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4247A - 안전하강수단과 자동개방수단을 구비한 비상탈출용 사다리 - Google Patents

안전하강수단과 자동개방수단을 구비한 비상탈출용 사다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4247A
KR20100004247A KR1020080064317A KR20080064317A KR20100004247A KR 20100004247 A KR20100004247 A KR 20100004247A KR 1020080064317 A KR1020080064317 A KR 1020080064317A KR 20080064317 A KR20080064317 A KR 20080064317A KR 20100004247 A KR20100004247 A KR 201000042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right frame
fixed
emergency
automatic opening
emergency esc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4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43604B1 (ko
Inventor
원희섭
Original Assignee
고대성
강석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대성, 강석범 filed Critical 고대성
Priority to KR10200800643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3604B1/ko
Publication of KR201000042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42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36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36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1/00Ladders in general
    • E06C1/02Ladders in general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 or members
    • E06C1/38Special constructions of ladders, e.g. ladders with more or less than two longitudinal members, ladders with movable rungs or other treads, longitudinally-foldable ladders
    • E06C1/383Foldable ladders in which the longitudinal members are brought together on fol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12Lifts or other hoisting devices on lad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18Devices for preventing persons from falling
    • E06C7/186Rail or rope for guiding a safety attachment, e.g. a fall arrest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9/0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 E06C9/06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 E06C9/08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s
    • E06C9/085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s ladders unfolded in the direction of the longitudinal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하강수단과 자동개방수단을 구비한 비상탈출용 사다리에 관한 것이며; 그 목적은 평상시에는 건물의 외벽에 절첩되었다가 화재 등으로 비상경보장치가 작동되면 이와 연동되어 자동 또는 수동으로 펼쳐지고 각 층에 제공된 흉부벨트의 고리를 순차적으로 걸어 다수 명이 동시에 하강할 수 있는 안전하강장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하강수단과 자동개방수단을 구비한 비상탈출용 사다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건물의 외벽에 고정되는 비상탈출용 사다리에 있어서, 상기 비상탈출용 사다리는, 외벽에 고정되는 일측 고정직립프레임(10)과, 상기 고정직립프레임과 회절가능하게 연결되되 상하로 이격된 다수의 발판(12)과, 상기 고정직립프레임(10)에 대응되어 발판(12)의 타측에 회절가능하게 연결된 이동직립프레임(11)과, 상기 고정직립프레임(10) 및 발판(12)의 연결부위 하단에 설치되어 발판(12)이 수평이 되면 하측에서 지지하는 스톱퍼(13)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직립프레임(10)의 상부 또는 그 부근 외벽(2)에 고정되어 고리가 부착된 흉부벨트(4)를 이용하면 다수 명이 고리(4a)를 순차적으로 걸어 동시에 하강할 수 있는 안전하강수단(20)과; 상기 이동직립프레임(11)의 상부 일측에 고정되어 비상용 전력으로 구동되는 모터(31)의 동력에 의해 고정직립프레임(10) 방향으로 이동되는 바(32)의 단부가 외벽(2)을 밀어 상호 이격됨과 동시에 이동직립프레임(11)이 자중에 의해 회절되면서 펼쳐지도록 유도하는 하나 이상의 자동개방수단(30)과; 건물내 에 기설치된 비상경보장치가 작동되면 이와 연동되어 상기 자동개방수단(30)의 모터(31)를 구동하는 제어부(40);를 포함하는 안전하강수단과 자동개방수단을 구비한 비상탈출용 사다리에 관한 것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비상탈출용 사다리, 안전하강수단, 자동개방수단, 고정걸쇠

Description

안전하강수단과 자동개방수단을 구비한 비상탈출용 사다리{EMERGENCY LADDER WITH SAFETY DESCENDER AND AUTO UNFOLDING DEVICE}
본 발명은 안전하강수단과 자동개방수단을 구비한 비상탈출용 사다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평상시에는 건물의 외벽에 절첩되었다가 화재 등으로 비상경보장치가 작동되면 이와 연동되어 자동 또는 수동으로 펼쳐지고 각 층에 제공된 흉부벨트의 고리를 순차적으로 걸어 다수 명이 동시에 하강할 수 있는 안전하강장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하강수단과 자동개방수단을 구비한 비상탈출용 사다리에 관한 것이다.
