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3842A - 이탈방지구조를 갖는 교량용 탄성받침 - Google Patents
이탈방지구조를 갖는 교량용 탄성받침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003842A KR20100003842A KR1020080063865A KR20080063865A KR20100003842A KR 20100003842 A KR20100003842 A KR 20100003842A KR 1020080063865 A KR1020080063865 A KR 1020080063865A KR 20080063865 A KR20080063865 A KR 20080063865A KR 20100003842 A KR20100003842 A KR 2010000384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 auxiliary plate
- bridge
- auxiliary
- elastic pa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 E01D19/041—Elastomeric b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이탈방지구조를 갖는 교량용 탄성받침이 개시된다. 본 탄성받침은 교량의 상부구조물 저면에 고정 설치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공(22)이 형성되는 상부플레이트(20); 상기 교량의 하부구조물 상면에 고정 설치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공(32)이 형성되는 하부플레이트(30); 각 상기 관통공(22,32)에 대응되는 체결홈(52,62)들이 각각 형성되고, 내부에 보강판(42)이 등간격으로 매입된 탄성패드(40)의 양측과 각각 결합되는 상부 보조플레이트(50) 및 하부 보조플레이트(60); 상기 관통공(22,32)을 통하여 상기 체결홈(52,62)에 체결되어 상부 보조플레이트(50) 및 하부 보조플레이트(60)가 각각 상부플레이트(20)와 하부플레이트(30)에 일체화되도록 결합시키기 위한 체결부재(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탄성받침에 의하면, 상,하부 플레이트와 상,하부 보조플레이트가 다수개의 체결부재과 가황접착 방식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되어 일체화되고, 상,하부 플레이트와 상,하부 보조플레이트 사이에 보조 이탈방지수단이 구비거나 상,하부 보조플레이트에 확장돌기들이 형성되어 탄성패드와의 결합력을 향상시킴으로써, 탄성패드와 각 플레이트가 분리되는 현상이 방지되어 제품의 수명이 연장될 수 있다.
이탈방지, 탄성받침
Description
본 발명은 교량의 상부 구조물과 교각 사이에 설치되어 상판을 지지하는 교량용 탄성받침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하부 플레이트 사이에 구비된 탄성패드와 보조 상,하부 플레이트의 분리(이탈)를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제품의 수명이 길고, 유지보수가 용이한 이탈방지구조를 갖는 교량용 탄성받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탄성받침은 교량의 상부구조물의 하중을 지지 또는 변위량을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장치이다. 이러한 탄성받침은 탄성체를 재료로 하고 그 내부에는 내부에 부강판이 등간격으로 매입된 탄성패드의 양측에 상,하부 플레이트가 결합된 구조를 갖는다. 이때 상부 플레이트는 교량의 상부 구조물에 결합되고, 하부 플레이트는 교각에 결합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부 구조물에 의한 수직하중과 수평변위 그리고 회전운동에 의한 힘을 완충하여 교각 및 하부구조물로 전달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교량구조의 경우 교량 상부구조 자체 무게 외에 상부 구조물의 상대적인 변위와 하중을 야기하는 요인들이 끊임없이 작용하게 되는데, 예를 들면, 차량 의 이동에 따른 동하중의 작용, 계절의 변화와 온도에 따른 상부 구조의 팽창과 수축, 그리고 또는 지진이나 충격 등으로 인해 교량이 거동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현상으로부터 교량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탄성받침은 상부에서 작용하는 하중을 지지함과 동시에 이를 안전하고 원활하게 하부 구조로 전달하는 역할과, 하중의 재하, 온도 변화, 수축 등에 의한 수평거동을 수용하는 역할과, 또한 처짐에 의하여 생기는 회전변위를 무리 없이 수용할 수 있는 등의 역할을 하며 이러한 기본적인 기능 외에 지진에 대비하는 기능을 해야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한 탄성받침은 상,하부 플레이트와 탄성패드가 분리되어 있어 교량의 거동 시 탄성받침이 들뜸이나 미끄러짐에 취약한 현상을 보이는 문제점이 있었고, 이러한 현상이 장기적으로 반복되면서 탄성받침은 제 위치를 이탈하게 되어 상부 수직하중과 특히 지진 시 수평력에 대한 저항을 기대할 수 없게 되어 교량구조물의 안정성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탄성패드와 각각의 상,하부 보조플레이를 견고하게 결합시키고, 각 상,하부 보조플레이트와 각 상,하부 플레이트를 견고하게 결합시켜 상,하부플레이트 사이에서 탄성패드가 이탈되거나 미끄러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제품의 교체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은,
