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0227B1 - 휴대 기기용 스트랩 - Google Patents

휴대 기기용 스트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0227B1
KR101240227B1 KR1020110121898A KR20110121898A KR101240227B1 KR 101240227 B1 KR101240227 B1 KR 101240227B1 KR 1020110121898 A KR1020110121898 A KR 1020110121898A KR 20110121898 A KR20110121898 A KR 20110121898A KR 101240227 B1 KR101240227 B1 KR 1012402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p
slot
input
mobile device
authentication pay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1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3828A (ko
Inventor
이호경
Original Assignee
이호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호경 filed Critical 이호경
Priority to KR1020110121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0227B1/ko
Publication of KR20120003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38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0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02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3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the transmission of signal or power between the different housings, e.g. details of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passage of cab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휴대 기기용 스트랩에 있어서, 휴대 기기에 장착하여 간편하게 각종 확장 기능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휴대 기기용 스트랩이 제공된다.
휴대 기기용 스트랩은, 휴대 기기의 입출력포트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입출력단자가 형성된 입출력단자부; 상기 입출력단자부와 연결되며,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하는 데이터 저장 블록; 및 상기 데이터 저장 블록의 일측면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스트랩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 기기용 스트랩 {STRAP FOR MOBILE DEVICE}
본 발명은 휴대 기기용 스트랩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 기기에 장착하여 간편하게 각종 확장 기능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휴대 기기용 스트랩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기술의 발달과 함께 휴대전화는 눈부신 발전을 거듭하여 이제는 현대인에게 있어서 없어서는 안 될 필수품이 되었다. 불과 몇 년 전만 해도 휴대전화는 무선 통신을 기술을 이용하여 이동 중에서도 통화할 수 있는 음성 전화의 기능만 수행했으나, 최근에는 각종 PDA 기능, MP3 플레이어 기능, 카메라 기능, 영상플레이어 기능이 합쳐진 종합 휴대용 엔터테인먼트 기기로 발전했다. 또한, 스마트폰의 빠른 확산과 함께 이제는 모든 IT 관련 기능을 수행하는 개인용 모바일 PC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한편, 휴대전화를 비롯한 각종 개인용 휴대 기기들은 간편한 휴대를 위하여 손목이나 목에 걸기 위한 스트랩(strap)이 부착되는 고리를 마련하고 있다. 휴대전화와 같은 각종 휴대 기기들은 이동 중 떨어뜨리기 쉬울 뿐만 아니라, 손으로 직접 쥐고 다니기가 불편하기 때문에 스트랩을 필요로 하는 사용자들이 많다. 휴대 기기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은 개인의 취향에 따라 다양한 스트랩을 구입하여 부착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충전용 젠더, USB 메모리, DMB 안테나, 스타일러스펜, 열쇠 등과 같은 기능 확장 액세서리들을 고리에 추가로 부착하여 휴대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렇게 충전용 젠더, USB 메모리, DMB 안테나, 스타일러스펜, 열쇠 등을 한꺼번에 휴대 기기에 매달고 다니게 되면 부피도 커지고, 서로 부딪치면서 소음도 발생하게 되며, 스트랩과 엉켜서 휴대하기도 매우 불편하게 된다. 그래도 충전용 젠더, USB 메모리, DMB 안테나, 스타일러스펜, 열쇠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 확장 액세서리들이 필요한 사용자들은 이러한 불편함에도 불구하고 거추장스럽게 여러 개를 매달고 다닐 수 밖에 없다.
한편, 스마트폰의 발달로 인하여 휴대 기기와 컴퓨터 간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케이블이 자주 필요하게 되는데, 케이블을 휴대 기기와 함께 소지하고 있지 않다면 무선 전송 기능이 휴대 기기와 컴퓨터 양쪽 모두에 구비되어 있지 않는 한 어느 때든지 필요한 장소에서 컴퓨터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없게 된다.
특히, 외관의 유려함을 위하여 스트랩을 장착시키기 위한 고리를 외부에 마련하고 있지 않는 휴대 기기의 경우에는 스트랩이나 기타 기능 확장 액세서리를 장착하는 것이 불가능하며, 별도로 기능 확장 액세서리를 소지하고 다녀야 하므로 매우 불편하다. 또한, 스마트폰은 활용성이 높은 만큼 배터리의 소모율이 높으므로 충전을 위하여 여분의 배터리나 별도의 충전용 케이블을 항상 소지하고 다녀야 하는 불편함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휴대 기기의 휴대를 간편하게 하면서도 다양한 확장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휴대 기기용 스트랩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기재를 토대로 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용 스트랩은, 휴대 기기의 입출력포트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입출력단자가 형성된 입출력단자부; 상기 입출력단자부와 연결되며,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하는 데이터 저장 블록; 및 상기 데이터 저장 블록의 일측면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스트랩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입출력단자부와 상기 데이터 저장 블록은 서로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 상기 입출력단자부와 상기 데이터 저장 블록을 연결하는 케이블을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데이터 저장 블록은 외부 장치와 USB 방식으로 연결할 수 있는 USB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USB 외에도 외부장치와 연결할 수 있는 다양한 연결방식, 예를 들어, SATA, 마이크로 USB, HDMI, DVI 등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스트랩부는, 상기 데이터 저장 블록 또는 상기 휴대 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적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케이블을 내부에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스트랩부의 적어도 한쪽 단은 상기 데이터 저장 블록과 서로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트랩부의 적어도 한쪽 단은 USB 결합 방식으로 상기 데이터 저장 블록과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USB 외에도 다양한 연결방식, 예를 들어, SATA, 마이크로 USB, HDMI, DVI 등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상기 휴대 기기는 상기 입출력단자부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 저장 블록에 연결된 상기 스트랩부의 양 끝단 중 제1단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스트랩부의 양 끝단 중 제2단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저장 블록은, 상기 스트랩부의 상기 제1단 및 상기 제2단과 각각 결합되는 제1연결슬롯 및 제2연결슬롯이 형성된 슬롯내부하우징; 및 상기 슬롯내부하우징이 슬라이딩되어 삽입되거나 외부로 인출되도록 상기 슬롯내부하우징을 감싸는 슬롯외부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슬롯내부하우징이 상기 슬롯외부하우징 밖으로 인출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1연결슬롯은 상기 제1단의 일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슬롯내부하우징이 상기 슬롯외부하우징 안으로 삽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1단의 타면이 상기 슬롯외부하우징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제1단의 일면에는 상기 슬롯외부하우징의 내측면과 탄성적으로 밀착되는 제1외측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 상기 제1단의 양측면에는 상기 제1연결슬롯의 양측면과 탄성적으로 밀착되는 제1사이드돌기가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단의 외측단부를 감싸는 제1연결몸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몸체에서 상기 슬롯내부하우징의 중심방향으로 돌출된 제1몸체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슬롯내부하우징의 상기 제1연결슬롯에는 상기 제1몸체돌기와 대응하여 제1홈이 형성되어, 상기 슬롯내부하우징이 상기 슬롯외부하우징 안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단이 상기 제1연결슬롯에서 외부로 인출되지 못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데이터 저장 블록은, 상기 스트랩부의 양 끝단 중 제1단 및 상기 제2단과 각각 결합되는 제1연결슬롯 및 제2연결슬롯, 그리고 상기 제1연결슬롯을 수용하는 제1수용홈이 형성된 슬롯내부하우징; 및 상기 슬롯내부하우징이 슬라이딩되어 삽입되거나 외부로 인출되도록 상기 슬롯내부하우징을 감싸는 슬롯외부하우징; 을 포함하고, 상기 슬롯내부하우징이 상기 슬롯외부하우징 밖으로 인출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1수용홈 가로지르는 선을 축으로하여 상기 제1연결슬롯의 일단이 상기 제1수용홈의 외부를 향하여 회전하여 인출되도록 상기 제1연결슬롯과 상기 제1수용홈이 결합되며, 상기 슬롯내부하우징이 상기 슬롯외부하우징 안으로 삽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1단이 상기 제1수용홈의 표면에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슬롯내부하우징의 상기 제1수용홈의 표면에는 제1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단에는 상기 제1수용홈에 대응하도록 돌출된 제1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슬롯내부하우징이 상기 슬롯외부하우징 안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단이 상기 제1연결슬롯에서 외부로 인출되지 못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입출력단자부는, 상기 입출력단자가 고정된 단자내부하우징; 상기 단자내부하우징을 감싸는 단자외부하우징; 및 상기 단자내부하우징이 슬라이딩되어 상기 단자외부하우징 안으로 삽입되면 상기 입출력단자의 일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입출력단자부를 상기 휴대 기기의 상기 입출력포트에 고정하는 후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자내부하우징의 일면에는 탄성적으로 그 내부로 눌려지는 누름부가 형성되고, 상기 단자내부하우징이 상기 단자외부하우징 내부로 삽입되면, 상기 누름부가 상기 단자외부하우징에 의해서 상기 단자내부하우징의 내부로 눌리면서 상기 후크가 상기 입출력단자의 일면에서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메모리는 플래시 메모리 카드이며, 상기 데이터 저장 블록은 상기 플래시 메모리 카드를 수용하기 위한 메모리 슬롯(slot)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데이터 저장 블록은, 상기 플래시 메모리 카드를 수용하며, 상기 메모리 슬롯에 장착되어 상기 휴대 기기와 상기 플래시 메모리 카드 사이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메모리 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용 스트랩은, 휴대 기기의 입출력포트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입출력단자가 형성된 입출력단자부; 외부와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입출력단자부와 연결되어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상기 휴대 기기와 주고받는 무선통신기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블록; 및 상기 무선 통신 블록의 일 측면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스트랩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입출력단자부와 상기 무선 통신 블록은 서로 분리되어 형성되어, 상기 입출력단자부와 상기 무선 통신 블록을 연결하는 케이블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무선 통신 블록은 외부 장치와 USB 방식으로 연결할 수 있는 USB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USB 외에도 외부장치와 연결할 수 있는 다양한 연결방식, 예를 들어, SATA, 마이크로 USB, HDMI, DVI 등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상기 무선통신기는 RF 송수신기일 수도 있고, 블루투스 통신모듈일 수도 있으며, DMB 수신기이거나, 또는 Wi-fi, Wi-Max, Wibro 등과 같은 무선인터넷 송수신기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트랩부는, 상기 무선 통신 블록 또는 상기 휴대 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케이블을 내부에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스트랩부의 적어도 한쪽 단이 상기 무선 통신 블록과 서로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트랩부의 적어도 한쪽 단은 USB 결합 방식으로 상기 무선 통신 블록과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USB 외에도 다양한 연결방식, 예를 들어, SATA, 마이크로 USB, HDMI, DVI 등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휴대 기기는 상기 입출력단자부를 통하여 상기 무선 통신 블록에 연결된 상기 스트랩부의 양 끝단 중 제1단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무선통신기는 상기 스트랩부의 양 끝단 중 제2단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무선 통신 블록은, 상기 스트랩부의 상기 제1단 및 상기 제2단과 각각 결합되는 제1연결슬롯 및 제2연결슬롯이 형성된 슬롯내부하우징; 및 상기 슬롯내부하우징이 슬라이딩되어 삽입되거나 외부로 인출되도록 상기 슬롯내부하우징을 감싸는 슬롯외부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슬롯내부하우징이 상기 슬롯외부하우징 밖으로 인출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1연결슬롯은 상기 제1단의 일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슬롯내부하우징이 상기 슬롯외부하우징 안으로 삽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1단의 타면이 상기 슬롯외부하우징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스트랩부의 양 끝단 중 제1단 및 상기 제2단과 각각 결합되는 제1연결슬롯 및 제2연결슬롯, 그리고 상기 제1연결슬롯을 수용하는 제1수용홈이 형성된 슬롯내부하우징; 및 상기 슬롯내부하우징이 슬라이딩되어 삽입되거나 외부로 인출되도록 상기 슬롯내부하우징을 감싸는 슬롯외부하우징; 을 포함하고, 상기 슬롯내부하우징이 상기 슬롯외부하우징 밖으로 인출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1수용홈 가로지르는 선을 축으로하여 상기 제1연결슬롯의 일단이 상기 제1수용홈의 외부를 향하여 회전하여 인출되도록 상기 제1연결슬롯과 상기 제1수용홈이 결합되며, 상기 슬롯내부하우징이 상기 슬롯외부하우징 안으로 삽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1단이 상기 제1수용홈의 표면에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슬롯내부하우징의 상기 제1수용홈의 표면에는 제1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단에는 상기 제1수용홈에 대응하도록 돌출된 제1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슬롯내부하우징이 상기 슬롯외부하우징 안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단이 상기 제1연결슬롯에서 외부로 인출되지 못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용 스트랩은, 휴대 기기의 입출력포트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입출력단자가 형성된 입출력단자부; 상기 입출력단자부와 연결되며, 인증 결제 기능을 수행하는 인증 결제 칩을 포함하는 인증 결제 블록; 및 상기 인증 결제 블록의 일 측면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스트랩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입출력단자부와 상기 인증 결제 블록은 서로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입출력단자부와 상기 인증 결제 블록을 연결하는 케이블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증 결제 블록은 외부 장치와 USB 방식으로 연결할 수 있는 USB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USB 외에도 다양한 연결방식, 예를 들어, SATA, 마이크로 USB, HDMI, DVI 등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인증결제칩은 비접촉식 금융결제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금융정보를 저장하고있는 IC칩이거나, 상기 휴대 기기의 가입자 정보를 저장하는 USIM칩일 수 있다.
