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4605U - 보행 잔여시간 표시기능을 갖는 횡단보도 신호등 - Google Patents

보행 잔여시간 표시기능을 갖는 횡단보도 신호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4605U
KR20100004605U KR2020080014250U KR20080014250U KR20100004605U KR 20100004605 U KR20100004605 U KR 20100004605U KR 2020080014250 U KR2020080014250 U KR 2020080014250U KR 20080014250 U KR20080014250 U KR 20080014250U KR 20100004605 U KR20100004605 U KR 2010000460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estrian
traffic
vehicle
crossing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42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태욱
Original Assignee
신태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태욱 filed Critical 신태욱
Priority to KR20200800142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4605U/ko
Publication of KR2010000460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460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provided with indicators in which a mark progresses showing the time elapsed, e.g. of green phas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7Controlling traffic signals
    • G08G1/075Ramp control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7Controlling traffic signals
    • G08G1/08Controlling traffic signals according to detected number or speed of vehic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5Traffic ligh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Abstract

본 고안은 보행 잔여시간 표시기능을 갖는 횡단보도 신호등에 관한 것으로, 횡단보도에 설치되어 차량의 통행시에 보행자에게 정지신호를 표시하는 정지신호등(10)과; 상기 정지신호등(10)과 나란히 설치되어 보행자에게 횡단신호와 횡단 잔여시간을 교대로 표시하는 보행신호등(20)과; 횡단보도 또는 보도에 보행자가 대기하는지를 검출하는 보행자 검출부(30)와; 차도를 통과 또는 대기하는 차량을 검출하는 차량검출부(40)와; 인접 횡단보도 신호등(101, 102)과 통신하는 통신부(60)와; 상기 차량 검출부(40)에서 검출된 차량 통행 검출신호를 인접하는 횡단보도 신호등(101, 102)으로 송신하고, 상기 차량 검출부(40)에서 차량의 통행을 검출하거나 인접하는 횡단보도 신호등(101, 102)으로부터 차량통행 검출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정지신호등(10)의 표시시간을 정상적인 시간으로 설정하고, 인접하는 횡단보도 신호등(101, 102)으로부터 차량통행 검출신호를 수신 못한 경우 상기 정지신호등(10)의 표시시간을 연장하여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횡단신호 제어부(50)로 구성되어 차량이나 보행자의 통행이 드문 새벽이나 심야에 보행자 신호등의 잔여 보행시간을 가변시켜 표시하여 차량의 통행이 없음에도 보행신호등이 켜지지 않아서 일정시간을 기다려야 하는 불편을 없앨 수 있다.
Figure P2020080014250
횡단보도 신호등, 보행신호등, 잔여시간 표시등

Description

보행 잔여시간 표시기능을 갖는 횡단보도 신호등{Crossing signal light indicating remain walking time for crossing a street}
본 고안은 보행 잔여시간 표시기능을 갖는 횡단보도 신호등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보행 신호시에 녹색 횡단신호등에 녹색신호 뿐만아니라 숫자로 표시된 보행 잔여시간을 일정시간 간격으로 교대로 표시하여 보행자가 색상에 따른 시각적 혼동없이 안정하게 횡단할 수 있도록 하고, 차량이나 보행자의 통행이 드문 시간에는 잔여시간을 변경하여 표시하여 차량이나 보행자의 통행이 없는 때에도 보행 신호 또는 통행 신호를 기다리는 불편을 없앨 수 있는 보행 잔여시간 표시기능을 갖는 횡단보도 신호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횡단보도 신호등 체계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지신호등(1), 보행신호등(2), 켜진 삼각등의 갯수로 보행 잔여시간을 표시하는 보행잔여시간 표시등(3)과 시각 장애인을 위한 음향발생기(도시생략)로 구성되어 있거나 도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숫자로 보행 잔여시간을 표시하는 보행잔여 시간 표시등(3')으로 구성되었다.
보행 잔여시간표시등(3, 3')은 보행자가 횡단보도에서 현재의 횡단신호에서 횡단할지 다음 횡단신호에서 횡단할지를 결정하도록 도와주어 편리하지만, 정지신호등(1)과 보행신호등(2)에 더하여 보행잔여시간 표시등(3, 3')을 추가로 설치하여야 하므로 설치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기술의 대표적인 예가 등록실용신안공보 20-289229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그 구성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녹색 램프(5-1, 5-2, ..., 5-6)와 적색 램프(6-1, 6-2, ..., 6-6)를 교대로 배열한 보행신호 잔여시간 및 정지신호 잔여시간 표시수단(4)을 녹색 램프 구동부(7)와 적색 램프 구동부(8)에 연결하고, 제어보드(9)로 제어하여 하나의 잔여시간 표시수단(4)으로 보행을 표시하는 녹색 신호의 잔여시간과 정지를 표시하는 적색 신호의 잔여시간을 표시하여 보행가능시간과 정지시간을 예측하게 할 수 있는 장치이다.
