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3099U - 변압기 보빈 구조 - Google Patents

변압기 보빈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3099U
KR20100003099U KR2020080012251U KR20080012251U KR20100003099U KR 20100003099 U KR20100003099 U KR 20100003099U KR 2020080012251 U KR2020080012251 U KR 2020080012251U KR 20080012251 U KR20080012251 U KR 20080012251U KR 20100003099 U KR20100003099 U KR 2010000309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ing body
transformer bobbin
bobbin structure
latch portion
fix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22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푸-치 트사이
친-웬 후앙
Original Assignee
핀 샤인 인더스트리얼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핀 샤인 인더스트리얼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핀 샤인 인더스트리얼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to KR20200800122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3099U/ko
Publication of KR2010000309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309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2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 H01F27/324Insulation between coil and core, between different winding sections, around the coil; Other insulation structures
    • H01F27/325Coil bobb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2Casings
    • H01F27/027Casing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of signal type inductors or transformers with electronic circuits, e.g. mounting on printed circuit boar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9Terminals; Tapping arrangements for signal inductances
    • H01F27/292Surface mounted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5/00Coils
    • H01F5/04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ions to coils, e.g. leads
    • H01F2005/043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ions to coils, e.g. leads having multiple pin terminals, e.g. arranged in two parallel lines at both sides of the coi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5/00Coils
    • H01F5/04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ions to coils, e.g. leads
    • H01F2005/046Details of formers and pin terminals related to mounting on printed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Abstract

변압기 보빈 구조는 권취부를 갖는 절연 몸체; 절연 몸체의 양쪽에 각각 설치된 복수의 단자들; 및 절연 몸체의 적합한 위치에 설치되되, 절연 몸체에 연결된 커플링부, 커플링부의 단부에 연결된 만곡부, 커플링부에 실질적으로 수직이고 만곡부의 단부에 연결된 래치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유닛을 포함함으로써, 고정 유닛은 절연 몸체를 회로 기판에 고정하고 권취가 이용될 때 보다 양호한 전기적 특성을 달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권취부, 절연 몸체, 단자, 커플링부, 만곡부, 래치부, 고정 유닛