교량의 상부구조물 저면에 고정 설치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부플레이트;
상기 교량의 하부구조물 상면에 고정 설치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부플레이트;
각 상기 관통공에 대응되는 체결홈들이 각각 형성되고, 내부에 보강판이 등간격으로 매입된 탄성패드의 양측과 각각 결합되는 상부 보조플레이트 및 하부 보조플레이트;
머리부가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관통공을 통하여 상기 체결홈에 체결되어 상부 보조플레이트 및 하부 보조플레이트가 각각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에 일체화되도록 결합시키기 위한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방지구조를 갖는 교량용 탄성받침을 제공한다.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상부 보조플레이트의 사이영역, 하부플레이트와 하부 보조플레이트의 사이영역 중 적어도 한 곳 이상의 사이영역에는 보조 이탈방지수단이 구비되되,
상기 보조 이탈방지수단은,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상부 보조플레이트의 마주보는 면 또는 하부플레이트와 하부 보조플레이트의 마주보는 면에 서로 대응되게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안착홈; 및
상기 각 안착홈에 양측이 각각 삽입되어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상부 보조플레이트 또는 하부플레이트와 하부 보조플레이트의 수평방향으로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유동방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조 이탈방지수단은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상부 보조플레이트 또는 하부플레이트와 하부 보조플레이트의 중앙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조 이탈방지수단은 원형, 다각형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일면과 접하는 상부 보조플레이트의 가장자리와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일면과 접하는 하부 보조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는 고정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탄성패드의 일부분이 각 상기 상부 보조플레이트와 하부 보조플레이트의 측면을 감싸면서 각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 보조플레이트 및 하부 보조플레이트는 상기 탄성패드와 가황 접착되어 일체화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패드와 접하는 상기 상부 보조플레이트의 일면 또는 상기 하부 보조플레이트의 일면에는 상기 탄성패드와의 접촉면적을 확장시켜 결합력을 높이기 위한 확장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 보조플레이트 및 하부 보조플레이트는 상기 탄성패드와 가황 접착되어 일체화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확장돌기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탈방지구조를 갖는 교량용 탄성받침은 상부플레이트와 상부 보조플레이트, 하부플레이트와 하부 보조플레이트가 다수개의 체결부재에 의해 견고하게 일체화되고, 각 상,하부 보조플레이트와 탄성패드가 가황접착으로 견고하게 결합되어 일체화되며, 상부플레이트와 상부 보조플레이트 그리고 하부플레이트와 하부 보조플레이트 사이에 보조 이탈방지수단이 구비거나 상,하부 보조플레이트에 확장돌기들이 형성되어 탄성패드와의 결합력을 향상시킴으로써, 탄성받침에 가해지는 다양한 하중을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고, 특히 탄성패드와 각 플레이트가 분리되는 현상이 방지됨으로써 제품의 수명이 연장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고,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탄성패드의 가장자리 일부분이 상,하부 보조플레이트의 측면을 감싸면서 고정홈에 삽입된 상태로 가황접착 되므로 결합력이 현저하게 상승될 수 있고, 탄성패드의 일부분이 고정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하부 보조플레이트가 상,하부 플레이트와 체결부재로 견고하게 결합되므로 탄성패드의 가장자리가 상,하부 보조플레이트와 상,하부 플레이트 사이에서 빠지지 않 게 되고, 따라서 상,하부 보조플레이트와 탄성패드의 결합력은 