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2752A - 식품 또는 약품용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식품 또는 약품용 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2752A
KR20100002752A KR1020080062771A KR20080062771A KR20100002752A KR 20100002752 A KR20100002752 A KR 20100002752A KR 1020080062771 A KR1020080062771 A KR 1020080062771A KR 20080062771 A KR20080062771 A KR 20080062771A KR 20100002752 A KR20100002752 A KR 201000027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base
outlet
cover
dispen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2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98864B1 (ko
Inventor
김광식
Original Assignee
김광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식 filed Critical 김광식
Priority to KR10200800627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8864B1/ko
Publication of KR201000027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27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88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88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076Medicament distribu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 B65D83/0409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the dispensing means being adapted for delivering one article, or a single dose, upon each actu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관된 식품 또는 약품 등의 내용물을 하나씩 또는 일정량씩 배출시키는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 측면에 배출구(102)가 형성된 원통형의 베이스(100) 내부에, 둘레에 내용물이 삽입될 수 있는 다수의 삽입홈(202)이 등간격으로 형성된 회전로터(200)가 결합되고, 베이스(100)의 위쪽에는 용기본체(400)가 거꾸로 결합되어, 버튼(700)을 누를 때마다 회전로터(200)가 일정 각도 회전하면서 배출구(102) 쪽으로 이동하는 삽입홈(202)에 삽입되어 있는 내용물이 배출구(102)로 배출되도록 된 것이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이 구성된 디스펜서의 배출구(102)에 커버(600)가 결합되어 버튼(700)을 누를 때마다 회전로터(200)가 일정 각도씩 회전함과 동시에 배출구(102)를 막고 있는 커버(600)가 배출구(102)를 개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커버(600)는 축(602)에 의하여 배출구(102)에 회동되게 결합되고, 커버(600)의 위쪽에는 장공(606)이 형성된 작동바(604)가 돌출 형성되어, 이 장공(606)에 버튼(700)의 걸림돌기(704)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구성된 것이다.
본 발명은 버튼(700)을 누르면 회전로터(200)가 일정 각도 회전하고, 동시에 버튼(700)에 형성된 걸림돌기(704)가 커버(600)의 상부에 형성된 작동바(604)의 장공(606) 내에서 슬라이딩되면서 작동바(604)를 뒤로 밀게 되므로, 커버(600)가 축(602)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배출구(102)를 개방하게 되며, 배출구(102)가 개방되면, 배출구(102) 쪽으로 이동한 삽입홈(202)에 삽입된 내용물이 배출구(102)로 배출되고, 버튼(700)을 놓으면 복귀용 코일스프링(714)에 의하여 버튼(700)이 원위치되면서, 커버(600)가 배출구를 밀폐하게 된다.
디스펜서, 껌통, 껌, 약품, 조제

Description

식품 또는 약품용 디스펜서{Dispenser for foods or medicines}
본 발명은 껌과 같은 식품이나 주기적으로 복용하는 약품을 보관하여 한번에 하나씩 또는 일정량씩 배출할 수 있도록 한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서, 버튼을 누를 때마다 내부에 저장된 고형 또는 분말의 식품이나 약품 등의 내용물이 하나씩 또는 일정량씩 배출되도록 된 것이다.
종래의 식품 또는 약품용 디스펜서로는 본 발명자가 발명 또는 고안한 실용신안등록 제531604호, 제328700호, 제354242호, 특허 공개번호 제10-2005-0101583호 등이 있다.
