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2793A - 극저 탄소강용 샘플러 - Google Patents

극저 탄소강용 샘플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2793A
KR20100002793A KR1020080062825A KR20080062825A KR20100002793A KR 20100002793 A KR20100002793 A KR 20100002793A KR 1020080062825 A KR1020080062825 A KR 1020080062825A KR 20080062825 A KR20080062825 A KR 20080062825A KR 20100002793 A KR20100002793 A KR 201000027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let
sampler
cap
metal cap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28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92514B1 (ko
Inventor
황선춘
김효상
이규홍
김현수
Original Assignee
우진 일렉트로나이트(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진 일렉트로나이트(주) filed Critical 우진 일렉트로나이트(주)
Priority to KR10200800628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2514B1/ko
Publication of KR20100002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27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25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25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1/12Dippers; Dredgers
    • G01N1/125Dippers; Dredgers adapted for sampling molten meta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 Investigating And Analyzing Materials By Characteristic Meth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강공정에서 극저 탄소강 혹은 전기강판과 같은 고급강의 샘플을 채취하는 극저 탄소강용 샘플러에 관한 것으로, 상단에 시료가 유입되는 개구부가 형성된 유입구(140)와, 상기 유입구(140)를 통해 유입된 시료를 저장하는 샘플링케이스(160)와, 상기 유입구(140)에 의해 관통되어 유입구(140) 하단부의 외측면에 고정되는 내열 헤드(150)와, 상기 유입구(140)를 밀폐하기 위한 2차 금속 캡(130)과, 상기 내열 헤드(150)에 고정되며 상기 2차 금속 캡(130)의 외부를 둘러싸는 1차 금속 캡(1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용강 시료채취용 샘플러에 있어서; 상기 2차 금속 캡(130)은 상기 유입구(140)에 외접하도록 삽입되고, 상기 1차 금속 캡(120)의 돌출길이(A)와 상기 유입구(140)의 돌출길이(B) 차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저 탄소강용 샘플러를 제공한다.
따라서 샘플채취시 발생하는 시료 미충진, 캡응착, 카본픽-업 등의 샘플불량을 해소하여, 건전한 시료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극저 탄소강(ULTRA LOW CARBON STEEL), 샘플(SAMPLE), 캡(CAP)

Description

극저 탄소강용 샘플러{SAMPLER FOR ULTRA LOW CARBON STEEL}
본 발명은 침지 샘플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철강공정에서 극저 탄소강 혹은 전기강판과 같은 고급강의 샘플을 채취하는 극저 탄소강용 샘플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샘플러는 철강, 비철금속 혹은 용융 실리콘 등의 생산 공정에서 고온 용융 금속의 정보를 얻기 위해 전기로, 정련로 혹은 래들 등에 침지되어 사용되는 시료채취기로서, 고온 용융 금속에 침지되어 보호관이 소손되는 시간동안 시료를 채취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용융금속의 샘플채취에 있어 근래의 다양한 종류의 극저 탄소강과 같은 고급강의 수요가 증가됨에 따라, 고급강의 용융 금속의 정보를 얻기 위한 샘플러의 품질수준의 향상 또한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일 예로, 철강의 사용량 중 큰 비중을 차지하는 자동차 강판의 경우, 보다 경량화되고 가공성이 뛰어난 고강도의 소재가 요구되고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보다 낮은 수준의 불순물의 제어가 필요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고품질화는 다양한 금속소재 분야에서 요구되고 있으며, 극한의 성분제어를 위해 그 측정도구 중 하나인 샘플러의 청정도 및 품질수준의 향상 또한 함께 요구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샘플러(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융된 금속이 응고될 수 있는 샘플링케이스(16)가 구비되고, 용융 금속이 유입되며 상기 샘플링케이스(16)의 일측면과 연결되는 유입구(14)가 형성되어 있다. 내열 헤드(15)는 상기 유입구(14)에 의해 관통되어 상기 샘플링케이스(16)와 유입구(14)를 고정하며 보호관(18)에 의해 보호된다. 상기 유입구(14)는 캡에 의해 보호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샘플링케이스(16)로는 철계가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용도에 따라 니켈(Ni), 주석(Sn) 등의 도금재를 사용하여 샘플표면을 미려하게 혹은 건전하게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유입구(14)로는 고온의 샘플에 의해 용융, 응착, 변형이 이루어지지 않고, 소재로부터 샘플이 냉각되어 유입구 막힘 등의 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샘플을 오염시키지 않을 수 있는 소재가 사용되는데, 쿼츠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 내열 헤드(15)는 세라믹 계열의 소재를 사용함이 일반적이며, 구체적으로는 래진코팅 규사를 사용하거나 알루미나-실리카 계열로서 성형성이 우수한 소재를 선택적으로 사용한다. 특별히 본 발명의 기술분야를 포함하는 샘플러에 있어서는, 상기 래진코팅 규사는 가스발생 등으로 인한 샘플의 탄소오염 소지가 있으므로, 알루미나-실리카 계열의 세라믹 블럭 형태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호관(18)은 다중으로 형성되며 일반적으로 지관이 사용되고 있다. 중공의 지관에 샘플러 후단으로, 별도의 홀더(holder, 미도시)에 장착하여 용융금속과 일정거리 떨어진 곳에서 용융금속에 수초 간 침지하여 샘플을 채취하게 되며, 경우에 따라 세라믹 계열의 슈퍼슬리브(17)를 최외곽 보호관으로 사용함으로써, 스플래쉬 방지, 지관 탄화 방지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기도 한다.