또는, 인증결제칩은 판매자 또는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인증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을 수도 있다.
이 경우, 입출력단자부가 상기 휴대 기기에 연결되면, 상기 인증 결제 블록은 상기 인증결제칩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사용자 인증데이터를 상기 휴대 기기에 자동으로, 또는 수동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트랩부는, 상기 인증 결제 블록 또는 상기 휴대 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케이블을 내부에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스트랩부의 적어도 한쪽 단이 상기 인증 결제 블록과 서로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트랩부의 적어도 한쪽 단은 USB 결합 방식으로 상기 인증 결제 블록과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USB 외에도 다양한 연결방식, 예를 들어, SATA, 마이크로 USB, HDMI, DVI 등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때, 상기 휴대 기기는 상기 입출력단자부를 통하여 상기 인증 결제 블록에 연결된 상기 스트랩부의 양 끝단 중 제1단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인증결제칩은 상기 스트랩부의 양 끝단 중 제2단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증 결제 블록은, 상기 스트랩부의 상기 제1단 및 상기 제2단과 각각 결합되는 제1연결슬롯 및 제2연결슬롯이 형성된 슬롯내부하우징; 및 상기 슬롯내부하우징이 슬라이딩되어 삽입되거나 외부로 인출되도록 상기 슬롯내부하우징을 감싸는 슬롯외부하우징; 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슬롯내부하우징이 상기 슬롯외부하우징 밖으로 인출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1연결슬롯은 상기 제1단의 일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슬롯내부하우징이 상기 슬롯외부하우징 안으로 삽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1단의 타면이 상기 슬롯외부하우징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인증 결제 블록은, 상기 스트랩부의 양 끝단 중 제1단 및 제2단과 각각 결합되는 제1연결슬롯 및 제2연결슬롯, 그리고 상기 제1연결슬롯을 수용하는 제1수용홈이 형성된 슬롯내부하우징; 및 상기 슬롯내부하우징이 슬라이딩되어 삽입되거나 외부로 인출되도록 상기 슬롯내부하우징을 감싸는 슬롯외부하우징; 을 포함하고, 상기 슬롯내부하우징이 상기 슬롯외부하우징 밖으로 인출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1수용홈 가로지르는 선을 축으로하여 상기 제1연결슬롯의 일단이 상기 제1수용홈의 외부를 향하여 회전하여 인출되도록 상기 제1연결슬롯과 상기 제1수용홈이 결합되며, 상기 슬롯내부하우징이 상기 슬롯외부하우징 안으로 삽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1단이 상기 제1수용홈의 표면에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슬롯내부하우징의 상기 제1수용홈의 표면에는 제1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단에는 상기 제1수용홈에 대응하도록 돌출된 제1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슬롯내부하우징이 상기 슬롯외부하우징 안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단이 상기 제1연결슬롯에서 외부로 인출되지 못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용 스트랩은, 휴대 기기의 입출력포트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입출력단자가 형성된 입출력단자부; 상기 입출력단자부와 연결되며, 인증 결제 기능을 수행하는 인증 결제 매체 리더기를 포함하는 인증 결제 블록; 및 상기 인증 결제 블록의 일 측면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스트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증 결제 블록은 인증 결제 칩을 삽입할 수 있는 삽입구를 포함하며, 상기 인증 결제 매체 리더기는 상기 인증 결제 칩을 읽을 수 있도록 상기 삽입구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증 결제 매체 리더기는 IC 리더기이며, 상기 인증 결제 블록은 IC 카드를 삽입하여 상기 인증 결제 매체 리더기가 IC카드를 읽을 수 있도록 하는 측면 개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인증 결제 매체 리더기는 마그네틱 리더기이며, 상기 인증 결제 블록은 마그네틱 카드를 삽입하여 상기 인증 결제 매체 리더기가 마그네틱 카드를 읽을 수 있도록 하는 측면 개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인증 결제 매체 리더기는 비접촉식 IC 센서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인증 결제 매체 리더기는 비접촉식 RFID 센서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인증 결제 블록은 상기 인증 결제 매체 리더기가 형성되는 기능 모듈과, 상기 기능 모듈을 삽입할 수 있는 삽입구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인증 결제 블록은 IC 카드를 삽입하여 상기 인증 결제 매체 리더기가 IC카드를 읽을 수 있도록 하는 제1 측면 개방부를 포함하며, 상기 기능 모듈은 상기 측면 개방부의 개방 라인을 따라 개방된 제2 측면 개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인증 결제 블록은 마그네틱 카드를 삽입하여 상기 인증 결제 매체 리더기가 마그네틱 카드를 읽을 수 있도록 하는 제1 측면 개방부를 포함하며, 상기 기능 모듈은 상기 측면 개방부의 개방 라인을 따라 개방된 제2 측면 개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입출력단자부와 상기 인증 결제 블록은 서로 분리되어 형성되며, 상기 입출력단자부와 상기 인증 결제 블록을 연결하는 케이블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휴대 기기는 상기 입출력단자부를 통하여 상기 인증 결제 블록에 연결된 상기 스트랩부의 양 끝단 중 제1단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인증 결제 매체 리더기는 상기 스트랩부의 양 끝단 중 제2단과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증 결제 블록은, 상기 스트랩부의 양 끝단 중 제1단 및 제2단과 각각 결합되는 제1연결슬롯 및 제2연결슬롯이 형성된 슬롯내부하우징; 및 상기 슬롯내부하우징이 슬라이딩되어 삽입되거나 외부로 인출되도록 상기 슬롯내부하우징을 감싸는 슬롯외부하우징; 을 포함하고, 상기 슬롯내부하우징이 상기 슬롯외부하우징 밖으로 인출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1연결슬롯은 상기 제1단의 일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슬롯내부하우징이 상기 슬롯외부하우징 안으로 삽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1단의 타면이 상기 슬롯외부하우징의 내측면에 밀착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인증 결제 블록은, 상기 스트랩부의 양 끝단 중 제1단 및 제2단과 각각 결합되는 제1연결슬롯 및 제2연결슬롯, 그리고 상기 제1연결슬롯을 수용하는 제1수용홈이 형성된 슬롯내부하우징; 및 상기 슬롯내부하우징이 슬라이딩되어 삽입되거나 외부로 인출되도록 상기 슬롯내부하우징을 감싸는 슬롯외부하우징; 을 포함하고, 상기 슬롯내부하우징이 상기 슬롯외부하우징 밖으로 인출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1수용홈 가로지르는 선을 축으로하여 상기 제1연결슬롯의 일단이 상기 제1수용홈의 외부를 향하여 회전하여 인출되도록 상기 제1연결슬롯과 상기 제1수용홈이 결합되며, 상기 슬롯내부하우징이 상기 슬롯외부하우징 안으로 삽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1단이 상기 제1수용홈의 표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슬롯내부하우징의 상기 제1수용홈의 표면에는 제1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단에는 상기 제1수용홈에 대응하도록 돌출된 제1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슬롯내부하우징이 상기 슬롯외부하우징 안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단이 상기 제1연결슬롯에서 외부로 인출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용 스트랩은, 휴대 기기의 입출력포트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입출력단자가 형성된 입출력단자부; 상기 입출력단자부와 연결되며, 생체 인식 기능을 수행하는 생체 인식 모듈을 포함하는 생체 인식 블록; 및 상기 생체 인식 블록의 일 측면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스트랩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생체 인식 모듈은 상기 생체 인식 블록의 일면에 형성되는 생체 정보 입력창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생체 인식 모듈은 지문 인식 모듈, 홍채 인식 모듈, 또는 정맥 인식 모듈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입출력단자부와 상기 생체 인식 블록은 서로 분리되어 형성되며, 상기 입출력단자부와 상기 생체 인식 블록을 연결하는 케이블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생체 인식 블록은 외부 장치와 USB 방식으로 연결할 수 있는 USB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외 다양한 입력 방식, 예를 어, SATA, 마이크로 USB, HDMI, DVI 등의 다양한 연결방식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생체 인식 블록 또는 상기 휴대 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적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케이블을 내부에 포함하며, 상기 스트랩부의 적어도 한쪽 단이 상기 생체 인식 블록과 서로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트랩부의 적어도 한쪽 단은 USB 결합 방식으로 상기 생체 인식 블록과 결합될 수 있으나, 반드시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외 다양한 입력 방식, 예를 어, SATA, 마이크로 USB, HDMI, DVI 등의 다양한 연결방식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휴대 기기는 상기 입출력단자부를 통하여 상기 생체 인식 블록에 연결된 상기 스트랩부의 양 끝단 중 제1단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생체 인식 모듈은 상기 스트랩부의 양 끝단 중 제2단과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생체 인식 블록은, 상기 스트랩부의 양 끝단 중 제1단 및 제2단과 각각 결합되는 제1연결슬롯 및 제2연결슬롯이 형성된 슬롯내부하우징; 및 상기 슬롯내부하우징이 슬라이딩되어 삽입되거나 외부로 인출되도록 상기 슬롯내부하우징을 감싸는 슬롯외부하우징; 을 포함하고, 상기 슬롯내부하우징이 상기 슬롯외부하우징 밖으로 