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5005U - 공간 분리대 - Google Patents

공간 분리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5005U
KR20100005005U KR2020080014807U KR20080014807U KR20100005005U KR 20100005005 U KR20100005005 U KR 20100005005U KR 2020080014807 U KR2020080014807 U KR 2020080014807U KR 20080014807 U KR20080014807 U KR 20080014807U KR 20100005005 U KR20100005005 U KR 2010000500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rugated
holding member
connecting member
holding
lower conn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48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기풍
안종현
정영미
Original Assignee
안기풍
안종현
정영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기풍, 안종현, 정영미 filed Critical 안기풍
Priority to KR20200800148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5005U/ko
Publication of KR2010000500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500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 F21S8/081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low-built type, e.g. landscape light
    • F21S8/083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low-built type, e.g. landscape light of bollard type, i.e. with lighting fixture integrated into the standard or mounted on top of it and having substantially the same diame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21S9/03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56/00Fe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공간 분리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주부재에 양단이 고정된 상하연결부재의 슬롯형태로 형성된 골판끼움홈에 골판이 끼워짐으로써 조립이 간단할 뿐만 아니라, 제조비용이 저렴하며, 각각의 색상으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는 한편, 도로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우천시 빗물과 자동차 전조등의 빛 등이 넘어오지 않도록 하여 보행자에게 빗물이 튀지 않을 뿐 아니라 전조등의 불빛이 비추지 않아 시야가 확보되도록 한 공간 분리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공간 분리대는, 바닥에 수직으로 세워진 제1지주부재(1100)와, 이 제1지주부재와 일정 거리 떨어져 바닥에 수직으로 세워진 제2지주부재(1200)와, 상기 제1지주부재의 상부에 일단이 결합하고 제2지주부재의 상부에 타단이 고정된 상부연결부재(1300)와, 상기 제1지주부재의 하부에 일단이 결합하고 제2지주부재의 하부에 타단이 고정된 하부연결부재(1400)와, 상기 상부연결부재와 하부연결부재에 분리부재(1500)가 결합하되, 상기 상부연결부재(1300)의 하부에는 싸인 또는 코싸인 곡선 형상으로 골판홈(1310)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연결부재(1400)의 상부에는 싸인 또는 코싸인 곡선 형상으로 골판홈(1410)이 형성되며, 상기 분리부재(1500)는 상기 상부연결부재(1300)의 골판홈(1310)과 하부연결부재(1400)의 골판홈(1410)에 끼워지는 싸인 또는 코싸인 곡선 형상으로 이루어진 골판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공간, 분리대, 지주부재, 상하연결부재, 골판

Description

공간 분리대{DIVIDING STRIP}
본 고안은 공간 분리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주부재에 양단이 고정된 상하연결부재의 슬롯형태로 형성된 골판끼움홈에 골판이 끼워짐으로써 서 조립이 간단할 뿐만 아니라, 제조비용이 저렴하며, 야간에도 식별이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한편, 도로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우천시 빗물과 자동차 전조등의 빛등이 넘어 오지 않도록 하여 보행자에게 빗물이 튀지 않을 뿐 아니라 전조등의 불빛이 비추지 않아 시야가 확보되도록 한 공간 분리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휀스는 관공서, 학교담장, 아파트 단지, 공원 녹지, 도로변, 전원주택 등의 건물주변에 설치하여 부지의 경계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휀스는 목재 또는 금속재가 주로 사용되며, 미려한 외관 등 외관 향상을 위해 각종 문양이나 무늬의 이미지를 조형화(造形化)하게 된다.
또한 화단과 인도의 경계부분에 설치되는 분리대는 돌이나 나무 또는 철재로 이루어져 화단의 흙이 인도로 밀려 내려오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런데, 목재로 구성되는 종래의 조립식 휀스는 목재에 각종 문양이나 무늬의 이미지를 조형화하기가 쉽지 않을 뿐더러 주로 목재를 깎아내는 조각 등의 방법이 사용되므로 제작시간이 오래 걸리거나 설치비 및 인건비가 과다해짐은 물론, 외력에 의해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로에 설치되는 휀스의 경우에 빗물이나 전조등의 불빛이 반대쪽으로 넘어가 보행자나 운전자에게 피해를 주는 결점이 있었다.
