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4263A - 멀티 연동 서비스 제공을 위한 iptv 시스템 및 그시스템에서의 멀티 연동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멀티 연동 서비스 제공을 위한 iptv 시스템 및 그시스템에서의 멀티 연동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4263A
KR20100004263A KR1020080064349A KR20080064349A KR20100004263A KR 20100004263 A KR20100004263 A KR 20100004263A KR 1020080064349 A KR1020080064349 A KR 1020080064349A KR 20080064349 A KR20080064349 A KR 20080064349A KR 20100004263 A KR20100004263 A KR 201000042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menu
epg
linked
displa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43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덕
Original Assignee
브로드밴드미디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로드밴드미디어주식회사 filed Critical 브로드밴드미디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643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4263A/ko
Publication of KR201000042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42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04N21/4332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by placing content in organized collections, e.g. local EPG data reposito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Abstract

본 발명은 실시간 방송 서비스, VOD 서비스, 부가 서비스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IPTV 서비스를 한 화면에서 연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IPTV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의 멀티 연동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멀티 연동 서비스 제공을 위한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Service)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마다 각 프로그램과 관련된 서비스들에 대한 정보를 멀티 연동 서비스 정보로 포함하는 EPG(Electronic Program Guide)를 제공하는 EPG 서버와, 소정의 서비스 화면 표시 중 멀티 연동 서비스 메뉴 표시를 위한 이벤트가 발생하면 EPG에서 멀티 연동 서비스들을 확인하여 서비스 화면에 함께 표시하고, 멀티 연동 서비스들 중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서비스를 바로 실행하는 셋탑박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PTV, VOD 서비스, 부가 서비스, 실시간 방송 서비스, 연동 서비스

Description

멀티 연동 서비스 제공을 위한 IPTV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의 멀티 연동 서비스 제공 방법{INTERNET PROTOCOL TELEVISION SERVICE SYSTEM FOR PROVIDING MULTI LINKED SER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MULTI LINKED SERVICE THEREOF}
본 발명은 인터넷 프로토콜 망을 이용한 텔레비전 서비스(이하,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서비스로 칭함.)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여러 형태의 서비스들을 하나의 화면에서 연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멀티 연동 서비스 제공을 위한 IPTV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의 멀티 연동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광대역 미디어 보급이 확산되고 통신 속도가 향상됨에 따라 인터넷은 원소스 멀티서비스(One source Multi Service)를 가능하게 해주는 새로운 매개체로 떠오르고 있다. 이러한 원소스 멀티서비스의 일예로, 다수의 공중파 텔레비전, 라디오 채널들은 물론, 인터넷 사업자에 의해 제공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들이 인터넷을 통하여 방송 서비스로 제공되고 있다. 인터넷 이용 인구의 급격한 증가와 더불어 원소스 멀티서비스를 제공하는 인터넷 방송에 대한 수요도 증가 추세에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등장한 대표적인 서비스로는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을 기반으로 한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를 예로 들 수 있다.
IPTV의 가장 큰 특징은 초고속 인터넷을 통해 양방향의 텔레비전 방송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점이다.
IPTV는 셋탑박스를 매개로 하여 인터넷 망과 연결된 IPTV 서버부와 표시 장치를 연결하고, 이를 통해 IPTV 서버부로부터 제공되는 정보 콘텐츠 서비스, 동영상 콘텐츠 제공 서비스, 방송 콘텐츠 제공 서비스 등을 표시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러한 IPTV 서비스를 제공하는 IPTV 시스템에서는 VOD(Video On Demand) 콘텐츠를 제공하는 VOD 서비스와, 실시간 방송 서비스와, 부가 서비스인 VAS(Value Added Service) 서비스 등이 제공된다. 이러한 부가 서비스로는 게임 서비스, 노래방 서비스, 날씨 서비스, 운세 서비스, 마이폴더 서비스 등이 있다.
이와 같이 IPTV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서 고객들은 자신의 고객 단말기의 셋탑박스를 통해 VOD 서비스, 실시간 방송 서비스, 부가 서비스 중 자신이 원하는 서비스를 선택하고, 선택한 서비스의 서브 카테고리들 중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원하는 프로그램을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현재에는 원하는 서비스 카테고리를 선택하고, 선택한 서비스를 제공받다가 서비스 받고 있는 내용과 관련된 다른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다시 서비스 카테고리를 선택하기 위한 메뉴로 진입하여 제공받기 원하는 서비스를 선택한 후 관련 내용에 대응되는 서브 카테고리들을 여러 번에 걸쳐 선택하여야만 원하는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바둑 관련 실시간 방송을 시청하는 중 지난 바둑 대전을 시청하기 위해서는 현재 시청중인 바둑 대전 방송을 종료시킨 후 VOD 서비스를 실행시켜 지난 바둑 대전 VOD를 직접 선택하여만 하였다.
이와 마찬가지로 바둑 실시간 방송을 시청하는 중 웹 상 또는 부가 서비스로 제공되는 다른 사용자들과 바둑 대전 게임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사용자는 현재 시청중인 바둑 대전 방송을 종료시킨 후 원하는 서비스를 여러 번의 키 입력을 통해 선택하여 실행시켜야만 하였다.
