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3984U - 메모리 장치용 액세서리 - Google Patents

메모리 장치용 액세서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3984U
KR20100003984U KR2020080013402U KR20080013402U KR20100003984U KR 20100003984 U KR20100003984 U KR 20100003984U KR 2020080013402 U KR2020080013402 U KR 2020080013402U KR 20080013402 U KR20080013402 U KR 20080013402U KR 20100003984 U KR20100003984 U KR 2010000398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ory device
accessory
memory
main body
spr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34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정일
Original Assignee
허정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정일 filed Critical 허정일
Priority to KR20200800134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3984U/ko
Publication of KR201000039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398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용자가 용이하게 메모리를 고정 및 이탈시킬 수 있어 사용이 간편하고 구조가 간단함에 따라 제조효율이 상승되고 제품의 외형을 보다 미려하게 할 수 있도록 한 메모리 장치용 액세서리를 개시한다. 본 고안의 구성은 메모리 장치가 삽입되도록 일측에 개방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일정면적을 갖는 공간부가 마련되며, 타측에는 목줄이 고정되도록 고정구가 마련된 본체부; 및 상기 공간부의 내부에 고정되어 삽입된 상기 메모리 장치를 탄성 지지함으로써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판 스프링 부재를 구성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사용자가 용이하게 메모리 장치를 목에 걸어 휴대할 수 있으며 손으로 용이하게 삽입 및 이탈시킬 수 있어 사용상 간편한 특징이 있다.
메모리 장치, 액세서리, 목줄, 판 스프링

