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3178U - 엘리베이터 문틀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문틀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3178U
KR20100003178U KR2020080012353U KR20080012353U KR20100003178U KR 20100003178 U KR20100003178 U KR 20100003178U KR 2020080012353 U KR2020080012353 U KR 2020080012353U KR 20080012353 U KR20080012353 U KR 20080012353U KR 20100003178 U KR20100003178 U KR 2010000317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rame
guard
elevator
safety device
elevator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23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51894Y1 (ko
Inventor
박인석
Original Assignee
박인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인석 filed Critical 박인석
Priority to KR20200800123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1894Y1/ko
Publication of KR2010000317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317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18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189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 B66B13/26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between closing doors

Abstract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 문틀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엘리베이터의 문과 문틀 사이의 큰 틈을 간편한 시공에 의하여 매울 수 있게 하고, 손이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 문틀 안전장치와 접촉될 때 충격을 최소화하면서 손을 안전한 곳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하며,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 문틀 안전장치와 문과의 마찰을 줄여 엘리베이터의 작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 문틀에 시공되어 엘리베이터 문이 개방될 때 손가락이 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전면은 가대의 개방부(21)에 형성된 빗면(21)에 연장되어 오목한 빗면을 형성하고, 일측은 횡단면이 쐐기(∠)모양의 접촉부(12)를 이루며, 타측의 측면은 가대의 개방부(21)의 일측면에 결합되어 형성된 보호대(10) 및 개방부(21)와 삽입부(22)로 구성된 가대(20)를 포함하되, 상기 개방부(21)는 전면이 상기 보호대(10)의 전면에 형성된 빗면(11)에 연장된 오목한 빗면(211)으로 형성되고, 일측면은 상기 보호대(10)와 결합되며, 타측면은 문틀에 접착되는 면이 형성되되, 상기 접착면에는 문틀에 고정되기 위한 접착수단(24)이 구비되고, 배면은 마찰을 최소화하면서 상기 보호대(10)가 엘리베이터 문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게 하기 위한 지지솔(23)이 구비되며,상기 삽입부(22)는 엘리베이터 문과 문틀사이에 삽입될 수 있도록 얇게 형성되고, 문틀에 접착되는 면에는 문틀에 고정되기 위한 접착수단(24)이 구비되며, 배면은 상기 개방부(21)의 배면에서 연장된 평면을 형성하되, 마찰을 최소화하면서 상기 보호대(10)가 엘리베이터 문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게 하기 위한 지지솔(23)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엘리베이터, 문, 문틀, 보호대, 가대, 빗면, 지지솔