또 야간에는 어두워서 보행자나 운전자가 식별이 곤란하게 되는 결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결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지주부재에 고정된 상하연결부재의 골판끼움홈에 골판이 끼워짐으로서 조립이 간단할 뿐만 아니라, 제조비용이 저렴하면서도 파손의 염려가 없도록 된 공간 분리대를 제공함에 제 1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도로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우천시 빗물과 자동차 전조등의 빛등이 반대쪽으로 넘어 가지 않도록 하여 반대쪽 보행자에게 빗물이 튀지 않을 뿐 아니라 전조등의 불빛이 비추지 않아 시야가 확보되도록 한 공간 분리대를 제공함에 제 2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골판을 각각의 색상과 문양을 주어 다양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 는 공간 분리대를 제공함에 제 3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태양광에너지를 이용하여 야간에 연결부재에서 불빛이 비추도록 하여 보행자나 운전자로 하여금 식별이 용이하게 하도록 된 공간 분리대를 제공함에 제 4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바닥에 수직으로 세워진 제1지주부재와, 이 제1지주부재와 일정 거리 떨어져 바닥에 수직으로 세워진 제2지주부재와, 상기 제1지주부재의 상부에 일단이 결합되고 제2지주부재의 상부에 타단이 고정된 상부연결부재와, 상기 제1지주부재의 하부에 일단이 결합되고 제2지주부재의 하부에 타단이 고정된 하부연결부재와, 상기 상부연결부재와 하부연결부재에 분리부재가 결합된 공간 분리대에 있어서, 상기 상부연결부재의 하부에는 싸인 또는 코싸인 곡선 형상으로 골판홈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연결부재의 상부에는 싸인 또는 코싸인 곡선 형상으로 골판홈이 형성되며, 상기 분리부재는 상기 상부연결부재의 골판홈과 하부연결부재의 골판홈에 끼워지는 싸인 또는 코싸인 곡선 형상으로 이루어진 골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공간 분리대는, 상기 상부연결부재와 하부연결부재의 골판홈은 절곡에 의해 형성되되, 상기 상부연결부재와 하부연결부재를 이루는 판재의 양단에 싸인 또는 코싸인 곡선 형상으로 가공되고, 중앙에 일정길이를 두도록 양쪽으로 수직 벤딩되며, 일정 높이에서 안쪽으로 수직 벤딩되어 요(凹)형상으로 된 것을 특징 으로 한다.
본 고안의 공간 분리대는, 상기 상부연결부재와 하부연결부재의 골판홈이 형성된 주변에는 일정 간격으로 보강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보강구멍에 끼워져 상기 상부연결부재와 하부연결부재를 연결하여 상기 분리부재인 골판을 보호하도록 된 보강봉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공간 분리대는, 상기 상부연결부재와 하부연결부재의 중간부에 위치하여 상기 분리부재인 골판을 앞면과 뒤면에서 보호하도록 각각의 골판보강부재가 상기 제1지주부재와 제2지주부재에 양단이 결합되되, 상기 골판보강부재는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길이 방향 단부 모서리에는 상기 분리부재인 골판의 싸인 또는 코싸인 곡선과 동일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공간 분리대는, 상기 제1지주부재 또는 제2지주부재의 상부에는 솔라셀을 이용해 전기를 생산하여 충전함과 더불어 감지된 조도가 일정한 조도 이하이면 전구가 점등되도록 한 태양광수단이 장착되고, 상기 전구에는 연결수단에 의해 불빛을 전달하도록 된 도광부재가 연결되며, 상기 도광부재의 타단은 상기 제1지주부재 또는 제2지주부재에서 상기 상부연결부재 또는 하부연결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장착되어 상기 전구가 점등되면 도광부재를 통해 상하연결부재에서 불빛이 외부로 발산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공간 분리대는, 상기 상부연결부재 또는 하부연결부재의 길이방향 측면으로 복수개의 