인출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1연결슬롯은 상기 제1단의 일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슬롯내부하우징이 상기 슬롯외부하우징 안으로 삽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1단의 타면이 상기 슬롯외부하우징의 내측면에 밀착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생체 인식 블록은, 상기 스트랩부의 양 끝단 중 제1단 및 상기 제2단과 각각 결합되는 제1연결슬롯 및 제2연결슬롯, 그리고 상기 제1연결슬롯을 수용하는 제1수용홈이 형성된 슬롯내부하우징; 및 상기 슬롯내부하우징이 슬라이딩되어 삽입되거나 외부로 인출되도록 상기 슬롯내부하우징을 감싸는 슬롯외부하우징; 을 포함하고, 상기 슬롯내부하우징이 상기 슬롯외부하우징 밖으로 인출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1수용홈 가로지르는 선을 축으로하여 상기 제1연결슬롯의 일단이 상기 제1수용홈의 외부를 향하여 회전하여 인출되도록 상기 제1연결슬롯과 상기 제1수용홈이 결합되며, 상기 슬롯내부하우징이 상기 슬롯외부하우징 안으로 삽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1단이 상기 제1수용홈의 표면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슬롯내부하우징의 상기 제1수용홈의 표면에는 제1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단에는 상기 제1수용홈에 대응하도록 돌출된 제1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슬롯내부하우징이 상기 슬롯외부하우징 안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단이 상기 제1연결슬롯에서 외부로 인출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용 스트랩은, 휴대 기기의 입출력포트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입출력단자가 형성된 입출력단자부; 상기 입출력단자부와 연결되며, 오디오 기기를 연결할 수 있으며, 상기 입출력단자부를 통하여 상기 휴대 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오디오 기기 연결부를 포함하는 오디오 입출력 블록; 및 상기 오디오 입출력 블록의 일측면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스트랩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 외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를 위한 실시예는 이하에서 도면과 함께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용 스트랩(100)의 전체적인 개념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용 스트랩(100)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용 스트랩(100)에 있어서, 입출력단자부(110)와 기능 확장 블록(120)이 서로 분리되어 입출력단자부(110)만 휴대 기기(10)의 입출력포트(11)에 연결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 확장 블록(120)에서 구현될 수 있는 확장 기능을 예시한 예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트랩부(130)의 모습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용 스트랩에 있어서, 스트랩부(130)의 구체적인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용 스트랩(100)을 휴대 기기(10)와 연결시키는 입출력단자부(110)가 체결된 상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내고 있는 사시도와 평면도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용 스트랩(100)을 휴대 기기(10)와 연결시키는 입출력단자부(110)가 해제된 상태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와 평면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용 스트랩에 있어서, 데이터 저장 블록(120A)에 메모리 카드가 삽입되거나 분리되는 모습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b 내지 도 8d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용 스트랩에 있어서, 인증 결제 블록(120C)의 또 다른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e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용 스트랩에 있어서, 생체 인식 블록(120D)의 모습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용 스트랩에 있어서, 스트랩부(130)와 기능 확장 블록(120)이 서로 해제된 상태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용 스트랩에 있어서, 스트랩부(130)와 기능 확장 블록(120) 간의 결합 구조의 또 다른 예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용 스트랩에 있어서, 스트랩부(130)의 한 측단, 즉 제1단(132)의 모습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측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용 스트랩에 있어서, 스트랩부(130)의 제2단(133)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측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용 스트랩에 있어서, 스트랩부(130)가 기능 확장 블록(120)에 체결된 상태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용 스트랩에 있어서, 스트랩부(130)가 기능 확장 블록(120)에서 분리된 상태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용 스트랩에 있어서, 스트랩부(130)와 기능 확장 블록(120) 간의 연결 구조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용 스트랩(100)에 있어서, 휴대 기기용 스트랩(100)과 휴대 기기(10)를 연결시키는 입출력단자부(110)가 해제된 상태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와 평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용 스트랩에 있어서, 전기접속 구조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단지 본 발명에 대한 설명이 부족함이 없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알려주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공되는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에 기재된 내용에 의하여만 정의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실시형태의 모듈, 기능 블록들 또는 수단들은 전자 회로, 집적 회로, 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 공지된 다양한 소자들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각각 별개로 구현되거나 2 이상이 하나로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용 스트랩(100)의 전체적인 개념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휴대 기기(10)의 일측에는 입출력포트(11)가 형성되고, 입출력포트(11)로 휴대 기기용 스트랩(100)이 장착되는데, 상기 휴대 기기용 스트랩(100)은, 휴대 기기(10)의 입출력포트(11)와 결합되는 입출력단자부(110), 다양한 기능 확장 액세서리 역할을 수행하는 기능 확장 블록(120), 및 사용자가 휴대 기기(10)를 손목이나 목에 걸고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하는 스트랩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입출력단자부(110)는 입출력단자(111)와 입출력단자몸체(1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입출력단자(111)는 휴대 기기(10)의 입출력포트(11)로 압입되거나 별도의 걸림후크(도 7a의 113)에 의해서 휴대 기기(1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휴대 기기(10)와 전기적인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로가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입출력단자부(110)가 입출력포트(11)에 삽입(압입)되어 고정된 상태로 휴대가 가능하게 된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별도의 스트랩 고리를 이용하지 않고서도 휴대 기기(10)를 소지하기 위한 스트랩을 장착할 수 있으며, 또한, 디자인의 유려함을 위하여 액세서리를 장착하기 위한 고리가 외부에 형성되어 있지 않은 휴대 기기에서도 간편하게 스트랩을 장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용 스트랩(100)을 사용하게 되면 각종 휴대 기기에서 액세서리 고리를 외부 표면에 형성하지 않는 깔끔한 외관 디자인을 채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출력단자부(110)와 입출력포트(11) 간의 결합 구조는 이후에 더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용 스트랩(100)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에 나타나 있는 것처럼 입출력단자부(110)와 기능 확장 블록(120)은 서로 분리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입출력단자부(110)와 기능 확장 블록(120)은 도 2에 나타나 있는 것처럼 케이블(140)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상기 케이블(140)은 입출력단자부(110)와 기능 확장 블록(120) 간의 전기적 신호가 전달되는 통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도 2에는 입출력단자부(110)와 기능 확장 블록(120)이 서로 분리되어 형성되어 있는 모습만을 예시하고 있지만, 도 1과 같이 서로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또는 도 1의 상태에서 별도의 분리 구조에 의하여 입출력단자부(110)와 기능 확장 블록(120)이 서로 분리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용 스트랩(100)에 있어서, 입출력단자부(110)와 기능 확장 블록(120)이 서로 분리되어 입출력단자부(110)만 휴대 기기(10)의 입출력포트(11)에 연결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나타난 것과 같이 입출력단자부(110)에서 기능 확장 블록(120)을 분리하게 되면, 입출력단자부(110)는 휴대 기기(10)의 입출력포트(11)를 외부 먼지와 이물질로부터 보호하는 먼지 마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자신의 취향에 따라서, 기능 확장 블록(120) 이후 부분을 입출력단자부(110)로부터 분리하여 휴대 기기를 가지고 다닐 수 있다. 도 3과 같이 입출력단자부(110)와 나머지 부분이 분리된 상태는 스트랩이 휴대 기기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오히려 거추장스러워 하여 기능 확장 블록(120)을 필요할 때만 장착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취향을 가진 사람들에게 유용할 수 있다.
