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5145Y1 - 유에스비 인증키의 접속단자를 보호하기 위한 캡 - Google Patents

유에스비 인증키의 접속단자를 보호하기 위한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5145Y1
KR200235145Y1 KR2020010006435U KR20010006435U KR200235145Y1 KR 200235145 Y1 KR200235145 Y1 KR 200235145Y1 KR 2020010006435 U KR2020010006435 U KR 2020010006435U KR 20010006435 U KR20010006435 U KR 20010006435U KR 200235145 Y1 KR200235145 Y1 KR 2002351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authentication key
plug mold
usb
usb authent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64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제갈석
Original Assignee
제갈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갈석 filed Critical 제갈석
Priority to KR20200100064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514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51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5145Y1/ko

Link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자 금융, 전자 상거래 등을 이용하는 경우에 개인 및 단체의 보안을 의해서 휴대하며 사용되는 USB 인증키의 접속단자를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로부터 보호하며, 휴대 및 보관시에 각종 충격으로부터 플러그 몰드를 보호하기 위한 USB 인증키의 접속단자를 보호하기 위한 캡에 관한 것으로,
전자 금융, 전자 상거래 등과 같은 통신망을 이용하여 서비스 공급자로부터 부여받은 인증서 등을 저장하는 메모리가 본체 케이스 내부에 수용되며, 일측으로는 PC나 노트북 컴퓨터 등에 마련되는 USB 소켓에 결합되기 위한 플러그 몰드가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 몰드 내측으로 접속을 위한 다수의 단자가 형성되는 USB 인증키에 있어서,
상기한 사각형상의 플러그 몰드가 수용될 수 있도록 캡의 일측면이 개방된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캡의 내측 상하좌우면에 상기 플러그 몰드의 상하좌우면과 접촉되는 다수의 돌기가 길이방향으로 길게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한 캡의 일측과 본체 케이스의 일측은 힌지나 유연한 연결띠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에스비 인증키의 접속단자를 보호하기 위한 캡{Cap for USB security key}
본 고안은 USB 인증키의 접속단자를 보호하기 위한 캡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 금융, 전자 상거래 등을 이용하는 경우에 개인 및 단체의 보안을 의해서 휴대하며 사용되는 USB 인증키의 접속단자를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로부터 보호하며, 휴대 및 보관시에 각종 충격으로부터 플러그 몰드를 보호하기 위한 USB 인증키의 접속단자를 보호하기 위한 캡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인해서 인터넷을 이용한 홈 트레이딩(Home trading), 전자 상거래, 폰 뱅킹(Phone banking)과 PC뱅킹(Personal computer banking) 등과 같은 원격 금융 서비스(Remote banking service)의 이용이 날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전자 금융 및 전자 상거래는 개인이나 기업에게 있어서 시간 및 공간적 제약을 초월하여 서비스될 수 있으며, 비용적인 측면에서도 서비스비용이 절감될 수 있으므로서 그 이용인구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발달된 정보통신기술을 이용한 다양한 서비스의 제공과 더불어 전자 금융 및 전자상거래의 약점을 이용하여 개인 정보의 유출이나 금융사기 등을 노리는 해킹기술도 다양하게 발달하고 있는 형편이다. 즉, 전자 금융 및 전자상거래를 서비스 받기 위해서는 인터넷이라는 공중 통신망에 접속해야만 하며, 해당 서비스 제공자의 서버에 접속한 다음에 소정의 확인절차를 밟은 후 서비스를 제공받아야만 하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헤커에 의해서 개인의 정보가 유출되거나 금전적인 피해를 입을 수 있는 보안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보안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서비스 공급자의 서버에서 ID와 비밀번호만으로 본인임을 확인하던 본인확인절차가 최근에 와서는, 서비스 공급자는 별도의 인증서를 발급하고, 서비스 사용자는 그 인증서를 발급받아 본인임을 확인하는 인증 시스템으로 전환되고 있다. 즉, 서비스 공급자로부터 발급받은 인증서가 있어야만이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증서버에 접속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이렇게 발급받는 인증서는 서비스 제공자에 따라서 HDD(하드 디스크), FD(플로피 디스크), IC 카드 등에 저장되었다가 사용자가 인증서버에 접속시 현재의 접속자가 본인임을 확인하게 되는데, 상기의 저장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있다. 즉, 하드 디스크의 경우에는 PC에 인증서가 저장되기 때문에 본인이 아니더라도 인증서가 저장된 위치와 개인의 ID와 비밀번호 등을 타인에게 노출될 경우 커다란 피해를 볼 수 있다. 그리고 플로피 디스크의 경우에는 휴대의 곤란성과 디스크 에러 등에 의해서 자료가 지워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으며, IC 카드의 경우에는 별도의 카드 인식기를 구비해야만 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IC 카드 등에 인증서를 저장할 때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들을 보완하여 사용자가 인증서를 휴대하며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발된 것이 USB 인증키이다.
