line of the connection member 17. As shown in FIG. As a resul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ovable rail abutting portion 87 is folded by the car guide rail 6 due to the displacement of the connecting member 17.

하우징(81)은 실시형태 2와 동일한 하우징 본체(82) 및 가동 맞닿음부 측 돌출부(83)를 가지고 있다. 리시빙레일 맞닿음부(121)는 하우징 본체(82)에 가압체로서 고정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은 리시빙레일 맞닿음부(121)와 가동 맞닿음부 측 돌출부(83)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이 리시빙레일 맞닿음부(121)과 가동 맞닿음부 측 돌출부(83) 사이에서 파지됨으로써, 엘리베이터칸(1)의 제동동작이 행해진다. 다른 구성은 실시형태 2와 동일하다.The housing 81 has the same housing main body 82 and the movable abutting part side protrusion 83 as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receiving rail abutting portion 121 is fixed to the housing main body 82 as a press body. The car guide rail 6 is arrange | positioned between the receiving rail contact part 121 and the movable contact part side protrusion part 83. As shown in FIG. When the car guide rail 6 is gripped between the receiving rail contacting portion 121 and the movable contacting portion side protrusion 83, the braking operation of the car 1 is performed. The other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second embodiment.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에서는 가동레일 맞닿음부(87)가 수평으로 배치된 원기둥 모양 부재로 되어 있으므로, 가동레일 맞닿음부(87)를 간단한 형상으로 할 수 있어, 가동레일 맞닿음부(87)의 제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In the safety device of such an elevator, since the movable rail abutting part 87 is a cylindrical member arranged horizontally, the movable rail abutting part 87 can be made simple, and the movable rail abutting part 87 ) Can be easily manufactured.

또한, 각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이 엘리베이터칸(1)에 적용되어 있지만, 균형추(2)에 본 발명을 적용해도 된다.In addition, although this invention is applied to the car 1 in each said embodiment, you may apply this invention to the counterweight 2.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하 어느 방향에 대해서도 엘리베이터칸의 주행을 제동 가능한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에 이용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a safety device of an elevator capable of braking driving of the car in any of the up and down directions.

Claims (11)