한편, 기능 확장 블록(120)은 휴대 기기(10)의 기능을 확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확장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 확장 블록(120)에서 구현될 수 있는 확장 기능을 예시한 예시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기능 확장 블록(120)에서 구현될 수 있는 확장 기능은 크게 데이터 저장 기능(F401), 무선 통신 기능(F402), 인증 결제 기능(F403), 생체인식기능(F404), 오디오 입출력 블록 기능(F405), 충전 젠더 기능(F406)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 아무런 확장 기능을 제공하지 않는 무기능(F407) 블록으로 기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저장 기능(F401)은 기능 확장 블록(120)이 플래시 메모리 카드를 포함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고, 무선 통신 기능(F402)는 기능 확장 블록(120)이 RF나, 블루투스 통신 모듈, 와이파이(Wi-fi), 와이맥스(Wi-Max), 와이브로(Wibro) 등과 같은 무선 인터넷 송수신 모듈, DMB 안테나 모듈 등을 포함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으며, 인증 결제 기능(F403)은 기능 확장 블록(120)이 금융 IC칩이나 USIM 카드, RFID, 접촉식 마그네틱 카드 리더기 등을 포함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생체 인식 기능(F404)는 각종 보안이나 인증을 위한 생체 정보를 인식하는 기능으로서 기능 확장 블록(120)이 지문 인식 모듈, 정맥 인식 모듈, 홍채 인식 모듈 등을 포함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오디오 입출력 기능(F405)은 3.5파이 이어폰 포트를 구비하지 않는 휴대 기기(10)에 3.5파이 이어폰 포트 또는 마이크 연결 포트, 또는 소형 마이크 등의 오디오 신호 입출력 단자 또는 기기를 구비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으며, 충전 젠더 기능(F406)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기 에너지를 휴대 기기(10)에 전달할 수 있는 배선구조를 구비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무기능(F407)의 경우는 기능 확장 블록(120)이 특별한 확장 기능을 수행하지 않을 경우에 해당한다. 그러나, 무기능(F407)이라고 할지라도 스트랩부(130)를 결합하고 고정시키거나 분리시키는 역할, 스트랩부(130) 내부의 전송케이블과 입출력단자부(11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배선함의 역할 등은 기능 확장 블록(120)가 구성되는 구조에 따라서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확장 기능들은 단독으로 또는 복수개가 함께 기능 확장 블록(120)에서 구현될 수 있다. 즉, 기능 확장 블록(120)은 데이터 저장 기능(F401) 하나만 제공할 수도 있고, 데이터 저장 기능(F401)과 생체 인식 기능(F404) 두가지를 제공할 수도 있으며, 또는 상기에서 열거된 모든 기능(F401~F406)을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예를 들어 기능 확장 블록(120)이 데이터 저장 기능(F401)을 중심으로 구현될 경우에는 데이터 저장 블록(120A)라고 지칭하며, 무선 통신 기능(F402)를 중심으로 구현될 경우에는 무선 통신 블록(120B)라고 지칭하며, 인증 결제 기능(F403)을 중심으로 구현될 경우에는 인증 결제 블록(120C)라고 지칭하며, 생체 인식 기능을 중심으로 구현될 경우에는 생체 인식 블록(120D)라고 지칭하며, 오디오 입출력 기능(F405)을 중심으로 구현될 경우에는 오디어 입출력 블록(120E)이라고 지칭하며, 충전 젠더 기능(F406)을 중심으로 구현될 경우에는 충전 젠더 블록(120F)라고 지칭한다.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라서, 기능 확장 블록(120)이 데이터 저장 블록(120A), 무선 통신 블록(120B), 인증 결제 블록(120C), 생체 인식 블록(120D), 오디오 입출력 블록(120E), 충전 젠더 기능(F406) 등으로 구현된 구체적인 모습은 이후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스트랩부(130)는 사용자가 휴대 기기(10)를 편리하게 운반할 수 있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부에 케이블을 포함함으로써 데이터 전송 케이블의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트랩부(130)의 모습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는 스트랩부(130)가 기능 확장 블록(120)에 연결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스트랩부(130)는 휴대 기기(10) 또는 기능 확장 블록(120)과 전기적인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전송케이블(131)을 내부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송케이블(131)은 스트랩부(130)의 내부에 내장되고 스트랩부(130)의 외피가 피복이 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고, 전송케이블(131)이 합성 섬유 등과 직접 꼬여져서 형성되는 피복 일체식의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전송케이블(131)은 FM 라디오, DMB 방송 등을 수신할 수 있는 안테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스트랩부(130)의 적어도 한쪽 단은 기능 확장 블록(120)과 서로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이 가능하다.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용 스트랩에 있어서 스트랩부(130)의 한쪽 단이 기능 확장 블록(120)과 분리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c는 스트랩부(130)의 양쪽 단 모두가 기능 확장 블록(120)과 분리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b 또는 도 5c를 참조하면, 스트랩부(130)의 적어도 한 쪽 단은 기능 확장 블록(120)과 분리 가능한데, 도 5b처럼 한 쪽단, 즉 제1단(132)만 분리되고 나머지 한쪽은 기능 확장 블록(120)에 연결되어 고정되어 있을 수 있으며, 도 5c처럼 양 쪽단, 즉 제1단(132)과 제2단(133) 모두가 기능 확장 블록(120)으로부터 분리 가능할 수 있다.
만약, 도 5b와 같이 제1단(132)이 기능 확장 블록(120)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입출력단자부(110)를 휴대 기기(10)에 연결시키고, 제1단(132)을 데스크탑 PC, 노트북PC, 충전 콘센트, 영상 기기 등 다른 외부기기와 연결시키면, 휴대 기기(10)는 전송케이블(131)을 통하여 외부 기기와 연결되어 각종 데이터를 서로 주고 받거나 충전 전력 등을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기능 확장 블록(120)과 외부기기가 연결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데이터 저장 기능(F401), 무선 통신 기능(F402), 인증 결제 기능(F403), 생체 인식 기능(F404), 오디오 입출력 기능(F405) 등을 외부기기와 연동되어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기능 확장 블록(120)과 스트랩부(130)의 서로 분리 가능한 연결을 위하여, 기능 확장 블록(120)은 USB, SATA, 마이크로 USB, HDMI, DVI 방식 등과 같은 연결슬롯(121a, 121b)를 포함할 수 있다. 스트랩부(130)의 제1단(132) 및 제2단(133)도 마찬가지로 상기 연결슬롯(121)에 연결될 수 있도록 USB, SATA, 마이크로 USB, HDMI, DVI 방식 등을 채택한 연결단자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슬롯(121a, 121b)가 USB 방식의 형태를 갖는다면, 기능 확장 블록(120)은 스트랩부(130)와 USB 결합으로 서로 탈착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USB 결합을 통해 외부기기와 직접 결합될 수도 있다.
도 5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용 스트랩에 있어서 스트랩부(130)의 또 다른 예시적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d에 나타낸 것처럼, 스트랩부(130)는 내부에 전송케이블(131)을 포함하지 않고, 단순히 손목이나 목에 걸기 위한 고리 기능만을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기능 확장 블록(120)과 연결되는 부분도 도 5a와 같이 양 단이 분리되어 연결되게 할 수도 있고, 도 5d처럼 하나의 연결부에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도 5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용 스트랩에 있어서, 스트랩부(130)에 이어폰 줄 등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홈(134)이 포함되어 있는 모습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용 스트랩의 기능 확장 블록(120)은 앞서 설명한 것처럼 오디오 입출력 기능(F406)을 제공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하여 기능 확장 블록(120)의 일면에 이어폰, 마이크 등과 같은 오디오 기기를 연결할 수 있는 오디오 기기 연결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오디오 기기 연결부(150)는 3.5파이 이어폰 입력포트 또는 마이크 입력 단자일 수 있다. 도 5e를 참고하면, 휴대 기기(10)에서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이어폰으로 듣고자 하는 사용자는 오디오 기기 연결부(150)에 이어폰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이어폰 줄이 길기 때문에 주렁주렁 늘어지거나 엉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트랩부(130)에 형성된 고정홈(134)에 감아서 늘어지거나 엉키는 일이 없이 깔끔하게 선을 정리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5e에서는 이어폰 줄을 정리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고정홈(134)를 예시적으로 나타냈으나, 이러한 고정홈(134) 이외에도 이어폰 줄을 고정시킬 수 있는 클립 등이 스트랩부(130)에 부착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용 스트랩에 있어서, 스트랩부(130)의 구체적인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고하여, 스트랩부(130)의 양쪽 단 모두가 기능 확장 블록(120)으로부터 서로 탈착 분리 가능한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도 6에서는 스트랩부(130)의 제1단 및 제2단이 USB 단자로 구성된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하는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것처럼, 스트랩부(130)의 어느 한쪽 단만 기능 확장 블록(120)으로부터 분리 가능한 구성, 양쪽 단 모두가 고정된 구성이 모두 가능하며, 연결슬롯(121a, 121b) 또한, USB 이외의 SATA, 마이크로 USB, HDMI, DVI 등 전기적 신호,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는 다양한 연결방식을 채택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스트랩부(130)의 양쪽 단에는 각각 제1단(132)과 제2단(133)이 구비되고, 전송케이블(131)이 제1단(132)과 제2단(133)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아울러, 상기 제1단(132)과 전송케이블(131)이 연결되는 부분과 제2단(133)과 전송케이블(131)이 연결되는 부분에 제1연결몸체(135a)와 제2연결몸체(136a)가 각각 형성된다. 제1연결몸체(135a)와 제2연결몸체(135a)는 단단한 재질(플라스틱 또는 수지)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송 케이블(131)을 덮는 피복(137)과 전송케이블(131)은 휘어질 수 있는 유연한 재질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용 스트랩은, 제1단(132)과 제2단(133)을 기능 확장 블록(120)의 연결슬롯(121a, 121b)에 삽입하여 장착한 상태에서 스트랩부(130)를 손목이나 목에 걸어서 휴대할 수 있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제1연결단자(135b)와 제2연결단자(136b)는 교체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제1연결단자(135b)와 제2연결단자(136b)를 SATA, 마이크로 USB, HDMI, DVI 단자 등으로 교체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제1연결단자(135b), 제2연결단자(136b)와 각각 결합되는 기능 확장 블록(120)의 제1연결슬롯(121a), 제2연결슬롯(121b)도 교체되는 단자의 방식에 따라 SATA, 마이크로 USB, HDMI, DVI 연결슬롯 등으로 교체 가능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이후에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7a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용 스트랩(100)을 휴대 기기(10)와 연결시키는 입출력단자부(110)가 체결된 상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내고 있는 사시도와 평면도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입출력단자몸체(112)를 중심으로 일측으로 케이블(140)이 연결되고, 타측으로 입출력단자(111)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입출력단자(111)의 양 측으로는 후크(113)가 돌출된 상태로 배치되고, 후크(113)는 입출력단자(111)의 내부로 탄성적으로 삽입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입출력단자(111)가 휴대 기기(10)의 입출력포트(11) 안으로 삽입된 상태에서는, 후크(113)가 입출력단자(111)의 양 측면에서 돌출되어 입출력포트(11)의 걸림홈(미도시)에 걸림으로써, 입출력단자(111)가 입출력포트(11)에 고정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용 스트랩(100)을 휴대 기기(10)와 연결시키는 입출력단자부(110)가 해제된 상태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와 평면도이다.