통상, 비상탈출용 사다리(Emergency Ladder)라고 하면, 화재 등의 비상시 내실자가 창문 또는 베란다를 통하여 건물의 지상 또는 옥상으로 대피할 수 있도록 기설치되었거나 비상시에만 꺼내 사용하는 사다리를 말한다.
즉, 이러한 비상탈출용 사다리는 소방요원이나 경찰의 도착 전에 내실자들의 안전한 대피를 위하여 사용되어 많은 인명을 구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안전구호장비 중 하나이다.
그러나, 종래의 비상탈출용 사다리는 건물의 외벽에 부착되어 있을 경우, 외부인의 침입이 용이하고 평상시에도 노출된 상태이므로 우천 등으로 인하여 노후화가 가속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3층 이상의 고층에서 비상탈출용 사다리를 사용하여 대피하는 경우 별도의 안전장치가 없어 어린이나 노약자의 경우 추락으로 인한 사망 또는 부상 가능성이 매우 커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비상탈출용 완강기는 고층 건물의 경우 3~10 층까지 1대씩 장착되며, 각 층마다 1회 1명씩만 사용할 수 있어 각층마다 대부분의 경우 다수 명이 내실하고 있는데 촌각을 다투는 상황에서 순서대기중인 사람들은 대피할 방법이 없이 마냥 기다려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11층이상은 비상사다리 및 완강기도 제공되지 않는 실정으로 11층 이상의 고층에 내실한 사람들은 대피할 방법이 전무한 상태로 큰 문제점을 안고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되는 것으로, 평상시에는 건물의 외벽에 절첩되었다가 화재 등으로 비상경보장치가 작동되면 이와 연동되어 자동 또는 수동으로 펼쳐지고 각 층에 제공된 흉부벨트의 고리를 순차적으로 걸어 다수 명이 동시에 하강할 수 있는 안전하강장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안전하강수단과 자동개방수단을 구비한 비상탈출용 사다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건물의 외벽에 고정되는 비상탈출용 사다리에 있어서, 상기 비상탈출용 사다리는, 외벽에 고정되는 일측 고정직립프레임(10)과, 상기 고정직립프레임과 회절가능하게 연결되되 상하로 이격된 다수의 발판(12)과, 상기 고정직립프레임(10)에 대응되어 발판(12)의 타측에 회절가능하게 연결된 이동직립프레임(11)과, 상기 고정직립프레임(10) 및 발판(12)의 연결부위 하단에 설치되어 발판(12)이 수평이 되면 하측에서 지지하는 스톱퍼(13)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직립프레임(10)의 상부 또는 그 부근 외벽(2)에 고정되어 고리가 부착된 흉부벨트(4)를 이용하면 다수 명이 고리(4a)를 걸어 동시에 하강할 수 있는 안전하강수단(20)과; 상기 이동직립프레임(11)의 상부 일측에 고정되어 비상용 전력으로 구동되는 모터(31)의 동력에 의해 고정직립프레임(10) 방향으로 이동되는 바(32)의 단부가 외벽(2)을 밀어 상호 이격됨과 동시에 이동직립프레임(11)이 자중에 의해 회절되면서 펼쳐지도록 유도하는 하나 이상의 자동개방수단(30)과; 건물내에 기설치된 비상경보장치가 작동되면 이와 연동되어 상기 자동개방수단(30)의 모터(31)를 구동하는 제어부(40);를 포함하는 안전하강수단과 자동개방수단을 구비한 비상탈출용 사다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비상탈출용 사다리에 있어서, 상기 안전하강수단(20)은, 상 기 발판(12)측으로 신장되는 축(21)과; 상기 축(21)의 단부에 고정된 기어풀리(22)와; 상기 기어풀리(22)에 연결되어 발판(12)의 전후방으로 늘어져 설치되는 체인(23)과; 상기 축(21)의 타측에 연결되는 무동력 감속기어(24);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감속기어(24)는 비상전력을 인가받는 모터를 이용하여 전동으로 작동되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며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의 비상탈출용 사다리에 있어서, 상기 비상탈출용 사다리(1)는 개방용손잡이(14)를 이용하여 수동으로도 펼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비상탈출용 사다리에 있어서, 상기 비상탈출용 사다리(1)는 상기 이동직립프레임(11)에 힌지(151)로 연결되는 고정걸쇠(15)를 구비하고 고정직립프레임(10)에 이에 대응되는 돌기(154)를 형성하여 상기 