Description

엘리베이터 문틀 안전장치 {SAFETY DEVICE FOR ELEVATOR DOORFRAME}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 문틀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 문이 개방될 때 문을 짚고 있던 손이 엘리베이터 문틈에 끼게 되는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엘리베이터 문과 문틀 사이의 틈에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 문틀 안전장치를 시공함으로써 엘리베이터 문의 개방시 문에 짚고 있던 손을 본 고안의 보호대와 가대의 빗면을 따라 안전한 곳으로 이동하게 할 수 있게 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는 많은 사람이 이용하게 되므로, 엘리베이터의 문과 문틀은 내구성을 위하여 대부분 금속의 재질로 만들어진다. 따라서 경질의 재질로 인하여 문과 문틀 간에 마찰 또는 스크래치가 날 우려가 크므로 일정한 틈을 두고 열리고 닫힐 수 있도록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상기 틈은 문이 개방될 때 무의식 중에 문에 손을 짚고 있던 승객의 손가락이 문과 문틀 사이에 끼게 되는 안전사고를 유발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엘리베이터 문틀에 고정하는 고정부재와 유연한 소재로 문과 문틀 사이의 틈을 막아 주는 끼움부재로 구성된 고안(참고문헌 출원번호 제20-1999-0018084호 등록실용신안공보 참조)이 출원된 바 있었으나 그 고안은 구조상의 문제로 인하여 문이 개방될 때 손이 상기 끼움부재에 부딪히는 충격으로 상처를 받을 가능성이 크고, 상기 끼움부재가 손에 의해 밀려 문에 닿게 되므로 엘리베이터 문의 개방을 방해하거나 엘리베이터 오작동을 일으킬 가능성이 매우 크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엘리베이터의 문과 문틀 사이의 큰 틈을 간편한 시공에 의하여 매울 수 있게 하고, 손이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 문틀 안전장치와 접촉될 때 충격을 최소화하면서 손을 안전한 곳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하며,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 문틀 안전장치와 문과의 마찰을 줄여 엘리베이터의 작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 문틀에 시공되어 엘리베이터 문이 개방될 때 손가락이 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전면은 가대의 개방부(21)에 형성된 빗면(21)에 연장되어 오목한 빗면을 형성하고, 일측은 횡단면이 쐐기(∠)모양의 접촉부(12)를 이루며, 타측의 측면은 가대의 개방부(21)의 일측면에 결합되어 형성된 보호대(10) 및 개방부(21)와 삽입부(22)로 구성된 가대(20)를 포함하되, 상기 개방부(21)는 전면이 상기 보호대(10)의 전면에 형성된 빗면(11)에 연장된 오목한 빗면(211)으로 형성되고, 일측면은 상기 보호대(10)와 결합되며, 타측면은 문틀에 접착되는 면이 형성되되, 상기 접착면에는 문틀에 고정되기 위한 접착수단(24)이 구비되고, 배면은 마찰을 최소화하면서 상기 보호대(10)가 엘리베이터 문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게 하기 위한 지지솔(23)이 구비되며,상기 삽입부(22)는 엘리베이터 문과 문틀사이에 삽입될 수 있도록 얇게 형성되고, 문틀에 접착되는 면에는 문틀에 고정되기 위한 접착수단(24)이 구비되며, 배면은 상기 개방부(21)의 배면에서 연장된 평면을 형성하되, 마찰을 최소화하면서 상기 보호대(10)가 엘리베이터 문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게 하기 위한 지지솔(23)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호대(10)의 접촉부(12)는 횡단면의 반지름이 약 2 밀리미터의 부채꼴 모양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대(20)와 상기 보호대(10)가 상호 결합되는 측면에는 탈부착수단(13)(25)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호대(10)의 배면에는 청소수단(14)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 문틀 안전장치는 엘리베이터의 문과 문틀 사이의 틈을 간편한 시공에 의하여 매울 수 있음은 물론, 종래의 고안과 달리 접촉부와 손이 닿는 면적을 줄이고, 접속부의 탄성과 보호대 및 가대의 오목한 빗면에 의하여 자연스럽게 손이 이동할 수 있게 하므로 손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손의 이동과 함께 탄성을 가진 보호대가 빨리 원상태로 복원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호대와 문과의 접촉에 의한 마찰이 최소화되어 엘리베이터 작동을 원활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100)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 문틀 안전장치 는 크게 보호대(10)와 가대(20)로 구성된다.
상기 보호대(10)의 합성고무 등과 같이 탄성을 가진 재질로 손과의 충격 후 신속히 원래의 형태로 복귀할 수 있어야 한다.
상기 보호대(10)의 전면은 상기 가대(10)의 개방부(21)에 형성된 빗면(211) 에 연장되어 오목한 빗면(11)을 형성하고, 일측은 횡단면이 쐐기(∠)모양 의 접촉부(12)를 이루며, 타측의 측면은 상기 가대(10)의 개방부(21)의 일 측면에 결합된다.