도 7b를 참조하면, 입출력단자몸체(112)는 단자내부하우징(112a)과 단자외부하우징(112b)을 포함하는데, 단자내부하우징(112a)은 상기 단자외부하우징(112b)의 내부로 슬라이딩되어 삽입되거나 인출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단자내부하우징(112a)이 외부로 인출되어 입출력단자몸체(112)의 길이가 길어지면, 후크(113)가 입출력단자(111)의 내부로 삽입되고, 단자내부하우징(112a)이 내부로 삽입되어 입출력단자몸체(112)의 길이가 짧아지면, 후크(113)가 입출력단자(111)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사용자가 단자내부하우징(112a)이 단자외부하우징(112b)으로부터 인출된 상태에서, 입출력포트(11) 안으로 입출력단자(111)를 삽입하고, 단자외부하우징(112b)을 기설정된 수치보다 큰 힘으로 더 누르면, 단자내부하우징(112a)이 단자외부하우징(112b)으로 삽입되면서, 후크(113)가 돌출되어 고정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가 단자외부하우징(112b)을 기설정된 수치 이상으로 잡아당기면, 단자외부하우징(112b)이 인출되면서, 후크(113)가 안으로 삽입되어, 입출력단자(111)가 입출력포트(11)에서 분리되는 구조가 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구조 이외에도 일반적으로 휴대 기기 충전이나 데이터 전송 케이블에서 사용되는 24핀, 20핀 등의 연결 단자의 후크를 이용한 연결/고정 방식 이나 그 외 다양한 연결/고정 방식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용 스트랩(100)에 있어서, 기능 확장 블록(120)의 기능에 따른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좀 더 자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기능 확장 블록(120)이 데이터 저장 기능(F401)이 중심으로 구현되었을 경우, 즉, 데이터 저장 블록(120A)의 구체적인 구성에 살펴보도록 한다.
데이터 저장 블록(120A)은 입출력단자부(110)와 연결되며,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한다. 메모리는 플래시 메모리 칩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데이터 저장 블록(120A) 내부에 소형화되어 장착될 수 있는 어떠한 형태의 메모리 칩이라도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래시 메모리 칩이 사용될 경우, SD 카드, 마이크로 SD카드, 메모리스틱, 마이크로 XD 카드 등 다양한 종류의 메모리 칩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메모리는 데이터 저장 블록(120A)에 내장되어 분리가 불가능하도록 처음부터 함입되어 형성될 수도 있고, 데이터 저장 블록(120A)으로부터 언제라도 자유롭게 분리가 가능한 메모리 카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8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용 스트랩에 있어서, 데이터 저장 블록(120A)에 메모리 카드가 삽입되거나 분리되는 모습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데이터 저장 블록(120A)의 일측은 케이블(140)을 통해서 입출력단자부(110)와 연결되고, 그 타측에는 상부에서 하부로 제1연결슬롯(121a), 메모리슬롯(210), 및 제2연결슬롯(121b)이 형성된다.
도 8a에서는 제1연결슬롯(121a), 메모리슬롯(210), 및 제2연결슬롯(121b)이 위에서 아래로 차례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다. 제1연결슬롯(121a), 메모리슬롯(210), 및 제2연결슬롯(121b)의 상대적인 위치는 데이터 저장 블록(120A)의 모든 표면에서 서로 변경될 수 있으며, 메모리 슬롯(210)이 제1연결슬롯(121a) 및 제2연결슬롯(121b)이 형성되어 있는 면과 다른 면, 예를 들면 측면에 형성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1연결슬롯(121a), 메모리슬롯(210), 및 제2연결슬롯(121b)이 같은 면에 형성된다 하더라도 메모리슬롯(210)이 최상단에 형성되거나 최하단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슬롯(210)이 형성되지 않고 메모리카드(200)가 데이터 저장 블록(120A) 내부에 내장될 수도 있음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 8a를 참고하여 계속하여 설명하면, 제1연결슬롯(121a)에는 제1연결단자(135b)가 장착되고, 제2연결슬롯(121b)에는 상기 제2연결단자(136b)가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메모리슬롯(210)에는 별도의 메모리카드(200)가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다. 메모리카드(200)은 그 자체가 메모리카드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고, 별도의 케이스(200a)와 케이스(200a) 안에 장착되는 별도의 메모리칩(200b)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메모리칩(200b)은 케이스(200a)의 외측에 형성된 접속단자를 통해서 휴대 기기(1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용 스트랩에 있어서, 기능 확장 블록(120)은 무선 통신 기능(F402)이 중점적으로 구현된 무선 통신 블록(120B)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용 스트랩에 있어서 무선 통신 블록(120B)의 구성을 좀 더 자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무선 통신 블록(120B)의 기본적인 구성은 앞에서 설명한 데이터 저장 블록(120A)와 대체적으로 유사하므로, 도 8a를 차용하여 무선 통신 블록(120B)의 구성을 설명한다.
무선 통신 블록(120B)은 입출력단자부(110)와 직접 또는 케이블(140)을 통하여 연결되며, 외부와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무선통신기(도시생략, 데이터 저장 블록(120A)의 메모리카드(200)에 대응)를 내부에 포함한다. 무선통신기는 입출력단자부(110)와 연결되어 무선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휴대 기기(10)와 주고받는다.
여기서, 무선통신기는 RF송수신기, 블루투스 통신을 위한 송수신 모듈, DMB 방송 수신기, Wi-fi, Wi-Max, Wibro 등과 같은 무선인터넷 송수신기 등이 될 수 있으며, 이들 기능이 복합된 복합 장치가 될 수도 있다. 무선통신기는 무선 통신 블록(120B) 내부에 내장 매립되어 분리가 불가능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고, 도 8의 메모리카드(200)와 같이 분리 가능한 구조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용 스트랩은, 무선 통신 블록(120B)을 통하여 RF 통신, 블루투스 통신, DMB 방송 수신, Wi-fi, Wi-Max, Wibro 등과 같은 무선인터넷 송수신 등의 다양한 무선통신 확장 기능을 향유할 수 있게 된다.
그 외, 무선 통신 블록(120B)의 구조에 대한 설명은 데이터 저장 블록(120A)에 대한 앞선 설명으로 갈음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용 스트랩에 있어서, 기능 확장 블록(120)은 인증 결제 기능(F403)이 중점적으로 구현된 인증 결제 블록(120C)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용 스트랩에 있어서 인증 결제 블록(120C)의 구성을 좀 더 자세하게 설명한다.
인증 결제 블록(120C)은 인증 결제 정보를 담고 있는 인증 결제 칩을 포함하여 그 자체로 인증 결제 정보를 제공하는 인증 결제 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고, IC칩, 마그네틱 신용카드, RFID 등과 같은 각종 인증 결제 매체에 담겨진 인증 결제 정보를 읽어 들이는 리더기(read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인증 결제 칩을 포함한 인증 결제 매체의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 도 8a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데이터 저장 블록(120A)과 동일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데, 인증 결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인증 결제 칩(250, 데이터 저장 블록(120A)의 메모리카드(200)에 대응)을 포함한다. 인증 결제 칩(250)은 입출력단자부(110)와 연결되어 각종 인증 데이터 또는 금용 결제 데이터를 휴대 기기(10)와 주고받는다. 또한, 인증 결제 칩(25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용 스트랩(100)이 외부기기와 연결되었을 경우, 각종 인증 또는 금융 결제 데이터를 외부기기와 주고 받을 수 있다.
여기서, 인증 결제 칩(250)은 접촉식 또는 비접촉식 금융 결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금융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IC칩, 또는 휴대 기기(10)의 가입자 정보를 저장하는 USIM칩, 비접촉식 RFID, 접촉식 마그네틱 라인 등이 될 수 있으며, 이들 기능이 복합된 복합 장치가 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용 스트랩을 휴대 기기(10)에 연결하여 각종 모바일 금융 거래를 휴대 기기(10)에서 사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일반 상거래에서 인증 결제 블록(120C)을 결제용 리더기에 접촉시키거나 가까이 대는 것만으로도 대금 지불을 할 수 있게 되며, 사용자 인증, 보안 인증, 출입 통제 등이 가능하게 된다.
인증 결제 칩(250)은 인증 결제 블록(120C) 내부에 내장 매립되어 분리가 불가능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고, 도 8a의 메모리카드(200)와 같이 분리 가능한 구조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인증 결제 칩(250)이 포함된 인증 결제 블록(120C)의 구조는 도 8a를 참조하여 설명된 데이터 저장 블록(120A)의 구조를 차용할 수 있다.
한편, 인증 결제 칩(25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용 스트랩의 판매자 또는 사용자가 미리 입력해 놓은 사용자 인증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을 수도 있다. 이 경우, 만약 입출력단자부(110)가 휴대 기기(10)에 연결되면, 인증 결제 블록(120C)은 인증 결제 칩(250)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사용자 인증데이터를 휴대 기기(10)에 자동적, 선택적, 또는 수동적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용 스트랩을 휴대 기기(10)에 연결하여 별도의 금융 정보 또는 사용자 인증 정보의 입력 없이 각종 전자상거래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앞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용 스트랩에 있어서, 인증 결제 블록(120C)이 인증 매체 그 자체로서 기능하는 측면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하에서는 인증 결제 블록(120C)이 인증 결제 매체를 읽는 리더기로서 기능하는 측면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8b 내지 도 8d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용 스트랩에 있어서, 인증 결제 블록(120C)의 또 다른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b 내지 도 8d를 참조하면, 인증 결제 블록(120C)는 슬롯내부하우징(125)과 상기 슬롯내부하우징(125)이 내부로 슬라이딩 되어 삽입되는 슬롯외부하우징(126)을 포함할 수 있다(도 8b 내지 도 8d에서는 간략하고 명료한 설명을 위해 인증 결제 블록(120C)이 스트랩부(130)와 연결되는 부분의 구성은 생략하여 도시하였다). 슬롯내부하우징(125)은 기능 모듈(127)이 삽입되는 삽입구(128)와, 삽입구(128)의 양 측단에서 연장되어 슬롯내부하우징(125)의 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측면 개방부(129)를 포함할 수 있다. 기능 모듈(127)의 양측면 모서리 부분도 측면 개방부(129)의 개방 라인을 따라서 IC칩이나 카드가 삽입되어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기능 모듈(127)은 인증 결제 칩(250)이나 IC카드(260), 마그네틱 카드(270) 등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읽을 수 있는 리더(reader) 기능을 가질 수 있다.