상기한 USB 인증키는 도 8에 도시된 구성도와 같이 각 서비스 공급자로부터 발급받은 인증서가 저장된 USB 인증키(20)를 PC, 노트북과 같은 통신단말장치(10)에 장착한 후, 통신망에 접속하여 본인임을 인증받아야만이 서비스 공급자의 서버로부터 해당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9와 도 10은 현재 사용되고 있는 USB 인증키의 한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체 케이스(21) 내부에는 서비스 공급자로부터 발급받은 인증서 등이 저장되는 메모리가 수용되고, 상기 본체 케이스(21)의 일측으로는 상기 메모리와 PC나 노트북 등에 구비된 USB 포트(11)를 연결시키기 위한 접속 단자(22)가 형성된다. 이 접속 단자(22)는 접지, Vcc, Tx, Rx 등 4개의 단자로 구성되며, 상기 단자로는 데이터 전송을 위해서 대략 3.3V의 전압이 흐르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접속 단자(22)는 사각형상의 플러그 몰드(23)에 의해 감싸지며, 상기 플러그 몰드(23)의 상/하면으로는 USB 포트(11)에 형성된 소켓 몰드와의 결합력을 향상하기 위한 관통공(24)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 케이스(21)의 일측으로는 휴대의 편리성 및 분실방지를 위해 열쇠고리(25)가 형성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USB 인증키는 네트워크 장치관리, 전자지갑, 개인 신용 정보의 보관, 전자 서명, 개인키 및 인증서 보관, 원격 서버 접속, 웹 접근 제어, NT 워크스테이션 로그온, 전자 메일 보호, 파일 암호화, PC 접근 제어, 전자 상거래, 인터넷 뱅킹 및 사이버 트레이딩, 소프트웨어 불법 복제 및 사용방지, 가설 사설망, 진료 카드, 출입 통제 등에서 응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PC나 노트북을 이용하여 전자 금융이나 전자 상거래를 하는 경우에는, PC 본체나 노트북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USB 소켓에 상기한 USB 인증키를 연결하여 서비스 공급자가 요구하는 사용자 ID, 암호, 쿠키, 인증서 등을 제공하고, 필요한 서비스가 끝난 후에는 상기 USB 인증키를 뽑아 개인이 직접 보관 및 휴대하므로서 헤커로부터 개인의 정보를 보호받을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USB 인증키는 사용자에게 확실한 보안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반면에, 상기한 USB 인증키를 보관 및 휴대하는 과정에서 개인이 주머니 속에 넣어 다니거나 서랍 등에 보관하게 되므로서 플러그 몰드 속으로 각종 먼지나 이물질이 들어가게 되면 미세전류가 흐르며 먼지 등에 예민한 반응을 하게 되는 USB 단자가 접속불량을 일으킬 뿐만 아니라, 플러그 몰드는 얇은 금속재로 판금에 의해 형성되므로서 충격에 약하여 쉽게 변형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 금융, 전자 상거래 등을 이용하는 경우에 개인 및 단체의 보안을 의해서 휴대하며 사용되는 USB 인증키의 접속단자를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로부터 보호하며, 휴대 및 보관시에 각종 충격으로부터 플러그 몰드를 보호하기 위한 USB 인증키의 접속단자를 보호하기 위한 캡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전자 금융, 전자 상거래 등과 같은 통신망을 이용하여 서비스 공급자로부터 부여받은 인증서 등을 저장하는 메모리가 본체 케이스 내부에 수용되며, 일측으로는 PC나 노트북 컴퓨터 등에 마련되는 USB 소켓에 결합되기 위한 플러그 몰드가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 몰드 내측으로 접속을 위한 다수의 단자가 형성되는 USB 인증키에 있어서,
상기한 사각형상의 플러그 몰드가 수용될 수 있도록 캡의 일측면이 개방된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캡의 내측 상하좌우면에 상기 플러그 몰드의 상하좌우면과 접촉되는 다수의 돌기가 길이방향으로 길게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한 캡의 일측과 본체 케이스의 일측은 힌지에 의해 연결되는 것과, 상기한 캡의 일측과 본체 케이스의 일측은 유연한 연결띠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해 형성된 캡과 인증키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해 형성된 캡과 인증키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해 형성된 캡과 인증키의 조립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캡과 인증키가 힌지결합된 상태의 도면.
도 5 내지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연결띠에 의해 캡과 인증키가 연결된 상태의 도면.
