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4732A - 학습안내용 전자책상 - Google Patents

학습안내용 전자책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4732A
KR20100004732A KR1020080065070A KR20080065070A KR20100004732A KR 20100004732 A KR20100004732 A KR 20100004732A KR 1020080065070 A KR1020080065070 A KR 1020080065070A KR 20080065070 A KR20080065070 A KR 20080065070A KR 20100004732 A KR20100004732 A KR 201000047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ing
desk
top plate
guide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5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희정
Original Assignee
(주)첨소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첨소리 filed Critical (주)첨소리
Priority to KR10200800650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4732A/ko
Publication of KR201000047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47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9/00Reading-desks; Lecterns; Pulpits, i.e. free-standing
    • A47B19/06Reading-desks; Lecterns; Pulpits, i.e. free-standing with adjustable top leaf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66Workstations
    • A47B2200/0078Control consoles or desk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Landscapes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책상에 놓여진 학습교재에 인쇄된 학습내용을 선택 시 그 선택된 학습내용에 해당하는 학습정보가 출력되는 학습안내용 전자책상에 관한 것으로, 상판(100) 및 다리(200)로 이루어진 책상에 있어서, 상기 책상 상판(100)에 학습교재(10)가 놓여지는 부분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학습교재(10)의 학습내용이 표시된 일정영역을 구획별로 구분하고, 임의의 구획을 터치할 경우 그 터치된 구획의 위치를 나타내는 구획별 좌표신호를 생성하는 구획좌표 생성부(110)와; 구획별 학습정보가 출력되는 정보출력부(120)와; 상기 학습교재(10)의 일정영역에 표시되는 학습내용을 구획별로 구분시킨 구획별 학습정보가 저장된 데이터 저장부(130)와; 상기 구획좌표 생성부(110)로부터 생성되는 구획별 좌표신호를 입력받고, 그 입력된 구획별 좌표신호에 해당하는 구획에 놓여진 학습교재(10)의 학습내용인 구획별 학습정보를 상기 데이터 저장부(130)에서 추출하여 상기 정보출력부(120)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책상, 다리, 전자학습, 터치, 수납

Description

학습안내용 전자책상{Electronic desk for learning information}
본 발명은 아동이 책상에 놓여진 학습교재에 인쇄된 각종 학습내용을 선택할 경우 그 선택된 학습내용에 해당하는 정보가 음성 또는 정지화상 및 동화상 등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정신이 산만한 아동에게 흥미거리를 제공함과 더불어 학원보습시설이 제공되지 않는 도서벽지(島嶼僻地)에 거주하는 아동들에게 원어민의 영어발음을 청취할 수 있도록 제공함으로써 아동학습효율이 향상되도록 유도하는 학습안내용 전자책상에 관한 것이다.
사회 소득의 증가와 더불어 핵가족화에 따라, 자녀의 교육은 어릴 때부터 그 관심이 증폭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아동의 경우 집중력이 낮아 쉽게 흥미를 잃기 때문에, 유아의 흥미를 지속적으로 유발시켜줄 수 있는 효율적인 아동대상 교육방법, 교재 또는 교구 등이 필요로 한다.
이 중, 아동대상 교구에 속하는 책상은 단지 교재를 올려 놓은 상태에서 읽거나 쓰는 기능에만 국한됨으로써 집중력이 낮아 정신이 산만한 아동을 제어할 수 있는 효율적인 아동학습을 수행하는데 있어 한계가 있다.