Description

변압기 보빈 구조{TRANSFORMER BOBBIN STRUCTURE}
본 고안은 변압기 보빈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정 유닛에 의해 회로 기판상에 절연 몸체를 고정하고, 고정 유닛이 와이어들의 권취 및 변압기의 사용을 위해 적용될 때 보다 양호한 전기적 특성을 달성할 수 있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변압기 보빈(6)은 플라스틱 몸체(61), 플라스틱 몸체(61) 상에 배치된 권취부(62), 플라스틱 몸체(61)의 바닥으로부터 일체로 뻗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래치부(latch portion; 63), 및 플라스틱 몸체(61)의 양쪽에 각각 배치된 복수의 단자(64)들을 포함하며, 래치부(63)는 실질적으로 권취부(62) 및 각 단자(64)에 전도성 와이어(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를 감기 위한 버섯 머리 구조이고, 래치부(63)는 회로 기판에 걸고 납땜 됨으로써, 변압기 보빈(6)은 각종의 타입의 변압기 또는 인덕터들(inductors)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한 종래의 변압기 보빈(6)은 권취 공정 후 회로 기판과의 납땜을 위해 적용될 수 있지만, 플라스틱 몸체(61) 및 그 래치부(63)는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되며, 래치부(63)는 납땜 공정 후 용해 또는 손상되어 통상의 고정시키는 힘을 제공할 수 없게 된다. 래치부(63)가 용해 또는 손상되지 않더라도 가열되어 그 유연성 이 상실될 것이다. 래치부(63)의 취약성(brittleness)이 개선되면, 래치부(63)는 쉽게 갈라지거나 깨질 수 있어 그 기능을 상실할 것이다. 또한, 래치부(63)가 제조될 때, 플라스틱 금형(plastic mold)은 보통 복잡한 구조를 가진 슬라이드 부재(slide member)를 필요로 하여, 플라스틱 금형의 구조적 복잡성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금형의 구조적 강도를 감소시킬 수 있어 금형이 쉽게 손상되고 만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주된 목적은 고정 유닛을 사용하여 절연 몸체를 회로 기판에 단단히 고정하고, 와이어를 권취하고 변압기 보빈을 사용하기 위해 고정 유닛과의 보다 양호한 전기적 특성을 달성하는 변압기 보빈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변압기 보빈 구조는 권취부를 갖는 절연 몸체, 절연 몸체의 양쪽에 설치된 복수의 단자, 및 절연 몸체의 한쪽에서 적합한 위치에 설치되되, 절연 몸체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커플링부, 커플링부의 단부에 연결된 만곡부, 및 커플링부에 실질적으로 수직이고 만곡부의 단부에 연결된 삽입부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유닛을 포함한다.
본 고안은 절연 몸체를 회로 기판에 고정하는데 고정 유닛을 사용하고, 와이어를 권취하고 본 고안을 사용하기 위해 고정 유닛과의 보다 양호한 전기적 특성을 달성한다.
각각 본 고안의 제1 바람직한 실시예의 분해도, 사시도, 및 단면도와 도 4의 부분 확대도인 도 2 내지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변압기 보빈 구조는 절연 몸체(1), 복수의 단자(2)들 및 적어도 하나의 고정 유닛(3)을 포함한다.
절연 몸체(1)는 권취부(11)를 포함한다.
각 단자(2)는 절연 몸체(1)의 양쪽에 별개로 배치된다.
고정 유닛(3)은 합금 구리 또는 합금 철로 제조되어, 절연 몸체(1)의 한쪽(예컨대, 메인측, 보조측, 두 대칭측 또는 두 비대칭측) 상에서 적합한 위치에 배치되며, 절연 몸체(1)에 연결된 커플링부(31), 커플링부(31)의 단부에 연결된 만곡부(32), 및 커플링부(31)에 실질적으로 수직이고 만곡부(32)의 단부에 연결된 래치부(33)를 포함하고, 만곡부(32)는 래치부(33)의 양쪽에 별개로 배치된 홈(321), 및 서로 인접하여 배열된 2개의 대응 후크 보드(hook board; 331)들을 포함한다. 상기한 구조는 새로운 변압기 보빈 구조를 구성한다.
본 고안이 적용될 때, 전도성 와이어(4)가 권취부(11), 각 단자(2), 및 고정 유닛(3)에 감기고, 홈(321)이 고정 유닛(3)의 만곡부(32)의 양쪽에 별개로 배치되고, 보다 큰 직경을 갖는 전도성 와이어(4) 또는 보다 많은 전도성 와이어(4)들을 감기 위해 제공된다. 권취가 완료된 후, 본 고안은 각종의 상이한 타입의 변압기들 또는 인덕터들에 사용될 수 있다. 조립 공정 동안에, 고정 유닛(3)의 래치부(33)는 회로 기판(5)의 삽입 구멍(51)을 관통하고, 래치부(33)의 후크 보드(331)가 회로 기판(5)의 바닥에 걸린 다음에, 후크 보드(331)가 회로 기판(5)에 납땜된 다. 절연 몸체(1)는 고정 유닛(3)에 의해 회로 기판(5)에 단단히 고정된다. 만곡부(32)는 래치부(33)를 미리 결정된 위치 및 미리 결정된 간격으로 제한하기 위해 제공되므로, 래치부(33)는 삽입 구멍(51)에 보다 정교하게 삽입될 수 있다.
실제 응용들에서, 고정 유닛(3)은 변압기의 고전압 또는 저전압 입력/출력을 수행하는 단자 기능을 제공한다. 고정 유닛(3)의 크기는 각 단자(2)보다 크므로, 본 고안은 보다 높은 저전압 전류를 전달하기 위해 적용될 수 있고 또는 접지 기능을 한다. 후크 보드(331)가 회로 기판(5)에 납땜 된 후, 납땜 지점은 후크 보드(331)의 설계에 의해 위로 휜(cambered) 표면을 형성함으로써, 와이어가 권취되어 보빈이 사용될 때 고정 유닛(3)과의 보다 양호한 전기적 특성을 달성하기 위해, 납땜 지점에서 방전되는 고전압이 감소될 수 있다.
각각 본 고안의 제2 바람직한 실시예의 분해도 및 본 고안의 제2 바람직한 실시예의 래치부의 개략도인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고정 유닛(3)의 래치부(33)는 제1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으나, 래치부(33a)는 래치부(33a)의 양쪽에 별개로 배치된 돌출 표면(332a), 및 래치부(33a) 상에 그리고 두 돌출 표면(332a)들 사이에 배치된 관통 구멍(333a)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래치부(33a)가 회로 기판(5)의 삽입 구멍(51)을 관통한 후, 두 돌출 표면(332a)들이 간섭(interference)한다. 본 고안의 고정 유닛(3)은 제1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설명된 효과와 동일한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다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각각 본 고안의 제3 바람직한 실시예의 분해도 및 본 고안의 제3 바람직한 실시예의 래치부의 개략도인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고정 유닛(3)의 래치부(33, 33a)들은 제1 및 제2 바람직한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를 갖지만, 래치부(33b)는 래치부(33b)의 외부측에 배치된 후크 몸체(334b)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래치부(33b)가 회로 기판(5)의 삽입 구멍(51)을 통과한 후에, 후크 몸체(334b)가 회로 기판(5)의 바닥 표면에 걸린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고정 유닛(3)은 제1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설명된 효과와 동일한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다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을 요약하면, 본 고안의 변압기 보빈 구조는 종래 기술의 단점을 극복하며, 본 고안은 절연 몸체를 회로 기판에 고정하는데 고정 유닛을 사용하고, 와이어를 권취하고 본 고안을 사용하기 위해 고정 유닛과의 보다 양호한 전기적 특성을 달성한다. 본 고안은 실용신안등록출원 요건을 따르며, 따라서 실용신안등록출원을 위해 제시간에 제출된 것이다.
본 고안은 특정 실시예들에 의해 설명되었지만, 수많은 변형 및 변경이 청구범위에 정의된 본 고안의 범위 및 취지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행해질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1 바람직한 실시예의 분해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1 바람직한 실시예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1 바람직한 실시예의 단면도.
도 5는 도 4의 부분 확대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2 바람직한 실시예의 분해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2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래치부의 개략도.
도 8은 본 고안의 제3 바람직한 실시예의 분해도.
도 9는 본 고안의 제3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래치부의 개략도.