즉, 현재에는 여러 형태의 서비스들을 하나의 화면에서 연동할 수 있는 방법이 없기 때문에, 고객들이 현재 제공받는 서비스와 관련된 서비스를 선택할 시에 있어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현재 제공받는 서비스와 관련된 다양한 서비스를 쉽게 제공받을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공 중인 서비스와 관련된 여러 형태의 서비스들 하나의 화면에서 멀티 연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IPTV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한 화면에서 현재 제공받고 있는 서비스와 관련된 복수개의 서비스를 바로 연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멀티 연동 서비스 메뉴 구성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IPTV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멀티 연동 서비스 제공을 위한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Service) 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마다 각 프로그램과 관련된 서비스들에 대한 정보를 멀티 연동 서비스 정보로 포함하는 EPG(Electronic Program Guide)를 제공하는 EPG 서버와, 상기 EPG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소정의 서비스 화면 표시 중 멀티 연동 서비스 메뉴 표시를 위한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EPG에서 멀티 연동 서비스들을 확인하여 상기 서비스 화면에 함께 표시하고, 상기 멀티 연동 서비스들 중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서비스를 바로 실행하는 셋탑박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실시간 방송 채널의 프로그램, VOD(Video On Demand) 콘텐츠, 부가 서비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르면, 상기 멀티 연동 서비스 정보는, 프로그램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연동 서비스들로 구성되는 연동 서비스 메뉴들과 상기 각 메뉴마다 각 메뉴 선택 시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실행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르면, 상기 EPG는, 상기 멀티 연동 서비스 메뉴 표시를 위한 이벤트 발생을 위한 이벤트 발생 주기 설정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르면, 상기 셋탑박스는, 상기 소정의 서비스 화면 표시 중 상기 EPG에 포함된 상기 이벤트 발생 주기마다 상기 멀티 연동 서비스 메뉴 표시를 위한 이벤트가 발생함을 인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르면, 상기 셋탑박스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이벤트 발생 주기 설정을 해제하기 위한 요구가 있으면, 상기 이벤트 발생 주기 설정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르면, 상기 셋탑박스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멀티 연동 서비스 메뉴 표시를 위한 이벤트 발생을 위한 입력이 있으면, 상기 멀티 연동 서비스 메뉴 표시를 위한 이벤트가 발생함을 인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르면, 상기 EPG는, 상기 서비스 화면에 상기 프로그램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연동 서비스들로 구성되는 연동 서비스 메뉴들을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메뉴 구성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르면, 상기 셋탑박스는, 상기 확인된 멀티 연동 서비스 들을 상기 서비스 화면에 함께 표시할 시 상기 메뉴 구성 정보를 이용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르면, 상기 셋탑박스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서비스 화면에 표시된 멀티 연동 서비스 메뉴들 중 하나의 서비스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EPG를 통해 상기 선택된 서비스 메뉴에 대응되는 실행 정보를 확인한 후 상기 확인된 실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서비스를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Service) 시스템의 셋탑박스에서 멀티 연동 서비스 제공을 위한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마다 각 프로그램과 관련된 서비스들에 대한 정보를 멀티 연동 서비스 정보로 포함하는 EPG(Electronic Program Guide)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과정과, 소정의 서비스 화면 표시 중 멀티 연동 서비스 메뉴 표시를 위한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검사 결과 멀티 연동 서비스 메뉴 표시를 위한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EPG에서 멀티 연동 서비스들을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된 멀티 연동 서비스들에 대한 메뉴를 서비스 화면에 함께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멀티 연동 서비스들 중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서비스를 바로 실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실시간 방송 채널, VOD(Video On Demand) 콘텐츠, 부가 서비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르면, 상기 멀티 연동 서비스 정보는, 프로그램과 관련 된 적어도 하나의 연동 서비스들로 구성되는 연동 서비스 메뉴들과 상기 각 메뉴 마다 각 메뉴 선택 시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실행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르면, 상기 EPG는, 상기 멀티 연동 서비스 메뉴 표시를 위한 이벤트 발생을 위한 이벤트 발생 주기 설정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르면, 상기 확인 과정은, 상기 EPG에 포함된 상기 이벤트 발생 주기마다 상기 멀티 연동 서비스 메뉴 표시를 위한 이벤트가 발생함을 인지하여 EPG에서 멀티 연동 서비스들을 확인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르면, 사용자에 의해 상기 이벤트 발생 주기 설정을 해제하기 위한 요구가 있으면, 상기 이벤트 발생 주기 설정을 해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르면, 상기 확인 과정은, 사용자에 의해 상기 멀티 연동 서비스 메뉴 표시를 위한 이벤트 발생을 위한 입력이 있으면, 상기 멀티 연동 서비스 메뉴 표시를 위한 이벤트가 발생함을 인지하여 EPG에서 멀티 연동 서비스들을 확인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르면, 상기 EPG는, 상기 서비스 화면에 상기 프로그램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연동 서비스들로 구성되는 연동 서비스 메뉴들을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메뉴 구성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르면, 상기 표시 과정은, 상기 EPG에 포함된 메뉴 구성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확인된 멀티 연동 서비스들에 대한 메뉴를 서비스 화면에 함께 표시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르면, 상기 실행 과정은, 사용자에 의해 상기 서비스 화면에 표시된 멀티 연동 서비스 메뉴들 중 하나의 서비스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EPG를 통해 상기 선택된 서비스 메뉴에 대응되는 실행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된 실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서비스를 실행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은 사용자가 현재 서비스 제공중인 화면에서 현재 제공받고 있는 프로그램의 내용과 관련된 다른 서비스들의 종류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관련된 다른 서비스들의 종류가 표시된 화면에서 바로 원하는 서비스를 선택하고, 선택된 서비스를 그 화면에서 바로 실행시킬 수 있어 관련 서비스 선택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하기 설명에서 구체적인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IPTV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특정 장르, 특정 분야의 여러 형태의 서비스들을 한 화면에서 연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PTV 시스템의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IPTV 서비스 시스템은 헤드 엔드(H/E : Head End)인 IPTV 서버부(100)와 전달망인 멀티캐스트 네트워크(Multicast Network)(118) 및 유니캐스트 네트워크(Unicast Network)(124)와 가입자 망(120)과 댁내장치인 가입자 단말장치(130)를 포함한다. 이때, 유니캐스트 네트워크(124)와 멀티캐스트 네트워크(118)는 실시간 방송, VOD, 양방향 서비스 및 통신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먼저, 헤드-엔드(H/E)인 IPTV 서버부(100)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IPTV 서버부(100)는 실시간 방송 서비스를 위한 방송 채널을 제공하기 위한 방송 서버(140)와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EPG : Electronic Program Guide) 서버(110), VOD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VOD 서버(114), 운영관리 시스템(112),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부가서비스 제공 서버(15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8, 116)을 포함한다.