상기 캡 또한 다중으로 형성할 수 있는데, 최외각은 종이 캡을 사용하고 내부에 금속의 캡(12)을 구성함이 일반적이다. 종이 캡을 사용하는 것은 슬래그에 의한 유입 방해가 이루어지더라도 종이 캡이 타는 동안 상단에 부유하고 있는 슬래그의 샘플실 유입을 막을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슬래그와 상온의 물체(일 예로 금속의 캡)와의 접촉시에 물체의 표면에 슬래그가 코팅될 수 있으나, 종이가 타면서 발생되는 가스로 인해 슬래그가 코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 후 충격에 약한 석영소재의 유입구(14) 보호를 위해 금속의 캡(12)을 샘플러 끝단 종이 캡 내부에 위치시키게 된다. 또한 경우에 따라, 캡 내부의 공간으로 용융 금속이 일시에 와류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종이 캡이나 기타 외부 오염원의 샘플링케이스 내부로의 혼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유입 지연시키기 위해, 유입구(14)를 밀봉할 수 있는 2차 캡(13)을 설치하기도 한다. 이와 같은 2차 캡(13)은 금속이나, 내열 유리 등의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그 하단이 내열 헤드(15)와 접촉되어 내화시멘트(19)로 고정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샘플채취에 있어 발생되는 문제점 중 하나는 일부 온도가 낮은 또는 용강과열도(용강의 응고 온도로부터 현재 용융상태의 온도 차)가 작은 용강에 있어, 충분한 침지깊이와 침지시간에도 불구하고, 2차 캡(13)이 용융되지 않거나, 일부가 응착되어 충분한 용강이 유입되지 않게 된다는 점이다.
즉, 상기 내열시멘트(19)는 알루미나가 대부분을 조성을 구성하며 기타 실리 카, 산화나트륨 등이 포함되어 금속에 비해 열용량이 상당히 크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의 용강에 대해서 내열시멘트의 외곽에 용강이 응착되며, 응고된 금속의 성장으로 2차 캡(13)의 용융이 방해를 받아 지연되거나 아예 열리지 않게 되고, 이로 인하여 샘플링케이스에 건전한 샘플을 확보하기 어려워지는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다.
때문에 현장에서는 고열을 견디며 캡이 녹을 때까지, 침지상태를 십 수초 유지하여 샘플을 채취하거나 후 공정에서 주조 후의 주편을 잘라 분석하는 방법 등의 다른 방법으로 대처하고 있는 실정이나, 이와 같은 대체방법은 시간 및 비용 측면에서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 다른 문제점으로는, 수십 ppm 단위로 제어가 필요한 고급강에 있어, 전후 처리 관계 및 누적 데이터와의 비교시 발생하는 카본픽-업의 문제이다. 예를 들면, 20ppm ±10ppm [C]의 규제강에서, 전 단계에서 성분 분석시 규제범위 내의 강이, 40~50ppm [C]의 범위로 성분 분석결과가 나오게 되는 현상이 일어난다.