현저하게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각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실시 예에 따른 이탈방지구조를 갖는 교량용 탄성받침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탈방지구조를 갖는 교량용 탄성받침의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탄성받침은 탄성패드(40)를 중심으로 상부측에는 상부 보조플레이트(50)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부플레이트(20)가 순차적으로 각각 배치되고, 하부측에는 하부 보조플레이트(60)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부플레이트(30)가 각각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하부 플레이트(20,30)는 하나로 구성될 수도 있고, 유지보수의 용이성을 위해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가 적층되는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는 것으로, 본 실시 예에서는 각각 2개가 적층된 구조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부플레이트(20)의 일면과 접하는 상부 보조플레이트(50)의 가장자리와 하부플레이트(30)의 일면과 접하는 하부 보조플레이트(60)의 가장자리에는 고정홈(54,64)이 각각 형성된다. 이 고정홈(54,64)들은 연이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등간격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고정홈(54,64)의 외측 가장자리에는 곡면부(58,68)가 형성된다. 이 곡면부(58,68) 는 탄성패드(40)의 연장된 부위가 날카로운 모서리에 손상되지 않도록 하고, 가황접착시 접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 곡면부(58,68)는 필요에 따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하부 보조플레이트(50,6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홈(52,62)들이 형성되어 있다. 이 체결홈(52,62)들은 후술할 체결부재(70)가 나사 체결되기 위한 것으로, 각각 상,하부 플레이트(20,30) 측으로 개구된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은 상,하부 보조플레이트(50,60)는 탄성패드(40)와 가황접착 방식을 이용하여 상호 견고하게 결합하여 일체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하부 보조프레이트(60)의 상면에 탄성패드(40)를 위치시키고, 탄성패드(40)의 상면에 상부 보조플레이트(50)를 위치시킨 후에 탄성패드(40)와 상,하부 보조플레이트(50,60)에 고온,고압을 가하여 탄성패드(40)의 양측에 상,하부 보조플레이트(50,60)이 접착되어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하부 보조플레이트(50,60)와 탄성패드(40) 사이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가황접착을 실시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탄성패드(40)와 상,하부 보조플레이트(50,60)가 가황접착 되면 탄성패드(40)의 양측 가장자리 일부가 상,하부 보조플레이트(50,60)의 측부를 감싸면서 고정홈(54,64)에 삽입된 상태로 가황접착 되어 결합된다. 따라서, 탄성패드(40)와 상,하부 보조플레이트(50,60)는 견고하게 결합되어 일체화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하부 플레이트(20,30)는 교량의 구조물과 탄성패드(40)와 결합된 상,하부 보조플레이트(50,60)를 연결하고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본 실시 예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로 구성된 상태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이 상,하부 플레이트(50,6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공(22,32)이 형성되는데, 이 관통공(22,32)들은 각 체결홈(52,62)에 대응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되고, 각 관통공(22,32)에는 체결부재(70)의 머리부가 돌출되지 않도록 머리부가 안착되는 머리부 안착홈이 형성된다. 따라서, 체결부재(70)의 머리부는 상부플레이트(20) 또는 하부플레이트(3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부플레이트(20) 또는 하부플레이트(30)는 체결부재(70)에 의해 상,하부 보조플레이트(50,60)에 견고하게 결합된다. 즉, 각각의 체결부재(70)가 각 관통공(22,32)의 머리부 안착홈 측에서 삽입되어 각 체결홈(52,62)에 체결됨으로써 상,하부 프레이트(20,30)는 탄성패드(40)와 가황접착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된 상,하부 보조플레이트(50,60)와 견고하게 결합되어 일체화되는 것이다.