Description

메모리 장치용 액세서리{ACCESSORY FOR MEMORY DEVICE}
본 고안은 메모리 장치용 액세서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메모리를 고정 및 이탈시킬 수 있음에 따라 사용이 간편하고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효율이 상승되고 제품의 외형을 다양한 디자인으로 보다 미려하게 할 수 있도록 한 메모리 장치용 액세서리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인해서 인터넷을 이용한 전자 상거래, 폰 뱅킹, PC뱅킹 등과 같은 원격 금융 서비스의 이용이 날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전자 금융 및 전자 상거래는 개인이나 기업에게 있어서 시간 및 공간적 제약을 초월하여 서비스될 수 있으며, 비용적인 측면에서도 서비스비용이 절감될 수 있어 그 이용인구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발달된 정보통신기술을 이용한 다양한 서비스의 제공과 더불어 전자 금융 및 전자상거래의 약점을 이용하여 개인 정보의 유출이나 금융사기 등을 노리는 해킹기술도 다양하게 발달하고 있는 형편이다. 즉, 전자 금융 및 전자상거래를 서비스 받기 위해서는 인터넷이라는 공중 통신망에 접속해야만 하며, 해당 서비스 제공자의 서버에 접속한 다음에 소정의 확인절차를 밟은 후 서비스를 제공받아야만 하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해커에 의해서 개인의 정보가 유출되거나 금전적인 피해를 입을 수 있는 보안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보안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서비스 공급자의 서버에서 ID와 비밀번호만으로 본인임을 확인하던 본인확인절차가 최근에 와서는, 서비스 공급자는 별도의 인증서를 발급하고, 서비스 사용자는 그 인증서를 발급받아 본인임을 확인하는 인증 시스템으로 전환되고 있다. 즉, 서비스 공급자로부터 발급받은 인증서가 있어야만 해당서비스를 제공하는 인증서버에 접속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이렇게 발급받는 인증서는 서비스 제공자에 따라서 HDD(하드 디스크), FD(플로피 디스크), IC 카드 등에 저장되었다가 사용자가 인증서버에 접속시 현재의 접속자가 본인임을 확인하게 되는데, 상기의 저장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있다. 즉, 하드 디스크의 경우에는 PC에 인증서가 저장되기 때문에 본인이 아니더라도 인증서가 저장된 위치와 개인의 ID와 비밀번호 등을 타인에게 노출될 경우 커다란 피해를 볼 수 있다. 그리고 플로피 디스크의 경우에는 휴대의 곤란성과 디스크 에러 등에 의해서 자료가 지워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으며, IC 카드의 경우에는 별도의 카드 인식기를 구비해야만 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IC 카드 등에 인증서를 저장할 때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들을 보완하여 사용자가 인증서를 휴대하며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발된 것이 USB 메모리(Universal Serial Bus Memory)이다. 이 USB 메모리는 인증서뿐만 아니라 각종 개인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도록 저용량부터 대용량까지 현재 다양한 제품들이 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USB 메모리는 USB 규격에 준거한 한 쌍의 데이터 단자와, 전원 단자와, 접지단자를 구비하고 있고, 데이터 단자를 이용하여 고속의 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함과 함께 전원 단자를 이용하여 급전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USB 메모리(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하여 사용이 가능하도록 소형화되어 있고 분실방지를 위하여 고리(15)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휴대시 외부의 먼지 등 이물질이 커넥터에 침투하여 접속불량, 데이터의 손상이나 커넥터의 손상을 보호할 수 있도록 보호커버가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보호커버를 구비한 USB 메모리의 일예가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999-43872호에 개시되어 있다. 도 2와 같이, 이런 종래의 USB 메모리(20)는 보호커버(22)가 USB커넥터(23)를 보호할 수 있도록 USB커넥터(23)를 감싸줄 뿐만 아니라, USB포트 연결부(24)의 외주면에 구비된 홈(25)을 따라 전후로 이동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다른 예의 보호커버를 구비한 USB 메모리가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01-6435호에 개시되어 있다. 도 3과 같이, 이런 종래의 USB 메모리(30)는 커넥터(31)와 보호커버(32) 사이를 유연한 연결띠(35)로서 연결시킨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서, 보호커버(32)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전술한 USB 메모리는 보호커버(22)가 커넥터(23) 주변에 일체로 결합되어 커넥터(23)를 보호하고 있으므로, 컴퓨터의 USB포트에 결합하고자 하는 경우 보호커버(22)로 인하여 커넥터(23)의 단자들이 가리게 되므로 USB포트와의 정확한 결합작업이 번거롭다. 또한, 컴퓨터의 USB포트 주변은 상기 보호커버(22)가 점유될 수 있는 공간이 요구된다.
또한, USB 메모리는 보호커버(32)를 커넥터(31)에 결합시키기 위하여는 보호커버(32)의 입구측에 커넥터(31)를 정확히 위치시킨 후 결합시켜야 하므로 결합작업이 번거롭다. 그렇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반복적인 결합 작업시 커넥터(31)의 주변 몰드 및 단자들이 보호커버(32)와의 접촉에 따른 손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술한 USB 메모리 이외에 목걸이형 USB 메모리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목걸이형 USB 메모리는 사용자가 USB 메모리를 용이게 휴대할 수 있도록 메모리 본체에 천공을 하고 체인을 관통시킨 형태로 구성되거나, 또는 메모리 본체에 회동가능하도록 USB 메모리를 고정시켜 사용시 메모리 단자를 회동시켜 단말기에 삽입시키도록 구성된 것들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목걸형 USB 메모리는 사용자가 컴퓨터와 같은 단말기에 USB 메모리의 단자를 삽입시키기 위해서는 매번 사용자의 목에서 USB 메모리의 체인을 벗어야한다. 따라서 이러한 불필요한 동작에 따른 사용상 번거로운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또한 USB 메모리가 본체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구성도 마찬가지로 사용시 목에서 체인을 벗어야만 하고, 특히 구조가 복잡함으로써 제조공정이 복잡해지고, 이에 따라 제조단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근래에 USB 메모리가 널리 보급되면서, 심미적으로 향상된 USB 메모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즉, 단지 저장수단만을 위한 기능뿐만 아니 라 개성을 표출하는 액세서리의 기능이 부가된 제품들이 소비자들의 구매욕구를 촉진시키고 있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필요에 의해 창안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용이하게 메모리를 고정 및 이탈시킬 수 있어 사용이 간편하고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효율이 상승되고 제품의 외형을 보다 미려하게 할 수 있도록 한 메모리 장치용 액세서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실시 형태에 따르면, USB 메모리와 같은 메모리 장치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휴대하기 위한 메모리 장치용 액세서리로서, 상기 메모리 장치가 삽입되도록 일측에 개방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일정면적을 갖는 공간부가 마련되며, 타측에는 목줄이 고정되도록 고정구가 마련된 본체부; 및 상기 공간부의 내부에 고정되어 삽입된 상기 메모리 장치를 탄성 지지함으로써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판 스프링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메모리 장치용 액세서리가 제공된다.
상기 판 스프링 부재는, 일정 길이를 가지며 상기 본체부의 내측에 고정되는 고정면; 및 상기 고정면의 양단에서 각각 절곡되며 내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절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판 스프링 부재의 고정면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고정면의 관통공에 삽입되어 절곡됨에 따라 상기 판 스프링 부재를 고정시키는 고정 돌기가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공간부는 상기 개방구의 일부분에 덮개부가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개방구는 사용자가 손가락을 접지시켜 상기 메모리 장치를 이탈시킬 수 있는 만큼의 충분한 면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모리 장치는 상기 목줄 또는 상기 본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연결줄을 통해 연결되어 분실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사용자가 용이하게 메모리 장치를 목에 걸어 휴대할 수 있으며 목에서 벗을 필요 없이 손으로 용이하게 메모리를 삽입 및 이탈시킬 수 있어 사용상 간편한 효과가 있다.