이와 같은 현상은 다양한 카본 오염 경로 - 즉, 턴디쉬(Tundish) 상단이나 래들(Ladle) 상단에 투입, 부유하는 보온재의 유입이나, 성분 조정을 위한 페로망간, 페로실리콘 등의 첨가물에서 일부 발생할 수 있는 오염, 처리중 상단의 처리기(器)로부터의 지금(base metal) 탈락에 의한 성분 오염 등의 원인에 의해 발생하고 있으며,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분야인 샘플러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카본픽-업 오염원의 극한 제거 또한 필수적으로 요구되나 종래의 샘플러는 이에 대한 대비가 부족한 실정이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극저 탄소강 혹은 전기강판과 같은 고급강재의 샘플채취시 발생하는 시료 미충진, 캡응착, 카본픽-업 등의 샘플불량을 해소하여 단시간에 용강 대표성을 갖는 건전시료를 획득할 수 있는 극저 탄소강용 샘플러를 제공하는 것을 그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극저 탄소강용 샘플러는 상단에 시료가 유입되는 개구부가 형성된 유입구(140)와, 상기 유입구(140)를 통해 유입된 시료를 저장하는 샘플링케이스(160)와, 상기 유입구(140)에 의해 관통되어 유입구(140) 하단부의 외측면에 고정되는 내열 헤드(150)와, 상기 유입구(140)를 밀폐하기 위한 2차 금속 캡(130)과, 상기 내열 헤드(150)에 고정되며 상기 2차 금속 캡(130)의 외부를 둘러싸는 1차 금속 캡(1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용강 시료채취용 샘플러에 있어서; 상기 2차 금속 캡(130)은 상기 유입구(140)에 외접하도록 삽입되고, 상기 1차 금속 캡(120)의 돌출길이(A)와 상기 유입구(140)의 돌출길이(B) 차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2차 금속 캡(130)이 상기 유입구(140) 외부 지름(C)의 제곱에 상기 1차 캡(120)의 돌출길이(A)와 상기 유입구(140)의 돌출길이(B) 차의 제곱을 더한 값의 제곱근보다 길게 형성되도록 한다.
이 때, 상기 1차 금속 캡(120) 및 2차 금속 캡(130)은 탄소 성분이 30ppm 이하인 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다른 양상에 의하면, 본 발명의 극저 탄소강용 샘플러는 상단에 시료가 유입되는 개구부가 형성된 유입구(140)와, 상기 유입구(140)를 통해 유입된 시료를 저장하는 샘플링케이스(160)와, 상기 유입구(140)에 의해 관통되어 유입구(140) 하단부의 외측면에 고정되는 내열 헤드(150)와, 상기 내열 헤드(150)에 고정되어 상기 유입구(140)를 밀폐하기 위한 내열 유리 캡(131)과, 상기 내열 헤드(150)에 고정되며 상기 내열 유리 캡(131)의 외부를 둘러싸는 1차 금속 캡(1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용강 시료채취용 샘플러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140)는 내열 헤드(150)로부터 30mm 이상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응고 온도가 낮아 캡의 용융이 원활하지 못한 경우에 있어서도 열손실을 줄여 캡의 용융 및 시료의 충전 능이 우수해 진다. 이로 인해, 샘플링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미충전으로 인한 용강 처리시간 지연을 방지할 수 있어 제강생산 능력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2차 금속 캡의 고정에 요하는 내화 시멘트 처리공정이 생략되어 공정시간이 단축되므로, 생산성을 보다 향상할 수 있게 된다.
둘째, 샘플링시 발생할 수 있는 시료오염원을 미리 제거하여, 샘플링에 의한 성분의 편차가 발생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극저 탄소강용 샘플러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극저 탄소강용 샘플러의 요부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극저 탄소강용 샘플러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극저 탄소강용 샘플러(100)는 용융된 금속이 유입되는 유입구(140)와 연결되어 있는 샘플링케이스(16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샘플링케이스(160)로는 철계가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용도에 따라 니켈(Ni), 주석(Sn) 등의 도금재를 사용함으로서 샘플표면을 미려하게 혹은 건전하게 유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내열 헤드(150)는 상기 유입구(140)에 의해 관통되어 상기 샘플링케이스(160)와 유입구(140)를 고정하며 보호관(180)에 의해 보호된다. 상기 유입구(140)는 2차 금속 캡(130)에 의해 보호되어 있으며, 1차 금속 캡(120)은 상기 2차 금속 캡(130)의 외부를 둘러싸고, 내열 헤드(150)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2차 금속 캡(130)의 외부에는 슬래그의 샘플실 유입을 막을 수 있도록 종이 캡(110)이 구비된다.