상기 종래의 디스펜서들은 일측에 내용물이 배출될 수 있는 배출구와 버튼이 결합될 수 있는 버튼 결합공이 형성된 원통형의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둘레에 내용물이 삽입될 수 있는 다수의 삽입홈이 등간격으로 형성된 회전로터와, 버튼을 누를 때마다 상기 회전로터를 일정 각도씩 회전시키기 위한 수단과, 상기 회전로터가 역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과, 내용물이 배출구로 계속하여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결 합되는 용기 또는 뚜껑으로 구성되어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디스펜서는 버튼을 누르면 베이스 내에서 회전로터가 일정 각도 회전하면서 회전로터 둘레에 형성된 각각의 삽입홈에 장착된 내용물 중 배출구 위치로 이동하는 삽입홈에 장착된 내용물은 밖으로 배출된다. 이때 배출구 위치에 있는 삽입홈의 상부는 차단부재에 의하여 차단되어 있기 때문에 삽입홈에 장착된 내용물만 밖으로 배출되고 다시 버튼을 누르지 않는 한 더 이상 내용물이 배출되지는 않는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된 종래의 디스펜서는 배출구가 항상 개방되어 있어서, 밀폐효과가 떨어지고, 별도의 커버를 이용하여 배출구를 개폐할 경우에는 식품 또는 약품을 배출하기 위하여 버튼을 누르는 것 이외에 커버를 열었다 닫았다 해야 하므로 사용상의 번거로움이 있게 된다.
위와 같은 종래의 디스펜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는 베이스의 배출구에 슬라이딩되면서 배출구를 열고 닫을 수 있는 배출수단을 결합하되, 상기 배출수단의 내측에는 탄성을 갖는 걸림편을 형성하여,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배출수단을 슬라이딩시켜 배출구를 열 때 이 걸림편이 회전로터의 걸림구에 걸려서 회전로터가 일정 각도 회전되도록 한 디스펜서를 개발하였는데, 본 발명자는 이 발명에 대하여 등록 제578035호로 특허를 받았다.
상기의 디스펜서는 회전로터를 일정 각도씩 회전시키기 위한 버튼장치를 별도로 구비하지 아니하고, 배출구에 결합된 커버를 여는 동작에 의하여 회전로터가 일정 각도씩 회전되게 함으로써, 단순히 커버를 열고 닫는 것에 의하여 내용물을 하나씩 또는 일정량씩 배출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배출구를 밀폐하는 커버가 없는 종래의 디스펜서에 비해 밀폐효과가 우수한 것이다.
상기의 특허 제578035호 발명의 디스펜서는 커버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열고 닫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커버와 배출구의 가장자리가 탄성적으로 밀착되지 않아서 커버가 닫혀 있는 경우에도 배출구가 완전히 밀폐되지 않고, 커버를 옆으로 밀어서 열고 닫는 동작에 의하여 내용물을 배출하도록 된 것이어서 버튼을 누르는 것에 비해 사용상 다소 불편한 점이 있었다.
따라서 식품이나 약품 등의 내용물을 내부에 보관하여 한번에 하나씩 또는 일정량씩 배출할 수 있는 것으로서, 커버 또는 뚜껑을 열었다 닫았다 하는 동작 없이 단순히 버튼을 누르는 동작만으로 내용물이 하나씩 또는 일정량씩 배출될 수 있으면서, 동시에 내용물을 배출하지 않는 동안에는 밀폐효과가 우수한 디스펜서가 요구되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일측에 내용물이 배출될 수 있는 배출구와 버튼이 결합될 수 있는 버튼결합공이 형성된 원통형의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둘레에 내용물이 삽입될 수 있는 다수의 삽입홈이 등간격으로 형성된 회전로터와, 버튼을 누를 때마다 상기 회전로터를 일정 각도씩 회전시키기 위한 수단과, 상기 회전로터가 역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과, 내용물이 배출구로 계속하여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베 이스의 상부에 결합되는 용기 또는 뚜껑으로 구성된 디스펜서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에 상기 버튼의 작동에 의하여 열리고 닫히는 커버가 결합된 것이다.