도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호대(10)와 상기 가대(20)가 상호 결합되는 측면은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턱(13)과 상기 턱에 상응하는 종방향의 긴 홈(25)으로 이루어진 탈부착수단이 구비되어 보호대(10)가 마모되어 교체를 요할 경우 상기 가대(20)로부터 탈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2에 도시된 종방향의 턱(13)과 홈(25)은 탈부착수단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다양한 형태의 탈부착수단으로 대체될 수 있다.
상기 보호대(10)의 일측단은 횡단면이 쐐기(∠)모양을 이루는 접촉부(12)를 가지는 바, 상기 접촉부(12)는 쐐기 모양의 형상과 상기 보호대(10)의 탄성을 이용하여 손과의 충격시 최소한의 마찰로 손바닥 쪽으로 파고들면서 손이 보호대의 빗면(11)을 지나 가대의 빗면(211)쪽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이때 손이 보호대(10)와 충격시 자연스럽게 빗면(11)쪽으로 손을 유도하기 위하여 상기 접촉부(12)는 횡단면의 반지름이 약 2 밀리미터의 부채꼴 모양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보호대(10)는 손의 대부분이 상기 가대(20)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도록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보호대(10)가 손의 눌림에 의한 변형으로 엘리베이터 문(200)과 접촉되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보호대(10)의 하면은 엘리베이터가 열리고 닫힐 때 엘리베이터 문에 묻은 오물을 닦아내기 위한 천이나 부직포 등의 청소수단(14)이 종방향으로 길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대(20)는 상기 보호대(10) 및 손을 지지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단단한 플라스틱 등의 재질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대(20)는 크게 개방부(21)와 삽입부(22)로 구성된다. 상기 개방부(21)의 전면은 상기 보호대(10)의 전면에 형성된 빗면(11)에 연장된 오목한 빗면(211)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보호대(10)로 부터 이동해온 손을 안전전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개방부(21)의 일측면은 상기 보호대(10)와 접착되며, 타측의 측면은 문틀과 접착면이 형성되되, 상기 접착면에는 문틀에 고정되기 위한 접착수단(24)이 구비되고, 배면은 마찰을 최소화하면서 상기 보호대(10)가 엘리베이터 문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게 하기 위한 지지솔(23)이 구비된다.
상기 삽입부(22)는 엘리베이터 문과 문틀사이에 삽입될 수 있을 정도로 얇은 두께로 형성되고, 문틀(300A)(300B)에 접착되는 면에는 문틀에 고정되기 위한 접착수단(24)이 구비된다. 이 경우 상기 삽입부(22)의 문틀에 접착되는 면과 상기 개방부에 있어서 문틀에 접착되는 면이 이루는 각(a)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깥쪽 문틀(300A)과 안쪽문틀(300B)에 적절히 밀착될 수 있도록 다양한 각도(a')(a")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22)의 배면은 상기 개방부(21)의 배면에서 연장된 평면을 형성하되, 상기 개방부(21)과 같이 마찰을 최소화하면서 상기 보호대(10)가 엘리베이터 문(200)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게 하기 위한 지지솔(23)이 구비된다.
상기 개방부(21)와 삽입부(22)의 배면에 구비된 지지솔(23)은 문(200)의 표면과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유동성을 가지되 상기 보호대(10)의 하면이 문(200)과 일정한 간격(b)을 유지하도록 지지할 수 있을 정도의 충분한 양의 솔이 구비되어야 한다.
상기 내용은 고안의 일실시예를 구체적으로 표현하였으나, 본 고안은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응용되고 변경될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 제한적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 문틀 안전장치의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 문틀 안전장치의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 문틀 안전장치의 횡단면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 문틀 안전장치의 횡단면도.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 문틀 안전장치의 작동상태도.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 문틀 안전장치의 설치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보호대 11: 보호대의 빗면
12: 접촉부 13: 보호대의 탈부착수단
14: 청소수단 20: 가대
21: 개방부 211: 가대의 빗면
22: 삽입부 23: 지지솔
24: 접착수단 25: 가대의 탈부착수단
200: 엘리베이터 문 300A: 엘리베이터 바깥쪽 문틀
300B: 엘리베이터 안쪽 문틀