고정걸쇠(15)가 돌기(154)에 걸림되면 이동직립프레임(11)이 개방되지 않으며, 상기 고정걸쇠(15)의 자유단부측에 와이어(153)를 연결하여 힌지(151)의 상부측에 형성된 릴(152)을 지나 자동개방수단(30)의 모터(31)에 일단이 연결되어 비상시 자동개방수단(30)과 함께 와이어(153)가 권취되며 고정걸쇠(15)가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릴(152)을 지난 와이어(153)에 수동줄(50)의 일측을 연결하되 타측은 고정직립프레임(10)에 길이방향으로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다수의 고리(155)를 지나 하방으로 늘어지게 형성된 수동줄(50)에 각 층마다 달린 손잡이(156)를 자동개방수단(30)의 오작동시 수동으로 잡아당기면 고정걸쇠(15)가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작용에 의해 기대할 수 있는 본 발명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평상시에는 절첩되어 있어 외부인침입 및 조기 노후화를 방지할 수 있고, 비상시에는 비상경보장치와 연동되어 펼쳐지고 상부에 구비된 안전하강장치에 흉부벨트의 고리를 순차적으로 걸어 다수 명이 동시에 지상으로 안전한 대피가 가능하여 화재 등으로 인한 부상의 발생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인명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적인 구호장비를 제공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1 은 본 발명을 적용한 비상탈출용 사다리의 전체사시도이고, 도 2 는 도 2 는 본 발명을 적용한 비상탈출용 사다리의 고정걸쇠의 작동모습과 절첩 과정을 보이는 사시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을 적용한 비상탈출용 사다리를 이용하여 대피하는 모습을 보이는 사용상태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을 적용한 비상탈출용 사다리가 자동개방수단에 의해 펼쳐지는 과정을 보이는 정면도이며, 도 5 는 도 4의 요부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인 비상탈출용 사다리(1)는 고정직립프레임(10)과 다수의 발판(12)과 이동직립프레임(11)과 스톱퍼(13)와 개방용손잡이(14)와 안전하강수 단(20)과 자동개방수단(30)과 고정걸쇠(15)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직립프레임(10)과 이동직립프레임(11)은 내측에 중공이 형성되도록 'ㄷ'자 또는 'ㅛ'자 또는 'U'자형 단면을 가지며 상하방향으로 길게 신장되는 바(bar) 형태로 제작되어 내측에 발판(12)이 회절되어 내장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고정직립프레임(10)과 이동직립프레임(11)은 상호 대응되도록 마주보도록 위치되되 고정직립프레임(10)은 외측이 건물 외벽(2)에 고정되고 이동직립프레임(11)은 자유단으로 형성되는 차이가 있다.
또한, 상기 고정직립프레임(10)과 이동직립프레임(11)이 중공이 상호 대향되도록 마주하여 위치되고 각각에 단부가 회절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수의 발판(12)이 상하로 이격되어 결합된다.
따라서, 고정된 고정직립프레임(10)으로부터 다수의 발판(12)이 회전되면서 이동직립프레임(11)이 이격 또는 절첩되어 밀착된다.
상기 스톱퍼(13)는 고정직립프레임(10) 및 발판(12)의 연결부위 하단에 설치되어 발판(12)이 수평이 되면 하측에서 지지하여 발판(12)의 회전을 제한하고 발판(12)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몸무게를 지탱하도록 견고하게 형성한다.
상기 개방용손잡이(14)는 이동직립프레임(11)의 일측에 형성하여 본 발명의 자동개방수단(30)의 오작동시에 내실자가 직접 수동으로도 개방할 수 있다.
상기 안전하강수단(20)은 고정직립프레임(10)의 상부 또는 그 부근 외벽(2)에 고정되어 고리가 부착된 흉부벨트(4)를 이용하면 다수 명이 고리(4a)를 걸어 동 시에 하강할 수 있다. 상기 안전하강수단(20)은 고정직립프레임(10)의 상부 또는 외벽(2)에 직접 고정하였으나, 이동직립프레임(11)의 상단에 고정하는 정도의 변형은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되며, 장기간 보관을 위하여 케이스가 구비되는 것은 당업자로서 당연한 것이므로 생략한다.