방송 서버(140)는 실시간 방송 서비스를 위한 방송 채널을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이다. 이러한 방송 서버(140)는 복수개의 방송 채널에 대한 방송 스트림을 제공한다.
이러한 방송 서버(140)는 베이스밴드 시스템(102), 압축 다중화 시스템(104), 보안 시스템(106)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베이스밴드 시스템(102)은 기본적으로 프로그램 공급자(PP), 지상파 등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튜너(Tuner), 수신된 소스(Source) 신호를 SDI(Serial Digital Interface) 신호로 변환 및 보정하고, 프레임을 동기화하기 위한 프레임 동기화기(Frame Synchronizer), 운용 관리를 위해 모든 방송 신호 채널을 연결/집중화하는 A/V(Audio/Video) 라우터 등의 신호 분배기 및 모니터링을 위한 모니터링기를 포함한다.
이러한 베이스밴드 시스템(102)은 외부 프로그램 제공자(PP:Program Provider)로부터 방송 신호 또는 지상파로부터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베이스밴드 시스템(102)은 수신한 방송 신호를 SDI 신호로 변환하고 프레임(Frame)을 동기화하며, 루틴 스위처(Routine Switcher)를 통해 여러 방송 채널(예:100 채널)의 방송 영상 및 음성 신호들을 분배하여 압축 다중화 시스템(104)으로 전송한다.
그러면, 압축 다중화 시스템(104)은 상기 베이스밴드 시스템(102)으로부터 수신된 방송 영상 및 음성 신호(Video, Audio)를 방송 채널 별로(예:100 채널) 각각 A/V 인코더(A/V Encoder)로 입력하여 SDI 영상 신호를 압축하고, 음성 신호를 압축하여 전송 스트림을 생성한다. 또한, 압축 다중화 시스템(104)에서 전송 스트림을 IP 패킷화한다.
또한, 압축 다중화 시스템(104)는 압축된 전송 스트림 신호와 함께 데이터 인코더(data encoder) 및 PSI/SI 제너레이터(PSI/SI Generator)에 의해 생성된 방송 데이터 및 EPG 정보(PSIP/PSI/SI 정보)를 다중화(Multiplexing)한다.
보안 시스템(106)은 다중화된 전송 스트림 신호를 수신 제한 기술을 사용하는 경우 스크램블러(Scrambler)에 입력하여 암호화한 전송 스트림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8)을 거쳐 IP 멀티캐스팅 방식으로 멀티캐스트 네트워크(118)을 통해 가입자 망(120)의 가입자 스위치(122)로 송출하도록 한다.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8)는 IPv4 멀티캐스팅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IP 패킷화한 전송 스트림을 멀티캐스팅 하여 가입자 단말장치(130)로 전송한다.
상기의 IPTV 서버부(100)로부터 전송된 전송 스트림(Transport Stream) 방송 신호(이하, 방송 스트림으로 기재하도록 함)를 수신한 가입자 스위치(122)는 가입자 단말장치(130)로부터 소정 채널 가입(Join) 요청이 있으면, 해당 채널에 대한 방송 스트림을 가입자 단말장치(130)로 제공한다.
한편, EPG 서버(110)는 VOD 콘텐츠의 프로그램 정보인 VOD EPG와, 실시간 방송 서비스를 위한 방송 프로그램 정보인 채널 EPG와 부가 서비스 EPG를 저장하고, 이를 제공한다. 또한, EPG 서버(110)는 상기의 EPG 정보를 EPG 파일 DB(도시하지 않음)에 통합적으로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이러한 EPG 서버(110)는 EPG를 저장하고, 관리하는데,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각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에 부가하여 관련 서비스 연동 정보가 포함된다. 또한, 부가 서비스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에 관련 서비스 연동 정보가 포함된다. 여기서, 관련 서비스란 해당 프로그램의 내용과 관련된 서비스이다. 예를 들 어, 바둑 관련 실시간 방송 서비스에 대한 관련 서비스는 바둑 대전, 바둑 동호회, 바둑 뉴스와 같은 부가 서비스와 바둑 관련 VOD 콘텐츠와 같은 VOD 서비스가 있다.