관통구멍이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공간 분리대에 의하면, 지주부재에 고정된 상하연결부재의 골판끼움홈에 골판이 끼워짐으로서 조립이 간단할 뿐만 아니라, 제조비용이 저렴하면서도 파손의 염려가 없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고안의 공간 분리대에 의하면, 도로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우천시 빗물과 자동차 전조등의 빛등이 반대쪽으로 넘어 가지 않도록 하여 반대쪽 보행자에게 빗물이 튀지 않을 뿐 아니라 전조등의 불빛이 비추지 않아 시야가 확보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공간 분리대에 의하면, 골판을 각각의 색상과 문양을 주어 다양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고안의 공간 분리대에 의하면, 태양광에너지를 이용하여 야간 또는 조도가 일정 조도 이하에서는 연결부재에서 불빛이 비추도록 하여 보행자나 운전자로 하여금 식별이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의한 공간 분리대를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인용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으며,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 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고안의 공간 분리대(1000)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바닥에 수직으로 세워진 제1지주부재(1100)와, 이 제1지주부재와 일정 거리 떨어져 바닥에 수직으로 세워진 제2지주부재(1200)와, 상기 제1지주부재의 상부에 일단이 결합되고 제2지주부재의 상부에 타단이 고정된 상부연결부재(1300)와, 상기 제1지주부재의 하부에 일단이 결합되고 제2지주부재의 하부에 타단이 고정된 하부연결부재(1400)와, 상기 상부연결부재와 하부연결부재에 분리부재(1500)가 결합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상부연결부재(1300)와 하부연결부재(1400)는 상기 제1지주부재(1100)와 제2지주부재(1200)에 끼워져 분해 조립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거나, 또는 용접에 의해 결합된다.
여기서 본 고안의 요부인 구성은, 상기 상부연결부재(1300)의 하부에는 싸인 또는 코싸인 곡선 형상으로 골판홈(1310)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연결부재(1400)의 상부에는 싸인 또는 코싸인 곡선 형상으로 골판홈(1410)이 형성되며, 상기 분리부재(1500)는 상기 상부연결부재(1300)의 골판홈(1310)과 하부연결부재(1400)의 골판홈(1410)에 끼워지는 싸인 또는 코싸인 곡선 형상으로 이루어진 골판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상부연결부재(1300)와 하부연결부재(1400)의 골판홈(1310,1410)은 절곡에 의해 형성되되, 상기 상부연결부재(1300)와 하부연결부재(1400)는 판재의 양단에 싸인 또는 코싸인 곡선 형상으로 가공되고, 중앙에 일정길이를 두도록 양쪽으로 수직 벤딩되며, 일정 높이에서 안쪽으로 수직 벤딩되어 요(凹)형상으로 되어 있다.
물론 상기 골판홈(1310,1410)의 폭은 상기 분리부재(1500)의 두께와 비교하여 같거나 매우 약간 넓으면 되고, 조립시 상기 분리부재(1500)를 상기 골판홈(1310,1410)에 밀어넣거나 반대로 상기 골판홈(1310,1410)에 상기 분리부재(1500)를 밀어 넣어 조립하게 되면, 상기 골판홈(1310,1410)에서 분리부재(1500)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분리부재(1500)가 골판형상으로 이루어진 상태로 상기 상부연결부재(1300)와 하부연결부재(1400)의 골판홈(1310,1410)에 끼워짐으로서 간단히 분리부재(1500)를 설치할 수 있고, 상기 상부연결부재(1300)와 하부연결부재(1400)는 프레스기계에서 펀치로 타발하여 벤딩함으로서 대량생산이 가능하여 재료 및 제조비용도 매우 저렴하게 된다.