상기 커버는 축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게 베이스의 배출구에 결합되고, 커버의 상부에는 장공이 형성된 작동바가 돌출 형성되고, 회전로터를 일정 각도씩 회전시키기 위한 버튼의 좌우에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이 걸림돌기가 상기 커버의 작동바의 장공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구성되어, 단순히 버튼을 누르는 동작만으로 내부에 보관된 내용물을 하나씩 또는 일정량씩 배출되도록 함과 동시에, 배출구에 결합된 커버를 열고 닫는 별도의 동작 없이, 버튼을 누르는 동작에 의하여 커버가 열리고, 버튼을 놓으면 커버가 닫히면서 배출구가 완전히 밀폐되도록 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디스펜서는 단순히 버튼을 누르는 동작에 의하여 내부에 보관된 내용물이 하나씩 또는 일정량씩 배출되고, 배출구에 결합된 커버를 열고 닫는 별도의 동작 없이, 버튼을 누르는 동작에 의하여 배출구에 결합된 커버가 열리고, 버튼을 놓으면 커버가 닫히면서 배출구가 완전히 밀폐되기 때문에, 커버가 없는 종래의 디스펜서와 마찬가지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으면서, 사용하지 않는 동안에는 배출구가 밀폐되어 내용물이 산폐되거나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로서,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의 베이스(100)의 상부에 용기본체(400)가 개방부가 아래로 향하도록 거꾸로 결합되어 구성된 것이고, 도 3은 베이스(100)의 사시도이다.
상기 베이스(100)의 일측면 아래에는 내용물이 배출될 수 있는 배출구(102)가 형성되어, 상기 배출구(102)를 밀폐할 수 있는 커버(600)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배출구(102)의 상부에는 버튼결합공(104)이 형성되어 상기 용기본체(400) 및 베이스(100)에 수납된 내용물을 배출하고 상기 커버(600)를 개폐할 수 있는 버튼(700)이 결합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로서, 상기 베이스(100)의 길이가 길게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100)의 상부에 용기본체 대신에 뚜껑(500)이 결합되어 구성된 것이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는 베이스(100)가 용기본체를 겸하게 된다.
도 1의 실시예와 도 2의 실시예는 용기에 내용물을 자동으로 수납하는 방법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차이가 있다.
도 1의 실시예의 경우에는 용기본체(400)가 개방부가 위로 향하도록 거꾸로 올려진 상태에서 컨베이어 등에 의하여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부에서 내용물이 내려와 충전되고, 이어서 베이스(100)가 개방부가 아래로 향한 상태로 거꾸로 내려와서 가압에 의하여 용기본체(400)에 결합되게 된다.
도 2의 실시예의 경우에는 베이스(100)가 개방부가 위로 향하도록 올려진 상태에서 컨베이어 등에 의하여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부에서 내용물이 내려와 충전되고, 이어서 뚜껑(500)이 내려와서 가압에 의하여 베이스(100)의 상부에 결합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1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하여 설명한다. 도 3 내지 10은 도 1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하여 도시된 것이다. 도 2의 실시예의 경우에도 베이스(100)의 길이가 길어서 상기 베이스(100)가 용기본체를 겸하고 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질적인 구성은 도 1의 실시예와 동일하다.
도 4는 용기본체(400)를 제거한 상태의 본 발명의 실시예의 사시도, 도 5, 6은 용기본체(40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의 분해 사시도로서, 도 5는 위에서 내려다본 것, 도 6은 아래에서 올려다본 것이다.
도 5,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100)의 내부에는 회전로터(200)가 한쪽 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베이스(100)의 내부에 회전로터(200)가 한쪽 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기 위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기 베이스(100)의 내부 바닥 중앙에는 중심축(106)이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100)의 내부 바닥의 중심축 둘레에는 래칫(108)이 형성되고, 도 5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로터(200)는 중앙에 상기 베이스(100)의 내부 바닥에 형성된 중심축(106)에 결합될 수 있는 축공(204)이 형성되고, 상면의 중앙에는 래칫(206)이 형성되고, 저면에는 하나 이상의 탄성편(208)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로터(200)를 상기 베이 스(100)의 내부에 결합하였을 때, 상기 탄성편(208)의 끝이 상기 베이스(100)의 바닥에 형성된 래칫(108)에 접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회전로터(200)의 둘레에는 수납된 내용물이 하나씩 또는 일정량씩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202)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회전로터(200)의 둘레에 형성된 삽입홈(202)의 수는 상기 베이스(100)의 내부 바닥에 형성된 래칫(108)의 잇수 및 상기 회전로터(200)의 상면에 형성된 래칫(206)의 잇수와 동일하다.
