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4484U - 연료차단방식의 급발진발생시 급발진제거방법 - Google Patents

연료차단방식의 급발진발생시 급발진제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4484U
KR20100004484U KR2020100003783U KR20100003783U KR20100004484U KR 20100004484 U KR20100004484 U KR 20100004484U KR 2020100003783 U KR2020100003783 U KR 2020100003783U KR 20100003783 U KR20100003783 U KR 20100003783U KR 20100004484 U KR20100004484 U KR 2010000448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sudden
engine
driver
emergency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37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하웅
Original Assignee
최하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하웅 filed Critical 최하웅
Priority to KR20201000037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4484U/ko
Publication of KR201000044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448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1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vehicle 
    • B60K28/14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vehicle  responsive to accident or emergency, e.g. deceleration, tilt of vehi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7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B77/08Safety, indicating, or supervis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1/00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 F02D11/04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characterised by mechanical control link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328Arrangements or special measures related to fuel tanks or fuel hand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 Output Control And Ontrol Of Special Type Engin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엔진으로 들어가는 연료파이프에 기계적으로 작동하는 밸브를 장치하고 운전자가 조작하는 비상레버와 연결시켜 이 비상레버를 운전자가 조작하기 쉬운 변속기어 옆이나 컨트롤박스에 설치한다. 그래서 급발진발생시 운전자가 이 비상레버를 조작하여 연료파이프에 연결된 연료차단장치인 밸브를 작동시켜 엔진으로 공급되는 연료를 차단하여 운전자가 브레이크를 밟는 것과 거의 동시에 엔진속에 남아있는 연료는 순간적으로 소진되어 차는 완전히 멈춘다. 이로써 급발진은 해소된다. 이것은 급발진발생을 예방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볼 수도 있고 급발진발생시 사고피해를 최소한으로 줄여줄 수도 있으며 자동차의 브레이크고장 등 또 다른비상시에 브레이크의 기능을 함으로써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자동차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Description

연료차단방식의 급발진발생시 급발진제거방법 {The removal of sudden unintended acceleration with the way to block feul}
본 고안은 자동차가 주행중에 급발진을 일으키거나 출발하기 직전 운전자가 시동을 켰을때 급발진을 일으키는 경우 즉 자동차의 급발진 상황에서 엔진으로 들어가는 연료를 차단하여 급발진을 해소하여 사고를 방지하거나 피해를 최소화 하는 자동차 급발진시 급발진을 제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생산되고 사용중에 있는 자동차를 보면, 급발진을 예방하는 장치를 장착한 차량은 없거니와 급발진이 발생했을 때 그것을 제어하거나 통제할 수 있는 장치를 갖춘 자동차도 없다. 따라서 급발진이 발생했을 경우 급발진을 막을수 있는 대책과 방법이 부족하므로 이런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본 고안의 필요성을 느낀 것이다.
지금까지 자동차의 급발진을 일으키는 정확한 원인을 규명하는 것이 미비했고 자동차가 급발진을 일으켰을시 그것을 막을 수 있는 확실한 방법도 없었다. 급발진의 원인을 밝혀 그것을 예방하는 것은 차치하고 누구에게나 일어날지도 급발진 발생시 그것을 통제해서 사고를 막거나 피해를 줄이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자동차의 급발진 발생시 엔진으로 들어가는 연료를 차단하기 위하여 연료파이프 중간에 전기전자적 방법이 아닌 기계적으로 작동하는 연료차단장치를 설치하여 급발진 발생상황시 운전자가 이 연료차단장치를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비상레버를 설치한다.
비상레버는 운전자가 쉽고 빠르게 조작할 수 있도록 운전석에 가까운 곳과 효율적으로 설치하기에 적당한 위치에 장착한다. 따라서 가급적이면 변속기어 옆이나 운전대 근처나 컨트롤박스에 부착하는 것이 좋다.
연료차단장치는 엔진으로 연결된 연료파이프에 밸브형태로 설치하여 비상레버를 조작했을 경우 연료파이프의 연료흐름을 막음으로 엔진에 연료가 공급되는것을 차단한다. 그래서 급발진시 운전자가 비상레버를 당기거나 돌려서 엔진에 연료공급을 차단하여 급발진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
본 고안이 자동차의 급발진을 예방하는 것은 아니나 급발진발생시 운전자가 직접 비상레버를 조작하여 급발진상태를 해소함으로써 급발진을 예방하는것과 같은 효과를 가져올 수 있고 급발진발생시 사고피해를 최소한으로 줄여줄 수 있다. 또한 이것은 브레이크 고장등 또 다른 비상시에 브레이크 기능을 함으로 자동차의 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킨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해 도시한 설치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연료차단장치의 내부단면도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속기어(1)에 비상레버(2)가 설치되고 비상레버(2) 아래에 연료를 차단할 수 있도록 연료파이프(4)와 연결되어 있는 연료차단장치(3)가 설치된다.
도 2는 상기한 도 1의 연료파이프(4)에 연결된 연료차단장치(3)를 구체적으로 도시하였는데 급발진시 비상레버(2)를 위로 당기거나 돌리면 연료차단장치(3)내 밸브(5)가 아래로 작동하여 엔진으로 들어가는 연료를 차단하게 된다. 그리고 급발진이 해소가 되어 비상레버(2)를 아래로 밀거나 반대로 돌리면 밸브(5)가 원위치 된다.
도 1의 1은 변속기어, 2는 비상레버,3은 연료차단장치, 4는 연료파이프이며 도 2의 5는 연료차단장치 내에서 연료공급을 직접 차단하는 밸브이다.