도 8내지 도 10은 종래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USB 인증키 21 : 본체 케이스
22 : 접속 단자 23 : 플러그 몰드
24 : 관통공 26 : 레일
30 : 캡 31 : 돌기
32 : 공간 33 : 힌지
35 : 연결띠 36 : 로브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해 형성된 캡과 인증키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해 형성된 캡과 인증키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의해 형성된 캡과 인증키의 조립상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캡과 인증키가 힌지결합된 상태의 도면이며, 도 5 내지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연결띠에 의해 캡과 인증키가 연결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면 중에 표시되는 도면부호 30은 본 고안에 의해서 형성된 캡을 지시하는 것이고, 도면부호 20은 USB 인증키를 지시하는 것이다.
상기한 USB 인증키(20)는 종래기술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체 케이스(21)의 일측으로 접속 단자(22)를 보호하기 위한 플러그 몰드(23)가 형성되며, 플러그 몰드(23)의 상/하면에는 PC나 노트북 컴퓨터에 형성된 USB 포트와의 결속력을 향상하기 위한 관통공(24)이 형성된다.
상기한 캡(30)은 사각형상의 USB 인증키(20)의 플러그 몰드(23)가 수용될 수있도록 그 일측면이 개방되고, 상기 캡(30)의 내측 상하좌우면에는 상기 플러그 몰드(23)의 상하좌우면과 접촉되기 위한 돌기(31)가 길이방향으로 다수 형성된다. 특히, 상기 돌기(31)는 상하면에는 2개씩, 좌우면에는 1개씩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돌기(31) 간의 거리는 공간(32)으로 상기 플러그 몰드(23)가 미끄럼되며 유입되는데 지장이 없을 정도면 된다.
그리고 상기한 캡(30)의 일측과 USB 인증키(20)의 일측은 도 4와 같이 힌지(33)로써 연결하여 상기 캡(30)을 개방할 경우에 캡(30)의 분실을 방지하기 위해 캡(30)이 USB 인증키(2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캡(30)의 원활한 개폐작동을 위해서는 캡(30)의 내측 공간(32)이 상기한 플러그 몰드(23)보다 조금 크게 형성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한 캡(30)의 일측과 USB 인증키(20)의 일측은 도 5와 같이 유연한 연결띠(35)로써 연결될 수 있는데, 이 연결띠(35)는 캡(30)과 본체 케이스(21)의 성형시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연결띠(35)가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도 6과 같이 본체 케이스(21)에 레일(26)을 형성하고, 이 레일(26)에 연결띠(35)의 일단을 수용시켜 캡(30)을 닫았을 경우 도 7과 같이 연결띠(35)가 상기 레일(26)에 숨겨지도록 형성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캡(30)의 사용상태 및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USB 인증키(20)는 개인이나 기업의 ID, 암호, 인증서 등과 같이 매우 중요한 자료를 저장하고 있는 것으로서, PC나 노트북의 USB 포트에 장착하여 사용한 다음에는 반드시 뽑아 안전한 곳에 보관하거나 개인이 휴대해야만 한다.
그런데 USB 인증키(20)의 접속 단자(22) 부분은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에 매우 취약하므로 상기한 캡(20)으로써 상기 USB 인증키(20)의 플러그 몰드(23)를 씌워 보관 및 휴대하게 된다.
상기한 캡(30)을 플러그 몰드(23)에 쒸우게 되면 캡(30)의 내측에 형성된 돌기(32)에 의해서 플러그 몰드(23)가 지지되므로서 외부로부터의 충격이 접속 단자(22)들에 전달되지 않게 된다.
또한 도 4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힌지(33) 혹은 연결띠(35)로써 캡(30)을 USB 인증키(20)의 일측면에 연결시키므로서, USB 인증키(20)의 사용시에 캡(30)을 분실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띠가 형성된 캡(30)의 개폐방법은 다음과 같다. 개방시에는 캡(30)을 개방되는 쪽으로 적당한 힘을 가해 잡아 당기면 연결띠(35)가 전진되어 밖으로 노출되면서 캡(30)을 개방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캡(30)을 닫는 경우에는 우선 캡(30)으로 플러그 몰드(23)를 쒸운 다음에 노브(36)를 당기게 되면 상기 느슨하게 외부에 노출되어 있던 연결띠(35)가 도 7과 같이 레일(26)속으로 유입된다.