한편, 기능 모듈(127)에는 도 8b와 같이 인증 결제 칩(250)이 삽입되거나, 도 8c, 도 8d와 같이 IC카드(260) 또는 마그네틱 카드(270) 등이 삽입되어 슬라이딩될 수 있다. 기능 모듈(127)이 삽입구(128)에 삽입된 상태에서 기능 모듈(127)에 인증 결제 칩(250), IC카드(260), 또는 마그네틱 카드(270)가 삽입되면 인증 결제 칩(250), IC카드(260), 또는 마그네틱 카드(270) 내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들이 기능 모듈(127)을 통해 인증 결제 블록(120C)으로 전달되고, 이는 입출력단자부(110)를 통해 휴대 기기(10)에 전송될 수도 있고 스트랩부(130)의 케이블(131)을 통하여 외부기기에 전달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자신이 가진 신용카드, IC 카드를 인증 결제 블록(120C)에 삽입하여 긁거나 또는 금융 기능이 내장된 SIM 카드 등을 삽입하여 간편하게 모바일 전자상거래를 수행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모바일 POS 결제 단말기로서도 사용될 수 있어서 영세한 상인들도 휴대 기기만 있으면 소비자에게 카드 결제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8b 내지 도 8d를 참조한 앞선 설명에서는 인증 결제 블록(120C)이 리더(reader) 기능을 가진 기능 모듈(127)을 별도로 포함하는 것을 예시로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리더(reader)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IC 칩 리더(reader), 마그네틱 리더, SIM 카드 리더 또는 상기 매체를 통합적으로 읽을 수 있는 통합리더가 슬롯내부하우징(125)의 삽입구(128) 안쪽에 일체로서 형성되도록 하여 직접 인증 결제 칩(250)을 삽입하거나, IC카드(260), 마그네틱 카드(270) 등을 직접 삽입하여 긁을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 8b 내지 도 8d를 참조한 앞선 설명에서는 IC카드(260) 또는 마그네틱 카드(270) 등을 긁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측면 개방부(129)가 형성되어 있는 모습을 예시로 하였으나, IC카드(260) 또는 마그네틱 카드(270) 등을 긁을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지 않을 경우 측면 개방부(129) 없이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도 8b와 같은 삽입구(128)에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는 인증 결제 칩(250)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도 8b 내지 도 8d를 참조한 앞선 설명에서는 인증 결제 블록(120C)이 슬롯내부하우징(125)과 슬롯외부하우징(126)을 포함하고, 삽입구(128) 및 측면 개방부(129)가 슬롯내부하우징(125)에 형성되는 구조를 예를 들어서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인증 결제 블록(120C)이 슬롯내부하우징(125)과 슬롯외부하우징(126)으로 분리되지 않고, 인증 결제 블록(120C) 외부면에 삽입구(128) 또는 측면 개방부(129)가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용 스트랩에 있어서, 기능 확장 블록(120)은 생체 인식 기능(F404)이 중점적으로 구현된 생체 인식 블록(120D)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용 스트랩에 있어서 생체 인식 블록(120D)의 구성을 좀 더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8e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용 스트랩에 있어서, 생체 인식 블록(120D)의 모습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e를 참조하면 생체 인식 블록(120D)은 생체 인식 모듈(280)을 포함하며, 생체 인식 모듈(280)은 생체 인식 블록(120D)의 일면에 형성되는 생체 정보 입력창(281)을 포함한다.
생체 인식 모듈(280)은, 예를 들어, 지문 인식 모듈, 정맥 인식 모듈, 또는 홍채 인식 모듈일 수 있다. 사용자가 생체 정보 입력창(281)에 지문을 가져다 대거나 안구를 가져다 대면, 생체 정보 인식 모듈(280)은 생체 정보 입력창(281)을 통하여 입력되는 생체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데이터로 변환하여 입출력단자부(110)을 통하여 휴대 기기(10)로 전송하거나 스트랩부(130)의 전송케이블(131)을 통하여 외부기기로 전달한다. 전달된 생체 정보는 휴대 기기(10) 또는 외부기기 내에 구비되어 있는 생체 정보 처리 프로그램 또는 장치에 의하여 생체 정보 인증을 수행한다. 이를 통하여 다양한 보안 인증을 수행할 수 있으며, 날이 갈수록 문제가 되고 있는 인터넷 전자상거래 보안, 모바일 전자상거래 보안을 강화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출입 통제, 보안 통제의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주로 데이터 저장 기능(F401), 무선 통신 기능(F402), 인증 결제 기능(F403), 생체 인식 기능(F404)을 중심으로 기능 확장 블록(120)의 다양한 구현 예를 설명하였으나, 이외에도 기능 확장 블록(120)에 3.5파이 이어폰 슬롯이나 마이크 입력 슬롯, 소형 마이크 등을 마련하여 오디오 입출력 기능(F405)을 구현할 수도 있으며, 스트랩부와 연결되는 배선구조를 통하여 충전 젠더 기능(F406) 등을 구현할 수도 있다. 충전 젠더 기능(F406)을 구현할 경우, 기능 확장 블록(120)은 20핀 또는 24핀 등의 충전 단자, 또는 슬롯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저장 기능(F401), 무선 통신 기능(F402), 인증 결제 기능(F403), 생체인식 기능(F404), 오디오 입출력 기능(F405), 또는 충전 젠더 기능(F406)을 복수개 결합하여 복합 기능 확장 블록(120)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기능 확장 블록(120)의 기능을 데이터 저장 기능(F401), 무선 통신 기능(F402), 인증 결제 기능(F403), 생체인식 기능(F404), 오디오 입출력 기능(F405), 또는 충전 젠더 기능(F406) 등을 예시적으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외에도 휴대 기기(10)에 적용될 수 있는 확장 기능을 본 발명의 사상의 미치는 범위 안에서 얼마든지 추가하여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기능 확장 블록(120)과 스트랩부(130)가 연결되는 구체적인 결합 구조와 배선 구조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9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용 스트랩에 있어서, 스트랩부(130)와 기능 확장 블록(120)이 서로 해제된 상태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a는 기능 확장 블록(120)과 스트랩부(130)의 양쪽 단 모두가 서로 분리 가능한 경우를 예시적으로 나타내고 있으며, 또한, 도 8에서 설명한 데이터 저장 블록(120A)의 메모리슬롯(210)이 제1연결슬롯(121a)와 제2연결슬롯(121b)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예를 채택하여 나타내고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 형태가 구현될 수 있는 하나의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다.
도 9a를 참조하면, 기능 확장 블록(120)은 제1연결슬롯(121a), 메모리슬롯(210), 및 제2연결슬롯(121b)이 형성된 슬롯내부하우징(125)과 상기 슬롯내부하우징(125)이 내부로 삽입되는 슬롯외부하우징(126)을 포함한다.
슬롯내부하우징(125)이 슬롯외부하우징(126)에서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제1연결슬롯(121a)은 상부로 개방된 구조를 갖고, 상기 제2연결슬롯(121b)은 하부로 개방된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사용자는 상기 제1연결단자(135b)를 상부에서 하부로 제1연결슬롯(121a)에 장착하고, 상기 제2연결단자(136b)를 하부에서 상부로 제2연결슬롯(121b)에 장착한다.
그리고, 제1연결단자(135b)와 제2연결단자(136b)를 제1연결슬롯(121a)과 제2연결슬롯(121b)에 각각 장착한 상태에서 슬롯내부하우징(125)을 슬롯외부하우징(126) 안으로 삽입함으로써, 스트랩부(130)가 기능 확장 블록(120)에 고정된다.
사용자는 제1연결단자(135b)를 기능 확장 블록(120)에서 분리하고, 제1연결단자(135b)를 별도의 기기에 연결함으로써, 휴대 기기(10)와 별도의 기기 사이에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다.
도 9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용 스트랩에 있어서, 스트랩부(130)와 기능 확장 블록(120) 간의 결합 구조의 또 다른 예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b를 참조하면, 기능 확장 블록(120)은 스트랩부(130)의 제1단(132) 및 제2단(133)과 각각 결합되는 제1연결슬롯(121a) 및 제2연결슬롯(121b), 그리고 제1연결슬롯(121a)을 수용하는 제1수용홈(122a)이 형성된 슬롯내부하우징(125) 및 슬롯내부하우징(125)이 슬라이딩되어 삽입되거나 외부로 인출되도록 슬롯내부하우징(125)을 감싸는 슬롯외부하우징(12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슬롯내부하우징(125)이 슬롯외부하우징(126) 밖으로 인출된 상태에서는, 제1수용홈(122a)을 가로지르는 선을 축으로하여 제1연결슬롯(121a)의 일단이 제1수용홈(122a)의 외부를 향하여 회전하여 인출되도록 제1연결슬롯(121a)과 제1수용홈(122a)이 결합된다. 한편, 제1수용홈(122a)의 표면에는 제1걸림홈(123a)이 형성되어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스트랩부(130)의 제1단(132)은 제1연결몸체(135a)와 제1연결단자(135b)를 포함하며, 제1연결몸체(135a)는 제1수용홈(122a)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제1걸림홈(123a)에 대응하여 결합되는 제1걸림돌기(138a)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기능 확장 블록(120)에 연결되어 있는 스트랩부(130)의 적어도 한쪽 단을 분리하고자 할 때에, 우선 슬롯외부하우징(126)으로부터 슬롯내부하우징(125)을 인출하고, 스트랩부(130)의 제1단을 위쪽으로 들어올린다. 스트랩부(130)의 제1단을 위쪽으로 들어올리면, 제1수용홈(122a) 내에 수용되어 있는 제1연결슬롯(121a)이 위쪽으로 회전하며 들어올려지게 된다. 들어 올려짐과 동시에 제1걸림홈(123a)에 결합되어 걸려있던 제1걸림돌기(138a)가 제1걸림홈(123a)으로부터 해제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스트랩부(130)의 제1단을 쉽게 제1연결슬롯(121a)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스트랩부(130)가 기능 확장 블록(120)에 결합되어 있는 때에는 슬롯내부하우징(125)이 슬롯외부하우징(126) 안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제1걸림돌기(138a)가 제1걸림홈(123a)에 물려서 고정되고 슬롯외부하우징(126)이 슬롯내부하우징(125)를 감싸기 때문에 스트랩부(130)가 안정적으로 기능 확장 블록(120)에 부착될 수 있고 이탈될 염려 없이 안심하고 휴대 기기(10)를 휴대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용 스트랩에 있어서, 스트랩부(130)의 한 측단, 즉 제1단(132)의 모습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측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10은 제1연결단자(135b) 및 제1연결몸체(135a)를 도시하고 있는데, 제1연결단자(135b)의 일면에는 제1외측돌기(310)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제1연결단자(135b)의 양사이드에는 제1사이드돌기(320)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제1외측돌기(310)는 외측이 원형으로 형성되고, 제1사이드돌기(320)는 제1연결단자(135b)의 폭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이다.