한 쌍의 가이드레일로 안내되는 승강체에 지지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리시빙레일 맞닿음부와, 수평방향에 대해 상기 가이드레일을 통하여 상기 리시빙레일 맞닿음부에 대향하고, 상기 리시빙레일 맞닿음부와의 간격이 소정의 거리가 되는 중립위치와 상기 중립위치보다도 위쪽 및 아래쪽의 각각에 위치해 상기 리시빙레일 맞닿음부와의 간격이 상기 소정의 거리보다도 좁아지는 제동위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하고, 또한 상기 가이드레일에 접리(接離) 가능한 가동레일 맞닿음부를 각각 가지며, 상기 가동레일 맞닿음부가 상기 가이드레일에 접촉하면서 상기 승강체의 이동방향에 따른 상기 제동위치로 변위됨으로써, 상기 리시빙레일 맞닿음부와 상기 가동레일 맞닿음부 사이에서 각 상기 가이드레일을 개별적으로 파지(把持)하는 한 쌍의 제동기구체,The housing supported by the lifting body guided by the pair of guide rails, the receiving rail contacting portion provided in the housing, and the receiving rail contacting portion via the guide rail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receiving Between a neutral position where the distance between the ice rail contact portion becomes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 braking position that is located above and below the neutral position, respectively,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receiving rail contact portion becomes smaller than the predetermined distance. Each of the movable rail abutting portions that are displaceable and foldable on the guide rail, and the movable rail abutting portion is displaced to the braking position according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lifting body while contacting the guide rail, A pair of gripping each of the guide rails individually between the receiving rail abutting portion and the movable rail abutting portion. Braking Mechanism, 각 상기 제동기구체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 및A connecting member connecting each of the brake mechanisms; 상기 승강체에 지지되어 각 상기 가동레일 맞닿음부가 각 상기 가이드레일에 접리하는 방향으로 상기 연결부재를 변위시키는 전자구동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And an electromagnetic drive device supported by the elevating body and displacing the connecting member in a direction in which each of the movable rail abutting portions folds into each of the guide rails.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가동레일 맞닿음부는 상기 하우징에 대해서 상하방향으로 회동됨으로써, 상기 중립위치와 상기 제동위치 사이에서 변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 이터의 안전장치.And the movable rail abutting portion is rotated in an up and down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housing, thereby displacing between the neutral position and the braking position.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중립위치에서부터 위쪽의 상기 제동위치로 상기 가동레일 맞닿음부를 안내하는 상부 안내부와, 상기 중립위치에서부터 아래쪽의 상기 제동위치로 상기 가동레일 맞닿음부를 안내하는 하부 안내부가 설치되고,The housing is provided with an upper guide portion for guiding the movable rail contacting portion from the neutral position to the braking position above, and a lower guide portion for guiding the movable rail contacting portion from the neutral position to the braking position below, 상기 상부 안내부는 위쪽을 향하여 상기 가이드레일에 연속적으로 가까워지도록 경사지며, 상기 하부 안내부는 아래쪽을 향하여 상기 가이드레일에 연속적으로 가까워지도록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The upper guide portion is inclined to continuously approach the guide rail toward the top, the lower guide portion is inclined to continuously approach the guide rail toward the bottom. 청구항 3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상기 가동레일 맞닿음부는 수평으로 배치된 원기둥 모양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The movable rail contact portion is an elevator safet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ylindrical member arranged horizontally.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상기 연결부재는 각 상기 하우징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And said connecting member is connected to each of said housings.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상기 연결부재는 각 상기 가동레일 맞닿음부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And said connecting member is connected to each of said movable rail abutting parts. 청구항 6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상기 연결부재의 변위를 검출함으로써, 각 상기 가동레일 맞닿음부의 상기 중립위치에서부터 위쪽 및 아래쪽의 각각으로의 변위를 검출하는 검출장치를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And a detection device for detecting a displacement from the neutral position of each of the movable rail abutting portions to each of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by detecting the displacement of the connecting member. 청구항 7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상기 검출장치는 상기 가동레일 맞닿음부의 위쪽의 상기 제동위치로의 변위를 검출하는 위쪽 변위 검출부와, 상기 가동레일 맞닿음부의 아래쪽의 상기 제동위치에의 변위를 검출하는 아래쪽 변위 검출부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The detecting device has an upper displacement detecting portion for detecting a displacement to the braking position above the movable rail abutting portion, and a lower displacement detecting portion for detecting displacement at the braking position below the movable rail abutting portion. Elevator safety device. 청구항 7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상기 연결부재는 각 상기 가동레일 맞닿음부의 변위에 따라 회전되도록 되어 있고,The connecting member is rotated according to the displacement of each of the movable rail abutment, 상기 검출장치는 상기 연결부재의 회전방향을 검출하는 회전검출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The detection device is an elevator safet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detecting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청구항 6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각 상기 가동레일 맞닿음부의 위치가 상기 중립위치으로 변위하는 방향으로 상기 연결부재를 가압하는 중립가압장치를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And a neutral pressurizing device for pressing the connecting member in a direction in which the positions of the movable rail abutment portions are displaced to the neutral position.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승강체의 이동에 수반하여 이동하는 조속기 로프와, 상기 승강체의 이동속도가 소정의 과속도에 이르렀을 때에 상기 조속기 로프를 구속함으로써, 상기 조속기 로프의 이동을 저지하는 조속기와, 상기 승강체에 설치되어 상기 조속기 로프의 이동의 저지에 의해, 상기 승강체의 이동방향에 따른 상기 제동위치로 상기 가동레일 맞닿음부를 변위시키는 링크기구를 가지는 기계식 백업(backup)기구를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A governor rope which moves along with the movement of the elevator body, a governor which restrains the governor rope when the movement speed of the elevator body reaches a predetermined overspeed, and prevents the movement of the governor rope; And a mechanical backup mechanism having a link mechanism provided at the rear side to displace the movable rail contact portion to the braking position according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lifting body by preventing the movement of the governor rope. Elevator safety device.
KR1020097024028A 2007-06-04 2007-06-04 Safety device of elevator KR101033378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7/061299 WO2008149413A1 (en) 2007-06-04 2007-06-04 Safety device of elev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5134A true KR20100005134A (en) 2010-01-13
KR101033378B1 KR101033378B1 (en) 2011-05-11