또 상기 분리부재(1500)는 폴리카보네이트로 제조되되 다양한 문양으로 설치할 수 있어서 시각적으로 훌륭한 디자인을 만들어 낼 수 있으며, 충격을 가해도 쉽게 파손도 되지 않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서와 같이 상기 분리부재(1500)가 도로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우천시 빗물과 자동차 전조등의 빛등이 반대쪽으로 넘어 가지 않도록 하여 반대쪽 보행자에게 빗물이 튀지 않을 뿐 아니라 전조등의 불빛이 비추지 않아 시야가 확보되게 된다.
또한 상기 상부연결부재(1300)와 하부연결부재(1400)의 골판홈(1310,1410)이 형성된 주변에는 일정 간격으로 보강구멍(1320,1420)이 형성되고, 상기 보강구멍(1320,1420)에 끼워져 상기 상부연결부재(1300)와 하부연결부재(1400)를 연결하여 상기 분리부재(1500)인 골판을 보호하도록 된 보강봉(1600)을 더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보강봉(1600)에 의해 분리부재(1500)가 지지되므로 충격을 가해도 쉽게 변형되지 않게 된다.
또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1지주부재(1100)에 고정되는 보강부재(1700)에 의해 상부연결부재(1300)와 하부연결부재(1400)를 지지할 수 있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2지주부재(1200)에도 상기 보강부재(1700)를 이용하여 상부연결부재(1300)와 하부연결부재(1400)를 지지할 수 있다.
한편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상부연결부재(1300)와 하부연결부재(1400)의 중간부에 위치하여 상기 분리부재(1500)인 골판을 앞면과 뒤면에서 보호하도록 각각의 골판보강부재(1800)가 상기 제1지주부재(1100)와 제2지주부재(1200)에 양단이 결합되되, 상기 골판보강부재(1800)는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길이 방향 단부 모서리에는 상기 분리부재(1500)인 골판의 싸인 또는 코싸인 곡선과 동일하게 골판홈(1810)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골판보강부재(1800)에 의해 분리부재(1500)가 가로 방향으로 지지하게 되므로 충격을 분리부재(1500)에 가해도 쉽게 분리부재(1500)가 변형되지 않게 된다.
또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1지주부재(1100) 또는 제2지주부재(1200)의 상부에는 솔라셀(2010)을 이용해 전기를 생산하여 충전함과 더불 어 감지된 조도가 일정한 조도 이하이면 전구(2020)가 점등되도록 한 공지의 태양광수단(2000)이 장착되고, 상기 전구(2020)에는 연결수단(2100)에 의해 불빛을 전달하도록 된 도광부재(2200)가 연결되며, 상기 도광부재(2200)의 타단은 상기 제1지주부재(1100) 또는 제2지주부재(1200)에서 상기 상부연결부재(1300) 또는 하부연결부재(1400)의 길이방향으로 장착되어 상기 전구(2020)가 점등되면 도광부재(2200)를 통해 상,하부연결부재(1300,1400)에서 불빛이 외부로 발산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연결수단(2100)는 약간의 탄성을 갖도록 하여 상기 전구(2020)와 도광부재(2200)가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상부연결부재(1300) 또는 하부연결부재(1400)의 길이방향 측면으로 복수개의 관통구멍(1330,1430)이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태양광수단(2000)의 솔라셀(2010)이 태양빛을 받아 도시 되지 않은 충전회로와 충전지에 의해 충전된 다음 외부의 조도가 설정 조도 이하로 되면 충전지의 전원을 공급받아 전구(2020)가 점등되게 되고, 이 전구(2020)의 불빛은 상기 도광부재(2200)를 따라 전달되게 되는바, 상기 상부연결부재(1300) 또는 하부연결부재(140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골판홈(1310,1410)으로 불빛이 비추어 지면서 상기 분리부재(1500)에 불빛이 비추어져 보행자나 운전자에게 분리대가 있음을 쉽게 확인시켜 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전구(2020)의 불빛이 도광부재(2200)를 통해서 상기 상부연결부 재(1300) 또는 하부연결부재(140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관통구멍(1330,1430)으로 불빛이 비추어 지면서 보행자나 운전자에게 분리대가 있음을 쉽게 확인시켜 줄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태양광수단(2000)은 태양광에너지를 이용하여 야간 또는 조도가 일정 조도 이하에서는 연결부재에서 불빛이 비추도록 하여 보행자나 운전자로 하여금 공간 분리대(1000)의 식별이 용이하게 된다.