그러나 이 종래의 기술도 보행 및 정지 잔여시간을 표시하기 위해 잔여시간 표시등을 추가로 설치하여야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종래의 기술에 의한 잔여시간표시등(3, 3')은 사전에 보행자의 보행속도를 고려하여 횡단보도의 거리에 따라 일정한 시간을 설정해 놓아 보행자의 통행이 뜸한 새벽이나 심야 시간에는 보행자의 통행이 없음에도 보행신호등(2)이 일정시간동안 켜져서 통행하는 차량이 보행신호등(2)이 켜져있는 동안 기다려야 하거나 무시하고 통과하여 사고의 위험성을 안고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반대로 보행자의 입장에서도 차량의 통행이 뜸한 새벽이나 심야 시간에는 차량의 통행이 없음에도 정지신호등(1)이 일정시간동안 켜져있기 때문에 횡단하려는 보행자가 정지신호등(1)이 켜져있는 동안 기다려야 하거나 무시하고 통과하다가 사고를 당할 염려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목적은 보행 잔여시간을 보행신호등에 표시하고 정지 잔여시간을 정지신호에 표시하여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보행 잔여시간 표시기능을 갖는 횡단보도 신호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차량의 통행이나 보행자의 통행이 뜸한 시간에는 보행신호등과 잔여시간 표시등의 시간을 변경하여 적게 설정할 수 있는 보행 잔여시간 표시기능을 갖는 횡단보도 신호등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고안에 의한 횡단보도 신호등은 횡단보도에 설치되어 차량의 통행시에 보행자에게 정지신호를 표시하는 정지신호등과; 상기 정지신호등에 근접하여 설치되어 보행자에게 횡단보도를 횡단할 수 있는 보행신호와 보행 잔여시간을 표시하는 보행신호등과; 횡단보도 또는 보도에 보행자가 대기하는지를 검출하는 보행자 검출부와; 차도를 통과 또는 대기하는 차량을 검출하는 차량검출부와; 인접 횡단보도 신호등과 통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차량 검출부에서 검출된 차량 통행 검출신호를 인접하는 횡단보도 신호등으로 송신하고, 상기 차량 검출부에서 차량의 통행을 검출하거나 인접하는 횡단보도 신호등으로부터 차량통행 검출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보행자 정지신호등의 표시시간을 사전에 설정된 정상적인 시간으로 설정하고, 인접하는 횡단보도 신호등으로부터 차량통행 검출신호를 수신 못한 경우 상기 보행자 정지신호등의 표시시간을 연장하여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횡단신호 제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한 보행신호등은 녹색의 보행신호등이 켜진 상태에서 일정시간 동안 1초 간격으로 녹색의 보행신호등에 보행자 표시와 잔여시간 표시가 교대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한 정지신호등은 정지신호등이 켜진 상태에서 사전에 설정된 일정시간 동안 1초 간격으로 적색의 정지신호등에 보행자 정지표시와 정지잔여시간 표시가 교대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별도의 보행 잔여시간 표시등을 설치하지 않고 보행신호등에 보행신호 표시와 잔여시간표시를 교대로 표시함으로써 횡단보도 신호등의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차량이나 보행자의 통행이 드문 새벽이나 심야에 보행자 신호등의 잔여 보행시간을 가변시켜 표시하여 차량의 통행이 없음에도 보행신호등이 켜지지 않아서 횡단보도를 건너지 못하고 일정시간을 기다려야 하는 불편을 없앨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에 본 고안에 의한 보행 잔여시간 표시기능을 갖는 횡단보도 신호등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가 도시된다.
본 고안에 의한 횡단보도 신호등(100)은 횡단보도에 설치되어 차량의 통행시에 보행자에게 정지신호를 표시하는 정지신호등(10)과; 상기 정지신호등(10)과 나란히 설치되어 보행자에게 횡단보도를 횡단할 수 있는 횡단신호와 횡단 잔여시간을 교대로 표시하는 보행신호등(20)과; 횡단보도 또는 보도에 보행자가 대기하는지를 검출하는 보행자 검출부(30)와; 차도를 통과 또는 대기하는 차량을 검출하는 차량검출부(40)와; 인접 횡단보도 신호등(101, 102)과 통신하는 통신부(60)와; 상기 차량 검출부(40)에서 검출된 차량 통행 검출신호를 인접하는 횡단보도 신호등(101, 102)으로 송신하고, 상기 차량 검출부(40)에서 차량의 통행을 검출하거나 인접하는 횡단보도 신호등(101, 102)으로부터 차량통행 검출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정지신호등(10)의 표시시간을 사전에 설정된 정상적인 시간으로 설정하고, 인접하는 횡단보도 신호등(101, 102)으로부터 차량통행 검출신호를 수신 못한 경우 상기 정지신호등(10)의 표시시간을 연장하여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횡단신호 제어부(50)로 구성된다.