또한, EPG 중 채널 EPG에는 일반적으로 포함되는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에 관련 서비스 연동 정보가 포함된다. 이와 같은 관련 서비스 연동 정보는 모든 채널에 대해 포함될 수도 있고, 일부 채널들에 대해서만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관련 서비스 연동 정보는 연동 서비스 메뉴 정보와 각 메뉴에 대한 실행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채널 EPG 뿐만 아니라, VOD EPG 및 부가 서비스 EPG에서 각 프로그램 마다 관련 서비스 연동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관련 서비스 연동 정보의 예는 도 3 및 도 4와 같이 도시할 수 있다. 도 3은 바둑 관련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채널 정보 중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부가된 관련 서비스 연동 정보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바둑 관련 VOD 콘텐츠에 대한 정보 중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부가된 관련 서비스 연동 정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바둑 관련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은 28번 채널로 제공되고, 바둑 관련 실시간 방송에 대해 관련된 연동 서비스 메뉴로는 VOD, 대국, 바둑뉴스, 동호회, 쇼핑, 광고 메뉴가 있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관련 연동 서비스 메뉴들은 하나의 실시 예일 뿐이고, 설정에 따라 더 많은 메뉴들이 부가될 수 있음을 물론이다. 또한, 도 3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부가된 정보만을 도시하고, 일반적으로 포함되는 프로그램 정보에 대한 도시는 생략하도록 한다. 이하, 도 4의 예시도도 도 3과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EPG에 더 부가된 각 프로그램에 대한 연동 서비스 정보만을 도시하도록 한다.
또한, 도 3의 각 연동 서비스 메뉴에는 서비스 실행을 위한 실행 정보가 대응되어 포함된다.
먼저, VOD 메뉴 항목에 대한 실행정보로는 바둑관련 VOD 목록 표시 및 각 VOD 콘텐츠 바로가기 정보가 포함된다. 이때, 바둑관련 VOD 목록은 복수개의 VOD 콘텐츠들을 리스트화 한 목록이고, 각 VOD 콘텐츠에 대한 바로가기 실행할 수 있는 정보들이 대응되어 포함된다. 이때, 바로가기 실행 정보는 가입자 단말장치(130)에서 VOD 서버(114)로 해당 VOD 콘텐츠를 제공해 줄 것을 요청할 때 필요한 정보이다. 도 3의 실시 예에서는 연동 서비스 메뉴 중 VOD에 대응되는 실행 정보가 바둑관련 VOD 목록 표시인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바둑 관련 VOD를 검색할 수 있는 검색 창 실행 정보가 될 수도 있다.
또한, 대국 메뉴 항목에 대한 실행정보로는 온라인 대국 서비스 실행 정보가 포함된다. 이때, 온라인 대국 서비스 실행 정보는 온라인으로 대국 게임을 할 수 있는 서비스로 이동할 수 있는 정보이다. 이러한 대국 게임은 IPTV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부가 서비스가 될 수도 있고, 인터넷 온라인 상의 별도의 게임 사이트(site)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일 수도 있다.
또한, 바둑 뉴스 메뉴 항목에 대한 실행정보로는 바둑 관련 뉴스 바로보기 실행정보가 포함된다. 이때, 바둑 관련 뉴스 바로보기 실행정보는 실시간 방송 서비스 중 바둑 관련 뉴스 채널에 제공받기 위한 정보 또는 지난 바둑 관련 뉴스에 대한 VOD 콘텐츠 제공 요청 시 필요한 정보일 수 있다.
동호회 메뉴 항목에 대한 실행정보로는 바둑 관련 동호회 홈페이지 접속 정보가 포함된다. 또한, 쇼핑 메뉴에 대한 실행정보로는 바둑 관련 물품 구매 사이트(site) 실행 정보가 포함되고, 광고 메뉴에 대한 실행정보로는 바둑 관련 광고 디스플레이 정보가 포함된다. 이때, 동호회 메뉴 항목에 대한 실행정보로 바둑 관련 동호회 홈페이지 접속 정보 대신 IPTV 부가 서비스로 제공되는 바둑 관련 동호회 접속 정보가 될 수도 있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바둑 관련 VOD 콘텐츠에 대한 연동 서비스 메뉴로는 바둑 관련 실시간 방송, 대국, 바둑뉴스, 동호회, 쇼핑, 광고 메뉴가 있다.
상기와 같이 관련된 서비스들에 대한 연동 정보에는 연동 서비스 메뉴 정보들과 각각의 메뉴에 대한 실행 정보들이 포함되는데, 이에 더하여 상기의 메뉴들을 화면에 어떻게 표시할 지에 대한 메뉴 구성 정보와 이와 같은 멀티 연동 서비스 메뉴 표시를 위한 이벤트 발생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멀티 연동 서비스 메뉴 표시를 위한 이벤트 발생 정보는 주기적으로 이벤트를 발생하도록 하는 설정 정보가 될 수 있고, 이러한 설정 정보는 셋탑박스(132)에서 해제 가능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뉴 구성 정보는 도 5와 같이 화면에 연동 서비스 메뉴들이 어떤 위치에 어떤 형태로 디스플레이 될지에 대한 정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실시간 방송 화면(500)에 복수개의 연동 서비스 메뉴들(501, 502, 503, 504, 505)이 디스플레이 된다.