상기 유입구(14)에 외접하면서 삽입되는 2차 금속 캡(130)은 그 하부가 내열 헤드(150)에 접촉되지 않으며, 따라서 2차 금속 캡(130)이 내열 시멘트로 고정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극저 탄소강용 샘플러(100)는 2차 금속 캡(130)을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고정장치가 필요없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는 본 발명의 극저 탄소강용 샘플러(100)를 구성하는 2차 금속 캡(130)의 길이(D)를 상기 1차 금속 캡(120)의 돌출길이(A)와 상기 유입구(140)의 돌출길이(B) 차보다 길게 구성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극저 탄소강용 샘플러(100)는 상기 2차 금속 캡(130)의 길이(D)가 D 〉A - B 의 범위내에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2차 금속 캡(130)을 고정하기 위해 내열 시멘트 대신 2차 금속 캡의 외관에 노치를 주어 석영관에 억지 끼워맞추는 방법을 생각해 볼 수 있으나, 이는 매끈한 석영관에 일시적으로만 부착되거나, 석영관에 크랙을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불완전하며, 또 다른 방법으로 여타 폴리머 계열의 접착제를 사용하는 경우 고온에서 그 기능을 발휘하기 어려우므로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극저 탄소강용 샘플러(100)는 2차 금속 캡(130)을 고정하는 고정장치가 없어 이송이나 사용 전에 2차 금속 캡(130)이 유입구(140)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2차 금속 캡(130)의 길이를 1차 금속 캡(120)의 돌출길이(A)와 유입구(140)의 돌출길이(B) 차보다 길게 구성하도록 하는 것이다.
침지 시에는 도 1의 샘플러를 상하로 뒤집어 용강에 침지하기 때문에, 1차 금속 캡(120) 방향으로 떨어진 2차 금속 캡(130)이 본 기능을 소실하게 될 수 있으나, 침지된 샘플러의 하단으로부터 용강의 정압에 의해 압력이 낮은 샘플링케이스(160) 내부 방향으로 2차 금속 캡(130)이 들여올려지므로, 캡 내부의 공간으로 용융 금속이 일시에 와류 유입됨을 방지되며, 종이 캡과 기타 외부 오염원의 샘플링케이스 혼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유입 지연시키는 2차 금속 캡(140)의 본 기능을 적절히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특별히, 큰 유입구를 필요로 하는 샘플러의 경우, 상기 2차 금속 캡(130)의 길이를 상기 유입구 외부 지름(C)의 제곱에 상기 1차 캡의 돌출길이(A)와 상기 유입구의 돌출길이(B) 차의 제곱을 더한 값의 제곱근보다 길게 구성함으로써, 2차 금속 캡(130)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2차 금속 캡(130)의 길이(D)는 하기의 수식에 따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112008047214965-PAT00001
이와 같이 2차 금속 캡(130)의 길이(D)를 상기한 바와 같은 특정 범위로 형성함으로서, 내열 시멘트로 2차 금속 캡(130)을 고정시키는 과정이 생략되어 공정시간이 단축되고 생산성이 향상되며, 내열 시멘트의 외곽에 응착되는 용강에 의해 2차 금속 캡(130)이 용융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샘플 충전을 용이하게 수행함과 동시에 건전한 샘플을 얻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1차 금속 캡(120) 및 2차 금속 캡(130)은 일반용 냉연강판과 같은 범용소재를 사용함이 일반적인데, 최근의 고급강 시료채취에 있어서는 상기 캡의 소재를 제한함으로써, 실제 용강과 샘플 분석의 편차로부터 일부 자유로와 질 수 있다.
실제 100g 가량의 시료를 채취하기 위해 수g의 캡이 용융되어 발생시킬 수 있는 성분 오염은 극히 미량이나, 급냉이 이루어지는 샘플링케이스 내부에서 일부 캡의 편석을 형성하여 실제 용강과는 다른 성분을 그 값으로 지시하게 됨으로써, 생산의 혼돈을 야기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때문에, 수십ppm [C]을 제어하는 고급강에 있어서는 상기 1차 금속 캡(120)의 [C] 성분을 30ppm 으로, 또한 2차 금속 캡(130)이 요구되는 용강 혹은 공정에 있어서는 상기 2차 금속 캡의 [C] 성분을 30ppm으로 제한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수치는 통상 70ppm[C] 이하의 극한 제어가 요구되는 극저 탄소강에 있어, 카본 픽-업을 최소화하여 조업의 혼돈을 막기 위함이다.