본 고안에 의한 보행신호등(20)은 도 4(a)및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녹색의 보행신호등(20)이 켜진 상태에서 일정시간(예를 들면 30초 동안) 동안 1초 간격으로 녹색의 보행신호등(20)에 보행자 표시(21)와 잔여시간 표시(22)가 교대로 표시된다.
또한, 잔여시간 표시(22)는 사전에 설정된 30초부터 시작하여 잔여시간 1초 까지 1초씩 감소되면서 1초마다 보행자 표시(21)와 교대로 표시되거나 30초부터 시작하지만 보행자 표시(21)를 1초간 표시하는 경우 잔여시간은 1초 줄어들게 되므로 2초씩 건너뛰어 28, 26, ..., 2 와 같이 2초씩 감소되어 표시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정지신호등(10)도 도 5(a)및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색의 정지신호등(10)이 켜진 상태에서 일정시간(예를 들면 30초 동안) 동안 1초 간격으로 적색의 정지신호등(20)에 보행자 정지표시(11)와 정지잔여시간 표시(12)가 교대로 표시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횡단보도 신호등과 달리 보행신호등(20)에서 보행잔여시간을 표시하고 정지신호등(10)에서 정지 잔여시간을 표시함으로써 별도의 보행잔여시간 표시등 및 정지 잔여시간 표시등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서 횡단보도 신호등의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한 횡단보도 신호등(100)은 보행자 검출부(30)를 구비하여 횡단보도를 건너려고 하는 보행자를 감지하여 보행자 검출신호를 횡단신호 제어부(50)로 출력한다.
보행자 검출부(30)는 동영상 카메라와 같은 촬영장치로 횡단보도 부근을 촬영한 후, 영상처리과정을 거쳐서 보행자를 검출할 수 있으며, 박쥐와 같이 초음파를 발사하여 사람의 형상을 검출할 수도 있다.
한편, 본 고안에 의한 횡단보도 신호등(100)은 차량 검출부(40)를 구비하여 차도를 통과하거나 정지해 있는 차량들을 검출하여 횡단신호 제어부(50)로 출력한 다. 차량 검출부(40)는 보행자 검출부(30)와 마찬가지로 동영상 카메라 또는 초음파 검출수단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횡단신호 제어부(50)는 보행자 검출부(30)에서 횡단보도에서 차도를 건너려고 기다리는 보행자를 검출한 신호가 입력되면 통신부(60)을 통해 인접 횡단신호등(101, 102)으로부터 차량 검출신호가 수신되었는지를 확인한다.
차량 검출 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보행신호등(20)의 보행시간을 2배 또는 3배 등으로 연장하여 표시하고 아울러 당해 횡단보도 신호등(100)과 연동하는 교통신호등(103)의 적색신호등을 상기 연장된 보행시간에 맞추어 2배 또는 3배 등으로 가변하여 표시하여 인접 횡단신호등(101, 102)으로부터 통행이 검출되지 않고 중간 측면도로에서 나와서 당해 횡단보도를 통과하려는 차량이 있는 경우 횡단보도 앞에서 일단정지하도록 한다.
여기서 교통신호등(103)은 하나의 부호로 표시했지만 횡단보도를 중심으로 양방향으로 오고가는 차량에게 신호를 제공하는 한쌍의 신호등임은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실이다.
반면에, 보행자 검출부(30)에서 보행자를 검출한 신호가 입력되더라도 인접 횡단신호등(101, 102)으로부터 차량 검출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보행신호등(20)의 보행시간은 사전에 설정된 시간(예를 들면, 30초)동안 정상적으로 표시되고 마찬가지로 당해 횡단보도 신호등(100)과 연동하는 교통신호등(103)도 정상적인 시간동안 신호등이 동작하게 된다.
따라서, 차량의 통행이 드문 새벽이나 심야에 보행자 신호등(20)은 아침, 낯, 저녁 등의 활동시간대보다 보행시간을 가변시켜 표시하여 차량의 통행이 없음에도 보행신호등(20)이 켜지지 않아서 횡단보도를 건너지 못하고 일정시간을 기다려야 하는 불편을 없앨 수 있다.