특히, 본 고안은 구조가 간단한 판 스프링 부재를 통해 메모리를 고정하는 구조로 전체적인 제조공정을 줄이고 제조단가를 낮춰 제조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제품의 외형을 보다 다양한 디자인으로 미려하게 할 수 있어 메모리의 휴대수단뿐만 아니라 장신구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장치용 액세서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장치용 액세서리의 결합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장치용 액세서리의 판 스프링 부재의 다른 고정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4 및 도 5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장치용 액세서리는, 본체부(100) 및 판 스프링 부재(300)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 본체부(100)는 납작한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다. 또한 내부는 중공형으로서 USB 메모리(200)가 수용되도록 일정 부피의 공간부(140)를 갖는다. 한편 공간부(140)의 일측은 개방구(130)가 형성된다. 이때, 개방구(130)는 본체부(100)의 일면이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져, USB 메모리(200)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사용자가 용이하게 USB 메모리(200)를 접지시켜 삽입 및 이탈이 용이하도록 충분한 면적만큼 개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체부(100)의 외부면에는 목줄(400; 도 5)을 결합하기 위한 고정구(110)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판 스프링 부재(300)는 USB 메모리(200)를 탄성지지함으로써 본체부(100)에서 USB 메모리(200)가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판 스프링 부재(300)의 구성은 본체부(100)의 내측에 고정되는 고정면(310)과, 고정면(310)의 양단에서 각각 절곡되며 내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절곡면(331,332)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절곡면(331,332)은 USB 메모리(200)가 본체부(100) 내부로 인입되면 수축되어 USB 메모리(200)의 양측면을 탄성력으로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판 스프링 부재(300)는 본체부(100)의 공간부(140)에 삽입되어 볼트(320)를 통해 고정될 수 있다. 도 4에서 120은 볼트 삽입축이다. 또한 다른 결합방식으로 도 6과 같이, 고정면(310)에 천공을 하여 관통공(311)을 형성하고, 본체부(100)의 내측면에는 고정 돌기(120)를 형성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관통공(311)에 고정 돌기(120)를 관통시키고 공구(600)를 통해 고정 돌기(120)를 압착시켜 절곡시킴으로써 판 스프링 부재(300)를 본체부(100)의 공간부(140) 내에 고정할 수 있다.
한편, USB 메모리(200)의 가장자리에 연결줄(500)의 일단을 연결하고, 타단을 목줄(400)에 연결함으로써 USB 메모리(200)가 이탈되어 분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목줄(400)에 연결된 연결줄(500)의 말단에는 탈착이 용이한 고리(도면부호 미부여)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하진 않았으나, 상기 연결줄(500)은 목줄(400) 이외에 본체부(100)에 연결시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장치용 액세서리의 판 스프링 부재의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장치용 액세서리의 판 스프링 부재의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및 도 9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장치용 액세서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과 같이, 판 스프링 부재(300)는 상부면과 하부면에 갖도록 형성되고, 내측에는 다수의 홈이 패턴을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홈이 형성된 패턴은 고무재질로 형성된 패킹부재가 'ㄷ'자 형의 프레임에 삽입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판 스프링 부재(300)는 본체부(100)의 일부에 형성된 공간부(140)에 삽입고정될 수 있다. 또한 본체부(100)의 다른 부분은 일면이 개방된 상태를 이룸으로써 사용자가 손으로 USB 메모리(200)를 용이하게 접지시켜 삽입 및 이탈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8과 같이 판 스프링 부재(300)는 평판형 철편을 절곡시켜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철편을 절곡시켜 'ㄷ'자 형상으로 프레임을 형성하고 가장자리에는 USB 메모리(200)가 인입되면 고정할 수 있도록 돌출부를 절곡하여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판 스프링 부재(300)는 다양한 형상을 갖도록 제작될 수 있다.
도 9와 같이, 본체부(100)에는 일측이 완전히 개방된 상태로 구성한다. 이때 이 개방구의 일부에는 판 스프링 부재(300)의 고정면이 안착되는 베이스부(150)가 형성되고, 판 스프링 부재(300)의 절곡면의 말단이 안착되는 단턱부(160)가 양측에 각각 형성된다. 이에 따라 판 스프링 부재(300)는 상기한 단턱부(160) 및 베이스부(150)에 놓이게 된다.
아울러 판 스프링 부재(300)의 상부에는 덮개부(800)가 결합되는데, 이때 베이스부(150)에는 나사공이 마련되어 덮개부(800)의 상부에 볼트를 체결시켜 양측 부재가 서로 나사체결됨으로써 고정된다. 이와 같이 덮개부(800)가 고정되면 개방부의 일측부분은 폐쇄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또한 덮개부(800)이외에 나머지는 개방구(130)를 형성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개방구(130)를 통해 사용자가 USB 메 모리(200)를 용이하게 접지할 수 있어 삽입 및 이탈시 용이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메모리 장치용 액세서리는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상술한 예에서는 USB 메모리(200)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다양한 메모리 장치의 형상으로 삽입부를 형상함으로써 적용가능한다. 예를 들어 통상의 SD 카드, XD 카드, CF 카드와 같은 경량의 메모리 장치에게 적용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은 컴팩트화된 USB 메모리(도 1과 같은 형태가 아닌 도 4와 같은 컴팩트형)에 최적화된 설계임을 밝혀둔다.
아울러, 도 10은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장치용 액세서리의 예시도로서, 도 10과 같이 본체부(100)의 형상을 다양한 디자인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목걸이의 펜던트와 같은 액세서리의 기능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다. 즉, 개방구(130)의 형성위치는 사용자가 목에 걸었을 때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내측에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개방구(130)가 형성되지 않은 나머지 부분은 다양한 도안으로 세공이나 프린팅할 수 있어서 악세서리로서 기능을 할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의 본체부(100) 자체를 도금할 수 있어 보다 액세서리로서의 고급스러운 심미감을 줄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USB 메모리의 일예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2는 종래의 USB 메모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3은 종래의 USB 메모리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장치용 액세서리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장치용 액세서리의 결합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장치용 액세서리의 판 스프링 부재의 다른 고정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장치용 액세서리의 판 스프링 부재의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장치용 액세서리의 판 스프링 부재의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장치용 액세서리의 분해 사시도, 및
도 10은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장치용 액세서리의 예시도이다.