상기 안전하강수단(20)은 종래 완강기(緩降機)라는 이름으로 나와 있는 많은 종류의 것들이 있으나, 이러한 종래 제품은 1회 1명만이 사용할 수 있으며, 시급한 비상상황에서 순서를 기다리는 나머지 사람들은 대피할 방법이 없어 우왕좌왕하게 되고 안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안전하강수단(20)은 종래의 완강기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전동감속기어나 무동력 감속기어 또는 체인을 이용한 트롤리(Trolly)와 같은 구조의 것을 이용하며 통상 다수 명(15명 이상)의 무게를 견딜 수 있어서, 다수 명의 내실자가 순차적으로 체인에 고리(4a)를 걸어 동시에 안전하게 하강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고정직립프레임(10)과 이동직립프레임(11) 및 발판(12)의 재질 또한 이러한 무게를 견딜 수 있도록 견고하며 우천 등의 기후에 견딜 수 있도록 내식성이 좋고 가벼운 고강도 알루미늄 합금, 고강도 스테인레스, 고강도 합성수지 등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동개방수단(30)은 하나 이상의 사용되며, 상기 이동직립프레임(11)의 상부 일측에 고정되어 비상용 전력으로 구동되는 모터(31)의 동력에 의해 고정직립프레임(10) 방향으로 이동되는 바(32)의 단부가 외벽(2)을 밀어 상호 이격됨과 동시에 이동직립프레임(11)이 자중에 의해 회절되면서 펼쳐지도록 유도한다. 상기 비 상경보장치로부터 24V의 비상전력을 공급받는다.
상기 자동개방수단(30)이 이동직립프레임(11)에 고정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고정직립프레임(10)에 고정되어 이동직립프레임(11)을 밀어 상호 이격되도록 변경하는 것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상기 제어부(40)는 건물내에 기설치된 비상경보장치와 연결되도록 설치하여 비상경보장치가 작동되면 신호를 받아 작동되며, 비상경보장치로부터 24V의 비상전력을 공급받아 비상경보장치와 연동되어 자동개방수단(30)의 모터(31)를 구동한다. 또한,
상기 고정걸쇠(15)는 이동직립프레임(11)에 힌지(151)로 연결되도록 구비하고 고정직립프레임(10)에 이에 대응되는 돌기(154)를 형성하여 상기 고정걸쇠(15)가 돌기(154)에 걸림되면 이동직립프레임(11)이 외부의 충격 등에 의해 개방되지 않도록 하며, 상기 고정걸쇠(15)의 자유단부측에 와이어(153)를 연결하여 힌지(151)의 상부측에 형성된 릴(152)을 지나 자동개방수단(30)의 모터(31)에 일단이 연결되어 비상시 자동개방수단(30)과 함께 와이어(153)가 권취되며 고정걸쇠(15)가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릴(152)을 지난 와이어(153)에 수동줄(50)의 일측을 연결하되 타측은 고정직립프레임(10)에 길이방향으로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다수의 고리(155)를 지나 하방으로 늘어지게 형성된 수동줄(50)에 각 층마다 달린 손잡이(156)를 자동개방수단(30)의 오작동시 수동으로 잡아당기면 수동줄(50)이 당겨져서 고정걸쇠(15)가 개방되도록 형성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비상탈출용 사다리(1)는 고정직립프레임(10)과 발판(12)과 이동직립프레임(11)과 스톱퍼(13)와 개방용손잡이(14)와 안전하강수단(20)과 자동개방수단(30)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고정직립프레임(10)은 외벽(2)에 고정되는 프레임으로, 'ㅛ'자 단면을 가지며 상하로 길고 내측에 중공이 형성되어 절첩된 발판(12)이 중공에 삽입될 수 있도록 제조한다.
다음, 상기 이동직립프레임(11)은 고정직립프레임(10)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프레임으로, 'ㄷ'자 단면을 가지면서 상하로 길고 내측에 중공이 형성되어 고정직립프레임(10)과 중공이 대향하도록 위치시켜 중공에 다수의 발판(12)의 회절가능하게 결합시킨다.