횡단신호 제어부(50)는 차량 검출부(40)에서 차량의 통행을 검출한 신호가 입력되면 통신부(60)를 통해 인접 횡단보도 신호등(101, 102)으로 송신하여 인접 횡단보도 신호등(101, 102)이 횡단보도의 보행시간을 가변하여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본고안은 편도 또는 교차로에서도 적용할 수 있으며, 교차로에 적용되는 경우 차량이 검출되지 않은 횡단보도 신호등의 보행시간을 연장하여 표시함과 동시에 당해 횡단보도 신호등과 연동하는 교통신호등의 적색신호등을 상기 연장된 보행시간에 맞추어 표시함으로써 차량의 통행이 없는 도로는 보행자가 횡단보도를 건널수 있게 하고, 차량의 통행이 많은 도로는 보행자가 거널수 있는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6에 본 고안에 의한 횡단신호 제어부가 횡단신호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가 도시된다.
단계 S1에서 초기화하고, 단계 S2에서 보행자 검출부(30)로부터 보행자 검출신호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한다. 보행자 검출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단계 S3 에서 보행신호등(20)의 보행시간을 정상적으로 표시하고, 보행자를 검출하는 단계 S2로 복귀하여 반복하여 실행하고, 보행자 검출신호가 입력된 경우, 단계 S4로 진행하여 인접횡단보도 신호등(101, 102)으로부터 차량 검출신호가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인접횡단보도 신호등(101, 102)으로부터 차량 검출신호가 수신된 경우, 단계 S3에서 보행신호등(20)의 보행시간을 정상적으로 표시하고 단계 S2로 복귀하여 보행자 검출부(30)로부터 보행자 검출신호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하는 과정을 실행한다.
인접횡단보도 신호등(101, 102)으로부터 차량 검출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단계 S5에서 보행신호등(20)의 보행시간을 연장시켜 표시하고 단계 S6에서 교통신호등(103)의 적색신호를 연장시켜 표시하고 본 프로그램을 종료한다.
본 프로그램은 횡단보도 신호등을 제어하는 메인프로그램의 실행 중에 서브 프로그램으로 실행되고, 본 프로그램의 시작은 메인 프로그램에서 본 프로그램으로 의 점프를 의미하고, 본 프로그램의 종료는 메인 프로그램으로의 복귀를 의미하며 이러한 사항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a) 및 (b)는 횡단 잔여시간 표시등을 별도로 구비하는종래의 횡단보도 신호등,
도 2는 전광판을 잔여시간 표시등으로 사용하는 종래의 횡단보도 신호등,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잔여시간 표시기능을 갖는 횡단보도 신호등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4(a)및 4(b)은 본 고안에 의해 보행신호등에 보행자 표시와 잔여시간 표시가 교대로 표시되는 실시예,
도 5(a)및 5(b)은 본 고안에 의해 정지신호등에 보행정지 표시와 잔여시간 표시가 교대로 표시되는 실시예,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횡단신호 제어부가 횡단신호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정지신호등 20: 보행신호등
30: 보행자 검출부 40: 차량 검출부
50: 횡단신호 제어부 60: 통신부
101, 102: 인접 횡단보도 신호등 103: 교통신호등

Claims (3)

  1. 횡단보도에 설치되어 차량의 통행시에 보행자에게 정지신호를 표시하는 정지신호등(10)과;
    상기 정지신호등(10)과 나란히 설치되어 보행자에게 횡단신호와 횡단 잔여시간을 교대로 표시하는 보행신호등(20)과;
    횡단보도 또는 보도에 보행자가 대기하는지를 검출하는 보행자 검출부(30)와;
    차도를 통과 또는 대기하는 차량을 검출하는 차량검출부(40)와;
    인접 횡단보도 신호등(101, 102)과 통신하는 통신부(60)와;
    상기 차량 검출부(40)에서 검출된 차량 통행 검출신호를 인접하는 횡단보도 신호등(101, 102)으로 송신하고, 상기 차량 검출부(40)에서 차량의 통행을 검출하거나 인접하는 횡단보도 신호등(101, 102)으로부터 차량통행 검출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정지신호등(10)의 표시시간을 사전에 설정된 정상적인 시간으로 설정하고, 인접하는 횡단보도 신호등(101, 102)으로부터 차량통행 검출신호를 수신 못한 경우 상기 정지신호등(10)의 표시시간을 연장하여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횡단신호 제어부(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잔여시간 표시기능을 갖는 횡단보도 신호등.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행신호등(20)은 녹색의 보행신호등(20)이 켜진 상태 에서 일정시간 동안 1초 간격으로 녹색의 보행신호등(20)에 보행자 표시(21)와 잔여시간 표시(22)가 교대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잔여시간 표시기능을 갖는 횡단보도 신호등.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신호등(10)도 정지신호등(10)이 켜진 상태에서 사전에 설정된 일정시간 동안 1초 간격으로 적색의 정지신호등(20)에 보행자 정지표시(11)와 정지잔여시간 표시(12)가 교대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잔여시간 표시기능을 갖는 횡단보도 신호등.