Claims (6)

  1. USB 메모리와 같은 메모리 장치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휴대하기 위한 메모리 장치용 액세서리로서,
    상기 메모리 장치가 삽입되도록 일측에 개방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일정면적을 갖는 공간부가 마련되며, 타측에는 목줄이 고정되도록 고정구가 마련된 본체부; 및
    상기 공간부의 내부에 삽입된 상기 메모리 장치를 탄성 지지함으로써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판 스프링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장치용 액세서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 스프링 부재는,
    일정 길이를 가지며 상기 본체부의 내측에 고정되는 고정면; 및
    상기 고정면의 양단에서 각각 절곡되며 내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절곡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장치용 액세서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판 스프링 부재의 고정면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고정면의 관통공에 삽입되어 절곡됨에 따라 상기 판 스프링 부재를 고정시키는 고정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장치용 액세서리.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부 일부분에 덮개부가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장치용 액세서리.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구는 사용자가 손가락을 접지시켜 상기 메모리 장치를 삽입 및 이탈시킬 수 있는 만큼의 충분한 면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장치용 액세서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장치는 상기 목줄 또는 상기 본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연결줄을 통해 연결되어 분실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장치용 액세서리.
KR2020080013402U 2008-10-07 2008-10-07 메모리 장치용 액세서리 KR2010000398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3402U KR20100003984U (ko) 2008-10-07 2008-10-07 메모리 장치용 액세서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3402U KR20100003984U (ko) 2008-10-07 2008-10-07 메모리 장치용 액세서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3984U true KR20100003984U (ko) 2010-04-15

Family

ID=44450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3402U KR20100003984U (ko) 2008-10-07 2008-10-07 메모리 장치용 액세서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3984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86269B2 (en) Modular structure to expand and enhance subscriber identity module card functionality
US7307846B2 (en) Sliding cover for slot of electronic device
US7666017B2 (en) SIM card securing device
JP5441079B2 (ja) 指紋認証データカード及び電子デバイス
US8005509B2 (en) SIM card securing mechanism for mobile phone
US6450408B2 (en) Drawable subscriber identity module card holder
CN102231767B (zh) 便携式电子装置及其芯片卡卡持装置
CN101753646B (zh) Sim卡固定装置
CN103491216A (zh) 信息存储装置
WO2014059818A1 (zh) Sim卡兼容装置及相关终端
KR20100003984U (ko) 메모리 장치용 액세서리
US20020187807A1 (en) Clip-on/clip-in smart module
US20110045876A1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rotatable case
KR200234627Y1 (ko) 유에스비 인증키의 접속단자를 보호하기 위한 캡
JP2004118771A (ja) Usbインターフェース付きsimホルダーとsim
KR200235145Y1 (ko) 유에스비 인증키의 접속단자를 보호하기 위한 캡
TW201538048A (zh) 組合式多功能保護殼
KR101240230B1 (ko) 휴대 기기용 스트랩
CN211787155U (zh) 轻便多功能发卡器
JP2004213162A (ja) 携帯電話機及び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用非接触通信simリーダライタ等と携帯電話機用simリーダライタ
JP3072734U (ja) 通信機能付き携帯ケース
KR20080024019A (ko) 휴대용 단말기의 심카드
KR101240227B1 (ko) 휴대 기기용 스트랩
KR101240226B1 (ko) 휴대 기기용 스트랩
KR101240228B1 (ko) 휴대 기기용 스트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