또한, 종래의 책상은 필통과 같은 필기구를 수납할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되지 않아 아동이 관리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 때문에, 자신의 필기구를 분실하는 경우도 종종 발생하고 종래의 책상은 책상다리의 높이가 일정하기 때문에 아동의 빠른 성장발육에 따라 사용기간이 짧은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아동이 책상에 놓여진 학습교재에 인쇄된 각종 학습내용을 선택할 경우 그 선택된 학습내용에 해당하는 정보가 음성 또는 정지화상 및 동화상 등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정신이 산만한 아동에게 흥미거리를 제공함으로써 아동학습효율이 향상되도록 유도하는 학습안내용 전자책상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필통과 같은 필기구를 수납할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된 학습안내용 전자책상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책상다리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학습안내용 전자책상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 본 발명의 학습안내용 전자책상은, 상판과, 그 상판을 지지하는 다리로 이루어진 책상에 있어서, 일정영역에 아동의 학습내용이 표시된 학습교재;를 포함하고, 상기 책상 상판에 상기 학습교재가 놓여지는 부분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학습교재의 학습내용이 표시된 일정영역을 구획별로 구분하고, 그 구분된 각 구획 중 임의의 구획을 터치할 경우 그 터치된 구획의 위치를 나타내는 구획별 좌표신호를 생성하는 구획좌표 생성부와; 구획별 학습정보가 출력되는 정보출력부;와 상기 학습교재의 일정영역에 표시되는 학습내용을 구획별로 구분시킨 구획별 학습정보가 저장된 데이터 저장부와; 상기 구획좌표 생성부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구획좌표 생성부로부터 생성되는 구획별 좌표신호를 입력받고, 그 입력된 구획별 좌표신호에 해당하는 구획에 놓여진 학습교재의 학습내용인 구획별 학습정보를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서 추출하여 상기 정보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구획좌표 생성부는 터치펜 및 터치센서로 이루어진다.
상기 책상 상판에 힌지로 연결되는 거치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터치센서는 상기 책상 상판에서 힌지 전개된 상기 거치대의 일면에 구비된다.
상기 책상 상판 또는 다리 중 어느 하나에는 마이크 단자, 수화기 단자, 외부전원 공급단자 또는 외장메모리 슬롯이 하나 이상 구비된다.
상기 책상 상판의 테두리에는 완충부재가 부착된다.
상기 다리는 다단으로 높이가 조절된다.
상기 책상 상판에는 필기도구 또는 상기 터치펜이 하나 이상 수납되는 수납홈부가 형성된다.
상기 책상 상판에 형성된 수납홈부 상에는 슬라이딩 이동되는 개폐용 막이 구비되어, 상기 수납홈부를 개방 또는 폐쇄시킨다.
본 발명은 아동이 책상에 놓여진 학습교재에 인쇄된 각종 학습내용을 선택할 경우 그 선택된 학습내용에 해당하는 정보가 음성 또는 정지화상 및 동화상 등으로 출력되어, 정신이 산만한 아동에게 흥미거리를 제공함으로써 아동학습효율이 향상되도록 유도하여 주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터치펜이나 필통 등의 필기구를 책상에 수납할 수 있어 분실의 위험을 최소화 시켜주는 효과도 있다.
또한, 책상다리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성장발육이 빠른 아동들의 체형을 고려하여 책상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학습안내용 전자책상의 외관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학습안내용 전자책상의 구성 중 구획좌표 생성부의 다른 적용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학습안내용 전자책상의 시스템 구성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학습안내용 전자책상의 측면도이며,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학습안내용 전자책상의 배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학습안내용 전자책상은 학습교재(10), 상판(100), 그 상판(100)을 지지하는 다리(200), 구획좌표 생성부(110), 정보출력부(120), 데이터 저장부(130), 제어부(140) 및 전원공급부(101)로 이루어진다.
먼저, 상판(100)은 아동이 학습 시 학습교재(10)나 필기도구 등을 올려 놓는 부재로서, 테두리를 따라 완충부재(171)를 부착시켜 아동이 부딪힐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최소화시켜준다.
또한, 학습 시 연필이나 지우개와 같은 필기도구가 바닥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판(100)의 가장자리 부분에 낙하방지용 턱(173)이 돌출되며, 손잡이용 홈(175)을 형성하여 이동의 편리성을 제공한다.
상기 구획좌표 생성부(110)는 책상 상판(100)에 학습교재(10)가 놓여지는 부분에 구비되는 것으로, 학습교재(10)의 학습내용이 표시된 일정영역을 구획별로 구분하고, 그 구분된 각 구획 중 임의의 구획을 터치할 경우 그 터치된 구획의 위치를 나타내는 구획별 좌표신호를 생성하는 터치펜(111) 및 터치센서(112)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터치펜(111) 없이도 아동이 손을 이용하여 직접 터치할 경우에도 터치센서(112)에서 이를 인식하여 구획별 좌표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터치센서(112)는 책상 상판(100)의 평면에 설치되되, 그 터치센서(112)가 설치되는 책상 상판(100)의 평면에는 학습교재(10)가 움직이지 않도록 학습교재(10) 정도의 크기를 갖는 오목한 공간이 형성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센서(112)는 학습의 효율을 높이기 위한 일환으로 책상 앞에 앉은 아동의 눈높이에 맞게 제공될 수 있도록 책상 상판(100)에 힌지로 연결되는 거치대(150)를 설치하고, 그 설치된 거치대(150)를 힌지 회동시켜 전개한 후 그 전개된 거치대(150)의 전면 쪽에 설치하여 제공될 수 있다.