이와 같은 메뉴 구성정보가 화면 하단에 투명 아이콘으로 글씨만 보이게 메 뉴 항목들을 표시하도록 하는 정보인 경우에는 도 6과 같은 화면이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화면의 좌측 세로 방향으로 아이콘을 표시하도록 하는 정보가 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메뉴 구성은 설정에 따라 여러 가지로 변형이 가능하고, 설정에 따라 메뉴 구성 정보가 포함될 것이다.
만약, 바둑 관련 실시간 방송 서비스에 대한 관련 서비스 연동 정보가 도 5와 같은 경우, 가입자 단말장치(130)에서 바둑 관련 실시간 방송을 선택하여 시청하는 경우에는 방송 화면은 도 6과 같이 도시할 수 있다.
그럼, 다시 도 1을 참조하여 IPTV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 중 운영관리 시스템(112)에 대하여 설명하면, 운영관리 시스템(112)는 방송 편성 관리, 콘텐츠 관리, 계약 관리, 상품 관리, 가입자 관리 등과 같이 고객 및 단말 관리, 과금 및 인증을 수행한다.
VOD 서버(114)는 VOD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웹 사이트 또는 데이터베이스를 의미한다. VOD 서버(114)의 내부에는 복수개의 VOD 콘텐츠 각각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된 VOD 콘텐츠 DB(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VOD 서버(114)의 하위에 복수의 콘텐츠 공급 서버들을 구축하여 각 콘텐츠 공급서버에 VOD 콘텐츠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VOD 서버(114)는 콘텐츠 공급 서버들 및 이들에 저장된 VOD 콘텐츠의 목록을 총괄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VOD 서버(114)는 가입자 단말장치(130)로부터 소정의 VOD 콘텐츠 제공 요청에 따라 해당 VOD 콘텐츠를 가입자 단말장치(130)로 제공한다.
가입자 단말장치(130)는 셋탑박스(STB)(132)와 표시장치(134)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시하는 도 1에서는 하나의 가입자 단말장치(130)만을 도시하였지만, 복수개의 가입자 단말장치들이 포함되고, 각 가입자 단말장치들이 가입자 스위치(122)에 연결될 수 있다.
셋탑 박스(STB)(132)는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 비치되는 TV 또는 모니터와 같은 표시 장치(134)와 연결되어 IPTV 서버부(100)로부터 제공받는 다양한 데이터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며, 이를 위한 조작은 리모콘, 키패드 등을 포함한 사용자 조작수단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셋탑박스(132)는 방송 영상 및 음성 신호 및 EPG를 수신한다. 또한, 셋탑박스(132)는 수신한 방송 영상 및 음성 신호와 EPG를 디멀티플렉싱(demultiplexing)한다.
이후, 셋탑박스(132)는 디스크램블러(Descrambler)에 의해 방송 영상 및 음성 신호를 디스크램블링한 후 방송 영상 및 음성 신호를 디코딩하여 표시장치(134)로 출력하여 TV 화면에 표시되도록 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셋탑박스(132)의 내부 구성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셋탑박스(132)의 내부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셋탑박스(13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외부 서버와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 입력신호 수신부(13), 데이터 처리부(12), 제어부(14), 스토리지(16), 출력부(15)를 포함한다. 또한, 제어부(14)는 VOD 콘텐츠를 처리하기 위한 VOD 어플리케이션과, 실시간 방송 콘텐츠를 처리하기 위한 방송 어플리케이션과, 부가 서비스를 위한 콘텐츠인 VAS 콘텐츠를 처리하기 위한 VAS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한다.
각 구성요소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는 외부 서버인 IPTV 서버부(100)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네트워크 환경을 지원한다.
입력신호 수신부(13)는 리모콘(도시 생략함.)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발생하는 입력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입력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한 후 제어부(14)로 전달한다.
데이터 처리부(12)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를 통해 입력되는 VOD 콘텐츠, 실시간 방송 콘텐츠, VAS 콘텐츠 및 EPG 정보를 제어부(14)가 제어하기 용이한 포맷으로 코딩 또는 인코딩한다.
한편, 출력부(15)는 제어부(14)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오디오/비디오(AV) 신호로 변환하여 화면으로 출력하는 모듈로서, 제어부(14)에서 수행하는 일련의 과정을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보여줄 수 있도록 데이터를 처리하는 유닛(unit)이다.
스토리지(16)는 VOD 어플리케이션이나 방송 어플리케이션 및 VAS 어플리케이션 등을 실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가 저장되고,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한 EPG 정보, VOD 콘텐츠, 방송 스트림, VAS 콘텐츠의 프로그램 정보(EPG 정보) 등이 저장되는 메모리 공간이다. 이러한 스토리지(16)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플래쉬 메모리일 수 있다.
제어부(14)는 셋탑박스(132)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한다. 이러한 제어 부(14)는 실시간 방송 서비스 중 또는 VOD 콘텐츠 재생 중 또는 부가 서비스 제공 중에 멀티 연동 서비스 메뉴 표시를 위한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검사한다. 이때, 멀티 연동 서비스 메뉴 표시를 위한 이벤트 발생은 EPG 채널에 포함된 이벤트 발생을 위해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발생될 수도 있고, 이벤트 발생을 위한 사용자의 키 입력을 통해 발생할 수도 있다.