Claims (6)

  1. 변압기 보빈 구조에 있어서,
    위에 배치된 권취부를 갖는 절연 몸체;
    상기 절연 몸체의 양쪽에 각각 설치된 복수의 단자들; 및
    상기 절연 몸체의 한쪽에서 적합한 위치에 설치되되, 상기 절연 몸체에 연결된 커플링부, 상기 커플링부의 단부에 연결된 만곡부, 상기 커플링부에 실질적으로 수직이고 상기 만곡부의 단부에 연결된 래치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유닛을 포함하는 변압기 보빈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유닛은 합금 구리 또는 합금 철로 제조된 변압기 보빈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부는 상기 만곡부의 양쪽에 별개로 배치된 홈을 포함하는 변압기 보빈 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부는 서로 인접하여 배열된 2개의 대응 후크 보드들(hook boards)을 포함하는 변압기 보빈 구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부는 상기 래치부의 양쪽에 별개로 배치된 돌출 표면, 및 상기 2개의 돌출 표면들 사이에서 상기 래치부 상에 배치된 관통 구멍을 포함하는 변압기 보빈 구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부는 후크 몸체를 포함하는 변압기 보빈 구조.
KR2020080012251U 2008-09-09 2008-09-09 변압기 보빈 구조 KR2010000309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2251U KR20100003099U (ko) 2008-09-09 2008-09-09 변압기 보빈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2251U KR20100003099U (ko) 2008-09-09 2008-09-09 변압기 보빈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3099U true KR20100003099U (ko) 2010-03-18

Family

ID=44198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2251U KR20100003099U (ko) 2008-09-09 2008-09-09 변압기 보빈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3099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27216B2 (ja) 表面実装用磁気装置
TWI315075B (ko)
TWI395238B (zh) Magnetic parts
JP2008112753A (ja) 横型低背コイル部品及びその巻線端末のはんだ付け方法
JP2005142459A (ja) 面実装型インダクタ
US7091815B2 (en) Electrical device, transformer, and induc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electrical device
JP2000164431A (ja) インダクタ
JP2008182021A (ja) コイル部品
JP2012164833A (ja) 表面実装型コイル
JP5490842B2 (ja) 面実装インダクタ
JP2010153460A (ja) 巻線部品
KR20100003099U (ko) 변압기 보빈 구조
KR102173774B1 (ko) 코일 모듈 및 그 제조방법
JP6569351B2 (ja) 絶縁トランス実装基板および電源装置
JPH0655228U (ja) チョークコイル
CN208908181U (zh) 贴片电感及电子设备
JP2012138640A (ja) チョークコイル
KR20220000886U (ko) 슬림형 트랜스포머
JPH06283361A (ja) 面実装型コイル部品
JP2020512702A (ja) 電気部品、部品装置、及び部品装置の製造方法
JP2002118019A (ja) 面実装型巻線部品
JP2005109422A (ja) インダクタ
JP2013168476A (ja) コモンモードチョークコイル
JPH0864411A (ja) コイルボビン
KR101367951B1 (ko) 코일 부품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