이때, 터치센서(112)가 설치되는 거치대(150)의 전면 쪽에도 학습교재(10)가 움직이지 않도록 학습교재(10) 정도의 크기를 갖는 오목한 공간이 형성되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책상 상판(100)과 힌지연결된 거치대(150)의 회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거치대(150)의 양측에는 손가락으로 파지할 수 있는 파지홈(151)이 형성되고 이와 더불어, 책상 상판(100)과 힌지연결된 거치대(150)가 움직이지 않고 고정될 수 있도록 거치대(150)와 책상 상판(100) 간의 마주보는 면에 극이 다른 자석(152,153)을 각각 부착하여 제공된다.
앞에서 언급한, 터치펜(111) 및 터치센서(112)로 이루어진 구획좌표 생성부(110)의 구동알고리즘은 적외선을 이용한 광센서 매트릭스 방식, 도전 필름 방식, 정전용량 변화방식 및 금속세선매립 방식 등 중 어느 하나를 채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책상 상판(100)의 평면에는 터치펜(111)과 더불어 연필, 지우개 또는 필통 등의 필기도구를 수납할 수 있도록 수납홈부(180)가 제공된다. 즉, 수납홈부(180)에는 터치펜(111)이 수납되는 터치펜 수납용 홈(181)과 필기도구가 수납되는 필기도구 수납용 홈(182)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수납홈부(180)의 측면에는 전원버튼 및 볼륨조절버튼과 더불어 각종 기능선택버튼이 키버튼부가 구비되어진다.
이때, 수납홈부(180)와 키버튼부의 경우 책상 상판(100)의 평면에 구비되기 때문에 학습 중인 아동의 손이 그 구비된 수납홈부(180)나 키버튼부에 닿게 될 경 우 신경을 쓰게 되어 학습진행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고자, 수납홈부(180)와 키버튼부가 구비된 쪽의 책상 상판(100)의 측면에 슬라이드용 장홈을 형성하고, 그 형성된 슬라이드용 장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개폐용 막(190)을 슬라이드용 장홈에 끼워 제공한다.
여기서, 수납홈부(180)와 키버튼부를 폐쇄시켰을 때의 개폐용 막(190)과 책상 상판(100)의 높이가 같을 정도로 제작함으로써 개폐용 막(190)이 책상 상판(100)에 돌출되지 않게 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인해 학습 중 필요에 따라 책상 상판(100)의 측면에 인입된 개폐용 막(190)을 잡고 슬라이딩 이동하여 개방시킨 후 필기도구 또는 터치펜(111)을 사용 또는 키버튼부의 각 버튼을 조작한 다음 다시 개폐용 막(190)을 잡고 슬라이딩 이동하여 폐쇄함으로써 수납홈부(180)와 키버튼부가 아동의 학습에 방해가 되지 않게 한다.
이때, 슬라이딩 개방되는 개폐용 막(190)의 양측단에 이탈방지용 돌기(191)를 구비하여 슬라이드용 장홈으로부터 개폐용 막(190)이 빠지지 않도록 제공한다. 또한, 터치펜(111)의 경우 신호전송 또는 유실 방지 등을 위해 책상 상판(100)과 연결줄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 때문에, 터치펜(111) 사용 시 개폐용 막(190)이 연결줄에 걸려 책상 상판(100)에 돌출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연결줄을 수용하는 요홈(도시하지 않음)을 개폐용 막(190) 또는 책상 상판(100)에 형성하여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학습교재(10)는 일정영역에 아동의 학습내용이 인쇄된 교재로서, 카드 나 책 타입 등 다양한 종류로 제공된다. 여기서, 일정영역이라 함은 앞에서 언급한 터치센서(112)가 설치되어 구획별로 구분된 각 구획에 대응되는 영역이다.
또한, 상기 학습교재(10)의 일정영역에 표시된 아동의 학습내용 중 문자는 점자로 표시되어 제공함으로써, 시각장애를 갖는 아동들도 학습을 받을 수 있게 제공한다.