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차 캡으로 내열 유리 소재의 내열 유리 캡(131)이 사용되는 강종의 샘플러에 있어서는, 상기 유리 소재의 2차 캡을 내열 헤드에 고정하지 않고 1차 금속 캡의 돌출길이(A)와 유입구의 돌출길이(B) 차보다 길게 형성하는 경우, 이송이나 사용시의 물리적 충격에 의한 파손위험이 매우 높게 된다. 따라서 2차 캡으로 내열 유리 캡(131)이 사용되는 경우, 내열 유리 캡(131)을 내열 헤드(150)에 내화 시멘트(190)로 고정하되, 상기 내화 시멘트(190)에 응착되어 응고 성장할 수 있는 용강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고, 유입구(140) 선단의 내열 유리 캡(131)이 적절한 위치에서 연화-용융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유입구(140)의 선단이 상기 내열 헤드(150)로부터 약 30mm 이상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유입구(140)의 돌출길이의 상한은 상기 1차 금속 캡(120)의 돌출길이에 따라 정하여지게 된다.
즉, 상단에 시료가 유입되는 개구부가 형성된 유입구(140)와, 상기 유입구(140)를 통해 유입된 시료를 저장하는 샘플링케이스(160)와, 상기 유입구(140)에 의해 관통되어 유입구(140) 하단부의 외측면에 고정되는 내열 헤드(150)와, 상기 내열 헤드(150)에 고정되어 상기 유입구(140)를 밀폐하기 위한 내열 유리 캡(131)과, 상기 내열 헤드(150)에 고정되며 상기 내열 유리 캡(131)의 외부를 둘러싸는 1차 금속 캡(1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용강 시료채취용 샘플러에 있어서는 상기 유입구(140)를 내열 헤드(150)로부터 30mm 이상 돌출되도록 형성함으로서, 고급강재의 샘플채취시 발생할 수 있는 시료 미충진, 캡응착 등의 불량을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극저 탄소강용 샘플러에 있어서 단순히 용강의 시료를 채취하는 목적 외에 온도측정이나 성분측정용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복합 샘플러나 센서등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에 의해 자명하게 변형될 수 있는 형태의 실시 또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하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예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함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샘플러의 요부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극저 탄소강용 샘플러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극저 탄소강용 샘플러의 요부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열 유리 캡이 구비된 극저 탄소강용 샘플러의 요부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극저 탄소강용 샘플러 110 : 종이캡 120 : 1차 금속 캡 130 : 2차 금속 캡 131 : 내열 유리 캡 140 : 유입구 150 : 내열 헤드 160 : 샘플링 케이스 170 : 슈퍼슬리브
180 : 보호관 190 : 내열 시멘트

Claims (5)

  1. 상단에 시료가 유입되는 개구부가 형성된 유입구(140)와, 상기 유입구(140)를 통해 유입된 시료를 저장하는 샘플링케이스(160)와, 상기 유입구(140)에 의해 관통되어 유입구(140) 하단부의 외측면에 고정되는 내열 헤드(150)와, 상기 유입구(140)를 밀폐하기 위한 2차 금속 캡(130)과, 상기 내열 헤드(150)에 고정되며 상기 2차 금속 캡(130)의 외부를 둘러싸는 1차 금속 캡(1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용강 시료채취용 샘플러에 있어서;
    상기 2차 금속 캡(130)은 상기 유입구(140)에 외접하도록 삽입되고, 상기 1차 금속 캡(120)의 돌출길이(A)와 상기 유입구(140)의 돌출길이(B) 차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저 탄소강용 샘플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2차 금속 캡(130)은 상기 유입구(140) 외부 지름(C)의 제곱에 상기 1차 캡(120)의 돌출길이(A)와 상기 유입구(140)의 돌출길이(B) 차의 제곱을 더한 값의 제곱근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저 탄소강용 샘플러.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1차 금속 캡(120)은 탄소 성분이 30ppm 이하인 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저 탄소강용 샘플러.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2차 금속 캡(130)은 탄소 성분이 30ppm 이하인 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저 탄소강용 샘플러.