Family

ID=40093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4028A KR101033378B1 (en) 2007-06-04 2007-06-04 Safety device of elevator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154096A4 (en)
JP (1) JPWO2008149413A1 (en)
KR (1) KR101033378B1 (en)
CN (1) CN101679001B (en)
WO (1) WO2008149413A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5401B1 (en) * 2012-09-24 2013-10-07 티센크루프엘리베이터코리아 주식회사 Apparatus against starting with doors open in the elevator
KR20180108755A (en) * 2016-03-04 2018-10-04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Elevator braking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13753A2 (en) 2010-03-18 2011-09-22 Inventio Ag Elevator system having a brake device
US9169104B2 (en) 2010-12-17 2015-10-27 Inventio Ag Activating a safety gear
DE102011000720A1 (en) * 2011-02-14 2012-08-16 Klaus-Peter Kapp Friction brake for lifts with improved damping properties
WO2013092239A1 (en) * 2011-12-21 2013-06-27 Inventio Ag Actuator for lift brake
CN102530677A (en) * 2012-02-24 2012-07-04 苏州莱茵电梯制造有限公司 Safety gear with cam structure
EP2837592A1 (en) 2013-08-13 2015-02-18 Aplicaciones Electromecanicas Gervall, S.A. Driving system for a lift safety gear
AT514822A1 (en) * 2013-10-10 2015-04-15 Cobianchi Liftteile Ag Tripping device for a safety gear
EA030810B1 (en) * 2016-06-29 2018-09-28 От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Могилевский Завод Лифтового Машиностроения" (Оао "Могилевлифтмаш") Double-direction lift car catcher
IT201700051961A1 (en) * 2017-05-12 2018-11-12 Paolo Frigerio SAFETY DEVICE FOR STOPPING AN UNCONTROLLED MOVEMENT OF AN LIFT CAB
DE112018007600T5 (en) * 2018-05-14 2021-01-28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Safety device for an elevator and safety system for an elevator
US11104545B2 (en) * 2018-12-10 2021-08-31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safety actuator systems
US11866299B2 (en) 2019-07-23 2024-01-09 Hitachi, Ltd. Elevator apparatus
RU2718706C1 (en) * 2019-11-07 2020-04-14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Щербинский Лифтостроительный Завод" Catcher
CN111302182B (en) * 2020-04-07 2023-08-25 陕西纵横智能重工有限公司 Elevator with mechanical anti-falling function
EP3932844A1 (en) * 2020-07-01 2022-01-05 KONE Corporation Safety gear arrangement, elevator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 safety gear of an elevator system
CN115120079A (en) * 2021-06-11 2022-09-30 厦门松霖科技股份有限公司 Lifting structure of mirror surface and mirror
CN115092789B (en) * 2022-08-25 2022-11-11 河南起升智能科技有限公司 Accidental movement prevention device, accidental movement prevention assembly and elevator
CN117657915A (en) * 2022-08-25 2024-03-08 奥的斯电梯公司 Elevator safety tongs control device, elevator safety equipment and elevator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52545A (en) * 1991-02-06 1992-08-12 Poon Otto L Bi-directional safety brake for elevator
JPH06239553A (en) * 1993-01-19 1994-08-30 Otis Elevator Co Protector for winding machine of rising type elevator
JP3523430B2 (en) * 1996-11-13 2004-04-26 三菱電機株式会社 Elevator braking system
JP4107728B2 (en) * 1998-09-07 2008-06-25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Elevator equipment
TW593117B (en) 2000-12-07 2004-06-21 Inventio Ag Safety brake and method for unlocking a safety brake
JP4987213B2 (en) 2001-06-29 2012-07-25 三菱電機株式会社 Elevator emergency brake system
CN2717905Y (en) * 2004-04-16 2005-08-17 武汉市黄陂新隆建筑机械有限公司 Synchronous self-locking safety tongs
PT1749784E (en) * 2004-05-25 2012-04-03 Mitsubishi Electric Corp Emergency stop device of elevator
BRPI0601926B1 (en) * 2005-06-17 2018-06-12 Inventio Aktiengesellschaft BRAKE PARACHUTE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5401B1 (en) * 2012-09-24 2013-10-07 티센크루프엘리베이터코리아 주식회사 Apparatus against starting with doors open in the elevator
KR20180108755A (en) * 2016-03-04 2018-10-04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Elevator brak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54096A4 (en) 2013-12-25
JPWO2008149413A1 (en) 2010-08-19
EP2154096A1 (en) 2010-02-17
CN101679001A (en) 2010-03-24
CN101679001B (en) 2012-07-04
KR101033378B1 (en) 2011-05-11
WO2008149413A1 (en) 2008-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3378B1 (en) Safety device of elevator
EP2112116B1 (en) Safety device for elevator
KR101124931B1 (en) Safety device for elevator
US9457989B2 (en) Braking device with actuating device
RU2583829C2 (en) Elevator comprising cabin and counterweight
JP5026743B2 (en) Progressive safety device
CA2821144A1 (en) Device for actuating and resetting a safety gear
CN109795930B (en) Emergency stop device and elevator
US20090032341A1 (en) Emergency brake of elevator
JP4170295B2 (en) Elevator braking device
EP3328772B1 (en) Safety block for elevator
JP7216839B2 (en) elevator equipment
JP5189027B2 (en) Elevator braking device and elevator device
JP7229358B2 (en) elevator equipment
US7419033B2 (en) Emergency brake device for elevator
WO2021117088A1 (en) Elevator and emergency stop device therefor
JP7520262B2 (en) Elevator emergency stop device
JP7569268B2 (en) Emergency stop device, elevator, and method for resetting the emergency stop device
WO2021214867A1 (en) Emergency stop device and elev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