만약, 멀티 연동 서비스 메뉴 표시를 위한 이벤트 발생 주기가 EPG 정보에 함께 포함되어 전송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셋탑박스(132)에 메뉴 표시를 위한 이벤트가 발생되지 않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만약, 사용자로부터 메뉴 표시를 위한 이벤트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설정 요청이 있으면, 셋탑박스(132)는 이를 스토리지(16)에 저장시키고 상기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만약, 상기 멀티 연동 서비스 메뉴 표시를 위한 이벤트 발생을 입력신호 수신부(13)로부터 멀티 연동 서비스 메뉴 표시를 위한 입력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설정된 경우에는 제어부(14)는 멀티 연동 서비스 메뉴 표시를 위한 키 입력이 있는지를 검사한다. 또한, 만약 상기 이벤트가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발생하는 것으로 설정된 경우에는 제어부(14)는 주기에 따라 멀티 연동 서비스 메뉴 표시를 위한 이벤트가 발생하는 지를 검사한다.
상기 검사 결과 멀티 연동 서비스 메뉴 표시를 위한 이벤트가 발생하면, 제어부(14)는 EPG 정보를 참조하여 멀티 연동 서비스 제공을 위한 메뉴 항목들을 화면에 디스플레이 한다. 이때, 화면에 디스플레이 하는 연동 서비스 메뉴 항목들은 수신한 EPG 정보 중 메뉴 구성 정보를 참조하여 디스플레이 한다.
또한, 제어부(14)는 상기 디스플레이 된 메뉴 항목들 중 소정 메뉴 항목이 선택되면, EPG 정보를 참조하여 선택된 메뉴 항목에 대응되는 실행 정보를 확인한다. 이후, 제어부(14)는 확인된 실행 정보에 따라 해당 서비스를 실행시킨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바둑 관련 실시간 방송 화면에서 멀티 연동 서비스 메뉴 표시를 위한 이벤트가 발생하여 도 6과 같은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만약, EPG 정보가 도 5와 같고, 사용자가 VOD 메뉴 항목을 선택하게 되면 VOD 메뉴에 대응되는 실행 정보인 바둑관련 VOD 목록을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이때 표시되는 바둑관련 VOD 목록 정보는 EPG 정보에 포함되어 EPG 서버(110)에서 전송되고, 바둑관련 VOD 목록은 팝업 형태로 화면 일부 영역에 표시될 수도 있고, 전체 화면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사용자가 이와 같이 표시된 바둑관련 VOD 목록 중 하나의 VOD를 선택하게 되면 선택한 VOD 콘텐츠 바로가기 정보를 이용하여 VOD 서버(114)로 선택된 VOD를 제공해줄 것을 요청하고, 이를 제공받아 화면에 표시하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바둑 관련 실시간 방송을 시청하는 시청 화면에서 이 실시간 방송 서비스와 관련된 복수개의 멀티 연동 서비스들에 대한 정보를 메뉴 항목으로 제공받는다. 또한, 사용자는 이와 같은 멀티 연동 서비스 메뉴들 중 하나의 서비스 메뉴 항목을 선택하고, 선택한 서비스를 즉시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멀티 연동 서비스를 제공한 분야로는 바둑, 낙시, 등산, 사이클, 인라인 스케이팅, 테니스, 베드맨트, 축구, 야구, 골프, 마라톤, 여행 등과 같은 다양 한 취미 레저 분야별로 편성할 수 있다.
그러면, 이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한 화면에서 복수개의 서비스를 바로 연동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과정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도 7은 실시간 방송 서비스 화면에서 관련 연동 서비스 실행을 제어하기 위한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먼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700단계에서 제어부(14)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실시간 방송 서비스 즉 소정 방송 채널을 제공하기 위한 방송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중임을 가정한다.
이후, 702단계에서 제어부(14)는 멀티 연동 서비스 메뉴 표시를 위한 이벤트가 발생하는지를 검사한다.
만약, 멀티 연동 서비스 메뉴 표시를 위한 이벤트가 발생하면 704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700단계로 진행하여 방송 서비스 제공을 위한 방송 어플리케이션을 계속하여 구동시킨다.
한편, 702단계에서 진행한 704단계에서 제어부(14)는 스토리지(16)에 저장된 채널 EPG를 통해 현재 제공되는 방송 채널에 대한 멀티 연동 서비스 정보가 있는지 확인한다. 만약, 멀티 연동 서비스 정보가 있으면 706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712단계로 진행하여 관련된 멀티 연동 서비스가 없다는 메시지를 표시한다. 이때, 상기 702단계에서 이벤트 발생이 EPG에 포함된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발생한 경우에는 712단계서 별도의 멀티 연동 서비스가 없다는 메시지는 표시하지 않도록 한다.
704단계에서 진행한 706단계에서 제어부(14)는 EPG에서 현재 제공되는 방송 채널에 대한 멀티 연동 서비스 정보와 멀티 연동 서비스 메뉴 구성 정보를 이용하여 멀티 연동 서비스 제공을 위한 메뉴를 출력부(15)를 통해 디스플레이 한다.
이후, 708단계에서 제어부(14)는 소정 메뉴 선택이 있는 검사한다.
만약, 소정 메뉴 선택이 있으면 710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멀티 연동 서비스 정보에서 상기 선택된 메뉴 항목에 대응되는 실행정보를 확인한다. 이후, 제어부(14)는 확인된 실행 정보에 따라 해당 서비스를 실행시킨다.