다음, 상기 스톱퍼(13)는 고정직립프레임(10) 및 발판(12)의 연결부위 하단에서 발판(12)이 수평이 되면 하측에서 발판(12)을 지지할 수 있도록 역직각삼각형 모양의 리브(RIB)가 형성되도록 제작한다.
다음, 상기 이동직립프레임(11)의 일측에 개방용손잡이(14)를 형성하여, 자동개방수단(30)의 오작동시 수동으로 개방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직립프레임(10)의 상부 또는 그 부근 외벽(2)에 고정되어 고리가 부착된 흉부벨트(4)를 이용하면 다수 명이 고리(4a)를 순차적으로 걸어 동시에 안전하게 하강할 수 있는 안전하강수단(20)을 설치한다.
상기 안전하강수단(20)은 상기 발판(12)측으로 신장되는 축(21)과, 상기 축(21)의 단부에 고정된 톱니바퀴 형상의 기어풀리(22)와, 상기 기어풀리(22)에 연결되어 발판(12)의 전후방으로 늘어져 설치되는 체인(23)과, 상기 축(21)의 타측에 연결되는 무동력 감속기어(24)로 이루어져 상기 체인(23)에 흉부벨트(4)의 고리(4a)를 걸되 다수 명이 동시에 걸어서 사용할 수 있다. 물론, 상기 감속기어(24)는 수동으로 예를 들었으나, 전동감속기어로 변경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은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다음, 상기 이동직립프레임(11)의 상부 일측에 고정되어 기설치된 비상경보장치로부터 24V의 비상용 전력을 인가받아 구동되는 모터(31)의 동력에 의해 고정직립프레임(10) 방향으로 이동되는 바(32)의 단부가 외벽(2)을 밀어 상호 이격됨과 동시에 이동직립프레임(11)이 자중에 의해 회절되면서 펼쳐지도록 유도하는 하나 이상의 자동개방수단(30)을 설치한다.
상기 자동개방수단(30)은 모터(31) 구동식을 설치하였으나, 유압 구동식으로 변경하는 정도는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다음, 기설치된 비상경보장치와 자동개방수단(30)의 모터(31) 사이의 임의의 위치에 제어부(40)를 구비하여 상기 비상경보장치가 작동되면 이와 연동하여 자동개방수단(30)의 모터(31)가 구동되도록 한다. 물론, 상기 감속기어(24)를 전동감속기어로 변경하는 경우 전동감속기어는 비상경보장치로부터 24V의 비상용 전력을 인가받아 구동되는 것은 자명한 사실이다.
다음, 상기 이동직립프레임(11) 에 힌지(151)로 연결되는 고정걸쇠(15)를 구 비하고 고정직립프레임(10)에 이에 대응되는 돌기(154)를 형성하여 상기 고정걸쇠(15)가 돌기(154)에 걸림되면 이동직립프레임(11)이 개방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고정걸쇠(15)의 자유단부측에 와이어(153)를 연결하여 힌지(151)의 상부측에 형성된 릴(152)을 지나 자동개방수단(30)의 모터(31)에 일단이 연결되어 비상시 자동개방수단(30)과 함께 와이어(153)가 권취되며 고정걸쇠(15)가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릴(152)을 지난 와이어(153)에 수동줄(50)의 일측을 연결하되 타측은 고정직립프레임(10)에 길이방향으로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다수의 고리(155)를 지나 하방으로 늘어지게 형성된 수동줄(50)에 각 층마다 달린 손잡이(156)를 자동개방수단(30)의 오작동시 수동으로 잡아당기면 수동줄(50)이 당겨져서 고정걸쇠(15)가 개방되도록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비상탈출용 사다리(1)의 설치 및 사용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비상탈출용 사다리(1)를 건물의 창문 또는 베란다가 설치된 해당 외벽(2)에 설치할 때, 고정직립프레임(10)의 외측면을 외벽(2)에 대고 'ㅛ'자 또는 'ㄴ'자 모양의 다수의 고정구(60)를 이용하여 고정한다. 상기 고정직립프레임(10)을 설치시 이동직립프레임(11)의 개방시 하단이 지면(3)에 적당히 닿도록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다음, 상기 비상탈출용 사다리(1)는 건물의 층수에 따라 현장에서 연속적으로 설치하여 일체화함으로써 모든 사다리(1)가 동시에 개방 또는 절첩된다.