상기 정보출력부(120)는 구획별 학습정보가 출력되는 장치로서, 아동이 터치펜을 이용하여 터치한 영역에 해당하는 학습내용을 소리로 인지할 수 있도록 스피커로 제공된다.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정신이 산만한 아동의 집중력을 보다 향상시켜주기 위해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의 이미지가 출력되는 액정도 함께 구비되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액정의 경우 본 발명의 학습안내용 전자책상에 일체로 제공되거나 또는 분리되어 제공되는 등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상기 데이터 저장부(130)는 학습교재(10)의 일정영역에 표시되는 학습내용을 구획별로 구분시킨 구획별 학습정보가 저장되는 장치로서, 기본적으로 내장되는 내장메모리(131)와 더불어 외부로부터 구획별 학습정보의 지속적인 업데이트를 받기 위해 외장메모리(133)도 함께 제공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데이터 저장부(130)에는 외장메모리(133)에 저장된 데이터의 전달을 수행하는 인터페이스인 외장메모리 슬롯(132)이 책상 상판(100)의 측면에 설치 되어 제공된다.
여기서, 외장메모리(133)는 USB(Universal Serial Bus) 메모리 스틱과 더불어 CF(Compact Flash), MMC(Multi Media Card), SD(Secure Digital), XD(xD- Picture Card), SM(Smart Media) 등의 다양한 외장메모리가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외장메모리 슬롯(132)도 다양한 종류의 외장메모리 중 선택된 외장메모리를 인터페이스 할 수 있는 것으로 제공된다.
또한, 데이터 저장부(130)에 저장된 구획별 학습정보가 영어와 같은 어학에 관련된 구획별 학습정보인 경우 해당 언어를 사용하는 원어민이 직접 학습내용을 발음하고, 이를 녹취하여 구획별 학습정보로 가공함으로써, 주변에 학원보습시설이 없는 도서벽지(島嶼僻地)에 거주하는 아동의 경우에도 어학 학습 시 원어민의 발음을 청취할 수 있어 올바른 어학 학습을 수행할 수 있게 제공한다.
또한, 어학 학습을 더욱더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일예로, 어학과 관련된 구획별 학습정보의 경우 여러 나라의 음성 즉, 하나의 단어 내지 문장을 영어, 일어, 국어, 중국어 등의 다양한 나라의 음성으로 제공하여 여러 나라의 언어를 함께 학습할 수 있게 제공한다.
상기 제어부(140)는 구획좌표 생성부(110)를 구성하는 터치센서(112)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터치센서(112)로부터 생성되는 구획별 좌표신호를 입력받고, 그 입력된 구획별 좌표신호에 해당하는 구획에 놓여진 학습교재(10)의 학습내용인 구획별 학습정보를 데이터 저장부(130)에서 추출하고 이를, 정보출력부(120)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아동이 터치펜(111)을 이용하여 터치센서(112) 상에 문자를 쓰면, 그 쓴 문자가 정보출력부(120)인 스피커를 통해서 출력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140)를 통해 제어되는 것으로, 문자데이터를 음성으로 합성하는 음성합성모듈(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하고, 터치센서(112)는 쓰여지는 문자를 인지하여 입력문자정보로 생성하여 제어부(140)로 전송하고, 제어부(140)는 음성합성모듈을 제어하여, 음성합성모듈에서 전송된 입력문자정보를 음성으로 합성되도록 한 후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아동이 직접 쓴 문자를 청취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학습안내용 전자책상이 구동될 수 있도록 전원공급부(101)를 통해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서, 전원공급부(101)는 직류전원을 사용하거나 또는 교류전원인 220V의 상용전원 또는 건전지 등의 전원 중 하나 이상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일예로, 전원공급부(101)가 직류전원인 경우 책상 상판(100)의 일측면에 외부전원 공급단자(165)를 설치하여 제공한다.
또한, 책상 상판(100)의 타측면에는 마이크 단자(161) 및 이어폰 또는 헤드폰과 같은 수화기 단자(163)가 설치되어 있어, 마이크(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된 잭을 마이크 단자(161)에 연결하여 발성하면, 정보출력부(120)인 스피커를 통해 음성출력되며, 수화기(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된 잭을 수화기 단자(163)에 연결하면, 구획별 학습정보가 수화기 단자(163)를 통해 출력되어, 아동이 주변의 잡음에 구애를 받지 않고 학습을 수행할 수 있어 아동의 학습효과를 향상시킨다.