제1외측돌기(310)와 제1사이드돌기(320)는 탄성적으로 힘을 받으면, 제1연결단자(135b)의 내부로 삽입되는 구조를 갖고 있다. 아울러, 제1사이드돌기(320)의 선단부의 가장자리는 원형으로 면취된 면취부(321)를 갖는다.
제1외측돌기(310)는 상기 제1연결단자(135b)의 두께를 보상하고, 제1사이드돌기(320)는 제1연결단자(135b)의 폭을 보상하는 구조를 갖고 있으며, 다양한 슬롯에 장착이 가능하다.
한 예로써, 일반적으로 암(female) USB슬롯에 삽입되는 경우에는 제1외측돌기(310)와 제1사이드돌기(320)가 인출된 상태를 유지하고, 도 14의 암(female) 슬롯(600)의 삽입구(610)에 삽입되는 경우에는 제1외측돌기(310)와 제1사이드돌기(320)가 제1연결단자(135b)의 내부로 삽입된다. 본 구조에 관하여는 도 14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용 스트랩에 있어서, 스트랩부(130)의 제2단(133)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측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11은 제2연결단자(136b) 및 제2연결몸체(136a)를 도시하고 있는데, 제2연결단자(136b)의 일면에는 제2외측돌기(330)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제2연결단자(136b)의 양사이드에는 제2사이드돌기(340)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제2외측돌기(330)와 제2사이드돌기(340)는 탄성적으로 힘을 받으면, 제2연결단자(136b)의 내부로 삽입되는 구조를 갖고 있다. 아울러, 제2외측돌기(330)는 원형의 곡선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사이드돌기(340)의 선단부의 가장자리도 원형으로 면취된 면취부(341)를 갖는다.
제2외측돌기(330)는 제2연결단자(136b)의 두께를 보상하고, 제2사이드돌기(340)는 상기 제2연결단자(136b)의 폭을 보상하는 구조를 갖고 있으며, 그 두께와 폭이 가변되는 구조로, 다양한 슬롯에 장착이 가능하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용 스트랩에 있어서, 스트랩부(130)가 기능 확장 블록(120)에 체결된 상태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용 스트랩에 있어서, 스트랩부(130)가 기능 확장 블록(120)에서 분리된 상태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먼저 도 13을 참조하면, 슬롯외부하우징(126)의 내부에서 슬롯내부하우징(125)이 외부로 인출되어 있고, 슬롯내부하우징(125)의 상부에 제1연결슬롯(121a)이 형성되며, 하부에 제2연결슬롯(121b)이 형성된다.
제1연결단자(135b)와 대응하는 제1연결몸체(135a)의 하부에는 제1몸체돌기(510a)가 하부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제2연결단자(136b)와 대응하여 제2연결몸체(136a)의 상부에는 제2몸체돌기(510b)가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아울러, 제1몸체돌기(510a)와 대응하여 제1연결슬롯(121a)의 내측면에는 제1홈(520a)이 형성되고, 제2몸체돌기(510b)와 대응하여 제2연결슬롯(121b)의 내측면에는 제2홈(520b)이 형성된다.
도 13의 상태에서, 제1연결단자(135b)와 상기 제2연결단자(136b)를 슬롯내부하우징(125)의 제1연결슬롯(121a)과 제2연결슬롯(121b)에 각각 장착한 후, 제1연결단자(135b), 제2연결단자(136b), 및 슬롯내부하우징(125)을 슬롯외부하우징(126) 안으로 삽입하여, 도 12와 같은 구조를 완성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슬롯내부하우징(125)이 상기 슬롯외부하우징(126)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연결단자(135b)와 제2연결단자(136b)는 제1몸체돌기(510a)와 제1홈(520a) 및 제2몸체돌기(510b)와 제2홈(520b)에 의해서 외부로 인출되지 않는다.
다만, 사용자가 설정된 수치 이상의 힘으로 스트랩부(130)를 잡아당기면 슬롯내부하우징(125)이 슬롯외부하우징(126) 밖으로 인출되면서, 상기 제1연결단자(135b)와 상기 제2연결단자(136b)가 상하부로 분리된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용 스트랩에 있어서, 스트랩부(130)와 기능 확장 블록(120) 간의 연결 구조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4을 참조하면, 스트랩부(130)의 한쪽 단부에 연결단자(640)가 형성되고, 연결단자(640)의 상부면에는 외측돌기(642)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연결단자(640)의 양 사이드에는 사이드돌기(650)가 양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외측돌기(642)와 사이드돌기(650)는 탄성적으로 연결단자(640)의 내부로 삽입되는 구조를 갖고 있으며, 외측돌기(642)는 상기 연결단자(640)의 두께를 가변시키고, 사이드돌기(650)는 연결단자(640)의 폭을 가변시킨다.
연결단자(640)와 대응하여, 연결롯(600)이 형성되고, 연결슬롯(600)의 선단부 가운데로 삽입구(610)가 형성된다. 삽입구(610)는 제1폭(W1)을 갖고 있으며, 연결단자(640)가 삽입구(610)로 삽입되는 구조를 갖는다. 삽입구(610)의 내측면에는 전기적인 신호를 주고 받기 위한 접속단자(620)가 형성된다.
여기서, 사이드돌기(650)를 제외한 연결단자(640)의 제2폭(W2)은 삽입구(610)의 제1폭(W1)과 동일하거나 약간 작아서, 사이드돌기(650)를 제외한 연결단자(640)가 삽입구(610)로 삽입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연결단자(640)가 삽입구로 삽입될 때, 사이드돌기(650)와 외측돌기(642)는 연결단자(640)의 내부로 삽입되는 구조를 갖는다. 아울러, 연결단자(640)가 일반적인 연결슬롯에 삽입되는 경우, 외측돌기(642)와 사이드돌기(650)는 연결단자(640)의 외부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용 스트랩(100)에 있어서, 휴대 기기용 스트랩(100)과 휴대 기기(10)를 연결시키는 입출력단자부(110)가 해제된 상태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와 평면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단자내부하우징(112a)의 양 측면에는 누름부(700)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누름부(700)는 외측 방향으로 볼록한 구조를 갖고 있다.
단자내부하우징(112a)이 단자외부하우징(112b)에서 인출된 상태에서 누름부(700)는 외부로 노출되고, 단자내부하우징(112a)이 단자외부하우징(112b) 내부로 삽입되면, 누름부(700)가 단자내부하우징(112a)과 단자외부하우징(112b) 사이에 게재되는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누름부(700)가 단자외부하우징(112b)의 내측면에 눌려, 단자내부하우징(112a)의 내부로 삽입되는 구조로, 누름부(700)가 내부로 삽입되면 후크(113)가 외부로 돌출되어 입출력단자(111)가 상기 휴대 기기(10)에 고정되는 구조를 갖는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용 스트랩에 있어서, 전기접속 구조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기능 확장 블록(120)에는 케이블(140), 스트랩부(130)의 양단부, 및 메모리카드(200)가 배치되고, 이들은 전기적으로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접속부들(802, 804, 806, 808)을 갖는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케이블(140)의 단부에는 제1접속부(802)가 형성되고, 제1연결단자(135b)에는 제1접속부(802)와 대응하여 제2접속부(804)가 형성된다. 아울러, 메모리카드(200)에는 제3접속부(806)가 형성되고, 제2연결단자(136b)에는 제3접속부(806)와 대응하여 제4접속부(808)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휴대 기기(10)는 케이블(140), 제1접속부(802), 제2접속부(804), 제1연결단자(135b), 스트랩부(130), 제2연결단자(136b), 제4접속부(808), 및 제3접속부(806)를 차례로 통해서 메모리카드(2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아울러, 제2연결단자(136b)가 기능 확장 블록(120)에서 분리되어 별도의 외부 기기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경우, 휴대용 기기(10)는 케이블(140), 제1접속부(802), 제2접속부(804), 제1연결단자(135b), 스트랩부(130), 제2연결단자(136b), 및 제4접속부(808)를 차례로 통해서 별도의 외부 기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아울러, 제1연결단자(135b)가 기능 확장 블록(120)에서 분리되고, 제2연결단자(136b)는 기능 확장 블록(120)에 체결된 상태에서, 메모리카드(200)은 제3접속부(806), 제4접속부(808), 제2연결단자(136b), 스트랩부(130), 제1연결단자(135b)를 차례로 통해서 외부 기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스트랩부(130)의 제1연결단자(135b)와 제2연결단자(136b)의 체결에 따라서, 휴대 기기(10)와 메모리카드(200) 사이, 휴대 기기(10)와 외 기기 사이, 및 메모리카드(200)과 외부 기기 사이에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주고 받는 구조가 가능하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각 구성요소의 재질, 크기 등을 적용 분야에 따라 변경하거나,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 또는 치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명확하게 개시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으로 한정적인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 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모두 포함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0: 휴대 기기
11: 입출력포트
100 : 휴대 기기용 스트랩
110: 입출력단자부
111: 입출력단자
112: 입출력단자몸체
112a: 단자내부하우징
112b: 단자외부하우징
113: 후크
120: 기능 확장 블록
120A: 데이터 저장 블록
120B: 무선 통신 블록
120C: 인증 결제 블록
121a: 제1연결슬롯
121b: 제2연결슬롯
122a: 제1수용홈
123a: 제1걸림홈
125: 슬롯내부하우징
126: 슬롯외부하우징
127: 기능 모듈
128: 삽입구
129: 측면 개방부
130: 스트랩부
131: 전송케이블
132: 제1단
133: 제2단
134: 고정홈
135a: 제1연결몸체
135b: 제1연결단자
136a: 제2연결몸체
136b: 제2연결단자
137: 피복
138a: 제1걸림돌기
140: 케이블
150: 오디오 기기 연결부
200: 메모리카드
200a: 케이스
200b: 메모리칩
210: 메모리슬롯
250: 인증 결제 칩
260: IC카드
270: 마그네틱 카드
280: 생체 인식 모듈
281: 생체 정보 입력창
310: 제1외측돌기
320: 제1사이드돌기
321, 341: 면취부
330: 제2외측돌기
340: 제2사이드돌기
510a: 제1몸체돌기
520a: 제1홈
510b: 제2몸체돌기
520b: 제2홈
600: 연결슬롯
610: 삽입구
620: 접속단자
640: 연결단자
642: 외측돌기
650: 사이드돌기
W1, W2: 제1폭, 제2폭
700: 누름부
802, 804, 806, 808: 제1,2,3,4접속부

Claims (22)

  1. 휴대 기기의 입출력포트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입출력단자가 형성된 입출력단자부;
    상기 입출력단자부와 연결되며, 인증 결제 기능을 수행하는 인증 결제 매체 리더기를 포함하는 인증 결제 블록; 및
    상기 인증 결제 블록의 일 측면에 연결되어 고정되어, 사용자가 상기 휴대기기를 손목이나 목에 걸고 휴대할 수 있도록 하는 스트랩부를 포함하는
    휴대 기기용 스트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결제 블록은 인증 결제 칩을 삽입할 수 있는 삽입구를 포함하며,
    상기 인증 결제 매체 리더기는 상기 인증 결제 칩을 읽을 수 있도록 상기 삽입구 내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기기용 스트랩.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결제 매체 리더기는 IC 리더기이며,
    상기 인증 결제 블록은 IC 카드를 삽입하여 상기 인증 결제 매체 리더기가 IC카드를 읽을 수 있도록 하는 측면 개방부를 포함하는
    휴대 기기용 스트랩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결제 매체 리더기는 마그네틱 리더기이며,