다음, 상기 비상탈출용 사다리(1)의 이동직립프레임(11)을 절첩한 뒤, 고정걸쇠(15)를 돌기(154)에 걸어 고정시킨다.
이로써, 평상시의 절첩된 상태가 완성된다.
다음, 비상시에 비상경보장치가 작동되는 경우, 비상경보장치로부터 신호를 받은 제어부(40)에서 비상용 전력을 이용하여 자동개방수단(30)의 모터(31)의 구동시킨다.
다음, 모터(31)가 구동됨에 따라, 고정걸쇠(15)의 와이어(153)가 당겨져 고정걸쇠(15)가 돌기(154)로부터 이탈되어 개방되고, 바(32)가 전진하면서 외벽(2)을 밀어내면서 이동직립프레임(11)이 외측으로 회전하기 시작한다.
다음, 회전이동하기 시작한 이동직립프레임(11)은 자중에 의해 펼쳐진다.
다음, 자중에 의해 회전되던 발판(12)은 하부에 구비된 스톱퍼(13)에 의해 수평상태에서 정지하게 되고, 이동직립프레임(11)의 최하단은 지면(3)에 안착하게 된다.
다음, 내실자가 비상탈출용 사다리(1)가 위치된 부근까지 이동하면 미리 준비되어 있던 흉부벨트(4)를 머리로부터 삽입하여 겨드랑이 밑에 끼우고 자신에게 맞게 조절한다.
다음, 흉부벨트(4)를 착용한 내실자는 창문 또는 베란다를 통하여 비상탈출용 사다리(1)에 접근하고 흉부벨트(4)에 형성된 고리(4a)를 안전하강수단(20)의 체인(23)에 걸되 제대로 걸림을 확인한다.
다음, 내실자는 창문 또는 베란다를 통하여 바깥으로 나와 비상탈출용 사다 리(1)의 발판(12)을 이용하여 탈출하게 된다.
이때 흉부벨트(4)로 인하여 사다리를 잡으면서 탈출할 수 없는 유아나 노약자도 안전하강수단(20)에 매달린 채로 다른 사람들과 함께 탈출할 수 있게 된다.
만약, 비상경보장치가 오작동시에는 비상탈출용 사다리(1)에 가장 먼저 접근한 내실자가 고정직립프레임(10)의 일측에 늘어져 있는 수동줄(50)에 달린 손잡이(156)을 잡아 당겨 고정걸쇠(15)를 회전시켜 돌기(154)로부터 이탈되어 이동직립프레임(11)을 개방시킨다.
다음, 이동직립프레임(11)에 형성된 개방용손잡이(14)를 잡고 외측으로 밀어서 비상탈출용 사다리(1)를 펼치기 시작한다.
다음, 개방용손잡이(14)를 조금 밀게 되면, 자중에 의해 자동으로 회전하면서 개방되다가 발판(12)의 하부에 형성된 스톱퍼(13)에 의해 회전이 정지되고 펼쳐짐이 완료된다.