또한, 성장발육이 빠른 아동들의 체형을 고려하여 책상 상판(100)을 지지하는 다리(200)는 다단으로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제공한다. 이를 위해, 다리(200)는 상측 다리(210)와 하측 다리(220)로 분리되고, 그 분리된 하측 다리(220)에는 배면에 스프링이 연결된 고정스위치(221)가 외측면에 돌출되며, 상측 다리(210)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여러 개의 고정공(211)이 형성되어 있어, 상측 다리(210)로부터 하측 다리(220)를 이동시켜 고정스위치(221)를 원하는 높이에 해당하는 고정공(211)에 돌출고정되도록 함으로써 높이조절을 수행한다.
또한, 하측 다리(220)의 끝단에는 고무패킹(230)으로 마감처리하여 마찰에 의한 소음 발생을 예방한다.
이하, 본 발명의 학습안내용 전자책상을 통한 아동학습방법의 일예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책상 상판(100)의 측면에 위치하는 개폐용 막(190)을 슬라이딩 이동시켜 개방한 후 그 개방된 곳에 위치하는 키버튼부 중 전원버튼을 조작하여 전자책상을 실행한다.
이후, 책상 상판(100)과 힌지연결된 거치대(150)를 회동시켜 전개한 후, 그 전개된 거치대(150)의 전면에 구비된 터치센서(112) 상에 학습교재(10)를 올려놓은다.
이후, 해당 학습교재(10)의 일정영역에 표시되는 학습내용을 구획별로 구분시킨 구획별 학습정보가 저장된 외장메모리(133)를 외장메모리 슬롯(132)에 인입한 상태에서 터치펜 수납용 홈(181)에서 터치펜(111)을 빼낸 후 개폐용 막(190)을 슬라이딩 이동시켜 수납홈부(180) 및 키버튼부를 폐쇄한다.
이후, 아동이 터치펜(111)을 학습교재(10)의 일정영역 내에 있는 그림이나 문자에 접촉하면, 터치센서(112)는 해당 구획의 위치인 구획별 좌표신호를 생성하 여 제어부(140)로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송한다.
제어부(140)는 전송된 구획별 좌표신호에 해당하는 구획에 놓여진 학습교재(10)의 학습내용인 구획별 학습정보를 외장메모리(133)에서 추출하여 스피커(120)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정신이 산만한 아동에게 시청각적 교육을 통해 학습효율이 향상되도록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학습안내용 전자책상의 외관을 나타낸 평면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학습안내용 전자책상의 구성 중 구획좌표 생성부의 다른 적용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학습안내용 전자책상의 시스템 구성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학습안내용 전자책상의 측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학습안내용 전자책상의 배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학습교재 100 : 상판
101 : 전원공급부 110 : 구획좌표 생성부
111 : 터치펜 112 : 터치센서부
120 : 정보출력부 130 : 데이터저장부
131 : 내장메모리 132 : 외장메모리 슬롯
133 : 외장메모리 140 : 제어부
150 : 거치대 151 : 파지홈
152,153 : 자석 161 : 마이크 단자
163 : 수화기 단자 165 : 외부전원 공급단자
171 : 완충부재 173 : 낙하방지용 턱
175 : 손잡이용 홈 180 : 수납홈부
181 : 터치펜 수납용 홈 182 : 필기도구 수납용 홈
190 : 개폐용 막 191 : 이탈방지용 돌기
200 : 다리 210 : 상측 다리
211 : 수용홈 220 : 하측 다리
221 : 고정스위치 230 : 고무패킹

Claims (9)

  1. 상판(100)과, 그 상판(100)을 지지하는 다리(200)로 이루어진 책상에 있어서,
    일정영역에 아동의 학습내용이 표시된 학습교재(10);를 포함하고,
    상기 책상 상판(100)에 상기 학습교재(10)가 놓여지는 부분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학습교재(10)의 학습내용이 표시된 일정영역을 구획별로 구분하고, 그 구분된 각 구획 중 임의의 구획을 터치할 경우 그 터치된 구획의 위치를 나타내는 구획별 좌표신호를 생성하는 구획좌표 생성부(110)와;
    구획별 학습정보가 출력되는 정보출력부(120)와;
    상기 학습교재(10)의 일정영역에 표시되는 학습내용을 구획별로 구분시킨 구획별 학습정보가 저장된 데이터 저장부(130)와;
    상기 구획좌표 생성부(11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구획좌표 생성부(110)로부터 생성되는 구획별 좌표신호를 입력받고, 그 입력된 구획별 좌표신호에 해당하는 구획에 놓여진 학습교재(10)의 학습내용인 구획별 학습정보를 상기 데이터 저장부(130)에서 추출하여 상기 정보출력부(120)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안내용 전자책상.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좌표 생성부(110)는 터치펜(111) 및 터치센서(11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안내용 전자책상.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책상 상판(100)에 힌지로 연결되는 거치대(15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터치센서(112)는 상기 책상 상판(100)에서 힌지 전개된 상기 거치대(150)의 일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안내용 전자책상.