Claims (4)

  1. 급발진발생시 엔진의 연료공급을 차단하기 위해 연료파이프에 연료차단장치를 설치하여 급발진을 없애는 연료차단방식의 급발진제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연료를 차단하기 위해 연료파이프에 부착하는 연료 차단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연료차단장치 내에 설치하는 연료공급의 흐름을 직접 차단하는 밸브
  4. 청구항 1에 있어서 밸브를 작동시키기 위해 운전자가 조작하는 비상 레버
KR2020100003783U 2010-04-12 2010-04-12 연료차단방식의 급발진발생시 급발진제거방법 KR2010000448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3783U KR20100004484U (ko) 2010-04-12 2010-04-12 연료차단방식의 급발진발생시 급발진제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3783U KR20100004484U (ko) 2010-04-12 2010-04-12 연료차단방식의 급발진발생시 급발진제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484U true KR20100004484U (ko) 2010-04-30

Family

ID=44198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3783U KR20100004484U (ko) 2010-04-12 2010-04-12 연료차단방식의 급발진발생시 급발진제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4484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1968B1 (ko) 2023-08-29 2024-01-31 박요안 급 발진 및 급 가속 차단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1968B1 (ko) 2023-08-29 2024-01-31 박요안 급 발진 및 급 가속 차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9058B1 (ko) Isg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JP2015509455A (ja) 自動車の自動運転、特に自動駐車の方法、ならびにドライバーアシスト装置
KR101526622B1 (ko) 자동긴급제동장치 작동 시 엔진정지 방지 방법
KR20110059382A (ko) 타행 주행 연료 분사 제어 방법
JP2014101112A (ja) 車両ブレーキ安全装置
US20160144840A1 (en) Method And Device For Generating An Emergency Braking Signal For A Vehicle And Method For Initiating A Vehicle Emergency Braking Procedure
ITMO20110304A1 (it) Engine control device for a work vehicle.
KR101755699B1 (ko)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
CN106515714A (zh) 一种结合发动机启停控制系统的自动液压保持控制方法、装置及系统
JP2007069892A (ja) 転がり防止装置
CN104235232A (zh) 用于运行具有离合器装置的机动车的方法
KR20100004484U (ko) 연료차단방식의 급발진발생시 급발진제거방법
CN201992148U (zh) 车用天然气瓶阀限流装置
JP2008190382A (ja) エンジンの回転数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KR102166707B1 (ko) Pto 기능을 구비한 차량의 제어방법
JP2014105661A (ja) アイドルストップ&スタート車両
KR101453291B1 (ko) 자동차 엔진 출력 및 시동제어 시스템
KR101468872B1 (ko) 급발진 상황에서의 브레이크 제동시 엔진으로 공급되는 연료와 공기가 동시에 제어되는 제어시스템
JP2012144179A (ja) 車両の制動力保持制御装置
KR20130142813A (ko) 차량의 급발진 방지장치
EP2918802B1 (en) Safety device for preventing working-apparatus operation during regeneration of forklift-truck diesel-exhaust-gas after-treatment device
KR100992549B1 (ko) 차량의 연료분사 제어방법
KR20160118901A (ko) 차량의 급발진방지 시스템
CN104228793A (zh) 一种汽车紧急制动系统
KR101491285B1 (ko) Amt 차량의 비정상 엔진 정지시 비상 제어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