다음, 이하 비상탈출용 사다리(1) 부근에 미리 준비된 흉부벨트(4)를 착용하고 탈출하는 순서는 비상경보장치의 작동시와 동일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작용에 의해 기대할 수 있는 본 발명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평상시에는 건물의 외벽에 절첩되어 있어 외부인의 침입 및 노후화를 방지할 수 있으며, 화재 등으로 비상경보장치가 작동되면 이와 연동되어 자동 또는 수동으로 펼쳐지고 각 층에 제공된 흉부벨트의 고리를 순차적으로 걸어 다수 명이 동시에 안전하게 하강할 수 있는 안전하강장치가 구비되는 비상탈출용 사다리를 제공함으로써, 노약자의 사용이 가능하고 화재 등으로 인한 인명피해 및 탈출과정 중 추락 등으로 인한 추가적인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을 적용한 비상탈출용 사다리의 전체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을 적용한 비상탈출용 사다리의 고정걸쇠의 작동모습과 절첩 과정을 보이는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을 적용한 비상탈출용 사다리를 이용하여 대피하는 모습을 보이는 사용상태도
도 4 는 본 발명을 적용한 비상탈출용 사다리가 자동개방수단에 의해 펼쳐지는 과정을 보이는 정면도
도 5 는 도 4의 요부확대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비상탈출용 사다리 2: 외벽
3: 지면 4: 흉부벨트
4a: 고리 10: 고정직립프레임
11: 이동직립프레임 12: 발판
13: 스톱퍼 14: 개방용손잡이
15: 고정걸쇠 151: 힌지
152: 릴 153: 와이어
154: 돌기 155: 고리
156: 손잡이 20: 안전하강수단
21: 축 22: 기어풀리
23: 체인 24: 감속기어
30: 자동개방수단 31: 모터
32: 바 40: 제어부
50: 수동줄 60: 고정구

Claims (4)

  1. 건물의 외벽에 고정되는 비상탈출용 사다리에 있어서,
    상기 비상탈출용 사다리는, 외벽에 고정되는 일측 고정직립프레임(10)과, 상기 고정직립프레임과 회절가능하게 연결되되 상하로 이격된 다수의 발판(12)과, 상기 고정직립프레임(10)에 대응되어 발판(12)의 타측에 회절가능하게 연결된 이동직립프레임(11)과, 상기 고정직립프레임(10) 및 발판(12)의 연결부위 하단에 설치되어 발판(12)이 수평이 되면 하측에서 지지하는 스톱퍼(13)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직립프레임(10)의 상부 또는 그 부근 외벽(2)에 고정되어 고리가 부착된 흉부벨트(4)를 이용하면 다수 명이 고리(4a)를 걸어 동시에 하강할 수 있는 안전하강수단(20)과;
    상기 이동직립프레임(11)의 상부 일측에 고정되어 비상용 전력으로 구동되는 모터(31)의 동력에 의해 고정직립프레임(10) 방향으로 이동되는 바(32)의 단부가 외벽(2)을 밀어 상호 이격됨과 동시에 이동직립프레임(11)이 자중에 의해 회절되면서 펼쳐지도록 유도하는 하나 이상의 자동개방수단(30)과;
    건물내에 기설치된 비상경보장치가 작동되면 이와 연동되어 상기 자동개방수단(30)의 모터(31)를 구동하는 제어부(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하강수단과 자동개방수단을 구비한 비상탈출용 사다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하강수단(20)은,
    상기 발판(12)측으로 신장되는 축(21)과;
    상기 축(21)의 단부에 고정된 기어풀리(22)와;
    상기 기어풀리(22)에 연결되어 발판(12)의 전후방으로 늘어져 설치되는 체인(23)과;
    상기 축(21)의 타측에 연결되는 무동력 감속기어(24) 또는 전동감속기어(24);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하강수단과 자동개방수단을 구비한 비상탈출용 사다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탈출용 사다리(1)는 개방용손잡이(14)를 이용하여 수동으로도 펼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하강수단과 자동개방수단을 구비한 비상탈출용 사다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탈출용 사다리(1)는 상기 이동직립프레임(11)에 힌지(151)로 연결되는 고정걸쇠(15)를 구비하고 고정직립프레임(10)에 이에 대응되는 돌기(154)를 형성하여 상기 고정걸쇠(15)가 돌기(154)에 걸림되면 이동직립프레임(11)이 개방되지 않으며,
    상기 고정걸쇠(15)의 자유단부측에 와이어(153)를 연결하여 힌지(151)의 상부측에 형성된 릴(152)을 지나 자동개방수단(30)의 모터(31)에 일단이 연결되어 비 상시 자동개방수단(30)과 함께 와이어(153)가 권취되며 고정걸쇠(15)가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릴(152)을 지난 와이어(153)에 수동줄(50)의 일측을 연결하되 타측은 고정직립프레임(10)에 길이방향으로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다수의 고리(155)를 지나 하방으로 늘어지게 형성된 수동줄(50)에 각 층마다 달린 손잡이(156)를 자동개방수단(30)의 오작동시 수동으로 잡아당기면 고정걸쇠(15)가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하강수단과 자동개방수단을 구비한 비상탈출용 사다리.