Claims (4)

  1. 전면은 가대의 개방부(21)에 형성된 빗면(21)에 연장되어 오목한 빗면을 형성하고, 일측은 횡단면이 쐐기(∠)모양의 접촉부(12)를 이루며, 타측의 측면은 가대의 개방부(21)의 일측면에 결합되어 형성된 보호대(10) 및;
    개방부(21)와 삽입부(22)로 구성된 가대(20)를 포함하되,
    상기 개방부(21)는 전면이 상기 보호대(10)의 전면에 형성된 빗면(11)에 연장된 오목한 빗면(211)으로 형성되고, 일측면은 상기 보호대(10)와 결합되며, 타측면은 문틀에 접착되는 면이 형성되되, 상기 접착면에는 문틀에 고정되기 위한 접착수단(24)이 구비되고, 배면은 마찰을 최소화하면서 상기 보호대(10)가 엘리베이터 문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게 하기 위한 지지솔(23)이 구비되며,
    상기 삽입부(22)는 엘리베이터 문과 문틀사이에 삽입될 수 있도록 얇게 형성되고, 문틀에 접착되는 면에는 문틀에 고정되기 위한 접착수단(24)이 구비되며, 배면은 상기 개방부(21)의 배면에서 연장된 평면을 형성하되, 마찰을 최소화하면서 상기 보호대(10)가 엘리베이터 문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게 하기 위한 지지솔(23)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문틀 안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대(10)의 접촉부(12)는 횡단면의 반지름이 약 2 밀리미터의 부채꼴 모양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문틀 안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대(20)와 상기 보호대(10)가 상호 결합되는 측면에는 탈부착수단(13)(25)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문틀 안전장치.
  4.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대(10)의 배면에는 청소수단(14)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문틀 안전장치.
KR2020080012353U 2008-09-11 2008-09-11 엘리베이터 문틀 안전장치 KR2004518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2353U KR200451894Y1 (ko) 2008-09-11 2008-09-11 엘리베이터 문틀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2353U KR200451894Y1 (ko) 2008-09-11 2008-09-11 엘리베이터 문틀 안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3178U true KR20100003178U (ko) 2010-03-19
KR200451894Y1 KR200451894Y1 (ko) 2011-01-17

Family

ID=44198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2353U KR200451894Y1 (ko) 2008-09-11 2008-09-11 엘리베이터 문틀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189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6852A (ko) * 2021-02-16 2022-08-23 황성찬 끼임 방지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9291B1 (ko) 2014-12-19 2017-06-21 주식회사 지엔피컴퍼니 승강기 자동문의 안전 동작을 위한 장애물 감지장치
KR101981984B1 (ko) * 2017-06-05 2019-05-24 김정호 도어 고장방지 기능을 구비하는 엘리베이터용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54043U (ko) 1975-06-02 1976-12-08
JPH0710443A (ja) 1993-06-24 1995-01-13 Otis Elevator Co エレベーターのドア拭き取り具
JPH07285769A (ja) * 1994-04-19 1995-10-31 Mitsubishi Denki Bill Techno Service Kk エレベータ乗降口に使用される塵芥侵入防止装置
FI107730B (fi) 2000-02-22 2001-09-28 Kone Corp Sormisuoja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6852A (ko) * 2021-02-16 2022-08-23 황성찬 끼임 방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1894Y1 (ko) 2011-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19265B2 (en) Visor and combination thereof with a protective helmet
CN108286173B (zh) 洗衣机
KR200472618Y1 (ko) 자동차용 도어 보호구
KR200451894Y1 (ko) 엘리베이터 문틀 안전장치
CA2479548A1 (fr) Dispositif a volet presentant des bords lateraux flexibles
BRPI0720644B1 (pt) palheta do limpador com uma régua do limpador e um elemento de suporte
US20210008742A1 (en) Shaving assembly and hair cutting appliance
TW201938070A (zh) 滑軌總成
RU2013103839A (ru) Устойчивая к разрушению головка щетки
KR101368449B1 (ko) 렌즈 교체 장착이 가능한 고글
KR200470050Y1 (ko) 샷시문용 방풍구
JP6403694B2 (ja) 真空掃除機用具
KR100624178B1 (ko) 푸쉬 프레임을 포함하는 손 보호구
JP3729499B1 (ja) 引き戸案内溝の清掃用ブラシ
JP6592455B2 (ja) 共通の面内に配置されたスライドリーフを有するスライドドア構成
FI107730B (fi) Sormisuoja
JP4537883B2 (ja) トイレのドア装置
KR200387080Y1 (ko) 문짝 아래쪽 틈새 차단구
KR200415174Y1 (ko) 용접용 헬멧의 차광유리 용접면 구조
JP6229943B2 (ja) エレベータのドア開閉装置
KR101444084B1 (ko) 기밀성 향상 구조가 결합된 미닫이문
KR200488078Y1 (ko) 승강기용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
KR101043128B1 (ko) 도어용 몰딩
KR20210017712A (ko) 여닫이문용 패널형 손끼임 방지구
KR970001154B1 (ko) 미끄럼 셔터를 구비한 건식 면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