  5. 상단에 시료가 유입되는 개구부가 형성된 유입구(140)와, 상기 유입구(140)를 통해 유입된 시료를 저장하는 샘플링케이스(160)와, 상기 유입구(140)에 의해 관통되어 유입구(140) 하단부의 외측면에 고정되는 내열 헤드(150)와, 상기 내열 헤드(150)에 고정되어 상기 유입구(140)를 밀폐하기 위한 내열 유리 캡(131)과, 상기 내열 헤드(150)에 고정되며 상기 내열 유리 캡(131)의 외부를 둘러싸는 1차 금속 캡(1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용강 시료채취용 샘플러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140)는 내열 헤드(150)로부터 30mm 이상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저 탄소강용 샘플러.
KR1020080062825A 2008-06-30 2008-06-30 극저 탄소강용 샘플러 KR1009925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2825A KR100992514B1 (ko) 2008-06-30 2008-06-30 극저 탄소강용 샘플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2825A KR100992514B1 (ko) 2008-06-30 2008-06-30 극저 탄소강용 샘플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2793A true KR20100002793A (ko) 2010-01-07
KR100992514B1 KR100992514B1 (ko) 2010-11-05

Family

ID=41812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2825A KR100992514B1 (ko) 2008-06-30 2008-06-30 극저 탄소강용 샘플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251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6327B1 (ko) 2015-10-20 2016-07-05 (주) 스페이스업 장력 유지가 가능한 단위 막재 블록 및 이에 의해 구성되는 커튼월 시스템
KR101709135B1 (ko) * 2015-11-02 2017-02-22 주식회사 포스코 용강 샘플링 장치
KR101715527B1 (ko) * 2015-12-22 2017-03-13 현대제철 주식회사 용강 샘플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9843A (ja) 1991-10-07 1993-04-23 Nippon Steel Corp 製鋼用サンプラー
JPH10324907A (ja) 1997-05-23 1998-12-08 Nkk Corp 溶融金属用複合プローブ
JP2000171457A (ja) * 1998-12-03 2000-06-23 Osaka Oxygen Ind Ltd 試料採取複合プローブ
DE10360625B3 (de) * 2003-12-19 2005-01-13 Heraeus Electro-Nite International N.V. Probennehmer für Metallschmelz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6327B1 (ko) 2015-10-20 2016-07-05 (주) 스페이스업 장력 유지가 가능한 단위 막재 블록 및 이에 의해 구성되는 커튼월 시스템
KR101709135B1 (ko) * 2015-11-02 2017-02-22 주식회사 포스코 용강 샘플링 장치
KR101715527B1 (ko) * 2015-12-22 2017-03-13 현대제철 주식회사 용강 샘플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2514B1 (ko) 2010-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65952B2 (ja) ホットメタル用のサンプラー
CA2509893C (en) Container for molten metal, use of the container and method for determining an interface layer
KR101241586B1 (ko) 내화성 노즐 및 밀봉 부재로 이루어진 조립체
CN107159857B (zh) 一种防止开浇过程钢液二次氧化的方法
KR100992514B1 (ko) 극저 탄소강용 샘플러
Chen et al. Densification mechanism of porous alumina plugs by molten steel with different oxygen levels
JPH0333212B2 (ko)
CN114791405A (zh) 一种快速测量连铸中间包覆盖剂黏度的方法
CN111208259B (zh) 一种连铸结晶器保护渣的渣金反应模拟试验装置及其方法
JP2007316050A (ja) 溶融金属の成分分析方法および溶融金属の成分分析装置
US11684970B2 (en) Immersion sensor for determining chemical composition of molten metal
KR101183836B1 (ko) 고과열도 용융금속용 프로브
KR101797740B1 (ko) 용선 온도 측정 방법 및 그 장치
KR101072344B1 (ko) 개재물 분석용 자동 샘플러
US2013010469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tal Surface Inertion by Backfilling
KR100450525B1 (ko) 시료채취용 샘플러
JP7032600B1 (ja) Fe-Ni系合金またはNi基合金に用いる連続鋳造用モールドパウダーおよび連続鋳造方法
EP3130907A1 (en) Slag cap
CN103451371B (zh) 感应炉钢液覆盖吹氩保护浇注工艺及装置
CN117795320A (zh) 耐火喷枪组件和耐火喷枪管
JP2001249063A (ja) 溶融金属試料採取プローブ
JP2676448B2 (ja) 銅合金注湯炉の注湯ノズル及び注湯ノズル開閉用ストッパ並びにこれらを用いた注湯口装置
JP2017221971A (ja) 鋼の連続鋳造用注入管
JPS583751A (ja) 誘導融解法
JPS5821210B2 (ja) 溶融金属の連続測温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