상기한 도 7의 실시예는 실시간 방송 시청 화면에서 현재 제공받고 있는 서비스와 관련이 있는 서비스들에 대한 메뉴를 화면에 표시하고, 사용자가 표시된 메뉴들 중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해당 메뉴의 서비스를 바로 제공받는 과정이다.
도 8은 VOD 서비스 화면에서 관련 연동 서비스 실행을 제어하기 위한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800단계에서 제어부(14)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VOD 서비스 즉 소정 VOD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VOD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중임을 가정한다. 이후, 802 단계 내지 812단계는 상기의 도 7의 702단계 내지 712단계와 각각 동일한 과정을 수행한다.
즉, 도 7과 같이 실시간 방송 시청 화면 대신에 VOD 서비스를 제공하는 화면 화면에서 연동 가능한 서비스 메뉴를 표시하고, 표시된 서비스 메뉴 선택에 따라 해당 서비스를 바로 실행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실시간 방송 시청 화면 또는 VOD 서비스를 제공하는 화면 대신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화면에서 연동 가능한 서비스 메뉴를 표시하고, 표시된 서비스 메뉴 선택에 따라 해당 서비스를 바로 실행시킬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PTV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셋탑박스,
도 3은 바둑 관련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채널 정보 중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부가된 관련 서비스 연동 정보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부가된 관련 서비스 연동 정보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실시간 방송 화면에 복수개의 연동 서비스 메뉴들이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바둑 관련 실시간 방송 화면에서 멀티 연동 서비스 메뉴 표시를 위한 이벤트가 발생할 시 표시되는 화면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실시간 방송 서비스 화면에서 관련 연동 서비스 실행을 제어하기 위한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VOD 서비스 화면에서 관련 연동 서비스 실행을 제어하기 위한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IPTV 서버부 140: 방송 서버
112: 운영관리 시스템 110: EPG 서버
114: VOD 서버 116: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102: 베이스 밴드 시스템 104: 압축 다중화 시스템
106: 보안 시스템 108: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118: 멀티캐스트 네트워크 120: 가입자 망
122: 가입자 스위치 124: 유니캐스트 네트워크
130: 가입자 단말장치 132: 셋탑박스
134: 표시장치

Claims (20)

  1. 멀티 연동 서비스 제공을 위한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Service) 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마다 각 프로그램과 관련된 서비스들에 대한 정보를 멀티 연동 서비스 정보로 포함하는 EPG(Electronic Program Guide)를 제공하는 EPG 서버와,
    상기 EPG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소정의 서비스 화면 표시 중 멀티 연동 서비스 메뉴 표시를 위한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EPG에서 멀티 연동 서비스들을 확인하여 상기 서비스 화면에 함께 표시하고, 상기 멀티 연동 서비스들 중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서비스를 바로 실행하는 셋탑박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연동 서비스 제공을 위한 IPTV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실시간 방송 채널의 프로그램, VOD(Video On Demand) 콘텐츠, 부가 서비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연동 서비스 제공을 위한 IPTV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 연동 서비스 정보는,
    프로그램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연동 서비스들로 구성되는 연동 서비스 메 뉴들과 상기 각 메뉴마다 각 메뉴 선택 시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실행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연동 서비스 제공을 위한 IPTV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EPG는,
    상기 멀티 연동 서비스 메뉴 표시를 위한 이벤트 발생을 위한 이벤트 발생 주기 설정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연동 서비스 제공을 위한 IPTV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셋탑박스는,
    상기 소정의 서비스 화면 표시 중 상기 EPG에 포함된 상기 이벤트 발생 주기마다 상기 멀티 연동 서비스 메뉴 표시를 위한 이벤트가 발생함을 인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연동 서비스 제공을 위한 IPTV 시스템.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셋탑박스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이벤트 발생 주기 설정을 해제하기 위한 요구가 있으면, 상기 이벤트 발생 주기 설정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연동 서비스 제공을 위한 IPTV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셋탑박스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멀티 연동 서비스 메뉴 표시를 위한 이벤트 발생을 위한 입력이 있으면, 상기 멀티 연동 서비스 메뉴 표시를 위한 이벤트가 발생함을 인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연동 서비스 제공을 위한 IPTV 시스템.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EPG는,
    상기 서비스 화면에 상기 프로그램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연동 서비스들로 구성되는 연동 서비스 메뉴들을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메뉴 구성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연동 서비스 제공을 위한 IPTV 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셋탑박스는,
    상기 확인된 멀티 연동 서비스들을 상기 서비스 화면에 함께 표시할 시 상기 메뉴 구성 정보를 이용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연동 서비스 제공을 위한 IPTV 시스템.
  10.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셋탑박스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서비스 화면에 표시된 멀티 연동 서비스 메뉴들 중 하나의 서비스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EPG를 통해 상기 선택된 서비스 메뉴에 대응되는 실행 정보를 확인한 후 상기 확인된 실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서비스를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연동 서비스 제공을 위한 IPTV 시스템.