    상기 인증 결제 블록은 마그네틱 카드를 삽입하여 상기 인증 결제 매체 리더기가 마그네틱 카드를 읽을 수 있도록 하는 측면 개방부를 포함하는
    휴대 기기용 스트랩.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결제 매체 리더기는 비접촉식 IC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기기용 스트랩.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결제 매체 리더기는 비접촉식 RFID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기기용 스트랩.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결제 블록은 상기 인증 결제 매체 리더기가 형성되는 기능 모듈과,
    상기 기능 모듈을 삽입할 수 있는 삽입구를 더 포함하는
    휴대 기기용 스트랩.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결제 블록은 IC 카드를 삽입하여 상기 인증 결제 매체 리더기가 IC카드를 읽을 수 있도록 하는 제1 측면 개방부를 포함하며,
    상기 기능 모듈은 상기 측면 개방부의 개방 라인을 따라 개방된 제2 측면 개방부를 포함하는
    휴대 기기용 스트랩.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결제 블록은 마그네틱 카드를 삽입하여 상기 인증 결제 매체 리더기가 마그네틱 카드를 읽을 수 있도록 하는 제1 측면 개방부를 포함하며,
    상기 기능 모듈은 상기 측면 개방부의 개방 라인을 따라 개방된 제2 측면 개방부를 포함하는
    휴대 기기용 스트랩.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단자부와 상기 인증 결제 블록은 서로 분리되어 형성되며,
    상기 입출력단자부와 상기 인증 결제 블록을 연결하는 케이블을 더 포함하는
    휴대 기기용 스트랩.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결제 블록은 외부 장치와 USB 방식으로 연결할 수 있는 USB 연결부를 포함하는
    휴대 기기용 스트랩.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부는,
    상기 인증 결제 블록 또는 상기 휴대 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케이블을 내부에 포함하며,
    상기 스트랩부의 적어도 한쪽 단이 상기 인증 결제 블록과 서로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휴대 기기용 스트랩.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부의 적어도 한쪽 단은 USB 결합 방식으로 상기 인증 결제 블록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기기용 스트랩.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는 상기 입출력단자부를 통하여 상기 인증 결제 블록에 연결된 상기 스트랩부의 양 끝단 중 제1단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인증 결제 매체 리더기는 상기 스트랩부의 양 끝단 중 제2단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기기용 스트랩.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결제 블록은,
    상기 스트랩부의 양 끝단 중 제1단 및 제2단과 각각 결합되는 제1연결슬롯 및 제2연결슬롯이 형성된 슬롯내부하우징; 및
    상기 슬롯내부하우징이 슬라이딩되어 삽입되거나 외부로 인출되도록 상기 슬롯내부하우징을 감싸는 슬롯외부하우징; 을 포함하고,
    상기 슬롯내부하우징이 상기 슬롯외부하우징 밖으로 인출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1연결슬롯은 상기 제1단의 일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슬롯내부하우징이 상기 슬롯외부하우징 안으로 삽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1단의 타면이 상기 슬롯외부하우징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기기용 스트랩.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의 일면에는 상기 슬롯외부하우징의 내측면과 탄성적으로 밀착되는 제1외측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기기용 스트랩.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의 양측면에는 상기 제1연결슬롯의 양측면과 탄성적으로 밀착되는 제1사이드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기기용 스트랩.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의 외측단부를 감싸는 제1연결몸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몸체에서 상기 슬롯내부하우징의 중심방향으로 돌출된 제1몸체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슬롯내부하우징의 상기 제1연결슬롯에는 상기 제1몸체돌기와 대응하여 제1홈이 형성되어,
    상기 슬롯내부하우징이 상기 슬롯외부하우징 안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단이 상기 제1연결슬롯에서 외부로 인출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기기용 스트랩.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결제 블록은,
    상기 스트랩부의 양 끝단 중 제1단 및 제2단과 각각 결합되는 제1연결슬롯 및 제2연결슬롯, 그리고 상기 제1연결슬롯을 수용하는 제1수용홈이 형성된 슬롯내부하우징; 및
    상기 슬롯내부하우징이 슬라이딩되어 삽입되거나 외부로 인출되도록 상기 슬롯내부하우징을 감싸는 슬롯외부하우징; 을 포함하고,
    상기 슬롯내부하우징이 상기 슬롯외부하우징 밖으로 인출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1수용홈 가로지르는 선을 축으로하여 상기 제1연결슬롯의 일단이 상기 제1수용홈의 외부를 향하여 회전하여 인출되도록 상기 제1연결슬롯과 상기 제1수용홈이 결합되며,
    상기 슬롯내부하우징이 상기 슬롯외부하우징 안으로 삽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1단이 상기 제1수용홈의 표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기기용 스트랩.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내부하우징의 상기 제1수용홈의 표면에는 제1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단에는 상기 제1수용홈에 대응하도록 돌출된 제1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슬롯내부하우징이 상기 슬롯외부하우징 안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단이 상기 제1연결슬롯에서 외부로 인출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기기용 스트랩.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단자부는,
    상기 입출력단자가 고정된 단자내부하우징;
    상기 단자내부하우징을 감싸는 단자외부하우징; 및
    상기 단자내부하우징이 슬라이딩되어 상기 단자외부하우징 안으로 삽입되면 상기 입출력단자의 일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입출력단자부를 상기 휴대 기기의 상기 입출력포트에 고정하는 후크를 포함하는
    휴대 기기용 스트랩.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내부하우징의 일면에는 탄성적으로 그 내부로 눌려지는 누름부가 형성되고,
    상기 단자내부하우징이 상기 단자외부하우징 내부로 삽입되면, 상기 누름부가 상기 단자외부하우징에 의해서 상기 단자내부하우징의 내부로 눌리면서 상기 후크가 상기 입출력단자의 일면에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기기용 스트랩.

KR1020110121898A 2011-11-21 2011-11-21 휴대 기기용 스트랩 KR1012402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1898A KR101240227B1 (ko) 2011-11-21 2011-11-21 휴대 기기용 스트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1898A KR101240227B1 (ko) 2011-11-21 2011-11-21 휴대 기기용 스트랩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4538A Division KR20120003759A (ko) 2010-07-05 2010-07-05 휴대 기기용 스트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3828A KR20120003828A (ko) 2012-01-11
KR101240227B1 true KR101240227B1 (ko) 2013-03-12

Family

ID=45610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1898A KR101240227B1 (ko) 2011-11-21 2011-11-21 휴대 기기용 스트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022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1257Y1 (ko) 2003-11-28 2004-02-11 (주) 티비즈 스마트카드리더의 휴대폰 접속장치
JP3155732U (ja) * 2009-05-18 2009-12-03 内田 康之 ストラップ型データケーブル
JP3158244U (ja) * 2009-01-22 2010-03-25 劉 振亞 カードリーダー機能を備えたusbケーブル
KR20100036851A (ko) * 2008-09-30 2010-04-08 주식회사 하이스마텍 Usb형 스마트 카드 및 이를 이용한 칩카드 장착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1257Y1 (ko) 2003-11-28 2004-02-11 (주) 티비즈 스마트카드리더의 휴대폰 접속장치
KR20100036851A (ko) * 2008-09-30 2010-04-08 주식회사 하이스마텍 Usb형 스마트 카드 및 이를 이용한 칩카드 장착방법
JP3158244U (ja) * 2009-01-22 2010-03-25 劉 振亞 カードリーダー機能を備えたusbケーブル
JP3155732U (ja) * 2009-05-18 2009-12-03 内田 康之 ストラップ型データケーブ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3828A (ko) 2012-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91665B2 (en) Wearable smart device
US11385601B2 (en) Watch module connector
US8577290B2 (en) Near field communication adapters
US10892625B1 (en) Cases and folios for carrying and charging accessories
US10284763B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a band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20140085815A1 (en) Personal Cloud With A Plurality Of Modular Capabilities
TW201637376A (zh) 具有可替換功能單元的模組化穿戴式智慧帶
KR20080113185A (ko) 엔에프씨 통신모듈과 유심카드를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장치
KR101240230B1 (ko) 휴대 기기용 스트랩
TWM494362U (zh) 可攜式支付裝置
JP3155732U (ja) ストラップ型データケーブル
KR101240227B1 (ko) 휴대 기기용 스트랩
KR101240226B1 (ko) 휴대 기기용 스트랩
KR101240228B1 (ko) 휴대 기기용 스트랩
WO200713538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a memory module to a watch strap
KR20120003830A (ko) 휴대 기기용 스트랩
KR20120003826A (ko) 휴대 기기용 스트랩
KR20120003759A (ko) 휴대 기기용 스트랩
US9965664B2 (en) Mobile data collector with keyboard
US20160307093A1 (en) Button with a near field communication module
KR20140106904A (ko) 엔에프씨 기능 내지 엔에프씨 칩 모듈 내장 기능 내지 엔에프씨 기능을 온 또는 오프할 수 있는 기능 내지 연결끈 또는 링을 연결할 수 있는 구멍 또는 고리를 갖는 기능 내지 자체 회전축으로 회전하여 접을 수 있는 기능을 갖는 터치펜
US20080302875A1 (en) Communication terminal with contactless IC card system
US8506311B2 (en) Communication device
KR101822648B1 (ko) 열쇠고리 형 케이블 디바이스
KR100842991B1 (ko) 무선마우스의 착탈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