상기 베이스(100)의 일측면 아래에 형성된 배출구(102)에는 배출구(102)를 밀폐할 수 있는 커버(600)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배출구(102)에 상기 커버(600)를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배출구(102)의 상부 좌우에는 축홈(110)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600)의 좌우에는 상기 축홈(1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축(60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100)의 내부에는 상기 회전로터(200)가 결합된 위에 상기 회전로터(200)의 둘레에 형성된 삽입홈(202) 중에서 상기 배출구(102) 위치에 있는 삽입홈(202)의 상부를 차단하기 위한 차단부재(300)가 결합된다.
상기 베이스(100)내부 둘레의 상기 배출구(102) 위에는 상기 차단부재(300)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돌기(11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차단부재(300)에는 이에 대응하는 결합공(302)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차단부재(300)는 상기 회전로터(200)의 둘레에 형성된 삽입홈(202) 중 상기 배출구(102) 위치에 있는 삽입홈(202)의 윗부분 및 상기 회전로터(200)의 중 앙 부분을 덮을 수 있는 형상으로 되고, 상면은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중앙에 있는 내용물들이 상기 회전로터(200)의 둘레에 형성된 삽입홈(202) 쪽으로 잘 흘러내리도록 되어 있고, 저면 중앙에는 상기 베이스(100)에 형성된 중심축(106)의 끝 부분이 삽입, 고정될 수 있는 고정요부(30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요부(304)는 내부 둘레에 걸림돌부(314)가 돌설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100)에 형성된 중심축(106)은 끝 부분 둘레에 상기 걸림돌부(314)가 걸릴 수 있는 걸림홈(122)이 형성되고, 끝 부분에 상기 차단부재(300)를 상기 중심축(106)에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절개부(124)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100)의 결합돌기(112)가 상기 차단부재(300)의 결합공(302)에 삽입, 고정되고, 상기 베이스(100)의 중심축(106)의 끝 부분이 상기 차단부재(300)의 저면 중앙에 형성된 고정요부(304)에 삽입, 고정되므로, 상기 차단부재(300)는 상기 베이스(100)에 단단히 고정되고, 상기 차단부재(300)가 상기 베이스(100)에 단단히 고정됨으로써, 상기 차단부재(300) 아래에 결합된 회전로터(200)가 상기 베이스(100)로부터 임의로 분리되지 않는다.
상기 버튼(700)에는 버튼(700)을 누름으로써 상기 회전로터(200)를 일정 각도씩 회전시키고 동시에 상기 배출구(102)를 밀폐하고 있는 커버(600)를 개방시키기 위하여 그 끝이 상기 회전로터(200)의 상면에 형성된 래칫(206)에 접하는 공지의 밀대(702)가 결합되고, 상기 버튼(700)의 좌우에는 버튼(700)을 상기 커버(600)와 슬라이딩 되도록 결합하기 위한 걸림돌기(70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버튼(700)에 결합되는 밀대(702)는 한쪽 끝이 상기 회전로터(200)의 상 면에 형성된 래칫(206)에 접하고, 반대쪽 끝은 상기 버튼(700)에 결합된다.
도 8,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종단면도로서, 도 8은 버튼(700)을 누르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고, 도 9는 버튼(700)을 누른 상태를 나타낸다.