미설명부호 1900은 상기 제1지주부재(1100) 또는 제2지주부재(1200)의 상부에 설치된 상부난간부재로, 본 고안에서는 도 1과 도 7 및 도 8과 같이 설치될 수 있으며, 도 9 및 도 10과 같이 설치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 상기 상부난간부재(1900)는 양단에 뚜껑(1910,1920)이 끼워질 수 있다.
또 상기 제1지주부재(1100) 또는 제2지주부재(1200)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원통형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사각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 하부는 바닥에 고정하는 타입과 이용할 수 있는 형태로 변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제1지주부재(1100) 또는 제2지주부재(1200)는 상기 도광부재(2200)가 상기 상부연결부재(1300) 또는 하부연결부재(1400)로 설치하기 위해 도광부재인출구멍(1110,1210)이 형성된다. 물론 상기 제1지주부재(1100) 또는 제2지주부재(1200)에 상기 상부연결부재(1300) 및 하부연결부재(1400)의 양단이 끼워진 경우에는 별도로 상기 도광부재인출구멍(1110,1210)을 별도로 형성할 필요가 없게 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고안의 실시 예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 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경우에는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공간 분리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공간 분리대를 구성하는 상부연결부재와 하부연결부재 및 분리부재와 보강봉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 - A선 단면도,
도 4는 도 1의 B - B선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상부연결부재와 하부연결부재를 지주부재에 고정하기 위해 보강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상부연결부재와 하부연결부재의 판상태와 절곡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7은 본 고안에 태양광수단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일예의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종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에 태양광수단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다른예의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종단면도,
도 11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골판보강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0 : 제1지주부재 1200 : 제2지주부재
1300 : 상부연결부재 1310 : 골판홈
1320 : 보강구멍 1330 : 관통구멍
1400 : 하부연결부재 1410 : 골판홈
1420 : 보강구멍 1430 : 관통구멍
1500 : 분리부재 1600 : 보강봉
1700 : 보강부재 1800 : 골판보강부재
1900 : 상부난간부재 2000 : 태양광수단
2010 : 솔라셀 2020 : 전구
2100 : 연결수단 2200 : 도광부재

Claims (6)

  1. 바닥에 수직으로 세워진 제1지주부재와, 이 제1지주부재와 일정 거리 떨어져 바닥에 수직으로 세워진 제2지주부재와, 상기 제1지주부재의 상부에 일단이 결합되고 제2지주부재의 상부에 타단이 고정된 상부연결부재와, 상기 제1지주부재의 하부에 일단이 결합되고 제2지주부재의 하부에 타단이 고정된 하부연결부재와, 상기 상부연결부재와 하부연결부재에 분리부재가 결합된 공간 분리대에 있어서,
    상기 상부연결부재(1300)의 하부에는 싸인 또는 코싸인 곡선 형상으로 골판홈(1310)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연결부재(1400)의 상부에는 싸인 또는 코싸인 곡선 형상으로 골판홈(1410)이 형성되며,
    상기 분리부재(1500)는 상기 상부연결부재(1300)의 골판홈(1310)과 하부연결부재(1400)의 골판홈(1410)에 끼워지는 싸인 또는 코싸인 곡선 형상으로 이루어진 골판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분리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골판홈(1310,1410)은 절곡에 의해 형성되되,