이때, 탄성패드(40)의 일부가 고정홈(54,64)에 삽입되어 가황접착된 상태에서 상,하부 보조플레이트(50,60)의 외측면에 상,하부 플레이트(20,30)가 밀착되어 체결부재(70)에 의해 결합된 상태가 되면 고정홈(54,64)에 삽입된 상태로 가황접착된 탄성패드(40)의 일부분은 상,하부 플레이트(20,30)에 의해 고정홈(54,64)에 갇혀 견고하게 고정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탄성패드(40)의 가장자리가 상,하부 보조플레이트(50,60)으로부터 박리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고, 특히 탄성패드(40) 와 상,하부 보조플레이트(50,60)의 견고한 결합성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과정으로 각각의 구성들이 상호 견고하게 결합되어 일체화된 탄성받침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술한 과정으로 각 구성요소가 상호 견고하게 결합되어 일체화된 탄성받침은 상,하부 플레이트(20,30)가 앵커부재에 의해 교량의 구조물들에 고정됨으로써 설치가 완료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탄성받침에 동적하중(수평하중 포함)이 작용하게 되면, 유연성을 갖는 탄성패드(40)가 변형되면서 이를 수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탄성패드(40)가 동적하중에 의해 변위가 발생하더라도 탄성패드(40)와 상,하부 보조플레이트(50,60)가 가황접착으로 결합되어 있고, 탄성패드(40)의 가장자리가 상,하부 보조플레이트(50,60)의 고정홈(54,64)에 삽입되어 가황접착된 상태에서 상,하부 플레이트(20,30)에 의해 눌려 고정된 상태가 되므로 탄성패드(40)와 상,하부 보조 플레이트(50,60)가 분리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또한 상,하부 플레이트(20,30)와 상,하부 보조플레이트(50,60)가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70)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상,하부 플레이트(20,30)와 탄성패드(40)와 결합된 상,하부 보조플레이트(50,60)가 분리되거나 이탈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실시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실시 예에 따른 탄성받침은 상,하부 보조플레이트(50,60)와 상,하부 플레이트(20,30) 사이에 보조 이탈방지수단(100)이 구비된 것을 제외하고는 제 1실시 예와 같다.
보조 이탈방지수단(100)은 상기 상부플레이트(20)와 상부 보조플레이트(50)의 사이영역, 하부플레이트(30)와 하부 보조플레이트(60)의 사이영역 중 적어도 한 곳 이상의 사이영역에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본 실시 예에서는 상,하부 플레이트(20,30)의 중앙에 원통형으로 형성된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보조 이탈방지수단(100)은 상부플레이트(20)와 상부 보조플레이트(50)의 마주보는 면, 하부플레이트(30)와 하부 보조플레이트(60)의 마주보는 면, 또는 상,하부 플레이트(20,30)와 상,하부 보조플레이트(50,60)의 마주보는 면에 서로 대응되게 각각 한 쌍의 안착홈(110,120)이 형성되고, 상부플레이트(20)와 상부 보조플레이트(50) 또는 하부플레이트(30)와 하부 보조플레이트(60)의 수평방향으로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각 안착홈(110,120)에 유동방지부재(130)의 양측이 각각 삽입되어 설치되는 구조를 갖는다. 유동방지부재(130)는 금속재, 합성수지재, 고무재 등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안착홈(110,120)의 내경 사이즈보다 유동방지부재(130)의 외경 사이즈가 작게 형성되어 그 사이에 간격이 형성될 수도 있고, 유동방지부재(130)가 움직이지 않도록 유동방지부재(130)가 억지끼움으로 안착홈(110.120)에 끼워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하부 보조플레이트(50,60)와 상,하부 플레이트(20,30) 사이에 유동방지부재(130)가 설치됨으로써 탄성받침에 동적하중에 의한 변위가 일어나더라도 상,하부 보조플레이트(50,60)와 상,하부 플레이트(20,30)가 분리되거나 이탈되 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4a,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실시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a,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실시 예에 따른 탄성받침은 탄성패드(40)와 접하는 상부 보조플레이트(50)의 일면 또는 상기 하부 보조플레이트(60)의 일면에 탄성패드(40)와의 접촉면적을 확장시켜 결합력을 높이기 위한 확장돌기(56,66)가 구비되는 구성을 갖는다.