도 8,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버튼(700)의 내부에는 결합요부(706)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요부(706)의 내부 둘레에는 걸림돌부(708)가 돌설되어 있다. 도 5,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밀대(702)의 버튼(700)과 결합되는 부분의 끝에는 상기 걸림돌부(708)가 걸릴 수 있는 걸림홈(710) 및 상기 버튼(700)과 상기 밀대(702)를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절개부(7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밀대(702)에는 상기 버튼(700)을 눌렀다 놓았을 때 상기 버튼(700)을 원위치시키기 위한 코일스프링(714)이 결합되어, 그 일단은 상기 버튼(700)에 접하고, 타단은 상기 차단부재(300)의 저면에 성형된 걸림돌부(306)의 끝에 접하게 된다.
상기 차단부재(300)의 저면에는 상기 버튼(700)을 눌렀을 때 상기 밀대(702)가 수평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걸림돌부(306)의 좌우에 직선으로 돌출된 가이드(308), 상기 밀대(702)가 아래쪽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U"자 형으로 된 가이드(310) 및 상기 밀대(702)가 상기 차단부재(300)의 가이드(310) 속을 통과한 상태에서 상기 버튼(700)에 결합하기 위하여 공구를 이용하여 상기 밀대(702)를 협지하기 위한 통공(312)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버튼(700)을 누르면, 상기 코일스프링(714)이 수축되면서, 상기 버튼(700)에 결합된 밀대(702)가 안쪽으로 밀리게 되고, 상기 밀대(702)의 끝 이 상기 회전로터(200)의 상면에 형성된 래칫(206)을 밀어서 상기 회전로터(200)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베이스(100)의 내부 바닥에 형성된 래칫(108)에 접해 있는 상기 회전로터(200)의 저면에 형성된 탄성편(208)은 휘어지면서 그 끝이 상기 래칫(108)의 다음 이에 물리게 된다.
상기 버튼(700)을 놓으면 코일스프링(714)에 의하여 상기 버튼(700)이 원위치되는데, 이때 상기 회전로터(200)의 저면에 형성된 탄성편(208)이 상기 베이스(100)의 내부 바닥에 형성된 래칫(108)에 물려 있기 때문에 상기 회전로터(200)는 역회전하지 않는다. 한편, 상기 밀대(702)가 상기 버튼(700)과 함께 원위치되는 과정에서 상기 밀대(702)는 휘어지면서 그 끝이 상기 회전로터(200)의 상면에 형성된 래칫(206)으로부터 벗어나 상기 래칫(206)의 다음 이에 물리게 된다.
상기 커버(600)의 상부에는 상기 버튼의 걸림돌기(704)가 슬라이딩되면서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좌우에 각각 작동바(604)가 형성되고, 상기 좌우의 작동바(604)에는 좌우로 관통되는 장공(606)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버튼(700)의 걸림돌기(704)가 형성된 부분의 상하에는 각각 가로로 절개부(716)가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704)가 형성된 부분이 탄성을 갖도록 하였다.
상기 버튼(700)과 상기 커버(600)를 결합할 때에는 상기 버튼(700)의 걸림돌기(704)가 형성된 부분을 내측으로 누르고, 상기 커버(600)의 작동바(604)를 외측으로 벌려서 상기 버튼(700)의 걸림돌기(704)를 상기 커버(600)의 작동바(604)에 형성된 장공(606)에 결합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버튼(700)을 누르면,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로터(200)가 그 상면에 형성된 래칫(206)의 하나의 잇수만큼 회전하는데, 상기 래칫(206)의 잇수와 상기 회전로터(200)의 둘레에 형성된 삽입부(202)의 수는 동일하므로, 상기 삽입부(202)도 하나의 삽입부(202)만큼 이동하게 된다.