    상기 상부연결부재(1300)와 하부연결부재(1400)는, 강판재의 양단에 싸인 또는 코싸인 곡선 형상으로 가공되고, 중앙에 일정길이를 두도록 양쪽으로 수직 벤딩되며, 일정 높이에서 안쪽으로 수직 벤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분리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연결부재(1300)와 하부연결부재(1400)의 골판홈(1310,1410)이 형성된 주변에는 일정 간격으로 보강구멍(1320,1420)이 형성되고,
    상기 보강구멍(1320,1420)에 끼워져 상기 상부연결부재(1300)와 하부연결부재(1400)를 연결하여 상기 분리부재(1500)인 골판을 보호하도록 된 보강봉(1600)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분리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연결부재(1300)와 하부연결부재(1400)의 중간부에 위치하여 상기 분리부재(1500)인 골판을 앞면과 뒤면에서 보호하도록 각각의 골판보강부재(1800)가 상기 제1지주부재(1100)와 제2지주부재(1200)에 양단이 결합되되,
    상기 골판보강부재(1800)는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길이 방향 단부 모서리에는 상기 분리부재(1500)인 골판의 싸인 또는 코싸인 곡선과 동일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분리대.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주부재(1100) 또는 제2지주부재(1200)의 상부에는 솔라셀(2010)을 이용해 전기를 생산하여 충전함과 더불어 감지된 조도가 일정한 조도 이하이면 전구(2020)가 점등되도록 한 태양광수단(2000)이 장착되고,
    상기 전구(2020)에는 연결수단(2100)에 의해 불빛을 전달하도록 된 도광부재(2200)가 연결되며,
    상기 도광부재(2200)의 타단은 상기 제1지주부재(1100) 또는 제2지주부재(1200)에서 상기 상부연결부재(1300) 또는 하부연결부재(1400)의 길이방향으로 장착되어 상기 전구(2020)가 점등되면 도광부재(2200)를 통해 상,하부연결부재(1300,1400)에서 불빛이 외부로 발산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분리대.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연결부재(1300) 또는 하부연결부재(1400)의 길이방향 측면으로 복수개의 관통구멍(1330,1430)이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분리대.
KR2020080014807U 2008-11-06 2008-11-06 공간 분리대 KR2010000500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4807U KR20100005005U (ko) 2008-11-06 2008-11-06 공간 분리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4807U KR20100005005U (ko) 2008-11-06 2008-11-06 공간 분리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5005U true KR20100005005U (ko) 2010-05-14

Family

ID=44450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4807U KR20100005005U (ko) 2008-11-06 2008-11-06 공간 분리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5005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49359B1 (ko) 바닥신호등 설치프레임
WO2006071013A1 (en) Light emitting road boundary stone using solar cell
KR100851532B1 (ko) 도로 표시장치
KR100895722B1 (ko) 솔라 시선유도봉
KR101137602B1 (ko) 가로등지주의 결합구조
KR100892090B1 (ko) 채광패널 시스템
KR100972596B1 (ko) 조립식 펜스
KR102397106B1 (ko) 도로표지병
KR101722203B1 (ko) 안내 표지판
CN102741487A (zh) 户外遮篷
KR100964817B1 (ko) 조립형 보차도 경계 펜스
KR100814583B1 (ko) 외관이 미려한 방음벽
KR20100005005U (ko) 공간 분리대
KR20100005292U (ko) 휀스
KR100928435B1 (ko) 태양광 모듈 고정형 거치대
KR200493043Y1 (ko) 태양광 발전용 휀스 캡
KR200411758Y1 (ko) 가로등 지주(支柱) 보호커버
KR200473604Y1 (ko) 방수 구조를 가지는 간판
KR101243870B1 (ko) 도로안내 표시장치
KR101205544B1 (ko) 지주용 캡
KR20110028973A (ko) 투명 커버가 구비된 가로등주
KR100961987B1 (ko) 지주커버
KR20090008591U (ko) 신호등용 지주
CN216345979U (zh) 一种多功能化城市照明太阳能led路灯
CN215858670U (zh) 一种导水槽及光伏屋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