KR1020080064317A 2008-07-03 2008-07-03 안전하강수단과 자동개방수단을 구비한 비상탈출용 사다리 KR1010436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4317A KR101043604B1 (ko) 2008-07-03 2008-07-03 안전하강수단과 자동개방수단을 구비한 비상탈출용 사다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4317A KR101043604B1 (ko) 2008-07-03 2008-07-03 안전하강수단과 자동개방수단을 구비한 비상탈출용 사다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247A true KR20100004247A (ko) 2010-01-13
KR101043604B1 KR101043604B1 (ko) 2011-06-22

Family

ID=41813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4317A KR101043604B1 (ko) 2008-07-03 2008-07-03 안전하강수단과 자동개방수단을 구비한 비상탈출용 사다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360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43129A (zh) * 2013-02-05 2013-06-12 胡佳威 密布式商场火灾楼层疏散出口的快速载送装置
CN115263176A (zh) * 2022-06-15 2022-11-01 中国矿业大学 一种地下农场低能耗逃生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07442B (zh) * 2012-11-07 2016-03-09 胡佳威 商场火灾即时安全逃生的设计方法及逃生出口的逃生梯装置
KR20160029349A (ko) 2014-09-05 2016-03-15 류대범 선박 탈출용 사다리
KR102040087B1 (ko) 2019-01-18 2019-11-0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안전 케이지 및 이를 포함하는 안전 사다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780000320Y1 (en) * 1977-01-11 1978-04-07 Jang Hwan Yang Emergency ladder
JP2582912B2 (ja) 1988-10-31 1997-02-19 スカンサム アーベー 折たたみ可能の火災時避難用はしご
JP2701199B2 (ja) * 1995-01-27 1998-01-21 朝日金属精工株式会社 昇降補助機
JP3551257B2 (ja) 2001-09-03 2004-08-04 節 岡本 避難用梯子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43129A (zh) * 2013-02-05 2013-06-12 胡佳威 密布式商场火灾楼层疏散出口的快速载送装置
CN103143129B (zh) * 2013-02-05 2015-06-03 胡佳威 密布式商场火灾楼层疏散出口的快速载送装置
CN115263176A (zh) * 2022-06-15 2022-11-01 中国矿业大学 一种地下农场低能耗逃生装置
CN115263176B (zh) * 2022-06-15 2023-12-01 中国矿业大学 一种地下农场低能耗逃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3604B1 (ko) 2011-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116007A1 (en) Stowable, unobtrusive access and escape devices
KR101043604B1 (ko) 안전하강수단과 자동개방수단을 구비한 비상탈출용 사다리
KR101035081B1 (ko) 아파트의 난간을 이용한 완강기
US4211306A (en) Emergency building escape ladder
KR20190131296A (ko) 완강형 소방 및 재난 대피장치
KR101976476B1 (ko) 화재 재난용 긴급탈출 승강장치
US4079812A (en) Movable shelter floor type emergency escape
US20070209870A1 (en) Access and escape devices
KR100613880B1 (ko) 발코니의 난간을 이용한 비상 대피장치
KR101131484B1 (ko) 긴급대피용 피난장치
KR101548010B1 (ko) 공동주택의 비상대피 기능을 갖춘 베란다 휀스장치
JP3932258B2 (ja) 緊急脱出用梯子
CN112870570A (zh) 一种适用于高层建筑的逃生装置
US20210002959A1 (en) Fire Escape Device (Ladders with Safety Cord and Fall Arrest System)
KR100613879B1 (ko) 난간 대피장치
US20040245047A1 (en) Device for rescuing persons from edifices such as buildings, drilling platforms, ships or the like
KR20160143606A (ko) 응급탈출용 비상사다리
RU179796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пасения людей из зданий в аварийных ситуациях
KR101648354B1 (ko) 완강기능을 겸비한 공동주택용 접이식 난간
RU163102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пасения людей из зданий в аварийных ситуациях
KR101004601B1 (ko) 무동력 구동방식의 정속하강 비상탈출장치
KR100905490B1 (ko) 비상탈출용 사다리장치
KR20130017592A (ko) 방화용 대피 사다리
JP2005087267A (ja) 避難装置
RU2455040C2 (ru) Индивидуальное средство спасен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