동시에 상기 버튼(700)의 걸림돌기(704)가 상기 커버(600)의 장공(606)의 내부에서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커버(600)의 작동바(604)를 베이스(100)의 내측으로 밀게 된다. 상기 작동바(604)가 베이스(100)의 내측으로 밀리면 상기 커버(600)는 축(602)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되면서 상기 베이스(100)의 배출구(102)를 개방하게 된다.
상기 베이스(100) 및 용기본체(400)에 수납된 내용물은 중력에 의하여 상기 회전로터(200)의 둘레에 형성된 삽입부(202)에 삽입되게 되며, 내용물이 삽입되지 않은 삽입부(202)가 있는 경우에도 회전로터(200)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로터(200)가 한 바퀴 회전하는 동안에 내용물이 삽입되게 된다. 이때 배출구(102) 위치에 있는 삽입부(102)는 상부가 차단부재(300)에 의하여 차단되어 있으므로, 내용물이 삽입되지 않는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700)을 누르면 회전로터(200)가 회전하여 배출구(102) 바로 옆에 있는 삽입부(202)가 내용물을 삽입한 채 배출구(102) 쪽으로 이동하는데, 버튼(700)을 누르면 동시에 배출구(102)도 개방되므로, 배출구(102) 쪽으로 이동한 삽입부(202)에 삽입되어 있는 내용물(900)은 개방된 배출구(102)를 통하여 낙하하게 된다. 이때 배출구(102) 위치에 있는 삽입부(202)는 상부가 차단 부재(300)에 의하여 차단되어 있으므로, 베이스(100) 및 용기본체(400)에 수납되어 있는 다른 내용물은 배출되지 않는다.
버튼(700)을 놓으면, 코일스프링(714)에 의하여 버튼(700)이 원위치되면서, 상기 버튼(700)의 좌우에 형성된 걸림돌기(704)가 커버(600)의 작동바(604)에 형성된 장공(606)의 내부에서 슬라이딩되면서 작동바(604)를 베이스(100)의 외측으로 밀게 되고, 작동바(604)가 베이스(100)의 외측으로 밀리면 커버(600)는 축(602)을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배출구(102)를 밀폐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버튼(700)을 놓더라 회전로터(200)는 탄성편(208)으로 인하여 역회전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은 단순히 버튼(700)을 누를 때마다 회전로터(200)가 회전하고 배출구(102)를 밀폐하고 있는 커버(600)가 열리면서 내용물이 하나의 삽입부(202)에 삽입되는 양만큼씩 배출구(102)로 배출되게 된다. 이때 삽입부(202)의 크기가 하나의 삽입부(202)에 하나의 내용물만 삽입되는 정도인 때에는 버튼(700)을 누를 때마다 내용물이 하나씩 배출된다.
각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출구(102)를 상기 베이스(100)의 측면에만 형성하지 않고 저면에 걸쳐서 형성하고, 상기 배출구(102)를 밀폐하는 커버(700)가 절곡되도록 하여, 상기 배출구(102)의 측면과 저면을 모두 밀폐할 수 있도록 하면, 내용물의 배출이 원활해지고, 내용물이 경사면을 타고 베이스(100)의 측면으로 내려올 필요 없이 곧바로 아래로 배출되므로 베이스(100)의 두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부(202)를 경사지게 형성하는 것도 내용물의 원활한 배출에 도움이 되며, 상기 삽입부(202)를 상면으로 갈수록 넓게 형성하면 내용물의 삽입(202)이 원활해진다. 또한 상기 차단부재(300)는 상기 회전로터(200)의 둘레에 형성된 삽입부(200)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모두 덮고 있어서, 회전로터(200)의 상면에 있는 내용물이 상기 회전로터(200)의 상면과 마찰되어 회전로터(200)가 회전할 때 부하가 걸리는 것을 막아준다.