이와 같이 USB 인증키(20)의 접속 단자(22) 부분이 캡(30)에 의해서 보호되므로서 휴대 및 보관시에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며,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상기한 플러그 몰드(23)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캡(30)을 닫은 상태로 USB 인증키(20)를 주머니 속에 휴대를 하더라도 주머니 속의 먼지 등이 플러그 몰드(23)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USB 인증키를 열쇠고리 혹은 목걸이 등에 메달고 다니더라도 흔들림에 의한 충격으로부터 플러그 몰드(23)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USB 인증키를 보관 및 휴대하는 과정에서 개인이 주머니 속에 넣어 다니거나 서랍 등에 보관하게 되는 경우, 플러그 몰드 속으로 각종 먼지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고, 열쇠고리 혹은 목걸이 등에 메달고 다니더라도 흔들림이나 충격으로부터 단자들이 보호되므로서 단자들을 보호하기 위한 플러그 몰드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커다란 장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4)

  1. 전자 금융, 전자 상거래 등과 같은 통신망을 이용하여 서비스 공급자로부터 부여받은 인증서 등을 저장하는 메모리가 본체 케이스 내부에 수용되며, 일측으로는 PC나 노트북 컴퓨터 등에 마련되는 USB 소켓에 결합되기 위한 플러그 몰드가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 몰드 내측으로 접속을 위한 다수의 단자가 형성되는 USB 인증키에 있어서,
    상기한 사각형상의 플러그 몰드(23)가 수용될 수 있도록 캡(30)의 일측면이 개방된 공간(32)이 형성되고, 상기 캡(30)의 내측 상하좌우면에 상기 플러그 몰드(23)의 상하좌우면과 접촉되는 다수의 돌기(31)가 길이방향으로 길게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인증키의 접속단자를 보호하기 위한 캡.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캡(30)의 일측과 본체 케이스(21)의 일측은 힌지(33)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인증키의 접속단자를 보호하기 위한 캡.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캡(30)의 일측과 본체 케이스(21)의 일측은 유연한 연결띠(35)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인증키의 접속단자를 보호하기 위한 캡.
  4. 제 3 항에 있어서,
    본체 케이스(21)의 일측에 연결되는 연결띠(35)의 일단은 가동될 수 있도록 레일(26)에 수용되며, 캡(30)을 닫을 경우 상기 연결띠(35)가 상기 레일(26)에 숨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인증키의 접속단자를 보호하기 위한 캡.
KR2020010006435U 2001-03-10 2001-03-10 유에스비 인증키의 접속단자를 보호하기 위한 캡 KR2002351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6435U KR200235145Y1 (ko) 2001-03-10 2001-03-10 유에스비 인증키의 접속단자를 보호하기 위한 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6435U KR200235145Y1 (ko) 2001-03-10 2001-03-10 유에스비 인증키의 접속단자를 보호하기 위한 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5145Y1 true KR200235145Y1 (ko) 2001-10-06

Family

ID=73063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6435U KR200235145Y1 (ko) 2001-03-10 2001-03-10 유에스비 인증키의 접속단자를 보호하기 위한 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514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1154B1 (ko) * 2002-12-02 2005-03-10 삼성전기주식회사 커넥터 삽입형 캡을 갖는 유에스비 부속 장치
KR100763995B1 (ko) 2006-10-20 2007-10-10 황보의 메모리 저장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1154B1 (ko) * 2002-12-02 2005-03-10 삼성전기주식회사 커넥터 삽입형 캡을 갖는 유에스비 부속 장치
KR100763995B1 (ko) 2006-10-20 2007-10-10 황보의 메모리 저장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01329B1 (en) A user-computer interaction method for use by flexibly connectable computer systems
US9436940B2 (en) Embedded secure element for authentication, storage and transaction within a mobile terminal
US6748541B1 (en) User-computer interaction method for use by a population of flexibly connectable computer systems
EP1638382B1 (en) System and method of a computer card slot and bezel
US20130297432A1 (en) Secure pin entry device for mobile phones
KR20010108292A (ko) 휴대용 전자식 과금 및 인증 장치와 그 방법
SK22098A3 (en) Conditional access method and device
WO2006120365A1 (en) Secure transactions using a personal computer
GB2354102A (en) System for communicating over a public network
KR100914905B1 (ko) 일회용 패스워드 생성기능을 가진 스마트카드 및 이를이용한 전자금융거래시스템
US20110095084A1 (en) Personal financial terminal device
JP3899365B1 (ja) 情報記憶装置
CN111245620B (zh) 一种在终端中的移动安全应用架构及其构建方法
KR20070062510A (ko) 스마트 카드를 갖는 무선 usb 네트워크 어댑터
KR200235145Y1 (ko) 유에스비 인증키의 접속단자를 보호하기 위한 캡
KR20050088081A (ko) 고 저장 용량을 구비한 보안 트랜잭션 카드
KR200234627Y1 (ko) 유에스비 인증키의 접속단자를 보호하기 위한 캡
WO2000072508A1 (en) System and method for high assurance separation of internal and external networks
Singh Multi-factor authentication and their approaches
US9053376B2 (en) Electronic payment device
KR100449776B1 (ko) 휴대용 기록매체를 이용한 피케이아이 인증방법
US20070116279A1 (en) Secure terminal
Singh et al. Ibuttons: Building the Infrastructure for More Secure E-commerce.
Hsu IDENTIFYING THREATS TO TRUST RELATIONSHIPS IN IC CARD-BASED SYSTEMS
KR200247870Y1 (ko) 인터넷 침입차단용 서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60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