  4. 제 1항 내지 제 3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책상 상판(100) 또는 다리(200) 중 어느 하나에는 마이크 단자(161), 수화기 단자(163), 외부전원 공급단자(165) 또는 외장메모리 슬롯(167)이 하나 이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안내용 전자책상.
  5. 제 1항 내지 제 3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책상 상판(100)의 테두리에는 완충부재(170)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안내용 전자책상.
  6. 제 1항 내지 제 3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200)는 다단으로 높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안내용 전자책상.
  7. 제 1항 내지 제 3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책상 상판(100)에는 필기도구 또는 상기 터치펜(111)이 하나 이상 수납되는 수납홈부(18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안내용 전자책상.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책상 상판(100)에 형성된 수납홈부(180) 상에는 슬라이딩 이동되는 개폐용 막(190)이 구비되어, 상기 수납홈부(180)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특징으로 하는 학습안내용 전자책상.
  9. 제 1항 내지 제 3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교재(10)의 일정영역에 표시된 아동의 학습내용 중 문자는 점자로 표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안내용 전자책상.
KR1020080065070A 2008-07-04 2008-07-04 학습안내용 전자책상 KR201000047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5070A KR20100004732A (ko) 2008-07-04 2008-07-04 학습안내용 전자책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5070A KR20100004732A (ko) 2008-07-04 2008-07-04 학습안내용 전자책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732A true KR20100004732A (ko) 2010-01-13

Family

ID=41814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5070A KR20100004732A (ko) 2008-07-04 2008-07-04 학습안내용 전자책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473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379Y1 (ko) * 2012-11-23 2014-04-22 류일윤 소리나는 책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379Y1 (ko) * 2012-11-23 2014-04-22 류일윤 소리나는 책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44824B2 (en) Multi-modal learning system
US20060166173A1 (en) Educational method and device
WO2003067553A1 (en) Write on interactive apparatus and method
CN207397524U (zh) 一种用于英语教学的多模态英语教学装置
US11915606B2 (en) Tactile and visual display with a paired, active stylus
JP4914808B2 (ja) 単語学習装置、対話型学習システムおよび単語学習プログラム
JP4928820B2 (ja) コミュニケーションエイド装置
KR20100004732A (ko) 학습안내용 전자책상
US20230368700A1 (en) Tactile drawing and writing apparatus for the visually impaired
JP2017044763A (ja) コミュニケーションエイド装置及びその使用方法
CN205194097U (zh) 一种便于放置记录本的英语翻译、听力练习装置
CN206400814U (zh) 一种新型汉语言文学古汉语学习辅助装置
KR102357900B1 (ko) 영어발음학습교구
KR20090012558U (ko) 학습용구
KR20130043784A (ko) 문자 및 문장 암기용 학습기
CN205656786U (zh) 一种英语学习设备
KR20180016195A (ko) 문자음성 변환기술을 이용한 한국어 자가학습 시스템 및 방법
CN211906574U (zh) 录音式语言学习点读系统
CN203093459U (zh) 会读英语单词的笔
ES2632185B1 (es) Dispositivo portátil de reproducción de documentos digitales en Braille
KR101465670B1 (ko) Nfc를 이용한 학습차트를 이용하는 학습 시스템
CN211232500U (zh) 一种台灯
KR102098839B1 (ko) 콘텐츠카드인식을 이용한 다목적 멀티 학습시스템
KR20120005054U (ko) 스캔을 이용하여 책 페이지 모든 글씨를 읽어주는 장치
JP2007128531A (ja) 文字読み取り記憶認識発声装置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