베이스(100)에 형성된 구성 중 미설명 부호 116과 118은 용기본체(400)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돌부이다. 이와 같은 결합돌부 대신에 나사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밀대(702)에 형성된 구성 중 미설명 부호 718은 코일스프링(714)이 걸리게 하기 위하여 형성된 차단부재(300) 저면의 걸림돌부(306)가 슬라이딩되면서 통과하기 위한 요홈이고, 회전로터(200)에 형성된 구성 중 미설명 부호 210은 회전로터(200)를 사출성형할 때 탄성편(208)을 형성하기 용이하게 하기 위한 통공이다.
도 10은 기밀지(800)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한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로서, 베이스(100)의 내부 둘레에 돌출환대(120)가 형성되어 있어서, 이 돌출환대(120)에 기밀지(800) 둘레의 가장자리를 접착한 다음 내용물이 수납된 용기본체(400)를 베이스(100)에 결합하면, 내용물이 수납된 디스펜서가 유통되는 동안 거의 확실하게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디스펜서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용기본체(400)로부터 베이스(100)를 분리한 다음, 기밀지(800)를 떼어내고 다시 베이스(100)를 용기본체(400)에 결합하여 사용하면 된다.
도 1은 일 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3은 베이스의 사시도
도 4는 용기본체를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위에서 내려다본 분해 사시도
도 6은 아래에서 올려다본 분해 사시도
도 7은 차단부재, 버튼, 회전로터 등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일부 절개 결합 및 분해 사시도
도 8은 버튼을 누르지 않은 상태의 단면도
도 9는 버튼을 누른 상태의 단면도
도 10은 기밀지와 베이스의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베이스 102 : 배출구
104 : 버튼결합공 106 : 중심축
108 : 래칫 110 : 축홈
112 : 결합돌기 120 : 돌출환대
122 : 걸림홈 124 : 절개부
200 : 회전로터 202 : 삽입홈
204 : 축공 206 : 래칫
208 : 탄성편
300 : 차단부재 302 : 결합공
304 : 고정요부 306, 314 : 걸림돌부
308, 301 : 가이드 312 : 통공
400 : 용기본체
500 : 뚜껑
600 : 커버 602 : 축
604 : 작동바 606 : 장공
700 : 버튼 702 : 밀대
704 : 걸림돌기 706 : 결합요부
708 : 걸림돌부 710 : 걸림홈
712, 716 : 절개부 714 : 코일스프링
800 : 기밀지

Claims (3)

  1. 버튼(700)을 누르면 베이스(100)의 내부에 결합된 회전로터(200)가 일정 각도 회전하면서 상기 회전로터(200)의 둘레에 형성된 삽입홈(202)에 삽입된 식품 또는 약품이 베이스(100)의 일측에 형성된 배출구(102)로 배출되도록 된 식품 또는 약품용 디스펜서에 있어서,
    좌우측 상부에 축(602)이 좌우로 돌출 형성되고 상단 좌우에 좌우로 관통되는 장공(606)이 형성된 작동바(604)가 상부로 돌출 형성된 커버(700)의 상기 장공(606)에, 상기 버튼(700)의 좌우에 형성된 걸림돌기(704)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700)의 축(602)이 상기 배출구(102)의 상부 좌우에 형성된 축홈(1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버튼(700)을 누르면 커버(600)가 회동되면서 배출구(102)가 개방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또는 약품용 디스펜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102)는 상기 베이스(100)의 측면에서 저면에 걸쳐 형성되고, 상기 커버(700)는 절곡되어 상기 배출구(102) 전부를 밀폐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또는 약품용 디스펜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700)의 상기 걸림돌기(704)의 상하에는 각각 가로로 절취부(716)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또는 약품용 디스펜서.