  11.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Service) 시스템의 셋탑박스에서 멀티 연동 서비스 제공을 위한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마다 각 프로그램과 관련된 서비스들에 대한 정보를 멀티 연동 서비스 정보로 포함하는 EPG(Electronic Program Guide)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과정과,
    소정의 서비스 화면 표시 중 멀티 연동 서비스 메뉴 표시를 위한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검사 결과 멀티 연동 서비스 메뉴 표시를 위한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EPG에서 멀티 연동 서비스들을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된 멀티 연동 서비스들에 대한 메뉴를 서비스 화면에 함께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멀티 연동 서비스들 중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서비스를 바로 실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연동 서비스 제공을 위한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실시간 방송 채널, VOD(Video On Demand) 콘텐츠, 부가 서비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연동 서비스 제공을 위한 방법.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 연동 서비스 정보는,
    프로그램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연동 서비스들로 구성되는 연동 서비스 메 뉴들과 상기 각 메뉴마다 각 메뉴 선택 시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실행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연동 서비스 제공을 위한 방법.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EPG는,
    상기 멀티 연동 서비스 메뉴 표시를 위한 이벤트 발생을 위한 이벤트 발생 주기 설정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연동 서비스 제공을 위한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 과정은,
    상기 EPG에 포함된 상기 이벤트 발생 주기마다 상기 멀티 연동 서비스 메뉴 표시를 위한 이벤트가 발생함을 인지하여 EPG에서 멀티 연동 서비스들을 확인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연동 서비스 제공을 위한 방법.
  16. 제 14항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상기 이벤트 발생 주기 설정을 해제하기 위한 요구가 있으면, 상기 이벤트 발생 주기 설정을 해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연동 서비스 제공을 위한 방법.
  17.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 과정은,
    사용자에 의해 상기 멀티 연동 서비스 메뉴 표시를 위한 이벤트 발생을 위한 입력이 있으면, 상기 멀티 연동 서비스 메뉴 표시를 위한 이벤트가 발생함을 인지하여 EPG에서 멀티 연동 서비스들을 확인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연동 서비스 제공을 위한 방법.
  18.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EPG는,
    상기 서비스 화면에 상기 프로그램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연동 서비스들로 구성되는 연동 서비스 메뉴들을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메뉴 구성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연동 서비스 제공을 위한 IPTV 방법.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과정은,
    상기 EPG에 포함된 메뉴 구성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확인된 멀티 연동 서비스들에 대한 메뉴를 서비스 화면에 함께 표시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연동 서비스 제공을 위한 방법.
  20.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 과정은,
    사용자에 의해 상기 서비스 화면에 표시된 멀티 연동 서비스 메뉴들 중 하나의 서비스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EPG를 통해 상기 선택된 서비스 메뉴에 대응되는 실행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된 실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서비스를 실행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연동 서비스 제공을 위한 방법.
KR1020080064349A 2008-07-03 2008-07-03 멀티 연동 서비스 제공을 위한 iptv 시스템 및 그시스템에서의 멀티 연동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000042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4349A KR20100004263A (ko) 2008-07-03 2008-07-03 멀티 연동 서비스 제공을 위한 iptv 시스템 및 그시스템에서의 멀티 연동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4349A KR20100004263A (ko) 2008-07-03 2008-07-03 멀티 연동 서비스 제공을 위한 iptv 시스템 및 그시스템에서의 멀티 연동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263A true KR20100004263A (ko) 2010-01-13

Family

ID=41813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4349A KR20100004263A (ko) 2008-07-03 2008-07-03 멀티 연동 서비스 제공을 위한 iptv 시스템 및 그시스템에서의 멀티 연동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426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69200B2 (en) Selection list of thumbnails
KR101094553B1 (ko) 실시간 방송과 관련된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방송 시스템 및 방법
KR101467437B1 (ko) VOD(video on demand)가상채널 서비스및 동영상을 포함하는 방송 프로그램 편성표 제공방법
US8046792B2 (en) Multi-channel audio enhancement for television
KR101002070B1 (ko) 연관 콘텐츠 수신 장치, 연관 콘텐츠 제공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연관 콘텐츠 전송 시스템
CN102461165A (zh) 用于动态视频电子节目指南的系统和方法
KR20090106104A (ko) Vod 서비스와 실시간 스트리밍 서비스가 동시 구현가능한 iptv 방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N101316338B (zh) 一种电视频道查找方法及装置
US20080271082A1 (en) User controlled multimedia television broadcast on single channel
KR101418028B1 (ko) Iptv 시청 행태수집과 이를 통한 개인 맞춤형 서비스제공 시스템 및 iptv 가입자 단말
KR20090115344A (ko)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시스템 및 그방법
KR101175349B1 (ko) 매칭 정보를 제공하는 통합 프로그램 가이드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2008263434A (ja) テレビ装置および番組情報表示方法
KR101078701B1 (ko) 아이피티브이 프로그램의 서브 콘텐츠 선택 재생 방법 및 장치
WO2008136610A2 (en) User chosen camera based image providing system and method
KR101307531B1 (ko) 방송 채널의 이미지를 포함한 실시간 방송 편성표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178167B1 (ko) 선호 프로그램에 대한 채널 전환 방법 및 장치
KR101116966B1 (ko) 양방향 방송 서비스에서 실시간 방송의 프로그램 편성 및 제공 방법
KR20100004263A (ko) 멀티 연동 서비스 제공을 위한 iptv 시스템 및 그시스템에서의 멀티 연동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10024897A (ko) 사용자 별 선호 메뉴에 기반한 광고를 선택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10026233A (ko) 네트워크 tv 및 그 컨텐츠 통합 검색 방법
KR20110117900A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 및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10120506A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 및 컨텐츠 제공 방법
KR101169948B1 (ko) 사용자 기반의 iptv 콘텐츠를 연속하여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10071574A (ko) 아이피티브이를 이용하여 예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