이때, 상부 보조플레이트(50) 및 하부 보조플레이트(60)는 상기 탄성패드(40)와 가황 접착되어 일체화되도록 결합되고, 확장돌기(56,66)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하부 보조플레이트(50,60)에 확장돌기(56,66)가 형성되므로 상,하부 보조플레이트(50,60)의 가황접착 결합시에 결합력이 향상되어 이탈 및 분리가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실시 예에 따른 이탈방지구조를 갖는 교량용 탄성받침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탈방지구조를 갖는 교량용 탄성받침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실시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4a,4b는 본 발명의 바람직산 제 3실시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상부플레이트 22,32 : 관통공
30 : 하부플레이트 40 : 탄성패드
42 : 내부 보강판 50 : 상부 보조플레이트
52,62 : 체결홈 54,64 : 고정홈
56,66 : 확장돌기 60 : 하부 보조플레이트
70 : 체결부재 100 : 보조 이탈방지수단
110,120 : 안착홈 130 : 유동방지부재
Claims (11)
- 교량의 상부구조물 저면에 고정 설치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공(22)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부플레이트(20);상기 교량의 하부구조물 상면에 고정 설치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공(32)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부플레이트(30);각 상기 관통공(22,32)에 대응되는 체결홈(52,62)들이 각각 형성되고, 내부에 보강판(42)이 등간격으로 매입된 탄성패드(40)의 양측과 각각 결합되는 상부 보조플레이트(50) 및 하부 보조플레이트(60);상기 관통공(22,32)을 통하여 상기 체결홈(52,62)에 체결되어 상부 보조플레이트(50) 및 하부 보조플레이트(60)가 각각 상부플레이트(20)와 하부플레이트(30)에 일체화되도록 결합시키기 위한 체결부재(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방지구조를 갖는 교량용 탄성받침.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플레이트(20)와 상부 보조플레이트(50)의 사이영역, 하부플레이트(30)와 하부 보조플레이트(60)의 사이영역 중 적어도 한 곳 이상의 사이영역에는 보조 이탈방지수단이 구비되되,상기 보조 이탈방지수단(100)은,상기 상부플레이트(20)와 상부 보조플레이트(50)의 마주보는 면 또는 하부플레이트(30)와 하부 보조플레이트(60)의 마주보는 면, 또는 상,하부 플레이트(20,30)와 상,하부 보조플레이트(50,60)의 마주보는 면에 서로 대응되게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안착홈(110,120); 및상기 각 안착홈(110,120)에 양측이 각각 삽입되어 상기 상부플레이트(20)와 상부 보조플레이트(50) 또는 하부플레이트(30)와 하부 보조플레이트(60)의 수평방향으로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유동방지부재(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방지구조를 갖는 교량용 탄성받침.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보조 이탈방지수단(100)은 상기 상부플레이트(20)와 상부 보조플레이트(50) 또는 하부플레이트(30)와 하부 보조플레이트(60)의 중앙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방지구조를 갖는 교량용 탄성받침.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보조 이탈방지수단(100)은 원형, 다각형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방지구조를 갖는 교량용 탄성받침.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플레이트(20)의 일면과 접하는 상부 보조플레이트(50)의 가장자리와 상기 하부플레이트(30)의 일면과 접하는 하부 보조플레이트(60)의 가장자리에는 고정홈(54,64)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탄성패드(40)의 일부분이 각 상기 상부 보조플레이트(50)와 하부 보조플레이트(60)의 측면을 감싸면서 각 상기 고정홈(54,64)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이탈방지구조를 갖는 교량용 탄성받침.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고정홈(54,64)의 가장자리에는 곡면부(58,68)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방지구조를 갖는 교량용 탄성받침.