KR1020080062771A 2008-06-30 2008-06-30 식품 또는 약품용 디스펜서 KR1009988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2771A KR100998864B1 (ko) 2008-06-30 2008-06-30 식품 또는 약품용 디스펜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2771A KR100998864B1 (ko) 2008-06-30 2008-06-30 식품 또는 약품용 디스펜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2752A true KR20100002752A (ko) 2010-01-07
KR100998864B1 KR100998864B1 (ko) 2010-12-08

Family

ID=41812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2771A KR100998864B1 (ko) 2008-06-30 2008-06-30 식품 또는 약품용 디스펜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886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28345A (zh) * 2011-01-20 2013-09-25 金光植 食品或药品用分配器
US20160052698A1 (en) * 2014-08-20 2016-02-2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oap dish carrousel cartridge and dispenser
CN105383814A (zh) * 2014-08-20 2016-03-09 通用汽车环球科技运作有限责任公司 变速器阀主体部件运输和组装的回转式卡盒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8700Y1 (ko) 2003-06-05 2003-10-01 김광식 식품 또는 약품용 디스펜서
KR200354242Y1 (ko) 2003-12-26 2004-06-25 김광식 식품 또는 약품용 안전 디스펜서
KR200359435Y1 (ko) 2004-05-18 2004-08-21 메디정밀 주식회사 고형체 배출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28345A (zh) * 2011-01-20 2013-09-25 金光植 食品或药品用分配器
US20130292406A1 (en) * 2011-01-20 2013-11-07 Gwang-Sig Kim Dispenser for food or medicine
US9045272B2 (en) 2011-01-20 2015-06-02 Gwang-Sig Kim Dispenser for food or medicine
US20160052698A1 (en) * 2014-08-20 2016-02-2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oap dish carrousel cartridge and dispenser
CN105383814A (zh) * 2014-08-20 2016-03-09 通用汽车环球科技运作有限责任公司 变速器阀主体部件运输和组装的回转式卡盒
CN105383813A (zh) * 2014-08-20 2016-03-09 通用汽车环球科技运作有限责任公司 皂碟回转式卡盒和分配器
US9796519B2 (en) 2014-08-20 2017-10-2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Carrousel style transmission valve body component shipping and assembly cartridge
US9828167B2 (en) * 2014-08-20 2017-11-2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oap dish carrousel cartridge and dispenser
CN105383813B (zh) * 2014-08-20 2018-07-24 通用汽车环球科技运作有限责任公司 皂碟回转式卡盒和分配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8864B1 (ko) 2010-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3427B1 (ko) 식품 또는 약품용 디스펜서
KR200429553Y1 (ko) 화장품용기의 밀폐구조
JP4897388B2 (ja) 粘性化粧料用容器
KR200404009Y1 (ko) 분쇄식 기능성 파우더 용기
KR102197420B1 (ko) 스포이드형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KR200473319Y1 (ko) 이액형 액상용액의 혼합이 가능한 용기
AU2008333442A1 (en) Tablet dispenser
KR100998864B1 (ko) 식품 또는 약품용 디스펜서
WO2016000054A1 (pt) Mecanismo valvulado com ponteira aplicadora para embalagens de cosméticos
US20190344953A1 (en) Dentifrice Dispenser
JP5184064B2 (ja) 繰り出し容器
JP6514297B2 (ja) カプセル型内容物の排出速度が向上した包装容器
KR101516372B1 (ko) 이종물질 혼합용 용기
KR200455996Y1 (ko) 고점도 내용물의 미세 정량토출이 가능한 화장품용기
JP2007261671A (ja) 付け替え容器収納用容器
KR20020082802A (ko) 조제용 정제 의약품 디스펜서
KR101338355B1 (ko) 칸막이 용기 뚜껑 개폐 장치
JP2005104582A (ja) 固形歯磨き収納容器
GB2364996A (en) Container having blades for releasing the contents
KR101156070B1 (ko) 수동식 알약분배기
KR100578035B1 (ko) 식품 또는 약품용 디스펜서
KR200359435Y1 (ko) 고형체 배출장치
KR20140102886A (ko) 치약 용기 조립체
KR20140011901A (ko) 밀폐용기 및 밀폐용기용 커버
KR200354242Y1 (ko) 식품 또는 약품용 안전 디스펜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