KR2020080014250U 2008-10-27 2008-10-27 보행 잔여시간 표시기능을 갖는 횡단보도 신호등 KR2010000460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4250U KR20100004605U (ko) 2008-10-27 2008-10-27 보행 잔여시간 표시기능을 갖는 횡단보도 신호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4250U KR20100004605U (ko) 2008-10-27 2008-10-27 보행 잔여시간 표시기능을 갖는 횡단보도 신호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605U true KR20100004605U (ko) 2010-05-07

Family

ID=44199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4250U KR20100004605U (ko) 2008-10-27 2008-10-27 보행 잔여시간 표시기능을 갖는 횡단보도 신호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4605U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4317A (ko) 2017-04-10 2018-10-18 주식회사 비투에스 점등블록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점등블록
KR101957216B1 (ko) 2018-09-10 2019-03-12 주식회사 대광도어 방화문
KR102075487B1 (ko) 2019-04-19 2020-02-10 주식회사 케이디도어 복합 기능성 방화문
CN114708740A (zh) * 2022-04-14 2022-07-05 星云互联(湖南)科技有限公司 一种交通灯的控制方法、系统、装置以及设备
KR102456951B1 (ko) 2022-08-29 2022-10-20 한국전기교통 주식회사 숫자형 보행 잔여 시간 표시기 운영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4317A (ko) 2017-04-10 2018-10-18 주식회사 비투에스 점등블록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점등블록
KR101957216B1 (ko) 2018-09-10 2019-03-12 주식회사 대광도어 방화문
KR102075487B1 (ko) 2019-04-19 2020-02-10 주식회사 케이디도어 복합 기능성 방화문
CN114708740A (zh) * 2022-04-14 2022-07-05 星云互联(湖南)科技有限公司 一种交通灯的控制方法、系统、装置以及设备
CN114708740B (zh) * 2022-04-14 2023-06-23 星云互联(湖南)科技有限公司 一种交通灯的控制方法、系统、装置以及设备
KR102456951B1 (ko) 2022-08-29 2022-10-20 한국전기교통 주식회사 숫자형 보행 잔여 시간 표시기 운영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243301B (zh) 一种交通信号灯绿灯时长确定装置、方法及系统
US8924077B2 (en) Drive assistance device
EP2333742A1 (en) Vehicle support systems for pedestrians to cross roads and support methods for pedestrians to cross roads
US20090135024A1 (en) Display control system of traffic light and display method
EP2863373A1 (en) Driving support apparatus
CN102044169A (zh) 驾驶辅助装置
JP4797854B2 (ja) 歩行対象検知装置及び衝突事故防止支援システム
CA2759900C (en) Advertisement display system
KR20100004605U (ko) 보행 잔여시간 표시기능을 갖는 횡단보도 신호등
KR20100090880A (ko) 차량 역주행 방지 경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40628B1 (ko) 교차로 차량정체감지 및 일시진입금지 표시 신호기 제어시스템
KR20120095538A (ko) 교통신호등과 연계되는 횡단보도의 교통신호 방법
JP2002342885A (ja) 半感応式信号機
JP2017518595A (ja) 交通信号機の表示及び表示方法
KR100562588B1 (ko) 교통신호 제어방법
CN112907996B (zh) 一种直右车道交通控制方法及系统
TW201618051A (zh) 交通號誌控制裝置
CN104715624A (zh) 小区出口提醒装置
KR20100087414A (ko) 적외선 또는 초음파 센서가 있는 보행자신호등과 구현방법
JP2014021738A (ja) 車両用運転支援装置
JP2010072833A (ja) 運転支援装置
KR20040068887A (ko) 도로용 교통신호 시스템
KR100462221B1 (ko) 교통신호기의 점등 잔여시간 표시장치의 제어방법
KR20080101453A (ko) 보행 잔여시간 표시 장치
KR200387496Y1 (ko) 실시간 주차 정보 안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