- 청구항 5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상부 보조플레이트(50) 및 하부 보조플레이트(60)는 상기 탄성패드(40)와 가황 접착되어 일체화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방지구조를 갖는 교량용 탄성받침.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패드(40)와 접하는 상기 상부 보조플레이트(50)의 일면 또는 상기 하부 보조플레이트(60)의 일면에는 상기 탄성패드(40)와의 접촉면적을 확장시켜 결합력을 높이기 위한 확장돌기(56,66)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방지구조를 갖는 교량용 탄성받침.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탄성패드(40)와 접하는 상기 상부 보조플레이트(50)의 일면 또는 상기 하부 보조플레이트(60)의 일면에는 상기 탄성패드(40)와의 접촉면적을 확장시켜 결합력을 높이기 위한 확장돌기(56,66)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방지구조를 갖는 교량용 탄성받침.
-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상부 보조플레이트(50) 및 하부 보조플레이트(60)는 상기 탄성패드(40)와 가황 접착되어 일체화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방지구조를 갖는 교량용 탄성받침.
-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확장돌기(56,66)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방지구조를 갖는 교량용 탄성받침.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63865A KR20100003842A (ko) | 2008-07-02 | 2008-07-02 | 이탈방지구조를 갖는 교량용 탄성받침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63865A KR20100003842A (ko) | 2008-07-02 | 2008-07-02 | 이탈방지구조를 갖는 교량용 탄성받침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03842A true KR20100003842A (ko) | 2010-01-12 |
Family
ID=41813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63865A KR20100003842A (ko) | 2008-07-02 | 2008-07-02 | 이탈방지구조를 갖는 교량용 탄성받침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00003842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04112A (ko) * | 2019-07-03 | 2021-01-13 | (주)신유글로벌 | 교량 받침 장치 |
-
2008
- 2008-07-02 KR KR1020080063865A patent/KR20100003842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04112A (ko) * | 2019-07-03 | 2021-01-13 | (주)신유글로벌 | 교량 받침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50340B1 (ko) | 교량용 탄성받침 | |
KR200398506Y1 (ko) | 스페리칼 타입의 교량용 교좌장치 | |
KR20100003842A (ko) | 이탈방지구조를 갖는 교량용 탄성받침 | |
KR101483071B1 (ko) | 부반력 저항 면진 시스템 | |
KR102077326B1 (ko) | 유지관리가 용이한 경사저항 탄성받침 | |
KR101386048B1 (ko) | 스페리칼 받침 | |
KR100987180B1 (ko) | 유동방지 탄성받침 | |
KR100791834B1 (ko) | 교량의 하중방향에 따른 가변형 탄성받침 구조 | |
KR200402133Y1 (ko) | 가동형 스페리칼 타입의 교량용 교좌장치 | |
JP3649791B2 (ja) | 積層ゴム支承構造 | |
KR100489577B1 (ko) | 수평조절 교좌장치 | |
KR20160109284A (ko) | 교량용 탄성 받침 | |
KR200398507Y1 (ko) | 스페리칼 타입의 교량용 교좌장치 | |
KR100834847B1 (ko) | 내진형 교좌장치 | |
KR101157499B1 (ko) | 분리형 스페리칼 타입의 교량용 교좌장치 | |
KR200418599Y1 (ko) | 시공이 편리한 일체형 내진탄성받침 | |
JP4692393B2 (ja) | 道路橋伸縮装置 | |
KR20150047752A (ko) | 내구성 증대 가능한 교량용 고무받침 | |
KR200222439Y1 (ko) | 낙교방지장치를 가진 교좌장치 | |
KR200175084Y1 (ko) | 고신축 교좌장치 | |
KR200266327Y1 (ko) | 교좌장치 | |
KR200241526Y1 (ko) | 미끄러짐 방지 스토퍼가 결합된 탄성받침 | |
KR20040085997A (ko) | 포트베어링 | |
KR200300039Y1 (ko) | 미끄럼방지 스토퍼가 구비된 교량용 탄성받침 | |
KR200272144Y1 (ko) | 반원통형 교좌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